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7453A -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 블럭을 이용한박층녹화방법 및 다목적 식생블럭구조 - Google Patents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 블럭을 이용한박층녹화방법 및 다목적 식생블럭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7453A
KR20090117453A KR1020080043501A KR20080043501A KR20090117453A KR 20090117453 A KR20090117453 A KR 20090117453A KR 1020080043501 A KR1020080043501 A KR 1020080043501A KR 20080043501 A KR20080043501 A KR 20080043501A KR 20090117453 A KR20090117453 A KR 20090117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plate
hole
perforated
artifi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영만
Original Assignee
문영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영만 filed Critical 문영만
Priority to KR1020080043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7453A/ko
Publication of KR20090117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4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 보도, 산책로, 자전거도로, 주차장 등의 지면에 설치함은 물론이고 방음벽, 벽면녹화 시공에 사용되는 식생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말하면, 각종 지피식물 특히 잔디의 식생을 가능하게 하여 현장 여건에 따라 다양한 지면이나 경사면을 갖는 평지, 수직의 벽면녹화 등에 구애됨이 없이 환경친화적으로 녹화하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바닥면에 물을 공급하는 점적파이프를 사이사이에 연결 배치함으로서 지속 가능한 관수관리로 결국 경관의 향상과 환경보전에 도움이 되도록 한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 블럭을 이용한 박층녹화방법 및 다목적 식생블럭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인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 블럭을 이용한 박층녹화방법 및 다목적 식생블럭구조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을 성토한 후 식물성 섬유로 제조된 부직매트(M)를 까는 준비단계와, 상기 부직매트(M) 위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지지대(10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100) 사이에는 개구부(20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면은 상기 지지대(200)와 일체로 형성된 판재(300) 표면에 다수개의 식생공(301)이 천공된 식생블럭(B)을 안착시키는 식생블럭 설치단계와, 상기 식생블럭(B)의 개구부(200) 사이에는 배출공(H)이 천공된 점적파이프(T)를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다수개 배치한 후 배양토를 포설하는 배양토 포설단계와, 상기 식생공(301)에 잔디씨를 뿌려서 발아시키는 고착단계와, 상기 판재(300) 상면에는 상기 식생공(301)과 동일 위치에 발아공(60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발아공(601)의 외주면에는 인조잔디가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논슬립상태로 되어 있는 판상의 마감판재(600)를 결합하는 마감단계로 이루어진 것과,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을 성토한 후 식물성 섬유로 제조된 부직매트(M)를 까는 준비단계와, 상기 부직매트(M) 위에 판형상으로 다수개의 배수역할을 하는 식생공(301)이 천공되어 있는 판재(300)을 안착하고 상기 판재(300)와 일체로 된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지지대(10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100) 사이에는 개구부(200)가 구비되어 있는 식생블럭(B)을 안착시키는 식생블럭 설치단계와, 상기 식생블럭(B)의 개구부(200) 사이에는 배출공(H)이 천공된 점적파이프(T)를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다수개 연결 배치한 후 배양토를 포설하는 배양토 포설단계와, 상기 지지대(100) 위에는 다수개의 식생공(501)이 천공된 플레이트(500)를 안착한 후 상기 식생공(501)에 잔디씨를 뿌려서 발아시키는 고착단계와, 상기 플레이트(500)의 상면에는 상기 식생공(501)과 동일 위치에 발아공(60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발아공(601)의 외주면에는 인조잔디가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논슬립상태로 되어 있는 판상의 마감판재(600)를 결합하는 마감단계로 이루어진 것과,
상기 포설하는 배양토는 상기 식생블럭(B) 지지대(100)의 2/3이상 높이로 배양토를 포설하는 것과,
설치하고자 하는 벽면을 평탄하게 평탄작업을 한 후 하면에 연결공(702)이 구비된 "ㄷ"자 형상의 아연도강판(700)을 고정구(701) 등으로 고정 설치한 후 상기 아연도강판(700)의 평탄면에 식물성 섬유로 제조된 부직매트(M)를 까는 준비단계와, 상기 연결공(702) 상하로 배출공(H)이 천공된 점적파이프(T) 세로방향으로 연 결 배치한 후 잔디씨와 혼합된 인공토양을 혼합파종하는 포설단계와, 상기 포설단계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혼합파종된 잔디씨와 혼합된 인공토양의 유실되는 것을 방지키 위하여 표면에 미세통공(401)이 무수히 천공된 철망(400)을 설치하는 마감단계로 이루어진 것과,
다수개의 지지대(100)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100) 사이에는 점적파이프(T)가 설치 가능하도록 개구부(2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100)와 일체로 상면에는 다수개의 식생공(301)이 표면에 천공된 판재(30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판재(300) 상면에는 상기 식생공(301)과 동일 위치에 발아공(60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발아공(601)의 외주면에는 인조잔디가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논슬립상태로 되어 있는 판상의 마감판재(600)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과,
상기 지지대(100)에는 다수개의 배수공(101)이 천공된 것과,
상면에는 무수히 많은 식생공(301)이 천공된 판재(300)와, 상기 판재(300)의 상면에는 상기 식생공(301)과 동일 위치에 발아공(60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발아공(601)의 외주면에는 인조잔디가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논슬립상태로 되어 있는 판상의 마감판재(600)와, 상기 판재(300)의 하면 길이방향 양측에는 상기 판재(300)와 일체로 중앙에는 점적파이프(T)가 배치 가능하도록 설치공(102)이 천공되어 있고 측부에는 다수개의 배수공(101)이 천공된 지지대(100)로 이루어진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기존 건축물의 인공지반을 녹화하면서 지피식물에 가해지는 답압의 피해를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 여건에 따라 다양한 지면이나 경사면을 갖는 평지, 수직의 벽면녹화 등에도 구애됨이 없이 녹화하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자연 생태계를 보존할 수 있으며 도시 경관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며 특히, 바닥면에 물을 공급하는 점적파이프를 연결 배치함으로서 지속 가능한 관수관리가 가능하게 하여 결국 경관의 향상과 환경보전에도 도움이 되도록 한 것이다.
식생블럭, 식생공, 부직매트, 점적파이프.

Description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 블럭을 이용한 박층녹화방법 및 다목적 식생블럭구조{planting method for artificial ground use of Block for plants}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 보도, 산책로, 자전거도로, 주차장 등의 인공지반을 본래의 목적대로 사용하면서 녹화시킴은 물론이고 수직면의 방음벽, 벽면녹화 시공에 사용되는 식생블럭을 이용한 박층녹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각종 지피식물 특히 잔디 뿌리와 줄기를 답압의 피해가 없는 구조의 식생블럭으로서 무수한 식생공으로 자라 올라오는 녹색기반으로 녹화시키며 수직면의 벽면녹화 등에도 구애됨이 없이 환경친화적으로 녹화하는 기본적인 기능이외에도 물을 공급하는 점적파이프를 식생블럭 하단 측면으로 연결배치함으로서 지속 가능한 관수관리를 가능케 하여 결국 도시의 경관과 환경보전에 도움이 되도록 한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 블럭을 이용한 박층녹화방법 및 다목적 식생블럭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도시의 생태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옥상녹화, 보도, 산책로, 자전거도로, 주차장 등의 인공지반 녹화에 지면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 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여기서 특히 옥상녹화라 함은 건축 및 토목 구조물 등의 불투수층 구조물 위에 토양층을 포함한 식재지반을 조성하고 식물을 식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대지의 부족 및 높은 지가 등으로 녹지 공간을 확보하기 힘든 도심에서 쓸모없이 버려진 옥상 공간을 활용한다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보도는 본래의 이용 목적에 따라 사람의 이동에 지장이 없도록 보도블럭이나 석재 등의 판재 모서리 등을 면취하여 턱을 없애고 경사를 잡아 놓았으나 답압의 피해로 인한 녹화는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요즈음 답압의 피해가 적고 시람의 왕래가 적은 곳에서 가로수 사이사이에 가로수 보호대를 겸해서 공간블럭으로 녹화를 일부에서 시도하고 있는 중이지만 본래의 보도의 목적에는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인공지반은 자연지반과는 달리 별도의 조치가 없으면 생물이 서식할 수 없기 때문에 인공지반 녹화는 관수와 배수가 지속 가능한 관리가 중요하다.
이에 부응하여 최근에는 건물옥상, 자전거 도로나 기타 공원광장, 등등에 간혹 인공지반의 녹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관수관리와 답압의 피해, 기타 배수 및 빗물활용 등의 문제점 등 인공지반 본래의 목적대로 사용하면서 녹화시키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식생블럭의 대량생산이 가능한 구성을 갖도록 하되, 식생블럭을 이용한 작업과정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 식생블럭을 제공하여, 지피식물(예컨대: 잔디) 뿌리층과 줄기에 답압의 피해가 없도록 하면서 인공지반 본래의 목적대로 사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또한 식물이나 곤충 등이 서식할 수 있는 충분한 식생공간의 확보가 용이하도록 하고, 외부에서 저장된 빗물 등등의 수자원을 저장한 저장탱크 등에 점적파이프를 연결하여 식생블럭의 하단 측면으로 관통 배치토록 함으로서 점적파이프를 보호하여 지속가능한 관수관리와 생태면적율을 높이며 식생공으로 자라 올라오는 균일한 녹색기반으로 녹화시키는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 블럭을 이용한 박층녹화방법 및 다목적 식생블럭구조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키 위하여 본 발명인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 블럭을 이용한 박층녹화방법 및 다목적 식생블럭구조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을 성토한 후 식물성 섬유로 제조된 부직매트를 까는 준비단계와, 상기 부직매트 위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 사이에는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면은 상기 지지대와 일체로 형성된 판재 표면에 다수개의 식생공이 천공된 식생블럭을 안착시키는 식생블럭 설치단계와, 상기 식생블럭의 개구부 사이에는 배출공이 천공된 점적파이프를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다수개 배치한 후 배양토를 포설하는 배양토 포설단계와, 상기 식생공에 잔디씨를 뿌려서 발아시키는 고착단계와, 상기 판재 상면에는 상기 식생공과 동일 위치에 발아공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발아공의 외주면에는 인조잔디가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논슬립상태로 되어 있는 판상의 마감판재를 결합하는 마감단계로 이루어진 것과,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을 성토한 후 식물성 섬유로 제조된 부직매트를 까는 준비단계와, 상기 부직매트 위에 판형상으로 다수개의 배수역할을 하는 식생공이 천공되어 있는 판재을 안착하고 상기 판재와 일체로 된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 사이에는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는 식생블럭을 안착시키는 식생블럭 설치단계와, 상기 식생블럭의 개구부 사이에는 배출공이 천공된 점적파이프를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다수개 연결 배치한 후 배양토를 포설하는 배양토 포설단계와, 상기 지지대 위에는 다수개의 식생공이 천공된 플레이트를 안착한 후 상기 식생공에 잔디씨를 뿌려서 발아시키는 고착단계와,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식생공과 동일 위치에 발아공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발아공의 외주면에는 인조잔디가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논슬립상태로 되어 있는 판상의 마감판재를 결합하는 마감단계로 이루어진 것과,
상기 포설하는 배양토는 상기 식생블럭 지지대의 2/3이상 높이로 배양토를 포설하는 것과,
설치하고자 하는 벽면을 평탄하게 평탄작업을 한 후 하면에 연결공이 구비된 "ㄷ"자 형상의 아연도강판을 고정구 등으로 고정 설치한 후 상기 아연도강판의 평탄면에 식물성 섬유로 제조된 부직매트를 까는 준비단계와, 상기 연결공 상하로 배출공이 천공된 점적파이프 세로방향으로 연결 배치한 후 잔디씨와 혼합된 인공토양을 혼합파종하는 포설단계와, 상기 포설단계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혼합파종된 잔디씨와 혼합된 인공토양을의 유실되는 것을 방지키 위하여 표면에 미세통공이 무수히 천공된 철망을 설치하는 마감단계로 이루어진 것과,
다수개의 지지대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 사이에는 점적파이프가 설치 가능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와 일체로 상면에는 다수개의 식생공이 표면에 천공된 판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판재 상면에는 상기 식생공과 동일 위치에 발아공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발아공의 외주면에는 인조잔디가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논슬립상태로 되어 있는 판상의 마감판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과,
상기 지지대에는 다수개의 배수공이 천공된 것과,
상면에는 무수히 많은 식생공이 천공된 판재와, 상기 판재의 상면에는 상기 식생공과 동일 위치에 발아공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발아공의 외주면에는 인조잔디가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논슬립상태로 되어 있는 판상의 마감판재와, 상기 판재의 하면 길이방향 양측에는 상기 판재와 일체로 중앙에는 점적파이프가 배치 가능하도록 설치공이 천공되어 있고 측부에는 다수개의 배수공이 천공된 지지대로 이루어진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기존 건축물의 인공지반에도 식물을 식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 여건에 따라 건물의 옥상, 보도, 산책로, 자전거도로 등에 구애됨이 없이 답압의 피해없이 녹화시키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자연 생태계를 보존할 수 있으며 도시 경관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며 특히, 바닥면에 물을 공급하는 점적파이프를 사이사이에 연결 배치함으로서 지속가능한 지피식물의 관수관리로 결국 경관의 향상과 환경보전에도 도움이 되며 생태면적을 높일 수 있는 것이며,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식생블럭내 식생공간부가 충분히 형성될 수 있어, 각종 식물류나 벌, 곤충류등의 서식처의 제공은 물론 그 식생공간부내에 각종 식물 등의 뿌리가 견고하게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식생블럭 자체에 토사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우천이나 장마나 또는 폭우시 토사의 유실 방지를 극대화 할 수 있고, 건조시에는 미세먼지를 흡착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식생공간부의 충분한 확보에 의한 풍부한 녹지조성이 가능하게 되므로, 수직의 방음벽, 벽면녹화 등에 식생블럭으로 조성되는 녹지공간에 의해 자연친화적인 환경 조성 및 주변환경과의 조화로운 조경 조성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도심의 기존 보도나 주차장 등에 박층녹화를 실현할 수 있어 도시 미관은 물론 열섬효과 방지에 일조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블럭을 이용한 박층녹화방법의 간략 블럭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블럭을 이용한 박층녹화방법의 또 다른 방법의 간략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블럭구조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블럭구조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블럭구조에 있어서 또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블럭구조에 있어서 또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블럭구조에 있어서 또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블럭구조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9는 도4의 사용상태도이다.
우선, 본 발명은 방법과 제품 구조에 관련된 발명으로서 우선, 방법적인 구성적 특징으로 설명하고 그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인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 블럭을 이용한 녹화방법은 크게 세가지의 방법으로 나눌수 있으며 그 첫번째 방법적 실시예는,
[준비단계]
도 1 및 도 3 및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기존의 인공지반중 녹화작업을 시행하고자 하는 지면 즉,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을 성토한 후 식물성 섬유로 제조된 부직매트(M)를 까는 단계를 지칭하는 것이다.
이때 만약 옥상 등과 같은 인공지반의 경우에는 방수가 가능하고 지피식물 즉, 잔디씨가 발아시 뿌리가 옥상 표면을 침투하여 손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키 위하여 폐비닐이나 우레탄 등의 방수층 및 방근층이나 배수를 확인조치한 후 식물성 섬유로 제조된 부직매트(M)를 깔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단계에서 사용되는 부직매트(M)의 경우에는 지면 즉, 지반(E)과 함께 반영구적으로 묻혀있어야 하는 것으로서 식물성 섬유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고 그 일예로 야자껍질로 제조된 부직매트(M)이 가장 적합할 것이다.
[식생블럭 설치단계]
본 단계는 상기 준비단계의 부직매트(M) 위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지지대(10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100) 사이에는 개구부(20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면은 상기 지지대(100)와 일체로 형성된 판재(300) 표면에 다수개의 식생공(301)이 천공된 식생블럭(B)을 안착 설치하는 단계로서 도 3 및 도 6 내지 도 7에 그 일실시예가 다양한 식생블럭으로 도시되어 있다.
[배양토 포설단계]
본 단계는 상기 식생블럭(B)의 개구부(200) 사이에는 외주면에 무수히 많은 배출공(H)이 천공된 점적파이프(T)를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다수개 배치한 후 배양토를 충진, 포설하는 단계이다.
물론, 배양토를 포설한 후 배양토의 유실을 방지되도록 다짐질을 행하는 것은 당연한 공지된 것이라 그 이하는 생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점적파이프(T)의 배출공(H)으로 배출되는 물은 대부분이 빗물을 저장하여 사용하는 자연수로서 환경친화적인 요소를 가미한 것이며 점적 파이프(T)를 연결 배관하여 지속가능한 관수관리를 하는 것이다.
[고착단계]
본 단계는 마지막 단계로서 상기 식생공(301)에 잔디씨를 뿌려서 발아되도록 하는 단계로서 이때 당연히 점적파이프(T)를 통해 관수되어 잔디씨가 적절히 발아 가능하도록 그 배경을 조성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며 고착이라는 단어에서 의미하는 바와 같이 식생블럭(B)으로 부터 배양토 및 기타 구성요소 등등이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적당한 결속을 이룬 상태이다.
[마감단계]
본 단계는 상기 판재(300) 상면에 마감판재(600)를 결합하여 마감하는 단계로서, 상기 마감판재(600)은 상기 식생공(301)과 동일 위치에 발아공(60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발아공(601)의 외주면에는 인조잔디가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논슬 립상태로 되어 있는 판상으로서 본 발명의 첫번째 방법적 실시예는 상기 마감단계로 일단락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3 및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설하는 배양토는 상기 식생블럭(B) 지지대(100)의 2/3이상 높이로 배양토를 포설함으로서 잔디(G)가 최적으로 식생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참고로 상기 점적 파이프(T)를 통해 수용성 비료를 투입 즉, 관비재배하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다.
다음, 두번째 방법적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준비단계]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기존의 인공지반중 녹화작업을 시행하고자 하는 지면 즉,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을 성토한 후 식물성 섬유로 제조된 부직매트(M)를 까는 단계를 지칭하는 것이다.
이때 만약 옥상 등과 같은 인공지반의 경우에는 방수가 가능하고 지피식물 즉, 잔디씨가 발아시 뿌리가 옥상 표면을 침투하여 손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키 위하여 폐비닐이나 우레탄 등의 방수층 및 방근층이나 배수를 확인조치한 후 식물성 섬유로 제조된 부직매트(M)를 깔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단계에서 사용되는 부직매트(M)의 경우에는 지면 즉, 지반(E)과 함께 반영구적으로 묻혀있어야 하는 것으로서 식물성 섬유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고 그 일예로 야자껍질로 제조된 부직매트(M)이 가장 적합할 것이다.
[식생블럭 설치단계]
본 단계는 상기 준비단계의 부직매트(M) 위에 상기 부직매트(M) 위에 판형상으로 다수개의 배수역할을 하는 식생공(301)이 천공되어 있는 판재(300)을 안착하고 상기 판재(300)와 일체로 된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지지대(10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100) 사이에는 개구부(200)가 구비되어 있는 식생블럭(B)을 안착시키는 설치하는 단계로서 도 6에 그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배양토 포설단계]
본 단계는 상기 식생블럭(B)의 개구부(200) 사이에는 외주면에 무수히 많은 배출공(H)이 천공된 점적파이프(T)를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다수개 배치한 후 배양토를 포설하는 단계이다.
물론, 배양토를 포설한 후 배양토의 유실을 방지되도록 다짐질을 행하는 것은 당연한 공지된 것이라 그 이하는 생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점적파이프(T)의 배출공(H)으로 배출되는 물은 대부분이 빗물을 저장하여 사용하는 자연수로서 환경친화적인 요소를 가미한 것이며 점적파이프(T)를 연결 배관 지속 가능한 관수관리를 하는 것이다.
[고착단계]
본 단계는 마지막 단계로서 상기 지지대(100) 위에는 다수개의 식생공(501)이 천공된 플레이트(500)를 안착한 후 상기 식생공(501)에 잔디씨를 뿌려서 고착되 도록 하는 단계로서 이때 당연히 점적파이프(T)를 통해 배양토가 잔디씨가 적절히 식생 가능하도록 그 배경을 조성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며 고착이라는 단어에서 의미하는 바와 같이 식생블럭(B)으로 부터 배양토 및 기타 구성요소 등등이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적당한 다짐질을 이룬 상태이다
[마감단계]
본 단계는 상기 플레이트(500) 상면에 마감판재(600)를 결합하여 마감하는 단계로서, 상기 마감판재(600)은 상기 식생공(501)과 동일 위치에 발아공(60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발아공(601)의 외주면에는 인조잔디가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논슬립상태로 되어 있는 판상으로서 본 발명의 두번째 방법적 실시예는 상기 마감단계로 일단락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설하는 배양토는 상기 식생블럭(B) 지지대(100)의 2/3이상 높이로 배양토를 포설함으로서 잔디(G)의 최적으로 식생을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참고로 상기 점적 파이프(T)를 통해 수용성 비료를 투입 즉, 관비재배하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다.
다음, 세번째 방법적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준비단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기존의 인공지반중 녹화작업을 시행하고자 하는 벽면 즉, 설치하고자 하는 벽면을 성토한 후 하면에 연결공(702)이 구비된 "ㄷ"자 형상의 아연도강판(700)을 고정구(701) 등으로 고정 설치한 후 상기 아연도강판(700)의 평탄면에 식물성 섬유로 제조된 부직매트(M)를 까는 단계를 지칭하는 것이다.
본 단계에서 사용되는 부직매트(M)의 경우에는 지면 즉, 지반(E)과 함께 반영구적으로 묻혀있어야 하는 것으로서 식물성 섬유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고 그 일예로 야자껍질로 제조된 부직매트(M)이 가장 적합할 것이다.
또한, 본 단계에서 사용되는 아연도강판(700)의 하단에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점적파이프(T)가 관통 가능하도록 연결공(702)이 천공되는 것이다.
[포설단계]
본 단계는 상기 연결공(702) 상하로 관통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구성은 외주면에 간헐적으로 배출공(H)이 천공된 점적파이프(T)를 세로방향으로 다수개 연결 배치한 후 지피식물 특히 잔디씨와 혼합된 인공토양을 혼합파종하는 단계이다.
물론, 잔디씨와 혼합된 인공토양을 혼합파종한 후 유실을 방지되도록 다짐질을 행하는 것은 당연한 공지된 것이므로 그 이하는 생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점적파이프(T)의 배출공(H)으로 배출되는 물은 대부분이 빗물을 저장하여 사용하는 자연수로서 환경친화적인 요소를 가미한 것이며 점적파이프(T)를 연결 배관 지속 가능한 관수관리를 하는 것이다.
[마감단계]
본 단계는 상기 포설단계를 진행함과 동시에 상기 혼합파종된 잔디씨와 혼합된 인공토양의 유실 방지를 더욱 막기 위하여 표면에 미세통공(401)이 무수히 천공된 철망(400)을 설치하는 마감하는 단계로서, 본 발명의 세번째 방법적 실시예는 상기 마감단계로 일단락되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점적 파이프(T)를 통해 수용성 비료를 투입 즉, 관비재배하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방법에 의해 벽면녹화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하, 본 발명의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블럭구조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실시예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체적인 구성은,
다수개의 지지대(100)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100) 사이에는 점적파이프(T)가 설치 가능하도록 개구부(2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100)와 일체로 상면에는 다수개의 식생공(301)이 표면에 천공된 판재(30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판재(300)의 상면에는 상기 식생공(301)과 동일 위치에 발아공(60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발아공(601)의 외주면에는 인조잔디가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논슬립상태로 되어 있는 판상의 마감판재(600)가 결합되어 로 이루어진 것이다.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어 점적파이프(T)의 배출공(H)을 통해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한 저장탱크로 부터 배출되는 빗물 등의 자연수를 식생블럭(B)의 저면으로 부터 공급함으로서 상기 배양토에 심어져 있는 잔디(G)가 최적의 조건에서 식생이 가능하며 특히, 식생블럭(B)간의 유동은 당연히 배양토 및 기타 흙 등에 의해 고착되며 더 나아가서 잔디(G)가 도 8과 같이 생장한 상태에서는 당연히 유실의 문제점은 해소될 것이다.
[실시예2]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의 구성요소에 하기에서 기술하는 즉,
상기 실시예 1의 지지대(100)에는 다수개의 배수공(101)이 천공된 것을 의미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00) 측면에 다수개의 배수공(101)을 천공함으로서 상기 배출공(H)으로 배출된 자연수가 지하로 흡수되고 배수되는 것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기타 배치 및 설치 및 작용은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그 구체적인 구성은,
상면에는 무수히 많은 식생공(301)이 천공된 판재(300)와,
상기 판재(300)의 상면에는 상기 식생공(301)과 동일 위치에 발아공(60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발아공(601)의 외주면에는 인조잔디가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논슬립상태로 되어 있는 판상의 마감판재(600)와,
상기 판재(300)의 하면 길이방향 양측에는 상기 판재(300)와 일체로 중앙에는 점적파이프(T)가 배치 가능하도록 설치공(102)이 천공되어 있고 측부에는 다수개의 배수공(101)이 천공된 지지대(100)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적 특징으로 이룬 실시예 3은 실시예 2보다 더욱 진보된 구성요소로서 점적파이프(T)의 배출공(H)을 통해 배출된 자연수를 지하의 흡수 및 다른 지역으로의 배수를 원활하게 하고 상기 점적파이프(T)의 외부 영향으로 인한 유동을 방지하고 잔디(G)가 식생하는 적절한 위치로 부터 이탈을 방지함으로서 잔디의 생장의 원활함을 한층 진보토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블럭을 이용한 녹화방법의 간략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인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블럭을 이용한 박층녹화방법의 또 다른 방법의 간략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인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블럭구조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블럭구조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블럭구조에 있어서 또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블럭구조에 있어서 또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블럭구조에 있어서 또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블럭구조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도 4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지지대 101; 배수공
102; 설치공 200; 개구부
300; 판재 301; 식생공
400; 철망 401; 미세통공
500; 플레이트 501; 식생공
600; 마감판재 601; 발아공
700; 아연도강판 701; 고정구
702; 연결공
B; 식생블럭 E; 지반
G; 잔디 H; 배출공 M; 부직매트 T; 점적파이프

Claims (7)

  1.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을 성토한 후 식물성 섬유로 제조된 부직매트(M)를 까는 준비단계와,
    상기 부직매트(M) 위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지지대(10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100) 사이에는 개구부(20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면은 상기 지지대(200)와 일체로 형성된 판재(300) 표면에 다수개의 식생공(301)이 천공된 식생블럭(B)을 안착시키는 식생블럭 설치단계와,
    상기 식생블럭(B)의 개구부(200) 사이에는 배출공(H)이 천공된 점적파이프(T)를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다수개 배치한 후 배양토를 포설하는 배양토 포설단계와,
    상기 식생공(301)에 잔디씨를 뿌려서 발아시키는 고착단계와,
    상기 판재(300) 상면에는 상기 식생공(301)과 동일 위치에 발아공(60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발아공(601)의 외주면에는 인조잔디가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논슬립상태로 되어 있는 판상의 마감판재(600)를 결합하는 마감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블럭을 이용한 박층녹화방법.
  2.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을 성토한 후 식물성 섬유로 제조된 부직매트(M)를 까는 준비단계와,
    상기 부직매트(M) 위에 판형상으로 다수개의 배수역할을 하는 식생공(301)이 천공되어 있는 판재(300)을 안착하고 상기 판재(300)와 일체로 된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지지대(10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100) 사이에는 개구부(200)가 구비되어 있는 식생블럭(B)을 안착시키는 식생블럭 설치단계와,
    상기 식생블럭(B)의 개구부(200) 사이에는 배출공(H)이 천공된 점적파이프(T)를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다수개 연결 배치한 후 배양토를 포설하는 배양토 포설단계와,
    상기 지지대(100) 위에는 다수개의 식생공(501)이 천공된 플레이트(500)를 안착한 후 상기 식생공(501)에 잔디씨를 뿌려서 발아시키는 고착단계와,
    상기 플레이트(500)의 상면에는 상기 식생공(501)과 동일 위치에 발아공(60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발아공(601)의 외주면에는 인조잔디가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논슬립상태로 되어 있는 판상의 마감판재(600)를 결합하는 마감단계로 이루어진 것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블럭을 이용한 박층녹화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설하는 배양토는 상기 식생블럭(B) 지지대(100)의 2/3이상 높이로 배양토를 포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블럭을 이용한 박층녹화방법.
  4. 설치하고자 하는 벽면을 평탄하게 평탄작업을 한 후 하면에 연결공(702)이 구비된 "ㄷ"자 형상의 아연도강판(700)을 고정구(701) 등으로 고정 설치한 후 상기 아연도강판(700)의 평탄면에 식물성 섬유로 제조된 부직매트(M)를 까는 준비단계와,
    상기 연결공(702) 상하로 배출공(H)이 천공된 점적파이프(T) 세로방향으로 연결 배치한 후 잔디씨와 혼합된 인공토양을 혼합파종하는 포설단계와,
    상기 포설단계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혼합파종된 잔디씨와 혼합된 인공토양의 유실되는 것을 방지키 위하여 표면에 미세통공(401)이 무수히 천공된 철망(400)을 설치하는 마감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블럭을 이용한 박층녹화방법.
  5. 다수개의 지지대(100)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100) 사이에는 점적파이프(T)가 설치 가능하도록 개구부(2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100)와 일체로 상면에는 다수개의 식생공(301)이 표면에 천공된 판재(30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판재(300) 상면에는 상기 식생공(301)과 동일 위치에 발아공(60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발아공(601)의 외주면에는 인조잔디가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논슬립상태로 되어 있는 판상의 마감판재(600)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식생블럭.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0)에는 다수개의 배수공(101)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식생블럭.
  7. 상면에는 무수히 많은 식생공(301)이 천공된 판재(300)와,
    상기 판재(300)의 상면에는 상기 식생공(301)과 동일 위치에 발아공(60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발아공(601)의 외주면에는 인조잔디가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논슬립상태로 되어 있는 판상의 마감판재(600)와,
    상기 판재(300)의 하면 길이방향 양측에는 상기 판재(300)와 일체로 중앙에는 점적파이프(T)가 배치 가능하도록 설치공(102)이 천공되어 있고 측부에는 다수개의 배수공(101)이 천공된 지지대(1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식생블럭.
KR1020080043501A 2008-05-09 2008-05-09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 블럭을 이용한박층녹화방법 및 다목적 식생블럭구조 KR200901174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501A KR20090117453A (ko) 2008-05-09 2008-05-09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 블럭을 이용한박층녹화방법 및 다목적 식생블럭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501A KR20090117453A (ko) 2008-05-09 2008-05-09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 블럭을 이용한박층녹화방법 및 다목적 식생블럭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453A true KR20090117453A (ko) 2009-11-12

Family

ID=41601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501A KR20090117453A (ko) 2008-05-09 2008-05-09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 블럭을 이용한박층녹화방법 및 다목적 식생블럭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745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18483A (zh) * 2011-07-29 2012-01-18 兰州大学 一种耐践踏无土草坪基质的生产方法
WO2013187630A1 (ko) * 2012-06-11 2013-12-19 Moon Young Man 적층이 용이한 식생블럭구조
KR102190616B1 (ko) * 2019-09-19 2020-12-21 지앤지텍(주) 인조잔디용 배수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18483A (zh) * 2011-07-29 2012-01-18 兰州大学 一种耐践踏无土草坪基质的生产方法
WO2013187630A1 (ko) * 2012-06-11 2013-12-19 Moon Young Man 적층이 용이한 식생블럭구조
KR101395606B1 (ko) * 2012-06-11 2014-05-27 문영만 적층이 용이한 식생블럭구조
KR102190616B1 (ko) * 2019-09-19 2020-12-21 지앤지텍(주) 인조잔디용 배수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559B1 (ko) 다양한 벽면 연출이 가능한 다목적 식생블럭구조
CN109315200A (zh) 青海高原地区公路边坡植被修复方法
US201000432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vering Surfaces with a Planting Module
CN106013624A (zh) 一种基于植草板改造的绿色海绵屋顶的技术方法
KR101099361B1 (ko) 벽면녹화용 다공패널 구조체
KR101203135B1 (ko)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 및 공법
KR20090117453A (ko)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 블럭을 이용한박층녹화방법 및 다목적 식생블럭구조
JP3285201B2 (ja) 自生型屋上緑化施工方法
CN200947768Y (zh) 土层贮水板
JP3753711B2 (ja) 緑化材料及びその緑化材料を用いた緑化工法
CN211210685U (zh) 一种建筑室外自动灌溉的空中绿化种植构架系统
JP2014073105A (ja) 植生マット
KR101279958B1 (ko) 식생층을 구비한 식생블록체 및 그 제조방법
JPH07150513A (ja) スポーツグラウンド用排水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多孔質層形成ユニット、スポーツグラウンド用排水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パイプユニット並びにスポーツグラウンドの施工方法
JP3822195B2 (ja) 植物栽培装置
KR100566934B1 (ko) 녹지조성용 블록
KR100902663B1 (ko) 트레이형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05028164A (zh) 一种模块化建植匍匐翦股颖草坪的装置及方法
JP2002017161A (ja) 緑化装置と建築物における屋上用緑化装置の形成方法
JP3312687B2 (ja) 人工地盤への植栽物植生方法
CN219352477U (zh) 一种利用藤本植物及灌木复绿边坡的结构
JP6139907B2 (ja) 屋上緑化用敷設板とその製造方法
JP3733611B2 (ja) 構造物の緑化工法
JP2004201603A (ja) 温度上昇抑制構造
KR19990037617A (ko) 화산암재를 이용한 잔디구장의 관수 및 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