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003B1 - 녹화용의 용기 유닛과, 그 용기 유닛을 사용한 녹화 공법 - Google Patents

녹화용의 용기 유닛과, 그 용기 유닛을 사용한 녹화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003B1
KR101228003B1 KR1020107004088A KR20107004088A KR101228003B1 KR 101228003 B1 KR101228003 B1 KR 101228003B1 KR 1020107004088 A KR1020107004088 A KR 1020107004088A KR 20107004088 A KR20107004088 A KR 20107004088A KR 101228003 B1 KR101228003 B1 KR 101228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unit
plant
main body
container
pot seed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4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8492A (ko
Inventor
아키노리 가지카와
다카시 쥬즈
가나코 고다마
Original Assignee
도호레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호레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호레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08/069043 external-priority patent/WO2009084310A1/ja
Publication of KR20100098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 등의 녹화용(綠化用)의 용기 유닛과, 그 용기 유닛을 사용한 녹화 공법에 관한 것이며, 취급이 간단하고 용이하며, 벽면 등의 녹화의 시공도 매우 용이하고 또한 단기간에 행할 수 있고, 또한 제조 비용도 염가인 녹화용의 용기 유닛과, 녹화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토양 등의 식물 재배 베이스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유닛 본체의 일면 측에, 상기 용기 유닛 본체 내에 수용되는 포트(pot) 모종 식물의 식물체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용의 용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녹화용의 용기 유닛과, 그 용기 유닛을 사용한 녹화 공법{CONTAINER UNIT FOR GREENING AND GREENING TECHNIQUE USING THE CONTAINER UNIT}
본 발명은, 녹화용(綠化用)의 용기 유닛과, 그 용기 유닛을 사용한 녹화 공법,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 구축물의 벽면 등의 앞면부 측에 설치함으로써, 그 벽면 등의 앞면부 측을 녹화하는 녹화용의 용기 유닛과, 그 용기 유닛을 설치하여 벽면 등을 녹화하는 녹화 공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 녹화 등의 요청이 높아지고, 그에 따라 도시 지역에 있어서의 각종 장소, 예를 들면, 공원, 보도 등의 장소에 인위적으로 수목(樹木)을 심는 등에 의해 녹화가 행해지고 있다.
특히, 건축물, 구축물 등이 나란히 서있는 것 같은 장소에서는, 자연목 등이 적기 때문에, 그와 같은 건축물, 구축물 등의 벽면의 녹화를 행하는 것이 활발히 시도되고 있고, 그 녹화의 공법으로서 각종의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은 벽면 녹화 기술로서, 본 발명에 근사(近似)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및 특허 문헌 3과 같은 특허 출원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관한 발명은, 건축물의 피녹화면을 따라 수열(數列), 수단(數段)으로 흙부대를 겹쳐 쌓고, 상기 흙부대의 앞면을, 원하는 형상의 틈을 전체면에 가지는 펜스(fence)에 의해 억제하고, 건축물 측면과 펜스 사이에 흙바닥을 구축하고, 흙부대 사이에는 식물의 뿌리부를 협지하여 뿌리를 부착시키고, 상기 식물은 펜스 밖으로 번무(繁茂)하게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방법은, 흙부대 사이에 식물의 뿌리부를 직접 협지하여 시공이 되므로, 그와 같이 흙부대 사이에서 식물의 뿌리부를 직접 협지시키는 것은, 흙부대의 중량에 의해 식물의 뿌리를 압착할 우려가 있으므로, 식물의 생육(生育)에 있어 반드시 바람직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한편, 특허 문헌 2에 관한 발명은, 적어도 포트(pot) 모종의 심기가 가능한 작업 개구를 적어도 앞면에 형성한 패널 프레임과, 이 패널 프레임의 바로 내측에 배치되어 지지되고, 상기 작업 개구의 외측으로부터의 절개(切開) 작업이 가능하며, 흡수성 및 복원성을 가지는 백형(bag type) 매트재(mat material)와, 이 백형 매트재의 내측에 충전되어, 식생(植生) 식물을 생육시키기 위한 식생 베이스재 또는 이것을 충전한 입체 망형(網形) 매트에 의해 구성한 녹화 패널을 개시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2에 관한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 개구의 외측으로부터의 절개 작업에 의해 백형 매트재에 커트인(절취선) 등의 절개 부분을 현장 등에서 형성하고, 그 절개 부분을 개구시키면서 포트 모종 등을 수납하는 작업을 행하므로, 그와 같은 절개 부분의 형성이나, 절개 부분을 개구시키면서 포트 모종 등을 수납하는 작업이 번잡해지므로, 시공의 작업성이 결코 양호하다고는 할 수 없었다.
원래, 상기 특허 문헌 2에 관한 발명은, 그 자체가 벽걸이 등의 장식물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의도하는 것이며, 장식성(裝飾性) 등도 의도하고 있으므로, 벽면 녹화에 필요한 시공의 작업성 등은 그다지 고려되고 있지 않은 것이다.
또한, 특허 문헌 3은, 가압 새시 바(press sash bar)에 의해 나누어진 개방창을 가지는 가압 커버와, 상기 가압 커버의 개구 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가압 커버 내에 충전한 배토(培土)를 받는 받침 접시를 가지고, 상기 가압 커버 내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개방창 측에 노출되는 식물 재배 포트를 구비한 식물 재배 포트 트레이를 설치한 다목적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 특허 문헌 3의 다목적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는, 상기 특허 문헌 3의 도 10, 도 11에도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벽면 녹화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지만, 잔디 시트와도 병용할 수도 있어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체의 구조도 복잡하며, 가압 커버, 받침 접시, 식물 재배 포트 트레이, 그 외의 구성 부재를 필요로 하는 등, 부품수도 증대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조가 복잡하며 부품수가 많기 때문에, 제조 비용도 증대하게 된다.
[특허 문헌 1] 일본공개특허 제1993-227843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공개특허 제2004-254559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제3738321호 공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기술과 같이, 식물의 뿌리부를 협지시켜 압착(壓搾)할 우려가 없고, 설치 후에 있어서도 식물을 바람직하게 생육시킬 수 있고, 또한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기술과 같이, 모종 포트를 수용하기 위한 현장에서의 백형체의 커트인 형성에 의한 절개 작업이나, 그 커트인을 넓히는 것에 의한 모종 포트를 삽입하는 작업 등의 번잡한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특허 문헌 3과 같이 구조가 복잡하거나, 부품수가 증대하지도 않고, 취급이 간단하고 용이하며, 벽면 등의 녹화의 시공도 매우 용이하고 또한 단기간에 행할 수 있고, 또한 제조 비용도 염가인 녹화용의 용기 유닛과, 녹화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토양(30) 등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유닛 본체(1)의 일면 측에, 상기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수용되는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용의 용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6)와는 별도로,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 및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2)를 용기 유닛 본체(1)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 및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 유닛 본체(1)의 개구부(2)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커버체(3)가 더 구비된다. 용기 유닛 본체(1)에는, 또한 상기 용기 유닛 본체(1)를 지지하는 유지체(34)에 걸기 위한 괘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괘지부(掛止部)는, 예를 들면, 용기 유닛 본체(1)의 저면 측에 오목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수용되는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에 대한 풍압(風壓)을 경감시키기 위한 후드부(hood member)를, 식물체(32)의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6)의 주위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상하로 배치했을 때, 위쪽의 용기 유닛으로부터 아래쪽의 용기 유닛으로 물을 끌어들일 수 있도록, 저면부(1e)와 상면부에, 도수공(導水孔)(12, 13)을 천설(穿設)할 수도 있다. 상면부에 형성되는 도수공(13)은, 상기 상면부에 형성된 오목부(11) 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수(灌水)를 행하기 위한 관수 파이프를 삽입시키는 홈부(21)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홈부(21)는, 커버체(3)의 오목부(11) 및 도수공(13)에 연통 상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유닛 본체(1)의 전체, 또는 용기 유닛 본체(1) 및 커버체(3)의 전체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토양(30) 등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할 수 있고 상면에 개구부(2)가 형성된 용기 유닛 본체(1)와,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상면 개구부(2)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커버체(3)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체(3)로 상면 개구부(2)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수용되는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한 개구부(6)가,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커버체(3)를 닫은 상태로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상하로 적층시켰을 때, 서로 상하로 인접하는 위쪽 용기 유닛의 용기 유닛 본체(1)의 저면부(1e)와 아래쪽 용기 유닛의 커버체(3)가 면접촉 상태로 되도록,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저면부(1e)와 커버체(3)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용의 용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토양(30) 등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유닛 본체(1)의 일면 측에, 상기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수용되는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6)가 형성되어 구성된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준비하고, 상기 복수 개 용기 유닛의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토양(30) 등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하는 동시에, 상기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일면 측의 개구부(6)로부터 외부에 노출시키고, 상기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한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적어도 상하로 설치하여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은, 상하뿐아니라, 좌우에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한 복수 개 용기 유닛(20)의 용기 유닛 본체(1)의 괘지부를 유지체(34)에 걸어, 상기 유지체(34)에 용기 유닛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유지체(34)로서는, 예를 들면, 프레임을 상하 좌우에 설치한 대략 격자형의 것이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토양(30) 등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할 수 있고 상면에 개구부(2)가 형성된 용기 유닛 본체(1)와,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상면 개구부(2)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커버체(3)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체(3)로 상면 개구부(2)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수용되는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한 개구부(6)가,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측면부에 형성되어 구성된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준비하고, 상기 복수 개 용기 유닛의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토양(30) 등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하고, 상기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측면부의 개구부(6)로부터 외부에 노출시키고, 상기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한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서로 상하로 인접하는 위쪽 용기 유닛의 용기 유닛 본체(1)의 저면부(1e)와 아래쪽 용기 유닛의 커버체(3)가 면접촉 상태로 되도록, 상하로 적층하는 동시에, 좌우에도 설치하여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토양 등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유닛 본체의 일면 측에, 상기 용기 유닛 본체 내에 수용되는 포트 모종 식물의 식물체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용기 유닛의 용기 유닛 본체 내에 토양 등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를 수용하는 동시에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하고, 상기 포트 모종 식물의 식물 부분을, 용기 유닛 본체의 일면 측의 개구부로부터 외부에 노출시키고, 이와 같이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이 수용되어 그 식물 부분이 외부에 노출된 용기 유닛을 다수 벽면 등의 앞면 측에 설치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매우 간단한 작업으로 벽면 등의 녹화를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결과, 시공 기간도 단축되고, 또한 시공을 위한 용구의 제조 비용도 저렴하게 할 수 있어, 간단하고 용이하게 벽면 녹화를 행할 수 있는, 이른바 조기형(早期型) 벽면 녹화인 종래의 것에 비하여, 비용을 대폭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트 모종 식물의 식물 부분을, 용기 유닛 본체의 일면 측의 개구부로부터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일면 측의 개구부를 어느 정도의 크기로 함으로써, 뿌리가 뻗는 식물을 설치할 수 있고, 이로써 토양 등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 유닛이, 상기와 같은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용기 본체를 컴팩트하게 함으로써, 시공뿐아니라 철거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상의 포트 식물을 그대로 심는 것이 가능하므로, 특별한 양생(養生)이 불필요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트 식물의 생육(生育) 상태가 좋지 않은 용기 유닛을 부분적으로 바꾸는 등의 작업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상하 좌우에 설치하여 시공함으로써, 식물의 색이나 형상을 바꾸는 등에 의해, 벽면 녹화의 디자인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기술과 같이, 백형 매트재에 커트인을 형성하는 등의 작업 개구의 외측으로부터의 절개 작업을 현장에서 행할 필요도 없고, 또한 커트인 등의 절개 부분을 개구시키면서 포트 모종 등을 수납하도록 한 번잡한 작업도 불필요해지므로, 이와 같은 종래의 벽면 녹화 공법에 비해 시공성이 현저하게 양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1의 벽면 녹화 기술과 같이, 흙부대 사이에 식물의 뿌리부를 직접 협지하도록 하는 방법은 아니기 때문에, 흙부대의 중량에 의해 식물의 뿌리가 압착될 염려도 없고, 식물의 생육을 저해시키게 될 염려도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과 같이 구조가 복잡화된, 부품수가 증대하지도 않고, 제조 비용의 증대를 초래하지도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트 모종 식물의 식물체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와는 별도로,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 및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를 용기 본체에 형성한 경우에는,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 및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작업성이 보다 양호해진다.
또한,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 및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커버체를 구비한 경우에는, 그 커버체에 의해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나 포트 모종 식물이 용기 본체로부터 뜻하지 않게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방지된다.
또한, 용기 유닛 본체 내에 수용되는 포트 모종 식물의 식물체 부분에 대한 풍압을 경감하기 위한 후드부를, 식물체의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의 주위에 형성한 경우에는, 용기 유닛 본체 내에 수용되는 포트 모종 식물의 식물체 부분에 대한 풍압을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상하로 배치했을 때, 위쪽의 용기 유닛으로부터 아래쪽의 용기 유닛으로 물을 끌어들일 수 있도록, 저면부와 상면부에, 도수공(導水孔)을 형성한 경우에는, 관수 등에 의해 위쪽의 용기 유닛에 도입된 물이, 위쪽 용기 유닛 저면부의 도수공 및 아래쪽 용기 유닛 상면부의 도수공을 통하여 아래쪽의 용기 유닛에도 도입되게 되므로, 상하로 설치된 복수 개 용기 유닛 상호 간에서의 물의 유통이 매우 양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용기 유닛의 저면부와 상면부에 각각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들 오목부 내에 상기와 같은 도수공을 형성한 경우에는, 관수 등에 의해 위쪽의 용기 유닛에 도입된 물이, 상기 위쪽의 용기 유닛 내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 등을 통과하고, 상기 위쪽 용기 유닛 저면부의 오목부 내에 바람직하게 집수되고, 그 오목부 내의 도수공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배출되는 동시에, 아래쪽 용기 유닛 상면부의 오목부 내에 바람직하게 집수되어, 그 오목부 내의 도수공으로부터 아래쪽의 용기 유닛 내로 바람직하게 물을 끌어들이게 된다. 이와 같이, 용기 유닛의 저면부와 상면부에 각각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들 오목부 내에 도수공을 형성함으로써, 그 도수공으로의 집수를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관수를 행하기 위한 관수 파이프를 삽입시키는 홈부를 형성한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녹화 유닛에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하여 다수 벽면 등의 앞면 측에 설치하는 경우에, 설치된 녹화 유닛 내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에 대한 관수를 바람직하고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관수 파이프를 삽입시키는 홈부를, 커버체의 오목부 및 도수공에 연통된 상태로 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위쪽의 용기 유닛에 도입된 물이, 연통 상태로 된 도수공을 통하여 아래쪽의 용기 유닛에 도입되어 상하로 설치된 복수 개 용기 유닛 상호 간에서의 물의 유통이 양호하게 되는 효과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용기 유닛 본체의 전체, 또는 용기 유닛 본체 및 커버체의 전체를 합성 수지로 구성한 경우에는, 용기 유닛 전체가 경량화되어, 용기 유닛의 취급이나 작업성, 나아가서는 녹화 시공의 작업성이 보다 양호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전체가 경량으로 되므로, 용기 유닛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하면, 식물이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를 심은 상태에서도, 한 손으로 취급할 수 있어, 그 결과, 설치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한 복수 개 용기 유닛의 용기 유닛 본체의 괘지부를 유지체에 걸어, 상기 유지체에 용기 유닛을 유지시키는 경우에는, 용기 유닛 본체의 괘지부를 유지체에 거는 것에 의해,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상하 또는 좌우에 설치하는 작업을, 그와 같은 유지체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고 또한 신속히 행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녹화 시공의 작업성이 한층 향상되게 된다.
특히, 유지체로서 프레임을 상하 좌우에 설치한 대략 격자형의 것을 사용한 경우에는, 복수 개 용기 유닛의 상하 좌우에 대한 배치를, 보다 규칙적이고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용기 유닛 본체의 괘지부를 유지체에 걸어 유지하므로, 안전하고 간단한 시공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괘지부를 용기 유닛 본체의 저면 측에 오목형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간단한 구성으로 괘지부를 유지체에 걸기 위한 작업을 보다 간단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의 녹화용의 용기 유닛의 개구 상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반재(半裁) 즉 반자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용기 유닛 본체의 공간부 내에 소정의 높이까지 토양을 수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용기 유닛 본체의 공간부 내에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한 후에, 용기 유닛 본체의 공간부 내에 토양을 재차 수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커버체를 닫은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커버체를 닫은 상태의 반재 단면도이다.
도 10은 다수의 용기 유닛을 유지하는 유지체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유지체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유지체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다수의 용기 유닛을 유지체에 유지시킨 상태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4는 다수의 용기 유닛을 유지체에 유지시킨 상태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15는 용기 유닛을 적층시킨 상태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의 용기 유닛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의 유지체의 배치 태양을 나타낸 개략 정면도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예의 유지체의 배치 태양을 나타낸 개략 정면도이다.
도 19는 다른 실시예의 유지체의 배치 태양을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녹화용의 용기 유닛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토양 등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유닛 본체의 일면 측에, 상기 용기 유닛 본체 내에 수용되는 포트 모종 식물의 식물체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것이다.
포트 모종 식물의 식물체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와는 별도로,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 및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를 용기 본체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 및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는, 식물체의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일면과는 다른 용기 유닛 본체의 면에 형성되지만, 특히 용기 유닛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 및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가 용기 유닛 본체에 형성됨으로써,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 및 포트 모종 식물의 용기 유닛 본체 내로의 출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 및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 유닛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커버체가 더 구비된다. 상기 커버체는, 예를 들면, 힌지부를 통하여 용기 본체에 연장 설치된다. 커버체가 힌지부를 통하여 용기 본체에 연장 설치됨으로써, 커버체의 개폐 작업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힌지부를 통하여 커버체를 용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커버체 용기 본체가 일체로 된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용기 유닛 본체에는, 또한 상기 용기 유닛 본체를 유지하는 유지체에 걸기 위한 괘지부가 형성된다. 이 괘지부는, 예를 들면, 용기 유닛 본체의 저면 측에 오목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용기 유닛 본체 내에 수용되는 포트 모종 식물의 식물체 부분에 대한 풍압을 경감하기 위한 후드부를, 식물체의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의 주위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후드부는, 용기 유닛 본체에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커버체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개구부로부터 노출되는 식물체의 부분에 대한 풍압을 경감시키기 위해, 용기 유닛 본체와 커버체의 양쪽에 후드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상하로 배치했을 때, 위쪽의 용기 유닛으로부터 아래쪽의 용기 유닛으로 물을 끌어들일 수 있도록, 저면부와 상면부에, 도수공을 천설할 수도 있다. 저면부와 상면부에는 오목부를 형성하고, 그 오목부 내에 상기와 같은 도수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용기 유닛 본체의 상부에 커버체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도수공이나 오목부는 커버체에 형성되게 된다.
또한, 관수를 행하기 위한 관수 파이프를 삽입시키는 홈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홈부는, 상면측에 형성되는 도수공이나 오목부에 연통 상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용기 유닛 본체의 상부에 커버체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홈부도 도수공이나 오목부와 함께 커버체에 형성되게 된다.
용기 유닛 본체의 전체, 또는 용기 유닛 본체 및 커버체의 전체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로 구성된다. 합성 수지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범용성의 합성 수지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내후성(耐候性)의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녹화 공법은, 토양 등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유닛 본체의 일면 측에, 상기 용기 유닛 본체 내에 수용되는 포트 모종 식물의 식물체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구성된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준비하고, 상기 복수 개 용기 유닛의 용기 유닛 본체 내에 토양 등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하고, 상기 포트 모종 식물의 식물체 부분을 상기 용기 유닛 본체의 일면 측의 개구부로부터 외부에 노출시키고, 상기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한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적어도 상하에 설치하여 시공하는 것이다.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은, 상하뿐아니라, 좌우에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을 수용한 복수 개 용기 유닛의 용기 유닛 본체의 괘지부를 유지체에 걸어, 상기 유지체에 용기 유닛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유지체로서는, 예를 들면, 프레임을 상하 좌우에 설치한 대략 격자형의 것이 사용된다.
상기 유지체로서는, 예를 들면, 강재(鋼材)로 구성된 것이 사용되고, 또한 합성 수지나 목재 등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토양이 사용되고, 그 토양으로서는, 인공 토양과 천연 토양 중 어느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의 소재는, 요점은 식물을 생육할 수 있는 것이면 토양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 폼, 섬유재, 매트재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의 녹화용 용기 유닛은,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 개구형의 용기 유닛 본체(1)와,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상면 개구부(2)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커버체(3)로 구성되어 있다. 용기 유닛 본체(1)와 커버체(3)는, 힌지부(4)를 통하여 연장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용기 유닛 본체(1), 커버체(3), 및 힌지부(4)는, 전체가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용기 유닛 본체(1), 커버체(3), 힌지부(4)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범용성의 합성 수지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내후성(耐候性)이 양호한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유닛 본체(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면 개구형의 것이며,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방의 측면부(1a, 1b, 1c, 1d)와 저면부(1e)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사방의 측면부(1a, 1b, 1c, 1d)는,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약간 경사 내측을 향하는 테이퍼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용기 유닛 본체(1)의 내부에는, 토양 등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이 수용되는 공간부(5)가 형성되어 있다.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토양(30)이 사용되고, 이와 같은 토양(30)으로서 인공 토양, 천연 토양 중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다. 포트 모종 식물(3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식물의 뿌리를 매설하고 있는 뿌리 받침(根鉢)(33)의 부분과, 상기 뿌리 받침(33)으로부터 세워설치되는 식물체(32)의 부분으로 구성되며, 용기 유닛 본체(1) 내에서는, 포트 모종 식물(31)은 옆쪽으로 수납된다.
그리고, 옆쪽으로 수납된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용기 유닛 본체(1)의 외측에 노출시키는 개구부(6)가,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측면의 개구부(6)는,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측면부(1a)의 상에지부로부터 만곡된 대략 U자형으로 되도록 잘라내어져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용기 유닛 본체(1)의 측면부(1a)를 대략 U자형으로 잘라내어 형성한 개구부(6)의 주위 에지부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양쪽의 견부(肩部)(6b, 6b)와, 측에지부(6a)와, 바닥 에지부(6c)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용기 유닛 본체(1)의 측면을 잘라내어 형성함으로써, 상기 상면 개구부(2)와 연통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측면의 개구부(6)는, 용기 유닛 본체(1)의 측면을 잘라내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커버체(3)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개구부라기보다는 오히려 커팅부이지만, 커버체(3)를 닫은 상태에서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유닛 본체(1)의 측면의 상에지부에 커버체(3)가 맞닿으므로, 개구부의 형태로 된다.
개구부(6)의 주위 에지부의 바닥 에지부(6c)의 배면 측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형으로 형성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은 유지체(34)에 거는 괘지부(28)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괘지부(28)는, 개구부(6)를 가지는 측면부(1a) 측에 형성된 것이지만, 상기 측면부(1a)와 대면하는 측면부(1c) 측에도,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체(34)에 거는 괘지부(2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의 개구부(6)가 형성된 용기 유닛 본체(1)의 측면 측에는, 상기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에 대하여 풍압을 경감시키기 위한 후드부(7)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후드부(7)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측면부(7a, 7b)와 저면부(7c)와의 3면을 에워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용기 유닛 본체(1)의 후드부(7)와 같은 방향으로, 커버체(3)에도 후드부(8)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체(3)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유닛 본체(1)의 후드부(7)의 양 측면부(7a, 7b) 및 저면부(7c)와 커버체(3)의 후드부(8)에 의해 사방이 포위된 상태로 된다. 또한, 이 용기 유닛 본체(1) 및 커버체(3)의 후드부(7, 8)에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구멍(9)이 다수 천설되어 있다. 이 구멍(9)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열로 정렬하여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용기 유닛 본체(1)의 저면부(1e)의 대략 중앙에는, 오목부(1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측이 약간 오목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하면 측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간 돌출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용기 유닛 본체(1)의 오목부(10)를 끼워 넣을 수 있는 오목부(11)가, 도 4와 같이 커버체(3)의 대략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체(3)의 오목부(11)는, 용기 유닛 본체(1)의 오목부(10)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커버체(3)의 오목부(11)가 용기 유닛 본체(1)의 오목부(10)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결과, 후술하는 도 15와 같이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적층시켰을 때, 서로 상하로 인접하는 2개의 용기 유닛 중, 위쪽의 용기 유닛에 있어서의 용기 유닛 본체(1) 저부의 오목부(10)가, 아래쪽 용기 유닛의 커버체(3)의 오목부(11)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된다.
또한,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오목부(10)와 커버체(3)의 오목부(11)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직사각형상의 복수 개의 도수공(12, 13)이 각각 천설되어 있다.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오목부(10)에 있어서의 도수공(12)과, 커버체(3)의 오목부(11)에 있어서의 도수공(13)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적층시켰을 때, 상하로 인접하는 위쪽의 용기 유닛에 있어서의 용기 유닛 본체(1)의 오목부(10)의 도수공(12)과, 아래쪽의 용기 유닛에 있어서의 커버체(3) 오목부(11)의 도수공(13)이, 약간 이격되면서도 대략 연통된 상태로 되도록, 각각의 오목부(10, 11)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체(3)의 배면 측의 소정 위치에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14)는, 커버체(3)를 닫았을 때, 용기 유닛 본체(1)의 측면 개구부(6)를 형성하는 주위 에지부(6a) 중, 후술하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비교적 위쪽의 주위 에지부(6b)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4)의 저부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수용의 구멍(23)이 천설되어 있다.
또한, 용기 유닛 본체(1)의 상단부 주위 에지부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15)가 약간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15)에는, 대략 등간격으로 복수 개의 구멍(16)이 천설되어 있고, 상기 구멍(16)에 삽입 가능한 돌기(17)가, 커버체(3)의 배면 측에 대략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면의 개구부(6)가 형성된 용기 유닛 본체(1)의 측면부(1a)와 대면하는 측면부(1c)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긴 구멍(18)이 천설되어 있다. 상기 긴 구멍(18)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2열로 정렬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면의 개구부(6)가 형성된 측면부(1a) 및 긴 구멍(18)이 형성된 측면부(1c)와 인접하는 길이 방향의 측면부(1b, 1d)의 외측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세로 방향에 리브(1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체(3)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수 파이프를 삽입하기 위한 홈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부(21)는, 상기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체의 오목부(11)와 연통 상태로 되도록, 나아가서는 도수공(13)과도 연통 상태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용기 유닛 본체(1)의 후드부(7)의 하부 선단 에지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방향으로 돌기(27)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커버체(3)의 비교적 측부에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22)가 형성되어 있고,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상하로 적층시켰을 때, 도 15와 같이 위쪽 용기 유닛의 용기 유닛 본체(1)의 돌기(27)가, 아래쪽 용기 유닛의 커버체(3) 오목부(22)에 삽입되도록, 돌기(27)와 오목부(2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22)의 저부에는, 배수용의 구멍(24)이 천설되어 있다. 또한, 커버체(3)의 사방 주위에는, 하강편(25)이 하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녹화용의 용기 유닛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녹화 공법의 일실시예인 벽면 녹화를 행하는 공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체(3)를 열어 상면 개구부(2)를 개구시킨 상태에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로서의 토양(30)을 용기 유닛 본체(1)의 공간부(5) 내에 수용한다. 토양(30)으로서 인공 토양과 천연 토양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 경우, 용기 유닛 본체(1) 측면 개구부(6)의 주위 에지부(6a)에 있어서의 하부 에지부(6c)의 위치까지 토양(30)을 수용한다. 이것은, 측면의 개구부(6)로부터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노출시킬 필요가 있고, 그 때, 식물체(32)의 위치가 측면의 개구부(6)의 위치와 합치하도록, 포트 모종 식물(31)을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설치하는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서이다.
다음에, 포트 모종 식물(31)을 용기 유닛 본체(1)의 공간부(5) 내에 수용하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토양(30) 상에 탑재한다. 이 때, 도 6과 같이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측면의 개구부(6)로부터 노출시킨다. 따라서, 토양(30) 상에 탑재되는 것은, 포트 모종 식물(31)의 뿌리 받침(33) 부분이다.
다음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또한 토양(30)을 용기 유닛 본체(1)의 공간부(5) 내에 수용하고, 이미 수용되고 있는 토양(30) 상에 탑재되어 있었던 포트 모종 식물(31)의 뿌리 받침(33)의 부분을 매설한다.
그 후,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체(3)를 닫는다. 이 경우, 힌지부(4)를 통하여 커버체(3)를 회동시키고, 커버체(3)의 돌기(17)를 용기 유닛 본체(1)의 플랜지(15)의 구멍(16)에 삽입함으로써, 커버체(3)를 닫은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되게 된다.
이같이 하여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토양(30) 및 포트 모종 식물(31)이 수용된 용기 유닛(20)을 다수 준비하고, 이미 설치된 벽면의 앞면 측에 종횡으로 배치한다. 이 경우,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격자형의 유지체(34)를 준비하고, 그 유지체(34)를 사용하여 용기 유닛(20)을 벽면의 앞면 측에 종횡으로 배치한다. 이 유지체(34)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자체가 덩굴성 식물 즉 만성(蔓性) 식물(35)의 등반(登攀)에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 프레임(36) 및 가로 프레임(37)을 교차하여 형성한 앞면부(38)와 후면부(39)로 구성된 것이다. 앞면부(38)와 후면부(39)에는, 소정 간격마다 가설 프레임(40)이 가설되어 있다. 이들 세로 프레임(36), 가로 프레임(37), 가설 프레임(40)은, 본 실시예에서는 강재로 구성되어 있지만, 합성 수지나 목재 등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체(34)의 세로 프레임(36) 및 가로 프레임(37) 사이에 형성되는 각 스퀘어(square)마다 용기 유닛(20)이 배치되도록, 다수의 용기 유닛(20)을 유지체(34)에 설치한다. 이 경우,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면부(38)와 후면부(39)의 가로 프레임(37) 부분에, 용기 유닛 본체(1)의 오목형의 괘지부(28, 29)를 거는 것에 의해, 용기 유닛(20)을 유지체(34)에 설치할 수 있다.
이같이 하여, 다수의 용기 유닛(20)의 괘지부(28, 29)를, 도 15와 같이 유지체(34)의 가로 프레임(37)에 건 상태에서, 도 13 및 도 14와 같이 상기 유지체(34)의 각 스퀘어에 대응하여, 그 스퀘어의 약간 아래쪽에 1개씩 배치되는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는, 서로 상하로 인접하는 용기 유닛(20)이 적층된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상하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서로 상하로 인접하는 위쪽의 용기 유닛(20)의 저면부(1e)와 아래쪽의 용기 유닛(20)의 커버체(3)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면접촉 상태로 되어, 안정된 상태로 용기 유닛(20)이 상하로 적층되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용기 유닛 본체(1)의 저면부(1e)의 대략 중앙에 오목부(10)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10)의 아래로 향한 돌출형 부분이 끼워 넣어지는 오목형 부분을 상면에 가지는 오목부(11)가 커버체(3)의 대략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위쪽의 용기 유닛(20)의 저면부(1e)와 아래쪽의 용기 유닛(20)의 커버체(3)가 면접촉 상태로 되었을 때,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저면부(1e)의 오목부(10)가 커버체(3)의 오목부(11) 내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되고, 그 결과, 상하로 적층되는 용기 유닛(20)의 적층 상태가 한층 안정되게 되어, 덜거덕거림 등도 방지되게 된다.
또한, 용기 유닛 본체(1)의 저면부(1e)의 오목부(10)와, 커버체(3)의 오목부(11)에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상의 복수 개의 도수공(12, 13)이 각각 천설되어 있고, 복수 개 용기 유닛(20)을 적층시켰을 때, 용기 유닛 본체(1)의 오목부(10)에 있어서의 도수공(12)과, 커버체(3)의 오목부(11)에 있어서의 도수공(13)이, 약간 이격되면서도 대략 연통된 상태로 되므로, 관수(灌水)를 행하여, 위쪽의 용기 유닛(20)의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물이 도입되었을 때, 그 물은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수용되고 있는 토양(30)이나, 포트 모종 식물(31)의 뿌리 받침(33)의 부분에 침투하는 동시에 상기 위쪽의 용기 유닛(20)의 저면부(1e)의 오목부(10) 내에 바람직하게 집수되고, 그 오목부(10) 내의 도수공(12)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배출되고, 아래쪽의 용기 유닛(20)의 커버체(3)의 오목부(11) 내에 바람직하게 집수되게 된다. 그리고, 커버체(3)의 오목부(11) 내에 집수된 물은, 그 오목부(11) 내의 도수공(13)으로부터 아래쪽의 용기 유닛(20) 내에 바람직하게 물을 끌어들이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와 같은 도수공(12, 13)의 부분을 통하여, 위쪽의 용기 유닛(20)에 도입된 물이, 차례로 아래쪽의 용기 유닛(20)에 도입되게 되고, 관수된 물은, 상하로 적층되어 배치된 다수의 용기 유닛(20) 내에 수용된 토양(30) 등에 남김없이 골고루 미치게 되고, 벽면의 앞면 측에 배치되는 다수의 용기 유닛(20)의 전체에서의 투수성(透水性)이 유지되게 된다.
또한, 관수를 행하기 위한 관수 파이프를 삽입시키는 홈부(21)가 커버체(3)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에 대한 관수를 바람직하고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홈부(21)가 커버체(3)의 오목부(11) 및 도수공(13)에 연통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위쪽의 용기 유닛에 도입된 물이, 연통 상태로 된 도수공(12, 13)을 통하여 아래쪽의 용기 유닛에 도입되어 적층된 복수 개의 용기 유닛 상호 간에서의 물의 유통이 양호하게 되는 효과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용기 유닛 본체(1)의 후방 측면부(1c)에는 긴 구멍(18)이 천설되어 있으므로, 투수성뿐아니라, 용기 유닛 본체(1) 내의 통기성도 유지되게 된다.
또한, 개구부(6)가 형성된 용기 유닛 본체(1)의 측면 측에는, 양 측면부(7a, 7b)와 저면부(7c)와의 3면을 에워싸도록 형성된 후드부(7)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또한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후드부(7)와 같은 방향으로, 커버체(3)에도 후드부(8)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커버체(3)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유닛 본체(1)의 후드부(7)의 양 측면부(7a, 7b) 및 저면부(7c)와 커버체(3)의 후드부(8)로 사방이 포위된 상태로 되므로, 이와 같이 사방이 포위된 후드부(7, 8)에 의해, 용기 유닛 본체(1)의 공간부(5) 내에 수용되어 있는 포트 모종 식물(31)의, 측면의 개구부(6)로부터 앞면 측으로 돌출된 식물체(32)의 부분에 대한 풍압이 바람직하게 경감되게 된다.
또한, 용기 유닛 본체(1) 및 커버체(3)의 후드부(7, 8)에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구멍(9)이 다수 천설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후드부(7, 8)에 의해 식물체(32)의 부분에 대한 풍압이 경감되는 한편, 투수성이 불량으로 되지도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수의 용기 유닛(20)을, 유지체(34)에 걸면서, 용기 유닛 본체(1)의 저면부(1e)와 커버체(3)와의 면접촉 상태로 상하로 적층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포트 모종 식물(31)을 이용한 벽면 녹화를, 간단한 시공법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각각의 용기 유닛 본체(1)에 대한 포트 모종 식물(31)의 수용 작업도, 전술한 바와 같이, 상면 개구부(2)로부터 토양(30)을 먼저 용기 유닛 본체(1)의 공간부(5) 내의 소정 위치의 높이까지 수용하고, 다음에, 그 토양(30) 상에 포트 모종 식물(31)을 탑재하고, 측면의 개구부(6)로부터 상기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외측에 노출시키고, 그 후에 포트 모종 식물(31)의 뿌리 받침(33)의 부분을 덮도록 토양(30)을 재차 수용하여, 공간부(5) 내를 대략 가득한 상태로함으로써, 토양(30)이나 포트 모종 식물(31)의 수용 작업 자체도 간단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그만큼, 시공성도 양호해진다.
이와 같이, 다수의 용기 유닛(20)이 설치된 벽면의 앞면 측에 있어서는, 상기 용기 유닛(20)에 수용된 포트 모종 식물(31)에 의한 벽면 녹화가 행해지게 되지만, 한편, 다수의 용기 유닛(20)을 걸어 유지시키고 있는 유지체(34)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강재로 이루어지는 세로 프레임(36) 및 가로 프레임(37)을 종횡으로 교차, 배치하여 구성된 것이며, 만성(蔓性) 식물(35)의 등반(登攀)에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만성 식물(35)을 유지체(34)의 앞면부(38)에 따라 등반시킴으로써, 포트 모종 식물(31)과 만성 식물(35)과의 양쪽에 의한 벽면 녹화를 행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만성 식물(35)을 사용한 녹화를, 상기와 같은 포트 모종 식물(31)에 의한 녹화와 병용하는 경우, 그 만성 식물(35)은, 상기한 바와 같이 유지체(34)를 등반시키면서 시공할 수 있는 외에, 유지체(34)의 상부 측으로부터 수하(垂下)되도록 하여 시공할 수도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 2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의 용기 유닛(20)을 사용하고 있지만, 다수의 용기 유닛(20)을 유지체(34)에 건 상태에서, 서로 상하로 인접하는 용기 유닛(20)이,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적층되지 않고,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상하로 인접하는 위쪽의 용기 유닛(20)의 저면부(1e)와 아래쪽의 용기 유닛(20)의 커버체(3)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근소한 간극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점에서, 서로 상하로 인접하는 위쪽의 용기 유닛(20)의 저면부(1e)와 아래쪽의 용기 유닛(20)의 커버체(3)가 면접촉 상태로 되어 있었던 상기 실시예 1의 경우와 상위하다.
이와 같이, 근소한 간극을 두고 위쪽의 용기 유닛(20)의 저면부(1e)와 아래쪽의 용기 유닛(20)의 커버체(3)가 이격된 상태로 되어 있어도, 각각의 용기 유닛(20)의 괘지부(28, 29)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체(34)의 가로 프레임(37)에 걸려 상기 유지체(34)에 확실하게 유지되고 있으므로, 각 용기 유닛(20)이 유지체(34)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 2에 있어서도, 각 용기 유닛(20)은, 유지체(34)의 각 스퀘어에 대응하여 1개씩 배치되게 된다. 즉, 유지체(34)의 스퀘어의 치수의 설정에 의해, 용기 유닛(20)의 괘지부(28, 29)를 유지체(34)의 가로 프레임(37)에 걸었을 때, 본 실시예 2와 같이, 위쪽의 용기 유닛(20)의 저면부(1e)와 아래쪽의 용기 유닛(20)의 커버체(3)가 이격된 상태로 되는 것이 있으면,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위쪽의 용기 유닛(20)의 저면부(1e)와 아래쪽의 용기 유닛(20)의 커버체(3)가 면접촉 상태로 되어, 상하의 용기 유닛(20)이 적층된 상태로 되는 경우도 있다.
어느 것으로 해도, 각각의 용기 유닛(20)의 괘지부(28, 29)가 유지체(34)의 가로 프레임(37)에 걸려 상기 유지체(34)에 확실하게 유지된 상태로 되므로, 위쪽의 용기 유닛(20)의 저면부(1e)와 아래쪽의 용기 유닛(20)의 커버체(3)가 면접촉 상태로 되어, 상하의 용기 유닛(20)이 적층된 상태로 되어 있는지 여부는, 각각의 용기 유닛(20)이 안정된 상태로 종횡으로 다수 배치되는 것과는 직접적으로 관련은 없다.
또한, 본 실시예 2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위쪽의 용기 유닛(20)의 저면부(1e)와 아래쪽의 용기 유닛(20)의 커버체(3)가 면접촉 상태로 되지 않아, 근소한 간극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실시예 1에 비하면, 용기 유닛 본체(1)의 저면부(1e)와 커버체(3)에 형성된 도수공(12, 13)은 이격된 상태로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 2에 있어서도, 용기 유닛 본체(1)의 저면부(1e)의 도수공(12)과 커버체(3)의 도수공(13)은, 각각 오목부(10, 11) 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위쪽의 용기 유닛(20)의 저면부(1e)와 아래쪽의 용기 유닛(20)의 커버체(3)가 근소한 간극을 두고 이격되어 있었다고 해도, 위쪽의 용기 유닛(20)의 저면부(1e)에 형성된 도수공(12)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아래쪽의 용기 유닛(20)의 커버체(3)에 형성된 오목부(11)에 용이하게 집수되게 된다.
따라서, 오목부(11) 내에 집수된 물은, 그 오목부(11)에 형성된 도수공(13)으로부터 아래쪽의 용기 유닛(20)의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용이하게 도입되게 된다. 이 결과, 본 실시예 2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관수를 행하여,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물이 도입되었을 때, 그 물은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수용되고 있는 토양(30)이나, 포트 모종 식물(31)의 뿌리 받침(33)의 부분에 침투하는 동시에 위쪽의 용기 유닛(20)에 도입된 물은, 도수공(12, 13)의 부분을 통하여, 차례로 아래쪽의 용기 유닛(20)에 도입되게 되고, 관수된 물은, 상하로 배치된 다수의 용기 유닛(20) 내에 수용된 토양(30) 등에 남김없이 골고루 미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 2에 있어서도, 관수를 행하기 위한 관수 파이프를 삽입시키는 홈부(21)가 커버체(3)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에 대한 관수를 바람직하고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홈부(21)가 커버체(3)의 오목부(11) 및 도수공(13)에 연통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위쪽의 용기 유닛에 도입된 물이, 도수공(12, 13)을 통하여 아래쪽의 용기 유닛에 도입되어 상하로 배치된 복수 개의 용기 유닛 상호 간에서의 물의 유통이 양호하게 되는 효과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 2의 용기 유닛(20)의 구성 자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같고, 또한 그 외의 작용은 상기 실시예 1과 공통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3)
본 실시예 3은, 용기 유닛(20)의 배치 태양의 다른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 3에 있어서는, 도 12 내지 도 14에 나타낸 유지체(34)의 세로 프레임(36) 및 가로 프레임(37) 사이에 형성되는 각 스퀘어의 모두에 용기 유닛(20)이 배치되지 않고,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부의 스퀘어에는 용기 유닛(20)이 배치되지 않아, 스퀘어의 공간부(41)를 유지한 상태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 3에서는, 종횡으로 다수의 스퀘어를 가지는 유지체(34)의 전체에 있어서, 도 17과 같이, 좌우 2열씩의 스퀘어에 공간부(41)가 형성되고, 그 공간부(41)가, 유지체(34)의 정면에서 볼 때 있어서의 좌측 위쪽으로부터 우측 아래쪽에 걸쳐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경사지게 배치된 공간부(41) 이외의 각 스퀘어의 부분에는, 용기 유닛(20)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점에서, 모든 스퀘어의 부분에 용기 유닛(20)이 배치되어 있었던 상기 실시예 1의 경우와 상위하다.
본 실시예 3에 있어서는, 모든 스퀘어의 부분에 용기 유닛(20)을 배치하지 않고, 일부의 스퀘어에 공간부(41)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용기 유닛(20)이 배치된 스퀘어의 부분에 있어서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식물이 생육하여, 그 생육한 식물에 의해 유지체(34)의 앞면 측이 장식된 상태로 되지만, 공간부(41)가 형성된 스퀘어에 있어서는, 생육한 식물이 앞면 측에 출현되어 있지 않고, 이와 같이 유지체(34)의 앞면 측의 소정 위치에 공간부가 배치되었으므로, 전체적으로 독자적인 장식성(裝飾性)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 3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좌우 2열씩의 스퀘어에 공간부(41)가 형성되고, 그 공간부(41)가, 유지체(34)의 정면에서 볼 때 있어서의 좌측 위쪽으로부터 우측 아래쪽에 걸쳐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었지만, 공간부(41)가 형성되는 위치는 본 실시예 3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이와 같이 공간부(41)의 위치를 임의로 변경함으로써, 디자인의 자유도가 높은 벽면 녹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용기 유닛(20)의 구성 등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4)
본 실시예 4는, 용기 유닛(20)의 배치 태양의 다른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 4에 있어서도, 각 스퀘어의 모두에 용기 유닛(20)이 배치되어 있지 않고, 용기 유닛(20)을 설치한 스퀘어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스퀘어가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 유닛(20)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스퀘어에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42)이 끼워넣어져 있다.
이와 같은 패널(42)이 끼워넣어져 있는 점에서, 단지 공간부(41)로 되어 있었던 실시예 3과 상위하고, 또한 각 스퀘어의 모두에 용기 유닛(20)이 배치되어 있는 실시예 1과도 상위하다.
본 실시예 4에 있어서는, 용기 유닛(20)을 설치한 스퀘어과 패널(42)을 끼워넣은 스퀘어를 교호적으로 배치하였으므로, 용기 유닛(20)이 설치된 스퀘어의 부분에 있어서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식물이 생육하고, 그 생육한 식물에 의해 유지체(34)의 앞면 측이 장식된 상태로 되지만, 패널(42)이 끼워넣어진 부분에 있어서는, 그 패널(42)에 의한 장식성이 출현되어, 식물체와 패널(42)에 의해, 독자적인 장식성을 출현할 수 있다.
용기 유닛(20)의 구성 등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5)
본 실시예 5는, 유지체(34) 구성의 다른 실시예이며, 도 19는 본 실시예 5의 유지체(34)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 5에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세로 프레임(36) 및 가로 프레임(37)을 교차시켜 앞면부(38)와 후면부(39)로 구성된 스퀘어를 가지는 격자형의 프레임을,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43) 측뿐아니라, 양 측면(44, 44) 측 및 배면(45) 측에도 설치하여, 사방으로부터 용기 유닛(20) 내의 식물을 감상할 수 있도록 유지체(34)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퀘어를 가지는 격자형의 프레임이 사방으로 설치되고, 사방으로부터 용기 유닛(20) 내의 식물을 감상할 수 있도록 유지체(34)가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일방향만으로부터 용기 유닛(20) 내의 식물을 감상할 수 있도록 유지체(34)가 구성되어 있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경우와 상위하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유지체(34)는, 벽면 녹화용으로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벽면의 앞면 측에 유지체(34)가 설치되고, 그 유지체(34)의 스퀘어 내에 설치되는 용기 유닛(20) 내의 식물이 앞면 측으로부터만 감상할 수 있으면 충분한 데 대하여, 본 실시예 5의 유지체(34)는, 식물 부분을 노출시키는 개구부(3)가, 각각 사방의 프레임에 있어서 외측을 향하도록, 각 프레임에 용기 유닛(20)이 설치되게 되므로, 실내 측 녹화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용기 유닛(20)의 구성 등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그 외의 실시예)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용기 유닛 본체(1)가, 사방으로 측면부(1a, 1b, 1c, 1d)를 가지는 바닥이 있는 사각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용기 유닛 본체(1)의 형상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이어도 되고, 또한 다른 형태의 것이어도 된다. 요점은, 토양(30) 등의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유닛 본체(1)의 일면 측에, 그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노출시키는 개구부(6)가 형성된 형태의 것이면 된다. 단, 측면의 개구부(6)의 형성의 용이함, 종횡으로 배치하는 경우의 작업성 등의 관점에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바닥이 있는 사각 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사방의 측면부(1a, 1b, 1c, 1d)가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약간 경사 내측을 향하는 테이퍼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와 같이 사방의 측면부를 경사 내측을 향하는 테이퍼형으로 되도록 형성하는 것은 본 발명에 필수적인 조건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측면의 개구부(6)가 형성된 용기 유닛 본체(1)의 측면 측에 후드부(7)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동시에,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후드부(7)와 같은 방향으로, 커버체(3)에도 후드부(8)를 돌출시켰으므로, 사방이 포위된 후드부(7, 8)에 의해,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에 대한 풍압을 경감시킬 수 있는 바람직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지만, 이와 같은 후드부(7, 8)를 형성하는 것도 본 발명에 필수적인 조건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면 개구부(2)를 커버체(3)로 닫은 상태로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적층시켰을 때, 서로 상하로 인접하는 위쪽의 용기 유닛에 있어서의 용기 유닛 본체(1)의 저면부(1e)와 아래쪽 용기 유닛의 커버체(3)에, 각각 오목부(10, 11)를 형성하였으므로, 저면부(1e)의 오목부(10)가 커버체(3)의 오목부(11) 내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되고, 상하로 적층된 용기 유닛에 덜거덕거림이 생기지 않는 바람직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지만, 이와 같은 오목부(10, 11)를 형성하는 것도 본 발명에 필수적인 조건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상하로 배치했을 때, 서로 상하로 인접하는 위쪽의 용기 유닛에 있어서의 용기 유닛 본체(1)의 저면부와 아래쪽 용기 유닛의 커버체(3)에, 도수공(12, 13)을 천설하였으므로, 관수 등에 의해 위쪽의 용기 유닛에 도입된 물이, 도수공을 통하여 아래쪽의 용기 유닛에도 도입되어, 상하로 배치된 복수 개 용기 유닛 전체의 물의 유통이 매우 양호하게 되는 바람직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지만, 이와 같은 도수공(12, 13)을 천설하는 것도 본 발명에 필수적인 조건은 아니다.
또한, 용기 유닛 본체(1)의 재질도 상기 실시예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등의 범용성의 합성 수지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합성 수지 이외의 소재의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에서는, 격자형으로 형성된 유지체(34)의 모든 스퀘어마다 용기 유닛(20)을 설치했지만, 유지체(34)의 모든 스퀘어마다 용기 유닛(20)을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고, 상기 실시예 3과 같이, 용기 유닛(20)을 설치하지 않고 공간부(41)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실시예 4와 같이 패널(42)을 끼워넣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격자형으로 형성된 유지체(34)를 사용하여 다수의 용기 유닛(20)을 종횡으로 배치하였으나, 이와 같은 유지체(34)를 사용하는 것도 본 발명에 필수적인 조건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녹화용의 용기 유닛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벽면의 앞면 측의 종횡으로 다수 설치하여 벽면 녹화용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주안(主眼)으로 하는 것이지만, 그 용도는 벽면 녹화용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실시예 5와 같은 실내 측 녹화용 등, 다른 녹화용의 용도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 용기 유닛 본체
2: 개구부
3: 커버체
5: 공간부
6: 개구부
7: 후드부
8: 후드부
12: 도수공
13: 도수공
20: 용기 유닛
21: 홈부
28: 괘지부
29: 괘지부
31: 포트 모종 식물
32: 식물체

Claims (20)

  1.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pot) 모종 식물(31)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유닛 본체(1)의 일면 측에, 상기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수용되는 상기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6)가 형성되고,
    상기 식물체(32)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6)와는 별도로 상기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2)가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에 형성되며, 상기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2)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커버체(3)를 더 포함하는
    녹화용의 용기 유닛.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유닛 본체(1)를 유지하는 유지체(34)에 걸기 위한 괘지부가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에 형성되어 있는, 녹화용의 용기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괘지부는,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저면 측에 오목형으로 형성된, 녹화용의 용기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수용되는 상기 포트 모종 식물(31)의 상기 식물체(32) 부분에 대한 풍압(風壓)을 경감시키기 위한 후드부(hood member)가, 상기 식물체(32)의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6)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녹화용의 용기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상하로 배치했을 때, 위쪽의 용기 유닛으로부터 아래쪽의 용기 유닛으로 물을 끌어들일 수 있도록, 저면부(1e)와 상면부에, 도수공(導水孔)(12, 13)이 천설(穿設)되어 있는, 녹화용의 용기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에 형성된 도수공(13)은, 상기 상면부에 형성된 오목부(11) 내에 형성되어 있는, 녹화용의 용기 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관수(灌水)를 행하기 위한 관수 파이프를 삽입시키는 홈부(21)가 더 형성되어 있는, 녹화용의 용기 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 파이프를 삽입시키는 홈부(21)는, 상면부의 오목부(11) 및 도수공(13)에 연통 상태로 되어 있는, 녹화용의 용기 유닛.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전체는 합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녹화용의 용기 유닛.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유닛 본체(1) 및 상기 커버체(3)의 전체는 합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녹화용의 용기 유닛.
  13.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할 수 있고 상면에 개구부(2)가 형성된 용기 유닛 본체(1)와,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상면 개구부(2)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커버체(3)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체(3)로 상면 개구부(2)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수용되는 상기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한 개구부(6)가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체(3)를 닫은 상태에서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상하로 적층시켰을 때, 서로 상하로 인접하는 위쪽 용기 유닛의 용기 유닛 본체(1)의 저면부(1e)와 아래쪽 용기 유닛의 커버체(3)가 면접촉 상태로 되도록,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저면부(1e)와 커버체(3)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녹화용의 용기 유닛.
  14.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유닛 본체(1)의 일면 측에, 상기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수용되는 상기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6)가 형성되고, 상기 식물체(32)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6)와는 별도로 상기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2)가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에 형성되며, 상기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2)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커버체(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준비하고,
    상기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의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하는 동시에, 상기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일면 측의 개구부(6)로부터 외부에 노출시키며,
    상기 식물 재배 베이스부재와 상기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한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적어도 상하로 설치하여 시공하는,
    녹화 공법.
  15. 삭제
  16. 삭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상하, 좌우에 설치하여 시공하는, 녹화 공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재배 베이스부재와 상기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한 복수 개의 용기 유닛(20)의 용기 유닛 본체(1)의 괘지부를 유지체(34)에 걸어, 상기 유지체(34)에 용기 유닛을 유지시키는, 녹화 공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체(34)는, 프레임을 상하 좌우에 설치한 격자형의 것인, 녹화 공법.
  20. 식물 재배 베이스 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할 수 있고 상면에 개구부(2)가 형성된 용기 유닛 본체(1)와,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상면 개구부(2)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커버체(3)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체(3)로 상면 개구부(2)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수용되는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한 개구부(6)가,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측면부에 형성되어 구성된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준비하고,
    상기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의 용기 유닛 본체(1) 내에 식물 재배 베이스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하는 동시에, 상기 포트 모종 식물(31)의 식물체(32) 부분을 상기 용기 유닛 본체(1)의 측면부의 개구부(6)로부터 외부에 노출시키고,
    상기 식물 재배 베이스부재와 포트 모종 식물(31)을 수용한 복수 개의 용기 유닛을, 서로 상하로 인접하는 위쪽 용기 유닛의 용기 유닛 본체(1)의 저면부(1e)와 아래쪽 용기 유닛의 커버체(3)가 면접촉 상태로 되도록, 상하로 적층하는 동시에, 좌우에도 설치하여 시공하는,
    녹화 공법.
KR1020107004088A 2007-12-27 2008-10-21 녹화용의 용기 유닛과, 그 용기 유닛을 사용한 녹화 공법 KR1012280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36563 2007-12-27
JP2007336563 2007-12-27
JP2008242422A JP5368041B2 (ja) 2007-12-27 2008-09-22 緑化用の容器ユニット
JPJP-P-2008-242422 2008-09-22
PCT/JP2008/069043 WO2009084310A1 (ja) 2007-12-27 2008-10-21 緑化用の容器ユニットと、その容器ユニットを用いた緑化工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492A KR20100098492A (ko) 2010-09-07
KR101228003B1 true KR101228003B1 (ko) 2013-02-01

Family

ID=41027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4088A KR101228003B1 (ko) 2007-12-27 2008-10-21 녹화용의 용기 유닛과, 그 용기 유닛을 사용한 녹화 공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368041B2 (ko)
KR (1) KR101228003B1 (ko)
CN (1) CN101909426A (ko)
TW (1) TWI4134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84942B (zh) * 2010-05-11 2013-02-11 Long Wei Technology Co Ltd 穩固式花卉種植器皿結構
JP5633964B2 (ja) * 2010-10-26 2014-12-03 ダイトウテクノグリーン株式会社 緑化面用材
GB201113714D0 (en) * 2011-08-09 2011-09-21 Seddon Alan M Plant container with channels
JP5899362B1 (ja) * 2015-07-22 2016-04-06 孝己 伊藤 植木鉢
JP6799309B1 (ja) * 2020-08-05 2020-12-16 川田工業株式会社 植栽用容器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緑化工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0232A (ja) 1996-09-09 1998-03-31 Yukihiro Funai 植物栽培用容器
JP2000209952A (ja) * 1999-01-25 2000-08-02 Inoue Sudare Kk 竹製栽培バスケット
JP3117360U (ja) * 2005-10-05 2006-01-05 弘二 岩野 種子入り蓋付苗床ポ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1931U (ko) * 1979-07-30 1981-02-26
JPS5697007A (en) * 1979-12-31 1981-08-05 Mitsumoto Kasei Kk Tree-planting device in bank
JPS5929166U (ja) * 1982-08-19 1984-02-23 須田 和笑 逆さ観賞用鉢
JPH049554U (ko) * 1990-05-17 1992-01-28
JP2603489Y2 (ja) * 1993-11-08 2000-03-13 有限会社ワイダー 観賞用植木鉢
JPH07213176A (ja) * 1994-01-29 1995-08-15 Nakajima Shoji Kk 植物栽培用容器
JP3549130B2 (ja) * 1995-06-30 2004-08-04 株式会社淺沼組 植栽用壁体およびこれに利用する植栽容器
JPH11243783A (ja) * 1998-02-27 1999-09-14 Kazuhiko Kitagawa 草花コンテナーラック及び草花コンテナー支持具
JP2002027829A (ja) * 2000-07-11 2002-01-29 Tomohiro Manabe 軽量薄板の壁面緑化装置
JP2004283070A (ja) * 2003-03-20 2004-10-14 Toho Leo Co 緑化マット及び緑化ユニット並びに建造物表面緑化工法
JP2005160381A (ja) * 2003-12-02 2005-06-23 San Rail:Kk 壁面緑化装置
JP2005229882A (ja) * 2004-02-19 2005-09-02 Daikichi Suematsu コケ植生ポット
JP4112539B2 (ja) * 2004-08-23 2008-07-02 協和株式会社 屋上緑化装置
JP3121520U (ja) * 2006-02-27 2006-05-18 五男 井上 作物栽培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0232A (ja) 1996-09-09 1998-03-31 Yukihiro Funai 植物栽培用容器
JP2000209952A (ja) * 1999-01-25 2000-08-02 Inoue Sudare Kk 竹製栽培バスケット
JP3117360U (ja) * 2005-10-05 2006-01-05 弘二 岩野 種子入り蓋付苗床ポ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39946A (en) 2009-10-01
KR20100098492A (ko) 2010-09-07
CN101909426A (zh) 2010-12-08
JP5368041B2 (ja) 2013-12-18
JP2009171953A (ja) 2009-08-06
TWI413496B (zh) 201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2475B1 (ko) 식물 재배 유닛 및 식물 재배 용기
KR100676993B1 (ko) 식물 재배 매트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1228003B1 (ko) 녹화용의 용기 유닛과, 그 용기 유닛을 사용한 녹화 공법
CA2771773C (en) Modular support for plants
EP2341187B1 (en) Wall for a buiding built up from a plurality of building blocks
KR101331404B1 (ko) 수직형 식물 재배 장치
US20130042528A1 (en) Tree surround decorative planter pot
KR101203135B1 (ko)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 및 공법
KR101638985B1 (ko) 조립식 식생모듈
JP2009165400A (ja) 植栽用ユニットとそれを用いる緑化用植栽ユニット及びそのシステム
KR200402616Y1 (ko) 벽면녹화 시공구조
JP2004254559A (ja) 緑化パネル
KR101046650B1 (ko) 초목 식재를 위한 축조형 화분과, 이 화분이 설치된 옹벽과, 옹벽의 시공방법
CN212813009U (zh) 一种多功能组合种植容器
WO2009084310A1 (ja) 緑化用の容器ユニットと、その容器ユニットを用いた緑化工法
WO2006041292A1 (en) Sound-damping screen covered with growth, comprising panels covered with plants and a support construction
KR101127628B1 (ko) 인공지반토양 적치를 위한 조경용 식생 상자
KR102002827B1 (ko)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한 녹화용 담장
KR101877024B1 (ko) 식생용 토목블록
CN111820035A (zh) 一种多功能组合种植容器
KR100927957B1 (ko) 조립식 화단
CN215165857U (zh) 一种园林植草格井盖
JP4226296B2 (ja) ビルの屋上等に設置される緑化用容器
JP4747135B2 (ja) 植栽用マット及びその敷設方法
WO2022029964A1 (ja) 植栽用容器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緑化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