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3047B1 -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 - Google Patents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3047B1
KR101503047B1 KR20140131326A KR20140131326A KR101503047B1 KR 101503047 B1 KR101503047 B1 KR 101503047B1 KR 20140131326 A KR20140131326 A KR 20140131326A KR 20140131326 A KR20140131326 A KR 20140131326A KR 101503047 B1 KR101503047 B1 KR 101503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fastener
frame
protrud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31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석
Original Assignee
김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석 filed Critical 김형석
Priority to KR20140131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0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047B1/ko
Priority to PCT/KR2015/009939 priority patent/WO201605289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 E04C1/41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load-bearing 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각틀의 형상으로 구비되되 다수의 제1체결공이 관통형성되는 외부프레임 및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되 서로 교차하는 격자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내부프레임(140)으로 구성되는 재생플라스틱 재질의 조립식 프레임; 몸체(220) 및 상기 몸체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공과 체결되는 체결돌기(240)로 구성되는 재생플라스틱 재질의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4개 또는 5개의 상기 조립식 프레임의 각각의 측면을 상기 체결구를 이용하여 2개 또는 3개의 제1체결공의 사이와 체결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박스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로 재생한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환경파괴를 줄이는 동시에 적은 비용 및 시간을 들여 벽, 축대, 토사보강대 및 각종 조경시설 등을 현장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ASSEMBLY BLOCK WHICH IS USING RECYCLED PLASTIC}
본 발명은 조립식 블록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재생한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화분, 벽, 옹벽 등을 구성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로 되는 플라스틱제품은 생활용구 및 가전제품과 같은 많은 제품의 외관의 재료로 사용되는 등 수많은 종류의 제품에 적용 및 제조되고 있다.
특히 합성수지재로 되는 제품들은 제조공정이 쉽고, 다양한 형태로 제조가 가능하여, 더욱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처럼 많은 종류로, 그리고 많은 양으로 제조되어 사용된 후에는 폐기되어야 하나, 폐합성수지는 자연상태에서는 너무 오랜 시간이 경과 후에야 자연분해가 되기 때문에 자연환경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벽체를 구성하는 기술을 살펴보면 스터드에 석고보드를 고정한 벽 구조물의 경우 다공성 플라스틱 폼을 보드 사이에 부어서 만든다. 그러나 이러한 벽 구조물의 전체 비용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목재를 이용하여 조립식 벽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의 안팎은 모두 나무로 된 부분이고, 콘크리트는 미리 또는 설계 현장에서 그 사이에 부어 만든다. 그러나 목조벽의 재료비는 비싸고 제조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목조가옥의 단열벽을 만드는 경우에는 나무로 된 외부막 및 외부막과 내부막 사이에 모르타르층과 압착칩층으로 이루어진 단열재를 이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재료비가 비싸고 제조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며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재생한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환경파괴를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재생한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화분, 벽, 옹벽 등을 구성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적은 비용 및 시간을 들여 벽, 축대, 토사보강대 및 각종 조경시설 등을 현장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함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각틀의 형상으로 구비되되 다수의 제1체결공이 관통형성되는 외부프레임 및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되 서로 교차하는 격자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내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재생플라스틱 재질의 조립식 프레임; 몸체 및 상기 몸체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공과 체결되는 체결돌기로 구성되는 재생플라스틱 재질의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4개 또는 5개의 상기 조립식 프레임의 각각의 측면을 상기 체결구를 이용하여 2개 또는 3개의 제1체결공의 사이와 체결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박스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체결구는 체결구 몸체 및 상기 체결구 몸체에서 돌출형성되되 끝단이 쐐기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공에 끝단이 끼워져 억지끼움이 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체결구 몸체는 "┃"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 몸체의 양 측부에서 각각 체결돌기가 돌출되어 2개의 체결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체결구 몸체는 "┳"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 몸체의 플랜지 및 웹의 양 측부에서 각각 체결돌기가 돌출되어 3개의 체결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구 몸체는 상부플랜지, 하부플랜지 및 상기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사이에 구비되는 웹으로 구성되는 알파벳 "I" 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 몸체의 상부플랜지 및 하부플랜지에서 각각 상기 체결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웹의 양쪽에서 체결돌기가 각각 돌출되어 4개의 체결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체결돌기 끝단에는 상기 체결구를 상기 제1체결공에서 이탈시키는 경우에 체결돌기를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체결분해홈이 파여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체결구 몸체에서 돌출형성되는 각각의 체결돌기는 반으로 나뉘어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립식 프레임과 체결구를 이용하여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이 사각의 박스의 형상을 이루는 경우, 각각 마주보는 조립식 프레임의 사이의 폭의 길이로 형성되는 몸체, 및 양 끝단에 상기 조립식 프레임의 제1체결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체결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재생플라스틱 재질의 연결바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부프레임의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로 테두리를 형성하여, 상기 내부프레임과 겹쳐지면서 체결되는 마감패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부프레임에 형성되는 상기 마감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홀; 및 상기 마감패널의 양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1고정홀과 상기 체결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제2고정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내부프레임과 상기 마감패널은 볼트가 고정홀에 끼워 고정하는 볼트결합 또는 고정핀에 의한 핀결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마감패널은 불투수성 패널 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매쉬패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실시로 발생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로 재생한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환경파괴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적은 비용 및 시간을 들여 벽, 축대, 토사보강대 및 각종 조경시설 등을 현장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하는 체결구의 제1실시예의 측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하는 체결구의 제2실시예의 측면도,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하는 체결구의 제3실시예의 측면도,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하는 체결구의 제4실시예의 사시도,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하는 체결구의 제5실시예의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평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제1사용상태도,
도 7은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제2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제3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제4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제5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제6사용상태도,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제7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상의 특징을 살펴본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재생플라스틱의 용어는 폐기의 대상이 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플라스틱을 재생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서는 재생플라스틱의 제조에 새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인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1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사각틀의 형상으로 구비되되 다수의 제1체결공(125)이 관통형성되는 외부프레임(120) 및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되 서로 교차하는 격자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내부프레임(140)으로 구성되는 재생플라스틱 재질의 조립식 프레임(100); 몸체(220) 및 상기 몸체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공과 체결되는 체결돌기(240)로 구성되는 재생플라스틱 재질의 체결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4개 또는 5개의 상기 조립식 프레임의 각각의 측면을 상기 체결구(200)를 이용하여 2개 또는 3개의 제1체결공(125)의 사이와 체결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박스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립식 프레임(100)은 첨부된 도 2의 분해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외부프레임(120) 및 내부프레임(140)으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외부프레임(120)은 첨부된 도 2와 같이 4개의 틀을 구성하는 형상으로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외부프레임(120)에는 도 2와 같이 실시조건에 따라서 요철의 형상으로 들어가 관통형성되는 실시조건에 따라 제1체결공(125)을 3개 및 6개로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체결공(125)의 숫자는 조립되는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의 크기를 고려하여 조절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프레임(140)은 첨부된 도 2와 같이 외부프레임(120)의 내측에 창문의 창살과 같이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내부프레임(140)의 형상을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는 격자의 형상으로 실시하였다. 내부프레임(140)의 형상은 실시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조립식프레임(100)은 첨부된 도 1 및 도 2와 같이 4개 또는 5개의 조립식프레임이 서로 조립되어 전체적으로 박스의 형태를 이루어 내측에 흙, 자갈, 콘크리트 등을 담는 기능을 수행한다.
체결구(200)는 체결구 몸체(220) 및 체결구 몸체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공과 체결되는 체결돌기(240)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조건에 따라서 2방향, 3방향, 4방향으로 체결돌기(240)를 돌출시켜 전술한 제1체결공과 체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체결구 몸체(220)의 형상을 두 개의 플레이트가 직각으로 맞붙은 알파벳 T자의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구비하여 실시하였고, 3방향으로 체결돌기(240)가 돌출되도록 하여 조립식 프레임의 제1체결공과 체결되어 전체적으로 본 발명이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10)이 박스의 형상이 되도록 하였다. 체결돌기의 끝단(242)은 첨부된 도 2 등과 같이 쐐기의 형상으로 구성하여 제1체결공에 억지끼움에 의해 끼워지도록 하여 체결돌기(240)가 체결공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재생플라스틱을 사용하여 화분, 벽, 옹벽 등을 구성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는 실시조건에 따라서 도 2와 같이 내부프레임(140)의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로 테두리를 형성하여 상기 내부프레임(140)과 겹쳐지면서 체결되는 마감패널(400)을 더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입자가 작은 흙, 자갈 모래 등이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에 담기는 경우에는 외부로 흙 등의 유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마감패널(400)의 구성은 첨부된 도 2와 같이, 내부프레임(140)에 상기 마감패널(400)을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홀(142)을 형성하고 및 상기 마감패널(400)에 의 상기 제1고정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2고정홀(420)을 형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내부프레임과 상기 마감패널(400)의 제1고정홀(142) 및 제2고정홀(420)에는 볼트를 끼워 고정하는 볼트결합(도면미도시) 또는 고정핀에 의한 핀결합(도면미도시)에 의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트결합 및 핀결합 외에도 실시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마감패널(400)은 물입자가 새는 것을 막아주는 불투수성 패널로 구성하거나 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망의 형상인 매쉬패널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마감패널(400)의 구성을 내부프레임(140)에 대응하는 크기로 테두리(도면번호 미도시)를 형성하고 매쉬(또는 망)을 테두리의 내측에 구비하여 실시하였다. 마감패널(400)의 형상은 실시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내부프레임(14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인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10)의 내측에 황토, 모래 등을 담는 경우에 실시조건에 따라 마감패널(400)에 구비되는 매쉬(망)의 체눈의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및 부분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립식 프레임(100)과 체결구를 이용하여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이 사각의 박스의 형상을 이루는 경우 각각 마주보는 조립식 프레임의 사이의 폭의 길이로 연결바 몸체(32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바 몸체(320)의 양단에는 상기 조립식 프레임의 제1체결공(125)과 체결구(20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제2체결공(340)을 형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바 몸체(320)의 형상은 바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양단에 제2체결공(340)을 구비하는 조건하에서라면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연결바(300)와 조립식프레임(100)의 체결은 첨부된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제1체결공(125)과 제2체결공(340)을 체결구(200)를 이용하여 체결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10)의 내측에 자갈을 담거나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에, 자갈을 담는 과정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상기 조립식 프레임간(100)과 체결구(200)와의 체결이 느슨해 지거나 벌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바(300)를 더 포함하여 실시한 것이다. 따라서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10)의 내측에 자갈이 담겨진 이후 또는 콘크리트가 담겨진 이후에는 연결바(300)를 제거하고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4a 내지 도 4e의 실시예를 들어 체결구(200)의 변형실시에 관하여 설명하다.
도 4a의 실시예에서는 체결구 몸체(220)를 "┃"의 단면을 갖는 직사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 몸체(220)의 양 측부에서 각각 체결돌기(240)가 돌출되도록 하여 총 2개의 체결돌기(240)가 돌출되도록 하였다. 즉, 체결구의 몸체(220)를 직사각형 육면체의 형상으로 하고 양 측부에서 체결돌기(240)를 돌출시킨 것이다.
2방향으로 체결돌기(240)가 형성되는 체결구의 구조는 실시조건에 따라서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10) 위 아래로 적층하는 과정에서 2방향으로 체결돌기(240)가 돌출된 체결구(200)가 필요한 경우를 고려한 것이다.
도 4b의 실시예에서는 체결구 몸체(220)를 알파벳 T 또는 T자형 보와 유사한 "┳"의 단면형상으로 형성하였다. 그리고 체결구 몸체(220)의 플랜지 및 웹의 양 측부에서 각각 체결돌기(240)를 3개의 돌출형성하여 실시하였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첨부된 도 2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3개의 각각의 조립식 프레임(100)의 측부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c의 실시예에서는 체결구 몸체(220)를 상부플랜지, 하부플랜지 및 상기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사이에 구비되는 웹으로 구성되는 알파벳 "I"자의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그리고 체결구 몸체(220)의 상부플랜지 및 하부플랜지에서 각각 상기 체결돌기(240)를 1개씩 돌출형성하였고, 웹의 양쪽에서 체결돌기(240)를 각각 1개씩 돌출하여 총 4개의 체결돌기(240)가 체결구 몸체(240)로부터 돌출되도록 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4방향으로 체결돌기(240)가 필요한 경우가 있을 수 있는바 이를 고려한 것이다.
도 4d의 실시예에서는 체결돌기 끝단(242)에 움푹 들어간 체결분해홈(244)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구(200)를 상기 제1체결공(125)에서 이탈시키는 경우에 체결돌기(240)를 누를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체결돌기 끝단은 쐐기의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경우 체결돌기 끝단(242)이 제1체결공(125)에 끼워진 이후에는 일종의 억지끼움에 해당하여 제1체결공(125)에서 체결구(200)를 이탈시키는 것이 쉽지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송곳(도면 미도시)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체결분해홈(244)을 누르게 하여 체결돌기(240)가 눌리면서 제1체결공(125)에서 체결구(200)를 용이하게 이탈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체결분해홈(244)은 실시조건에 따라서 도 4a 내지 도 4c의 실시예에 응용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체결분해홈(244)의 개수는 실시조건에 따라 다양하여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e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구 몸체에서 돌출형성되는 체결돌기(240)의 각각은 반으로 나뉘어서 돌출형성하여 실시하였다. 이는 체결돌기와 제1체결공고의 체결을 더욱 강력하게 하기 위하여 이러한 구성을 취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6 내지 도 1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사용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인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10)을 적층하여 축대 내지 토사보강대(20)를 구성한 실시예이다. 그리고 이들 사이에는 토사(30)가 위치한다. 본 발명인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블록을 도 6과 같이 쌓음으로써 축대 내지는 토사보강대를 구성하여 정원의 조경을 더욱 쉽고 적은 비용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사용하는 마감패널(400)은 실시조건에 따라 적당한 체눈의 크기로 조절한 매쉬패널(400)을 사용하여 물의 투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인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10)을 이용하여 창고(21) 또는 주택의 벽체를 구성한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즉, 본 발명을 이용하여 벽체를 구성하여 창고 내지는 주택의 벽체를 만들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도 8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이동형주택(22) 내지는 컨테이너의 형상으로 실시할 수 있음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조경을 위한 담장(23)을 구성한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즉, 본 발명은 조립이 가능한 블록이므로 다양한 목적을 위해서 실시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장식장(24)을 구성한 실시예이다.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불투수성 패널을 사용하고 콘크리트 또는 기타 재료를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의 내측에 담기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벽체로서의 기능함과 동시에 화분(25)으로서의 기능도 실시할 수 있음을 수행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마찬가지도 도 12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조경시설(26)을 구성한 사용상태도이다.
10;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
20; 토사보강대
21; 창고
22; 이동형 주택
23; 담장
24; 장식장
25; 화분
26; 조경시설
30: 토사
100; 조립식 프레임
120; 외부프레임
125; 제1체결공
140; 내부프레임
142; 제1고정홀
200; 체결구
220; 체결구 몸체
240; 체결돌기
242; 체결돌기 끝단
244; 체결분해홈
300; 연결바
320; 연결바 몸체
340; 제2체결공
400; 마감패널
420; 제2고정홀

Claims (12)

  1. 사각틀의 형상으로 구비되되 다수의 제1체결공이 관통형성되는 외부프레임 및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되 서로 교차하는 격자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내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재생플라스틱 재질의 조립식 프레임;
    몸체, 및 상기 몸체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공과 체결되는 체결돌기로 구성되는 재생플라스틱 재질의 체결구;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4개 또는 5개의 상기 조립식 프레임의 각각의 측면을 상기 체결구를 이용하여 2개 또는 3개의 제1체결공의 사이와 체결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박스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
  2. 제 1항에서,
    상기 체결구는
    체결구 몸체; 및
    상기 체결구 몸체에서 돌출형성되되 끝단이 쐐기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공에 끝단이 끼워져 억지끼움이 되는 체결돌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 몸체는 "┃"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 몸체의 양 측부에서 각각 체결돌기가 돌출되어 2개의 체결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 몸체는 "┳"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 몸체의 플랜지 및 웹의 양 측부에서 각각 체결돌기가 돌출되어 3개의 체결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 몸체는 상부플랜지, 하부플랜지 및 상기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사이에 구비되는 웹으로 구성되는 알파벳 "I"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 몸체의 상부플랜지 및 하부플랜지에서 각각 상기 체결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웹의 양쪽에서 체결돌기가 각각 돌출되어 4개의 체결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상기 체결돌기 끝단에는 상기 체결구를 상기 제1체결공에서 이탈시키는 경우에 체결돌기를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체결분해홈이 파여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
  7.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상기 체결구 몸체에서 돌출형성되는 각각의 체결돌기는 반으로 나뉘어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
  8. 제 1항에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프레임과 체결구를 이용하여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이 사각의 박스의 형상을 이루는 경우,
    각각 마주보는 조립식 프레임의 사이의 폭의 길이로 형성되는 몸체, 및
    양 끝단에 상기 조립식 프레임의 제1체결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체결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재생플라스틱 재질의 연결바;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
  9.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프레임의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로 테두리를 형성하여, 상기 내부프레임과 겹쳐지면서 체결되는 마감패널;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프레임에 형성되는 상기 마감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홀; 및
    상기 마감패널(400)의 양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1고정홀과 상기 체결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제2고정홀;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
  11. 제 9항에서 있어서,
    상기 내부프레임과 상기 마감패널은 볼트가 고정홀에 끼워 고정하는 볼트결합 또는 고정핀에 의한 핀결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패널은 불투수성 패널 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매쉬패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
KR20140131326A 2014-09-30 2014-09-30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 KR101503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1326A KR101503047B1 (ko) 2014-09-30 2014-09-30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
PCT/KR2015/009939 WO2016052899A1 (ko) 2014-09-30 2015-09-22 조립식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1326A KR101503047B1 (ko) 2014-09-30 2014-09-30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3047B1 true KR101503047B1 (ko) 2015-03-16

Family

ID=53027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31326A KR101503047B1 (ko) 2014-09-30 2014-09-30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03047B1 (ko)
WO (1) WO201605289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200B1 (ko) * 2017-03-08 2017-10-31 큐브코리아 주식회사 조립식 상자
KR101958603B1 (ko) * 2018-11-15 2019-03-14 남기혁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친환경 다용도 블로킹 구조체
KR102340982B1 (ko) * 2021-05-14 2021-12-20 주식회사 주경야독 폐수지를 이용한 인조 조경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0535723U (zh) * 2019-09-20 2020-05-1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电池包以及车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746B1 (ko) 2005-10-13 2007-05-22 이영상 개비온과 그 제조장치 및 시공방법
KR20100026041A (ko) * 2008-08-29 2010-03-10 재 술 나 식생블럭식 영구화를 위한 사면 보강장치 및 그 공법
KR100960812B1 (ko) 2008-03-07 2010-06-07 (주)자연과학 자연형 식생 옹벽블럭조립체
KR20120124515A (ko) * 2011-05-04 2012-11-14 성훈경 조립식 상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2022Y1 (ko) * 1996-02-13 1998-12-15 조용상 조립식 옹벽 축조용 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746B1 (ko) 2005-10-13 2007-05-22 이영상 개비온과 그 제조장치 및 시공방법
KR100960812B1 (ko) 2008-03-07 2010-06-07 (주)자연과학 자연형 식생 옹벽블럭조립체
KR20100026041A (ko) * 2008-08-29 2010-03-10 재 술 나 식생블럭식 영구화를 위한 사면 보강장치 및 그 공법
KR20120124515A (ko) * 2011-05-04 2012-11-14 성훈경 조립식 상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200B1 (ko) * 2017-03-08 2017-10-31 큐브코리아 주식회사 조립식 상자
WO2018164501A1 (ko) * 2017-03-08 2018-09-13 큐브코리아 주식회사 조립식 상자
KR101958603B1 (ko) * 2018-11-15 2019-03-14 남기혁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친환경 다용도 블로킹 구조체
KR102340982B1 (ko) * 2021-05-14 2021-12-20 주식회사 주경야독 폐수지를 이용한 인조 조경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52899A1 (ko) 201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3047B1 (ko)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
JP4550937B2 (ja) 植生ブロックフレームおよび植生ブロック
JPH04500103A (ja) 型枠装置
KR101177916B1 (ko) 돔형 구조물
JP5955010B2 (ja) 建築基礎工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立ち上がりブロック
JP2016520168A (ja) 石材、洪水ダム及び洪水ダムの製造方法
JP6502471B2 (ja) 壁またはヴォールト用の型枠堰板
US7857552B2 (en) Tenon joint type space lattice structure
KR101087644B1 (ko)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저류조용 벽체부 구축물 구조
KR20210096360A (ko)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경용 조립식 블록
KR100839019B1 (ko) 옹벽 축조용 블록 및 그 시공방법
US8800218B2 (en) Insulating construction panels, systems and methods
JP3615834B2 (ja) 擁壁の施工方法
KR101610310B1 (ko) 교량의 상판을 형성하기 위한 플레이트 블럭
KR200179372Y1 (ko) 거푸집
KR101068857B1 (ko) 원추형 기초용기
JPH04118423A (ja) プレキャストl型擁壁
KR100774020B1 (ko) 노출 콘크리트벽
CA2497362A1 (en) Connecting and plugging element for modular floor construction
KR20200005819A (ko) 건축용 내진 무몰타르 조립식 중공블록
KR20160001367A (ko) 전면판이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보강토옹벽용 블록
JP2004263490A (ja) 地下合成壁
KR20030003161A (ko) 폐 콘크리트 침목과 형강을 이용한 인공어초
JPS6011192Y2 (ja) 組立式コンクリ−ト桝
KR20170136757A (ko) 블럭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