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5407B1 -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 - Google Patents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5407B1
KR101105407B1 KR1020080126977A KR20080126977A KR101105407B1 KR 101105407 B1 KR101105407 B1 KR 101105407B1 KR 1020080126977 A KR1020080126977 A KR 1020080126977A KR 20080126977 A KR20080126977 A KR 20080126977A KR 101105407 B1 KR101105407 B1 KR 101105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taining wall
moisture
soil
fi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8576A (ko
Inventor
최종선
Original Assignee
최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선 filed Critical 최종선
Priority to KR1020080126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5407B1/ko
Publication of KR20100068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호안블록, 옹벽 구조물 등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자연석(암반) 쌓기, 콘크리트 블록 등을 시공할 경우, 주변환경과 자연적인 조화를 이루도록 이들 구조물에 파종되는 씨앗, 식재(植栽)되는 꽃, 풀, 조경용 나무 등에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은,
콘크리트 타설되는 옹벽과, 옹벽 뒷쪽으로 채워지는 토사층을 갖는 옹벽 구조물에 있어서,
옹벽 외측면에 복수개소 형성되고, 식재용 토사가 채워지는 식생공간을 갖는 바스킷과,
토사층에 흡입구측이 매립되고, 배출구측이 옹벽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경유하여 바스킷 내에 안착되고, 토사층으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여 식생공간의 토사에 수분을 전달할 수 있도록 수분을 지속적으로 머금고 있는 수분 흡수부재를 포함한다.
자연 친환경, 옹벽, 암반, 블록, 토사, 수분 전도체

Description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a breast wall structure with eco-friendly of moisture transmitter}
본 발명은 옹벽, 블록에 형성되거나, 또는 자연석(암반) 사이에 식물류가 식재될 수 있도록 토사가 채워지는 식생공간의 식물에 수분이 지속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 호안블록, 옹벽 구조물 등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자연석 쌓기, 콘크리트 블록(이하, "옹벽 구조물" 이라 함) 등을 시공할 경우, 주변환경과 자연적인 조화를 이루도록 옹벽 구조물에 파종되는 씨앗, 식재(植栽)되는 꽃, 풀, 조경용 나무 등에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수분 전도체"는 옹벽 구조물 주변의 토사층으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여 블록, 옹벽에 형성되거나, 또는 암반 사이에 형성되는 식생공간의 토사에 수분을 전달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수분을 머금고 있는 천, 솜, 펄프 등의 수분 흡수부재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옹벽블록은 소하천의 호안, 제방 뚝, 도로의 사면, 절개지 또는 방조제의 경사면 또는 수직면에 토사의 유실으로 인한 붕괴를 방지할 수 있도록 목적으로 시공되고, 옹벽블록의 배면을 뒷채움 재료인 콘크리트 몰탈 또는 토사를 이용하여 옹벽블록을 상하, 좌우로 연결하면서 축조하게 된다.
이러한 옹벽블록은 그 재질을 자연석 또는 대량생산이 가능한 단위체로 형상화된 콘크리트 블록 등을 사용하나, 자연석은 외관이 미려한 반면 불규칙한 형상으로 인해 축조시 작업성이 떨어지고, 콘크리트 블록은 축조시 위치결정의 어려움과 축조후 설치면이 주변환경과 차단되어 설치지역의 식생물이 생존할 수 없어 주변 환경과 자연적인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생태계 환경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설치면의 배수가 원활하지 못해 설치면의 수압에 의한 붕괴될 위험성이 있는 등의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하기 곤란한 문제점을 갖는다.
이를 감안하여, 식물류를 식재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구조가 제안되고 있으나, 식물류가 식재된 후 뿌리 내림을 위한 식생공간의 제약에 의해 식물류의 성장은 물론 식물류가 장기적으로 성장하는 데 어려움이 뒤따른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블록 구조물은, 기초 콘크리트(1)와,
기초 콘트리트(1) 위에 연결수단(미 도시됨)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적층되고, 식물(2)이 식재될 수 있도록 토사를 채울 수 있는 식생공간(3)이 형성되는 블 록(4)과,
블록(4) 뒷쪽으로 채워져 블록(4)을 지지하는 채움잡석(5)과,
채움잡석(5)과 토사층(6)의 경계층에 매립되고, 토사 유출을 방지하는 부직포(7)를 포함한다.
종래의 블록 구조물은, 전술한 식생공간(3)에 채워지는 토사에 씨앗을 파종, 또는 식물(2)을 식재하여 주변환경과 자연 친화적인 조화를 이루도록 사용되고 있다. 반면에 식생공간(3)에 채워지는 토사의 깊이가 얇고, 토사층(6)에서의 수분 공급이 블록(4)에 의해 차단 되므로, 수분 부족으로 인해 식물이 원활하게 성장할 수 없게 된다. 이로 인해 인위적으로 물을 공급해 주어야 하므로 막대한 관리비용이 소요되어 실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한편, 블록(4)에 식재되는 식물(2)이 고사되는 경우 오히려 주변환경을 해치고, 식물을 다시 식생공간(3)에 식재하는데 많이 인력 및 비용이 소요되므로 부작용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돌 쌓기 구조물은, 기초 콘트리트(1)와,
기초 콘트리트(1) 위에 연결수단(미 도시됨)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적층되는 암반(8)(자연석을 말함)과,
암반(8) 뒷쪽으로 채워져 암반(8)을 지지하는 채움잡석(5)과,
채움잡석(5)과 토사층(6)의 경계층에 매립되고, 토사 유출을 방지하는 부직 포(7)를 포함한다.
종래의 돌 쌓기 구조물은, 암반(8) 사이에 식물(2)을 식재할 수 있는 토사가 없고, 암반(8)과 채움잡석(5)사이로 뿌리가 뻣어나갈 수 없는 구조로 인해 식물이 성장할 수 없게 된다. 이로 인해 주변환경과 자연 친화적인 조화를 이룰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채움잡석(5) 사이에 토사를 채워넣을 경우, 비와 물로 인해 토사의 유실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구조물이 붕괴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돌 쌓기 시공후 일정시간이 경과후 식물이 자생할 경우, 암반(8)과 채움잡석(5) 사이에서 수분, 영양분의 흡수 부족으로 인해 식물이 원활하게 성장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옹벽 구조물 등으로 활용되도록 자연석 쌓기, 콘크리트 블록 등을 시공할 경우, 주변환경과 자연적인 조화를 이루도록 이들 구조물에 파종되는 씨앗, 식재되는 풀 등에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식생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블록, 또는 자연석 사이에 식물이 성장할 수 있도록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여 식물 뿌리에 의한 구조물의 구조적인 안정화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천 범람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호안 구조물을 형성하는 블록 사이를 통해 토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옹벽 구조물 등을 시공시 적은 비용으로 친환경적인 조건을 조성하여 주변환경 경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친환경 옹벽 구조물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은, 콘크리트 타설되는 옹벽과, 옹벽 뒷쪽으로 채워지는 토사층을 갖는 옹벽 구조물에 있어서,
옹벽 외측면에 복수개소 형성되고, 식재용 토사가 채워지는 식생공간을 갖는 바스킷과,
토사층에 흡입구측이 매립되고, 배출구측이 옹벽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경유하여 바스킷 내에 안착되고, 토사층으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여 식생공간의 토사에 수분을 전달할 수 있도록 수분을 지속적으로 머금고 있는 수분 흡수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은, 블록이 연결수단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적층되고,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토사를 채울 수 있는 식생공간이 블록 상면에 형성되는 블록층과,
블록층 뒷쪽으로 채워져 블록을 지지하는 채움잡석층과,
채움잡석층 뒷쪽으로 채워져 채움잡석을 지지하는 토사층과,
토사층에 흡입구측이 매립되고 배출구측이 채움잡석층 및 블록의 관통공을 경유하여 식생공간 내에 안착되며, 토사층으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여 식생공간의 토사에 수분을 전달할 수 있도록 수분을 지속적으로 머금고 있는 수분 흡수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은, 암반이 연결수단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적층되는 암반층과,
암반층 뒷쪽으로 채워져 암반을 지지하는 채움잡석층과,
채움잡석층 뒷쪽으로 채워져 채움잡석을 지지하는 토사층과,
토사층에 흡입구측이 매립되고 배출구측이 채움잡석층을 경유하여 암반 사이에 놓여지고, 토사층으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여 배출구측에 식재되는 식물에 수분을 전달할 수 있도록 수분을 지속적으로 머금고 있는 수분 흡수부재와,
수분 흡수부재 내에 수용되어 식물이 식재되는 토사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옹벽의 관통공에 결합되어 수분 흡수부재를 수용하는 수분 전도체용 케이스를 포함한다.
전술한 채움잡석층을 경유하여 블록의 관통공에 결합되어 수분 흡수부재를 수용하는 수분 전도체용 케이스를 포함한다.
전술한 채움잡석층을 경유하여 암반 사이에 놓여지며 수분 흡수부재를 수용하는 수분 전도체용 케이스를 포함한다.
전술한 수분 전도체용 케이스는 지관, PVC파이프, 자루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전술한 수분 흡수부재로서 천, 솜, 스펀지, 펄프, 파쇄시켜 압축시킨 종이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전술한 바스킷은 옹벽과 일체형으로 성형되거나, 별도로 성형되어 옹벽에 고정된다.
전술한 식생공간은 블록 외측면에 고정되는 바스킷에 형성된다.
전술한 채움잡석층과 토사층의 경계층에 매립되고, 토사 유출을 방지하는 부 직포를 포함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은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옹벽 구조물 등으로 활용되도록 자연석 쌓기, 콘크리트 블록 등을 시공할 경우, 이들 구조물 또는 그 주변에 식물이 성장할 수 있도록 토사를 채울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토사 사면으로부터 흡수되는 수분을 식물에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블록, 또는 자연석 사이에 식물이 성장할 수 있도록 적합한 환경조건을 제공하여 식물 뿌리에 의한 구조물의 구조적인 안정화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하천 범람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호안 구조물을 형성하는 블록 사이를 통해 토사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블록의 이탈으로 인해 제방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옹벽 구조물 등을 시공시 적은 공사비용을 들여 친환경적인 조건을 조성하여 주변환경 경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가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은, 콘크리트 타설되는 옹벽과, 옹벽 뒷쪽으로 채워지는 토사층을 갖는 옹벽 구조물에 있어서,
콘크리트 타설되는 옹벽과, 옹벽 뒷쪽으로 채워지는 토사층을 갖는 옹벽 구조물에 있어서,
옹벽(11) 외측면에 복수개소 형성되고, 식재용 토사(12)가 채워지는 식생공간(13)을 갖는 바스킷(14)과,
토사층(15)에 흡입구측이 매립되고, 배출구측이 옹벽(11)에 형성되는 관통공(11a)을 경유하여 바스킷(14) 내에 안착되고, 토사층(15)으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여 식생공간(13)의 토사(12)에 수분을 전달할 수 있도록 수분을 지속적으로 머금고 있는 수분 흡수부재(16)를 포함한다.
전술한 옹벽(11)의 관통공에 결합되어 수분 흡수부재(16)를 수용하는 수분 전도체용 케이스(17)를 포함한다. 수분 전도체용 케이스(17)는 지관, PVC파이프, 자루(마대)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전술한 수분 흡수부재(16)로서 천, 솜, 스펀지, 펄프, 파쇄시켜 압축시킨 종이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전술한 바스킷(14)은 옹벽과 일체형으로 성형되거나, 또는 바스킷(14)은 옹 벽(11)과 별도로 성형되어 옹벽(11)에 고정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옹벽 구조물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되는 옹벽(11)에 형성된 관통공(11a)(기존 옹벽에 배수용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경우 이를 활용할 수 있음)에 수분 전도체용 케이스(17)(일 예로서, PVC파이프 등이 사용됨)를 결합한다. 이때 수분 전도체용 케이스(17)에는 토사층(15)으로부터 수분을 지속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수분 흡수부재(16)(일 예로서, 천 등이 사용됨)가 내장된다.
따라서, 토사층(15)에 흡입구측이 묻힌 수분 흡수부재(16)에 의해 토사층(15)으로부터 수분을 지속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수분 흡수부재(16)에 의해 흡수된 수분은 옹벽(11) 외측면에 형성된 바스킷(14)의 식생공간(13)에 채워진 토사(12)에 공급된다(수분 흡수부재(16)의 배출구측이 식생공간(13)의 바닥면에 안착됨).
이로 인해, 식생공간(13)에 채워진 토사(12)에 씨앗을 파종하거나, 또는 풀, 조경나무 등의 식물을 식재할 수 있어, 옹벽(11)이 타설되는 주변환경과 자연 조화를 이루어 경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은, 기초 콘트리트(18)와,
기초 콘크리트(18) 위에 블록(19)이 연결수단(일 예로서, 접촉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키이홈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음)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적층되고,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토사(12)를 채울 수 있는 식생공간(13)이 블록(19) 상면에 형성되는 블록층(20)과,
블록층 뒷쪽으로 채워져 블록(19)을 지지하는 채움잡석층(21)과,
채움잡석층(21) 뒷쪽으로 채워져 채움잡석을 지지하는 토사층(15)과,
채움잡석층(21)과 토사층(15)의 경계층에 매립되고, 토사 유출을 방지하는 부직포(22)와,
토사층(15)에 흡입구측이 매립되고 배출구측이 채움잡석층(21) 및 블록(19)의 관통공(23)을 경유하여 식생공간(13) 내에 안착되며, 토사층(15)으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여 식생공간(13)의 토사(12)에 수분을 전달할 수 있도록 수분을 지속적으로 머금고 있는 수분 흡수부재(16)를 포함한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전술한 식생공간(13)은 블록(19) 외측면에 고정되는 바스킷에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채움잡석층(21)을 경유하여 블록(19)의 관통공(23)에 결합되어 수분 흡수부재(16)를 수용하는 수분 전도체용 케이스(17)를 포함한다.
이때, 토사층(15)으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여 식생공간(13)의 토사(12)에 전달하는 수분 흡수부재(16) 및 수분 흡수부재(16)를 수용하는 수분 전도체용 케이스(17)를 포함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기재된 옹벽 구조물에 기재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 되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중복 되는 도면부호는 동일하게 표기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옹벽 구조물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사층(15)에 흡입구측이 묻힌 수분 흡수부재(16)에 의해 토사층(15)으로부터 수분을 지속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이때 수분 흡수부재(16)의 배출구측이 채움잡석층(21) 및 블록(19)에 형성된 관통공(23)을 경유하여 블록의 식생공간(13) 바닥면에 안착된다.
이로 인해, 토사층(15)에서 수분 흡수부재(16)에 의해 흡수된 수분은 수분 전도체용 케이스(17)를 따라 블록(19)의 식생공간(13)에 채워진 토사(12)에 공급된다.
따라서, 식생공간(13)에 채워진 토사(12)에 씨앗을 파종하거나, 또는 풀, 조경나무 등의 식물을 식재할 수 있어, 블록층(20)에 의한 옹벽 구조물이 시공되는 주변환경과 자연 조화를 이루어 경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은, 기초 콘트리트(18)와,
기초 콘크리트(18) 위에 암반(24)(자연석)이 연결수단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적층되는 암반층(25)과,
암반층(25) 뒷쪽으로 채워져 암반(24)을 지지하는 채움잡석층(21)과,
채움잡석층(21)과 토사층(15)의 경계층에 매립되고, 토사 유출을 방지하는 부직포(22)와,
토사층(15)에 입구측이 매립되고, 출구측이 토사층(15)으로부터 채움잡석층(21)을 통과하여 암반(24) 사이에 놓여지는 수분 전도체용 케이스(17)와,
수분 전도체용 케이스(17)에 내장되고, 토사층(15)으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여 수분 전도체용 케이스(17)의 출구측에 식재되는 식물에 수분을 전달할 수 있도록 수분을 지속적으로 머금고 있는 수분 흡수부재(16)와,
수분 흡수부재(16) 내에 투입되어 식물이 식재되는 토사(12)를 포함한다.
전술한 채움잡석층(21)을 경유하여 암반(24) 사이에 놓여지며 수분 흡수부재(16)를 수용하는 수분 전도체용 케이스(17)를 포함한다.
이때, 토사층(15)으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여 수분 전도체용 케이스(17)의 출구측에 식재되는 식물에 전달하는 수분 흡수부재(16)를 포함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기재된 옹벽 구조물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중복되는 도면부호는 동일하게 표기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옹벽 구조물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사층(15)에 흡입구측이 묻힌 수분 흡수부재(16)에 의해 토사층(15)으로부터 수분을 지속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이때 수분 흡수부재(16)의 배출구측이 채움잡석층(21)을 경유하여 암반(24) 사이에 안착된다.
따라서, 토사층(15)에서 수분 흡수부재(16)에 의해 흡수된 수분은 수분 전도체용 케이스(17)를 따라 암반(24) 사이의 식물에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식물은 수분 흡수부재(16)에 채워진 토사(12)에 의해 성장될 수 있다. 수분 전도체용 케이스(17)에 의해 토사(12)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암반(24) 사이에 풀, 조경나무 등의 식물을 식재할 수 있어, 암반층(25)에 의한 옹벽 구조물이 시공되는 주변환경과 자연 조화를 이루어 경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암반(24) 사이에 식재되는 식물 뿌리가 수분 전도체용 케이스(17)(일 예로서, 자루가 땅속에서 헤어질 경우 식물 뿌리가 자루를 뚫고 나갈 수 있음)를 뚫고 나가 채움잡석층(21)과 자연스럽게 엉키기게 되므로, 암반층(25) 구조물의 적층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옹벽 구조물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의 개략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분 전도체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분 전도체의 요부발췌단면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1; 옹벽
12; 토사
13; 식생공간
14; 바스킷
15; 토사층
16; 수분 흡수부재
17; 수분 흡수부재용 케이스
18; 기초 콘크리트
19; 블록
20; 블록층
21; 채움잡석층
22; 부직포
23; 관통공
24; 암반
25; 암반층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블록이 연결수단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적층되고,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토사를 채울 수 있는 식생공간이 상기 블록 상면에 형성되는 블록층;
    상기 블록층 뒷쪽으로 채워져 상기 블록을 지지하는 채움잡석층;
    상기 채움잡석층 뒷쪽으로 채워져 상기 채움잡석을 지지하는 토사층; 및
    상기 토사층에 흡입구측이 매립되고 배출구측이 상기 채움잡석층 및 블록의 관통공을 경유하여 상기 식생공간 내에 안착되며, 상기 토사층으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여 상기 식생공간의 토사에 수분을 전달할 수 있도록 수분을 지속적으로 머금고 있는 수분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채움잡석층을 경유하여 상기 블록의 관통공에 결합되어 상기 수분 흡수부재를 수용하는 수분 전도체용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수분 전도체용 케이스는 지관, PVC파이프, 자루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분 흡수부재로서 천, 솜, 스펀지, 펄프, 파쇄시켜 압축시킨 종이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식생공간은 상기 블록 외측면에 고정되는 바스킷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채움잡석층과 토사층의 경계층에 매립되고, 토사 유출을 방지하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
  10. 암반이 연결수단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적층되는 암반층;
    상기 암반층 뒷쪽으로 채워져 상기 암반을 지지하는 채움잡석층;
    상기 채움잡석층 뒷쪽으로 채워져 상기 채움잡석을 지지하는 토사층;
    상기 토사층에 흡입구측이 매립되고 배출구측이 상기 채움잡석층을 경유하여 상기 암반 사이에 놓여지고, 상기 토사층으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여 배출구측에 식재되는 식물에 수분을 전달할 수 있도록 수분을 지속적으로 머금고 있는 수분 흡수부재; 및
    상기 수분 흡수부재 내에 수용되어 식물이 식재되는 토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채움잡석층을 경유하여 상기 암반 사이에 놓여지며 상기 수분 흡수부재를 수용하는 수분 전도체용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수분 전도체용 케이스는 지관, PVC파이프, 자루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채움잡석층과 토사층의 경계층에 매립되고, 토사 유출을 방지하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수분 흡수부재로서 천, 솜, 스펀지, 펄프, 파쇄시켜 압축시킨 종이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
KR1020080126977A 2008-12-15 2008-12-15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 KR101105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977A KR101105407B1 (ko) 2008-12-15 2008-12-15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977A KR101105407B1 (ko) 2008-12-15 2008-12-15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576A KR20100068576A (ko) 2010-06-24
KR101105407B1 true KR101105407B1 (ko) 2012-01-17

Family

ID=42366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977A KR101105407B1 (ko) 2008-12-15 2008-12-15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54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3444A (ko) * 2017-02-13 2018-08-22 주식회사 지알이엔씨 배수가 가능한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중력식 옹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350B1 (ko) * 2021-06-29 2022-05-09 (유)이안지오텍 식재망태를 이용한 토낭사면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8090A (ko) * 2004-08-20 2004-09-08 김길평 도로 옹벽의 조경시설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8090A (ko) * 2004-08-20 2004-09-08 김길평 도로 옹벽의 조경시설 설치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3444A (ko) * 2017-02-13 2018-08-22 주식회사 지알이엔씨 배수가 가능한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중력식 옹벽
KR101940716B1 (ko) * 2017-02-13 2019-01-21 주식회사 지알이엔씨 배수가 가능한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중력식 옹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576A (ko)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18499B (zh) 高陡岩质边坡植被重建系统及该系统的实施方法
JP3053071B2 (ja) 自然生態自己復元式法面工法および法面構造
CN102696300B (zh) 低湿盐碱滩地渗水排盐及造林绿化方法及其应用
KR100920027B1 (ko) 토목섬유 보강 커튼 월 구조 및 녹화공법
KR101219289B1 (ko)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이 부착된 식생포대
KR101195210B1 (ko)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경사면 녹화구조 및 녹화공법
KR20100136795A (ko) 식생 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식생 개비온 블록 및 식생 개비온 블록의 제조방법
KR101043361B1 (ko) 식생용 망태기 및 이를 이용한 생태 호안 조성방법
KR200451156Y1 (ko) 식생이 가능한 망체 2중 구조물
KR101105407B1 (ko)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
CN106688800B (zh) 一种尾矿库保水保肥土地复垦方法
CN102783374A (zh) 一种沙地植物生态修复装置及方法
CN108738875B (zh) 用于寒温带大风地区的绿色生态修复系统
KR20100092837A (ko) 식생블록 및 이 식생블록을 이용한 식생옹벽 시공방법
KR200442424Y1 (ko) 식생용 옹벽블록
CN212561559U (zh) 一种基于生物桩和藤蔓植物的急陡土坡绿色防护结构
KR102227676B1 (ko) 식생용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KR100939668B1 (ko) 하천법면 설치용 친환경 식생체와 그 시공방법
KR101688778B1 (ko) 에코매트가 포함된 식생용 개비온
KR100531213B1 (ko) 식재가 가능한 석축의 시공방법
JP3506371B2 (ja) 擁壁緑化ブロックおよび擁壁緑化構造
CN217896403U (zh) 一种用于河道生态修复的景观边坡防护结构
CN216820990U (zh) 一种植被恢复结构
KR101335543B1 (ko) 식생형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CN212896141U (zh) 一种河道生态护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