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073B1 - 배수 및 저류 성능이 우수한 블록 및 블록 세트 - Google Patents

배수 및 저류 성능이 우수한 블록 및 블록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073B1
KR101976073B1 KR1020180167302A KR20180167302A KR101976073B1 KR 101976073 B1 KR101976073 B1 KR 101976073B1 KR 1020180167302 A KR1020180167302 A KR 1020180167302A KR 20180167302 A KR20180167302 A KR 20180167302A KR 101976073 B1 KR101976073 B1 KR 101976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s
block
main body
longitudina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호
박유린
Original Assignee
강경호
박유린
기찬토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경호, 박유린, 기찬토건(주) filed Critical 강경호
Priority to KR1020180167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01C11/226Coherent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 E01C2201/202Horizontal drainage channels
    • E01C2201/207Horizontal drainage channels channels on the botto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면체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종돌기부 및 횡돌기부; 상기 횡돌기부의 사이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에 상기 종돌기부가 삽입되어 포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및 저류 성능이 우수한 블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수 및 저류 성능이 우수한 블록 및 블록 세트{Block with excellent drainage and storage performance}
본 발명은,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블록의 저면에는 특별한 패턴을 가지고 배수와 저류를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 및 블록세트에 관한 것이다.
보도, 공원, 광장, 사면 등에 포설되는 블록은 일반적으로 시멘트 콘크리트 또는 자연석을 사용하여 제작되는데, 콘크리트와 자연석의 재질이 물이 투과하기 어려운 재질이고, 블록을 포설할 때 빗물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제대로 확보하지 않고 포설하는 이유로 인해, 우천시 빗물이 블록 사이로 배수가 잘 되지 않아 지반속으로 빗물이 잘 침투되지 않고, 빗물이 보도, 공원 등의 표면으로 일시에 그대로 유출되어 주민들의 불편과 침수 피해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투수구멍이 형성된 블록들이 개발되었으나, 처음에는 배수 기능이 어느 정도 발휘될 수 있었으나, 사용에 따라 먼지와 불순물에 의해 투수구멍이 막히게 되어 배수 효과가 점점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블록의 저면과 지반 사이에 별도의 공간이 없어 빗물이 저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가 어려워, 여름철 보도, 공원의 온도가 급격히 올라가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0001은, 사각단면을 가지는 몸체부(200)와 각 블록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결합수단을 구비한 보도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0)는 표면이 노출되는 상부몸체(210)와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하부몸체(220)로 이루어지되, 적어도 상부몸체(210)는 탄성력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구성되고, 상부몸체(210)와 하부몸체(220)는 서로 어긋나게 위치시켜 몸체부(200)의 네 면중 서로 인접한 두 면에서는 하부몸체(220)가 돌출되는 단턱상면(221)이 바깥쪽을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나머지의 서로 인접한 두 면에는 상기 단턱상면(221)이 놓여지도록 상부몸체(210)가 돌출되는 단턱하면(211)이 바깥쪽을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몸체(220)의 측면과 저면의 경계를 이루는 각 모서리에는 모깍기면(224)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220)의 저면에는 십자형의 배수로홈(225)이 구비되되, 상기 배수로홈(225)은 모깍기면(224)의 길이를 이등분하는 위치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하부몸체(220)의 단턱상면(221)이 형성된 두 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된 끼움돌부(222)와, 하부몸체(220)의 단턱하면(211)이 형성된 두 면에 상기 끼움돌부(222)가 수평적으로 끼움결합되도록 구비된 삽입요홈(2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몸체(220)의 저면에는 아래로 돌출되는 지지고정부(3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기능을 가진 보도블록에 관한 것인데, 특허문헌 0001 역시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였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1619285호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돌기부와 오목부에 의해 끼워 맞춤식으로 견고하게 포설되면서, 돌기부와 오목부의 크기 조절을 통해 블록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고, 블록의 저면에는 특별한 패턴을 가지는 배수로 및 물 저장공간을 가지는 배수 및 저류 성능이 우수한 블록 및 블록 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육면체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종돌기부 및 횡돌기부; 상기 횡돌기부의 사이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에 상기 종돌기부가 삽입되어 포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및 저류 성능이 우수한 블록을 제공한다.
일실시예로, 상기 종돌기부(12)는 평면이 등변사다리꼴로, 상기 본체부(11)의 길이방향 양측에 하나씩 구비되고, 상기 횡돌기부(13)는 평면이 사다리꼴로 상기 본체부(11)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2개씩 구비되되, 본체부의 길이방향 양 끝에 위치하는 변은 본체부의 길이방향과 수직이고, 수직인 변과 마주보는 변은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14)는 평면이 등변사다리꼴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14)의 밑변의 길이(W1)가 상기 종돌기부(12)의 밑변의 길이(W2)보다 작도록 하여 상기 오목부(14)에 상기 종돌기부(12)가 삽입되도록 포설하였을 때, 인접하는 4개의 블록들 사이에 +자형의 제1간격부(300)가 형성되고, 하나의 블록의 종돌기부(12)와 인접하는 다른 블록의 오목부(14) 사이에 ㅡ자형의 제2간격부(400)가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종돌기부(22)는 평면이 직사각형으로, 상기 본체부(21)의 길이방향 양측에 하나씩 구비되고, 상기 횡돌기부(23)는 평면이 직사각형으로 상기 본체부(21)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2개씩 구비되며, 상기 오목부(24)는 평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24)의 깊이(d1)가 상기 종돌기부(22)의 길이(d2)보다 작도록 하여 상기 오목부(24)에 상기 종돌기부(22)가 삽입되도록 포설하였을 때, 인접하는 4개의 블록들 사이에 +자형의 제1간격부(300)가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종돌기부(52)는 평면이 등변사다리꼴로, 상기 본체부(51)의 길이방향 양측에 하나씩 구비되고, 상기 횡돌기부(53)는 평면이 사다리꼴로 상기 본체부(51)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2개씩 구비되되, 본체부의 길이방향 양 끝에 위치하는 변은 본체부의 길이방향과 수직이고, 수직인 변과 마주보는 변은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54)는 평면이 등변사다리꼴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54)의 하단에 제1간격돌기(58)가 구비되고, 상기 종돌기부(52)의 하단 양측에 제2간격돌기(59)가 구비되어 상기 오목부(54)에 상기 종돌기부(52)가 삽입되도록 포설하였을 때, 인접하는 4개의 블록들 사이에 +자형의 제1간격부(300)가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종돌기부(62)는 평면이 등변사다리꼴로, 상기 본체부(61)의 길이방향 양측에 하나씩 구비되고, 상기 횡돌기부(63)는 평면이 사다리꼴로 상기 본체부(61)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2개씩 구비되되, 본체부의 길이방향 양 끝에 위치하는 변은 본체부의 길이방향과 수직이고, 수직인 변과 마주보는 변은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64)는 평면이 등변사다리꼴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64)의 하단에 체결돌기(68)가 구비되고, 상기 종돌기부(62)의 하단에 체결홈(69)이 구비되어, 상기 오목부(64)에 상기 종돌기부(62)가 삽입되도록 포설하였을 때, 인접하는 4개의 블록들 사이에 +자형의 제1간격부(300)가 형성된다.
상기 블록의 저면에는, 블록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 종돌기부의 저면에서 타측 종돌기부의 저면까지 형성되는 종배수홈;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1횡배수홈; 일측 횡돌기부의 저면에서 타측 횡돌기부의 저면까지 형성되는 제2횡배수홈;이 구비되고, 상기 오목부에 상기 종돌기부가 삽입되도록 복수의 블록을 포설하면, 상기 복수의 블록의 저면에서는 상기 종배수홈과 상기 제1횡배수홈이 서로 연통되어, 포설된 전체 블록들의 저면에 격자형으로 연결되는 주공간부(100)를 형성하고, 상기 주공간부(100)는, 비가 올 때는 저류 및 배수 기능을 수행하고, 비가 오지 않을 때에는 저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주공간부(100)의 격자 내부에는 상기 주공간부(100)를 통해 흘러온 물을 저류할 수 있는 보조공간부(200)가 상기 주공간부(100)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보조공간부(200)는, 상기 종배수홈과 연통되어 있는 제2횡배수홈; 상기 제2횡배수홈과 연통되어 있는 +자형의 제1간격부를 포함한다.
상기 횡돌기부의 마주보는 면의 하부 저면에 체결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종돌기부의 하부 양측 저면에 체결홈이 구비되거나, 상기 횡돌기부의 마주보는 면의 하부 저면에 체결홈이 구비되고, 상기 종돌기부의 하부 양측 저면에 체결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오목부에 상기 종돌기부가 삽입되어 포설되면, 상기 체결홈에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어 포설된다.
상기 제1간격부(300)에 흙을 채워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횡배수홈은 주공간부(100)와 직교하면서 연통하고, 상기 제2횡배수홈은 제1간격부(300)와 수직하게 만나서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블록; 격자형으로 구비된 격자틀(500);을 포함하되, 상기 주공간부(100)에 격자틀(500)이 삽입되도록 포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세트를 제공한다.
상기 격자틀(500)은 강관 또는 금속파이프로 제작되고, 상기 격자틀(500) 내부에 유체를 넣고, 열원에 의해 유체에 열을 가함으로써 블록 주변의 결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배수 및 저류 성능이 우수한 블록과 이를 이용한 보도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블록의 폭방향으로 형성된 오목부에, 블록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종돌기부를 끼우는 방식으로 블록을 포설하므로, 포설작업이 쉽고, 시공이 빠르며, 돌기부와 오목부 간의 인터록킹 작용으로 견고하게 포설될 수 있다.
둘째, 오목부(14)의 밑변의 길이(W1)가 종돌기부(12)의 밑변의 길이(W2)보다 작도록 하거나, 오목부(24)의 깊이(d1)가 종돌기부(22)의 길이(d2)보다 작도록 하여, 블록을 포설하였을 때 인접하는 블록 사이에 간격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빗물이 블록 아래로 쉽게 배수되도록 한다.
셋째, 체결돌기와 체결홈이 형성되어, 체결홈에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구조로 인접하는 블록들의 일부가 위아래로 포개져 설치되므로, 돌기부와 오목부에 의한 수평 맞물림과 체결돌기와 체결홈에 의한 상하 맞물림이 합쳐지는 구조로 포설되므로, 인접하는 블록들이 서로서로 일체화되어 견고하게 포설되고, 인접하는 블록 간의 부등침하와 단차가 없어지며, 모서리끼리의 부딪힘이 줄어들어 모서리 깨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넷째, 블록의 저면에 저류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저류공간에 빗물을 저장했다가 시간차를 두고 서서히 노반에 침투시키게 되므로 빗물이 하천과 하수도로 한꺼번에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해를 완화시킴은 물론, 지반에 대한 물순환 기능을 개선하고 자연순환체계의 생태적 효과 및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집중호우가 발생할 경우 저류공간이 빗물을 저류하여 빗물의 유출을 지연, 억제시킴으로써 빗물이 하수도로 일시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침수피해를 줄일 수 있어서, 도로, 보도, 광장, 공원, 도심 등에서 수해 예방 도구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다섯째, 복수의 블록들을 포설하면, 블록의 저면에 형성된 종배수홈, 제1횡배수홈이 서로 연통되어 격자 구조의 주공간부를 형성하여 정사각형으로 배치되는 격자형의 저류공간을 확보하여 블록이 포설된 지역의 하부에 균일하게 형성되는 저류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빗물의 저류량을 초과하는 비가 내리는 경우에는 격자형의 배수로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빗물이 블록의 위에서 고이지 않도록 하고, 사방으로 고르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여섯째, 주공간부(100)의 격자 내부에는 주공간부(100)를 통해 흘러온 물을 저류할 수 있는 보조공간부(200)가 바람개비 모양을 가지는 특별한 패턴으로 주공간부(100)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주공간부를 통해 보조공간부에 흘러 들어온 빗물이 밖으로 쉽게 빠져 나가지 못하고 오랜 시간동안 보조공간부에 머물러 있을 수 있으므로, 주공간부와 보조공간부의 유기적 결합에 의해 빗물의 저류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일곱째, 블록의 저면에 형성된 주공간부는 정사각형의 격자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주공간부에 삽입될 수 있는 동일한 격자형 구조의 격자틀을 사용할 경우, 보도블록으로 뿐만 아니라 사면, 호안, 하안 등에도 견고하고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사면블록, 호안블록, 하안블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블록(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블록(10)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 4는 본 발명의 블록(10)을 포설한 모습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블록(10)이 격자틀 위에 포설되는 모습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블록(20)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블록(20)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블록(20)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블록(20)을 포설한 모습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블록(30)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블록(30)을 포설한 모습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블록(40)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블록(10, 30)의 저면에 형성되는 주공간부와 보조공간부의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A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블록(20, 40)의 저면에 형성되는 주공간부와 보조공간부의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B 확대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블록(50)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블록(50)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8은 블록(50)이 포설된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블록(60)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블록(60)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21은 블록(60)이 포설된 평면도이다.
도 22 내지 24는 종래기술을 설명하는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블록(10, 20, 30, 40)은 크게 4가지의 실시예를 포함한다.
제1실시예인, 도 1, 2에 도시되어 있는 블록(10)은 종돌기부(12), 횡돌기부(13) 및 오목부(14)가 사다리꼴 형태인 블록이고, 제2실시예인, 도 6, 7에 도시되어 있는 블록(20)은 종돌기부(22), 횡돌기부(23) 및 오목부(24)가 사각형인 블록이며, 제3실시예인 도 9에 도시된 블록(30)은 상기 제1실시예의 블록(10)에 체결돌기(38)와 체결홈(39)이 구비된 형태이고, 제4실시예인 도 11에 도시된 블록(40)은 상기 제1실시예의 블록(20)에 체결돌기(48)와 체결홈(49)이 구비된 형태이며, 제5실시예인 도 16, 17에 도시된 블록(50)은 제1실시예의 블록(10)에 제1간격돌기(58)와 제2간격돌기(59)가 구비된 형태이고, 제6실시예인 도 19, 20에 도시된 블록(60)은 제1실시예의 블록(10)에 체결돌기(68)와 체결홈(69)이 구비된 형태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고, 이후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차례로 설명한다.
제1실시예인 블록(10)은, 본체부(11), 종돌기부(12), 횡돌기부(13) 및 오목부(14)를 포함하는 형태이고, 상기 본체부(11), 종돌기부(12) 및 횡돌기부(13)는 일체로 구비된다.
본체부(11)는 블록의 중앙부를 차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종돌기부(12), 횡돌기부(13) 및 오목부(14)를 제외한 부분을 말하고, 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상기 종돌기부(12)는 평면이 등변사다리꼴로, 상기 본체부(11)의 길이방향(본 명세서에서 ‘길이방향’은 블록에서 길이가 긴 방향을 말한다)으로 양측에 하나씩 구비된다.
상기 횡돌기부(13)는 평면이 사다리꼴로 상기 본체부(11)의 폭방향(본 명세서에서 ‘폭방향’은 블록에서 길이가 짧은 방향을 말한다) 양측에 각각 2개씩 구비되되, 본체부의 길이방향 양 끝에 위치하는 변은 본체부의 길이방향과 수직이고, 수직인 변과 마주보는 변은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14)는 상기 횡돌기부(13)의 경사진 변 사이 공간에 의해 형성되어 등변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도 1을 보면, 상기 오목부(14)의 밑변의 길이(W1)를 W1으로 표시하였고, 상기 종돌기부(12)의 밑변의 길이(W2)를 W2로 표시하였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오목부(14)의 밑변의 길이(W1)가 상기 종돌기부(12)의 밑변의 길이(W2)보다 작도록 한다.
본 발명의 블록은 오목부에 종돌기부가 삽입하도록 포설되는 구조인데, W1과 W2의 길이를 위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오목부(14)에 상기 종돌기부(12)가 삽입되도록 포설하였을 때,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인접하는 4개의 블록들 사이에는 +자형의 제1간격부(300)가 형성되고, 종돌기부(12)와 인접하는 다른 블록의 오목부(14) 사이에는 ㅡ자형의 제2간격부(400)가 형성된다.
상기 제1간격부(300)와 상기 제2간격부(400)의 간격의 크기는, 상기 오목부(14)의 밑변의 길이(W1)와 상기 종돌기부(12)의 밑변의 길이(W2)의 차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길이의 차(W2-W1)가 클수록 상기 제1간격부(300)와 제2간격부(400)의 간격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배수를 위한 작은 통로의 기능이 필요할 때에는 간격의 크기를 작게 형성하고, 블록 사이의 공간에 잔디나 식물을 식재하고자 할 때에는 간격의 크기를 크게 하여 흙이나 모래를 충전할 수 있다.
종래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투수구멍은 블록의 위아래로 관통하는 작은 구멍으로 형성되므로, 사용에 의해 흙, 불순물, 쓰레기 등에 의해 막히기 쉬웠으나, 본 발명의 상기 제1간격부(300)와 상기 제2간격부(400)는 작은 구멍이 아니라, 길이가 있는 +자형, ㅡ자형으로 구비되므로 흙이나 불순물에 의해 막힐 우려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록(10)의 저면에는, 제1횡배수홈(15), 제2횡배수홈(16), 종배수홈(17)이 구비된다.
상기 제1횡배수홈(15)은, 상기 오목부(14)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11)의 저면에 폭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횡배수홈(16)은, 일측 횡돌기부(13)의 저면에서 타측 횡돌기부(13)의 저면까지 폭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종배수홈(17)은, 블록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 종돌기부(12)의 저면으로부터 타측 종돌기부(12)의 저면까지 형성된다.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제1횡배수홈(15), 제2횡배수홈(16), 종배수홈(17)은 서로 연통되어 있다.
도 3, 4에는 상기 오목부(14)에 상기 종돌기부(12)가 삽입되도록 복수의 블록을 포설한 것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3, 4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포설하면, 포설된 상기 복수의 블록의 저면에서는 어느 하나의 블록의 종배수홈(17)과 인접하는 다른 블록의 제1횡배수홈(15)이 서로 연통되어, 포설된 전체 블록들의 저면에 격자형으로 연결되는 주공간부(100)를 형성하게 된다(도 5 참조).
그리고 상기 주공간부(100)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의 내부에는 보조공간부(200)가 존재하게 되는데, 상기 보조공간부(200)는 상기 종배수홈(17)과 연통되어 있는 제2횡배수홈(16)과 제1간격부(300)를 포함한다(도 12, 13 참조).
도 12는, 격자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주공간부(100)와 격자의 내부에 형성되는 보조공간부(200)의 특별한 패턴을 나타내기 위해 선으로 표시한 것이고, 도 13은 도 12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2에서 보는 것과 같이, 블록의 저면은 블록이 포설되는 전체 면적에 걸쳐 전체적으로 정사각형의 격자 구조를 이루고, 격자의 내부에는 +자형의 제1간격부(300)가 형성되며, 주공간부(100)와 +자형의 제1간격부(300)를 제2횡배수홈(16)이 연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2, 13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2횡배수홈(16)은 주공간부(100)와 직교하면서 연통하고, 제2횡배수홈(16)은 제1간격부(300)와 수직하게 만나서 연통한다.
보조공간부(200)를 이루는 제2횡배수홈(16)과 제1간격부(300)는 전체적인 구조가 바람개비의 날개 모양같은 특별한 패턴을 가지고 구비되어, 주공간부를 통해 보조공간부에 흘러 들어온 빗물이 밖으로 쉽게 빠져 나가지 못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그 결과 흘러들어온 빗물이 오랜 시간동안 보조공간부에 머물러 있을 수 있으므로, 주공간부와 보조공간부의 유기적 결합에 의해 빗물의 저류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공간부(100)는, 비가 오게 되면 초기에는 저류 기능을 수행하고, 점차 빗물의 양이 증가하게 되면, 빗물을 보조공간부(200)로 이동시켜 우수 초기에 지표수의 배출이 급격히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점점 더 빗물의 양이 증가하면 격자 구조를 따라 배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비가 그치면, 주공간부에 의해 블록의 저면에서 격자 구조로 물이 저류될 수 있다.
특히나 본 발명의 주공간부는 블록이 포설된 전지역의 하부에 정사각형 분포로 균일하게 배치된 저류공간 및 배수로를 확보할 수 있어 포설 지역 전체의 고른 저류 기능을 확보할 수 있고, 많은 비가 내리더라도 빗물이 일시에 하수도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일정하고 고른 배수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블록(10)의 포설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격자틀(500)이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격자틀(500)의 격자 크기와 형태는 상기 주공간부(100)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 구조와 동일하게 구비한다.
상기 격자틀(500)은 원형 또는 사각형의 강관 또는 금속파이프로 제작될 수 있고, 상기 주공간부(100)에 삽입될 수 있는 격자틀(500)을 깔고, 블록(10)을 포설할 경우에는, 블록 포설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블록의 포설된 형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평지는 물론이고 경사면, 호안, 하안 등지에서도 블록을 쉽게 포설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격자틀은 동절기에 블록 상부의 눈 또는 얼음을 녹일 필요가 있는 곳에서는, 격자틀을 배관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데, 별도의 열원을 구비하고 격자틀 내부에 유체를 넣고, 별도의 열원에 의해 유체에 열을 가하여 배관 내부로 유동하도록 하면, 배관 내부에서 흐르는 고온의 유체에 의해 블록 주변의 눈과 얼음을 녹일 수 있게 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2실시예인 블록(20)은, 본체부(21), 종돌기부(22), 횡돌기부(23) 및 오목부(24)를 포함하는 형태이고, 상기 본체부(21), 종돌기부(22) 및 횡돌기부(23)는 일체로 구비된다.
제2실시예의 블록(20)이, 제1실시예인 블록(10)과 다른 점은 상기 종돌기부(22), 횡돌기부(23) 및 오목부(24)의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이라는 점이다.
본체부(21)는 블록의 중앙부를 차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종돌기부(22), 횡돌기부(23) 및 오목부(24)를 제외한 부분을 말하고, 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상기 종돌기부(22)는 평면이 직사각형으로, 상기 본체부(21)의 길이방향 양측에 하나씩 구비된다.
상기 횡돌기부(23)는 평면이 직사각형으로 상기 본체부(21)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2개씩 구비된다.
상기 오목부(24)는 상기 횡돌기부(23)의 사이 공간에 의해 형성되어 평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도 6을 보면, 상기 오목부(24)의 깊이(d1)를 d1으로 표시하였고, 상기 종돌기부(22)의 길이(d2)를 d2로 표시하였는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오목부(24)의 깊이(d1)가 상기 종돌기부(22)의 길이(d2)보다 작도록 한다.
본 발명의 블록은 오목부에 종돌기부가 삽입하도록 포설되는 구조인데, d1과 d2의 크기를 위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오목부(24)에 상기 종돌기부(22)가 삽입되도록 포설하였을 때, 도 8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인접하는 4개의 블록들 사이에 +자형의 제1간격부(300)가 형성된다.
상기 제1간격부(300)의 간격의 크기는, 상기 오목부(24)의 깊이(d1)와 상기 종돌기부(22)의 길이(d2)의 차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길이의 차(d2-d1)가 클수록 상기 제1간격부(300)의 간격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배수를 위한 작은 통로의 기능이 필요할 때에는 간격의 크기를 작게 형성하고, 블록 사이의 공간에 잔디나 식물을 식재하고자 할 때에는 간격의 크기를 크게 하여 흙이나 모래를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록(20)의 저면에는, 제1횡배수홈(25), 제2횡배수홈(26), 종배수홈(27)이 구비된다.
상기 제1횡배수홈(25)은, 상기 오목부(24)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21)의 저면에 폭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횡배수홈(26)은, 일측 횡돌기부(23)의 저면에서 타측 횡돌기부(23)의 저면까지 폭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종배수홈(27)은, 블록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 종돌기부(22)의 저면으로부터 타측 종돌기부(22)의 저면까지 형성된다.
도 7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제1횡배수홈(25), 제2횡배수홈(26), 종배수홈(27)은 서로 연통되어 있다.
도 8에는 상기 오목부(24)에 상기 종돌기부(22)가 삽입되도록 복수의 블록을 포설한 것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8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포설하면, 포설된 상기 복수의 블록의 저면에서는 상기 종배수홈(27)과 상기 제1횡배수홈(25)이 서로 연통되어, 포설된 전체 블록들의 저면에 격자형으로 연결되는 주공간부(100)를 형성하게 된다(도 8 참조).
그리고 상기 주공간부(100)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의 내부에는 보조공간부(200)가 존재하게 되는데, 상기 보조공간부(200)는 상기 종배수홈(27)과 연통되어 있는 제2횡배수홈(26)과 제1간격부(300)를 포함한다(도 14, 15 참조).
도 14는, 제2실시예에 의해 격자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주공간부(100)와 격자의 내부에 형성되는 보조공간부(200)의 패턴을 나타내기 위해 선으로 표시한 것이고, 도 15는 도 14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4에서 보는 것과 같이, 블록의 저면은 블록이 포설되는 전체 면적에 걸쳐 전체적으로 정사각형의 격자 구조를 이루고, 격자의 내부에는 +자형의 제1간격부(300)가 형성되며, 주공간부(100)와 +자형의 제1간격부(300)를 제2횡배수홈(26)이 연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보조공간부(200)를 이루는 제2횡배수홈(26)과 제1간격부(300)는 전체적인 구조가 바람개비의 날개 모양처럼 구비되어 상기 주공간부(100)를 통해 흘러온 물을 저류할 수 있는 저류공간의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주공간부(100)는, 비가 오게 되면 초기에는 저류 기능을 수행하고, 점차 빗물의 양이 증가하게 되면, 빗물을 보조공간부(200)로 이동시켜 우수 초기에 지표수의 배출이 급격히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점점 더 빗물의 양이 증가하면 격자 구조를 따라 배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비가 그치면, 주공간부에 의해 블록의 저면에서 격자 구조로 물이 저류될 수 있다.
특히나 본 발명의 주공간부는 블록이 포설된 전지역의 하부에 정사각형 분포로 균일하게 배치된 저류공간 및 배수로를 확보할 수 있어 포설 지역 전체의 고른 저류 기능을 확보할 수 있고, 많은 비가 내리더라도 빗물이 일시에 하수도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일정하고 고른 배수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제2실시예의 블록(20)에 의해서도 첫 번째 실시예의 블록(10)과 마찬가지로 격자 구조의 주공간부가 형성되므로,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격자틀(500)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블록(30)은 제1실시예의 블록(10)에 체결돌기(38)와 체결홈(39)이 구비된 형태이다(도 9, 10 참조).
상기 체결돌기(38)는 상기 횡돌기부(33)의 마주보는 면의 하부 저면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홈(39)은 상기 종돌기부(32)의 하부 양측 저면에 구비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위와 반대로 체결돌기(38)를 종돌기부(32)의 하부 양측 저면에 구비하고, 체결홈(39)을 상기 횡돌기부(33)의 마주보는 면의 하부 저면에 구비할 수도 있다.
체결돌기와 체결홈을 구비하여 포설하게 되면, 인접하는 블록들의 일부가 위아래로 포개져 포설되게 되므로, 돌기부와 오목부에 의한 수평 맞물림과 체결돌기와 체결홈에 의한 상하 맞물림이 합쳐지는 구조가 된다. 즉, 블록 전체가 포설되게 되면 인접하는 블록들이 3차원적으로 서로 맞물리는 구조가 되므로, 인접하는 블록들이 서로 일체화되어 견고하게 포설되고, 인접하는 블록 간의 부등침하와 단차가 없어지며, 모서리 끼리의 부딪힘이 줄어들어 모서리 깨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특별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제1실시예의 블록(10)에서 설명한 주공간부, 보조공간부, 제1간격부, 제2간격부, 격자틀은 제3실시예의 블록(30)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블록(40)은 상기 제2실시예의 블록(20)에 체결돌기(48)와 체결홈(49)이 구비된 형태이다(도 11 참조).
상기 체결돌기(48)는 상기 횡돌기부(43)의 마주보는 면의 하부 저면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홈(49)은 상기 종돌기부(42)의 하부 양측 저면에 구비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위와 반대로 체결돌기(48)를 종돌기부(42)의 하부 양측 저면에 구비하고, 체결홈(49)을 상기 횡돌기부(43)의 마주보는 면의 하부 저면에 구비할 수도 있다.
체결돌기와 체결홈을 구비하여 포설하게 되면, 인접하는 블록들의 일부가 위아래로 포개져 설치되므로, 인접하는 블록들이 서로 일체화되어 견고하게 포설되고, 인접하는 블록 간의 부등침하와 단차가 없어지며, 모서리 끼리의 부딪힘이 줄어들어 모서리 깨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제2실시예의 블록(20)에서 설명한 주공간부, 보조공간부, 제1간격부, 격자틀은 제4실시예의 블록(40)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블록(50)은 제1실시예의 블록(10)에 제1간격돌기(58)와 제2간격돌기(59)가 구비된 형태이다(도 16, 17 참조).
즉, 양측 오목부(54)의 하단에 제1간격돌기(58)가 형성되고, 양측 종돌기부(52)의 하단 양측에 제2간격돌기(59)가 형성된다. 종돌기부(52)의 말단 하부가 상기 제1간격돌기(58)에 접촉함으로써 및/또는 상기 제2간격돌기(59)가 오목부(54)의 양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종돌기부(52)와 상기 오목부(54) 사이에 간격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종돌기부(52)와 오목부(54) 사이의 간격의 크기는 상기 제1간격돌기(58)와 제2간격돌기(59)의 돌출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적절히 조절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1간격돌기(58)의 돌출길이와 제2간격돌기(59)의 돌출길이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7을 보면, 제5실시예의 블록(50)의 저면에 제1횡배수홈(55), 제2횡배수홈(56) 및 종배수홈(57)이 형성된 실시예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제1횡배수홈(55), 제2횡배수홈(56) 및 종배수홈(57)에 의해 블록(50) 저면에 형성되는 배수홈의 구조가 도 18의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제5실시예에 의해서도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주공간부 및 보조공간부와 유사한 형태의 배수 및 저류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블록(60)은 제1실시예의 블록(10)에 체결돌기(68)와 체결홈(69)이 구비된 형태이다(도 19, 20 참조).
양측 오목부(64)의 하단에 체결돌기(68)가 형성되고, 양측 종돌기부(62)의 하단에 체결홈(69)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69)에 체결돌기(68)가 삽입됨으로써 인접하는 블록(60)들이 서로 맞물리게 되고, 수평적 연결과 맞물림은 물론 수직적으로도 인터록킹되어 부등침하나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체결돌기(68)와 체결홈(69)의 크기에 의해 인접하는 종돌기부(62)와 오목부(64) 사이에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데, 상기 체결돌기(68)의 돌출길이를 S1이라 하고, 상기 체결홈(69)의 길이를 S2라 할 때(도 19 참조), 종돌기부(62)와 오목부(64)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S1이 S2보다 커야 되고, 그 길이의 차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20을 보면, 제6실시예의 블록(60)의 저면에 제2횡배수홈(66)이 형성된 실시예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제2횡배수홈(66)에 의해 블록(60) 저면에 형성되는 배수홈의 구조가 도 21의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위 제5, 6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형태의 배수홈을 예시하였는데, 반드시 이러한 배수홈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1실시예의 블록(10)에서 설명한 제1횡배수홈(15), 제2횡배수홈(16) 및 종배수홈(17)이 제5, 6실시예의 블록(50, 60)에도 적용될 수 있고, 제1실시예의 블록(10)에서의 주공간부, 보조공간부, 제1간격부, 제2간격부, 격자틀 역시 제5, 6실시예의 블록(50, 60)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횡배수홈(15, 25, 35, 45, 55), 제2횡배수홈(16, 26, 36, 46, 56, 66) 및 종배수홈(17, 27, 37, 47, 57)의 형상은 사각형, 반원형, 반타원형 중 하나로 할 수 있고, 체결돌기(38, 48, 68)와 체결홈(39, 49, 69)은 사각형 단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라운드진 형태, 원형, 다각형태 등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20, 30, 40, 50, 60. 블록
11, 21, 31, 41, 51, 61. 본체부
12, 22, 32, 42, 52, 62. 종돌기부
13, 23, 33, 43, 53, 63. 횡돌기부
14, 24, 34, 44, 54, 64. 오목부
15, 25, 35, 45, 55. 제1횡배수홈
16, 26, 36, 46, 56, 66. 제2횡배수홈
17, 27, 37, 47, 57. 종배수홈
38, 48, 68. 체결돌기
39, 49, 69. 체결홈
58. 제1간격돌기 59. 제2간격돌기
100. 주공간부 200. 보조공간부
300. 제1간격부 400. 제2간격부
500. 격자틀

Claims (12)

  1. 삭제
  2. 육면체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종돌기부 및 횡돌기부;
    상기 횡돌기부의 사이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에 상기 종돌기부가 삽입되어 포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및 저류 성능이 우수한 블록에 있어서,
    상기 종돌기부(12)는 평면이 등변사다리꼴로, 상기 본체부(11)의 길이방향 양측에 하나씩 구비되고,
    상기 횡돌기부(13)는 평면이 사다리꼴로 상기 본체부(11)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2개씩 구비되되, 본체부의 길이방향 양 끝에 위치하는 변은 본체부의 길이방향과 수직이고, 수직인 변과 마주보는 변은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14)는 평면이 등변사다리꼴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14)의 밑변의 길이(W1)가 상기 종돌기부(12)의 밑변의 길이(W2)보다 작도록 하여 상기 오목부(14)에 상기 종돌기부(12)가 삽입되도록 포설하였을 때,
    인접하는 4개의 블록들 사이에 +자형의 제1간격부(300)가 형성되고,
    하나의 블록의 종돌기부(12)와 인접하는 다른 블록의 오목부(14) 사이에 ㅡ자형의 제2간격부(4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및 저류 성능이 우수한 블록.
  3. 육면체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종돌기부 및 횡돌기부;
    상기 횡돌기부의 사이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에 상기 종돌기부가 삽입되어 포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및 저류 성능이 우수한 블록에 있어서,
    상기 종돌기부(22)는 평면이 직사각형으로, 상기 본체부(21)의 길이방향 양측에 하나씩 구비되고,
    상기 횡돌기부(23)는 평면이 직사각형으로 상기 본체부(21)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2개씩 구비되며,
    상기 오목부(24)는 평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24)의 깊이(d1)가 상기 종돌기부(22)의 길이(d2)보다 작도록 하여 상기 오목부(24)에 상기 종돌기부(22)가 삽입되도록 포설하였을 때,
    인접하는 4개의 블록들 사이에 +자형의 제1간격부(3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및 저류 성능이 우수한 블록.
  4. 육면체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종돌기부 및 횡돌기부;
    상기 횡돌기부의 사이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에 상기 종돌기부가 삽입되어 포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및 저류 성능이 우수한 블록에 있어서,
    상기 종돌기부(52)는 평면이 등변사다리꼴로, 상기 본체부(51)의 길이방향 양측에 하나씩 구비되고,
    상기 횡돌기부(53)는 평면이 사다리꼴로 상기 본체부(51)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2개씩 구비되되, 본체부의 길이방향 양 끝에 위치하는 변은 본체부의 길이방향과 수직이고, 수직인 변과 마주보는 변은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54)는 평면이 등변사다리꼴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54)의 하단에 제1간격돌기(58)가 구비되고, 상기 종돌기부(52)의 하단 양측에 제2간격돌기(59)가 구비되어 상기 오목부(54)에 상기 종돌기부(52)가 삽입되도록 포설하였을 때,
    인접하는 4개의 블록들 사이에 +자형의 제1간격부(3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및 저류 성능이 우수한 블록.
  5. 육면체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종돌기부 및 횡돌기부;
    상기 횡돌기부의 사이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에 상기 종돌기부가 삽입되어 포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및 저류 성능이 우수한 블록에 있어서,
    상기 종돌기부(62)는 평면이 등변사다리꼴로, 상기 본체부(61)의 길이방향 양측에 하나씩 구비되고,
    상기 횡돌기부(63)는 평면이 사다리꼴로 상기 본체부(61)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2개씩 구비되되, 본체부의 길이방향 양 끝에 위치하는 변은 본체부의 길이방향과 수직이고, 수직인 변과 마주보는 변은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64)는 평면이 등변사다리꼴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64)의 하단에 체결돌기(68)가 구비되고, 상기 종돌기부(62)의 하단에 체결홈(69)이 구비되어, 상기 오목부(64)에 상기 종돌기부(62)가 삽입되도록 포설하였을 때,
    인접하는 4개의 블록들 사이에 +자형의 제1간격부(3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및 저류 성능이 우수한 블록.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저면에는,
    블록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 종돌기부의 저면에서 타측 종돌기부의 저면까지 형성되는 종배수홈;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1횡배수홈;
    일측 횡돌기부의 저면에서 타측 횡돌기부의 저면까지 형성되는 제2횡배수홈;이 구비되고,
    상기 오목부에 상기 종돌기부가 삽입되도록 복수의 블록을 포설하면, 상기 복수의 블록의 저면에서는 상기 종배수홈과 상기 제1횡배수홈이 서로 연통되어, 포설된 전체 블록들의 저면에 격자형으로 연결되는 주공간부(100)를 형성하고,
    상기 주공간부(100)는, 비가 올 때는 저류 및 배수 기능을 수행하고, 비가 오지 않을 때에는 저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및 저류 성능이 우수한 블록.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공간부(100)의 격자 내부에는 상기 주공간부(100)를 통해 흘러온 물을 저류할 수 있는 보조공간부(200)가 상기 주공간부(100)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보조공간부(200)는,
    상기 종배수홈과 연통되어 있는 제2횡배수홈;
    상기 제2횡배수홈과 연통되어 있는 +자형의 제1간격부를 포함하는
    배수 및 저류 성능이 우수한 블록.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횡돌기부의 마주보는 면의 하부 저면에 체결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종돌기부의 하부 양측 저면에 체결홈이 구비되거나,
    상기 횡돌기부의 마주보는 면의 하부 저면에 체결홈이 구비되고, 상기 종돌기부의 하부 양측 저면에 체결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오목부에 상기 종돌기부가 삽입되어 포설되면, 상기 체결홈에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어 포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및 저류 성능이 우수한 블록.
  9.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간격부(300)에 흙을 채워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및 저류 성능이 우수한 블록.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횡배수홈은 주공간부(100)와 직교하면서 연통하고, 상기 제2횡배수홈은 제1간격부(300)와 수직하게 만나서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및 저류 성능이 우수한 블록.
  11. 제6항의 블록;
    격자형으로 구비된 격자틀(500);을 포함하되,
    상기 주공간부(100)에 격자틀(500)이 삽입되도록 포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세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틀(500)은 강관 또는 금속파이프로 제작되고,
    상기 격자틀(500) 내부에 유체를 넣고, 열원에 의해 유체에 열을 가함으로써 블록 주변의 결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세트.




KR1020180167302A 2018-12-21 2018-12-21 배수 및 저류 성능이 우수한 블록 및 블록 세트 KR101976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302A KR101976073B1 (ko) 2018-12-21 2018-12-21 배수 및 저류 성능이 우수한 블록 및 블록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302A KR101976073B1 (ko) 2018-12-21 2018-12-21 배수 및 저류 성능이 우수한 블록 및 블록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073B1 true KR101976073B1 (ko) 2019-05-07

Family

ID=66656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302A KR101976073B1 (ko) 2018-12-21 2018-12-21 배수 및 저류 성능이 우수한 블록 및 블록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0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676B1 (ko) * 2020-08-26 2021-04-02 오은규 다용도 모듈형 블록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487Y1 (ko) * 2001-05-03 2001-10-12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식생블럭
KR200327418Y1 (ko) * 2003-05-26 2003-09-22 오승섭 식생용 호안블럭
KR101619285B1 (ko) 2014-06-20 2016-05-10 조창제 멀티기능을 가진 보도블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487Y1 (ko) * 2001-05-03 2001-10-12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식생블럭
KR200327418Y1 (ko) * 2003-05-26 2003-09-22 오승섭 식생용 호안블럭
KR101619285B1 (ko) 2014-06-20 2016-05-10 조창제 멀티기능을 가진 보도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676B1 (ko) * 2020-08-26 2021-04-02 오은규 다용도 모듈형 블록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5373B1 (ko) 중공형 우수 저류블록
KR101976073B1 (ko) 배수 및 저류 성능이 우수한 블록 및 블록 세트
KR200397518Y1 (ko) 생태 식생옹벽블럭
KR101665326B1 (ko) 직투수공을 갖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침투 및 저류 포장시스템
JP3218451U (ja) 防草型歩車道境界ブロックおよび舗装歩道
KR101673421B1 (ko) 우수용 배수관로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0723646B1 (ko) 옹벽격자블록
JP3217826U (ja) 防草型境界ブロック
KR200406758Y1 (ko) 변화형 친환경 블록
KR20160061284A (ko) 우수용 배수관로 시스템
KR200398018Y1 (ko) 옹벽격자블록
KR200301571Y1 (ko) 삼각형 연접돌기 및 홈 부 보도블록
ES2919335B2 (es) Pieza para la ejecucion de diques para el control de la erosion en carcavas
KR101124944B1 (ko) 하천의 제방용 배수장치
CN220013546U (zh) 土石坝下游坝坡混凝土框格护坡
JP7499163B2 (ja) 貯水型側溝およびそれを用いた貯水型側溝設備
KR200358532Y1 (ko) 호안블록
CN212026137U (zh) 一种组装方便的预制混泥土护坡块
KR200327425Y1 (ko) 다수의 호박돌 형상 구조를 갖는 생태 옹벽블럭
KR20090014932A (ko) 배수관용 배수 유도장치
KR100724286B1 (ko) 식생블럭 조립체
KR101367937B1 (ko) 투수성 포장재의 침투량 증대장치
JP2007217885A (ja) 排水構造
KR200370305Y1 (ko) 저수량 증진용 보도블록
JP2799845B2 (ja) 地下浸透型側溝の構築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