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0231A -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 - Google Patents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0231A
KR20190140231A KR1020180066762A KR20180066762A KR20190140231A KR 20190140231 A KR20190140231 A KR 20190140231A KR 1020180066762 A KR1020180066762 A KR 1020180066762A KR 20180066762 A KR20180066762 A KR 20180066762A KR 20190140231 A KR20190140231 A KR 20190140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geomat
folding type
vegetation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9062B1 (ko
Inventor
신승숙
박상덕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66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062B1/ko
Publication of KR20190140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93Anchoring means for ground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2Improving land use; Improving water use or availability; Controlling erosion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도로, 주거지의 개발 인공사면이나 교란된 자연 경사면이 계단식 사면의 형태를 유지하고, 침식 방지와 식생 서식을 위하여 상기 사면의 상면에 형성되는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일정 간격으로 폴딩되도록 가공되며, 상기 사면의 상면과 중첩되는 영역에는 식생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식생공이 행을 이루도록 관통 형성되고, 상기 사면의 상면과 측면의 경계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에는 앵커볼트나 말뚝이 삽입되어 상기 사면에 상기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고정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를 제시함으로써, 지오매트의 이동 및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앵커볼트나 말뚝을 이용하여 매트를 사면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사면의 안정을 도모하고 식생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토양의 침투기능을 강화시켜 지표유출수의 토사이송 능력을 감소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사면의 침식과 붕괴의 위험을 저감시키고자 한다.

Description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FOLDING-TERRACED GEOMAT FOR SLOPE VEGETATION}
본 발명은 건설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면의 토양 침식을 저감시키고 안정을 위한 새로운 공법의 친환경적인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 에 관한 것이다.
전 국토의 64%에 해당하는 산림지역은 , 경사 20˚ 이상의 급경사면이 83%의 산림면적을 차지하고 있는데, 최근 인간의 적극적인 경제사회적 활동에 의한 농경지, 매립지, 개발지 등과 같이 인위적인 교란과 산불이나 산사태에 의해 급경사면의 지표 상태가 급격히 쇠퇴하고 있다.
그리고, 강이나 호수, 해안 등의 수변 및 기타 사면은 각종 동식물의 서식처로 다양하고 복잡한 생태계를 이루고 있었지만, 현대화 도심지 내에서 다량의 오염물질이 배출되고, 각종 공사의 진행에 의해 콘크리트 블록 등이 설치되어 수변 사면의 녹지면적이 점점 감소함에 따라 생태계의 파괴 또한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에 따라, 급경사면에서의 토양침식 및 사면붕괴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사면 보호와 안정을 위해 설치하는 친환경적 매트공법들이 많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매트는 제작, 설치 및 시공이 복잡하고, 본래의 자연사면의 수문학적 기능을 살리지 못하고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지오매트의 이동 및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앵커볼트나 말뚝을 이용하여 매트를 사면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사면의 침식과 붕괴의 위험을 방지하며 식생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녹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토양의 침투기능을 강화시키고 지표유출수를 저감시킬 수 있는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천, 도로, 주거지의 개발 인공사면이나 교란된 자연 경사면이 계단식 사면의 형태를 유지하고, 침식 방지와 식생 서식을 위하여 상기 사면의 상면에 형성되는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 폴딩되도록 가공되며, 상기 사면의 상면과 중첩되는 영역에는 식생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식생공이 행을 이루도록 관통 형성되고, 상기 사면의 상면과 측면의 경계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에는 앵커볼트나 말뚝이 삽입되어 상기 사면에 상기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고정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사면의 측면과 중첩되는 상기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의 판면에는 상기 사면의 토양으로 침투된 수분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는 재료의 강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폴리머 재질로 형성되고, 친환경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나무, 섬유, 코코아 화이바 중 어느 하나의 생분해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오매트가 지그재그 접이식으로 제작되어 매트의 부피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매트의 이동 및 설치작업이 용이해지고, 급경사면의 단구 처리 공사 시에 자연 사면의 상태와 경사를 최대한 유지하도록 얕은 층의 지표면만 교란시켜 계단작업 함으로써 사면의 안정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지오매트를 설치할 때에 계단 마디마디 앵커볼트나 말뚝을 이용하여 매트를 사면에 단단히 고정시키도록 하여 침식과 붕괴의 위험을 저감시키고, 단구 수평면에 공간을 확보로 노출된 토양에 식생 식재 및 서식이 가능하여 생태적 기능을 살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생태적 기능뿐만 아니라, 자연사면의 수문학적 기능의 효과로 인해 지표토양의 강화된 침투 및 저류 능력은 지표유출수를 저감시키고, 강우의 운동에너지에 의한 토양입자 튀김침식을 완화시키며, 특히, 지표유출수의 유속감소에 기여하여 유사 이송능력을 저하시킬 수 있는 효과가 크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가 펼쳐진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가 폴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가 사면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가 사면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가 펼쳐진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가 폴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가 사면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가 사면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는, 하천, 도로, 주거지의 개발 인공사면이나 교란된 자연 경사면이 계단식 사면의 형태를 유지하고, 침식 방지와 식생 서식을 위하여 상기 사면의 상면에 형성되는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 폴딩되도록 가공되며, 상기 사면의 상면과 중첩되는 영역에는 식생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식생공(110)이 행을 이루도록 관통 형성되고, 상기 사면의 상면과 측면의 경계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에는 앵커볼트(1)나 말뚝이 삽입되어 상기 사면에 상기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고정공(1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천, 도로, 주거지 등의 개발 인공사면이나 교란된 자연 경사면으로부터 사면을 형성하는 토양이나 자갈 등이 도로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그 상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가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가 설치되는 사면은 계단식으로 형성되어, 경사면으로 형성된 사면에 비하여 토양이나 자갈이 흘러내려 침식됨을 방지하는 구조적 기능을 가지며, 사면의 상면에는 식재가 심어져서 녹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는 길이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 폴딩되도록 가공되는 부재로서, 그 재질은 강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폴리머 재질로 형성되고, 친환경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나무, 섬유, 코코아 화이바 중 어느 하나의 생분해성 재질로 형성되는 판상의 부재이다.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가 폴리머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장기간에 걸쳐서 사면에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가 설치되더라도 외형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여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노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가 생분해성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장시간이 경과하면 자연적으로 분해되기 때문에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가 필요치 않아 해체한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를 별도로 재처리 하지 않아도 된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가 길이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 폴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사면에 시공하기 전에는 판면이 상호 중첩되어 폴딩된 상태를 유지하여 전체적인 면적이 감소함에 따라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도록 하는 기능이 있다.
이러한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의 판면에는 열과 행을 이루도록 식생공(110)이 정사각 형태로 관통 형성되어 있는데, 좀더 상세하게는, 상호 중첩되도록 폴딩되는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의 판면에 하나의 행을 이루며 여러 개의 열을 이루도록 식생공(110)이 형성됨으로써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를 사면에 설치 시에 계단식으로 형성된 사면의 상면에 각각 여러 개의 식생공(110)이 배치되도록 한다.
계단식으로 형성된 사면의 상면과 측면의 경계 영역에는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의 고정공(120)이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를 사면에 설치시에 이러한 고정공(120)에 말뚝이나 앵커볼트(10)가 삽입되어 사면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가 사면에 설치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사면의 상면과 중첩되는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의 판면과 판면 사이에 형성되어 사면의 측면과 중첩되는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의 판면에는 복수의 배수공(13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수공(130)에 의하여 사면의 토양으로 침투된 수분이 토양의 외부로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오매트 내의 토양 공극에 체류되는 물의 간극 수압 증가에 따른 사면붕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를 사면에 시공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사면의 표면을 계단식 구조로 평탄화시킨 후에 계단식으로 형성된 사면의 상면에 폴딩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를 펼친 후에 계단식으로 형성된 사면의 상면과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의 상면이 밀착되도록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를 사면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에 관통 형성된 고정공(120)에 말뚝이나 앵커볼트(1)를 삽입하여 말뚝이나 앵커볼트(1)가 사면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여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가 사면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 후,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에 형성된 식생공(110)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사면 상면의 토양에 식물을 식재하여 토양의 침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 지오매트의 이동 및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앵커볼트나 말뚝을 이용하여 매트를 사면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사면의 침식과 붕괴의 위험을 방지하며 식생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토양의 침투기능을 강화시켜 지표유출수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앵커볼트
100 :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
110 : 식생공 120 : 고정공
130 : 배수공

Claims (3)

  1. 하천, 도로, 주거지의 개발 인공사면이나 교란된 자연 경사면이 계단식 사면의 형태를 유지하고, 침식 방지와 식생 서식을 위하여 상기 사면의 상면에 형성되는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 폴딩되도록 가공되며, 상기 사면의 상면과 중첩되는 영역에는 식생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식생공(110)이 행을 이루도록 관통 형성되고, 상기 사면의 상면과 측면의 경계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에는 앵커볼트(1)나 말뚝이 삽입되어 상기 사면에 상기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고정공(1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의 측면과 중첩되는 상기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100)의 판면에는 상기 사면의 토양으로 침투된 수분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배수공(130)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100)는 재료의 강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폴리머 재질로 형성되고, 친환경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나무, 섬유, 코코아 화이바 중 어느 하나의 생분해성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
KR1020180066762A 2018-06-11 2018-06-11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 KR102219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762A KR102219062B1 (ko) 2018-06-11 2018-06-11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762A KR102219062B1 (ko) 2018-06-11 2018-06-11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231A true KR20190140231A (ko) 2019-12-19
KR102219062B1 KR102219062B1 (ko) 2021-02-22

Family

ID=69056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762A KR102219062B1 (ko) 2018-06-11 2018-06-11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0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94018A (zh) * 2020-08-31 2020-11-06 甘肃省科学院地质自然灾害防治研究所 一种能有效防止崩塌滑坡的边坡植生基材固定方法
CN115039645A (zh) * 2021-03-09 2022-09-13 梁子丽 一种园林工程坡面绿化结构
RU2800939C1 (ru) * 2022-12-01 2023-08-0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бардино-Балка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В.М. Кокова (ФГБОУ ВО Кабардино-Балкарский ГАУ) Противоэрозионное крепление из гибких тюфяков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379A (ja) * 1995-06-29 1997-01-14 Sato Kogyo Co Ltd 網体構造体及び法面緑化工法
JP2017206824A (ja) * 2016-05-16 2017-11-24 大洋ゴム株式会社 簡易階段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379A (ja) * 1995-06-29 1997-01-14 Sato Kogyo Co Ltd 網体構造体及び法面緑化工法
JP2017206824A (ja) * 2016-05-16 2017-11-24 大洋ゴム株式会社 簡易階段ユニッ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94018A (zh) * 2020-08-31 2020-11-06 甘肃省科学院地质自然灾害防治研究所 一种能有效防止崩塌滑坡的边坡植生基材固定方法
CN115039645A (zh) * 2021-03-09 2022-09-13 梁子丽 一种园林工程坡面绿化结构
RU2800939C1 (ru) * 2022-12-01 2023-08-0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бардино-Балка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В.М. Кокова (ФГБОУ ВО Кабардино-Балкарский ГАУ) Противоэрозионное крепление из гибких тюфяков
RU2800940C1 (ru) * 2022-12-01 2023-08-0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бардино-Балка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В.М. Кокова (ФГБОУ ВО Кабардино-Балкарский ГАУ)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противоэрозионного крепления из гибких тюфяко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9062B1 (ko) 2021-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507B1 (ko) 식생블록
KR100770162B1 (ko) 환경보호 생태복원 식생블록 설치구조
KR20190140231A (ko)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
KR100801017B1 (ko) 조립식 수로용 옹벽
KR100657182B1 (ko) 소하천 계곡 토사유실 방지시설
KR200345937Y1 (ko)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KR100523965B1 (ko) 건축용 조경블럭
KR200185613Y1 (ko) 호안용 블록
KR101018903B1 (ko) 사면의 토사 흐름 방지 및 녹화를 위한 안정화 조립체
KR100566667B1 (ko) 하천 제방의 친환경 매트 블록
KR100802911B1 (ko) 화분형 식생 블럭
KR101194052B1 (ko) 우기시의 도로 오염수 정화용 보강토옹벽구조물
KR200406758Y1 (ko) 변화형 친환경 블록
KR100970494B1 (ko) 비탈면의 배수용 보호 블록
KR200297571Y1 (ko) 식생 옹벽 구조체
KR100994426B1 (ko) 사면보강형 조경블럭
KR200408191Y1 (ko) 사면안정용 방틀형 조립블록
CN215165261U (zh) 一种水利工程用边坡防护结构
KR200290673Y1 (ko) 벽체형 조립식 블록
KR20100001503U (ko) 비탈면 보호용 격자틀
KR200402406Y1 (ko) 다공성콘크리트를 이용한 사면 보강용 친환경 옹벽블록
KR102299844B1 (ko) 구조적 기능을 갖는 스톤네트 생태 보
KR100956411B1 (ko) 조립식 식생블럭
KR100712437B1 (ko) 식생용 옹벽블럭 구조체
KR100971758B1 (ko) 비탈면의 안전을 위한 지지용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