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9285B1 - 멀티기능을 가진 보도블록 - Google Patents

멀티기능을 가진 보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9285B1
KR101619285B1 KR1020140166058A KR20140166058A KR101619285B1 KR 101619285 B1 KR101619285 B1 KR 101619285B1 KR 1020140166058 A KR1020140166058 A KR 1020140166058A KR 20140166058 A KR20140166058 A KR 20140166058A KR 101619285 B1 KR101619285 B1 KR 101619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lower body
sidewalk block
sidewalk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5681A (ko
Inventor
조창제
Original Assignee
조창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창제 filed Critical 조창제
Publication of KR20150145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01C5/006Individual space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of plastics, e.g. concrete with plastics, linole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도나 주차장등의 포장체를 시공하기 위한 보도블록의 포장체 표면위로 잡초가 자라지 못하도록 하고, 우천시 물고임현상이나 스폰지현상을 발생시키지 않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 및 내구성을 도모할 수 있는 멀티기능을 가진 보도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사각단면을 가지는 몸체부와 각 블록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결합수단을 구비한 보도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표면이 노출되는 상부몸체와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하부몸체로 이루어지되,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는 서로 어긋나게 위치시켜 몸체부의 네 면중 서로 인접한 두 면에서는 하부몸체가 돌출되는 단턱상면이 형성되고, 나머지의 서로 인접한 두 면에는 상기 단턱상면이 놓여지도록 상부몸체가 돌출되는 단턱하면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하부몸체의 단턱상면이 형성된 두 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된 끼움돌부와, 하부몸체의 단턱하면이 형성된 두 면에 상기 끼움돌부가 끼워지도록 구비된 삽입요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몸체의 각 모서리 하부에는 아래로 돌출되는 지지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기능을 가진 보도블록{Sidewalk block with multi-function}
본 발명은 인도나 주차장등의 포장체를 시공하기 위한 보도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도블록의 포장체 표면위로 잡초가 자라지 못하도록 하고, 우천시 물고임현상이나 스폰지현상을 발생시키지 않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 및 내구성을 도모할 수 있으면서, 옥상이나 놀이터, 또는 미끄럼 방지가 필요한 화장실 등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멀티기능을 가진 보도블록에 관한 것이다.
차도와 분리된 인도에는 통상적으로 보도블록이 설치된다. 이러한 보도블록은 다양한 색상을 가지게 하여 보도블록의 포장체 표면에 화려한 문양을 형성시킬 수 있게 하므로, 상기한 도로뿐만 아니라, 광장이나 주차장 등의 야외의 포장용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보도블록의 시공은, 기초지반을 정리·다짐한 한 후 골재로 보조기층을 형성시켜 그 위에 모래를 포설하고, 상기 모래 포설면에 낱장의 보도블록을 연속 설치하고, 각 보도블록 사이에 모래를 충진시켜 마무리하는 순서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블록포장의 시공이 완료된 후 장기간이 경과하면 다양한 이유로 인해 블록과 블록 사이에서 잡초의 씨앗이 발아하여 블록 포장체의 표면위로 잡초가 무성해저 외관이 손상될 뿐 아니라, 잡초의 뿌리로 인해 블록 낱장이 돌출되어 보행자의 이용에 많은 불편과 안전상의 문제를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보도블록들의 사이에 잡초가 발아되지 못하도록 하는 보도블록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보도블록의 기초지반의 토질이 진흙성분을 포함하거나 부실한 다짐시공과 함께 우천시 스며든 빗물이 빨리 배출되지 못하면, 보행자가 보도블록 포장면을 밟을 때 보도블록들이 울렁울렁 거리는 스폰지현상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도 11은 무잡초 보도블록이라는 명칭으로 2012. 9. 12. 등록번호 20-0462486호의 등록실용신안공보에 개시된 것으로서, 일정길이 높이를 갖는 상부체(10)와; 상기 상부체(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체(10)의 면적과 동일하게 형성하되, 일정면적 대각선 방향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21)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21)의 표면에 일정 깊이 함몰되는 배수로(22)가 형성되는 하부체(20)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21)는 상기 블록본체(100)들 간의 결속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끝단에 요철부(24)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로(22)는 배수되는 물의 흐름을 원활하도록 하기 위하여 바닥면에 곡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종래기술의 무잡초 보도블록은 끝단의 동일한 시멘트 몰탈 재질의 요철부(24)만에 의해 인접 보도블록과 결합되기 때문에 그 결합관계가 쉽게 파손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요철부(24)에 의해 감싸지는 결합형상으로 인해 보도블록 표면의 빗물이 쉽게 배수로(22)로 흘러가기가 어렵고, 더욱이 상기 배수로(22)는 보도블록 저면으로만 빗물을 흐르게 할 뿐 보도블록의 저면에서는 빗물을 외부로 신속히 배출시킬 수 없어 보도블록 포장체 표면의 물고임현상에 대한 충분한 방지를 기대할 수 없다. 또한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무잡초 보도블록은 우천시 발생되는 스폰지현상의 발생을 전혀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682021 B1
본 발명은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잡초의 성장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우천시 발생할 수 있는 스폰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기능을 가진 구조의 보도블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도블록 포장체의 표면에 물고임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빗물의 신속한 배출이 용이한 멀티기능의 보도블록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도블록의 몸체부를 탄성재질로 구성시킴으로써 놀이터의 바닥재로도 사용할 수 있고, 그 표면에 인조잔디를 구비시킴으로써 옥상이나 정원 등에 대한 외관을 친환경적으로 미려하게 꾸미거나 미끄럼방지 수단을 가지게 하는 멀티기능의 보도블록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사각단면을 가지는 몸체부와 각 블록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결합수단을 구비한 보도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표면이 노출되는 상부몸체와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하부몸체로 이루어지되,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는 서로 어긋나게 위치시켜 몸체부의 네 면중 서로 인접한 두 면에서는 하부몸체가 돌출되는 단턱상면이 형성되고, 나머지의 서로 인접한 두 면에는 상기 단턱상면이 놓여지도록 상부몸체가 돌출되는 단턱하면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하부몸체의 단턱상면이 형성된 두 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된 끼움돌부와, 하부몸체의 단턱하면이 형성된 두 면에 상기 끼움돌부가 끼워지도록 구비된 삽입요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몸체의 저면에는 아래로 돌출되는 지지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기능을 가진 보도블록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하부몸체의 측면과 저면의 경계를 이루는 각 모서리에는 모깍기면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의 저면에는 십자형의 배수로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기능을 가진 보도블록이 제공된다.
이때 상부몸체의 표면은 중앙으로부터 각 단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중앙이 볼록한 형상을 가지게 할 수 있고, 단턱상면과 단턱하면은 바깥쪽을 향하여 각각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시킬 수 있으며, 몸체부의 측면중 단턱하면이 형성된 부분과 단턱상면이 형성된 부분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는 상부몸체의 측면에서 하부몸체의 측면까지 연속되는 물흐름공을 다수 개 구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도블록은, 인접한 보도블록들 사이를 밀착시키면서 이들이 외부하중에 대하여 일체로 거동하도록 함으로써 수직방향의 공간이 쉽게 발생되지 않고, 설령 수직공간이 발생된다고 하더라도 수평방향으로 공간을 차단시키고 있어 잡초가 보도블록의 포장체 위로 성장하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보도블록은, 상기와 같이 외부하중에 대하여 일체로 거동함과 더불어 기초지반에 고정되는 지지고정부에 의해 보도블록의 상하이동이 억제되고 있어 우천시에 흔하게 발생되는 스폰지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보도블록은, 보도블록들 사이의 물흐름 및 기초저면상에서의 빗물배출이 용이하여 상기한 스폰지현상의 발생 방지와 함께 보도블록 포장체의 표면에 물고임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보도블록은, 그 재질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옥상이나 놀이터 등에서 친환경적인 경관을 형성시키고 화장실 등 미끄럼 방지가 필요한 장소에서 이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하는 등 설치장소에 대한 범용성을 가지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도블록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내는 상하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도블록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보도블록 연결부위에 수직방향의 공간이 발생된 경우 이를 수평적으로 차단시키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보도블록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보도블록의 지지고정부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보도블록에 물고임현상의 방지수단을 구비시킨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보도블록에 물고임현상의 다른 방지수단을 구비시킨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보도블록에 물고임현상의 또 다른 방지수단을 구비시킨 제3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보도블록에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구성을 구비시킨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빗물 배출수단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도블록 포장체를 밑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종래기술에 의해 방초기능을 가지는 보도블록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도블록(B)의 각 대응 부분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로서, (a)는 보도블록(B)의 일측부분을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b)는 상기 일측부분에 대응되면서 이에 결합되는 타측부분을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외관을 달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보도블록(B)은 기본적으로 잡초가 보도블록(B)의 표면 위로 자라는 것을 막아주는 방초기능과, 빗물이 보도블록(B)의 하부로 스며들어 보도블록을 밟을 때 보도블록 포장면이 울렁거리는 스폰지 현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멀티기능의 것으로서, 사각단면을 가지는 몸체부(200)와 각 보도블록(B)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결합수단 및 보도블록(B)을 기초지반에 고정시켜주는 지지고정부(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200)는 표면이 노출되어 보도면을 형성시키는 상부몸체(210)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몸체(210)의 하부에 위치하여 다른 보도블록(B)과의 견고한 결합을 도모하기 위한 결합수단이 구비되는 하부몸체(220)로 이루어진다.
상부몸체(210)에 연하여 하부몸체(220)가 위치하게 되는 바, 몸체부(200)의 네 면중 서로 인접한 두 면에서는 하부몸체(220)가 돌출되는 단턱상면(221)이 형성되고, 나머지의 서로 인접한 두 면에는 상기 단턱상면(221)에 놓여지도록 상부몸체(210)가 돌출되는 단턱하면(211)이 형성되어, 몸체부(200)는 상부몸체(210)와 하부몸체(220)는 서로 어긋나 적층되어 있는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의 보도블록(B)과 보도블록(B) 사이에서 잡초가 자라지 않도록 하는 방초기능은, 1차적으로 후술하는 결합수단에 의하는 것이나, 상기 외부의 충격이나 시공부실로 인해 결합수단이 완벽하게 작동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상기한 단턱상면(221)과 단턱하면(211)이 2차적으로 방초기능을 하여, 잡초가 보도블록(B)들의 연결면 사이를 삐져나와 자랄 수 있는 여지를 완벽하게 방지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서와 같이 보도블록(B)들 연결부위의 표면에 수직방향으로 공간(△)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인접한 보도블록(B)들은 단턱상면(221)과 단턱하면(211)에 의해 서로 지그재그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수직방향의 공간(△)을 수평적으로 차단시켜 잡초가 자랄 수 있는 공간의 형성 자체를 완벽하게 방지함으로써 잡초가 자랄 수 있는 여지를 없애준다.
상기와 같이 상부몸체(210)와 하부몸체(220)로 구성되는 몸체부(200)는 보도블록을 사용하는 장소 및 용도에 따라 재질을 달리할 수 있다.
예컨대, 차도에 연하는 인도와 같은 보행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몸체부(200)를 시멘트 몰탈이나 경질의 합성수지로 구성시킬 수 있고, 놀이터나 산책로와 같이 쿠션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고무류와 같은 탄력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구성시킬 수도 있다.
또 쿠션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하부몸체(220)는 시멘트 몰탈 또는 경질의 합성수지의 재질로 구성시키고, 상부몸체(210)는 상기와 같이 탄력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의 재질로 구성시키는 것과 같이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시키면서 이들을 일체화시킬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옥상이나 친환경적인 조경 또는 장식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몸체부(200)의 상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조잔디(213) 등의 마감재를 더 부착시키거나, 화장실 등에서 별도의 타일 시공을 생략할 수 있도록 미끄럼 방지수단을 가진 마감재를 부착시킬 수도 있다.
도 4는 보도블록(B)들을 서로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몸체(220)의 상부에는 보도블록(B)들을 서로 연결시켜 주면서 보도블록(B)들 사이가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결합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수단은, 하부몸체(220)의 단턱상면(221)이 형성된 두 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된 끼움돌부(222)와, 하부몸체(220)의 단턱하면(211)이 형성된 두 면에 상기 끼움돌부(222)가 끼워지도록 구비된 삽입요홈(223)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끼움돌부(222)와 삽입요홈(223)의 대칭적인 구성은 단일형상의 보도블록(B)만으로 전후방향와 좌우방향 모두에 대하여 연속적인 결합을 가능하게 하므로 제작의 용이성을 도모하게 할 뿐 아니라 짝을 맞추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을 제거시켜 시공을 간편하게 해준다.
또한 상기한 끼움돌부(222)와 삽입요홈(223)은 몸체부(200)의 중간높이에서 구성되기 때문에 보도블록(B)들 사이에는 구조적 일체성이 확보되고, 이러한 보도블록(B)들 사이의 구조적 일체성은 결합부위에서 하중이 상하방향으로 작용하더라도 각 보도블록(B)이 인접한 보도블록(B)의 이동을 서로 억제시키므로, 보도블록(B) 저면의 토질 상태에 따라 우천시 발생될 수 있는 스폰지현상의 방지에도 기여를 하게 된다.
더욱이 보도블록(B)의 끼움돌부(222)가 인접한 보도블록(B)의 삽입요홈(223)에 수평적으로 끼움결합되면서도 상기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도의 이동이 억제되므로, 보도블록(B)들 사이의 연결부위가 벌어져 수직방향의 공간(△)이 발생될 여지는 거의 없게 되고, 이러한 공간(△) 발생의 방지는 잡초가 보도블록(B)들 사이를 뚫고 자라나는 것을 방지하는 1차적인 방초기능을 하게 된다.
즉 끼움 및 삽입에 의한 상기 결합수단과 단턱상면(221)과 단턱하면(211)에 의한 지그재그 결합은 서로 유기적인 결합관계를 가지게 함으로써 보도블록(B)과 보도블록(B) 사이에서 기초지반으로부터 보도블록(B)의 포장체 상면까지 연통되는 상하공간의 발생을 완벽하게 방지한다.
상기 끼움돌부(222)는 몸체부(20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시킬 수도 있으나, 유연성과 함께 마찰에 의해 쉽게 마모되지 아니하는 내구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의 것으로 구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끼움돌부(222)의 유연성은 보도블록(B)들의 연결작업시 삽입요홈(223)에 대한 끼움각도를 크게 가질 수 있게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보도블록(B)은 몸체부(200)의 하부에, 보다 구제척으로는 하부몸체(220)의 저면에 아래로 돌출되는 지지고정부(3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지지고정부(300)는 보도블록(B) 저면의 기초지반에 고정되며, 이러한 지지고정부(300)는 보도블록(B)의 좌우이동을 방지시켜 상기한 결합수단에 의한 밀착효과 및 일체적 거동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게 한다.
또한 기초지반에 고정된 지지고정부(300)는 보도블록(B)의 어느 일측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억제시킴으로써, 앞서 설명한 결합수단과 함께 우천시 스폰지 현상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상기한 지지고정부(300)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몸체(220)의 각 모서리가 연속하면서 돌출되는 형상일 수도 있고, 도 5에서와 같이 하부몸체(220)의 저면내에 사각뿔 형상으로도 구비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기초지반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어 상하 및 수평이동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보도블록(B)은 지금까지 설명한 방초기능 및 스폰지 현상의 발생을 억제시키게 할 뿐 아니라, 여기에 물고임현상 방지기능을 더 부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물고임현상의 방지기능은, 빗물을 보도블록 포장체(BP)의 표면으로부터 그 하부인 기초지반면으로 쉽게 흘러 내릴 수 있게 하여 보도블록 포장체(BP)의 표면의 빗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나, 이에 덧붙여 상기한 보도블록 포장체(BP) 표면의 빗물 제거가 보다 잘 이루어지도록 기초지반면으로 흘러내린 빗물이 보도블록 포장체(BP)의 외부로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더 포함시킬 수 있다.
도 6은 물고임현상의 방지를 위하여 상부몸체(210)의 표면에 경사면(212)을 형성시킨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도블록(B)은 그 노출되는 상부몸체(210)의 표면에 대하여 평탄면을 가지게 할 수도 있으나, 도 6에 도시된 보도블록(B)은, 상부몸체(210)의 표면에 경사면(212)을 가지게 함으로써 보도블록(B)의 표면에 떨어진 빗물이 보도블록(B)들의 연결부위를 통해 보도블록 포장체(BP)의 하부로 스며들게 하여 보도블록 포장체(BP)의 표면에 물웅덩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한 상부몸체(210) 표면의 경사면(212)은 다양한 형상으로 실시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으로부터 각 단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중앙이 볼록한 형상을 가지도록 한다.
상부몸체(210)의 표면에 경사면(212)을 형성시키는 경우 그 경사각은 빗물이 흐를 수 있을 정도면 족하는 것이므로,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지 않는 한 그 경사각을 최소화시켜 보행자의 보행에 불편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면(212)을 가지는 상부몸체(210)의 표면에는 빗물의 흐름을 보다 원활하게 유도하면서도 보행자의 미끄럼 방지와 외관을 도모할 수 있도록 경사면(212)을 따라 다수의 긴 슬릿홈(미도시)을 더 형성시킬 수도 있다.
도 7은 물고임현상 방지를 위한 다른 수단을 부가시킨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부몸체(210)의 단턱하면(211)과 하부몸체(220)의 단턱상면(221)의 접합면은 보도블록(B)의 포장면과 평행한 수평면으로 구성시킬 수도 있으나, 도 7에 의한 보도블록(B)은 보도블록(B)들의 연결부위에서의 물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단턱상면(221)과 단턱하면(211)에 대하여 바깥쪽을 향하여 각각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시킨다.
도 8은 물고임현상 방지를 위한 또 다른 수단을 부가시킨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7에 도시된 제1, 2실시예의 물고임현상 방지수단은 빗물의 경로에 경사면을 형성시켜 빗물의 흐름 방향을 유도하는 것으로서, 이들 수단에 의해 유도되는 빗물은 보도블록(B)들의 매끈하지 못한 결합면 사이의 공극을 따라 기초지반면으로 흘러가게 하게 되는데, 이에 반하여 도 8에 도시된 제3실시예의 물고임현상 방지 수단은 보도블록(B)들 사이에서의 상기한 빗물 흐름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물흐름통로를 형성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몸체부(200)의 측면중 단턱하면(211)이 형성된 부분과 단턱상면(221)이 형성된 부분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는 상부몸체(210)의 측면에서 하부몸체(220)의 측면까지 연속되는 물흐름공(231)이 다수 개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들의 물고임현상 방지수단에 의해 보도블록 포장체(BP)의 표면에 떨어진 빗물이 보도블록(B) 저면의 기초지반면으로 흘러가게 된다고 하더라도, 기초지반면에서의 빗물배출이 용이하지 않다면 상기한 물고임현상 방지수단들은 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물고임현상 방지수단에는 빗물을 보도블록 포장체(BP)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9는 보도블록(B)의 저면에 빗물의 배출수단이 구비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상기한 배출수단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 9의 보도블록(B)들을 연속시킨 보도블록 포장체(BP)를 밑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빗물 배출수단은, 보도블록(B)의 표면으로부터 밑으로 흘러 내린 빗물을 집수하여 배수시킬 수 있도록 기초지반면과 보도블록(B)의 사이에 집수로와 배수통로(W)를 구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보도블록(B)을 구성하는 하부몸체(220)의 측면과 저면의 경계를 이루는 각 모서리에는 모깍기면(224)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220)의 저면에는 십자형의 배수로홈(225)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하부몸체(220)의 측하단에 구비되는 모깍기면(224)은 보도블록(B)의 표면에서 흘러 내린 빗물의 집수공간(C)을 구성하게 되고, 하부몸체(220) 저면의 배수로홈(225)은 상기 집수공간(C)에 의해 집수된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통로(W)를 구성하게 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두 개의 보도블록(B)이 접한 상태에서의 상기 모깍기면(224)은 길이방향의 양단에 위치한 지지고정부(300)와의 사이에서 긴 삼각대 형상의 집수공간(C)을 형성시켜 보도블록(B)들의 연결면 사이를 통해 흘러내린 빗물을 모으고, 이를 다시 배수로홈(225)으로 흘러가게 한다.
따라서 배수로홈(225)은, 상기 모깍기면(224)에 의해 형성되는 집수공간(C)과 연통되도록, 하부몸체(220)의 저면에서 각 모깍기면(224)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배수로홈(225)은 전체적으로 십자형상을 가지게 된다.
배수로홈(225)과 집수공간(C)이 연결되는 지점은 모깍기면(224)의 길이를 이등분하는 위치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이등분점은 배수로홈(225)을 전후좌우로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시키기 때문에, 보도블록(B)의 설치방향을 따로 구분하지 않더라도 어느 한 보도블록(B)의 배수로홈(225)이 인접한 보도블록(B)의 배수로홈(225)과 직선으로 연결되면서 보도블록 포장체(BP)의 저면에서 그물망과 같은 격자형상의 배수통로(W)를 형성시키게 된다. 따라서 보도블록(B)의 표면으로부터 흘러 내려온 빗물은 상기한 그물망처럼 여러방향으로 연결된 배수통로(W)를 통해 효율적으로 구거 등의 외부 통로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200: 몸체부 210: 상부몸체
211: 단턱하면 212: 경사면
213: 인조잔디 220: 하부몸체
221: 단턱상면 222: 끼움돌부
223: 삽입요홈 224: 모깍기면
225: 배수로홈 231: 물흐름공

Claims (7)

  1. 사각단면을 가지는 몸체부(200)와 각 블록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결합수단을 구비한 보도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0)는 표면이 노출되는 상부몸체(210)와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하부몸체(220)로 이루어지되, 적어도 상부몸체(210)는 탄성력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구성되고, 상부몸체(210)와 하부몸체(220)는 서로 어긋나게 위치시켜 몸체부(200)의 네 면중 서로 인접한 두 면에서는 하부몸체(220)가 돌출되는 단턱상면(221)이 바깥쪽을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나머지의 서로 인접한 두 면에는 상기 단턱상면(221)이 놓여지도록 상부몸체(210)가 돌출되는 단턱하면(211)이 바깥쪽을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몸체(220)의 측면과 저면의 경계를 이루는 각 모서리에는 모깍기면(224)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220)의 저면에는 십자형의 배수로홈(225)이 구비되되, 상기 배수로홈(225)은 모깍기면(224)의 길이를 이등분하는 위치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하부몸체(220)의 단턱상면(221)이 형성된 두 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된 끼움돌부(222)와, 하부몸체(220)의 단턱하면(211)이 형성된 두 면에 상기 끼움돌부(222)가 수평적으로 끼움결합되도록 구비된 삽입요홈(2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몸체(220)의 저면에는 아래로 돌출되는 지지고정부(3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기능을 가진 보도블록.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몸체부(200)의 측면중 단턱하면(211)이 형성된 부분과 단턱상면(221)이 형성된 부분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는 상부몸체(210)의 측면에서 하부몸체(220)의 측면까지 연속되는 물흐름공(231)이 다수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기능을 가진 보도블록.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0)의 상면에는 마감재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기능을 가진 보도블록.
KR1020140166058A 2014-06-20 2014-11-26 멀티기능을 가진 보도블록 KR1016192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5500 2014-06-20
KR1020140075500 2014-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681A KR20150145681A (ko) 2015-12-30
KR101619285B1 true KR101619285B1 (ko) 2016-05-10

Family

ID=55088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058A KR101619285B1 (ko) 2014-06-20 2014-11-26 멀티기능을 가진 보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92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073B1 (ko) 2018-12-21 2019-05-07 강경호 배수 및 저류 성능이 우수한 블록 및 블록 세트
KR20240009702A (ko) 2022-07-14 2024-01-23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잡초 방지 보도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216B1 (ko) * 2016-12-06 2017-09-11 조창제 조립형 합성수지 블록
KR101865231B1 (ko) * 2017-02-23 2018-07-13 정문비 침하가 쉽게 되지 않고 우수 저장 공간이 구비된 블록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저장된 우수 유실 방지 시공법
CN107964844A (zh) * 2017-12-25 2018-04-27 浙江大学 一种防止与水泥砂浆层脱落的新型地砖及其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434Y1 (ko) * 1999-10-06 2000-03-15 여인경 조립식 보도블럭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021B1 (ko) 2005-01-26 2007-02-12 주식회사 천보콘크리트 투수용 보도블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434Y1 (ko) * 1999-10-06 2000-03-15 여인경 조립식 보도블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073B1 (ko) 2018-12-21 2019-05-07 강경호 배수 및 저류 성능이 우수한 블록 및 블록 세트
KR20240009702A (ko) 2022-07-14 2024-01-23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잡초 방지 보도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681A (ko)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9285B1 (ko) 멀티기능을 가진 보도블록
US10094073B2 (en) Water-permeable ground grid for pavings
US8807865B1 (en) Light weight load-bearing platform
HUT74233A (en) Structure of a walking surface for horses, in particular for a riding area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0757453B1 (ko) 연결.설치가 용이한 분리형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아파트단지 내의 도로 시공방법
KR100776705B1 (ko) 가로수 및 산책로 주변 녹도 조성용 인조잔디의 고정장치및 그의 시공방법
KR101865231B1 (ko) 침하가 쉽게 되지 않고 우수 저장 공간이 구비된 블록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저장된 우수 유실 방지 시공법
JP2009077687A (ja) 緑化駐車場
KR101959680B1 (ko) 방초 투수보도블록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961289B1 (ko) 야자매트 블록, 및 야자매트 블록의 시공방법
KR101283346B1 (ko) 보도블록용 배수부재
JP2001064902A (ja) 舗装用ブロック及び舗装用ブロックの敷設構造
KR100744990B1 (ko) 수로용 식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로 시공 방법
US10280569B2 (en) Golf course modular bunker paver blocks
KR200413509Y1 (ko) 수로용 식생 블록
CN201109895Y (zh) 人行步道砖固定装置
KR100924022B1 (ko) 건축단지용 결속식 보도블록 설치방법
JP2004052472A (ja) 舗装道路、舗装道路構築用の保砂構造体、舗装道路の路面安定方法及び道路の舗装方法
KR200462486Y1 (ko) 무잡초 보도블록
KR20110117499A (ko) 블록용 간격유지구
JP3796383B2 (ja) 舗装構造
KR102218234B1 (ko) 야자매트의 시공방법
CN210151505U (zh) 一种防积水的路面砖
KR20120064873A (ko) 견고한 연결구조를 가지는 토양 유지용 격자판 및 그 연결구조
KR100543689B1 (ko) 도로의 보도용 보도 블럭 침하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