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9702B1 - 하천 비탈면 보호 구조물 - Google Patents

하천 비탈면 보호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9702B1
KR100699702B1 KR1020060120343A KR20060120343A KR100699702B1 KR 100699702 B1 KR100699702 B1 KR 100699702B1 KR 1020060120343 A KR1020060120343 A KR 1020060120343A KR 20060120343 A KR20060120343 A KR 20060120343A KR 100699702 B1 KR100699702 B1 KR 100699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r
protection
slope
blocks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0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원
원장현
Original Assignee
동남이엔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남이엔씨(주) filed Critical 동남이엔씨(주)
Priority to KR1020060120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97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제방의 비탈면에 최상면에 설치되는 보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하천 양측 성토부 상면의 보도에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함은 물론, 우수가 그대로 비탈면으로 흘러내리지 않게 되어 비탈면을 보호하도록 설치되는 하천 비탈면 보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도(3)가 시공된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연장설치되되, 디귿자(ㄷ) 단면 형태로 상부판, 수직판 및 하부판이 디귿자 형태로 일체 제작되고, 상부판에 2개의 디귿홈(31)이 형성되고 상부판의 디귿홈(31)이 형성된 사이 중앙에 삽입봉홀(32)이 2개가 수직으로 관통되며, 수직판에 직사각형 형태로 사각홀(34)이 형성되고 수직판의 길이방향 양측 상,하측에 각각 2개씩 이음봉홀(33)이 수평하게 형성되며, 사각홀(34)이 형성된 양측에 걸름망 연결봉(35)이 돌출되고, 하부판의 모서리면에 2개의 말뚝홀(36)이 수직하게 관통된 보호 블록(30)(30');
각각의 보호 블록(30)(30')을 배수로(2) 측면에 고정시키는 고정 말뚝(20);
보호 블록(30)(30')의 삽입봉홀(32)에 너트(N)로 체결고정되되,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가 하면에 돌출되어 삽입봉홀(32)에 삽입되는 의자(40);
다수개의 보호 블록(30)(30')을 길이방향으로 연장시키되, 원형봉(51)의 길이방향 중앙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형링(52)이 일체 형성되어 이음봉홀(33)에 원형봉(51)이 밀착삽입되는 연결 이음봉(50);
보호 블록(30)(30')의 수직판 일측에 돌출된 걸름망 연결봉(35)에 삽입된 상 태에서 너트(N)가 체결되어 고정되되,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된 프레임(61)의 내측에 망체(63)가 일체로 부착되고 프레임(61)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일체로 원형링(62)이 형성된 이물질 걸름망(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천, 비탈면, 보호구조물

Description

하천 비탈면 보호 구조물{CONSTRUCTION OF SLOPE FOR RIVER}
도 1은 종래 하천의 비탈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하천의 비탈면 최상단에 보도와 인접하여 설치되는 보호 블록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하천의 비탈면 최상단에 설치되는 보호 블록의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하천의 비탈면 최상단에 설치되는 보호 블록의 폭 방향으로 절단한 상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하천에 보호 블록이 설치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옹벽 2 ; 배수로
3 ; 보도 20; 고정말뚝
30,30'; 보호 블록 31; 디귿홈
32; 삽입봉홀 33; 이음봉홀
34; 사각홀 35; 걸름망 연결봉
36; 말뚝홀 40; 의자
41; 삽입봉 50; 연결 이음봉
51; 원형봉 52; 원형링
60; 이물질 걸름망 61; 프레임
62; 원형링 63; 망체
N ; 너트 R ; 하천
S ; 비탈면
본 발명은 하천 제방의 비탈면에 최상면에 설치되는 보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하천 양측 성토부 상면의 보도에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함은 물론, 우수가 그대로 비탈면으로 흘러내리지 않게 되어 비탈면을 보호하도록 설치되는 하천 비탈면 보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양안은 토사를 성토한 제방이 시공되어 대부분 비탈면을 이루게 되고, 하천과 비탈면이 접하는 위치에는 콘크리트 옹벽이 시공된다.
이로 인해 하천의 비탈면에는 콘크리트 옹벽이 시공된 지점부터 비탈면을 따라 콘크리트 블록을 적층하거나 잔디를 심어 비탈면의 침하를 방지한다.
도 1은 종래 하천의 비탈면을 나타내는 단면도로, 하천(R)과 비탈면(S)이 접하는 위치에는 콘크리트 옹벽(1)이 하천(R)의 길이방향을 따라 시공되고, 비탈면(S) 상부 수평면에는 배수로(2)가 하천(R)의 길이방향을 따라 시공되며, 배수로(2)와 인접하게 보도(3)가 시공된다.
그러나, 하천(R)이 소하천인 경우에는 토사를 성토한 비탈면(S)만 형성될 뿐 배수로(2)와 보도(3)가 시공되지 않고 있고, 따라서, 비탈면(S)에는 자연적으로 식물이 식생되는 실정이다.
요사이는 하천(R)의 정화 과제를 주요 요지로 하고 있어 소하천인 경우 하천(R)을 따라 수생 식물이 식재되기도 한다.
하지만, 상술한 일반적인 하천(R)은 여름철 폭우가 쏟아지는 경우 토사를 성토한 비탈면(S)의 토사 표면이 슬라이딩되어 붕괴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이와 함께 비탈면(S)을 따라 우수와 함께 폐비닐, 종이, 담배 꽁초 등의 이물질이 그대로 하천으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내용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하천 제방의 비탈면 최상단에 연접된 배수로를 통해 우수를 배수처리할 수 있도록 보호 구조물이 배수로와 연접되게 비탈면 최상단에 설치되고, 보호 구조물에 설치된 이물질 걸름망에 의해 이물질이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며, 보호 블록의 상면에 의자가 설치되어 보도를 보행하던 보행자는 필요에 따라 의자에 앉아 쉴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하천 비탈면 보호 구조물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하천의 비탈면 최상단에 보도와 인접하여 설치되는 보호 블록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하천의 비탈면 최상단에 설치되는 보호 블록의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하천의 비탈면 최상단에 설치되는 보호 블록의 폭 방향으로 절단한 상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하천에 보호 블록이 설치된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비탈면 보호 구조물(90)은, 여름철 폭우가 쏟아지는 경우 보도(3)에서 발생되는 우수가 그대로 하천(R)으로 유입될 때 비탈면(S)의 토사 표면의 슬라이딩에 따른 비탈면 붕괴 및 이물질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천(R)의 토사를 성토한 제방 최상면에 설치되는 구조물로, 보호 구조물(90)을 구성하는 보호 블록(30)의 상면에 의자(40)가 너트(N)로 체결되어 보행자가 쉴 수 있는 기능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하천(R)을 따라 비탈면(S)과 접하는 위치에는 콘크리트 옹벽(1)이 길이방향을 따라 시공되고, 비탈면(S) 최상단 제방에는 배수로(2)와 연접되게 보도(3)가 시공되며, 또한 배수로(2)와 연접되어 보호 구조물(90)이 하천(R)을 따라 연장설치된다.
보호 구조물(90)은, 콘크리트로 제작되고 길이방향으로 밀착되도록 안착되는 다수개의 보호 블록(30)(30')과, 보호 블록(30)(30')을 비탈면(S) 최상단에 고정하는 고정 말뚝(20)과, 다수개의 보호 블록(30)(30')을 길이방향으로 연접되게 결합하는 연결 이음봉(50)과, 보호 블록(30)(30')의 상면에 너트(N)로 체결되어 보행자가 쉴 수 있는 의자(40)와, 보호 블록(30)(30')의 측면에 너트(N)로 체결되는 이물질 걸름망(60)이 포함된다.
상기 보호 블록(30)(30')은 디귿자(ㄷ) 단면 형태로 상부판, 수직판 및 하부판이 디귿자 형태로 일체 제작되되, 상부판에 2개의 디귿홈(31)이 형성되고 상부판의 디귿홈(31)이 형성된 사이 중앙에 삽입봉홀(32)이 2개가 수직으로 관통되며, 수직판에 직사각형 형태로 사각홀(34)이 형성되고 수직판의 길이방향 양측 상,하측에 각각 2개씩 이음봉홀(33)이 수평하게 형성되며, 도 4를 기준으로 사각홀(34)이 형성된 보도(3) 측에 걸름망 연결봉(35)이 돌출되며, 하부판의 모서리면에 2개의 말뚝홀(36)이 수직하게 관통된다.
즉, 상기 보호 블록(30)(30')은 보도(3)가 시공된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어 여름철 우수가 내리는 경우 보도(3)에서 발생된 우수가 하천(R) 비탈면(S)을 따라 그대로 흘러내려가지 않게 하므로 비탈면(S)의 붕괴를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보호 블록(30)(30')에는 삽입봉홀(32)에 의자(40)의 삽입봉(41)이 삽입되고, 상기 의자(40)의 삽입봉(41)에는 끝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가 형성되어 삽입봉홀(32)에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N)가 체결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보호 블록(30)과 다른 보호블록(30')은 제방 상면에 말뚝홀(36)을 관통하는 고정 말뚝(20)에 의해 고정되고, 다수개의 보호 블록(30)(3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시 이음봉홀(33)에 연결 이음봉(50)이 밀착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한편, 상기 보호 블록(30)(30')에는 사각홀(34)이 형성된 배수로(2) 측에 이물질 걸름망(60)의 원형링(62)이 걸름망 연결봉(35)에 삽입되어 너트(N)로 고정된다.
상기 연결 이음봉(50)은 원형봉(51)의 길이방향 중앙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형링(52)이 일체 형성된 부재로, 연결 이음봉(50)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작되어 사용된다.
한편, 상기 고정 말뚝(20)도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작된다.
상기 이물질 걸름망(60)은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된 프레임(61)의 내측에 망체(63)가 일체로 부착되고, 프레임(61)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일체로 원형링(6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이물질 걸름망(60)은 원형링(62)이 보호 블록(30)(30')의 수직판 일측에 돌출된 걸름망 연결봉(35)에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N)가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보호 구조물(90)이 하천(R)의 비탈면(S) 최상단, 즉 배수로(2)에 인접하여 시공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배수로(2) 측면에는 배수로가 시공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보호 블록(30)(30')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이때 배수로(2) 측면이 토사인 경우에는 다짐작업을 실시하면서 보호 블록(30)(30')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안착되고, 배수로(2) 측면이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포장된 경우에는 고정 말뚝(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포장면에 다른 말뚝홀이 고정 말뚝(20)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며, 한편 고정 말뚝(20)을 시멘트 모르타르로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보호 블록(30)(30')에는 수직벽의 사각홀(24) 양측에 돌출된 걸름망 연결봉(35)에 미리 이물질 걸름망(60)을 나사(N)로 체결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보호 블록(30)(30')을 길이방향으로 연장설치함이 시공의 용이성을 갖는다.
상기 이물질 걸름망(60)은 담배 꽁초, 휴지 등의 쓰레기가 하천(R)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설치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보호 블록(30)(30')에는 의자(40)가 체결고정된다.
이는, 보도(3)를 보행하는 보행자가 보행중에 피로를 느끼는 경우 편안하게 쉴 수 있는 의자(40)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의자(40)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을 이용하여 제작한다.
상술한 설명에 덧붙인다면, 보호 블록(30)(30')은 동일한 형태로 도 2와 도 3에서 2개가 도시되고 편의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보호 블록(30)(30')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각각 다른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상술한 본 발명의 하천 비탈면 보호 구조물에 대한 설치로 인해 발생되는 효과를 살펴보면, 하천 제방의 비탈면 최상단에 연접된 배수로를 통해 우수를 배수처리할 수 있도록 보호 구조물이 배수로와 연접되게 비탈면 최상단에 설치되고, 보호 구조물에 설치된 이물질 걸름망에 의해 이물질이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며, 보호 블록의 상면에 의자가 설치되어 보도를 보행하던 보행자는 필요에 따라 의자에 앉아 쉴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하천과 토사가 성토되는 제방 사이에 콘크리트 옹벽이 시공되고 제방 최상단에 배수로와 보도가 하천을 따라 시공된 하천에 있어서,
    보도(3)가 시공된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연장설치되되, 디귿자(ㄷ) 단면 형태로 상부판, 수직판 및 하부판이 디귿자 형태로 일체 제작되고, 상부판에 2개의 디귿홈(31)이 형성되고 상부판의 디귿홈(31)이 형성된 사이 중앙에 삽입봉홀(32)이 2개가 수직으로 관통되며, 수직판에 직사각형 형태로 사각홀(34)이 형성되고 수직판의 길이방향 양측 상,하측에 각각 2개씩 이음봉홀(33)이 수평하게 형성되며, 사각홀(34)이 형성된 양측에 걸름망 연결봉(35)이 돌출되고, 하부판의 모서리면에 2개의 말뚝홀(36)이 수직하게 관통된 보호 블록(30)(30');
    각각의 보호 블록(30)(30')을 배수로(2) 측면에 고정시키는 고정 말뚝(20);
    보호 블록(30)(30')의 삽입봉홀(32)에 너트(N)로 체결고정되되,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가 하면에 돌출되어 삽입봉홀(32)에 삽입되는 의자(40);
    다수개의 보호 블록(30)(30')을 길이방향으로 연장시키되, 원형봉(51)의 길이방향 중앙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형링(52)이 일체 형성되어 이음봉홀(33)에 원형봉(51)이 밀착삽입되는 연결 이음봉(50);
    보호 블록(30)(30')의 수직판 일측에 돌출된 걸름망 연결봉(35)에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N)가 체결되어 고정되되,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된 프레임(61)의 내측에 망체(63)가 일체로 부착되고 프레임(61)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일체로 원형 링(62)이 형성된 이물질 걸름망(60);을 포함하여 구성된 하천 비탈면 보호 구조물.
KR1020060120343A 2006-12-01 2006-12-01 하천 비탈면 보호 구조물 KR100699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343A KR100699702B1 (ko) 2006-12-01 2006-12-01 하천 비탈면 보호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343A KR100699702B1 (ko) 2006-12-01 2006-12-01 하천 비탈면 보호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9702B1 true KR100699702B1 (ko) 2007-03-26

Family

ID=41564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0343A KR100699702B1 (ko) 2006-12-01 2006-12-01 하천 비탈면 보호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97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581Y1 (ko) 2001-10-16 2002-01-23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도로 법면의 슬라이딩 방지를 위한 보호블록 설치구조
KR200267028Y1 (ko) 2001-12-10 2002-03-06 민병이 비탈면 암거배수용 수로관
KR100530457B1 (ko) 2005-09-09 2005-11-22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하천 생태계 보호를 위한 생태 블록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581Y1 (ko) 2001-10-16 2002-01-23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도로 법면의 슬라이딩 방지를 위한 보호블록 설치구조
KR200267028Y1 (ko) 2001-12-10 2002-03-06 민병이 비탈면 암거배수용 수로관
KR100530457B1 (ko) 2005-09-09 2005-11-22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하천 생태계 보호를 위한 생태 블록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658B1 (ko)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6335569B2 (ja) 地盤造成工法および地盤構造
JP2009127359A (ja) 側溝の排水構造
KR101043662B1 (ko) 배수용 측구 조립체
KR100491410B1 (ko) 경사지의 배수구조
KR102327776B1 (ko) 배수가 가능한 보강토 옹벽블록
KR100699702B1 (ko) 하천 비탈면 보호 구조물
KR100707718B1 (ko) 하천연안의 토사유출 방지구조
KR102219062B1 (ko)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
CN210766240U (zh) 一种海绵型城市道路结构
JP7343188B2 (ja) 谷地形用排水構造および暗渠ブロック
KR102232402B1 (ko)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
US20200308775A1 (en) Soil form system supporting hardscape thereover
KR200405382Y1 (ko) 절ㆍ성토부면 노면에 적용되는 집수정 구조
KR100743550B1 (ko) 세굴방지블럭
KR100673921B1 (ko) 도로 경사면의 배수로 구조
JP2020094461A (ja) 水路形成用ブロックおよび水路構造
KR200228770Y1 (ko) 도로 측구용 조립식 소형 수로
CN218713130U (zh) 一种防止山体滑坡的排水结构
JPH1018362A (ja) 地下貯水槽
CN214143521U (zh) 景观滨水步道系统
KR200367365Y1 (ko) 생태계 건널목용 수로관
KR102295428B1 (ko) 산사태 방지 수로관
KR200429763Y1 (ko) 세굴방지블럭
KR200402406Y1 (ko) 다공성콘크리트를 이용한 사면 보강용 친환경 옹벽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