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373Y1 - 건축물의 벽면 녹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벽면 녹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373Y1
KR200277373Y1 KR2020020006900U KR20020006900U KR200277373Y1 KR 200277373 Y1 KR200277373 Y1 KR 200277373Y1 KR 2020020006900 U KR2020020006900 U KR 2020020006900U KR 20020006900 U KR20020006900 U KR 20020006900U KR 200277373 Y1 KR200277373 Y1 KR 2002773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ort
wall
buildin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9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호
이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설그린
이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설그린, 이은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설그린
Priority to KR20200200069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3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3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373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벽면에 식물을 식생하는 벽면 녹화 시스템으로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면 전체에 식물이 식생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하는 건축물의 벽면 녹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부에는 흙이 채워지도록 하고 하부에는 물이 채워지도록 상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을 상, 하부 격실(35, 36)로 나누면서, 상, 하부 격실(35, 36) 간에 물의 이동을 위한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격벽(33)과, 하부 격실(36)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부 격실(36)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31)와, 하부 격실(36)에 유입된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이 자연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수구(32) 및, 격벽(33)의 관통공(34)에 삽입시키는 심지(37)를 포함하고, 하부 격실(36)로 유입되는 물을, 최대 배수구(32) 높이까지의 양으로 유지하면서 심지(37)를 통해 하부 격실(36)에서 상부 격실(35)로 이동시키는, 외면에 형성된 고정 수단을 통해 건축물의 수직 벽면(1)에 고정 배치되는 다수의 포트 박스(30)와, 다수의 포트 박스(30)의 배수구(32)와 유입구(31)를 연결하는 제 1 배관(71)을 포함하는 식생부와, 제 1 배관(71)을 통해 가장 상부에 위치한 포트 박스(30①과 30②)의 유입구(31)로 제 1 전자 밸브(91)를 작동시켜 물을 공급하는 건축물의 옥상 등 상부에 위치하는 보조 탱크(20)와, 보조 탱크(20)에 연결되는 제 2 배관(72)을 통해 보조 탱크(20)에 급수 펌프(60)를 작동시켜 물을 공급하는 주 탱크(10)를 포함하는 급수부와, 보조 탱크(20)와 벽면(1) 최하단에 위치한 포트 박스(30⑨)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설치된 제 1 및 제 2 감지 센서(80b, 80c)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제 1 전자 밸브(91) 또는 급수 펌프(60)를 작동시키면서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40) 및, 제어부(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50)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벽면 녹화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건축물의 벽면 녹화 시스템{Green system of structure}
본 고안은 대형 건축물의 수직 벽면에 식물이 식생할 수 있도록 식생 조건을 제공하는 벽면 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덩굴식물 등과 같이 벽을 타고 자라는 식물이 대형 건축물의 수직 벽면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식생 조건을 제공하는 건축물의 벽면 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도시에 대형 철근 콘크리트 건물이 무분별하게 다수 건설됨으로써 도시를 '회색 도시'라고 할 만큼 자연 환경과는 멀어지고 있다. 여기서, 회색 도시란 대표적인 인공 구조물 중에 하나인 콘크리트를 나타낸 것으로서, 대형 철근콘크리트 벽이 회색을 띠고 있으므로 붙여진 이름이다.
이와 같은 대형 건물이 건축되면서 대도시에서 흙을 보거나 밟을 수 있는 면적이 점차 작아지고, 따라서 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이 감소되어 더욱 삭막한 도시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최근 들어 이러한 도시의 삭막한 환경을 조금이나마 개선하고자 '도시의 녹색화' 운동이 진행되면서 도시의 조경을 변화시키려는 움직임들이 일고 있다.
이러한 하나의 예로서, 식물이 건물의 수직 벽면을 타고 상부로 성장하여 나가면서 식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식물중 덩굴식물의 경우에는 벽면을 타고 상부로 성장하여 나가지만, 여기에는 한계가 있어 덩굴식물이 수직으로 자라 올라갈 수 있는 높이는 10m 이하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대형 건축물의 벽면과 연장된 지면에 덩굴식물을 식생하더라도 대형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을 약 10m정도만 덮을 수 있고, 그 이상의 콘크리트 벽면은 그대로 노출된다.
또한, 이미 대부분 개발된 상태인 대도시의 경우에는 수많은 대형 건물들이 건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이미 건축된 수십미터 또는 그 이상의 높이를 갖는 대형 건물의 콘크리트 벽을 덮을만한 적합한 식물을 찾기도 어려워 도시의 조경을 큰 폭으로 개선하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또한, 빗물의 수자원으로서의 유효 적절한 활용을 도모할 필요도 있게된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대형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하고 여기에 식생하는 식물에 수분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대형 건축물의 벽면을 식물이 충분하게 덮음으로써 대형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을 녹화할 수 있는 건축물의 벽면 녹화 시스템을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식물에 공급되는 물을 식수로 사용하는 수돗물뿐만 아니라 자연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는 빗물도 함께 공급할 수 있도록 수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도모하는 건축물의 벽면 녹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벽면 녹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건축물의 벽면 녹화 시스템의 포트 박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포트 박스의 평면도이고,
도 4 는 도 2 의 포트 박스에 식물을 식생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5 는 도 1 의 벽면 녹화 시스템의 구성중 주 탱크의 단면도이며,
도 6 은 도 1 의 벽면 녹화 시스템의 구성중 보조 탱크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건축물 벽면 10 : 주 탱크
12 : 빗물 유입구 13 : 수돗물 유입구
14 : 과다 빗물 배출구 20 : 보조 탱크
30 : 포트 박스 40 : 제어부
50 : 전원 공급부 60 :급수 펌프
71 : 제 1 배관 72 : 제 2 배관
73 : 상수도관
80a, 80b, 80c : 워터 디텍터(Water Detector)
81, 82, 83 : 접지봉 91 : 제 1 전자 밸브
92 : 제 2 전자 밸브 100 : 벽면 녹화 시스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부에는 흙이 채워지도록 하고 하부에는 물이 채워지도록 상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을 상, 하부 격실로 나누면서, 상기 상, 하부 격실 간에 물의 이동을 위한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격벽과, 상기 하부 격실로 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하부 격실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와, 상기 하부 격실에 유입된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이 자연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수구 및, 상기 격벽의 관통공에 삽입시키는 심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격실로 유입되는 물을, 최대 상기 배수구 높이까지의 양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심지를 통해 하부 격실에서 상부 격실로 이동시키는, 외면에 형성된 고정 수단을 통해 건축물의 수직 벽면에 고정 배치되는 다수의 포트 박스와, 상기 다수의 포트 박스의 배수구와 유입구를 연결하는 제 1 배관을 포함하는 식생부와, 상기 제 1 배관을 통해 가장 상부에 위치한 포트 박스의 유입구로 제 1 전자 밸브를 작동시켜 물을 공급하는 상기 건축물의 옥상 등 상부에 위치하는 보조 탱크와, 상기 보조 탱크와 주 탱크를 연결하는 제 2 배관을 통해 상기 보조 탱크에 급수 펌프를 작동시켜 물을 공급하는 주 탱크를 포함하는 급수부와, 상기 보조 탱크와 상기 벽면 최하단에 위치한 포트 박스에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설치된 제 1 및 제 2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전자 밸브 또는 급수 펌프를 작동시키면서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벽면 녹화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 탱크는, 지붕 또는 옥상에 설치된 우수관을 통해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도록 상부에 형성된 빗물 유입구와, 상기 빗물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빗물이 과다한 경우, 이러한 과다한 빗물이 배출되도록 형성된 과다 빗물 배출구와, 내부의 물이 일정 수위 이하이면 상수도관을 통해 수돗물이 유입되도록 상부에 형성된 수돗물 유입구 및,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내부에 설치된 제 3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상수도관을 통해 상기 수돗물 유입구로 상기 제 2 전자 밸브를 작동시키면서 수돗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건축물의 벽면 녹화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의 벽면 녹화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벽면 녹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건축물의 벽면 녹화 시스템의 포트 박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포트 박스의 평면도이고, 도 4 는 도 2 의 포트 박스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5 는 도 1 의 벽면 녹화 시스템의 구성중 주 탱크의 단면도이며, 도 5 는 도 1 의 벽면 녹화 시스템의 구성중 보조 탱크의 단면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벽면 녹화 시스템(100)은, 건축물의 벽면(1)에 식생할 수 있는 조건들을 제공하는 식생부와, 이러한 식생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부는, 건축물의 지붕 또는 옥상으로부터 연장된 우수관(11)과 연결되어 빗물을 공급받으며 동시에 상수관(73)이 연결되어 수돗물을 공급받아 저장할 수도 있는 주 탱크(10)와, 상기 건축물의 상부, 예를 들면 옥상 등에 위치하며 상기 주 탱크(10)로부터 연장된 제 2 배관(72)이 연결된 보조 탱크(20) 및, 제 2 배관(72)을 통해 주 탱크(10)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 펌프(60)를 구비한다.
상기 식생부는, 건축물의 벽면(1) 상부에서 하부로 복수의 열로 배치되어 고정되며 식물이 식생할 수 있는 흙을 수용하고 있는 포트 박스(30)들을 포함하며, 제 1 배관(71)들이 상기 보조 탱크(20)와 각 열의 최상단에 위치한 포트 박스(30①과 30②)와, 그리고 그 아래의 포트 박스(30③)와 포트 박스(30⑤)를 상호 연결한다.
이와 같이, 상호 연결된 포트 박스(30)중, 최하단에 위치한 포트 박스(30⑨)는 한 개로서, 제 1 배관(71)이 최하단 포트 박스(30⑨)의 유입구(31)와 복수의 열로 배치된 포트 박스(30) 중에서 맨 아래의 포트 박스(30⑦과 30⑧)들의 배수구(32)를 연결한다.
한편, 최하단 포트 박스(30⑨)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고, 보조 탱크(20)와 주 탱크(10)는 물을 저장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물의 양을 감지할 필요가 있게 되며, 이를 위해 워터 디텍터(Water Detector)(80a, 80b, 80c)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보조 탱크(20)에서 최상단 포트 박스(30①과 30②)를 연결하는 제 1 배관(71)에는 제 1 전자 밸브(91),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되고, 상수도관(73)과 주 탱크(10) 사이에는 제 2 전자 밸브(92),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되어 포트 박스(30)로 공급되는 물을 제어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벽면 녹화 시스템(100)에서, 물의 공급을 위한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는, 전원 공급부(50)를 통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50)의 전원은,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51)에서 발생하는 전기를 저장한 축전지(52)의 전원이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변압기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또는 양자를 모두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벽면(1)에 고정되는 포트 박스(30)는 상부 방향으로 개방된 박스형으로서, 포트 박스(30) 안쪽 하부에는 바닥면과 평행하게 격벽(33)이 위치하며, 격벽(33)을 기준으로 상부 격실(35)에는 흙이 채워지고 하부 격실(36)에는 물이 채워진다.
그리고, 이러한 격벽(33)에는 다수의 관통공(34)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관통공(34)에는 예를 들면 부직포나 헝겊과 같은 재질의 심지(37)를 삽입시킨다. 관통공(34)에 삽입된 심지(36)의 상단은 흙의 내부에 위치하고 하단은 물에 침지된다.
이러한 포트 박스(30)의 흙에는 덩굴식물을 식생하며, 격벽(33)의 관통공(34)을 관통한 복수의 심지(37)의 모세관 현상에 의해 하부 격실(36)에 저장된 물이 흙으로 이동하면서 식물에 수분을 공급한다.
한편, 포트 박스(30)의 하부 격실(36)에 물이 저장되기 위해서는 포트 박스(30)의 케이스에 유입구(31)가 형성되고, 또한 그 포트 박스(30)의 하부에 위치한 다른 포트 박스(3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배수구(32)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포트 박스(30)들 사이의 유입구(31)와 배수구(32)는 제 1 배관(71)에 의해 연결되어 물의 흐름을 유도하는데, 우선 보조 탱크(20)로부터 연장된 제 1 배관(71)은 최상단의 포트 박스(30①과 30②)의 유입구(31)에 연결되고, 최상단 포트 박스(30①과 30②)의 배수구(32)에 연결된 제 1 배관(71)은 하부에 위치한 포트 박스(30③과 30⑤)의 유입구(31)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반복되어 건축물의 벽면(1) 전체에 포트 박스(30)가 지그재그(zig-zag) 또는 일렬식으로 고정된다.
이때, 포트 박스(30)의 배면에는 브라켓(도면에 도시안됨)이 형성되고, 이러한 브라켓을 관통하는 앵커 볼트(도면에 도시안됨)가 벽면(1)에 고정되면서 포트 박스(30)는 벽면(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도 1,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단 포트 박스(30⑨)와 보조 탱크(20)와 주 탱크(10)에 설치된 워터 디텍터(Water Detector)(80a, 80b, 80c)는, 3단의 접지봉 센서로서, 3개의 접지봉(81, 82, 83) 중에서 길이가 가장 긴 제 1 접지봉(81)은 접지용으로 바닥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하며, 제 3 접지봉(83)은 가장 짧은 길이로서 만 수위를 감지하며, 제 2 접지봉(82)은 중간 길이로서 저장하고 있어야 할 물의 최저 수위를 감지한다.
따라서, 제 1 접지봉(81)이 물에 접지된 상태에서, 제 2 접지봉(82)이 물과 접지되지 않으면 워터 디텍터(80a, 80b, 80c)에서는 물 부족신호를 출력하고, 제 3접지봉(83)이 물에 접지되면 만수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주 탱크(10)에 설치된 워터 디텍터(80a)는 감지한 수위의 정보를 갖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40)로 출력하고, 제어부(40)에서는 주 탱크(10)의 워터 디텍터(80a)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제 3 배관(73)에 설치된 제 2 전자 밸브(92)의 개폐를 제어한다. 이는, 빗물 유입구(12)로 유입되는 빗물이 부족하여 주 탱크(10)를 채우지 못하는 경우에 작동한다.
제 2 전자 밸브(92)는 주 탱크(10)에 설치된 워터 디텍터(80a)의 신호에 따라 개폐되면서 주 탱크(10) 내부의 물의 양을 제어하는데, 이때 주 탱크(10)에 설치된 워터 디텍터(80a)로부터 물 부족신호가 출력되면 제 2 전자 밸브(92)는 개방되어 상수도관(73)의 수돗물이 주 탱크(10)로 공급되고, 만수신호가 출력되면 제 2 전자 밸브(92)는 폐쇄하여 수돗물의 공급을 차단한다.
한편, 보조 탱크(20)에 설치된 워터 디텍터(80b) 또한, 보조 탱크(20)의 수위정보를 갖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40)로 출력하고, 제어부(40)는 보조 탱크(20)에 설치된 워터 디텍터(80b)의 출력 신호에 따라 제 2 배관(72)에 설치된 급수 펌프(60)의 작동을 제어한다. 물 부족신호의 출력에 의해 급수 펌프(60)는 작동하여 주 탱크(10)의 물을 건축물의 상부에 설치된 보조 탱크(20)로 펌핑하고, 만수 신호가 출력되면 급수 펌프(60)의 가동을 중지한다.
그리고, 최하단 포트 박스(30⑨)에 설치된 워터 디텍터(80c) 또한, 포트 박스(30⑨) 내부의 하부 격실(36)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고 수위 정보를 갖는 전기적 신호가 제어부(40)로 출력되고, 제어부(40)에서는 입력된 최하단 포트박스(30⑨)에 설치된 워터 디텍터(80c)의 신호에 따라 제 1 배관(71)에 설치된 제 1 전자 밸브(91)를 개폐하여 물의 공급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최하단 포트 박스(30⑨)의 수위에 따라 제 1 배관(71)에 설치된 제 1 전자 밸브(91)가 개폐되는 이유 및, 식생부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보조 탱크(20)의 배수구(22)에 연결된 제 1 배관(71)을 통해 보조 탱크(20)의 물은 각 포트 박스(30① 내지 30⑨)로 유입된다.
이때, 보조 탱크(20)는 최상단 포트 박스(30①과 30②)보다 높게 위치하므로 물은 중력에 의해 제 1 배관(71)을 따라 최하단 포트 박스(30⑨)까지 흘러내린다.
따라서, 최하단 포트 박스(30⑨)에 수위가 낮다는 것은 그 상부에 위치한 다른 포트 박스(30① 내지 30⑧)의 물이 부족하다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최하단 포트 박스(30⑨)에 설치된 워터 디텍터(80c)의 신호에 의해 제어부(40)는 제 1 배관(71)에 설치된 제 1 전자 밸브(91)를 개방하여 포트 박스(30)에 물을 공급한다.
즉, 워터 디텍터(80c)의 물 부족신호에 따라 제어부(40)는, 제 1 배관(71)의 제 1 전자 밸브(91)를 개방시키고, 만수 신호에 따라 제어부(40)는 제 1 전자 밸브(91)를 폐쇄시키도록 제어한다.
한편, 이러한 포트 박스(30)는 건축물의 외부 벽면(1)에 고정되기 때문에 우천시에는 제 1 배관(71)의 제 1 전자 밸브(91)를 폐쇄하더라도 빗물이 각 포트 박스(30)로 유입되고 제 1 배관(71)을 따라 유동하여 최하단 포트 박스(30⑨)로 유입되어 만 수위를 초과하게 된다. 이렇게 만 수위를 초과하게 되면 최하단 포트 박스(30⑨)의 물은 배수구(32)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주 탱크(10)에는 우수관(11)과 연결된 빗물 유입구(12)와 상수도관(73)이 연결되는 수돗물 유입구(13) 및, 만 수위를 초과하였을 때에 배수되도록 형성된 과다 빗물 배출구(14)가 형성된다. 여기서, 과다 빗물 배출구(14)는 장마 또는 집중 호우시에 우수관(11)을 통해 지속적으로 빗물이 공급되어 만 수위를 초과할 경우 과다 빗물 배출구(14)를 통해 초과된 빗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집중 호우시 빗물과 함께 오염원이 주 탱크(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우수관(11)에는 메시(mesh)가 설치되는 것이 양호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건축물의 벽면 녹화 시스템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주 탱크(10)에 물을 채운다. 이 때, 건축물의 지붕 또는 옥상에서 연장된 우수관(11)을 통해 빗물이 우선적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빗물이 부족한 경 우에는 보충적으로 상수도관(73)의 제 2 전자 밸브(92)를 개방하여 상수도관(73)으로부터 수돗물을 유입하여 물을 채우게된다.
이와 같이, 물이 채워지면서 수위는 상승하는데, 이 때, 주 탱크(10)에 설치된 워터 디텍터(80a)로 그 수위를 감지하고 감지된 수위 정보를 갖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40)에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부(40)에서는 그 전기적 신호에 따라 제 2 전자 밸브(92)를 개폐시키면서 내부의 수위를 제어한다.
한편, 보조 탱크(20)에 물이 부족하여 보조 탱크(20)에 설치된 워터디텍터(80b)에서 물 부족신호가 출력되어 제어부(40)로 입력되면, 제어부(40)에서는 급수 펌프(60)를 작동시켜 주 탱크(10)의 물을 건축물의 옥상 등에 설치된 보조 탱크(20)로 이송한다.
이와 같이, 보조 탱크(20)의 내부에 물이 채워지면서 수위는 상승하는데, 이 또한 보조 탱크(20)의 내부에 위치한 워터 디텍터(80b)를 통해 그 수위를 감지하고 만수시에는 다시 제어부(40)를 통해 급수 펌프(60)를 정지시키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40)에서는 최하단 포트 박스(30⑨)에 설치된 워터 디텍터(80c)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제 1 배관(71)에 설치된 제 1 전자 밸브(91)를 개폐하는데, 포트 박스(30⑨)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낮을 경우에 제 1 전자 밸브(91)를 개방하여 보조 탱크(20)에 저장된 물이 건축물의 벽면(1)에 고정된 포트 박스(30) 전체에 공급되도록 한다.
한편, 우천시에는 각 포트 박스(30)로 빗물이 떨어지고, 이들 빗물은 제 1 배관(71)들을 통해 최하단 포트 박스(30⑨)로 유동한다. 이 때, 빗물의 유입이 계속되면 최하단 포트 박스(30⑨)의 물은 만수위를 초과하게 되므로, 최하단 포트 박스(30⑨)의 배수구(32)를 통해 물이 넘치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주 탱크(10), 보조 탱크(20) 및 최하단 포트 박스(30)에는 3단 접지봉 센서인 워터 디텍터(80a, 80b, 80c)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는 수면에 떠있으면서 수위를 감지하는 부레식 수위 감지 장치로 대치하더라도 본 고안의 목적 및 효과를 충분히 발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건축물의 벽면 녹화 시스템에 의하면, 대형 건축물의 수직 벽면을 따라 다수 개의 포트 박스들이 위치하고 이러한 포트 박스들에는 물이 적절하게 공급됨으로써, 포트 박스에 수용된 흙에 식물이 식생하면서 대형 건축물의 수직 벽면 전체를 충분하게 덮을 수 있다. 따라서, 삭막한 느낌의 콘크리트 구조물들을 덩굴과 등의 식물로 덮어 조경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게된다.
또한, 본 고안의 건축물의 벽면 녹화 시스템에 의하면, 주로 빗물을 포트 박스에 공급하여 식물에 제공하고, 빗물이 부족한 경우 이에 대한 보충으로 수돗물을 공급하여 수자원의 활용을 극대화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건축물의 벽면 녹화 시스템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하는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2)

  1. 상부에는 흙이 채워지도록 하고 하부에는 물이 채워지도록 상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을 상, 하부 격실로 나누면서, 상기 상, 하부 격실 간에 물의 이동을 위한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격벽과, 상기 하부 격실로 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하부 격실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와, 상기 하부 격실에 유입된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이 자연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수구 및, 상기 격벽의 관통공에 삽입시키는 심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격실로 유입되는 물을, 최대 상기 배수구 높이까지의 양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심지를 통해 하부 격실에서 상부 격실로 이동시키는, 외면에 형성된 고정 수단을 통해 건축물의 수직 벽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포트 박스와, 상기 다수의 포트 박스의 배수구와 유입구를 연결하는 제 1 배관을 포함하는 식생부와,
    상기 제 1 배관을 통해 가장 상부에 위치한 포트 박스의 유입구로 제 1 전자 밸브를 작동시켜 물을 공급하는 상기 건축물의 옥상 등 상부에 위치하는 보조 탱크와, 상기 보조 탱크에 연결되는 제 2 배관을 통해 상기 보조 탱크에 급수 펌프를 작동시켜 물을 공급하는 주 탱크를 포함하는 급수부와,
    상기 보조 탱크와 상기 벽면 최하단에 위치한 포트 박스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설치된 제 1 및 제 2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전자 밸브 또는 급수 펌프를 작동시키면서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면 녹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탱크는, 지붕 또는 옥상에 설치된 우수관을 통해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도록 상부에 형성된 빗물 유입구와,
    상기 빗물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빗물이 과다한 경우, 이러한 과다한 빗물이 배출되도록 형성된 과다 빗물 배출구와,
    내부의 물이 일정 수위 이하이면 상수도관을 통해 수돗물이 유입되도록 상부에 형성된 수돗물 유입구 및,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내부에 설치된 제 3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상수도관을 통해 상기 수돗물 유입구로 상기 제 2 전자 밸브를 작동시키면서 수돗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면 녹화 시스템.
KR2020020006900U 2002-03-08 2002-03-08 건축물의 벽면 녹화 시스템 KR2002773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900U KR200277373Y1 (ko) 2002-03-08 2002-03-08 건축물의 벽면 녹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900U KR200277373Y1 (ko) 2002-03-08 2002-03-08 건축물의 벽면 녹화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2609A Division KR20030073198A (ko) 2002-03-08 2002-03-08 건축물의 벽면 녹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373Y1 true KR200277373Y1 (ko) 2002-06-01

Family

ID=73119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900U KR200277373Y1 (ko) 2002-03-08 2002-03-08 건축물의 벽면 녹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373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003A (ko) * 2002-08-14 2004-02-21 (주)대우건설 구조물 벽면녹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벽면녹화방법
KR100947487B1 (ko) 2009-10-30 2010-03-17 (주)범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벽면녹화 시스템
KR100954520B1 (ko) * 2009-11-03 2010-04-27 (주) 파루 육묘용 베드
KR101003784B1 (ko) * 2008-06-13 2010-12-23 한수그린텍 주식회사 녹화 시공물 급수 시스템
WO2015137538A1 (ko) * 2014-03-13 2015-09-17 주식회사 세파란 벽면녹화용 화분 및 그 화분을 이용한 벽면녹화 시스템
WO2015174773A1 (ko) * 2014-05-15 2015-11-19 이경자 빗물 자동공급 재배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003A (ko) * 2002-08-14 2004-02-21 (주)대우건설 구조물 벽면녹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벽면녹화방법
KR101003784B1 (ko) * 2008-06-13 2010-12-23 한수그린텍 주식회사 녹화 시공물 급수 시스템
KR100947487B1 (ko) 2009-10-30 2010-03-17 (주)범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벽면녹화 시스템
KR100954520B1 (ko) * 2009-11-03 2010-04-27 (주) 파루 육묘용 베드
WO2015137538A1 (ko) * 2014-03-13 2015-09-17 주식회사 세파란 벽면녹화용 화분 및 그 화분을 이용한 벽면녹화 시스템
KR20150107908A (ko) * 2014-03-13 2015-09-24 주식회사 세파란 벽면녹화용 화분 및 그 화분을 이용한 벽면녹화 시스템
KR101643649B1 (ko) 2014-03-13 2016-07-29 주식회사 세파란 벽면 녹화용 화분
WO2015174773A1 (ko) * 2014-05-15 2015-11-19 이경자 빗물 자동공급 재배장치
KR101572372B1 (ko) 2014-05-15 2015-11-26 이경자 빗물 자동공급 재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9819B2 (en) Rainwater catchment apparatus and plant cultivating system having rainwater catchment apparatus
US7788848B1 (en) Green wall planting module, support structure and irrigation control system
US20110093122A1 (en) Green Wall Lighting and Irrig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0963190B1 (ko) 옥상녹화용 자동관수시스템
CN208724496U (zh) 一种新型屋顶绿化种植系统
KR20120100711A (ko) 식물 트레이
KR102029239B1 (ko) 친환경 파고라
JP2007267732A (ja) 屋上緑化システム
CN207959737U (zh) 一种带雨水收集装置的屋顶绿化系统
JP4303504B2 (ja) 屋上緑化システムと屋上緑化プランター
JP2007267731A (ja) 緑化システム
JP2003213734A (ja) 雨水利用装置
CN108278002A (zh) 一种多功能智能生态建筑系统
KR200277373Y1 (ko) 건축물의 벽면 녹화 시스템
CN1883250A (zh) 雨水自动蓄供模块草坪箱
KR101033876B1 (ko) 벽체 전면 녹화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CN108915349A (zh) 一种用于海绵城市的雨水利用景观围墙
KR20030073198A (ko) 건축물의 벽면 녹화 시스템
CN211185126U (zh) 一种建筑的屋顶绿化系统
KR101030731B1 (ko) 건축 구조물의 벽면 녹화 유닛 및 이의 시공방법
JP3542992B2 (ja) 建物の屋上緑化灌水システム
KR20030073197A (ko) 건축물의 벽면 녹화용 포트 박스 및 그 설치 시스템
KR200278170Y1 (ko) 건축물의 벽면 녹화용 포트 박스 및 그 설치 시스템
JP4645169B2 (ja) 緑化基盤システム、スペーサ部材、及び緑化基盤システムの施工方法
CN213694963U (zh) 立体式建筑园艺绿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