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008B1 - 옹벽 축조용 블록 - Google Patents

옹벽 축조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008B1
KR101775008B1 KR1020170015371A KR20170015371A KR101775008B1 KR 101775008 B1 KR101775008 B1 KR 101775008B1 KR 1020170015371 A KR1020170015371 A KR 1020170015371A KR 20170015371 A KR20170015371 A KR 20170015371A KR 101775008 B1 KR101775008 B1 KR 101775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 body
drain
drain hole
retain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문기
Original Assignee
강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문기 filed Critical 강문기
Priority to KR1020170015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0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 축조용 블록으로,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개구되고 상기 상부면 및 하부면을 연결하는 공간부를 구비하며 하나 이상의 골조가 콘크리트의 내부에 매립성형된 블록본체; 상기 블록본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배수홀; 상기 블록본체의 상부측을 덮도록 구비되는 상부커버; 상기 블록본체의 하부측을 덮도록 구비되는 하부커버; 및 상기 블록본체의 외부 측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본체의 상부측에는 상기 골조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고, 상기 블록본체의 하부측에는 돌출된 골조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삽입홀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옹벽 축조용 블록 {Block for revetment construction}
본 발명은 옹벽 축조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블록이 견고하게 고정되고 자연배수가 가능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적용이 가능한 옹벽 축조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호안, 해안, 또는 절개지 등에는 물 또는 해수의 범람을 방지하거나, 수로를 유지하기 위하여 각종 제방이나 둑 또는 옹벽을 설치하고 있다. 옹벽이란 토압력(土壓力)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못하게 만든 벽체(壁體)를 말하며, 지표지반(地表地盤)의 안정된 경사를 그것보다 가파른 경사로 하였을 경우에 일어나는 지반 붕괴를 막기 위해 만든 구조물이다.
이와 같은 옹벽이나 제방 특히 인위적으로, 시공된 옹벽 또는 제방은 견고성 및 안전성을 위해 다수의 석축이나 콘크리트 블록, 또는 개비온 등을 이용하여 축조하게 되는데, 근래에 들어서는 콘크리트 블록에 비해 개비온을 이용하여 많이 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개비온의 시공방법은 사각형 철망 또는 철망에 의한 개비온 제품 내부에 자갈, 잡석 등을 채워넣는 것으로, 시공후 내부에 채워진 채움재의 공극을 통하여 주변의 물 흐름을 원활하게 해주고, 또한 토양을 채움재로 사용하였을 경우 풀이나 나무 등이 자라날 수 있어서 친환경 시공법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는 시공방법의 특성상 개비온 철망의 내부에 반드시 잡석, 자갈 등을 채취하여 채움재로서 채워 넣고 있는데, 상기의 채움재는 그 외부에 있는 철망에 의하여 그 형태를 보존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개비온 철망은 그 내부에 채워져 있는 채움재를 그 상태로 보존하고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면, 상기 개비온 철망으로 상당한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채움재에 의하여 개비온 철망이 절단되는 역설적인 현상이 발생 된다.
예컨대, 개비온을 이용한 옹벽은 물 흐름이 발생되고 있는 하천에 축조되거나, 야산의 절개지의 옹벽으로서 절개지에서 떨어져 나오는 낙석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축조되는데, 하천의 경우엔 급물살에 의해 운반된 돌멩이나 큰 돌이 개비온 옹벽에 부딪히게 되고, 절개지의 경우엔 위에서 떨어지는 돌멩이, 바위 등의 낙석이 개비온 옹벽에 부딪히게 된다. 이때, 채움재를 지지하는 개비온 철망은 돌멩이나 바위 등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고 이에 의하여 개비온은 자연적으로 해체되어 내부에 채워진 채움재가 유출된다.
또한, 종래의 개비온은 단순히 블록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채워진 채움재의 중량에 의해 좌우상하로 마치 벽돌을 쌓듯이 적층 설치하는 것이기에 절개지나 사면의 토압이 심하게 작용할 경우에는 개비온이 처음 시공한 그대로 유지되지 못하고 변형되기도 하며, 홍수시 또는 해빙시에 위와 같은 현상은 더욱 심하게 나타나게 된다.
통상 채움재는 강자갈이나 석산의 파쇄골재를 사용하여 왔으나 최근에는 환경 파괴 등의 이유로 강자갈의 채취가 거의 불가능한 상태이며, 파쇄골재의 경우에도 석산 개발에 상당한 제한이 있기 때문에 채움재를 확보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또한, 큰돌을 적절한 크기로 깨어 넣음에 따라 작업이 번거롭고 그 크기가 균일하지 않아 망눈의 크기보다 작은 채움재가 채워져 유실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외력에 의한 옹벽의 파손 등을 방지하고 다양한 가혹한 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한 옹벽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환경에서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한 신규한 옹벽 축조용 블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연배수가 가능하고 견고하게 고정이 가능하여 가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옹벽 축조용 블록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블록의 각 면에 철근이 배근되어 견고하게 축조되고, 상하로 관통된 빈 공간이 형성되며 전면과 배면에 다수의 홀을 형성하여 자연배수가 가능한 옹벽 축조용 블록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옹벽 축조용 블록으로,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개구되고 상기 상부면 및 하부면을 연결하는 공간부를 구비하며 하나 이상의 골조가 콘크리트의 내부에 매립성형된 블록본체; 상기 블록본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배수홀; 상기 블록본체의 상부측을 덮도록 구비되는 상부커버; 상기 블록본체의 하부측을 덮도록 구비되는 하부커버; 및 상기 블록본체의 외부 측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본체의 상부측에는 상기 골조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고, 상기 블록본체의 하부측에는 돌출된 골조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삽입홀을 구비한다.
상기 블록본체는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사각형의 구비된 제1 내지 제4 측면의 모서리가 서로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배수홀은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과 대면하는 제3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골조는 철선 또는 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골조는 상기 제1 내지 제4 측면의 각각에 복수개가 콘크리트의 내부에 매립성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측면이 서로 연결되는 모서리는 라운드되어 내측으로 오목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과 대면하는 제4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배수라인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라인은 상기 제2 및 제4 측면에서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일직선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되 라운드되어 내측으로 오목하게 구비되고, 상기 배수라인은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되 상기 제2 및 제4 측면에서 상기 제1 및 제3 측면과 연결되는 모서리에 나란하도록 정렬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홀은 원형으로 구비되되, 상기 제1 및 제3 측면에서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홀은 상기 제1 및 제3 측면에 구비되되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제1 내지 제5 열로 정렬되어 구비되어 상기 제1 측면에 구비되는 배수홀과 상기 제3 측면에 구비되는 배수홀은 서로 대면하고, 상기 제1 내지 제5 열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5 열에서 각각의 열에 구비되는 배수홀은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되 상기 제1 열의 배수홀에서 제5 열의 배수홀로 갈수록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배수홀의 적어도 일면에는 메쉬부재에 의하여 커버될 수 있다.
상기 배수홀에 삽입되고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배수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캡은, 상기 배수홀의 단면적보다 더 크게 구비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서 원통형으로 돌출되되 상기 배수홀의 단면적보다 작게 구비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외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되 상기 배수홀의 단면적에 대응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 및 링부는 탄성체로 구비되고, 상기 배수캡의 바디부는 상기 배수홀에 삽입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배수홀의 외면을 덮도록 구비되며, 상기 링부는 상기 배수홀의 내면과 접촉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캡의 헤드부에는 상기 블록본체와 접하는 부분에 표면조도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캡은 복수개가 서로 정렬되어 서로 이웃하는 배수캡은 상기 배수캡의 헤드부에 구비된 브리지에 의하여 연결되며, 서로 연결된 복수개의 배수캡은 망상구조로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3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배수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은 블록본체의 상부면의 단면적보다 작은 크기로 구비되고, 상기 블록본체의 상부면에는 상기 상부커버가 구비되도록 상기 상부커버에 대응하는 크기로 내측으로 오목한 상부안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커버는 블록본체의 하부면의 단면적보다 작은 크기로 구비되고, 상기 블록본체의 하부면에는 상기 하부커버가 구비되도록 상기 하부커버에 대응하는 크기로 내측으로 오목한 하부안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안착부에는 상기 골조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고, 돌출된 골조의 말단에는 탄성체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안착부는 상기 돌출된 골조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록본체는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각각 개구되어 이웃하는 모서리가 서로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제1 내지 제4 측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및 제3 측면과, 상기 제2 및 제4 측면이 각각 서로 대면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3 측면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배수홀이 구비되되 상기 제1 측면에 구비되는 배수홀과 상기 제3 측면에 구비되는 배수홀은 서로 대면할 수 있다.
상기 블록본체는, 상기 제1 및 제3 측면과 제2 및 제4 측면 각각은 서로 평행하도록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는 메인 블록본체; 상기 제 1 및 제3 측면은 서로 평행하되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제3 측면보다 큰 면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 및 제4 측면은 서로 경사지도록 구비되되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는 코너 블록본체; 상기 제2 및 제4 측면은 서로 평행하도록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제2 및 제4 측면과 수직하게 연결되되 상기 제2 및 제4 측면과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3 측면은 상기 제1 측면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사이드 블록본체; 및 상기 제1 및 제3 측면은 서로 평행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 측면에 대해서 상기 제3 측면이 더 큰 면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 및 제4 측면은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3 측면을 서로 연결하되 상기 제1 측면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코너 사이드 블록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옹벽 축조용 블록으로, 하나 이상의 골조가 콘크리트의 내부에 매립성형된 판상형의 블록본체; 상기 판상형의 블록본체의 넓은 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배수홀; 및 상기 판상형의 블록본체의 넓은 면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상형의 블록본체의 상부측에는 상기 골조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고, 상기 판상형의 블록본체의 하부측에는 돌출된 골조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삽입홀을 구비한다.
상기 배수홀에 삽입되고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배수캡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캡은, 상기 배수홀의 단면적보다 더 크게 구비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서 원통형으로 돌출되되 상기 배수홀의 단면적보다 작게 구비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외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되 상기 배수홀의 단면적에 대응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환경에서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한 신규한 옹벽 축조용 블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연배수가 가능하고 견고하게 고정이 가능하여 가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옹벽 축조용 블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의 각 면에 철근이 배근되어 견고하게 축조되고, 상하로 관통된 빈 공간이 형성되며 전면과 배면에 다수의 홀을 형성하여 자연배수가 가능한 옹벽 축조용 블록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1의 저면도이며, 도 2c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2 측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벽 축조용 블록본체의 제1 측면과 메쉬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그 외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본체와 배수캡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배수캡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본체와 배수캡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옹벽 축조용 블록본체에 배수캡이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기타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의 블록본체가 상하로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b는 도 11a에서 블록본체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 중 코너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3a는 도 12의 평면도이고, 도 13b는 도 12의 저면도이며, 도 13c는 도 12의 정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적층 설치된 옹벽 축조용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적층 설치된 옹벽 축조용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시 상하적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시 다단적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설치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너부분 수평설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 중 사이드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9a는 도 18의 평면도이고, 도 19b는 도 18의 저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 중 코너부에 구비되는 코너 사이드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1a는 도 20의 평면도이고, 도 21b는 도 20의 저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시 사이드 블록을 사용하여 적층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시 사이드 블록을 사용하여 적층한 단면도이다.
도 24는 기타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 중 마감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5a는 도 24의 평면도이고, 도 25b는 도 24의 저면도이며, 도 25c는 도 24의 측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과 마감 블록의 연결 단면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매체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1의 저면도이며, 도 2c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 (10)은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개구되고 상기 상부면 및 하부면을 연결하는 공간부 (10a)를 구비하며 하나 이상의 골조가 콘크리트의 내부에 매립성형된 블록본체 (100); 상기 블록본체 (100)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배수홀 (111, 131); 상기 블록본체 (100)의 상부측을 덮도록 구비되는 상부커버 (11); 상기 블록본체 (100)의 하부측을 덮도록 구비되는 하부커버 (12); 및 상기 블록본체 (100)의 외부 측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부 (121, 141);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본체 (100)의 상부측에는 상기 골조 (170)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고, 상기 블록본체 (100)의 하부측에는 돌출된 골조 (170)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삽입홀 (161)을 구비한다.
상기 블록본체 (100)는, 예컨대 단면이 정사각형인 콘크리트블록, 단면은 사각형이고 측면의 하나가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사면블록, 판상형으로 구비되는 마감 블록 및 단면은 사각형이고 서로 대면하는 두개의 측면이 사다리꼴로 구비되는 코너블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절개지나 하천변에 축조되는 개비온 옹벽을 대체할 수 있다. 상기 블록본체 (100)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개구되어 상부면 및 하부면이 관통된 빈 공간부 (10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본체 (100)는 상기 블록본체 (100)를 이용하여 절개지나 하천변 등에 시공시 복수개가 상하 및 측면으로 적층될 수 있는데, 상기 블록본체 (100)의 상부측에서 돌출성형된 골조 (170) 및 하부측에서 돌출된 골조 (170)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삽입홀 (161)에 의하여 상기 블록본체 (100)를 용이하게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골조 (170)는 블록본체 (110)의 상부안착부 (150)에 구비되는 망상구조의 상부커버 (11)의 홀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커버 (11)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블록본체 (100)의 상부측 및 하부측에는 각각 상부커버 (11) 및 하부커버 (12)가 구비되어 상기 블록본체 (100)의 공간부 (10a)에 구비되는 물질을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상부커버 (11) 및 하부커버 (12)는 다양한 크기의 홀을 갖는 망상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간부 (10a)에 구비되는 물질에 따라 상기 홀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배수효과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공간부 (10a)에 구비되는 물질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 (11)은 블록본체 (100)의 상부면의 단면적보다 작은 크기로 구비되고, 상기 블록본체 (100)의 상부면에는 상기 상부커버 (11)가 구비되도록 상기 상부커버 (11)에 대응하는 크기로 내측으로 오목한 상부안착부 (150)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커버 (12)는 블록본체 (100)의 하부면의 단면적보다 작은 크기로 구비되고, 상기 블록본체 (100)의 하부면에는 상기 하부커버 (12)가 구비되도록 상기 하부커버 (12)에 대응하는 크기로 내측으로 오목한 하부안착부 (1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안착부 (150) 및 하부안착부 (160)는 상기 블록본체 (10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서 상기 블록본체 (100)의 최외곽보다 내측으로 제1 깊이만큼 단차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깊이는 상기 상부커버 (11) 및 하부커버 (12)의 두께에 대응하며, 상기 상부안착부 (150) 및 하부안착부 (160)에 각각 상기 상부커버 (11) 및 하부커버 (12)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커버 (11) 및 하부커버 (12)에 의하여 제1 깊이의 단차가 상쇄되어 상기 상부커버 (11) 및 하부커버 (12)는 상기 블록본체 (100)의 최외곽과 동일한 평면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록본체 (100)는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사각형의 구비된 제1 내지 제4 측면 (110, 120, 130, 140)의 모서리가 서로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배수홀 (111, 131)은 제1 측면 (110) 및 상기 제1 측면 (110)과 대면하는 제3 측면 (130)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골조 (170)는 철선 또는 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골조는 상기 제1 내지 제4 측면 (110. 120. 130. 140)의 각각에 복수개가 콘크리트의 내부에 매립성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골조 (170)는 상기 블록본체 (100)의 제1 내지 제4 측면에 각각 구비되되 대략 막대형상으로 구비되어 블록본체 (100)의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나란하게 복수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골조 (17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블록본체 (100)의 상부측에서 하부측까지의 높이보다 더 길게 구비되어 상기 블록본체 (100)의 상부측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볼록본체 (100)의 상부측에서 돌출된 골조 (170)는 상기 블록본체 (100)의 하부측에 구비된 삽입홀 (161)에 삽입되어 블록본체 (100)를 상하로 적층하는 경우 위치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동시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적층된 블록본체 (100)를 이용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돌출된 골조 (170)는 상기 블록본체 (100)의 상부안착부 (150)에서 각각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추가적으로 상기 제1 측면 (110)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2 및 제3 측면 (120, 130)의 상부측에 각각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안착부 (150)에서 골조 (170)는 총 6개가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측면 (120) 및 제4 측면 (140)의 상부측을 기준으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삽입홀 (161)은 상기 하부안착부 (160)에서 총 8개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2 측면 (120)의 하부측 및 제4 측면 (140)의 하부측에 각각 4개씩 구비되되 서로 대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안착부 (150)에 돌출된 골조 (170)는 상기 블록본체 (100)를 상하로 적층하는 경우, 상기 블록본체 (100)의 하부에 구비된 삽입홀 (161)의 위치에 의하여 적측상태, 예컨대 정위치로 상하 블록본체 (100)가 서로 대응하도록 적층하거나, 혹은 상하 블록본체 (100)에서 하부측 블록본체 (100)가 더 돌출되도록 계단식으로 적층하는 등 적층시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5b 참조).
상기 블록본체 (100)의 제1 측면 (110)과 제3 측면 (130)에는 각각 복수개의 배수홀 (111, 131)이 정렬되어 구비되고, 상기 배수홀 (111, 131)은 상기 제1 및 제3 측면 (110, 130)에 구비되되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제1 내지 제5 열 (a1, a2, a3, a4, a5)로 정렬되어 구비되어 상기 제1 측면 (110)에 구비되는 배수홀 (111)과 상기 제3 측면 (130)에 구비되는 배수홀 (131)은 서로 대면할 수 있다.
상기 배수홀 (111, 131)은 제1 내지 제5 열 (a1, a2, a3, a4, a5)이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각각의 열에 구비되는 배수홀 (111, 131)은 동일한 단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측면 (110)에 구비되는 배수홀 (111)은 상기 제1 측면 (110)과 대면하는 제3 측면 (130)에 구비되는 배수홀 (131)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블록본체 (100)의 외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측면 (110)의 배수홀 (111)에서 제3 측면 (130)의 배수홀 (131)은 동일 수평선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록본체 (100)가 적층하는 경우, 상기 제1 측면 (110) 및 제3 측면 (130)은 각각 블록본체 (100)의 정면 및 배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측면 (120) 및 제4 측면 (140)은 서로 이웃하는 블록본체 (100)끼리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록본체 (100)의 외부 측면, 즉 제2 측면 (120) 및 제4 측면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체결부 (121, 141)가 구비되는데, 상기 체결부 (121, 141)는 이웃하는 블록본체 (100)의 측면을 고정할 수 있다. 예컨대,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서로 이웃하는 체결부 (121, 141)를 관통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본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2 측면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블록본체 (100a)는 순차적으로 각각의 모서리가 서로 연결되는 제1 측면 (110) 내지 제4 측면 (140)으로 이루어지고, 각각 배수홀 (111, 131)이 구비되는 제1 및 제3 측면 (110, 130)은 서로 대면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및 제4 측면 (120, 140) 상기 제1 및 제3 측면 (110, 130)에 대해서는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 (110)의 양측 모서리는 각각 제2 측면 (120) 및 제4 측면 (140)의 일측 모서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측면 (110)과 평행하게 대면하는 제3 측면 (130)의 양측 모서리는 각각 제2 측면 (120) 및 제4 측면 (140)의 타측 모서리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측면 (110, 120, 130, 140)이 서로 연결되는 모서리 (101)는 라운드되어 내측으로 오목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서리 (101)는 라운드되어 내측으로 오목하게 구비되므로, 상기 블록본체 (100a)로 유입되어 상기 모서리 (101)에서 포집된 유체는 라운드되어 오목하게 구비되는 모서리 (101)의 형상에 의하여 상기 유체의 흐름을 하부측으로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측면 (120) 및 상기 제2 측면 (120)과 대면하는 제4 측면 (140)에는 하나 이상의 배수라인 (122, 14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라인 (122, 142)은 상기 제2 및 제4 측면 (120, 140)에서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일직선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되 라운드되어 내측으로 오목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라인 (122, 142)은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되 상기 제2 및 제4 측면 (120, 140)에서 상기 제1 및 제3 측면 (110, 130)과 연결되는 모서리에 나란하도록 정렬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옹벽 축조용 블록은 하천변 등에 시공되어 설치되고, 블록본체 (100a) 내에는 흙 등의 채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록본체 (100a)의 개구된 상부면을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는 상기 블록본체 (100a)의 제1 및 제3 측면 (110, 130)에 구비되는 배수홀 (111, 131)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배수홀 (111, 131)이 구비되지 않은 제2 및 제3 측면 (120, 140)에는 내부에 구비된 배수라인 (122, 142)과 라운드되는 모서리 (101)를 통하여 상기 유체의 흐름은 하부측으로 용이하게 유도되어 상기 블록본체 (100a)의 개구된 하부면을 통하여 배출되므로 상기 블록본체 (100a)의 배수효율을 향상시키고, 내부에 구비된 채움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본체는 배수홀 (111)을 구비하는 제1 및 제3 측면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배수홀 (111)은 원형으로 구비되되, 상기 제1 및 제3 측면에서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배수홀 (111)은 제1 측면 (110) 또는 제3 측면에서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제1 내지 제5 열 (a1, a2, a3, a4, a5)로 정렬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측면 (110)에 구비되는 배수홀 (111)과 상기 제3 측면에 구비되는 배수홀은 서로 대면하고, 상기 제1 내지 제5 열 (a1, a2, a3, a4, a5)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5 열 (a1, a2, a3, a4, a5)에서 각각의 열에 구비되는 배수홀 (111)은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되 상기 제1 열 (a1)의 배수홀 (111)에서 제5 열 (a5)의 배수홀 (111)로 갈수록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1 열 (a1)에는 복수개의 배수홀 (111)이 구비되고, 이들 제1 열 (a1)에 구비되는 배수홀 (111)의 직경 (L1)은 모두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열 (a2)에 구비된 배수홀 (111)의 직경 (L2), 제3 열 (a3)에 구비된 배수홀 (111)의 직경 (L3), 제4 열 (a4)에 구비된 배수홀 (111)의 직경 (L4) 및 제5 열 (a5)에 구비된 배수홀 (111)의 직경 (L5)은 각각의 열 내에서 모두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열 (a1)에서 제 5열 (a5)로 갈수록 배수홀 (111)의 직경은 점차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배수홀 (111)의 직경을 동일한 열 내에서 동일하게 유지시키되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배수홀 (111)의 직경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블록본체 내에 구비된 채움재의 유출을 방지하고 하부측에서의 유체의 배출이 용이하게 하여 배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벽 축조용 블록본체의 제1 측면과 메쉬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별법으로 옹벽 축조용 블록은 메쉬부재 (18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메쉬부재 (180)는 상기 배수홀 (111)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어 배수홀 (111)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메쉬부재 (180)는 망상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블록본체 내에 구비되는 채움재 보다는 작은 크기로 구비되되 상기 블록본체 내에 유입되는 유체는 배출되는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쉬부재 (180)는 상기 배수홀 (111)이 구비되는 제1 측면 (110) 또는 제3 측면에 대응하는 크기로 구비되어 상기 블록본체 내에 채움재를 구비시키기 전에 상기 제1 및 제3 측면의 내측에 안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쉬부재 (180)에 의하여 블록본체 내에 구비되는 채움재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도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본체의 배수홀의 크기를 변경하지 않도 상기 채움재의 유출을 방지하고 상기 블록본체 내로 유입되는 유체를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그 외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본체와 배수캡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배수캡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은 제1 및 제3 측면 (110, 130)에 복수개의 배수홀 (111, 131)에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옹벽 축조용 블록은 상기 배수홀 (111, 131)에 삽입되고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배수캡 (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캡 (190)은 상기 배수홀 (111, 131)의 단면적보다 더 크게 구비되는 헤드부 (191); 상기 헤드부 (191)에서 원통형으로 돌출되되 상기 배수홀 (111, 131)의 단면적보다 작게 구비되는 바디부 (192); 및 상기 바디부 (182)의 외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되 상기 배수홀 (111, 131)의 단면적에 대응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링부 (19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캡 (190)에서 헤드부 (191)의 직경 (s1)은 배수홀 (111, 131)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되어 상기 배수홀 (111, 131,)의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고 헤드부 (191)의 내면이 배수홀 (111, 131)이 구비되는 제1 및 제2 측면 (110, 130)과 접촉하여 지지된다. 상기 배수캡 (190)의 바디부 (192)의 직경 (s2)는 상기 배수홀 (111, 131)의 직경보다 작게 구비되어 상기 배수홀 (111, 131)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디부 (192)의 외면은 상기 배수홀 (111, 131)의 내면에서 이격되어 구비되는 데, 상기 바디부 (192)에 구비되는 링부 (193)는 직경 (s3)이 상기 배수홀 (111, 131)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배수홀 (111, 131)의 내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배수캡 (190)의 링부 (193)는 탄성체로 구비되고, 상기 배수캡 (190)의 바디부 (192)는 상기 배수홀 (111, 131)에 삽입되고, 상기 헤드부 (191)는 상기 배수홀 (111, 131)의 외면을 덮도록 구비되며, 상기 링부 (193)는 상기 배수홀 (111, 131)의 내면과 접촉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헤드부 (191) 및 상기 바디부 (192)는 플라스틱 재질로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링부 (193)는 고무재질 등과 같은 탄성체로 구비되어 상기 바디부 (192)를 감아 상기 배수캡 (190)을 이용하여 상기 배수홀 (111, 131)을 막을 수 있다.
상기 배수홀 (111, 131)의 내면과 상기 배수캡 (190)이 접촉하는 부분은 상기 링부 (193)에 한정되므로 상기 배수캡 (190)은 마찰에 의해서도 상기 배수홀 (111, 13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부 (193)는 복수개로 상기 바디부 (192)에 구비되되 탄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배수홀 (111, 131)의 내면과 밀접하게 접촉하여 상기 배수홀 (111, 131)에 의한 유체의 배출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블록본체의 내부에는 콘크리트 원형볼 (4) 또는 콘크리트 팔각볼 (5) 등이 구비되고, 상기 콘크리트 원형볼 (4) 또는 콘크리트 팔각볼 (5)과 같은 쇄석이 구비된 블록본체의 배수홀 (111, 131)은 배수캡 (190)에 의하여 가로막아 유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캡 (190)이 구비되는 블록본체 내에는 유체가 유지되어 물고기 등의 서식환경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별법으로, 상기 배수캡 (190)의 헤드부 (191)에는 상기 블록본체와 접하는 부분에 표면조도 (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면조도 (c)는 상기 배수캡 (190)과 블록본체의 제1 및 제3 측면 (110, 130)의 외면과 마찰을 제공하고 상기 배수캡 (190)이 상기 제1 및 제3 측면 (110, 130)에 밀접하게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배수홀 (111, 131)을 통한 상기 블록본체 내부로의 유체의 유입 및 유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본체와 배수캡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옹벽 축조용 블록본체에 배수캡이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은 복수개의 배수캡 (190)이 정렬되어 연결된 배수캡 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캡 세트는 복수개의 배수캡 (190)가 서로 정렬되고, 서로 이웃하는 배수캡 (190)은 상기 배수캡 (190)의 헤드부 (191)에 구비된 브리지 (195)에 의하여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서로 연결된 복수개의 배수캡 (190)은 망상구조로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측면 (110) 또는 제3 측면 (130)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배수홀 (111, 13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배수캡 세트에 의하여 제1 측면 (110) 또는 제3 측면 (130)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배수홀 (111, 131)을 일체로 한번에 막을 수 있고, 또한 배수캡 (190)의 분실 등을 방지하고 용이하게 보관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도 11a는 본 발명의 기타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의 블록본체가 상하로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b는 도 11a에서 블록본체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은 블록본체 (100b)가 상하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블록본체 (100b)는 하부에 구비되는 블록본체 (100b)의 상부안착부와 상부에 구비되는 블록본체 (100b)의 하부안착부가 서로 대면하도록 구비되어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상부안착부에는 상기 골조 (170b)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고, 상기 하부안착부에는 돌출된 골조 (170b)가 삽입되는 삽입홀 (161)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본체 (100b)에서 돌출된 골조 (170b)의 말단에는 탄성체 (171)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블록본체 (100b)가 상하로 적층되는 과정에서 하부에 구비된 블록본체 (100b)의 돌출된 골조 (170b)는 상부에 구비되는 블록본체 (100b)의 삽입홀 (161)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된 골조 (170b)의 탄성체 (171)가 삽입홀 (161)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블록본체 (100b)를 적층하는 시공과정에서 상기 돌출된 골조 (170b)에 의하여 상기 삽입홀 (161)로 가해지는 외력을 완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체 (171)는 상기 삽입홀 (161)의 내면과 마찰을 발생시키고, 이에 의하여 상하로 적층된 블록본체 (100b)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 중 코너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13a는 도 12의 평면도이고, 도 13b는 도 12의 저면도이며, 도 13c는 도 12의 정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 중 코너 블록 (20)은 블록본체 (200)와 상기 블록본체 (200)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각각 커버하는 상부커버 (21) 및 하부커버 (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본체 (200)는 내부에 공간부 (20a)를 구비하고, 상기 공간부 (20a)를 사이에 두고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각각 개구되어 구비되고, 이웃하는 모서리가 서로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제1 내지 제4 측면 (210, 220, 230, 24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블록본체 (200)에서 제1 및 제3 측면 (210, 230)과, 상기 제2 및 제4 측면 (220, 240)이 각각 서로 대면하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제1 및 제3 측면 (210, 230)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배수홀 (211, 231)이 구비되되 상기 제1 측면 (210)에 구비되는 배수홀 (211)과 상기 제3 측면 (230)에 구비되는 배수홀 (231)은 서로 대면할 수 있다.
상기 블록본체 (200)에서 제3 측면 (230)는 제1 측면 (210)에 대해서 평행하게 대면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 측면 (210)보다 더 큰 단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 (210) 및 제3 측면 (230)의 양측 모서리를 연경하는 제2 및 제4 측면 (220, 240)은 상기 제1 측면 (210)에서 상기 제3 측면 (230)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비되되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본체 (200)는 상기 블록본체 (200)가 연장되는 상부면 및 하부면에 대한 수직한 단면의 외곽이 사다리꼴 형태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록본체 (200)의 상부안착부 (250)에는 골조 (270)가 돌출되고, 상기 하부안착부 (260)에는 상기 골조 (270)가 삽입되도록 상기 골조 (270)에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홀 (261)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적층 설치된 옹벽 축조용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적층 설치된 옹벽 축조용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시 상하적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시 다단적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설치의 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너부분 수평설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 (10)은 블록본체의 개구된 상부면에 대한 수직한 단면이 대략 정사각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블록본체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각각 철망 등으로 형성된 상부커버 (11) 및 하부커버가 구비된다. 상기 블록본체의 제1 및 제3 측면에는 다수의 배수홀이 구비되고 상기 블록본체는 배수홀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옹벽 축조용 블록 (10)는 제1 내지 제4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블록본체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1 내지 제4 측면의 내부에는 철근 등이 배근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본체의 상부안착부에는 골조가 돌출될 수 있는데, 상기 골조는 상기 블록본체의 하부안착부에 구비되는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블록본체를 상하로 적층할 때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옹벽 축조용 블록 (10)의 제1 측면 및 제3 측면에 구비되는 배수홀은 상기 옹벽 축조용 블록 (10)의 배수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동시에, 상기 배수홀에 로프를 연결하여 옹벽 축조용 블록 (10)을 인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및 제4 측면에 구비되는 체결홀을 통하여 별도의 체결부재 (14)를 관통시킴으로써, 서로 좌우로 조립된 옹벽 축조용 블록 (10)을 고정시킴으로써, 토압 등의 외력이 강하게 작용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옹벽 조립용 블록을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옹벽 축조용 블록 (10)의 블록본체 (100) 중 내부 공간부는 빈 공간 그대로 유지하거나 혹은 채움재를 채울 수 있는데, 예컨대 상기 채움재는 콘크리트 타설로 구비된 소정의 형상인 원형볼 또는 팔각볼로 성형된 콘크리트일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 축조용 블록 (10)를 하천에 설치하는 경우, 블록본체의 내부는 쇄석을 채울 수 있으며 어류 등의 서식 환경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옹벽 축조용 블록은 상부면에서 하부면으로 향하는 방향에 대한 수직한 단면이 정사각형인 블록본체 (100)와, 상기 정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블록본체 (100)의 사이의 코너부를 연결하는 단면이 사다리꼴인 블록본체 (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면이 사다릴꼴인 블록본체 (200)을 포함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은 코너 블록으로 지칭할 수 있으며, 단면이 정사각형인 블록본체 (100)는 콘크리트 블록으로 지칭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코너 블록은 전술한 콘크리트 블록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너 블록은 옹벽 축조용 블록을 시공하는 경우, 상기 옹벽 축조용 블록의 형상에 의한 제한없이 코너부측 공간에 적층할 수 있다. 상기 코너 블록은 상기 코너 블록의 사다리꼴이 갖는 경사부를 다양하게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콘크리트 블록 사이의 이격된 공간 사이를 용이하게 메울 수 있다.
상기 코너 블록은 이웃하는 콘크리트 블록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코너 블록의 제2 및 제3 측면에 구비된 체결홀에 의하여 상기 콘크리트 블록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너 블록에 구비되는 체결홀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에 구비되는 체결홀보다 더 크기 구비되어, 상기 콘크리트 블록과 연결시 공차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은 단면의 형상이 정사각형, 사각형 및 사다리꼴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단면의 형상을 갖는 옹벽 축조용 블록을 사용함으로써 전면의 미려감을 구현하고 동시에 상기 체결홀을 통하여 뒷물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면이 사다리꼴의 형상은 배면 및 후면인 제1 측면 및 제3 측면은 적층시 서로 일직선으로 일치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 및 제3 측면을 연결하는 제2 및 제4 측면은 상기 옹벽 축조용 블록의 콘크리트 블록 사이의 이격된 코너 공간에 대응하도록 그 경사도 및 형상, 크기를 변형시킬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 중 사이드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19a는 도 18의 평면도이고, 도 19b는 도 18의 저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1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은 사이드 블록 (30)일 수 있는데, 상기 사이드 블록 (30)은 블록본체 (300)와 상기 블록본체 (300)의 개구된 상부면 및 하부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상부커버 (31) 및 하부커버 (32)를 포함한다. 상기 블록본체 (300)는 내부에 빈 공간부 (30a)를 구비하고, 순차적으로 제1 측면 (310), 제2 측면 (320), 제3 측면 (330) 및 제4 측면 (340)의 모서리가 서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3 측면 (310, 330) 각각에는 유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정렬된 복수개의 배수홀 (311, 33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및 제4 측면 (320, 340)에는 옹벽 축조용 블록을 복수개 적층 시공하는 경우, 이웃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을 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체결부 (321, 341)을 구비한다.
상기 블록본체 (300)의 상부에는 상부커버 (31)가 안착되는 상부안착부 (350)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하부커버 (32)가 안착되는 하부안착부 (360)가 구비된다. 상기 블록본체 (300)는 상하부 적층될 수 있는데, 상기 상부안착부 (350)를 통하여 돌출되는 복수개의 골조 (370)는 상기 하부안착부 (360)에 구비되는 삽입홀 (361)에 삽입되어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블록 (30)은 제1 측면 (310) 및 제3 측면 (330)은 서로 대면하고, 제2 측면 (320) 및 제4 측면 (340)은 상기 제1 및 제3 측면 (310, 330)의 양측 모서리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 (310)은 상기 사이드 블록 (30)을 적층 시공하는 경우 정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제1 측면 (310)은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측면 (320) 및 제4 측면 (340)은 서로 평행하도록 대면하고, 상기 제1 측면 (310)과 연결되는 모서리가 경사지도록 구비되어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 측면 (330)은 상기 제1 측면 (310)과 대면하고, 상기 제2 및 제4 측면 (320, 340)의 수직한 모서리를 연결하도록 사각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 (310)은 상기 제2 및 제4 측면 (320, 340)의 경사지도록 구비된 모서리를 연결하도록 사각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3 측면 (330)에 대해서 기울기를 갖도록 상기 제3 측면 (330)과 대면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 중 코너부에 구비되는 코너 사이드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21a는 도 20의 평면도이고, 도 21b는 도 20의 저면도이다.
도 20 내지 도 2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옹벽 축조용 블록은 코너부에 구비되는 코너 사이드 블록 (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너 사이드 블록 (40)은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개구되어 서로 관통되도록 내부에 공간부 (40a)를 구비한 블록본체 (410)와 상기 블록본체 (410)의 상부안착부 (450) 및 하부안착부 (460)에 각각 안착되는 망상형의 상부커버 (41) 및 하부커버 (42)를 포함한다.
상기 블록본체 (410)는 상기 블록본체 (410)의 상부측에서 하부측을 향하는 방향에 대한 수직한 단면이 등변사다리꼴의 형태로 구비되되 상기 내부 공간부 (40b)의 단면은 상기 등변사다리꼴의 내부에서 사각형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록본체 (410)는 제1 측면 (410) 내지 제4 측면 (440)의 모서리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되며, 서로 대면하는 제1 측면 (410)과 제3 측면 (430)에는 각각 복수개의 배수홀 (411, 431)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3 측면 (410, 430)의 양측 모서리를 연결하고 서로 대면하는 제2 측면 (420)과 제4 측면 (440)에는 각각 이웃하는 블록본체를 연결하는 체결홀 (441)이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3 측면 (410, 430)은 사각형으로 중심부가 서로 대면하되 상기 제1 측면 (410)이 상기 제3 측면 (430)보다 넓은 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 측면 (410)과 상기 제3 측면 (430)을 연결하는 제2 및 제4 측면 (420, 440)은 상기 제1 측면 (410)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록본체 (400)의 상부안착부 (450)에는 골조 (470)가 돌출되고, 상기 골조 (470)는 볼록본체 (400)를 상하부 적층하는 경우, 상기 블록본체 (400)의 하부안착부 (460)에 구비되는 삽입홀 (461)에 삽입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시 사이드 블록을 사용하여 적층한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시 사이드 블록을 사용하여 적층한 단면도이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블록 (30)을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한 것으로, 상기 사이드 블록 (30)은 동일한 배면인 제1 측면이 동일한 경사도를 갖고, 제3 측면은 수직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 및 제4 측면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면적이 점차 감소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블록 (30)은 하부에서 상부로 적층된 복수개의 사이드 블록 (30)을 포함할 수 있고, 예컨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서 상부로 순차적으로 제1 사이드 블록 (30a), 제2 사이드 블록 (30b), 제3 사이드 블록 (30c), 제4 사이드 블록 (30d) 및 제5 사이드 블록 (30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사이드 블록 (30a)은 단면적이 가장 넓은 면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사이드 블록 (30a)에 대해서 상부로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2 사이드 블록 (30b) 내지 제5 사이드 블록 (30e)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하부로 적층되는 사이드 블록 (30)은 서로 대면하는 하부측 사이드 블록 (30)의 상부면과 상부측 사이드 블록 (30)의 하부면의 면적이 대략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사이드 블록 (30a)의 상부면과 상기 제2 사이드 블록 (30b)의 하부면이 서로 동일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 사이드 블록 (30b)의 상부면은 제3 사이드 블록 (30c)의 하부면과 동일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 사이드 블록 (30b)은 하부면에서 상부면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블록 (30)의 후면이 제3 측면 (330)은 토목섬유 (13)로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뒷채움하여 옹벽을 축조할 수 있다.
통상, 다단으로 상하 적층하는 과정에서, 동일한 단면적을 갖는 블록을 이용하며, 이때 상부측으로 적층하는 블록을 조금씩 뒷물림하여 적층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적층하는 경우, 상부측으로 적층될수록 상하부 불안정한 구조가 되고 시공이 용이하지 않아 문제된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블록은 하부에서 상부로 적층되는 방향으로 단면적이 감소하여 하부측에서 상부측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어 상하 안정적인 구조의 유지가 가능하며, 또한 서로 이웃하여 적층되는 블록 사이에서 서로 접촉하는 면적이 동일하여 외력에 의해서도 안정적으로 적층형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24는 기타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 중 마감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25a는 도 24의 평면도이고, 도 25b는 도 24의 저면도이며, 도 25c는 도 24의 측면도이다.
도 24 내지 도 25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은 내부 공간부가 없는 마감 블록 (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감 블록 (50)은 하나 이상의 골조가 콘크리트의 내부에 매립성형된 판상형의 블록본체 (500); 상기 판상형의 블록본체 (500)의 넓은 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배수홀 (500a); 및 상기 판상형의 블록본체 (500)의 넓은 면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체결부 (570);를 포함하고, 상기 판상형의 블록본체 (500)의 상부측 (550)에는 상기 골조 (560)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고, 상기 판상형의 블록본체 (500)의 하부측 (580)에는 돌출된 골조 (560)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삽입홀 (58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감 블록 (50)은 서로 대면하는 넓은 면 (520, 540)과 상기 넓은 면 (520, 530)의 사이드를 연결하는 측면 (510, 520) 및 상기 넓은 면 (520, 530)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연결하는 상부면 (550)과 하부면 (580)으로 이루어지는 판상형의 블록본체 (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면 (550)에는 상기 판상형의 블록본체 (500)의 내부에 매립성형된 골조 (560)의 일부가 복수개 돌출되고, 상기 하부면 (580)에는 상기 골조 (560)가 삽입되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골조 (560)에 대응하는 크기의 삽입홀 (58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골조 (560)는 3개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홀 (581)은 4개가 구비되어 상기 마감 블록 (50)을 적층하는 경우, 나란하게 혹은 계단식으로 적층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체결홀 (570)은 상기 마감 블록 (50)을 동일한 마감 블록 (50) 혹은 다른 종류의 블록들이 이웃하도록 구비될 때,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하여 상기 체결홀 (570)을 관통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마감 블록 (50)은 상기 배수홀 (500a)에 삽입되고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배수캡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캡은 전술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동일할 수 있으며, 상기 배수홀의 단면적보다 더 크게 구비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서 원통형으로 돌출되되 상기 배수홀의 단면적보다 작게 구비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외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되 상기 배수홀의 단면적에 대응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과 마감 블록의 연결 단면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단면이 사각형인 복수개의 옹벽 축조용 블록 (10)이 구비되는데, 상기 블록 (10)은 배면인 제1 측면과 후면인 제3 측면에만 각각 배수홀 (111, 131)이 구비된다. 반면, 상기 블록 (10)의 측면에는 체결홀만이 구비되므로 상기 마감 블록 (50)을 상기 블록 (10)의 양측면에 구비시킴으로써 배수홀 (500a)을 형성시킬 수 있고, 시각적인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 (10)은 별도의 체결부재 (14)에 의하여 마감 블록 (50)의 체결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은 블록본체의 형상에 따라 콘크리트 블록, 코너 볼록, 사이드 블록, 코너 사이드 블록 및 마감 블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록본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측면이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어 직각으로 연결되는 메인 블록본체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3 측면은 서로 평행하되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제3 측면보다 큰 면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 및 제4 측면은 서로 경사지도록 구비되되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는 코너 블록본체, 상기 제2 및 제4 측면은 서로 평행하도록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제2 및 제4 측면과 수직하게 연결되되 상기 제2 및 제4 측면과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3 측면은 상기 제1 측면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사이드 블록본체;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3 측면은 서로 평행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 측면에 대해서 상기 제3 측면이 더 큰 면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 및 제4 측면은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3 측면을 서로 연결하되 상기 제1 측면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코너 사이드 블록본체;을 포함할 수 있다.
옹벽 축조용 블록은 블록본체의 형상에 따라 전술한 메인 블록본체, 코너 블록본체, 사이드 블록본체, 코너 사이드 블록본체, 판상형의 블록본체를 각각 포함하는 콘크리트 블록, 코너 블록, 사이드 블록, 코너 사이드 블록, 마감 블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들 블록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옹벽 축조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옹벽 축조용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단면이 사각형인 블록을 이용하여 돌출된 골조를 삽입홀에 삽입하여 상하부 적층하고 서로 이웃하는 블록의 측면에 구비되는 체결부가 대응하도록 정렬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단계; 이웃하는 옹벽의 체결부를 별도의 체결부재로 체결하여 블록을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블록에 토목섬유를 체결하여 뒷채움하는 단계; 양말단부에 구비되는 블록의 제2 및 제4 측면부에 판상형의 블록본체를 포함하는 마감 블록을 구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옹벽을 하천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블록을 적층하기 전 상기 블록에 구비되는 배수홀에 배수캡을 구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은 경사진 부분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진 부분에 블록을 축조하는 경우 하부에서 상부로 향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5개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사이드 블록을 이용하고, 상기 사이드 블록은 서로 이웃하는 블록 사이 접촉하는 면적인 하부 사이드 블록의 상부면과 상부 사이드 블록의 하부면이 동일하도록 하여 상하부 축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본체는 내부 공간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공간부는 상기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하기 전 상기 블록의 공간부 내에 콘크리트로 타설된 원형볼 또는 팔각볼을 구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형볼 또는 팔각볼이 구비되는 블록본체는 시각적으로 개비온과 유사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의 축조용 블록을 이용한 옹벽의 시공방법은 자연배수가 가능하고, 채움재의 확보가 용이하여 상기 채움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하부 다단으로 적층하는 경우에는 조금씩 뒷물림하여 적층할 수 있도록 소정의 위치에 철근 등의 골조가 돌출성형되는 상기 골조가 삽입되도록 삽입홀을 포함하는 블록본체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블록의 배면을 막아 하천에 설치하는 공법에서 상하로 관통된 빈 공간에 쇄석을 채워 넣고 배수홀에 맞는 플라스틱 재질의 배수캡으로 배면을 모두 막은 뒤 하천에 설치함으로서 블록 전면의 다수의 배수홀을 통해 물이 들어오고 배면으로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어류서식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전면이 경사진 옹벽을 축조하는 경우, 5가지 형상의 사이드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할 수 있고, 상기 사이드 블록은 경사진 옹벽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경사진 배면인 제1 측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5가지 형상의 사이드 블록은 동일한 경사각으로 구비되고, 후면인 제3 측면에는 뒷물림으로 인하여 불안정한 지지구조를 해소하기 위하여 수직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1 측면이 경사진 사이드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경우, 제3 측면에 토목섬유를 체결하고 뒷채움하여 옹벽을 축조할 수 있으며, 상부면 및 하부면과 이를 관통하는 공간부를 빈 상태로 그대로 유지하여, 철망을 체결하는 것과 같이 토목섬유를 일정한 간격으로 체결하여 적층 및 뒷채움하여 보강토 옹벽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마감 블록은 복수개가 적층된 블록 중 최외곽에 구비된 블록에 이웃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최외곽에 구비된 블록에서 배수홀이 구비되지 않은 제2 및 제4 측면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감 블록은 배수홀이 구비되지 않은 부분도 배수홀이 구비된 것과 같은 외관을 부여함으로써, 미관상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옹벽을 축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30, 40, 50 : 블록
100, 200, 300, 400, 500 : 블록본체
110, 210, 310, 410 : 제1 측면
120, 220, 320, 420 : 제2 측면
130, 230, 330, 430 : 제3 측면
140, 240, 340, 440 : 제4 측면
111, 211, 311, 411 : 배수홀
131, 231, 331, 431 : 배수홀

Claims (18)

  1. 옹벽 축조용 블록으로,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개구되고 상기 상부면 및 하부면을 연결하는 공간부를 구비하며 하나 이상의 골조가 콘크리트의 내부에 매립성형된 블록본체;
    상기 블록본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배수홀;
    상기 블록본체의 상부측을 덮도록 구비되는 상부커버;
    상기 블록본체의 하부측을 덮도록 구비되는 하부커버; 및
    상기 블록본체의 외부 측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본체의 상부측에는 상기 골조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고, 상기 블록본체의 하부측에는 돌출된 골조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삽입홀을 구비하고,
    상기 블록본체는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사각형의 구비된 제1 내지 제4 측면의 모서리가 서로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배수홀은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과 대면하는 제3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블록본체는,
    상기 제1 및 제3 측면과 제2 및 제4 측면 각각은 서로 평행하도록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는 메인 블록본체;
    상기 제 1 및 제3 측면은 서로 평행하되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제3 측면보다 큰 면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 및 제4 측면은 서로 경사지도록 구비되되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는 코너 블록본체;
    상기 제2 및 제4 측면은 서로 평행하도록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제2 및 제4 측면과 수직하게 연결되되 상기 제2 및 제4 측면과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3 측면은 상기 제1 측면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사이드 블록본체; 및
    상기 제1 및 제3 측면은 서로 평행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 측면에 대해서 상기 제3 측면이 더 큰 면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 및 제4 측면은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3 측면을 서로 연결하되 상기 제1 측면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코너 사이드 블록본체;를 포함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는 철선 또는 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골조는 상기 제1 내지 제4 측면의 각각에 복수개가 콘크리트의 내부에 매립성형되어 구비되는 옹벽 축조용 블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측면이 서로 연결되는 모서리는 라운드되어 내측으로 오목하게 구비되는 옹벽 축조용 블록.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과 대면하는 제4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배수라인이 구비되는 옹벽 축조용 블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라인은 상기 제2 및 제4 측면에서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일직선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되 라운드되어 내측으로 오목하게 구비되고,
    상기 배수라인은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되 상기 제2 및 제4 측면에서 상기 제1 및 제3 측면과 연결되는 모서리에 나란하도록 정렬되어 구비되는 옹벽 축조용 블록.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은 원형으로 구비되되, 상기 제1 및 제3 측면에서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구비되는 옹벽 축조용 블록.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은 상기 제1 및 제3 측면에 구비되되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제1 내지 제5 열로 정렬되어 구비되어 상기 제1 측면에 구비되는 배수홀과 상기 제3 측면에 구비되는 배수홀은 서로 대면하고,
    상기 제1 내지 제5 열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옹벽 축조용 블록.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 열에서 각각의 열에 구비되는 배수홀은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되 상기 제1 열의 배수홀에서 제5 열의 배수홀로 갈수록 면적이 증가되는 옹벽 축조용 블록.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의 적어도 일면에는 메쉬부재에 의하여 커버되는 옹벽 축조용 블록.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에 삽입되고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배수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캡은,
    상기 배수홀의 단면적보다 더 크게 구비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서 원통형으로 돌출되되 상기 배수홀의 단면적보다 작게 구비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외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되 상기 배수홀의 단면적에 대응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링부;를 포함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및 링부는 탄성체로 구비되고,
    상기 배수캡의 바디부는 상기 배수홀에 삽입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배수홀의 외면을 덮도록 구비되며, 상기 링부는 상기 배수홀의 내면과 접촉하여 구비되는 옹벽 축조용 블록.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캡의 헤드부에는 상기 블록본체와 접하는 부분에 표면조도가 구비되는 옹벽 축조용 블록.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캡은 복수개가 서로 정렬되어 서로 이웃하는 배수캡은 상기 배수캡의 헤드부에 구비된 브리지에 의하여 연결되며,
    서로 연결된 복수개의 배수캡은 망상구조로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3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배수홀에 삽입되는 옹벽 축조용 블록.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은 블록본체의 상부면의 단면적보다 작은 크기로 구비되고, 상기 블록본체의 상부면에는 상기 상부커버가 구비되도록 상기 상부커버에 대응하는 크기로 내측으로 오목한 상부안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커버는 블록본체의 하부면의 단면적보다 작은 크기로 구비되고, 상기 블록본체의 하부면에는 상기 하부커버가 구비되도록 상기 하부커버에 대응하는 크기로 내측으로 오목한 하부안착부가 구비되는 옹벽 축조용 블록.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안착부에는 상기 골조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고, 돌출된 골조의 말단에는 탄성체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안착부는 상기 돌출된 골조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구비되는 옹벽 축조용 블록.
  17. 삭제
  18. 삭제
KR1020170015371A 2017-02-03 2017-02-03 옹벽 축조용 블록 KR101775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371A KR101775008B1 (ko) 2017-02-03 2017-02-03 옹벽 축조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371A KR101775008B1 (ko) 2017-02-03 2017-02-03 옹벽 축조용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5008B1 true KR101775008B1 (ko) 2017-09-04

Family

ID=59924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371A KR101775008B1 (ko) 2017-02-03 2017-02-03 옹벽 축조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50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573Y1 (ko) * 2005-03-30 2005-06-13 주식회사신화콘크리트 자연형 생태옹벽블럭
KR100592720B1 (ko) * 2005-11-02 2006-06-28 (주)원엔지니어링 도로 조립형 옹벽 구조물
KR101429481B1 (ko) * 2013-12-18 2014-08-18 벽화수주식회사 토목용 블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573Y1 (ko) * 2005-03-30 2005-06-13 주식회사신화콘크리트 자연형 생태옹벽블럭
KR100592720B1 (ko) * 2005-11-02 2006-06-28 (주)원엔지니어링 도로 조립형 옹벽 구조물
KR101429481B1 (ko) * 2013-12-18 2014-08-18 벽화수주식회사 토목용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2573B1 (ko) 하천 생태계 보호를 위한 호안시설물의 설치구조
US20050100418A1 (en) Ecological block and vegetation bank protection
KR200383918Y1 (ko) 토사유실 방지용 호안블럭
KR101775008B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100650516B1 (ko) 토사유실 방지용 호안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100522174B1 (ko) 레고형 옹벽블럭
KR100515136B1 (ko) 식생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식생 옹벽 및 호안 시공방법
KR20120000137A (ko) 생태하천의 친환경적 호안 구조
KR100828222B1 (ko) 육각형상의 다기능 블럭
KR200284980Y1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조립부비노출형호안블록
KR200327410Y1 (ko) 호안블록의 체결장치
KR100406812B1 (ko) 격자형 망태블럭
KR101280330B1 (ko) 세굴방지용 기초블럭
KR100934098B1 (ko) 식생공간과 어류집을 구비한 호안 겸용 옹벽블록
KR100705934B1 (ko) 식생 블록과 앵커 블록의 간격조절장치
KR200414869Y1 (ko) 옹벽블록
KR100689662B1 (ko) 하천의 녹지화용 호안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478156B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
KR101185998B1 (ko) 해수유통구가 형성된 호안블럭의 시공방법
KR200219575Y1 (ko) 축조용 조립식 격자블록의 구조
KR200356104Y1 (ko) 바구니형 식생호안블록
KR200438545Y1 (ko) 식생옹벽블럭
CN221118384U (zh) 装配式河道生态框式挡墙结构
KR101529176B1 (ko) 원형의 마이크로 블록형 사방댐
KR100573512B1 (ko) 하천 생태계 보호를 위한 호안박스블록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