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4635A - 수목 지지대용 경계석 - Google Patents

수목 지지대용 경계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4635A
KR20100114635A KR1020090033106A KR20090033106A KR20100114635A KR 20100114635 A KR20100114635 A KR 20100114635A KR 1020090033106 A KR1020090033106 A KR 1020090033106A KR 20090033106 A KR20090033106 A KR 20090033106A KR 20100114635 A KR20100114635 A KR 20100114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ree
boundary stone
bloc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부
Original Assignee
정재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부 filed Critical 정재부
Priority to KR1020090033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4635A/ko
Publication of KR20100114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6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 지지대용 경계석에 관한 것이다. 경계석은 식재된 수목의 둘레에 설치되어 식재 공간으로 출입을 통제하고 조형미를 부여하는 것이나, 본 발명은 이러한 경계석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고, 수목 지지대의 설치를 매우 용이하게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목 지지대용 경계석은 수목 지지대 자체에 지중 고정을 위한 별도의 구조가 없어도, 수목 지지대의 지주를 경계석에 삽입하기만 하면 그대로 수목 지지대를 견고히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재된 수목을 중심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링의 형상으로 빙 둘러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블럭이고, 상기 각각의 블럭에는 수목 지지대의 지주의 하부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지주홈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되 상부로 갈수록 수목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수목 지지대용 경계석이 제공된다.
수목 지지대, 경계석, 지주

Description

수목 지지대용 경계석{Boundary stone for prop}
본 발명은 수목 지지대용 경계석에 관한 것이다. 경계석은 식재된 수목의 둘레에 설치되어 식재 공간으로 출입을 통제하고 조형미를 부여하는 것이나, 본 발명은 이러한 경계석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고, 수목 지지대의 설치를 매우 용이하게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목 지지대용 경계석은 수목 지지대 자체에 지중 고정을 위한 별도의 구조가 없어도, 수목 지지대의 지주를 경계석에 삽입하기만 하면 그대로 수목 지지대를 견고히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
수목 지지대는 조경수나 가로수 등이 식재된 후 뿌리가 지중에 견고하게 활착할 수 있도록 하고, 뿌리가 활착되는 기간 중에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쓰러지거나 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목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수목 지지대는 내측에 탄성패드가 부착되고, 외측에 결합판이 돌설된 지지판; 상기 결합판과 회동핀으로 결합되는 결합판이 설치된 관체의 지주캡; 상기 지주캡에 상단부가 삽입된 지주; 상기 지주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받침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받침구는 다수 개의 못, 볼트 등의 고정핀에 의해 지표면에 고정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수목이 식재된 공간을 보호하기 위하여 수목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경계석을 빙 둘러 설치한다. 이러한 경계석은 수목이 식재된 공간을 시각적으로 구별하기 위한 단순한 목적에 그쳤다. 따라서 경계석 내부 공간에 보호판을 설치하거나 잔디 등을 식재하거나 마사토와 같은 마감재를 도포하고, 이의 경계를 짓는 역할만을 했다.
상기의 종래 구조에서 지주를 지표면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은 받침구와 고정핀이다. 다수 개의 지주가 수목을 빙 둘러 경사지게 지지하고, 각각의 지주의 하단부에 받침구가 결합되어 지표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각각의 받침구는 다수 개의 고정핀이 지중에 삽입되어 고정되었다.
그러나, 상기 고정핀은 다수 개가 사용되고, 이를 망치로 때려 박아야 하는 등의 설치시 번거로움은 물론이고, 고정핀이 수직에 근사한 방향으로 박히기 때문에 수목의 흔들림 등에 의해 쉽게 상부로 빠지는 문제로 인하여 수목의 지지 기능이 미약한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경계석은 수목이 식재된 공간을 표시하는 것 이외에는 별다른 기능이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 수목 지지대를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되, 수목 지지대에 그 기능를 부가하는 것이 아니라, 경계석에 부감함으로써 수목 지지대의 제조나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수목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목 지지대에 그 고정을 위하여 어떠한 구조를 가지지 않더라도, 단지 지주만을 경계석에 삽입하면 고정될 수 있는 경계석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경계석에는 수목 지지대의 경사 설치에 맞는 경사각을 가진 지주홈 또는 지주통공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수목 지지대의 설치가 용이하게 하고 견고하게 한다. 우선, 경사지게 설치되는 수목 지지대의 지주를 고정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경계석의 하중이 바람 등에 의해 수목이 흔들릴 때 지주가 상부로 뽑히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수목의 보호를 한층 강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수목 지지대(50)를 고정해 주는 경계석(100)에 관한 것이다. 상기 경계석(100)은 다수 개의 블럭(1)으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블럭(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통상적인 경계석(100)은 수목을 빙 둘러 둥글게 형성된 둥근 고리 형상, 또는 다각 형의 링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일정 원호, 또는 다각형의 한 변 또는 한 변의 일정 부분을 형성하는 블럭(1)들로 구성되거나, 전체가 하나의 블럭(1)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통상 다수 개의 블럭(1)들이 서로 연접되어 설치되어 전체 하나의 경계석(100)을 구성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서의 경계석(100)은 하나의 블럭(1)으로 구성된 경우이든, 다수 개의 블럭(1)들로 구성된 경우이든 어떠한 경우라도 모두 해당되는 것으로 하고,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할 때에는 다수 개의 블럭(1)들로 구성된 경우를 예로써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발명은 식재된 수목을 중심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링의 형상으로 빙 둘러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블럭(1)이고, 상기 각각의 블럭(1)에는 수목 지지대(50)의 지주(51)의 하부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지주홈(2)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되 상부로 갈수록 수목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대용 경계석이다.
그리고 지주홈(2)은 상기의 기재와 같이 각각의 블럭(1)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다수 개의 블럭(1)이 수목을 빙둘러 경계석(100)을 구성할 경우에는 각각의 블럭(1)에 지주홈(2)이 형성될 수도 있고, 번갈아 가면서 지주홈(2)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지주홈(2)은 그 형상이 구멍으로서 도 5와 같이 블럭(1)의 내부 에 온전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2와 같이 일측이 개구된 형상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블럭(1)에는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핀홀(3a)이 형성되고, 상기 핀홀(3a)은 지주홈(2)과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지주홈(2)에 지주(51)가 삽입되면, 상기의 핀홀(3a)에 고정핀(4)에 삽입하여 지주(51)를 관통시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수목 지지대(50)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 개의 블럭(1)이 연접되어 경계석(100)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연접부위에 결합핀(5)을 관통시켜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즉, 각각의 블럭(1)의 양단부에 결합돌부(6)가 형성되되, 상기 두 개의 결합돌부(6)는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다른 블럭(1)과 연접시킬 때 매끈하게 연결결합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결합돌부(6)에는 핀홀(3b)이 형성되어, 블럭(1)을 연접시켜 결합돌부(6)끼리 결합시킬 때 결합핀(5)을 핀홀(3b)에 삽입하여 블럭(1)이 서로 어긋나지 않고 경계석(100)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경계석(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재된 수목의 둘레에 빙둘러 설치되고, 수목을 지지하는 수목 지지대(50)의 구성품인 지주(51)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의 경계석(100)은 지주홈(2)의 형상에 따라 도 2와 도 5와 같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즉, 지주홈(2)의 측부가 경계석(100)의 일측으로 개구된 형상이거나, 측부의 개구없이 블럭(1)에 완전하게 형성된 경우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경계석(100)은 도 3, 도 6, 도 8과 같이 둥근 고리 형상이 거나, 도 9와 도 10과 같이 다각형의 고리 형상일 수도 있다.
물론 어떠한 형상이라도 지주홈(2)은 어떠한 곳에라도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도 10과 같이 구석진 곳에도 형성될 수 있다.
가로수나 정원수가 식재되면, 그 둘레에 본 발명의 경계석(100)이 설치된다. 종래의 경우 단순히 공간을 경계 짓는 역할만 하였으나, 본 발명의 경계석(100)은 수목을 견고히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수목의 둘레에는 뿌리가 활착할 때까지 수목이 기울어지거나 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목 지지대(50)가 설치된다. 그리고 수목 지지대(50)의 지주(51)의 하부를 땅에 뭍거나, 지표면에서 못으로 박아 고정하였다. 그러나 못이나 지주는 쉽게 상부로 뽑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지주(51)가 삽입되는 지주홈(2)이 지주(51)의 설치각도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지주(51)를 설치할 때 지주(51)를 블럭(1)에 형성된 지주홈(2)에 삽입하기만 하면 된다.
즉, 지주홈(2)의 경사에 의하여 수직방향 투영면적에 해당되는 부분이 지주(51)를 하방으로 눌러주는 힘을 발생시키므로, 수목이 흔들리거나 상부로 뽑히는 것을 지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경계석(100)이 지주(51)를 하방으로 누르게 되는데, 이는 경계석(100)의 하중이 지주(51)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는 경계석(100)의 역할이 전무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지주(51)를 고정하고, 하중 자체가 지주를 다시 고정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수목을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게 된다.
지주(51)가 지주홈(2)에 삽입되면, 도 4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4)을 핀홀(3a)에 꼽아 지주(51)가 경계석(100)에서 빠지지 않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지주(51)에도 고정핀(4)이 관통되는 핀홀이 형성되어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고정핀(4)에 의해 지주(51)가 보다 견고히 경계석(100)에 고정되면, 경계석(100)의 중량보다 더 큰 힘이 상부로 작용되어야만 지주(51)가 뽑힐 수 있다.
그리고 경계석(100)은 다수 개의 블럭(1)이 연접되어 수목을 빙 둘러싸면 되고, 연접되는 블럭(1)의 체결을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핀(5)을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에는 블럭(1)의 양단부에 결합돌부(6)가 형성되고, 서로 맞물린 결합돌부(6)에 핀홀(3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핀홀(3b)에 결합핀(5)을 꼽아 연결고정시키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제1실시예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제1실시예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
도 5는 제2실시예의 전체 사시도
도 6은 제2실시예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B-B" 단면도
도 8은 블럭이 연결되는 상태도
도 9와 도 10은 경계석이 다각형으로 빙 둘러 설치되는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블럭 2 : 지주홈
3a, 3b : 핀홀 4 : 고정핀
5 : 결합핀 6 : 결합돌부
50 : 수목 지지대 51 : 지주
100 : 경계석

Claims (3)

  1. 식재된 수목을 중심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링의 형상으로 빙 둘러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블럭(1)이고, 상기 각각의 블럭(1)에는 수목 지지대(50)의 지주(51)의 하부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지주홈(2)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되 상부로 갈수록 수목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대용 경계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1)에는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핀홀(3a)이 형성되고, 상기 핀홀(3a)은 지주홈(2)과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대용 경계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1)의 양단부에 결합돌부(6)가 형성되되, 상기 양측의 결합돌부(6)는 어긋한 위치에 형성되어, 다른 블럭(1)과 연접시킬 때 매끈하게 연결결합되는 구조이고, 결합돌부(6)에는 핀홀(3b)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블럭(1)을 연접시켜 결합돌부(6)끼리 결합시킬 때 결합핀(5)을 핀홀(3b)에 삽입하여 블럭(1)이 서로 어긋나지 않고 경계석(100)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대용 경계석.
KR1020090033106A 2009-04-16 2009-04-16 수목 지지대용 경계석 KR201001146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106A KR20100114635A (ko) 2009-04-16 2009-04-16 수목 지지대용 경계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106A KR20100114635A (ko) 2009-04-16 2009-04-16 수목 지지대용 경계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635A true KR20100114635A (ko) 2010-10-26

Family

ID=43133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106A KR20100114635A (ko) 2009-04-16 2009-04-16 수목 지지대용 경계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463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92555A (zh) * 2013-07-24 2013-11-20 无锡市伟丰印刷机械厂 一种小苗木专用支撑架
CN106069584A (zh) * 2016-08-26 2016-11-09 河南绿普森农林科技有限公司 一种杜仲树木支撑装置
CN106818393A (zh) * 2016-12-26 2017-06-13 埃瑞弗(上海)规划设计工程咨询股份有限公司 一种双向标杆卡箍复合式树干固定装置
CN108782000A (zh) * 2018-06-17 2018-11-13 安徽绿泉生态农业股份有限公司 一种水果苗木栽培过程中的支撑定位固定结构
US11337378B2 (en) * 2019-07-02 2022-05-24 Crushproof Tubing Company Plant cag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92555A (zh) * 2013-07-24 2013-11-20 无锡市伟丰印刷机械厂 一种小苗木专用支撑架
CN106069584A (zh) * 2016-08-26 2016-11-09 河南绿普森农林科技有限公司 一种杜仲树木支撑装置
CN106818393A (zh) * 2016-12-26 2017-06-13 埃瑞弗(上海)规划设计工程咨询股份有限公司 一种双向标杆卡箍复合式树干固定装置
CN108782000A (zh) * 2018-06-17 2018-11-13 安徽绿泉生态农业股份有限公司 一种水果苗木栽培过程中的支撑定位固定结构
US11337378B2 (en) * 2019-07-02 2022-05-24 Crushproof Tubing Company Plant c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9572B2 (en) Post anchor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7972079B2 (en) Method and assembly for maintaining structural stability and configuration of golf course sand bunker borders
US7353833B1 (en) Covering structure with soil anchors
KR20100114635A (ko) 수목 지지대용 경계석
CN101653088A (zh) 草坪保护垫
US20090038214A1 (en) Golf course bunker boundary protection system
KR20100114634A (ko) 수목 지지대
KR20200043140A (ko) 다기능 가로수 보호 기구
KR102265550B1 (ko) 연통홀이 형성된 단위 보호유닛을 포함하는 천연잔디 보호매트
KR101240139B1 (ko) 농업용 지주의 침하방지구
KR200476500Y1 (ko) 식생가능한 친환경 여울구조물
JP6738172B2 (ja) 植木鉢
KR100675666B1 (ko) 수목의 식재 공법 및 그 장치
KR101035783B1 (ko) 보호캡을 갖춘 수목서포터
KR100545940B1 (ko) 도로 비탈면 블록 설치구조
JP2000245273A (ja) 樹木支持具
KR200186023Y1 (ko) 농작물 보호용 지주받침대
EP2253199A2 (en) Assembly kit for the frame of a plant base
KR200392406Y1 (ko) 매설형 수목 지주대
KR20010025472A (ko) 수목 와이어 지주
JP2024083691A (ja) 防獣ネット用固定具
JPH077384U (ja) 防風ネット等に用いる支柱
KR100586201B1 (ko) 고추모종의 지지장치
JP3711439B2 (ja) 植栽樹木の根鉢固定具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694786B1 (ko) 휀스 지주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