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법면보호블록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각 블록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외곽프레임과 식생블록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커버프레임과 식생블록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생블록과 식생커버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법면보호블록의 개략적인 설치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법면보호블록(1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성토지역이나 절토지역의 법면 가장자리측에 설치되는 사각형태의 외곽프레임(20)과, 상기 외곽프레임(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격자형태의 커버프레임(30)과, 상기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에 의하여 형성된 격자형 공간에 삽입되어 커버프레임(30)과 함께 법면 전체를 덮게 되는 식생블록(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외곽프레임(20)은 몸체를 관통하는 앵커볼트(11)에 의하여 법면에 고정되는 4개의 모서리블록(21)과, 상기 모서리블록(21)에 연결되어 외곽프레임(20)의 가로변과 세로변의 대부분을 형성하는 일자형블록(23)과, 몸체를 관통하는 앵커볼트(11)에 의하여 법면에 고정되고 상기 일자형블록(23)을 서로 연결하는 T자형블록(22)에 의하여 사각형태의 구도로 형성되며, 상기한 각 블록(21~23)이 체결볼트(12)와 너트(12a)에 의하여 인접한 다른 블록(21~23)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서 외곽프레임(20)이 하나의 일체화 된 프레임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커버프레임(30)은 외곽프레임(20)의 T자형블록(22)과 마주보는 위치에서 몸체를 관통하는 앵커볼트(11)에 의하여 법면에 고정되는 다수 개의 십자형블록(31)과, 상기 십자형블록(31)을 수평으로 연결시킴과 동시에 십자형블록(31)과 T자형블록(22)을 수직으로 연결시키는 일자형블록(23)에 의하여 외곽프레임(20)의 내부에서 법면을 지지하는 격자 형태의 구도로 형성되며, 상기한 십자형블록(31)과 일자형블록(23) 및 T자형블록(22)이 체결볼트(12)와 너트(12a)에 의하여 인접한 다른 블록(22)(23)(31)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서 커버프레임(30) 또한 외곽프레임(20)과 함께 하나의 일체화 된 프레임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식생블록(40)은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에 의하여 형성된 격자형 공간에 삽입되는 사각형태의 몸체를 가지며, 몸체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앵커볼트(11)에 의하여 법면상에 고정되고, 몸체의 외주면을 관통하는 나사(13)에 의하여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의 각 블록(21)(22)(23)(31) 측면상에 고정 설치되므로서 각각의 프레임(20)(30)과 함께 법면의 전체면을 덮게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 및 식생블록(40)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법면보호블록(10)에서 각각의 프레임(20)(30)을 구성하는 블록(21)(22)(23)(31)과 식생블록(40)에 대한 세부적인 구조를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의 외곽프레임(20)을 구성하는 모서리블록(21)은 도 2의 (가)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면에 배수로가 형성되도록 "Η"형 단면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의 몸체(210)가 모서리의 형상에 맞도록 "ㄱ"형태로 절곡되어 그중앙에 앵커공(213)이 관통 형성되고, 몸체(210)의 각 단부측에는 체결공(21a)이 관통된 연결홈(211)이 몸체(210)의 내부 하측으로 단지게 형성되며, 몸체(210)의 절곡부 측면상에는 나사공(21b)이 관통된 받침대(212)가 단지게 연장되어 그 하측에 받침대(212)를 지지하는 보강살(214)이 몸체(2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외곽프레임(20)을 구성하는 T자형블록(22)은 도 2의 (나)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면에 배수로가 형성되도록 "Η"형 단면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의 몸체(220)가 "T"자 형태로 절곡되어 그 중앙에 앵커공(223)이 관통 형성되고, 몸체(220)의 각 단부측에는 체결공(22a)이 관통된 연결홈(221)이 몸체(220)의 내부 하측으로 단지게 형성되며, 몸체(220)의 각 절곡부 측면상에는 나사공(22b)이 관통된 받침대(222)가 단지게 연장되어 그 하측에 받침대(222)를 지지하는 보강살(224)이 몸체(2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커버프레임(30)을 구성하는 십자형블록(31)은 도 2의 (다)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면에 배수로가 형성되도록 "Η"형 단면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의 몸체(310)가 "十" 형태로 절곡되어 그 중앙에 앵커공(313)이 관통 형성되고, 몸체(310)의 각 단부측에는 체결공(31a)이 관통된 연결홈(311)이 몸체(310)의 내부 하측으로 단지게 형성되며, 몸체(310)의 각 절곡부 측면상에는 나사공(31b)이 관통된 받침대(312)가 단지게 연장되어 그 하측에 받침대(312)를 지지하는 보강살(314)이 몸체(3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을 이루는 주된 구성요소인 일자형블록(23)은 도 2의 (라)와 도 3 및 도 4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상면에 배수로가 형성되도록 "Η"형 단면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의 몸체(230) 양단에는 상기 모서리블록(21)과 T자형블록(22) 및 십자형블록(31)의 각 연결홈(211)(221)(311)의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단부(231)가 외측으로 단지게 연장 형성되고, 몸체(230)의 양측면상에는 나사공(23b)이 관통된 받침대(232)가 단지게 연장되어 그 하측에 받침대(232)를 지지하는 보강살(234)이 몸체(2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식생블록(4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각형태의 테두리부(41) 내측에 십자형의 보강살(42)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41)와 보강살(42)의 내부에는 격자형살(40a)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격자형살(40a)의 하측에는 식생망(40b)이 일체로 형성되어 격자형살(40a)과 식생망(40b)에 의한 취부공간(40c)이 형성되어 있으며, 식생블록(40) 또한 그 전체적인 재질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식생블록(40)의 테두리부(41)에는 상기한 각 블록(21)(22)(23)(31)의 받침대(212)(222)(232)(312)에 형성된 나사공(21b)(22b)(23b)(31b)에 대응하는 나사공(41a)이 관통 형성되고, 식생블록(40)의 보강살(42) 중앙에는 앵커공(42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식생블록(40)에서 격자형살(40a)과 식생망(40b)에 의하여 형성되는 취부공간(40c)은 잔디와 같은 초본식물의 씨앗이 함유된 식생토가 취부되는 공간으로서, 법면의 녹화에는 대부분 잔디가 사용될 뿐만 아니라 잔디의 발아율이 80% 정도로 매우 우수하게 되는 식생토의 최적 두께가 1cm 내외이므로, 취부공간(40c)의 깊이(즉, 격자형살의 높이)는 잔디의 높은 발아를 이루어낼 수 있도록 1cm ~ 1.5cm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식생블록(40)의 상면에는 격자형살(40a)의 내부로 끼움되는 격자형돌기(50a)를 식생망(50b)의 하측에 형성시킨 플라스틱 재질의 식생커버(50)가 결합되며, 상기의 식생커버(50)는 취부공간(40c)의 내부에 1cm 정도의 비교적 얇은 두께로 취부되는 식생토가 빗물이나 각종 원인에 의하여 취부공간(40c)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테두리부(41)와 십자형 보강살(42)에 의하여 4구역으로 분할되는 식생블록(40)의 각 분할면에 하나씩 총 4개의 식생커버(50)가 결합된다.
상기의 식생커버(50) 또한 사각테두리 형태로 형성되는 각각의 돌기(50a)와, 그 돌기(50a)의 상면에 형성된 식생망(50b)에 의하여 식생토의 취부공간이 형성되므로서, 식생커버(50)에 형성된 각각의 돌기(50a)를 식생블록(40)의 각 격자형 공간에 끼워맞춤식으로 삽입시키게 되면, 식생블록(40)의 식생망(40b)과 식생커버(50)의 식생망(50b) 사이에 식생토의 취부공간 및 초본식물 뿌리의 활착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식생커버(50)의 결합에 따른 취부공간(40c)의 협소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격자형돌기(50a)의 높이는 격자형살(40a) 높이의 1/1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법면보호블록(10)의 설치관계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법면보호블록(1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각 블록(21)(22)(23)(31)의 조합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법면(1)의 폭과 높이,그리고 현장여건에 따라 블록(21)(22)(23)(31)간의 조합을 적절하게 조정하여 적용시킬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의 법면보호블록(10)을 설치할 법면(1)의 폭과 높이를 계산하여 법면보호블록(10)에 사용될 각 블록(21)(22)(23)(31)의 종류와 개수를 결정하므로서 법면보호블럭(10)의 설치를 위한 설계를 완료한 다음, 이와 같이 설계된 법면보호블럭(10)의 폭과 높이에 맞추어 사각형태의 기초터를 법면(1)상에 형성시키게 되며, 상기의 기초터는 외곽프레임(20)을 구성하는 각 블록(21)(22)(23)의 전체적인 두께에 해당하는 깊이만큼 인력에 의한 터파기 작업을 통하여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기초터의 각 모서리 부분에 모서리블록(21)을 배치하고, 이와 같이 배치된 각 모서리블록(21)의 사이에 외곽프레임(20)의 가로변과 세로변을 이루는 일자형블록(23)을 T자형블록(22)에 의하여 연결한 다음, 각 블록(21~23)의 연결홈(211)(221)과 연결단부(231)를 체결볼트(12)와 너트(12a)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모서리블록(21)과 T자형블록(22)에는 앵커볼트(11)를 관통시키므로서 외곽프레임(20)이 법면(1)상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외곽프레임(20)을 기초터의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한 다음에는, 외곽프레임(20)의 각 T자형블록(22)과 마주보는 위치에 십자형블록(31)을 기초터의 내부에 배치시키고, 이와 같이 배치된 각 십자형블록(31)과 외곽프레임(20)의 T자형블록(22)을 일자형블록(23)으로 각각 연결시키게 되면, 외곽프레임(20)의 내부에 커버프레임(30)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커버프레임(30)의 각 블록(23)(31)을 체결볼트(12)와 너트(12a)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킨 다음, 외곽프레임(20)의 T자형블록(22)과 커버프레임(30)의 일자형블록(31)을 체결볼트(12)와 너트(12a)를 사용하게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되면,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이 하나의 일체화 된 프레임으로 연결되며, 이 상태에서 커버프레임(30)의 십자형블록(31)에 앵커볼트(11)를 관통시키게 되면, 커버프레임(30)이 외곽프레임(20)과 함께 법면(1)상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을 법면(1)상에 견고하게 고정설치한 다음에는,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을 이루는 각 블록(21~23)(31)의 받침대(212)(222)(232)(312)에 사각형태의 식생블록(40)을 올려놓고, 받침대(212)(222)(232)(312)에 형성된 나사공(21b)(22b)(23b)(31b)과 식생블록(40)의 테두리부(41)에 형성된 나사공(41a)을 대응시켜 각각의 나사공에 나사(13)을 체결시키므로서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의 사이에 식생블록(40)을 견고하게 고정 설치하게 되며, 나사(13)의 체결시 각 받침대(212)(222)(232)(312)의 하측에 형성된 보강살(214)(224)(234)(314)이 나사(13)의 체결력을 지지하게 되므로서 나사(1)의 체결과정에서 받침대(212)(222)(232)(312)가 찌그러지는 것과 같은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식생블록(40)의 조립 설치시에는, 외곽프레임(20)의 좌측 또는 우측하단부터 식생블록(40)을 하나씩 옆으로 조립해 나가므로서 외곽프레임(20)의 내부하측에 하나의 식생블록(40)층을 이루도록 조립한 다음, 그 상측에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다른 하나의 식생블록(40)층을 이루는 식으로 단계적으로 조립해 나가며, 식생블록(40)의 설치 과정에서 기초터파기 작업를 통하여 얻은 토사를 잘 간추려 식생망(40b)의 하측면 높이까지 토사를 뒷채움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토사를 식생블록(40)의 하측면까지 뒷채움시키게 되면, "H"형 단면을 가지는 십자형블록(31)과 일자형블록(23)의 몸체(310)(230) 하측 부분과, 십자형블록(31)과 일자형블록(23)의 각 받침대(314)(234)가 토사와 함께 묻히게 되므로서, 커버프레임(30)을 법면(1)상에 더욱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 및 식생블록(40)을 법면(1)상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한 다음에는, 식생블록(40)의 전방면을 통하여 식생토(2)를 격자형살(40a)의 내부로 취부시킨 후, 식생블록(40)의 전방면에 상기한 식생커버(50)를 끼움 결합시키게 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법면보호블록(10)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법면보호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태의 식생블록(40) 대신에 원형의 식생블록(40)을 사용하므로서,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을 이루는 각 블록의 세부적인 형태에 다소 차이가 있을 뿐이고, 법면보호블록(10)을 이루는 전체적인 조립관계나 설치관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서와 거의 동일하므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을 이루는 각 블록의 형태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법면보호블록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각 블록의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감블록의 종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법면보호블록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성토지역이나 절토지역의 법면(1) 가장자리측에 설치되는 외곽프레임(20)과, 상기 외곽프레임(20)의 내부에서 외곽프레임(20)과 일체로 설치되는 커버프레임(30)과, 상기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에 의하여 형성된 원형 공간에 삽입되어 커버프레임(30)과 함께 법면 전체를 덮게 되는 식생블록(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외곽프레임(20)은 앵커볼트(11)에 의하여 법면(1)에 고정되는 4개의 모서리블록(25)과, 상기 모서리블록(25)에 연결되어 외곽프레임(20)의 가로변(장변부)을 형성하는 일자형태의 이음블록(26)과, 상기 모서리블록(25)에 연결되어 외곽프레임(20) 세로변(단변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마감블록(27)에 의하여 사각형태의 구도로 형성되며, 각각의 블록(25)(26)(27)이 체결볼트(12)와 너트(12a)에 의하여 인접한 다른 블록(25)(26)(27)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서 외곽프레임(20)이 하나의 일체화 된 프레임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커버프레임(30)은 앵커볼트(11)에 의하여 법면(1)에 고정되는 "Χ"자 형태의 A,B형 커버블록(33)(3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블록(33)(34)의 각 단부측이 체결볼트(12)와 너트(12a)에 의하여 인접한 다른 커버블록(33)(34)과 일체로 연결되므로서 육각별 형태로 연이어진 구도로 형성되며, 커버프레임(30)의 각 블록(33)(34)이 외곽프레임(20)의 가로변을 이루는 외곽블록(26)과 겹쳐지지는 부분에서 나사(13) 체결에 의하여 연결되므로서, 외곽프레임(20)과커버프레임(30) 또한 하나의 일체화 된 프레임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식생블록(40)은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원형의 테두리부(41)가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생블록(4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몸체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앵커볼트(11)에 의하여 법면상에 고정되고, 몸체의 외주면을 관통하는 나사(13)에 의하여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을 이루는 각 블록(25)(26)(27)(33)(34)의 측면상에 고정 설치되므로서 각각의 프레임(20)(30)과 함께 법면(1)의 전체면을 덮게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 및 식생블록(40)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법면보호블록(10)에서 각각의 프레임(20)(30)을 구성하는 블록(25)(26)(27)(33)(34)에 대한 세부적인 구조를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상기의 각 블록(25)(26)(27)(33)(34)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서와 마찬가지로 몸체가 모두 "H"형 단면을 가지고 그 재질은 플라스틱 재질로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의 외곽프레임(20)을 이루는 모서리블록(25)은 도 8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ㄱ" 형태로 절곡된 몸체(250)의 중앙부에 앵커공(254)이 관통 형성되며, 몸체(250)의 일측 단부에는 체결공(25a)이 관통된 연결홈(251)이 몸체(250)의 내부 하측으로 단지게 형성되고, 몸체(250)의 타측 단부에는 체결공(25a)이 관통된 연결단부(252)가 외측으로 단지게 연장 형성되며, 원호상으로 만곡된 몸체(250)의 절곡부 측면에는 나사공(25b)이 관통된 사분원 받침대(253)가 단지게 연장되어 그 하측에 받침대(253)를 지지하는 보강살(255)이 몸체(25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외곽블록(26)은 도 8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자형으로 연장된 몸체(260)의 일측단에 체결공(26a)이 관통된 연결홈(261)이 몸체(260)의 내부 하측으로 단지게 형성되고, 몸체(260)의 타측단에는 체결공(26a)이 관통된 연결단부(262)가 외측으로 단지게 연장 형성되며, 볼록하게 융기된 몸체(260)의 일측면에는 나사공(26b)이 관통된 연결받침대(263)가 단지게 연장되어 그 하측에 연결받침대(263)를 지지하는 보강살(265)이 몸체(260)와 일체로 형성되며, 그 양측으로 나사공(26b)이 관통된 보조받침대(26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곽블록(26)의 연결받침대(263)는 하기에 설명되어지는 A,B형 커버블록(33)(34)의 사분원 받침대(333')가 상부로 겹쳐져서 연결되는 부분이고, 보조받침대(263')는 상기의 식생블록(40)이 지지되는 부분으로서, A,B형 커버블록(33)(34)의 사분원 받침대(333')와 외곽블록(26)의 보조받침대(263')에 의하여 식생블록(40)이 안전하게 지지되도록 연결받침대(263)의 높이는 보조받침대(263')의 높이에 비하여 받침대의 두께만큼 낮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의 커버프레임(30)을 이루는 A형 커버블록(33)은 도 8의 (다)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X"자 형태의 몸체(330) 내부에 한 쌍의 앵커공(334)이 관통 형성되며, 몸체(330)의 상측 단부에는 체결공(33a)이 관통된 한 쌍의 연결홈(331)이 몸체(330)의 내측으로 단지게 형성되고, 몸체(330)의 하측 단부에는 체결공(33a)이 관통된 연결단부(332)가 외측으로 단지게 연장 형성되며, 원호상으로 만곡된 몸체(330)의 좌우 측면에는 나사공(33b)이 관통된 반원형 받침대(333)가 단지게 연장 형성되고, 원호상으로 만곡된 몸체(330)의 상하 측면에는 나사공(33b)이 관통된 사분원 받침대(333')가 단지게 연장 형성되며, 각 받침대(333)(333')의 하측에는 받침대(333)(333')를 지지하는 보강살(335)이 몸체(3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커버프레임(30)을 이루는 B형 커버블록(34)은 도 8의 (라)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A형 커버블록(33)에서 하측 단부에 형성된 연결단부(332)만이 잘려나간 것을 제회하고는 A형 커버블록(33)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모서리블록(25)과 일자형블록(26) 및 A,B형 커버블록(33)(34)을 사용하여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을 형성시킬 경우, 외곽프레임(20)의 세로변측에서 모서리블록(25)과 A형 커버블록(33)이 바로 연결되지 못하고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는 데, 이와 같은 공간에 마감식으로 설치되어 모서리블록(25)과 A형 커버블록(33) 연결시켜주는 마감블록(27)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4가지의 종류로 형성된다.
먼저, 도 9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마감블록(27)은, 도 7상에서 외곽프레임(20)의 좌측상단에 설치된 모서리블록(25)과 커버프레임(30)의 A형 커버블록(33)을 서로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ㄱ"자 형태로 절곡된 몸체(270)의 일측단부에는 모서리블록(25)의 연결단부(252)가 삽입되는 연결홈(271)이 몸체(270)의 내측으로 단지게 형성되고, 몸체(270)의 타측단부에는 A형 커버블록(33)의연결홈(331)에 삽입되는 연결단부(272)가 외측으로 단지게 연장 형성되고, 연결홈(271)과 연결단부(272)에는 체결공(27a)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270)의 절곡부 측면에는 나사공(27b)이 관통된 팔분원 받침대(273)가 단지게 연장되어 그 하측에 받침대(273)를 지지하는 보강살(275)이 몸체(270)와 일체로 형성되고, 몸체(270)의 타측면에는 나사공(27b)이 관통된 보조받침대(273')가 단지게 연장 형성되어 있다.
도 9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마감블록(27)은, 도 7상에서 외곽프레임(20)의 우측상단에 설치된 모서리블록(25)과 커버프레임(30)의 A형 커버블록(33)을 서로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몸체(270)의 단부측에 모서리블록(25)과 A형 커버블록(33)의 각 연결홈(251)(331)에 삽입되는 연결단부(272)가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가)에 도시된 마감블럭(27)과 좌우로 대칭되는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도 9의 (다)에 도시되어 있는 마감블록(27)은, 도 7상에서 외곽프레임(20)의 좌측하단에 설치된 모서리블록(25)과 커버프레임(30)의 A형 커버블록(33)을 서로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몸체(270)의 일측 단부에는 A형 커버블록(33)의 연결단부(332)가 삽입되는 연결홈(271)이 형성되고, 몸체(270)의 타측 단부에 모서리블록(25)의 연결홈(251)에 삽입되는 연결단부(272)가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가)에 도시된 마감블럭(27)과 상하로 대칭되는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도 9의 (라)에 도시되어 있는 마감블록(27)은, 도 7상에서 외곽프레임(20)의 우측하단에 설치된 모서리블록(25)과 커버프레임(30)의 A형 커버블록(33)을 서로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몸체(270)의 각 단부측에 모서리블록(25)과 A형커버블록(33)의 연결단부(252)(332)가 삽입되는 연결홈(271)이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가)에 도시된 마감블록(27)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각 블록(25)(26)(27)(33)(34)을 사용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을 법면(2)상에 설치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와 동일하며, 단지 차이가 있는 점은 모서리블록(25)과 외곽블록(26)에 의하여 외곽프레임(20)의 가로변을 상하로 먼저 조립 설치하고, 이와 같이 설치된 외곽프레임(20)의 하측 가로변에 B형 커버블록(34)을 외곽블록(26)에 연결 설치하며, 이와 같이 설치된 B형 커버블록(34)의 상측에 A형 커버블록(33)을 순차적으로 연결시키므로서 커버프레임(30)의 조립 설치가 완료되도록 한 다음, 외곽프레임(20)의 세로변측에 상기한 마감블록(27)을 설치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설치된 각 프레임(20)(30)의 사이에 식생블록(40)을 설치하는 것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와 동일하며, 단지 차이가 있는 점은 각 블록(25)(26)(27)(33)(34)의 받침대(253)(273)(333)(333')와 보조받침대(263')(273') 상에서 나사(13)로 고정된 식생블록(40)의 전방면을 통하여 식생토(2)를 취부시킨 다음, 보강살(42)에 의하여 4부분으로 분할되는 각 분할면에 부채꼴 형태의 식생커버(50)를 끼움 결합시킨다는 것이며, 이와 같은 부채꼴 형태의 식생커버(50) 또한 그 외관적인 형태를 제외하고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생커버(5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곽프레임(20)의 세로변측에서 마감블록(27)과 A형 커버블록(33)에 의하여 고정된 반원형의 식생블록(40)은 원형의식생블록(40)을 절반으로 절단시킨 것으로서, 이는 원형의 식생블록(40)과 유사한 형태와 재질을 가지는 자재를 마감처리에 사용하여 법면보호블록(10)의 전체적인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이며, 이 부분에 기초터파기 작업을 통하여 얻은 토사를 다져서 채워 넣거나 또는 콘크리트 등을 타설하여 마감처리를 하더라도 법면보호블록(10)의 전체적인 설치강도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법면보호블록(10)은 배수로를 이루는 각 블록간의 조립식 결합에 의하여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을 일체로 형성시키고, 각 프레임(20)(30)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는 사각 또는 원형의 식생블록(40)을 프레임(20)(30)과 일체로 형성시키므로서, 커버프레임(30)과 식생블록(40)에 의하여 우수한 법면보호기능을 가지는 구조물을 매우 빠르고 손쉽게 법면(1)상에 설치할 수 있게 되며, 상기한 각각의 블록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그 무게가 매우 가볍기 때문에 각 블록의 운반과 취급이 용이하고, 법면보호블록(10)의 설치시에도 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장비가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테두리 형태의 외곽프레임(20)을 앵커볼트(11)에 의하여 법면(1)상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놓은 상태에서, 그 외곽프레임(20)의 내부에 커버프레임(30)과 식생블록(40)을 토사의 뒷채움과 함께 순차적으로 조립해 나가며, 이 과정에서 "H"형 단면을 가지는 십자형블록(31)과 일자형블록(23)이 몸체(310)(230)의 하단부와 보강살(314)(234)에 의하여 토사와 함께 법면(1)상에 지지됨과 동시에 앵커볼트(11)에 의하여 십자형블록(31)과 식생커버(40)가 법면(1)상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므로서, 법면보호블록(10)의 시공과정에서 각 블록이 토사와 함께 흘러내리는 것과 같은 시공상의 문제점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되고, 시공된 법면보호블록(10)이 그 자체의 무게에 의하여 토사와 함께 무너져 내리는 것과 같은 안전상의 문제점 또한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법면보호블록(10)을 법면(1)상에 견고하게 설치한 후에는, 잔디와 같은 초본식물의 씨앗을 함유하는 식생토(2)를 격자형살(40a)과 식생망(40b)으로 이루어지는 식생블록(40)의 취부공간(40c)으로 취부시키게 되는 데, 이와 같은 식생토(2)의 취부작업을 기계에 의한 살포작업을 통하여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취부된 식생토(2)가 식생커버(50)에 의하여 취부공간(40c)의 내부에서 거의 완벽하게 보호된다.
또한, 커버프레임(30)과 식생블록(40)에 의하여 법면(1)의 표면이 완전히 덮혀져 있는 상태에서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을 이루는 각 블록이 법면보호블록(10) 전체에 걸쳐 배수로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우천시나 폭우시에도 빗물의 흐름이 배수로측으로 유도되어 법면(1)의 표면으로부터 토사가 거의 유실되지 않게 되고, 식생블록(40)에 취부된 식생토(2) 또한 식생커버(50)에 의하여 별다른 유실없이 거의 완벽하게 보호되므로서, 식생토(2)에 함유된 초본식물의 씨앗이 매우 빠른 시간내에 자연 발아되어 법면(1)의 조기녹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초본식물이 자연 발아되면, 발아된 초본식물의 뿌리는 식생블록(40)의 식생망(40b)과 서로 얽히면서 식생블록(40)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발아된 줄기나 잎은 식생커버(50)의 식생망(50b)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성장하게 되므로서, 초본식물이 식생블록(40)으로부터 이탈됨이 없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이 성장하는 초본식물에 의하여 법면보호블록(10)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20)(30)이 완전히 가려지게 되므로서, 자연의 아름다운 경관과 전체적으로 조화를 잘 이루면서도 각종 동식물의 서식이 가능한 자연친화적인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