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170Y1 - 건축물의 벽면 녹화용 포트 박스 및 그 설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벽면 녹화용 포트 박스 및 그 설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170Y1
KR200278170Y1 KR2020020006899U KR20020006899U KR200278170Y1 KR 200278170 Y1 KR200278170 Y1 KR 200278170Y1 KR 2020020006899 U KR2020020006899 U KR 2020020006899U KR 20020006899 U KR20020006899 U KR 20020006899U KR 200278170 Y1 KR200278170 Y1 KR 2002781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building
wall
wate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8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호
이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설그린
이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설그린, 이은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설그린
Priority to KR20200200068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1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1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170Y1/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형 건축물의 벽면을 식물이 충분하게 덮을 수 있도록 대형 건축물의 벽면에 다수 설치되며, 이러한 환경 하에서 식생하는 식물에 꼭 필요한 물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대형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을 녹화할 수 있는 건축물의 벽면 녹화용 포트 박스 및 그 설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상부에는 흙이 채워지도록 하고 하부에는 물이 채워지도록 상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을 상, 하부 격실로 나누면서, 상기 상, 하부 격실 간에 물의 이동을 위한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격벽과, 상기 하부 격실로 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하부 격실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와, 상기 하부 격실에 유입된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이 자연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수구와, 상기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시키도록 외면에 형성된 고정 수단 및, 상기 격벽의 관통공에 삽입시키는 심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격실로 유입되는 물을, 최대 상기 배수구 높이까지의 양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심지를 통해 하부 격실에서 상부 격실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면 녹화용 포트 박스 및, 이러한 다수 개의 포트 박스에 상기 건축물의 옥상 등 상부에 위치하여 물을 공급하는 급수원과, 상기 건축물의 벽면 상부에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 설치된 포트 박스의 배수구와 건축물의 벽면 하부에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 설치된 포트 박스의 유입구를 연결하는 제 1 배관 및, 상기 급수원과, 상기 제 1 배관으로 연결된 포트 박스들 중에서 가장 상부에 위치한 포트 박스의 유입구를 연결하는 제 2 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은,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은, 상기 제 2 배관을 통해 중력에 의해 상기 건축물의 벽면에 가장 상부에 위치한 포트 박스의 유입구로 유입된 후 상기 제 1 배관을 통해 가장 하부에 위치한 포트 박스의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면 녹화용 포트 박스 설치 시스템을 통해 달성된다.

Description

건축물의 벽면 녹화용 포트 박스 및 그 설치 시스템{Pot box for structure green system and its construction system}
본 고안은 대형 건축물의 수직 벽면에 식물이 식생할 수 있도록 식생 조건을 제공하는 건축물의 벽면 녹화용 포트 박스 및 이러한 포트 박스를 수직 벽면에 다수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덩굴식물과 같이 벽을 타고 자라는 식물이 대형 건축물의 수직 벽면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벽면의 다수 지점에 고정 설치되는 포트 박스 및 이러한 포트 박스에 급수가 가능하도록 설치된 포트 박스 설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도시에 대형 철근 콘크리트 건물이 무분별하게 다수 건설됨으로써 도시를 '회색 도시'라고 할 만큼 자연 환경과는 멀어지고 있다. 여기서, 회색 도시란 대표적인 인공 구조물 중에 하나인 콘크리트를 나타낸 것으로서, 대형 철근콘크리트 벽이 회색을 띠고 있으므로 붙여진 이름이다.
이와 같은 대형 건물이 건축되면서 대도시에서 흙을 보거나 밟을 수 있는 면적이 점차 작아지고, 따라서 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이 감소되어 더욱 삭막한 도시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최근 들어 이러한 도시의 삭막한 환경을 조금이나마 개선하고자 '도시의 녹화' 운동이 진행되면서 도시의 조경을 변화시키려는 움직임들이 일고 있다.
이러한 하나의 예로서, 식물이 건물의 수직 벽면을 타고 상부로 성장하여 나가면서 식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식물중 덩굴식물의 경우에는 벽면을 타고 상부로 성장하여 나가지만, 여기에는 한계가 있어 덩굴식물이 수직으로 자라 올라갈 수 있는 높이는 10m 이하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대형 건축물의 벽면과 연장된 지면에 덩굴식물을 식생하더라도 대형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을 약 10m정도만 덮을 수 있고, 그 이상의 콘크리트 벽면은 그대로 노출된다.
또한, 이미 대부분 개발된 상태인 대도시의 경우에는 수많은 대형 건물들이 건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이미 건축된 수십미터 또는 그 이상의 높이를 갖는 대형 건물의 콘크리트 벽을 덮을만한 적합한 식물을 찾기도 어려워 도시의 조경을 큰 폭으로 개선하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게된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대형 건축물의 벽면을 식물이 충분하게 덮을 수 있도록 대형 건축물의 벽면에 다수 설치되며, 이러한 환경 하에서 식생하는 식물에 꼭 필요한 물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형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을 녹화할 수 있는 건축물의 벽면 녹화용 포트 박스 및 그 설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벽면 녹화용 포트 박스의 설치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건축물의 벽면 녹화용 포트 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포트 박스의 평면도이고,
도 4 는 도 2 의 포트 박스에 식물을 식생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며,
도 5 는 도 1 에 도시된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포트 박스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건축물의 벽면 7 : 급수원
30 : 포트 박스 31 : 유입구
32 : 배수구 33 : 요철(凹凸)부
34 : 흙 35 : 물
36 : 녹색 식물 38 : 상부 격실
39 : 하부 격실 40 : 브라켓
42 : 앵커 볼트 50 : 격벽
51 : 관통공 60 : 심지
81 : 제 1 배관 82 : 제 2 배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건축물의 벽면에 식물이 식생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하는 벽면 녹화용 포트 박스로서, 상부에는 흙이 채워지도록 하고 하부에는 물이 채워지도록 상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을 상, 하부 격실로 나누면서, 상기 상, 하부 격실 간에 물의 이동을 위한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격벽과, 상기 하부 격실로 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하부 격실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와, 상기 하부 격실에 유입된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이 자연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수구와, 상기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시키도록 외면에 형성된 고정 수단 및, 상기 격벽의 관통공에 삽입시키는 심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격실로 유입되는 물을, 최대 상기 배수구 높이까지의 양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심지를 통해 하부 격실에서 상부 격실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다수 개의 상기 포트 박스를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하는 건축물의 벽면 녹화용 포트 박스 설치 시스템으로서, 상기 건축물의 옥상 등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포트 박스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원과, 상기 건축물의 벽면 상부에 위치한 포트 박스의 배수구와 건축물의 벽면 하부에 위치한 포트 박스의 유입구를 연결하는 제 1 배관 및, 상기 급수원과, 상기 제 1 배관으로 연결된 포트박스들 중에서 가장 상부에 위치한 포트 박스의 유입구를 연결하는 제 2 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은,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은, 상기 제 2 배관을 통해 중력에 의해 상기 건축물의 벽면에 가장 상부에 위치한 포트 박스의 유입구로 유입된 후 상기 제 1 배관을 통해 가장 하부에 위치한 포트 박스의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면 녹화용 포트 박스 설치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의 벽면 녹화용 포트 박스 및 그 설치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벽면 녹화용 포트 박스의 설치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건축물의 벽면 녹화용 포트 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포트 박스의 평면도이고, 도 4 는 도 2 의 포트 박스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며, 도 5 는 도 1 에 도시된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포트 박스의 측면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 박스(30)는 건축물의 벽면(1) 전체에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다수의 열인 3 열로 상호 어긋나게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된 포트 박스(30)는, 다수의 제 1 배관(81)과, 제 2 배관(82)에 의해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건축물의 옥상 등 상부에 위치한 급수원(7)을 통해 물을 공급받는다.
상기 제 1 배관(81)은, 상부에 위치한 포트 박스(30)의 물이 하부에 위치한포트 박스(30)로 흘러갈 수 있도록, 상, 하부의 포트 박스(30) 각각에 연결된다. (30①과 30③, 30②와 30⑤ 등)
그리고, 다수의 열로 배치된 포트 박스(30)들 중에서 아래에 위치한 포트 박스(30⑦과 30⑧)와 최하단에 위치한 한 개의 포트 박스(30⑨)도 또한 제 1 배관(81)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 2 배관(82)은, 상기 제 1 배관(81)으로 연결된 포트 박스(30)들 중에서 가장 상부에 위치한 포트 박스(30①과 30②)와 급수원(7)을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급수원(7)에 저장된 물은, 중력에 의해 상기 건축물의 벽면(1)에 고정된 포트 박스(30)중 가장 상부에 위치한 포트 박스(30①과 30②)로 유입되어 차례로 아래의 포트 박스(30)를 통과하면서 가장 하부에 위치한 포트 박스(30⑨)를 통해 배출되면서 식물에 수분을 고르게 공급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벽면(1)에 고정된 포트 박스(3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트 박스(30)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의 박스형 구조로서, 바깥쪽 배면에는 브라켓(40)이 네 개의 모서리에 각각 고정되며, 앵커 볼트(42)가 이러한 브라켓(40)의 구멍을 관통하여 벽면(1)에 박힘으로써 포트 박스(30)는 벽면(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포트 박스(30)의 정면에는 포트 박스(30)를 보강하기 위해 요철(凹凸)부(33)가 교번하여 형성된다.
한편, 포트 박스(30)는,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개방된부위보다 하부의 폐쇄면의 면적이 작은 구조로서, 그 정단면이 역사다리꼴의 형상을 갖고 있으며, 포트 박스(30)의 안쪽 하부에는 저면과 평행한 격벽(50)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포트 박스(30)의 내부는 격벽(50)을 기준으로 상부 격실(38)과 하부 격실(39)로 구분된다.
그리고, 이러한 격벽(50)에는 다수 개의 관통공(51)이 형성되고, 이러한 관통공(51)에는, 예를 들면 부직포나 헝겊과 같은 재질의 심지(60)가 박혀 상부 격실(38)과 하부 격실(39)에 걸쳐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 격실(38)에는 식물이 식생할 수 있는 흙(34)이 채워진다.
또한, 하부 격실(39)의 일측면에는 유입구(31)와, 상기 유입구(31)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배수구(32)가 형성된다.
이러한 포트 박스(30)의 하부 격실(39)에는 물(35)이 일정한 높이 즉, 유입구(31)를 통해 유입된 물은 배수구(32)의 높이만큼 채워진다.
그리고, 격벽(50)의 관통공(51)에는 심지(60)가 박혀 있어, 하부에 위치한 물은 심지(60)의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부에 위치한 흙(34)으로 이동하면서 식물(36)에 수분을 지속적이고 고르게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조 및 배치 구조를 갖는 건축물의 벽면 녹화용 포트 박스의 급수 관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열인 3열로 배치된 포트 박스(30)들 중에서 가장 위에 위치한 포트 박스(30①과 30②)의 유입구(31)에는 급수원(7)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원(7)으로부터 공급된 물은 제 2 배관(82)을 통해 상부에위치한 포트 박스(30①과 30②)의 하부 격실(39)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유입된 물은 하부 격실(39)에 채워지고 계속 수위가 상승하여 배수구(32)의 높이를 초과하게되면, 배수구(32)를 통해 하부에 위치한 포트 박스(30③과 30⑤)로 흘러간다.
이러한 하부의 포트 박스(30③)의 유입구(31)를 통해 유입된 물은 하부 격실(39)에 채워지고 그 포트 박스(30③)의 배수구(32)를 통해 또 다른 아래의 포트 박스(30⑥), 포트 박스(30⑦)로 흘러간다.
또한, 하부의 포트 박스(30⑤)의 유입구(31)를 통해 유입된 물은 하부 격실(39)에 채워지고 그 포트 박스(30⑤)의 배수구(32)를 통해 또 다른 아래의 포트 박스(30⑧)로 흘러간다.
결국, 포트 박스(30⑦)의 물과 포트 박스(30⑧)의 물과 합쳐지면서 최하단에 위치한 포트 박스(30⑨)에 도달하게된다.
최하단에 위치한 포트 박스(30⑨) 또한 상부의 포트 박스들과 마찬가지로 유입구(31)를 통해 하부 격실(39)에 물이 채워지고 배수구(32)를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각 포트 박스(30)에는 항상 배수구(32)의 수위 만큼의 물이 채워지며 이러한 물은 심지(60)를 통해 식물(36)에 지속적으로 고르게 공급됨으로써,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수분을 원활하게 제공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건축물의 벽면 녹화용 포트박스 및 그 설치 시스템에 의하면, 대형 건축물의 수직 벽면을 따라 다수 개의 포트 박스들이 위치하고 이러한 포트 박스들에는 물이 공급됨으로써, 포트 박스에 수용된 흙에 식물이 식생하면서 대형 건축물의 수직 벽면 전체를 충분하게 덮을 수 있다. 따라서, 삭막한 느낌의 콘크리트 구조물들을 덩굴과 등의 식물로 덮어 조경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건축물의 벽면 녹화용 포트 박스 및 그 설치 시스템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2)

  1. 건축물의 벽면에 식물이 식생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하는 벽면 녹화용 포트 박스로서,
    상부에는 흙이 채워지도록 하고 하부에는 물이 채워지도록 상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을 상, 하부 격실로 나누면서, 상기 상, 하부 격실 간에 물의 이동을 위한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격벽과,
    상기 하부 격실로 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하부 격실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와,
    상기 하부 격실에 유입된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이 자연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수구와,
    상기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시키도록 외면에 형성된 고정 수단 및,
    상기 격벽의 관통공에 삽입시키는 심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격실로 유입되는 물을, 최대 상기 배수구 높이까지의 양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심지를 통해 하부 격실에서 상부 격실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면 녹화용 포트 박스.
  2. 다수 개의 청구항 제 1 항의 포트 박스를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 설치하는 건축물의 벽면 녹화용 포트 박스 설치 시스템으로서,
    상기 건축물의 옥상 등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포트 박스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원과,
    상기 건축물의 벽면 상부에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 설치된 포트 박스의 배수구와 건축물의 벽면 하부에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 설치된 포트 박스의 유입구를 연결하는 제 1 배관 및,
    상기 급수원과, 상기 제 1 배관으로 연결된 포트 박스들 중에서 가장 상부에 위치한 포트 박스의 유입구를 연결하는 제 2 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은, 상기 제 2 배관을 통해 중력에 의해 상기 건축물의 벽면에 가장 상부에 위치한 포트 박스의 유입구로 유입된 후 상기 제 1 배관을 통해 가장 하부에 위치한 포트 박스의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면 녹화용 포트 박스 설치 시스템.
KR2020020006899U 2002-03-08 2002-03-08 건축물의 벽면 녹화용 포트 박스 및 그 설치 시스템 KR2002781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899U KR200278170Y1 (ko) 2002-03-08 2002-03-08 건축물의 벽면 녹화용 포트 박스 및 그 설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899U KR200278170Y1 (ko) 2002-03-08 2002-03-08 건축물의 벽면 녹화용 포트 박스 및 그 설치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2608A Division KR20030073197A (ko) 2002-03-08 2002-03-08 건축물의 벽면 녹화용 포트 박스 및 그 설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8170Y1 true KR200278170Y1 (ko) 2002-06-20

Family

ID=73118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899U KR200278170Y1 (ko) 2002-03-08 2002-03-08 건축물의 벽면 녹화용 포트 박스 및 그 설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17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158B1 (ko) 2011-04-06 2011-06-13 국병환 양액 흡수식 전달장치가 구비된 화분장치
KR101153454B1 (ko) 2009-07-14 2012-06-27 대한민국 옥상 텃밭용 작물 재배상자
WO2012138106A2 (ko) * 2011-04-06 2012-10-11 Gug Byeung Hwan 양액 흡수식 전달장치가 구비된 화분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454B1 (ko) 2009-07-14 2012-06-27 대한민국 옥상 텃밭용 작물 재배상자
KR101041158B1 (ko) 2011-04-06 2011-06-13 국병환 양액 흡수식 전달장치가 구비된 화분장치
WO2012138106A2 (ko) * 2011-04-06 2012-10-11 Gug Byeung Hwan 양액 흡수식 전달장치가 구비된 화분장치
WO2012138106A3 (ko) * 2011-04-06 2012-12-20 Gug Byeung Hwan 양액 흡수식 전달장치가 구비된 화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0020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озеленяемой стены
JP5142498B2 (ja) 草木用の植栽装置と植栽構造
KR101296738B1 (ko) 벽면녹화용 화분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 수직정원 시스템
JP2008043241A5 (ko)
JPH07274729A (ja) 緑化用植栽ユニット棚
WO2010142000A1 (en) Vegetation support system
KR100844108B1 (ko)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를 적재하기 위한 벤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
KR100885004B1 (ko) 초박형 옥상녹화 시스템
KR200278170Y1 (ko) 건축물의 벽면 녹화용 포트 박스 및 그 설치 시스템
KR20030073197A (ko) 건축물의 벽면 녹화용 포트 박스 및 그 설치 시스템
JP5252199B2 (ja) 浮体ビオトープ
KR100876938B1 (ko) 지붕 녹화용 식생 유니트
KR101230730B1 (ko)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
JP2007244339A (ja) 緑化ユニット
KR20060044396A (ko) 생태형 수직차음 벽체 녹화 시스템
KR200277373Y1 (ko) 건축물의 벽면 녹화 시스템
KR200402616Y1 (ko) 벽면녹화 시공구조
KR200411792Y1 (ko) 수로관
JP2003116356A (ja) 植栽トレー
JP2000201536A (ja) 壁面等の緑化用コンテナ
KR101127628B1 (ko) 인공지반토양 적치를 위한 조경용 식생 상자
JP4657683B2 (ja) 壁面緑化設備
CN208063935U (zh) 一种蔬菜种植盆
KR100619528B1 (ko) 건축단지용 조립식화단
JP2006246830A (ja) 緑化エリアの仕切材及び仕切構造、緑化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