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606B1 - 적층이 용이한 식생블럭구조 - Google Patents

적층이 용이한 식생블럭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606B1
KR101395606B1 KR1020120062127A KR20120062127A KR101395606B1 KR 101395606 B1 KR101395606 B1 KR 101395606B1 KR 1020120062127 A KR1020120062127 A KR 1020120062127A KR 20120062127 A KR20120062127 A KR 20120062127A KR 101395606 B1 KR101395606 B1 KR 101395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coupling pipe
coupling
groove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8492A (ko
Inventor
문영만
Original Assignee
문영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영만 filed Critical 문영만
Priority to KR1020120062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606B1/ko
Priority to PCT/KR2013/004958 priority patent/WO2013187630A1/ko
Publication of KR20130138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 보도, 산책로, 자전거도로, 주차장 등의 인공지반을 녹화시키기 위한 식생블럭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인공지반의 조성에 앞서 좁은 공간에서도 식생이 가능하도록 식생블럭을 안정적으로 적층가능하도록 한 적층이 용이한 식생블럭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인 적층이 용이한 식생블럭구조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사각형상으로 상면에 다수개의 식생홈(11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식생홈(110)의 외주부에는 다수개의 통공(121)이 길이방향으로 천공되어 있는 포트(120)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포트(120) 내에 수납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배양토에 재활용 솜이 결합되어 배양토가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재활용 솜에 긴밀하게 혼합된 배양부재가 구비된 상태이며 상기 식생홈(110) 중 네개의 식생홈(110)이 마주보는 중앙에는 결합공(131)이 천공된 제1 결합관(130)이 하측으로 형성된 상판(100)과,
상기 상판(100)과 외주면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 구조로서 바닥에는 상기 제1 결합관(130)과 일치되는 위치에 체결공(210)이 천공된 부직포(200)가 안착되어 있고 상기 부직포(200) 상측에는 상기 포트(120)가 수납 가능하도록 수납부(3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부(310)를 이루는 사방의 격벽(311) 중 마주보는 양측의 격벽(311) 상단에는 점적호스(H)가 관통 설치 가능하도록 절개홈(312)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에는 상측으로 상기 체결공(210)을 관통하면서 중앙에 결합공(321)이 천공된 제2 결합관(320)이 형성된 하판(300)과,
상기 제1 결합관(130), 제2 결합관(320)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서 중앙에 물이 빠지도록 구멍이 천공된 복수개의 지지바(400)가 상기 제1 결합관(130) 및 제2 결합관(320)마다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이 용이한 식생블럭구조]를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수개의 포트가 일체로 구비된 식생블럭을 안정적으로 다단 적층하여 각 포트마다 식물의 생육을 가능하도록 하여 좁은 장소 즉, 협소한 장소에서도 다수개의 식생블럭을 적층하여 보관 및 관리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장기간 보관시 발생되는 장소의 문제 및 기타 관리 문제에서 월등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적층이 용이한 식생블럭구조{Block for plants to convenient multistage}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 보도, 산책로, 자전거도로, 주차장 등의 인공지반을 녹화시키기 위한 식생블럭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인공지반의 조성에 앞서 좁은 공간에서도 식생이 가능하도록 식생블럭을 안정적으로 적층가능하도록 한 적층이 용이한 식생블럭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도시 또는 거주지역의 외관 즉, 환경을 디자인화하여 보행자나 거주자 또는 관광객에 도시의 아름다움을 표현하고자 하는 작업이 지방자치단체나 기타 대도시에서 붐을 일으킬 정도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이 디자인화된 도시를 개발하기 위하여 또는 각 계절마다 이벤트성 행사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도시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면서 친환경적 측면도 함께 달성할 수 있는 가장 좋은 것이 꽃을 비롯한 식물을 도시 가까이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현대인이 생활하는 도시등은 콘크리트 건축물로 도시민의 정서를 반영치 못한 것이 현실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옥상녹화, 보도 주변의 녹화, 산책로 주변의 녹화 등의 인공지반 녹화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대부분의 지방도시나 근교도시에서도 봄철이나 가을철에 자주 개최하는 각종 이벤트성 행사를 보면 대부분이 꽃이나 식물등을 보도 주변, 산책로 주변, 심지어 인공의 수직벽면을 설치하여 인공적으로 녹화토록 하는데, 이와 같이 단시간내에 이벤트성 행사에 사용되는 식생블럭은 다른 장소등에서 식생한 후 최고조로 만개했을때 시민이나 주민 기타 관광객에게 전시토록 하며 전시 전단계인 생육의 경우 각 식생블럭을 평지등에 나열하여 생육하여야 함에 따른 장소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즉, 식생블럭내에 식생하는 식물이 갑자기 만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장소에서 일정한 크기나 일정한 정도로 만개할 수 있도록 식생블럭에서 식생되는 식물을 생육하여야 함에 있어 장소의 협소로 인하여 발생되는 문제점이 현 시점에서 가장 큰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인공녹화 설치전에 식생되는 장소에 대하여는 종래의 경우 볼때 대부분이 비닐 하우스에 한정된 식생블럭을 나열하여 생육하거나 아니면 별도로 식물을 생육한 다음 일정 정도가 지난 식물을 식생블럭에 옮겨 심는 등 또는 인공녹화하기 전에 급하게 식생블럭에 식물을 심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방법으로는 식생블럭에서 생육하는 식물이 옮겨심는 과정에서 환경의 변화 등으로 식물의 건강한 생육이 불가하며,
또한, 그때 그때 옮겨 심는 공정도 번거롭고 비 경제적인 측면이나 시간상의 비효율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우선, 다수개의 포트가 일체로 구비된 식생블럭을 안정적으로 다단 적층하여 각 포트마다 식물의 생육을 가능하도록 하여 좁은 장소 즉, 협소한 장소에서도 다수개의 식생블럭을 적층하여 보관 및 관리 가능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고,
식물의 파종을 식생블럭에 구비된 포트에 직접함으로서 식물의 생육과정에서 이식 즉, 옮겨심는 과정을 배제함으로서 식물의 생육이 원활하게 할 수 있는데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키 위하여 본 발명인 적층이 용이한 식생블럭구조 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사각형상으로 상면에 다수개의 식생홈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식생홈의 외주부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길이방향으로 천공되어 있는 포트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포토 내에 수납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배양토에 재활용 솜이 결합되어 배양토가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재활용 솜에 긴밀하게 혼합된 배양부재가 구비된 상태이며 상기 식생홈 중 네개의 식생홈이 마주보는 중앙에는 결합공이 천공된 제1 결합관이 하측으로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과 외주면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 구조로서 바닥에는 상기 제1 결합관과 일치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천공된 부직포가 안착되어 있고 상기 부직포 상측에는 상기 포트가 수납 가능하도록 수납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부를 이루는 사방의 격벽 중 마주보는 양측의 격벽 상단에는 점적호스가 관통 설치 가능하도록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에는 상측으로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면서 중앙에 결합공이 천공된 제2 결합관이 형성된 하판과, 상기 제1 결합관, 제2 결합관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서 중앙에 물이 빠지도록 구멍이 천공된 복수개의 지지바가 상기 제1 결합관 및 제2 결합관마다 결합되어 있는 것과,
상기 제1 결합관 내주부 하측과 상기 제2 결합관 내주부 상측에는 각각 암 나사산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바의 상하 양측 외주부에는 숫나사산이 구비된 것과,
상기 제1 결합관 내주부 하단 및 상기 제2 결합관 내주부 상단에는 각각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구비된 것과,
상기 상판에 구비된 식생홈의 둘레에는 다수개의 홈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홈부에 결합되는 반원 형상으로 직선부위의 중앙에는 절개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라운딩된 반원 부위 하단에는 상기 홈부에 결합 가능하도록 돌부가 다수개 구비된 메쉬형상의 커버판이 포함된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수개의 포트가 일체로 구비된 식생블럭을 안정적으로 다단 적층하여 각 포트마다 식물의 생육을 가능하도록 하여 좁은 장소 즉, 협소한 장소에서도 다수개의 식생블럭을 적층하여 보관 및 관리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장기간 보관시 발생되는 장소의 문제 및 기타 관리 문제에서 월등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적층이 용이한 식생블럭구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적층이 용이한 식생블럭구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적층이 용이한 식생블럭구조에 있어서 각각의 식생블럭을 지지바에 의해 적층키 위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적층이 용이한 식생블럭구조에 있어서 각각의 식생블럭이 지지바에 의해 적층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적층이 용이한 식생블럭구조에 있어서 각각의 식생블럭이 지지바에 적층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적층이 용이한 식생블럭구조에 있어서 지지바가 결합공에 결합된 상태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적층이 용이한 식생블럭구조에 있어서 식생홈의 외주에 커버판을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한 상태의 일부 분리사시도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적층이 용이한 식생블럭구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적층이 용이한 식생블럭구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적층이 용이한 식생블럭구조에 있어서 각각의 식생블럭을 지지바에 의해 적층키 위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적층이 용이한 식생블럭구조에 있어서 각각의 식생블럭이 지지바에 의해 적층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적층이 용이한 식생블럭구조에 있어서 각각의 식생블럭이 지지바에 적층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적층이 용이한 식생블럭구조에 있어서 지지바가 결합공에 결합된 상태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적층이 용이한 식생블럭구조에 있어서 식생홈의 외주에 커버판을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한 상태의 일부 분리사시도이다.
지시부호 100은 상판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상판(100)의 구조는 사각형상으로 상면에 다수개의 식생홈(11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식생홈(110)의 외주부에는 다수개의 통공(121)이 길이방향으로 천공되어 있는 포트(120)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포트(120) 내에 수납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배양토에 재활용 솜이 결합되어 배양토가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재활용 솜에 긴밀하게 혼합된 배양부재가 구비된 상태이며 상기 식생홈(110) 중 네개의 식생홈(110)이 마주보는 중앙에는 결합공(131)이 천공된 제1 결합관(130)이 하측으로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결합공(131)에 대하여 좀더 설명하면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개의 식생홈(11)이 마주보는 중앙에 구비되나 상기 결합공(131)의 역할 자체가 식생블럭의 적층시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바(400)에 결합을 위한 것이므로 그 갯수를 늘리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최소한의 갯수로 적층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주요한 역할인 것이다.
다음, 지시부호 300은 하판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판(300)은 상기 상판(100)과 외주면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 구조로서 바닥에는 상기 제1 결합관(130)과 일치되는 위치에 체결공(210)이 천공된 부직포(200)가 안착되어 있고 상기 부직포(200) 상측에는 상기 포트(120)가 수납 가능하도록 수납부(3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부(310)를 이루는 사방의 격벽(311) 중 마주보는 양측의 격벽(311) 상단에는 점적호스(H)가 관통 설치 가능하도록 절개홈(312)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에는 상측으로 상기 체결공(210)을 관통하면서 중앙에 결합공(321)이 천공된 제2 결합관(320)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상판(100)과 하판(300)의 결합은 매우 다양한 것으로서 상판(100) 및 하판(300) 체결훅크를 설치하여 상판(100)과 하판(300)을 결합하거나 기타 다양한 설비 구조가 존재할 것이다.
다음, 지시부호 400은 지지바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바(400)은 중앙에 물이 빠지도록 구멍이 천공된 봉형상이며 상기 제1 결합관(130), 제2 결합관(320)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서 복수개의 지지바(400)가 상기 제1 결합관(130) 및 제2 결합관(320)마다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결합관(130) 내주부 하단 및 상기 제2 결합관(320) 내주부 상단에는 각각 복수개의 걸림돌기(133)가 구비된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결합관(130) 내주부 하측과 상기 제2 결합관(320) 내주부 상측에는 각각 암 나사산(13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바(400)의 상하 양측 외주부에는 숫나사산(410)이 구비된 구조이다.
다음 지시부호 500은 커버판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커버판(5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100)에 구비된 식생홈(110)의 둘레에는 다수개의 홈부(14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홈부(140)에 결합되는 반원 형상으로 직선부위의 중앙에는 절개부(510)가 구비되어 있으며 라운딩된 반원 부위 하단에는 상기 홈부(140)에 결합 가능하도록 돌부(520)가 다수개 구비된 메쉬형상의 구조인 것이다.
한편, 배양부재 상기 포트(120) 내에 수납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배양토에 재활용 솜이 결합되어 배양토가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재활용 솜에 긴밀하게 혼합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포트(120)에 인공토양보다 가볍고 보습효과를 높이면서 식물 뿌리의 활착을 보다 쉽게 재활용 솜을 배양토와 함께 충진, 혼합한 배양부재에 식물을 파종하여 육묘토록 한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양토와 재활용 솜은 3:7의 비율로 혼합한 배양부재를 포함한 것이다.
상기 재활용 솜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명주솜 기타 등등의 솜의 본래의 목적을 수행한 후 폐기되는 솜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폐기되는 다양한 솜을 혼합한 솜을 지칭하는 것이다.
다음, 절개홈(312)에는 점적호스(H)가 관통하여 외부로 부터 본 식생블럭 내오 유입되며 상기 점적호스(H)는 그 표면에 구멍(WH)이 천공되어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한 물 공급부인 펌프 또는 수도꼭지 등으로 부터 물이 주입되어 상기 구멍(WH)을 통해 물이 유입되어 재활용솜이 상기 물을 머금고 이를 식물의 식생에 도움을 주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포트(120)에 재활용 솜과 배양토를 혼합하여 상기 배양토가 재활용 솜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상기 배양토가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한 다음 이때 상기 배양토를 재활용 솜과 혼합할때 식물의 종자도 함께 파종하더라도 무방하고 그 이후인 배양토와 재활용 솜을 혼합한 후 식물의 종자를 파종하더라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식물을 파종후 배양액 즉, 분변토의 액비를 물과 혼합한 다음 희석시켜 제공하면서 식물의 식생하며 이때 장소의 협소성으로 인해 식생블럭을 평지에 펼쳐 놓을 수 없으므로 상기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400)를 결합공(131) 및 결합공(321)에 결합하여 다수개의 식생블럭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협소한 장소에서도 많은 식생블럭을 설치하여 식물을 식생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100 : 상판 110 : 식생홈
120 : 포토 121 : 통공
130 : 제1 결합관 131 : 결합공
132 : 암 나사산 133 : 걸림돌기
140 : 홈부 200 : 부직포
210 : 체결공 300 : 하판
310 : 수납부 311 : 격벽
312 : 절개홈 320 : 제2 결합관
321 : 결합공 400 : 지지바
410 : 숫 나사산 500 : 커버판
510 : 절개부 520 : 돌부
H : 점적호스 WH : 수통공

Claims (4)

  1. 사각형상으로 상면에 다수개의 식생홈(11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식생홈(110)의 외주부에는 다수개의 통공(121)이 길이방향으로 천공되어 있는 포트(120)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포트(120) 내에 수납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배양토에 재활용 솜이 결합되어 배양토가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재활용 솜에 긴밀하게 혼합된 배양부재가 구비된 상태이며 상기 식생홈(110) 중 네개의 식생홈(110)이 마주보는 중앙에는 결합공(131)이 천공된 제1 결합관(130)이 하측으로 형성된 상판(100)과,
    상기 상판(100)과 외주면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 구조로서 바닥에는 상기 제1 결합관(130)과 일치되는 위치에 체결공(210)이 천공된 부직포(200)가 안착되어 있고 상기 부직포(200) 상측에는 상기 포트(120)가 수납 가능하도록 수납부(3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부(310)를 이루는 사방의 격벽(311) 중 마주보는 양측의 격벽(311) 상단에는 점적호스(H)가 관통 설치 가능하도록 절개홈(312)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에는 상측으로 상기 체결공(210)을 관통하면서 중앙에 결합공(321)이 천공된 제2 결합관(320)이 형성된 하판(300)과,
    상기 제1 결합관(130), 제2 결합관(320)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서 중앙에 물이 빠지도록 구멍이 천공된 복수개의 지지바(400)가 상기 제1 결합관(130) 및 제2 결합관(320)마다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이 용이한 식생블럭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관(130) 내주부 하측과 상기 제2 결합관(320) 내주부 상측에는 각각 암 나사산(13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바(400)의 상하 양측 외주부에는 숫나사산(41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이 용이한 식생블럭구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관(130) 내주부 하단 및 상기 제2 결합관(320) 내주부 상단에는 각각 복수개의 걸림돌기(13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이 용이한 식생블럭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0)에 구비된 식생홈(110)의 둘레에는 다수개의 홈부(14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홈부(140)에 결합되는 반원 형상으로 직선부위의 중앙에는 절개부(510)가 구비되어 있으며 라운딩된 반원 부위 하단에는 상기 홈부(140)에 결합 가능하도록 돌부(520)가 다수개 구비된 메쉬형상의 커버판(500)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이 용이한 식생블럭구조.
KR1020120062127A 2012-06-11 2012-06-11 적층이 용이한 식생블럭구조 KR101395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127A KR101395606B1 (ko) 2012-06-11 2012-06-11 적층이 용이한 식생블럭구조
PCT/KR2013/004958 WO2013187630A1 (ko) 2012-06-11 2013-06-05 적층이 용이한 식생블럭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127A KR101395606B1 (ko) 2012-06-11 2012-06-11 적층이 용이한 식생블럭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492A KR20130138492A (ko) 2013-12-19
KR101395606B1 true KR101395606B1 (ko) 2014-05-27

Family

ID=49758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127A KR101395606B1 (ko) 2012-06-11 2012-06-11 적층이 용이한 식생블럭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95606B1 (ko)
WO (1) WO20131876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58792A (zh) * 2016-08-24 2017-02-01 卓达新材料科技集团威海股份有限公司 墙面绿化板
CN109770812A (zh) * 2017-11-15 2019-05-21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超声波洗碗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7453A (ko) * 2008-05-09 2009-11-12 문영만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 블럭을 이용한박층녹화방법 및 다목적 식생블럭구조
KR20110009018A (ko) * 2009-07-20 2011-01-27 문영만 다양한 벽면 연출이 가능한 다목적 식생블럭구조
KR200452591Y1 (ko) 2010-07-05 2011-03-07 박규남 점적관수식 육묘 포트
KR20110063720A (ko) * 2011-04-29 2011-06-14 홍인표 육묘 포트용 컵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3284U (ja) * 1993-12-30 1995-08-22 有限会社クリーン・アップ・システム 芝生育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7453A (ko) * 2008-05-09 2009-11-12 문영만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 블럭을 이용한박층녹화방법 및 다목적 식생블럭구조
KR20110009018A (ko) * 2009-07-20 2011-01-27 문영만 다양한 벽면 연출이 가능한 다목적 식생블럭구조
KR200452591Y1 (ko) 2010-07-05 2011-03-07 박규남 점적관수식 육묘 포트
KR20110063720A (ko) * 2011-04-29 2011-06-14 홍인표 육묘 포트용 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492A (ko) 2013-12-19
WO2013187630A1 (ko) 201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6590B2 (en) Planter bag
KR101281559B1 (ko) 다양한 벽면 연출이 가능한 다목적 식생블럭구조
CN102356735A (zh) 立体水田
US20170273254A1 (en) A multi-stacking decorative flowerpot unit
CN201571374U (zh) 墙地两用式组合绿化箱
CN203735156U (zh) 一种可拼接墙面绿化装置
KR101395606B1 (ko) 적층이 용이한 식생블럭구조
CN104115692A (zh) 蓄排水种植槽
KR101203135B1 (ko)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 및 공법
KR101084011B1 (ko) 파일 결속형 식생대
CN204069878U (zh) 蓄排水种植槽
KR20130068829A (ko) 입체 녹화용 식물 재배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입체 녹화 시스템
KR100817549B1 (ko) 다용도 조립식 화분
JP5208079B2 (ja) 緑化ポール
CN201690832U (zh) 一种高架花盆
JP2009165400A (ja) 植栽用ユニットとそれを用いる緑化用植栽ユニット及びそのシステム
CN203537920U (zh) 一种岩质边坡快速绿化结构
KR101247700B1 (ko) 조경용 화분
CN201709174U (zh) 花盆
TWI555467B (zh) Three - dimensional green structure components and three - dimensional greening method
RU122237U1 (ru) Модульная система создания композиций из растений
KR101345553B1 (ko) 입체 녹화용 식물 재배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입체 녹화 시스템
KR101280432B1 (ko) 다층형 식물 재배 장치
KR101413797B1 (ko) 인공가산축조 및 그 시공방법
JP2004049226A (ja) プランタ及び緑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