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812B1 - 자연형 식생 옹벽블럭조립체 - Google Patents

자연형 식생 옹벽블럭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812B1
KR100960812B1 KR1020080021254A KR20080021254A KR100960812B1 KR 100960812 B1 KR100960812 B1 KR 100960812B1 KR 1020080021254 A KR1020080021254 A KR 1020080021254A KR 20080021254 A KR20080021254 A KR 20080021254A KR 100960812 B1 KR100960812 B1 KR 100960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support
wall block
block assembly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5972A (ko
Inventor
이예순
Original Assignee
(주)자연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자연과학 filed Critical (주)자연과학
Priority to KR1020080021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812B1/ko
Publication of KR20090095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5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Abstract

본 발명은 자연형 식생 옹벽블럭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강이나 하천의 제방 또는 토목공사에 의해 발생되는 절토(切土面)구간의 경사면 및 암벽절개지(岩壁切開地) 등에 설치되어 초본류 또는 목본류 식물 등이 자랄 수 있도록 최적의 식생조건을 제공함과 아울러 블럭 내에 식재 가능하게 한 자연형 식생 옹벽블럭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에 있어 상기 본체(200)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300)의 구성은 크게 지지몸체(310)와 수평보강대(320)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몸체(310)는 상하부지지대(311a, 311b)와 수직보강대(316)로 구성되는 자연형 식생 옹벽블럭조립체를 제공한다.
옹벽블럭, 조립체

Description

자연형 식생 옹벽블럭조립체{Natural wall block assembly for plants}
본 발명은 자연형 식생 옹벽블럭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강이나 하천의 제방 또는 토목공사에 의해 발생되는 절토(切土面)구간의 경사면 및 암벽절개지(岩壁切開地) 등에 설치되어 초본류 또는 목본류 식물 등이 자랄 수 있도록 최적의 식생조건을 제공함과 아울러 블럭 내에 식재 가능하게 한 자연형 식생 옹벽블럭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근래, 하천 유역의 토지 이용이 증대되고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하천 환경은 현저하게 변화되었으며, 특히 하천 주변의 토지 이용 밀도가 높은 도시 하천의 경우, 홍수 소통의 치수 목적으로 저수로와 고수부지의 정비, 하도의 선형 정비 및 하천 제방의 축조 등으로 하천 환경이 변화되었다. 더욱이, 저수로는 직강회되면서 자연 하천의 곡선 선형은 직선으로 변형되었고, 저수로의 경사면은 콘크리트화 되었다.
이러한 하천환경의 변화 중에서 특히 콘크리트 호안부로 인한 변화는 하천이 갖는 고유한 자연환경 기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절토면이나 암벽절개지의 나출로 인하여 강우 때 토양 유실이 일어나 위험한 사고를 유발할 수 있고, 또한 하천의 수질오염은 물론 생태계 구성요소로서 하천식생과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의 서식밀도가 낮아지고 서식 동, 식물의 다양성이 감소되기에 이르러 생태계 서식처로서의 기능이 쇠퇴되므로 이들을 자연상태로 복원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하천 주변의 토지이용 밀도가 높은 도시하천의 경우, 홍수 소통의 치수목적으로 저수로 및 고수부지의 정비, 하도의 선형정비, 하천제방의 축조 등으로 하천환경이 개변되었으며, 특히 저수로가 직강화되면서 자연하천의 곡선 선형은 직선으로 바뀌었고 저수로 호안부는 콘크리트화 되었다.
이러한 하천환경은 물론 토목공사에 따른 절토지 및 암벽절개지의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정비형태를 살펴보면, 자연형의 하천과 절토지 및 암벽절개지를 지향하는 방법으로서, 순수식생 공법이 있고, 석재를 이용한 공법, 배양토 접착공법 및 식생블럭(환경블럭, 호안블럭 포함)을 이용한 식생의 축조공법이 있으나, 순수식생 공법은 하천 및 절토지, 암벽절개지의 자연상태를 유지하는 데는 가장 적합한 공법이나 구조적 안전성에 문제가 있어 다량의 유수에 의한 호안의 유실 가능성이 높으며, 석재를 이용한 공법은 재료의 구입이 용이하지 않으며, 식생블럭과 배양토 접착공법을 이용한 식생의 축조공법은 시공 후에 낮은 보습력 및 중금속으로 인하여 식물의 생육이 순조롭지 못할 뿐만 아니라 집중호우 때에 종자가 쉽게 휩쓸려 내려가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방법에서 가장 널리 사용하는 방법 중 콘크리트만을 이용한 하천 정비는 식물 생장이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현재 대부분의 하천 유역은 하천 생태계가 파괴되었고, 또한 식물이 거의 사라지고 콘크리트 구조물만이 보이는 삭막한 환경이 되었다.
콘크리트를 이용한 기존의 하천 정비는 하천 생태계에 대해서는 거의 고려하지 않고 다만 치수와 이수목적의 대규모 토목 공사 위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하천이 갖는 고유한 자연 환경기능이 거의 파괴되었다. 이로 인하여, 하천의 수질이 오염되는 것은 물론이고 하천 식물과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와 조류의 수 및 종류도 급격하게 감소되었다.
특히, 하천의 경사면은 생태적 생산성과 생물종의 다양성이 매우 높은 곳으로 자연 하천 생태계에 있어서는 수중과 육상의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 해당한다. 이 부분을 콘크리트화하게 되면, 수중과 육상 생태계의 연결 고리가 끊어지게 되므로, 일차적으로는 육상 생태지역에 서식하는 동식물이 거의 멸종되고, 이차적으로는 하천 생태계 전반에 지대한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한, 콘크리트화된 하천 저면과 경사면은 하천수가 토양층에 스며드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시키므로, 자연 하천의 천변 식물이 건생화되어 천변 식물이 제공하는 그늘이 사라지게 되고, 수온이 급격하게 변화되어, 수중 식물과 어류의 서식처 및 산란처로서의 기능이 상실되며 저수로 주변에서 먹이를 취하고 식생덤블에서 은신하는 조류의 서식 기반까지 파괴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콘크리트를 이용한 호안 공법으로 야기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천의 경사면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이고 식물 식재가 가능하도록 하여 수중과 지상 사이의 생태지역에 해당되는 하천 경사면의 생태계를 보존 또는 복구시킬 수 있는 자연형 식생 옹벽 블럭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시정하고자 옹벽을 쌓기 위한 자연형 식생 옹벽블럭조립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블럭의 규격을 대형화하더라도 블럭상호간에 지탱하는 제1,2결합부에 형성된 제1체결공과 하부지지부에 형성된 제2체결공을 체결기구(볼트와 너트)로 지지력을 견고히 하므로서 대형화된 자연석형 블럭의 적재에 아무런 문제가 없게 하여 옹벽을 쌓는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옹벽 배면에 위치하는 토양으로부터 발생하는 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토압상승으로 인한 안전성에 문제가 없도록 하고, 또한 공기유통을 원활히 하여 옹벽 배면에 위치하는 토양에 생명력을 부여할 뿐 아니라 옹벽이 수중에 위치할 경우에는 물고기의 서식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환경친화적인 자연형 식생 옹벽블럭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수직의 육면체판상의 형상을 가진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를 지지하는 지지부(300)로 구성되는 자연형 식생 옹벽블럭조립체(100)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지지부(300)의 구성은,
상기 판상의 본체(200)에 형성된 제1결합공(210)과 수평으로 결속하며 상기 제1결합공(210)과 결속되는 제2결합공(312)이 일측 끝단면에 구비되고, 일측의 외향면이 개방되며, 상기 개방된 면에 수직의 보강편(313)이 일정공간의 배열로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된 상하부지지대(311a, 311b)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지지대(311a)에 형성 된 각각의 보강편(313) 사이의 중앙 상면과 하부지지대(311b)의 보강편(313) 사이의 중앙 하면에 제1체결공(314)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지지대(311a)의 상면 후부와 하부지지대(311b)의 하면 후부에 단차지게 홈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제1결속홈(315)이 구비되고, 상기 상하부지지대(311a, 311b)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일측의 외향면이 개방되며, 개방된 면에 수평의 보강편(317)이 일정공간의 배열로 다수개 형성되는 수직보강대(316)로 구성되는 본체 후면에 수직의 한쌍이 형성된 지지몸체(310)와;,
상기 양측 지지몸체(300)의 상하부지지대(311a, 311b) 제1결속홈(315)을 연결하며, 일측의 내향면이 개방되며, 상기 개방된 면에 수직의 보강편(323)이 일정공간의 배열로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며, 개방된 면과 대면하는 일면에 양측 단부에 타원형의 제2체결공(321)과 중앙에 제3체결공(322)이 형성된 수평보강대(320);로 구성되는 것을 제공하는데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옹벽을 쌓기 위한 자연형 식생 옹벽블럭조립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본체를 지지하는 상하부지지대와 수평보강대를 구성되게 함으로서 자연형 식생 옹벽블럭조립체를 구성하는 본체의 크기를 조절하여 옹벽을 쌓을 수 있어 옹벽의 적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적재된 상태가 견고하고 또한 본체를 구성하는 투수성 콘크리트에 의해 구성된 통공을 통하여 배수와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계단부에 자라는 초본류 및 목본류의 성장을 촉진하며 옹벽 뒷쪽에 위치하는 토양의 토압을 줄일 수 있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토양에 존재하는 유기물이나 미생물의 번식이 가능케 할뿐 아니라 옹벽이 수중에 위치할 경우에는 통공을 통하여 물고기의 서식지를 제공케 하는 환경친화적인 자연형 식생 옹벽블럭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자연형 식생 옹벽블럭조립체(이하 ‘옹벽블럭조립체’ 라함)(100)는 수직의 육면체판상의 형상을 가진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를 지지하는 지지부(300)로 구성되는 자연형 식생 옹벽블럭조립체(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판상의 본체(200)에 형성된 제1결합공(210)과 수평으로 결속하며 상기 제1결합공(210)과 결속되는 제2결합공(312)이 일측 끝단면에 구비되고, 일측의 외향면이 개방되며, 상기 개방된 면에 수직의 보강편(313)이 일정공간의 배열로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된 상하부지지대(311a, 311b)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지지대(311a)에 형성된 각각의 보강편(313) 사이의 중앙 상면과 하부지지대(311b)의 보강편(313) 사이의 중앙 하면에 제1체결공(314)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지지대(311a)의 상면 후부와 하부지지대(311b)의 하면 후부에 단차지게 홈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제1결속홈(315)이 구비되고,
상기 상하부지지대(311a, 311b)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일측의 외향면이 개방되며, 개방된 면에 수평의 보강편(317)이 일정공간의 배열로 다수개 형성되는 수직보강대(316)로 구성되는 본체 후면에 수직의 한쌍이 형성된 지지몸체(310)와;,
상기 양측 지지몸체(300)의 상하부지지대(311a, 311b) 제1결속홈(315)을 연결하며, 일측의 내향면이 개방되며, 상기 개방된 면에 수직의 보강편(323)이 일정공간의 배열로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며, 개방된 면과 대면하는 일면에 양측 단부에 타원형의 제2체결공(321)과 중앙에 제3체결공(322)이 형성된 수평보강대(320);로 구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와 도 7과 같이 상기 수직의 육면체판상의 형상을 가진 본체(200)에서 외향의 일측은 황토콘크리트로 제조되어졌으며, 내향의 일측은 일반 콘크리트 또는 투수성 콘크리트 중 택일하여 제조되어져 본체(200) 외부는 황토로 제조되어져 자연환경과 잘 어울리며, 수중의 생태계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자연친화적인 본체를 제공하게 되며, 내부는 외부측의 황토콘크리트 본체를 지지하기 위한 일반 콘크리트로 구성되고, 또한 다공성을 가지고 있어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투수성 콘크리트로 제작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0)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300)의 구성은 크게 지지몸체(310)와 수평보강대(320)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몸체(310)는 상하부지지대(311a, 311b)와 수직보강대(316)로 구성된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0)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300) 는 플라스틱 성형물로 압출성형된 것으로서, 본체(200) 테두리 내측의 사각(四角)에 형성된 제1결합공(210)을 통해 양측에 수직면으로 한쌍의 지지몸체(310) 상하부지지대(311a, 311b)의 일측 끝단면에 형성된 제2결합공(312)에 체결되어 구비되며, 상기 지지몸체(310)는 일체의 압출성형구조물로 상하부지지대(311a, 311b) 및 수직보강대(316)가 일체형 구성된 지지몸체(310)를 구성하며, 상기 지지몸체(310) 상하부지지대(311a, 311b)의 제1결속홈(315)에 수평보강대(320)를 안착시켜 볼트(400)와 너트(410)에 의해 체결하면 지지부(300)가 완성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몸체(310) 및 수평보강대(320)는 사각의 각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며 그 외측일면이 개방되어 일정공간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보강편(313, 317, 323) 은 플라스틱의 압출성형상 압축강도 및 휨강도를 높이기 위해 다수개의 보강편(313, 317, 323)을 일정공간의 이격되게 설치하였다.
상기 옹벽블럭조립체를 이용한 계단식 옹벽의 시공에 있어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층 옹벽블럭조립체(100)의 본체(200)의 무게 하중에 의해 하층 옹벽블럭조립체(100)의 상부지지대(311a)가 파손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상부지지대(311a)의 상면을 커버하는 금속재의 보강판(330)이 구비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에 나타낸 확대도와 같이 상기 본체(200)의 제1결합공(210)을 통해 볼트(400) 및 너트(410)에 의해 결속되는 상하부지지대(311a, 311b)의 일측 끝단면에 형성된 제2결합공(312)은 그 체결면에 견고함을 주기 위해 상기 상하부지지대(311a, 311b)의 일측 끝단면과 대면하는 보강편(313) 사이의 공간에 바둑판 모양의 보강살(340)이 판상으로 형성되어 체결되는 것을 제공한다.
상기 본체(200)의 제1결합공(210)을 통해 장공의 볼트(400)를 삽입하여 상기 장공의 볼트(400) 끝단이 상하부지지대(311a, 311b)의 일측 끝단면의 제2결합공(312)을 통과하여 상기 끝단면과 대면하는 보강편(313)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바둑판 모양의 보강살(330)을 통과하고 상기 보강편(313)을 통해 돌출된 장공의 볼트(400) 끝단에 너트(410)를 체결하여 본체(200)를 고정시킨다.
상기 상부지지대(311a)에 형성된 각각의 보강편(313) 사이의 중앙 상면과 하부지지대(311b)에 형성된 각각의 보강편(313) 사이의 중앙 하면에 제1체결공(314)이 형성됨으로서 상기 조립된 옹벽블럭조립체(100)를 계단식으로 시공함에 있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옹벽의 하부에 설치되는 옹벽블럭조립체(100)의 상면부에 1개의 옹벽블럭조립체(100)를 계단식으로 적층시킴에 있어 층층간의 옹벽블럭조립체(100)의 서로간에 이탈 및 이동이 없도록 체결하기 위해 상기 하층 옹벽블럭조립체(100)의 상부지지대(311a)에 형성된 제1체결공(314)과 상층 옹벽블럭조립체(100) 하부지지대(311b)의 제1체결공(314)을 통해 볼트(400)와 너트(410)로 체결함으로서 더욱 견고한 계단식 옹벽시공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13 내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층에 옹벽블럭조립체(100)를 시공함에 있어 하층 옹벽블럭조립체(100)의 수평보강대(320)에 형성된 제2체결공(321) 또는 제3체결공(322)에 상층 옹벽블럭조립체(100)의 하부지지대(311b)에 형성된 제1체결공(314)을 체결함에 있어 그 적층구조를 살펴보면, 상층에 형성된 일렬 두 개의 옹벽블럭조립체(100)를 겹치는 면의 상층에 옹벽블럭조립체(100)의 중앙부가 위치하도록 포개어진 형태로 적층시키는 방법에 있어 상기 수평보강대(320)의 제2체결공(321) 또는 제3체결공(322)을 이용하여 체결하여 계단식 옹벽시공을 제공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상의 본체(200)에 체결된 각각 한쌍의 지지몸체(310)의 상하부지지대(311a, 311b)의 위치에 있어, 상기 하부지지대(311b)는 본체(200) 하단부 끝단부에 결속하는 것으로 즉, 본체(200)의 양측면에 일정 공간면을 두고 상기 본체(200)의 하단 끝단부에 하부지지대(311b)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결속되어지며, 상기 상부지지대(311a)는 판상의 본체(200) 상부에서 일정 공간면을 두고 결속되는 것으로 즉, 본체(200)의 상단부에서 일정길이 아래에 위치하여 하부지지대(311b)와 수직을 이루도록 본체(200) 상부에 상부지지대(311a)를 결속하게 되며, 상기 본체(200) 상단부에서 일정길이 아래에 상부지지대(311a)를 결속하는 것이다.
하천 제방을 상기 본 발명의 옹벽블럭조립체(100)를 계단식으로 적재하여 체결함에 있어 상층에 위치한 옹벽블럭조립체(100)의 본체(200)는 하층에 위치한 옹벽블럭조 립체(100)의 상부지지대(311a) 상부면에 위치하게 되어 있어 상기 하층에 위치한 옹벽블럭조립체(100)의 본체(200) 후부 공간 토사를 채워 시공됨에 따라 토사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판상의 본체(200) 상단부에 일정길이의 공간부를 주는 이유이다.
또한, 상기 옹벽블럭조립체의 실시예와 다른 옹벽블럭조립체로서 도 16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상 본체(200)의 폭이 일정하고 높이가 두배의 길이로 제조할 경우 상기 지지부(300)를 2단으로 겹쳐 체결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그 조립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층 지지부(300)의 상부지지대(311a) 제1체결공(314)에 상기 하층 지지부(300)의 상부지지대(311a)와 면접되도록 상층 지지부(300)의 하부지지대(311b) 제1체결공(314)을 통해 볼트(400)와 너트(410)를 체결함에 따라 2단의 지지부(300)가 제공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옹벽블럭조립체는 다양하게 설계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상시 실시예를 통하여 그 원리를 본 발명의 구성으로 한정하여 제작하되 그 원리를 통한 기구에 있어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설계변경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힌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럭조립체의 조립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럭조립체의 분리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럭조립체의 본체와 지지부 조립분리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럭조립체의 본체와 지지부 측면조립분리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럭조립체의 본체 분리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럭조립체의 본체 사시도 및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럭조립체의 지지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럭조립체의 지지몸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럭조립체의 지지몸체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럭조립체의 지지몸체 “A”부위의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럭조립체의 수평보강대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럭조립체의 계단식으로 시공한 일예의 측면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럭조립체를 계단식으로 시공한 다른 일예의 상태도.
도 14는 도 13의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럭조립체를 계단식으로 시공한 평면도.
도 15는 도 13의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럭조립를 계단식으로 시공항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옹벽블럭조립체의 조립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옹벽블럭조립체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옹벽블럭조립체 100 본체 200 제1결합공 210 지지부 300 지지몸체 310 상부지지대 311a 하부지지대 311b 제2결합공 312 보강편 313 제1체결공 314 제1결속홈 315 수직보강대 316 보강편 317 수평보강대 320 제2체결공 321 제3체결공 322 보강편 323 보강판 330 보강살 340 볼트 400 너트 410

Claims (3)

  1. 수직의 육면체판상의 형상을 가진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를 지지하는 지지부(300)로 이루어지는 자연형 식생 옹벽블럭조립체(100)의 상기 지지부(300)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판상의 본체(200)에 형성된 제1결합공(210)과 수평으로 결속하며 상기 제1결합공(210)과 결속되는 제2결합공(312)이 일측 끝단면에 구비되고, 일측의 외향면이 개방되며, 상기 개방된 면에 수직의 보강편(313)이 일정공간의 배열로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된 상하부지지대(311a, 311b)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지지대(311a)에 형성된 각각의 보강편(313) 사이의 중앙 상면과 하부지지대(311b)에 형성된 보강편(313) 사이의 중앙 하면에 제1체결공(314)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지지대(311a)의 상면 후부와 하부지지대(311b)의 하면 후부에 단차지게 홈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제1결속홈(315)이 구비되고, 상기 상하부지지대(311a, 311b)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일측의 외향면이 개방되며, 개방된 면에 수평의 보강편(323)이 일정공간의 배열로 다수개 형성되는 수직보강대(316)로 구성되는 본체(200) 후면에 수직의 한쌍이 형성된 지지몸체(310)와;,
    상기 양측 지지몸체(310)의 상하부지지대(311a, 311b) 제1결속홈(315)을 연결하며, 일측의 내향면이 개방되며, 상기 개방된 면에 수직의 보강편(323)이 일정공간의 배열로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며, 개방된 면과 대면하는 일면에 양측 단부에 타원형의 제2체결공(321)과 중앙에 제3체결공(322)이 형성된 수평보강대(320);로 구성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형 식생 옹벽블럭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대(311a)의 상면을 커버하는 금속재의 보강판(3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형 식생 옹벽블럭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지지대(311a, 311b)의 일측 끝단면과 대면하는 보강편 사이의 공간에 바둑판 모양의 보강살(340)이 판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형 식생 옹벽블럭조립체.
KR1020080021254A 2008-03-07 2008-03-07 자연형 식생 옹벽블럭조립체 KR100960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254A KR100960812B1 (ko) 2008-03-07 2008-03-07 자연형 식생 옹벽블럭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254A KR100960812B1 (ko) 2008-03-07 2008-03-07 자연형 식생 옹벽블럭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972A KR20090095972A (ko) 2009-09-10
KR100960812B1 true KR100960812B1 (ko) 2010-06-07

Family

ID=41296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254A KR100960812B1 (ko) 2008-03-07 2008-03-07 자연형 식생 옹벽블럭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8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047B1 (ko) 2014-09-30 2015-03-16 김형석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047B1 (ko) 2014-09-30 2015-03-16 김형석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
WO2016052899A1 (ko) * 2014-09-30 2016-04-07 김형석 조립식 블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972A (ko) 200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790B1 (ko) 제방 생태복원용 격자형 중공블록 및 그것들을 이용한 제방의 구축공법
KR20140010200A (ko) 멀티셀 및 멀티레인의 습지와 연못 및 침전지 구조를 활용한 생태적 수질정화 비오톱 시스템
CN102220745A (zh) 中小顺直河流纵向蜿蜒形态构建方法
KR20120049106A (ko) 조립식 호안블록
KR100627039B1 (ko) 화분형태 식생축조호안블록
KR200433035Y1 (ko) 하천 제방의 생태복원용 방틀 구조
CN202830876U (zh) 一种坡式生态堤岸
KR100960812B1 (ko) 자연형 식생 옹벽블럭조립체
KR100664993B1 (ko) 호안블럭
KR101223653B1 (ko) 여울목 및 수중 도랑을 구비한 다단 생태하천 수중보와 그의 시공방법
JP2002112626A (ja) 植物育成ブロック構築構造
CN211621506U (zh) 一种组合式生态排水渠结构
CN113430994A (zh) 用于城区河道岸坡整治的生态混凝土护岸结构
KR20040075806A (ko) 자연식생형 유수천변구조
KR100406812B1 (ko) 격자형 망태블럭
KR100475103B1 (ko) 하천의 저수로 호안 식생대 및 그 시공방법
CN109338988A (zh) 单侧翼墙式生态型丁坝
KR100478156B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
CN218969905U (zh) 一种水利生态护坡结构
KR200386555Y1 (ko) 화분형태 식생축조호안블록
KR200356111Y1 (ko) 호안블록
KR200163470Y1 (ko) 자연형호안블럭
CN215562338U (zh) 基于既有直立式挡墙的多级调蓄亲水型生态护岸结构
CN218842992U (zh) 一种用于渠道的生态护坡结构
KR100478158B1 (ko) 에코투인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