KR20090055149A - 배수관용 비탈면의 보호 블록 - Google Patents

배수관용 비탈면의 보호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5149A
KR20090055149A KR1020070121921A KR20070121921A KR20090055149A KR 20090055149 A KR20090055149 A KR 20090055149A KR 1020070121921 A KR1020070121921 A KR 1020070121921A KR 20070121921 A KR20070121921 A KR 20070121921A KR 20090055149 A KR20090055149 A KR 20090055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block
vegetation
drain pip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1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0494B1 (ko
Inventor
민승기
민병무
Original Assignee
민승기
민병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승기, 민병무 filed Critical 민승기
Priority to KR1020070121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494B1/ko
Publication of KR20090055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5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 Revetment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택지, 경작지 등의 조성으로 형성되는 비탈면에서 배수관용 비탈면의 보호 블럭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사회에서의 시공기술의 활용 및 택지가격의 고비용 등으로 경사지는 구릉지에 대한 활용과 아울러 집중호우에 대한 피해를 줄여 주도록 친환경적인 보강 블럭의 요구가 점점 많아지는 추세에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절개지역에 암반이 포함하여서 폭우 등에 안정성을 보장하여 주는데, 대부분 토사지역에서는 더 파기한 다음 배수관을 매설하여 주되, 상하측 방향으로는 경사지는 비탈면으로 형성하여 주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비탈면에다 배수관을 매설함으로서 피해를 줄여주는데, 이에 대하여 매설하려는 배수관을 위하여 더 파기한 다음, 경사지게 성토를 하여주는데, 상기 연약한 성토지역은 집중호우 등으로 폭우상태가 발생하면 쇄골이나 침하 등으로 붕괴가 발생함으로서 하류지역에 대하여 피해가 발생하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상기 설명되는 비탈면의 지표에서 배수관(52)을 매설하도록 소정의 폭을 유지하는 바닥면(63)을 하면서 돌출되는 구성하는 양측벽면(61)(62)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하는 안전리브(71)(72)를 경사면(55)의 지표면에 맞추어서 안치하면서 유도대(70)가 조립으로 돌출되는 배수관(52)의 상하측 비탈면(55)에 있어서,
상기 설명되는 양측벽면(61)(62)에서 경사면(55)의 상하측방향에 형성되는 안전리브(71)(72)에다, 블록(80)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결합리브(77)(78)를 일체로 고정구(81)에 고정볼트(86)로 고정하여서 비탈면(55)에 형성하고,
상기 블록(80)에는 식생구(79)와 식생조립구(75)를 서로 교호상으로 다수개를 형성하여 주고, 상기 고정구(81)는 느슨하게 키워주되 결합리브(68)에 지지턱(80)을 돌출로 형성하여서 비탈면(55)의 기울어 주는 경사도에 따라 지표면에 맞추어 조립되어서 비탈면(55)을 흐르는 빗물의 침투 또는 쇄골 등을 방지하도록 형성하여서 제공하여 주는 발명이며, 이에 대한 실시예에 대한 발명이다.
비탈면, 배수관, 블럭, 식생지지구

Description

배수관용 비탈면의 보호 블록{omitted}
본 발명은 도로, 택지, 경작지 등의 조성으로 형성되는 비탈면에서 배수관을 매설하기 위하는 성토지역의 비탈면에 대한 배수관용 보호 블럭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사회에서의 시공기술의 활용 및 택지가격의 고비용 등으로 경사지는 구릉지에 대한 활용과 아울러 집중호우에 대한 피해를 줄여 주도록 친환경적인 보강 블럭의 요구가 점점 많아지는 추세에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절개지역에서는 암반지역이나 토사로 성토하여서 배수로의 지표에 대한 매설로 빗물이 흘러가도록 비스듬한 경사지를 형성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즉 비탈면을 조성하려는 지역에 포함되는 암반지역에는 폭우 등에 안정성을 보장하여 주는데, 대부분 성토되는 토사지역에서는 연약지역이므로 빗물이 성토층으로 침투하면 지지력이 약해져서 붕괴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에 대하여 집중호우 등으로 폭우상태로 내려오는 빗물을 유도하여 주어서, 비탈면 지역에 대하여 피해를 줄여주는 발명에 대한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사지는 비탈면에 대한 조성은 경사지는 지형을 경지정리 또는 절개시켜 준 다음, 경사지는 비탈면에서 구축하려는 지형에 맞게 토사로 성토로 쌓여진 비탈면의 지표에다 블록을 조립으로 맞추어서 구성하며, 여기서 매설되 는 배수로의 주위의 성토지역에서는 바윗덩어리 또는 암반과 같은 더 파기가 매우 어려운 지역과 지면의 구조상 성토지역이 서로 혼합하여서 발생하는 구조이므로 선택적으로 연약한 성토지역에서 비탈면에 덮어서 고정되는 블록에 조립으로 침하되는 현상을 지지하여서 붕괴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보강하여 주는 발명이다.
또한 폭우 등으로 비탈면을 타고 빗물이 내려오면 지표상의 빗물을 유도하여서 하측의 배수로로 이동하여 주도록 설치하여 주어서 비탈면에 대한 빗물의 넘쳐흐르는 형상을 방지하여 준다.
본 발명은 경사면에서 산업사회의 발전으로 인하여 토목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토지의 사용에 대한 효율성을 제공하기 위하여서는 빗물에 의하여 흘러내리는 배수를 인위적으로 시설물의 매설로 인하여 구획하는 현실이 되었다.
또한 종래에서는 비탈면에 배수로를 매설하여서 내려오는 빗물을 유도하여서 흘러 내보내면서 간헐적으로 하측으로 이동하여 주는 배수로를 경사지역을 절개시켜준 절개지에 토사 등으로 성토하는 성토지의 지표면에 매설로 형성하여서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비탈면에서 대부분 형성되는 성토지역의 연약한 비탈면에 대한 보강은 잔디, 초지 또는 육각, 사각형으로 조립되는 블록을 조성하여서 비탈면을 보강하여 주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지구의 온난화상태로 인하여 생태기 변화에 따른 국지적인 집중호우가 간간히 발생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쏟아지는 호우가 상기 지표에 침투하면서 절개지에 성토된 성토지를 스며든 빗물에 의하여 비탈면의 하측 방향으로 미끄러지면서 비탈면의 붕괴를 불러와서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연약한 비탈면에 집중 호우 등으로 쏟아지는 빗물의 배수관에 대한 매몰 및 범람의 위험을 방지하고, 또한 집중호우로 쏟아지는 빗물이 비탈면을 넘쳐나면서 붕괴의 위험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내려오는 간벌목, 토사, 자갈 등의 범람을 방지하며, 또한 비탈면에 설치되는 도로, 주택과 같은 시설물을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보강구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절개지에서 절개로 형성되는 비탈면에 매설되는 배수관의 가장자리의 성토지역에 빗물을 배수하도록 지표에 매설되는 배수관의 상하측으로 평평하게 성토된 비탈면에서, 상기 설명되는 배수관에서 비탈면의 상하측 방향에 형성되는 안전리브에다 블록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결합리브를 일체로 고정구에 고정볼트로 고정하여서 비탈면에 형성하고, 상기 블록에는 식생구와 식생조립구를 서로 교호상으로 다수개를 형성하여 주고, 상기 고정구는 느슨하게 키워주되 결합리브에 지지턱을 돌출로 형성하여서 비탈면의 기울어 주는 경사도에 따라 지표면에 맞추어 조립되어서 비탈면을 흐르는 빗물의 침투 또는 쇄골 등을 방지하도록 형성하여서 제공하여 주는 발명이다.
따라서 상기 설명된 요부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을 하면,
도1는 종래에 제공된 배수로에 유도대가 형성된 요부 사시도로서 비탈면을 타고 내려오는 토사 등을 배수로에 걸려서 유입되도록 형성된 구조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시도로서 평판형의 블록의 상하측 가장자리에 결합리브를 형성하되 식생조립구와 식생구를 다수개 형성하여 구성되는 블럭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용상태의 부분 사시도로서 배수관의 상하측으로 조립으로 비탈면을 보호하는 구조이며, 또한 안전리브의 연결에는 지지턱을 형성으로 비탈면의 경사도에 따라 유용하게 사용되는 구조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시도로서 블록의 식생조립구에 조립시켜 주면서 성토된 비탈면이 폭우로 붕괴되어 미끄러지는 현상을 지지하여 주도록 형성된 구조이며, 도5는 도4에서 사용상태의 단면도로서 블록에 조립되어서 장마 등으로 성토된 비탈면이 쇄골이나 침하 현상을 지지하여 주는 구조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7는 도6에서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조립상태를 도시한 분해도로서 블록의 일측에 지지벽체를 삽입으로 조립하는 조립구를 도시한 구조이며, 도8은 도6,7에서 요부에 대한 조립상태의 요부 사시도로서 상기 조립구에 지지벽체를 조립하여주는 구조이며, 도9는 본 발명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로서 상기 식생조립구에 식생지지구의 조립과 조경수의 식수 구조이며, 또한 조립구에 지지벽체를 조립하여준 구조이며, 또한 블록의 일측에 보조지지체를 형성하여서 장마 등으로 비탈면을 넘쳐 흘러내려오는 성토지를 지지하여주면서 비탈면의 붕괴를 방지하여 주도록 구성되는 구조이다.
고로 본 발명의 요부인 절개지(69)에 성토된 성토지(64)로 형성되는 비탈면 (55)에 매설되는 배수관(52)을 중심으로 상하측면인 비탈면(55)의 표면에 일체로 덮어주는 블록(8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설명되는 비탈면(55)에서 성토되는 성토지(64)의 표면에다 배수관(52)을 매설하도록 소정의 폭을 유지하는 바닥면(63)을 하면서 돌출되는 구성하는 양측벽면(61)(62)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하는 안전리브(71)(72)를 경사면(55)와 지표면에 맞추어서 안치하면서 유도대(70)가 조립으로 돌출되는 배수관(52)의 상하측 비탈면(55)에 있어서,
상기 설명되는 양측벽면(61)(62)에서 경사면(55)의 상하측방향에 형성되는 안전리브(71)(72)에다, 비탈면(55)의 표면에 덮어주도록 소정의 크기인 블록(80)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결합리브(77)(78)를 일체로 고정구(81)에 고정볼트(86)로 고정하여서 비탈면(55)에서 빗물 등으로 침투되어 발생하는 침하 등의 발생을 방지하고,
상기 블록(80)에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개의 식생구(79)와 식생조립구(75)를 서로 교호상으로 형성하여서 식생하는 조경수 또는 초지 등의 뿌리로 비탈면(55)의 토사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여 준다.
또한 상기 고정구(81)는 이에 조립되는 고정볼트(86)보다 조립되는 폭을 확대하여서 느슨하게 키워주되, 결합리브(78)에 형성된 고정구(81)에 맞추어서 배수관(52)의 길이방향으로 지지턱(80)을 돌출로 형성하여 제공하는 발명으로서, 비탈면(55)의 기울어 주는 경사도에 따라 지표면에 맞추어서 블록(80)와 조립되는 기울기를 조정으로 맞추어서 비탈면(55)을 흐르는 빗물의 침투 또는 쇄골 등을 방지를 보강하도록 제공하여 주는 발명이다.
고로, 여기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배수관은 비탈면에서 낮은 지역 등을 성토 등으로 조성되는 연약지반의 비탈면으로 맞추어서 보강하여 주도록 구성되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도로나 택지조성용 비탈면에서 국지적인 폭우 등으로 배수로를 월경하여서 경사면에 건설되는 도로 및 시설물과 같은 조성물에 대한 침하 또는 쇄골을 방지하여 주며, 또한 경사지는 비탈면에 조성되는 블럭에다 수목과 같은 큰나무를 식생하도록 하여서 나무의 뿌리에 의하여 비탈면의 견고성을 보강하여 주도록 구성되는 친환경적인 제방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성토된 비탈면에서 빗물에 의하여 침투로 경사지는 지표면에서 흘러내려오는 빗물의 량이 너무 다량으로 내려오는 경우에도, 안전적으로 배수관으로 빗물을 유도하여서 성토된 비탈면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는 것이다.
[실시예1]
본 발명의 요부인 절개지(69)에 성토된 성토지(64)로 형성되는 비탈면(55)에서 폭우 등으로 장마 등이 발생하는 경우, 절개지(69)에 성토되어 비탈면(55)을 형성하는 성토지(64)는 인위적으로 토사를 성토하여서 다져주면서 조성된 성토지(64)는 장마에 의하여 빗물이 침투하면서 지지력이 약해져서 절개지(69)의 표면을 마찰로 이동하면서 하측방향으로 미끄러져 내리는 침하로 이어지면서 성토지의 붕괴로 이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침하되는 성토지(64)를 지지하여 주기위하는 발명으로서,
상기 블록(80)의 일측에 형성되는 식생조립구(75)에다, 조경수 등을 심어서 식생을 제공하면서 침하된 성토지(64)의 침하를 저지하도록 단면이 원통형으로 형성하면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식생지지구(65)를 삽입으로 조립하되, 조립링구(63)에 고정볼트(86)로 고정하여 준다.
또한 상기 식생지지구(65)에는 성토지(64)의 지지력 보강과 블록(80)에 식생되는 초지 등의 뿌리에 대한 착근을 보강하여 주기 위하는 유통구(67)를 형성하여 제공하는 발명이다.
그리고 상기 비탈면(55)의 경사지는 표면을 덮어주면서 보호하는 블록(80)에서, 장마 등으로 폭우와 동시에 토사, 간벌목, 자갈 등이 흘러내리는 경우, 배수로(52)를 막히거나, 비탈면(55)의 하측방향으로 구축되는 도로, 경작지에 대한 토사의 범람의 요인이 제공하므로, 이에 대한 방지를 보강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블록(80)에서 배수로(52)의 길이방향에 따라 보조지지체(90)를 돌출하여 주되되; 유통구(93)를 형성하여서 제공하는 발명으로서,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장마 등과 같이 밀려 내려오는 간벌목이나 자갈 등이 걸러주고 빗물만 통과하여 주도록 제공하므로, 비탈면(55)의 하측방향으로 구축되는 도로, 경작지에 대한 토사의 범람에 대한 방지를 제공하는 발명이다.
[실시예2]
또한 상기 성토지(64)에서 폭우에 의한 빗물의 침투로 인하여 지지력을 상실 하면서 일어나는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상기 블록(80)의 일측으로 소정의 길이를 유지하는 조립구(87)을 형성하여 주되; 상기 졸깁구(87)의 폭과 길이에 맞추어 주는 지지벽체(82)를 삽입하면서 상측에서 좌우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대(85)로 블록(80)의 조립구(87)의 가장자리에 고정하여서 성토지(64)의 침하에 대한 이동을 저지하여 주도록 주성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성토지(64)에서 성장하는 초지의 뿌리 등에 대한 활착을 보강하기 위하면서 침하되는 연약한 성토지(64)에 대한 지지력의 내구성을 보강하여 주도록 상기 지지벽체(82)에 유통구(83)을 형성하여 제공하는 발명이다.
도1는 종래에 제공된 배수로에 유도대가 형성된 요부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용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시도
도5는 도4에서 사용상태의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시도
도7는 도6에서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조립상태를 도시한 분해도
도8은 도6,7에서 요부에 대한 조립 상태의 요부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 도면중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2. 배수관 55. 비탈면 63. 조립링구
64. 성토지 65. 식생지지구 67. 유통구
70. 유도대 71,72. 안전리브 75. 식생조립구
77,78. 결합리브 79. 식생구 80. 블럭
82.지지벽체 83. 유통구 85. 걸림대
86. 지지리브 90. 보조지지체 93. 유동구

Claims (3)

  1. 비탈면의 지표에서 배수관(52)을 매설하도록 소정의 폭을 유지하는 바닥면(63)을 하면서 돌출되는 구성하는 양측벽면(61)(62)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하는 안전리브(71)(72)를 경사면(55)의 지표면에 맞추어서 안치하면서 유도대(70)가 조립으로 돌출되는 배수관(52)의 상하측 비탈면(55)에 있어서,
    상기 설명되는 양측벽면(61)(62)에서 경사면(55)의 상하측방향에 형성되는 안전리브(71)(72)에다, 블록(80)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결합리브(77)(78)를 일체로 고정구(81)에 고정볼트(86)로 고정하여서 비탈면(55)에 형성하고,
    상기 블록(80)에는 식생구(79)와 식생조립구(75)를 형성하여 주고,
    상기 고정구(81)는 느슨하게 키워주되 결합리브(68)에 지지턱(80)을 돌출로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비탈면의 보호 블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조립구(75)에 식생지지구(65)를 삽입으로 조립하되, 조립링구(63)에 고정볼트(86)로 고정하여 주고,
    상기 식생지지구(65)에는 유통구(67)를 형성하여 주고,
    상기 블록(80)에는 보조지지체(90)를 돌출하여 주되되; 유통구(93)을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비탈면의 보호 블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80)의 일측으로 조립구(87)을 형성하여 주되; 지지벽체(82)를 삽입하면서 걸림대(85)로 고정하고,
    상기 지지벽체(82)에 유통구(83)을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비탈면의 보호 블럭.
KR1020070121921A 2007-11-28 2007-11-28 비탈면의 배수용 보호 블록 KR100970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921A KR100970494B1 (ko) 2007-11-28 2007-11-28 비탈면의 배수용 보호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921A KR100970494B1 (ko) 2007-11-28 2007-11-28 비탈면의 배수용 보호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149A true KR20090055149A (ko) 2009-06-02
KR100970494B1 KR100970494B1 (ko) 2010-07-15

Family

ID=40986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1921A KR100970494B1 (ko) 2007-11-28 2007-11-28 비탈면의 배수용 보호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04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45734A (zh) * 2013-05-15 2014-11-19 青岛天力建筑加固工程有限公司 快速绿化挡板
CN112982295A (zh) * 2021-03-23 2021-06-18 邯郸市亿润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河道护坡结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4333A (ja) * 1994-04-12 1995-02-28 Niki Pioneer:Kk 集排水管および集排水装置
KR100835966B1 (ko) * 2002-01-28 2008-06-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안테나 스위치
KR200364528Y1 (ko) 2004-07-26 2004-10-15 송영진 도로의 측구 수로관 및 경계의 일체형 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45734A (zh) * 2013-05-15 2014-11-19 青岛天力建筑加固工程有限公司 快速绿化挡板
CN112982295A (zh) * 2021-03-23 2021-06-18 邯郸市亿润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河道护坡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0494B1 (ko) 201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21470B (zh) 装配式锚杆拱形骨架复合式生态护坡施工方法
CN111139840A (zh) 一种陇东黄土高原沟壑区固沟保塬边坡生态修复方法
JP2010037863A (ja) 植栽型浸透トレンチ
KR100899037B1 (ko) 블록 조립체
RU170257U1 (ru) Устройство гидроизоляции разделительной полосы дорожной одежды автомобильной дороги на просадочных грунтах
KR20090055149A (ko) 배수관용 비탈면의 보호 블록
KR101416289B1 (ko) 측구
KR20090012490A (ko) 비탈면의 친환경적인 블럭
KR100542888B1 (ko) 건축물 단지의 비탈면 구조
KR100758231B1 (ko) 환경 친화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럭 구조물
KR100593187B1 (ko) 친환경적 비탈면 보호시설
JPH08205691A (ja) 植樹帯
KR100971758B1 (ko) 비탈면의 안전을 위한 지지용 블록
KR101001110B1 (ko) 배수관의 배수 유도장치
KR100542617B1 (ko) 담장 벽면 및 사면 녹화용 조립식 콘크리트 식생옹벽과그의 시공방법
Wiest A landowner's guide to building forest access roads
KR20090075476A (ko) 사면녹화공법
KR100515788B1 (ko) 건축 단지용 조립식 비탈 보호 옹벽
CN217758922U (zh) 一种用于山区高速公路的生态桩板墙结构
KR102219577B1 (ko) 유출수 저감 보도구조
KR101218649B1 (ko) 비탈면의 지지용 블럭
EP1524371B1 (en) Channel lining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JPH03290503A (ja) 山なみ道路の構築方法
POURMOJARAB IMPROVEMENT OF FOREST ROADS, CASE STUDY: THE ACCESS ROAD TO THE GOLIRAN COAL MINE IN MAZANDARAN PROVINCE, IRAN
Heritage Constructed tracks in the Scottish Upla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