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191Y1 - 조경용 배수판 - Google Patents

조경용 배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191Y1
KR200322191Y1 KR20-2003-0015827U KR20030015827U KR200322191Y1 KR 200322191 Y1 KR200322191 Y1 KR 200322191Y1 KR 20030015827 U KR20030015827 U KR 20030015827U KR 200322191 Y1 KR200322191 Y1 KR 2003221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trap
plate
area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8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억주
박성숙
박철현
Original Assignee
박철현
이억주
박성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현, 이억주, 박성숙 filed Critical 박철현
Priority to KR20-2003-00158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1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1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1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층 상에 연속 배열되어 배수층을 형성하는 조경용 배수판(100)으로서, 상하 관통된 다수의 배수공(122)이 밀집되며 상기 배수공(122)을 커버하는 섬유펠트(200)가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영역(A)과, 내부로 수분을 저장하도록 하방으로 입설된 다수의 트랩(130)이 밀집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영역(B)으로 구분되는 장방형의 베이스플레이트(120) 및; 상기 트랩(130)으로부터 흘러넘친 수분이 이웃하는 트랩 및 상기 배수영역(A)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각 트랩(130)의 상단 및 상기 배수영역(A)을 연결하도록 인입 형성된 수분이동통로(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배수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경용 배수판 {Drainage plate for landscape}
본 고안은 조경용 배수판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는 녹지조성을 위해 기층(基層)과 토양층 사이로 다수가 연속 배열되어 배수층을 구성하는 조경용 배수판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사회가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인구가 밀집된 도시사회가 곳곳에서 출현하고 있으며, 도시의 과밀화와 토지가격 상승에 의해 건물의 토지이용도가 한계에 달하고 있다.
이에 도심지역을 중심으로 수목을 재배할 수 있는 녹색지대가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는 반면, 물질적 풍요로 인해 삶의 질의 향상에 대한 욕구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바, 일례로 건물옥상과 같이 슬래브콘크리트의 인공지반 기층 상에 토양층을 형성하여 수목을 재배함으로서 친환경적 조경환경을 조성하는 옥상원예가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식물의 육성을 위해서는 토양층에 일정정도의 수분을 저장하는 저장능력과 잉여수분을 배출할 수 있는 배수능력이 부여되어야 하는 바, 예를 들어 물의 배수가 나쁘면 장시간 물이 체류하여 식물뿌리가 썩게 되고 반대로 물의 배수가 너무 양호하여도 특히 옥상에서는 직사광선에 의해 식물이 메말라 죽게 된다.
따라서 기층과 토양층 사이로 상기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배수층을 형성해야 하는데, 자갈 및 모래를 사용하여 배수층을 형성하는 전통적인 방법은 건물의정격하중에 무리한 부담을 준다.
이에 현재에는 가벼운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배수판을 이용하여 배수층을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골프장이나 테니스 코트 등의 운동장 지반공사 또는 해안 매립지를 기반으로 수행되는 매립지 조경공사 등에도 널리 사용된다.
첨부된 도 1은 일반적인 배수판(10)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수공(32)이 투공된 장방형의 베이스플레이트(20) 및 내부로 수분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로부터 하방을 향해 컵 형상으로 입설된 다수의 트랩(3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한 배수판(20)은 기층 상에 서로 이웃하도록 다수가 연속 배열된 후 그 상부로 부직포 등의 섬유펠트(미도시)가 덮여 배수층을 형성하게 되고, 토양층을 쌓아 수목을 재배한다. 따라서 토양층을 통해서 물이 공급될 경우에 그 일부는 각 트랩(30)에 저장되어 가물었을 때 재공급되고, 잉여수분은 베이스플레이트(20)의 배수공(32)을 통해 배수된다.
그러나 전술한 배수판(10)은 시공 단계에 있어서 그 상부로 부직포 등의 섬유펠트를 덮는 별도의 공정이 추가되어야 하는데, 이는 매우 까다로운 작업이므로 수율을 증가시켜 공기를 연장하고 비용 지출을 크게 하는 문제가 있다.
즉, 기층 상에 상기한 배수판(10)을 다수 배열한 후 부직포 등의 섬유펠트를 덮음에 있어서, 후속되는 토양층의 적층 시 섬유펠트가 밀리거나 뭉치지 않도록 접착제나 테이프 등으로 긴밀하게 고정해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은 수작업으로 진행되므로 신뢰성이 낮고 작업수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부직포 등의 섬유펠트를 생략할 수 있는 배수판이 개발되기도 하였는데, 도 2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220851 호에 소개된 조경용 배수판의 사시도이다. 이하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배수판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음을 밝혀둔다.
이 배수판(10)은 장방형의 베이스플레이트(20) 및 내부로 수분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로부터 하방을 향해 컵 형상으로 입설된 다수의 트랩(30)을 포함하고 있음은 앞서와 동일하다.
따라서 기층 상에 서로 이웃하도록 연속 배열되어 배수층을 형성한다.
그러나 다수의 배수공(32)이 베이스플레이트(20)에 투공되는 대신 트랩(30)의 측면을 따라 슬릿형태로 측방 관통되어 있는 것이 상이한 바, 배수공(32)의 위치를 중력방향에 수직하게 형성함으로서 부직포 등의 섬유펠트를 생략하여도 토양층의 유실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 배수판(10)은 실제 사용에 있어서 배수공(32)을 통해서 수분과 함께 흘러나가 유실되는 토양층이 상당량에 달하고, 각 트랩(30)에 배수공(3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저장 가능한 수분의 양이 한정된다. 따라서 자주 반복해서 수분을 공급해 주어야 하는 단점과 함께 각 트랩(30)이 서로 독립적으로 수분을 저장 및 배수하므로 특히 그 일부분으로 수분공급이 집중될 경우 타 부분으로 이를 분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수분을 토양층 전면에 걸쳐 자주 공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배수 시 토양층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고 일부분으로 수분공급이 집중되었을 때에도 전면에 걸쳐 수분의 분배가 가능하며 수분의 재활용도가 큰 배수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시공이 간단하여 공기단축 및 시공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배수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과 도 2는 각각 일반적인 배수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판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3의 K-K'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배수판 120 : 베이스플레이트
122 : 배수공 124a : 받침단
124b : 받침돌기 130 : 트랩
140 : 수분이동홈 152 : 고정공
154 : 결합단 156 : 끼움돌기
160 : 배수홈 200 : 섬유펠트
A : 배수영역 B : 저장영역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층 상에 연속 배열되어 배수층을 형성하는 조경용 배수판으로서, 상하 관통된 다수의 배수공이 밀집되며 상기 배수공을 커버하는 섬유펠트가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영역과, 내부로 수분을 저장하도록 하방으로 입설된 다수의 트랩이 밀집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영역으로 구분되는 장방형의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트랩으로부터 흘러넘친 수분이 이웃하는 트랩 및 상기 배수영역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각 트랩의 상단 및 상기 배수영역을 연결하도록 인입 형성된 수분이동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배수판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배수영역은 서로 이웃하도록 네 개 이하로 구비되며, 상기 섬유펠트는 부직포로서, 상기 배수판의 제조단계에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상기 기층을 향하는 트랩 배면으로부터 그 이면을 향해 오목한 홈 형상으로 인입되어, 상기 기층을 흐르는 수분의 이동통로가 되는 배수홈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은 기층 상에 다수가 상하 좌우로 연속 배열되어 배수층을 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판(100)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이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K-K'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배수판(100)이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영역(A)과 저장영역(B)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하나의 배수영역(A) 그리고 이를 둘러싸는 저장영역(B)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겠지만, 이들 배수영역(A)과 저장영역(B)의 갯수와 위치는 얼마든지 자유로울 수 있음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배수판(100)은 기본적으로 판 상의 베이스플레이트(120)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정방형일 수 있다.
그리고 이 베이스플레이트(120)는 수분을 배수시키는 배수영역(A) 그리고 수분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영역(B)으로 구분되는데, 전자의 배수영역(A)은 베이스플레이트(120)를 상하 관통하는 다수의 배수공(122)이 밀집하여 구성되고, 후자의 저장영역(B)은 베이스플레이트(120) 하방으로 입설되어 내부로 수분을 저장하는 보울 형상의 트랩(130)이 밀집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수영역(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분으로 하나가 형성되고 저장영역(B)은 이의 주변을 둘러 배열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할 수 있는데, 이와 달리 상기 배수영역(A)은 적어도 네 개의 이하로 구비되어 서로 이웃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배수영역(A) 상에는 부직포 등의 섬유펠트(200)가 덮여 배수공(122)을 커버함으로서 수분의 원활한 배출과 동시에 토양층의 유실을 방지하는 바, 배수영역(A)이 적어도 네 개 이하로 서로 이웃하므로 시공단계가 아닌 배수판(100)의 제작단계에서 섬유펠트(200)를 간편하게 부착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토양층의 적층 단계에서 상기 섬유펠트(200)가 밀리거나 뭉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배수판(100)은 각 트랩(130)의 바닥면이 기층 상에 안착되어 다수가 서로 이웃하도록 연속 배열되고, 따라서 배수영역(A)은 기층으로부터 일정정도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수분은 배수공(122)을 통해서 보다 원활하게 배출 가능하다.
이때 상기 배수공(122)은 수분이 배수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도 가능한데, 일례로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형이나 그 외 원형 기타 자유로운 형상을 수 있으며, 토양층의 하중으로 인해 밑으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영역(A)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기층에 접하는 지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 지지수단은 도면부호 124a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일부 배수공(122)을 감싸도록 베이스플레이트(120)로부터 입설된 컵 형상의 받침단이 될 수 있고, 이와달리 도면부호 124b로 표시한 바와 같이 배수영역(A) 저면으로부터 기층을 향해 돌출된 받침돌기(124a) 또는 이들 모두가 구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저장영역(B)에는 내부로 소정부피를 정의하도록 베이스플레이트(120)로부터 하방으로 입설된 트랩(130)이 밀집되어 구성하는 바, 상기 각 트랩(130)으로 수분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트랩(130) 역시 내부로 수분을 저장하며 베이스플레이트(120)를 지지할 수 있는 어떠한 형상도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구된 사각의 박스 형상 이외에도 저면이 밀폐된 원통형상 또는 저면이 밀폐된 상태로 기층을 향할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 원통 형상도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배수판(100)에는 특히 각 트랩(130) 상단과 배수영역(A)을 연통시켜 잉여수분을 배수하는 수분이동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집중호우로 인해 각 트랩(130)으로부터 수분이 넘칠 경우에 이웃하는 트랩을 통해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배수판(100) 일부분으로 수분공급이 집중될 경우에는 다른 트랩(130)으로 수분을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20) 상에 홈 형상으로 인입되어 각각의 트랩(130)과 배수영역(A)을 연결하는 다수의 수분이동홈(1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판(100)을 이용하여 배수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먼저 기층 상부로 본 고안에 따른 배수판(100)을 상하좌우로 연속 배열한다.
이때 각 배수판(100)은 트랩(130) 바닥면이 기층을 향하도록 안착됨은 앞서언급한 바 있고, 특히 이웃하는 배수판(100)과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베이스플레이트(120) 임의의 이웃하는 두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고정구(152)를 상하 관통하여 형성하고, 이를 제외한 다른 두 가장자리를 측방으로 연장하는 결합단(154) 및 상기 결합단(154)에서 분기되어 이웃하는 배수판의 고정구가 끼워지는 끼움돌기(156)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배수판(100) 끼움돌기(156)에 다른 배수판의 고정구를 끼워 긴밀하게 연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배수영역(A)을 커버하는 부직포 등의 섬유펠트(200)를 깔게 되는데, 이는 제조단계에서 미리 부착될 수 있어 공기의 단축 및 제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앞서 언급한 바 있다. 그리고 완성된 배수층 상부로 토양층 등을 형성하여 조경용 녹지를 조성한다.
한편 미설명 부호 160는 각 트랩(130)의 저면 바닥에 형성되어 기층과 트랩(130) 사이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배수홈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를 통해 배수영역(B)에서 배수된 수분이 기층을 따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수홈(160)은 트랩(130)의 저면 바닥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된 홈 형상을 가지고 있어 기층과 트랩(130) 바닥면 사이로 수분이 이동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한다. 이 배수홈(160)은 상기한 역할을 하는 한 형태 및 개수는 얼마든지 자유로울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예시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인데, 다수의 상하 관통된 배수공(122)으로 이루어진 배수영역(A) 그리고 수분을 저장할 수 있는 다수의 트랩(130)으로 이루어진 저장영역(B)이 서로 구분되어 있고, 특히 각 트랩(130) 상단과 배수영역(B)을 연결하는 수분이동홈(140)이 존재하는 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것은 이하에 첨부된 청구범위를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저장영역과 배수영역이 서로 구분된 조경용 배수판을 제공하는 바, 적절한 양의 수분을 배수 및 저장할 수 있어 효율적인 수분관리가 가능한 잇점이 있다. 또한 저장영역에 형성된 트랩 상단과 배수영역을 서로 연결하는 수분이동홈이 구비되어 배수판의 일부분으로만 수분공급이 집중되어도 전면적에 걸쳐 수분을 골고루 분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단시간에 많은 양의 수분이 공급되어도 상기 수분이동홈을 통해 손쉽게 배수가 가능한 잇점이 있다.
더 아나가 본 고안에 따른 배수판은 배수영역을 커버하는 부직포 등의 섬유펠트를 포함하여 토양층의 유실 없이 원활한 배수가 가능하며, 이는 시공이 아닌 배수판의 제조단계에서 기 부착될 수 있으므로 수율을 향상시켜 공사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시공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배수판은 트랩의 바닥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된 배수홈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기층을 흐르는 수분이 보다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다.

Claims (3)

  1. 기층 상에 연속 배열되어 배수층을 형성하는 조경용 배수판(100)으로서,
    상하 관통된 다수의 배수공(122)이 밀집되며 상기 배수공(122)을 커버하는 섬유펠트(200)가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영역(A)과, 내부로 수분을 저장하도록 하방으로 입설된 다수의 트랩(130)이 밀집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영역(B)으로 구분되는 장방형의 베이스플레이트(120) 및;
    상기 트랩(130)으로부터 흘러넘친 수분이 이웃하는 트랩 및 상기 배수영역(A)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각 트랩(130)의 상단 및 상기 배수영역(A)을 연결하도록 인입 형성된 수분이동통로(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배수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영역(A)은 서로 이웃하도록 네 개 이하로 구비되며,
    상기 섬유펠트(200)는 부직포로서 배수판의 제조단계에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배수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층을 향하는 트랩(130) 배면으로부터 그 이면을 향해 오목한 홈 형상으로 인입되어 상기 기층을 흐르는 수분의 이동통로가 되는 배수홈(160)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배수판.
KR20-2003-0015827U 2003-05-22 2003-05-22 조경용 배수판 KR2003221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827U KR200322191Y1 (ko) 2003-05-22 2003-05-22 조경용 배수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827U KR200322191Y1 (ko) 2003-05-22 2003-05-22 조경용 배수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191Y1 true KR200322191Y1 (ko) 2003-08-09

Family

ID=49412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827U KR200322191Y1 (ko) 2003-05-22 2003-05-22 조경용 배수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19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119B1 (ko) 2007-03-13 2008-03-17 강기원 실내·외 정원용 배수판
KR100852544B1 (ko) * 2007-03-16 2008-08-18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물질 이동이 가능한 경계재
KR100893651B1 (ko) 2006-08-14 2009-04-17 다지마 ‹카 가부시키가이샤 초목용의 식재장치와 식재구조
KR20190134424A (ko) 2018-05-26 2019-12-04 유인섭 몰탈 유출 방지용 조립식 보드 결합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651B1 (ko) 2006-08-14 2009-04-17 다지마 ‹카 가부시키가이샤 초목용의 식재장치와 식재구조
KR100813119B1 (ko) 2007-03-13 2008-03-17 강기원 실내·외 정원용 배수판
KR100852544B1 (ko) * 2007-03-16 2008-08-18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물질 이동이 가능한 경계재
KR20190134424A (ko) 2018-05-26 2019-12-04 유인섭 몰탈 유출 방지용 조립식 보드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2498B2 (ja) 草木用の植栽装置と植栽構造
JP4028929B2 (ja) 植栽用マット及びその敷設方法
JP4165841B2 (ja) 植栽マット用貯水槽トレー及びその設備
JP2008043241A5 (ko)
JPH11289876A (ja) 植栽用マット
JP3813934B2 (ja) 緑化体
KR100520420B1 (ko) 인공지반녹화용 모듈과 이를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방법
KR200455094Y1 (ko) 초박형 식생유니트
JPH0499411A (ja) 植栽装置
KR200322191Y1 (ko) 조경용 배수판
JP3581277B2 (ja) 植物栽培コンテナ
CN1579137A (zh) 一种用于建筑物平台和屋顶绿化的花槽装置
CN216820604U (zh) 一种防冲毁田埂
CN212813009U (zh) 一种多功能组合种植容器
CN104285708A (zh) 一种半隔断式屋顶绿化栽培槽
JP2007061103A (ja) 植栽設備
JP3677009B2 (ja) 植栽設備
KR200348313Y1 (ko) 인공지반녹화용 모듈
JP4622110B2 (ja) 地被植物用緑化パネル及び地被植物用緑化パネル並設物
CN111820035A (zh) 一种多功能组合种植容器
JP3868604B2 (ja) 植栽マ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20851Y1 (ko) 측면 배수공을 가진 조경용 배수판
CN206791121U (zh) 一种屋顶景观绿化模块化装置
CN2640227Y (zh) 一种用于屋顶绿化和室内外摆放的节水型花槽装置
CN212629338U (zh) 一种屋顶绿化种植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