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2888B1 - 건축물 단지의 비탈면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 단지의 비탈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2888B1
KR100542888B1 KR1020050085453A KR20050085453A KR100542888B1 KR 100542888 B1 KR100542888 B1 KR 100542888B1 KR 1020050085453 A KR1020050085453 A KR 1020050085453A KR 20050085453 A KR20050085453 A KR 20050085453A KR 100542888 B1 KR100542888 B1 KR 100542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reinforcement
inclined surface
building complex
fl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석
Original Assignee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filed Critical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Priority to KR1020050085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28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2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2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건축물 단지의 노상면에 인접하는 비탈면의 유실을 방지하면서 건축물 단지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물 단지의 비탈면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건축물 단지의 차량용 도로에 경계석과 함께 설치되는 보행자용 보도와, 상기 보도의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와의 경계를 표시하는 울타리와, 상기 울타리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비탈면에 있어서, 상기 비탈면에는 직사각형의 평판의 형상을 갖는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장측단의 일면이 하향으로 연장되는 빗면부와, 상기 빗면부의 일측면으로부터 끝단이 상향되도록 일정한 곡면을 이루면서 연장되는 하단지지부로 이루어지는 상단 보강대; 그리고 "U" 자 형상을 갖으며, 일측부에는 나무 등을 심을 수 있는 식재구가 구비되고, 중심부에는 고정용 앵커를 착설시킬 수 있는 앵커홀이 구비되는 빗면 보강대가 설치되고, 상기 상단 보강대는 비탈면의 상측부로부터 발생되는 토사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측부에 일부분이 매설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빗면 보강대는 비탈면의 빗면을 따라 "U" 자 형상의 날개부의 일부분이 매설되고 중심부분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빗면으로부터 발생되는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단지의 비탈면구조를 제공한다.
비탈면, 상단 보강대, 빗면 보강대

Description

건축물 단지의 비탈면 구조{STRUCTURE OF SLOPED SURFACE}
도 1은 종래 건축물 단지의 비탈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물 단지의 비탈면에 설치되는 각 부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물 단지의 비탈면 구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각 부재로, (a)는 상단 보강대의 사시도, (b)는 잔디 식재대의 분해 사시도, (c)는 중간 보강대의 사시도, (d)는 고정대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차도 102 : 차도 경계석
104 : 보차도 경계석 106 : 보도 블록
110 : 보도 150 : 고정대
200 : 상단 보강대 300 : 잔디 식재대
400 : 빗면 보강대
본 발명은 건축물 단지의 비탈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 물 단지의 노상면에 인접하는 비탈면이 우수 등에 의한 유실을 방지하면서 건축물 단지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물 단지의 비탈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공되고 있는 비탈 보호용 조경 블록에는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된 여러가지 종류 및 형태의 것들이 알려져 있으며, 이를 비탈면에 시공시에는 통상, 각 블록을 격자상으로 연결조립하고 조립된 각 블록 사이를 토사로 채워 그 표층에 잔듸 등을 심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조경 블록은 이를 설치시 녹화면 토사층의 안식각을 고려하여 지표면의 구배가 45˚ 경사 미만인 완경사의 경우에만 적용될 수 있으므로 급경사를 갖는 지반의 경우에는 그 시공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으며, 비탈면에 설치되는 블록의 조립 형태가 대부분 연속 6각형의 배열을 이루게 되므로 각 블록 사이의 거리가 넓은 부분에 있어서는 성토된 표토부가 쉽게 유실될 뿐만 아니라, 그 내부에 집수되는 물은 그 블록의 배열 상태에 따라 여러번 굴곡되는 과정을 거쳐 하측으로 배수되므로 다량의 유수가 일시에 유입될 경우 그 배수가 원활하지 못하고 각 블록의 연결부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등의 결함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시공되는 조경 블록은 그 시공지반의 지질 변화가 심하고 성토된 표층이 강우 등에 의하여 쉽게 붕괴될 경우를 대비하여 철근 앵커 등으로 원지반과 체결보강 함에 있어서도 단순히 앵커 등을 원지반에 직접 타입하는 것만으로 각 블록을 지반에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원지반의 지내력이 취약할 경우에는 이들 앵커 등의 고정위치가 쉽게 변형되어 앵커 본연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이에 따라 격자상으로 상호 조립되는 인접 블록간의 연결상태가 쉽게 이완됨으로써 그 취약 지점은 물론 전체 비탈면의 붕괴우려를 배려할 수 없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건축물 단지의 노상면에 인접하는 비탈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써, 도 1을 참조하여 건축물 단지의 비탈면을 설명하면, 건축물 단지의 울타리(40)가 설치되는 노상면은 차량이 이동하는 차도(10)가 구비되고, 상기 차도(10)에 인접하도록 사람이 통행하는 경계석(20)과 함께 보도(30)가 구비된다.
상기 보도(30)의 타측단에는 울타리(40)가 설치되어 건축물 단지를 외부로부터 분리표시하게 된다. 상기 울타리(40)의 외측면에는 비탈면(S)이 형성되고, 상기 비탈면(S)은 성토를 함으로써 외부적인 기후 요인에 의해 자연토층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성토된 비탈면(S)의 경우 성토 재료의 종류 및 성토 높이에 따라 붕괴 위험이 항상 존재하므로 현장의 지형, 토질, 기상 조건, 인접하는 물건 등을 고려하여 비탈면(S)을 보호할 수 있는 별도의 보호 수단이 요구된다.
즉, 이러한 성토를 취하는데 있어서 성토 높이를 불가피하게 높게 형성할 경우, 성토 재료가 고함수비의 점성토 등 전단 강도가 낮은 경우 기후적인 외부 요인에 의해 붕괴 사태와 다량의 유실을 유발시킬 염려가 있어 성토 비탈면 경사를 형성함에 있어 신중한 검토가 요해진다.
또한, 상기 건축 단지가 산 비탈면 등에 토목 공사를 통해 형성되는 경우, 비탈면(S)이 붕괴될 위험은 적은 반면에, 꽃, 나무, 잔디 등과 같은 식물을 식재하 는 경우 어려움이 있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 단지의 노상면에 인접하는 비탈면이 외부적인 기상조건에 따라 성토된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건축물 단지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단지의 비탈면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 단지의 차량용 도로에 경계석과 함께 설치되는 보행자용 보도와, 상기 보도의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와의 경계를 표시하는 울타리와, 상기 울타리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비탈면에 있어서, 상기 비탈면에는 비탈면의 상측부에 일부분이 매설되도록 설치되어 상측부로부터 발생되는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보강재인 상단 보강대가 상기 비탈면의 빗면을 따라 "U" 자 형상의 날개부의 일부분이 매설되고 중심부분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빗면으로부터 발생되는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빗면 보강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단지의 비탈면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상단 보강대는 직사각형의 평판의 형상을 갖는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장측단의 일면이 하향으로 둔각을 이루면서 연장되는 빗면부와, 상기 빗면부의 일측면으로부터 끝단이 상향되도록 일정한 곡면을 이루면서 연장되는 하단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빗면 보강대는 "U" 자 형상을 갖으며, 일측부에는 나무 등을 심을 수 있는 식재구가 구비되고, 중심부에는 앵커를 착설시킬 수 있는 앵커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물 단지에 설치되는 울타리에 인접하여 비탈면이 성토되어 형성된다. 상기 비탈면은 단단하게 성토하면서 경사를 형성시켜도 기후 등의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유실되곤 한다. 상기 비탈면의 상단부로부터 빗면을 따라 비탈면을 보강할 수 있는 상단 보강대와 빗면 보강대 등의 보강재를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비탈면을 이루는 토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물 단지의 비탈면에 설치되는 각 부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물 단지의 비탈면 구조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각 부재로, (a)는 상단 보강대의 사시도, (b)는 잔디 식재대의 분해 사시도, (c)는 중간 보강대의 사시도, (d)는 고정대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다수개의 건축물로 이루어지는 건축물 단지에는 건축물 사이에 차량이 통행하는 차도(100)가 구비되고, 상기 차도(100)에 차도 및 보도 경계석(102)(104)과 함께 사람이 통행을 하는 보도(110)가 구비되며, 상기 보도(110)의 일측부에는 외부와의 경계를 나타내기 위한 울타리(120)가 설치되고, 상기 울타리(120)를 기준으로 외측에는 비탈면(S)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보도 경계석(104)은 필요에 따라 고정대(150)로 대체하여 설치가능하며, 상기 고정대(150)는, 사각형 몸체의 길이방향 일측에 삽입홈(152)이 형성되고, 삽입홈(152)의 내측에 다수개의 돌부(154)가 요철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대(150)가 사용되는 실시예는 하부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비탈면(S)은 울타리(120)로부터 시작하여 지면까지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비탈면(S)의 상측부에는 비탈면(S)의 상단부에 있는 성토된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부분이 매설되는 상단 보강대(200)가 설치된다.
상기 상단 보강대(200)는, 직사각형의 평판의 형상을 갖는 평판부(210)가 구비되고, 상기 평판부(210)가 장측단과 단측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측단의 일측면에 빗면부(220)가 하향으로 연장되면서 형성되며, 상기 상단 보강대(200)을 이루는 빗면부(210)의 타측단에는 하단 지지부(230)가 형성되고, 상기 하단 지지부(230)는 빗면부(220)의 일측면으로 부터 끝단이 상향되도록 일정한 곡면을 이루면서 연장된다.
즉, 상기 상단 보강대(200)는, 평판부(210)와 빗면부(220)는 상호 둔각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상기 평판부(210)와 빗면부(220)는 토사속으로 매설이 되며, 상상기 빗면부(220)는 비탈면(S)과 같은 경사각을 이루면서 비탈면(S) 속에 매설된다.
또한, 상기 상단 보강대(200)는, 빗면부(220)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단 지지부(230)는 처음에는 하향으로 연장되다가 상향으로 곡면을 이루면서 연장됨으로써 하단 지지부(230)의 전체적인 형상은 하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진다.
한편, 상기 상단 보강대(200)는, 평판부(210)에 다수개의 체결홀(212)이 형성되고, 하단 지지부(230)의 중심에는 다수개의 배수홀(232)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홀(232)은 빗면부(220)를 통해 흘러내리는 빗물 등이 잔디 식재대(300)의 내측으 로 흘러 들어가도록 배수구의 역할을 한다.
상기 상단 보강대(200)는, 하단 지지부(230)가 곡면을 이루면서 평판부(210)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지면에 밀착될 수 있고, 상기 하단 지지부(230)가 지면에 밀착되면서 상단 보강대(200)가 하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는 고정턱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단 보강대(200)는 평판부(210)가 토사에 매설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하단 지지부(230)가 비탈면(S)의 지면과 밀착됨으로써 별도의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지면에 고정시키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상단 보강대(200)가 설치된 하부에는 잔디 식재대(300)의 사각 틀체(310)의 하부가 매설되어 설치되는데, 상기 잔디 식재대(300)는, 외부 프레임인 사각 틀체(310)와 그 사각 틀체(310)의 내부에 일체형성된 망체(312), 사각 틀체(310)의 내부 망체(312) 상부에 안착되는 섬유 마대(320), 및 거름과 잔디 또는 씨앗이 포함된 다짐 토사층(33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잔디 식재대(300)는, 사각 틀체(310)의 내측에 망체(312)가 일체로 형성되고, 사각 틀체(310)의 모서리 하부에 고정핀부(314)가 형성되어 비탈면(S)에 견고하게 지지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사각 틀체(310)의 내부에 섬유 마대(320)와 함께 다짐 토사층(330)이 안착된다.
부연 하자면, 상기 잔디 식재대(300)는, 사각 틀체(310)의 내부에 설치된 섬유 마대(320)를 통해 외부에서 수분을 흡수할 수 있게 되므로 다짐 토사층(330)에 포함된 씨앗의 발아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탈면(S)에는 빗면을 따라 "U" 자 형상, 즉 반원형 형태의 빗면 보강대(400)가 비탈면(S)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매설되는 한편, 상기 빗면 보강대(400)는 "U" 자 형상을 갖음으로써 폭 방향 양측에 각각 날개부(410)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410)가 비탈면(S)에 수직한 방향으로 매설된다.
즉, 상기 빗면 보강대(400)는 날개부(410)의 일부분이 비탈면(S)의 내부로 매설되고, 상기 빗면 보강대(400)의 중심부분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빗면 보강대(400)는 노출부분 중에서 일측부에 식재구(414)가 형성되고, 그 식재구(414)의 양측에 앵커홀(416)이 형성된다.
상기 빗면 보강대(400)의 식재구(414)는 직사각형이나 또는 타원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식재구(414)에 꽃, 나무 등을 심을 수 있으며, 상기 식재구(414)의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된 앵커홀(416)에는 앵커(500)가 체결됨으로써 앵커(500)에 의해 빗면 보강대(400)가 비탈면(S)에 강하게 고착된다.
상기 빗면 보강대(400)는 비탈면(S)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매설되고, 상기 빗면 보강대(400)의 볼록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비탈면(S)에 매설되므로 빗면 보강대(400)의 오목한 내측에는 토사가 채워지게 된다.
상기 비탈면(S)에는 최하부 빗면 보강대(400)가 설치된 하부에 ㄷ형 단면을 가지는 배수로(130)를 설치하여 비탈면에서 발생되는 우수를 처리하게 되며, 상기 배수로(130)는 일반적인 기술사항이라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빗면 보강대(400)를 고정시키는 앵커(500)는, 상단 머리부가 빗면 보강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뾰족한 하부가 지중에 매설되며, 상기 앵커(500)는 원형바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한다.
[실시예]
건축물 단지의 울타리(120)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비탈면(S)은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성토되어 지면을 향해 형성되고, 상기 비탈면(S)의 경사면에는 지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상단 보강대(200), 잔디 식재대(300) 및 빗면 보강대(400)가 연속적으로 매설되며, 이때 상기 잔디 식재대(300)는 사각 틀체(310)의 높이중 반 이상이 매설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상단 보강대(200)는 평판부(210)를 보도 경계석(104) 대용으로 설치한 고정대(150)의 돌부(154)에 삽입시켜 고정시킬 수 있고, 이때 상기 고정대(150)는 몸체의 하부가 지중에 매설시켜 상단 보강대(200)가 지중에 매설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빗면 보강대(400)에는 내측 공간에는 흙이 채워지면서 앵커홀(416)에 앵커(500)를 체결시켜 비탈면(S)에 단단하게 고착시켜, 상기 빗면 보강대(400)는 노출 부위에 형성된 식재구(414)에 나무 및 초목 등을 심어서 빗면 보강대(400)가 한층 비탈면(S)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빗면 보강대(400)는 비탈면(S)의 수평방향으로 매설시킨 후 일정 간격을 두고 상측부에 다른 빗면 보강대(400)를 매설함으로써 비탈면(S)이 빗면 보강대(400)와 나무 및 초목에 의해 토사의 슬릿 등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빗면 보강대(400)는 비탈면(S)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매설을 하지 않고 빗살무늬 형상이 되도록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매설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상단 보강대(200)는 평판부(210)를 비탈면(S)의 상측부에 매설하거나 고정대(150)의 삽입홈(152)에 삽입고정가능한 한편, 그 평판부(210)의 상면이 흙으로 덮히게 되고, 상기 상단 보강대(200)는 비탈면(S)의 상측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매설을 함으로써 비탈면(S)의 상측부로부터 지면까지 상단 보강대(200)와 빗면 보강대(400)에 의해 보강됨으로써 비탈면(S)의 토사가 기후 및 외부 요인에 의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단 보강대(200)와 빗면 보강대(400), 빗면 보강대(400)와 다른 빗면 보강대(400)가 설치된 사이에는 잔디 식재대(300)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잔디 식재대(300)는 비탈면(S)의 녹화를 위해 꽃, 나무 등의 씨앗(332)이 식재된 다짐 토사층(330)이 구성되고, 특히 다짐 토사층(330)에 잔디(334)를 식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효과를 하기에 설명한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 단지에 설치되는 비탈면은 단단하게 성토하면서 경사를 형성시켜도 기후 등의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유실되는 문제점을 가지는 바, 상기 비탈면의 상단부로부터 빗면을 따라 비탈면을 보강할 수 있는 고정대, 상단 보강대, 잔디 식재대, 빗면 보강대 등의 보강재를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비탈면에 대한 조립식 구조로 구성된 보호 구조를 설치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토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상단 보강대의 하단 지지부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부 비탈면에서 우수가 내려오는 경우에도 하단 지지부가 우수가 곧바로 비탈면을 따라 흘러내려가지 못하도록 설치되는 바, 비탈면의 토사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이러한 비탈면 구조에 따라 설계 및 감리를 주업으로 하는 업체에서는 다양한 기술을 이용한 비탈면 구조에 대한 비교가 가능해지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건축물 단지의 차량용 도로에 보,차도 경계석과 함께 설치되는 보행자용 보도와,
    상기 보도의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와의 경계를 표시하는 울타리와,
    상기 울타리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비탈면에 있어서,
    상기 울타리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한편,
    사각형 몸체의 길이방향 일측에 삽입홈(152)이 형성되고, 삽입홈(152)의 내측에 돌부(154)가 요철 형태로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된 고정대(150);
    상기 비탈면(S)에는 직사각형의 평판의 형상을 갖는 평판부(210)와, 상기 평판부의 장측단의 일면이 하향으로 연장되는 빗면부(220)와, 상기 빗면부의 일측면으로부터 끝단이 상향되도록 일정한 곡면을 이루면서 연장되는 하단 지지부(230)로 이루어지며, 하단 지지부(230)에 배수홀(232)이 형성되는 상단 보강대(200);
    그리고 "U" 자 형상을 갖으며, 일측부에는 나무 등을 심을 수 있는 식재구(414)가 구비되고, 중심부에는 앵커(500)를 착설시킬 수 있는 앵커홀(416)이 구비되는 빗면 보강대(400);
    상기 상단 보강대(200)와 빗면 보강대(400)의 하부에 다수개가 사각 틀체(310)의 높이중 반 이상이 매설되도록 설치되는 한편,
    외부 프레임인 사각 틀체(310)와 그 사각 틀체(310)의 내부에 일체형성된 망체(312), 사각 틀체(310)의 내부 망체(312) 상부에 안착되는 섬유 마대(320), 및 거름과 잔디 또는 씨앗이 포함된 다짐 토사층(330)으로 구성되며, ㅍ사각 틀체(310)의 모서리 하부에 고정핀부(314)가 형성된 잔디 식재대(3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단지의 비탈면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빗면 보강대(400)는 비탈면의 수평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매설되고, 상기 상단 보강대(200)의 하단 지지부(230)는 평판부(210)와 평행하도록 형성되면서 하단 지지부의 곡면부가 지면을 향해 볼록한 형상을 함으로써 비탈면의 지면과 밀착되어 상단 보강대(200)가 하향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고정되며,
    상기 상단 보강대(200)의 평판부(210)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되면서 형성되는 빗면부(220)는 평판부와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단 보강대(200)의 빗면부(220)가 비탈면의 경사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단지의 비탈면 구조.
KR1020050085453A 2005-09-13 2005-09-13 건축물 단지의 비탈면 구조 KR100542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453A KR100542888B1 (ko) 2005-09-13 2005-09-13 건축물 단지의 비탈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453A KR100542888B1 (ko) 2005-09-13 2005-09-13 건축물 단지의 비탈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2888B1 true KR100542888B1 (ko) 2006-01-11

Family

ID=37178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453A KR100542888B1 (ko) 2005-09-13 2005-09-13 건축물 단지의 비탈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288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67396A (zh) * 2016-08-31 2017-04-19 董飞 一种改扩建高速公路边坡抗震生态防护系统及其施工方法
CN111279965A (zh) * 2020-03-03 2020-06-16 南京安吉特矿山工程有限公司 一种阶梯式矿山的绿化方法
CN113026777A (zh) * 2021-04-27 2021-06-25 成都建工第七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土体防护系统
CN113136835A (zh) * 2021-03-15 2021-07-20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道路边坡土体的防护结构及防护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67396A (zh) * 2016-08-31 2017-04-19 董飞 一种改扩建高速公路边坡抗震生态防护系统及其施工方法
CN106567396B (zh) * 2016-08-31 2017-12-12 董飞 一种改扩建高速公路边坡抗震生态防护系统及其施工方法
CN111279965A (zh) * 2020-03-03 2020-06-16 南京安吉特矿山工程有限公司 一种阶梯式矿山的绿化方法
CN113136835A (zh) * 2021-03-15 2021-07-20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道路边坡土体的防护结构及防护方法
CN113026777A (zh) * 2021-04-27 2021-06-25 成都建工第七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土体防护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3531A (ko) 인조구장 및 그 시공방법
KR100756375B1 (ko) 와이어네트를 이용한 사면 보호 방법 및 그 장치
KR100684542B1 (ko) 도로용 법면 보호블록 설치구조
KR100542888B1 (ko) 건축물 단지의 비탈면 구조
KR100899037B1 (ko) 블록 조립체
KR100443037B1 (ko) 법면보호블록
KR100807771B1 (ko) 잔디블럭 구조물
KR100650066B1 (ko) 건축단지용 비탈면 슬라이딩 차단시설
KR100408850B1 (ko) 빗물받이가 구비된 옹벽축조용 조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JP2646507B2 (ja) グリーンベルト及びグリーンベルト用保水器具
KR102323550B1 (ko) 물 공급기능을 갖는 수목보호 조립체
KR20100027677A (ko) 법면보호블록
JPH08205691A (ja) 植樹帯
KR100523965B1 (ko) 건축용 조경블럭
KR20090075476A (ko) 사면녹화공법
KR101089653B1 (ko) 가로수 보호용 보도블록의 시공방법
KR100593187B1 (ko) 친환경적 비탈면 보호시설
KR100970494B1 (ko) 비탈면의 배수용 보호 블록
KR100747155B1 (ko) 보행자 통로확보를 위한 공동주택용 옹벽 전면배수덮개
KR200271898Y1 (ko) 법면보호블록
CN215715400U (zh) 路堑超高边坡生态防护结构
JPH1072831A (ja) 法面保護工およびそれに用いる法面保護ブロック
KR102036905B1 (ko)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구
KR200311698Y1 (ko) 도로 비탈면의 조경녹화 소단 옹벽 설치구조
KR200283005Y1 (ko) 도로 비탈면의 유실방지용 합성골판 콘크리트블록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509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1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511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