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231B1 - 침하가 쉽게 되지 않고 우수 저장 공간이 구비된 블록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저장된 우수 유실 방지 시공법 - Google Patents

침하가 쉽게 되지 않고 우수 저장 공간이 구비된 블록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저장된 우수 유실 방지 시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5231B1
KR101865231B1 KR1020170024686A KR20170024686A KR101865231B1 KR 101865231 B1 KR101865231 B1 KR 101865231B1 KR 1020170024686 A KR1020170024686 A KR 1020170024686A KR 20170024686 A KR20170024686 A KR 20170024686A KR 101865231 B1 KR101865231 B1 KR 101865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pace
storage
protrusion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문비
Original Assignee
정문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문비 filed Critical 정문비
Priority to KR1020170024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2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4Puzzle-lik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 저장 공간을 구비하고, 우수가 저장 공간으로 쉽게 침투할 수 있는 통수 통기구부를 구비하고, 그 통수 통기구부가 먼지나 흙에 의해 쉽게 막히지 아니하고, 우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우수가 낮은 곳을 통하여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우수 유실 방지 시공법에 의하여 장기간 동안 우수가 저장 공간에 저장될 수 있어서 지하수를 보충해주고, 여름에는 지표면의 물기가 증발하면서 블록의 열을 빼앗아가 주변의 온도를 낮추고, 겨울에는 지열이 올라올 수 있어서 주변의 온도를 높이고, 블록간의 결합의 강도를 높여 침하가 발생하지 아니하며, 침하가 되지 않는 장점을 활용하여 예산을 많이 들이지 않고 저류지를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을 구비하고, 인간의 왕래가 드문 곳에서도 잡초가 쉽게 자랄 수 없어 관리가 용이한 우수 저장 공간이 구비되고 침하가 되지 않는 블록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로써, 우수 저장 블록에 우수 저장 공간과 우수 저장 블록 틈새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우수 저장 공간에 우수와 공기가 쉽게 침투하고 먼지나 흙들이 퇴적되지 않도록 하는 우수 저장 블록 통수 통기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우수 저장 블록의 우수 저장 공간을 사방으로 연결시켜 주는 우수 저장 블록 이격 돌기 틈새 통로를 구비하고, 우수 저장 블록의 침하를 방지하는 침하 방지 결합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침하가 쉽게 되지 않고 우수 저장 공간이 구비된 블록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저장된 우수 유실 방지 시공법{no sinking block structure with rainwater storage and meathod of keeping be stored rainwater}
본 발명은 인도나 차도 또는 주차장 및 기타 여러 지표면에 설치되는 블록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인도나 차도 또는 주차장 및 기타 여러 지표면에 설치되어 인간의 보행이나 차가 주차하는데 편리함과 사람들이 생활하는데 쾌적함과 안락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비가 올 때는 빗물의 일부가 블록 구조체간의 틈새나 통수 통기구로 침투되어 블록 구조체의 하부에 형성된 우수 저장 공간에 빗물의 일부를 저장하여 저장된 빗물이 시간을 두고 지하로 스며들어 지하수를 보충할 수 있게 하고, 저장된 우수가 낮은 곳을 통하여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공법을 구비하여 저장된 우수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비가 오지 않을 때에는 공기가 블록 구조체의 하부 지표면까지 유입되어 땅이 숨을 쉴 수 있어 토양의 오염을 방지하고, 여름철에는 블록 구조체 하부 지표면의 물기가 증발하면서 블록 구조체의 온도를 빼앗아가 주변의 온도를 낮추고, 겨울철에는 지열이 올라와 블록 구조체의 온도를 높여 주변의 온도를 높일 수 있고, 인간의 왕래가 많지 않는 곳에서는 블록 간 틈새에서 잡초들이 무성하게 자라 보행 및 관리가 어려운데 인간의 왕래가 많지 않더라도 블록 구조체의 틈새에서 잡초가 자랄 수 없어 관리가 용이하고, 블록을 설치하고 시간이 경과하면 침하가 발생하여 불편을 초래하고 교체 시기가 빨라져 예산을 낭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침하가 잘 되지 않고, 블록 구조체를 고무 또는 부드럽고 내구성 있는 소재로 제작하거나, 블록 구조체 상부 표면에 일정한 두께의 고무판이나 인조 잔디 판을 부착하여 학교 운동장이나 놀이터 및 공터에 설치함으로써 넘어졌을 때 안전을 확보하고 땅값이 비싼 대도시에 많은 예산을 들이지 않고 저류 공간이 넓은 다수의 저류지를 조성할 수 있는 방법이 구비된 여러 가지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침하가 쉽게 되지 않고 우수 저장 공간이 구비된 블록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인간들은 인도와 차도와 주차장 및 기타 여러 지표면에 미관과 청결과 기타 필요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도에는 보도블록을, 차도와 주차장에는 차도블록을, 기타 지표면에는 용도에 맞는 여러 가지 형태와 기능을 갖는 블록들을 설치하여 보행 및 차의 운행이 용이해지고 생활하는 주변이 쾌적해지고 청결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지표면에 블록을 설치하는 것은 어떠한 소재의 블록이라 할지라도 지표면에 콘크리트 포장을 한 것과 같은 결과로써 비가 올 때 빗물이 지표면으로 투수되어 땅속으로 스며들지 못해 저지대를 따라 일시에 하천으로 흘러가버려 부족한 지하수를 보충해주지 못하고, 땅이 공기와 접촉할 수 없어서 토양이 오염되며, 집중 호우 시에는 땅속으로 투수되는 빗물이 거의 없어 일시에 많은 빗물이 지대가 낮은 곳으로 흐르게 되어 저지대의 침수를 야기하고, 여름철에는 블록이 햇볕에 달구어져 주변의 온도를 높이고 늦은 밤까지 식지 않아 열대야를 야기 시킨다.
또한 설치 후 시일이 경과하면 침하가 발생하여 노면이 울퉁불퉁해져서 보행이나 주행 및 생활에 불편을 주기도 하며 짧은 교체주기로 인하여 개, 보수에 많은 예산이 소요되는 실정으로써 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여러 종류의 블록들이 제공되고 있으나 침하를 방지하는 실효성이 부족하며, 특히 우수 저장 공간이 구비된 블록 구조체(특허 출원번호10-2016-0145726)는 침하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설치할 때 결합부가 간섭되어 설치하기가 어려워 시공비가 많이 들고 결합부의 위치 때문에 설치하는 방법이 벽돌을 쌓는 형태의 엇갈리게 설치하는 방법 한가지로 제한되어 또 다른 블록 설치 방법인 바둑판 형상으로는 설치할 수가 없어 활용도가 많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간의 왕래가 드문 곳은 블록 간 틈새에 쌓인 먼지나 흙에서 잡초의 씨앗들이 발아하여 지면에 뿌리를 내려 웃자라고 밀생하게 되어 보행을 어렵게 할뿐만 아니라 잡초를 제거하는데 많은 인력과 경비가 소요되며, 집중 호우 시 빗물을 임시 저류하였다가 나중에 방류하여 홍수 피해를 저감할 수 있는 다수의 저류지가 필요하지만 땅값이 비싸 저류지를 조성하기 어려운 대도시에서 저류지로 활용할 수 있는 수많은 학교 운동장과 놀이터와 공터들이 집중 호우 시 도심의 침수를 부분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저류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이런 여러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충분한 우수 저장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많은 빗물을 저장하여 빗물이 땅속으로 침투하여 부족한 지하수를 보충하고, 저장된 우수가 낮은 지점을 통하여 흘러가 버리는 것을 방지하여 집중 호우 시 저지대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비가 오지 않을 때에는 블록 구조체의 하부에까지 공기가 잘 통하게 하여 여름철에는 지표면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햇볕에 달구어진 블록 구조체의 열을 빼앗아가 주변의 온도를 낮출 수 있어 열대야의 발생 빈도수를 낮출 수 있고, 겨울철에는 지열이 블록 구조체간의 틈새를 통하여 올라와 주변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우수와 공기의 침투 구멍이나 블록 구조체간의 틈새로 먼지나 흙이 들어오더라도 빗물에 씻겨 내려가 우수 저장 공간에 쌓이게 함으로써 블록 구조체간 틈새나 별도의 우수와 공기 침투 구멍이 먼지나 흙 등에 의하여 쉽게 막히지 않아서 빗물이 블록 구조체 사이로 침투하는 기능을 오래 유지할 수 있고, 틈새가 막히지 아니함으로써 잡초가 블록 구조체간 틈새로 뿌리를 쉽게 내리지 못하게 하여 잡초가 자라지 못하게 함으로써 인간의 왕래가 드문 곳의 관리가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인간의 보행이나 차의 주행 시 블록 구조체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켜 침하가 잘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설치할 때 블록 간 결합부가 간섭되지 않아 설치가 용이하여 시공비가 절약되며, 블록을 설치하는 기본 형태인 바둑판 형태나 벽돌을 쌓듯이 교차시켜 설치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고, 침하가 잘 되지 않는 장점을 활용하여 학교 운동장이나 놀이터 및 공터에 설치하고 그 위에 탄성이 있는 고무판이나 인조 잔디 판을 부착함으로써 넘어졌을 때 안전을 확보함과 동시에 많은 예산을 들이지 않고 집중 호우 시 대도시의 침수 피해를 저감할 수 있는 다수의 넓은 공간을 갖는 저류지를 조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침하가 쉽게 되지 않고 우수 저장 공간이 구비된 블록 구조체는 설치를 위하여 배열하면 겹쳐져서 중첩되도록 블록 구조체 한쪽의 상부가 일정한 길이와 폭과 일정한 두께로 돌출되어 상부 돌출부를 형성하고 반대쪽은 블록 구조체의 하부가 일정한 길이와 폭과 일정한 두께로 돌출되어 하부 돌출부를 형성하여 설치하면 상기 하부 돌출부위에 상기 상부 돌출부가 포개져서 중첩되는 우수 저장 블록;과 상기 우수 저장 블록의 바닥 면에 형성되며, 바닥 면에 있는 네 개의 모서리 중 상기 하부 돌출부에서 상기 상부 돌출부 쪽으로 형성된 하나의 모서리에서부터 시작되어 마주보는 반대편 모서리까지 일정한 깊이와 폭으로 파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으로 형성된 우수 저장 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우수 저장 블록에는 우수와 공기의 출입을 원활하게 하고, 먼지나 흙이 상기 우수 저장 블록간의 틈새에 유입되더라도 빗물에 씻겨 내려가 상기 우수 저장 공간에 쌓일 수 있도록 먼지나 흙이 빠져 나갈 수 있는 이동 통로를 제공하여 우수와 공기의 출입구가 막히지 않도록 하는 우수 저장 블록 통수 통기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우수 저장 블록 통수 통기구부는 상기 우수 저장 블록의 몸체와 직각으로 만나는 지점의 상기 하부 돌출부의 상부 표면에 일 측에서부터 반대 측까지 일정한 깊이와 폭으로 파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으로 형성되는 우수 저장 블록 1통수 통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우수 저장 블록 통수 통기구부는 상기 우수 저장 블록의 상기 하부 돌출부의 상부 표면에 형성된 상기 우수 저장 블록 1통수 통기구에서 시작하여 반대쪽으로 일정한 깊이와 폭으로 파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으로 형성된 우수 저장 블록 2통수 통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우수 저장 블록 통수 통기구부는 상기 우수 저장 블록 몸체의 상부면 네 개의 모서리 중 상기 하부 돌출부 쪽에 있는 모서리에서 상기 우수 저장 블록 1통수 통기구까지 일정한 깊이와 폭으로 파인 적당한 개수의 홈과, 나머지 세 개의 모서리에는 상부 면의 각각의 모서리에서부터 시작되어 수직 하방으로 적당한 길이로 일정한 깊이와 폭으로 파인 적당한 개수의 홈으로 형성된 우수 저장 블록 3통수 통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우수 저장 통수 통기구부는 또 다른 형태로써 상기 우수 저장 블록 3통수 통기구와 상기 하부 돌출부 상부 표면에 돌출된 일정한 크기의 하부 돌출부 돌기들에 의하여 형성된 하부 돌출부 돌기 틈새 공간:으로 이루어 질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우수 저장 블록의 상기 상부 돌출부와 상기 하부 돌출부의 돌출된 길이는 기본적으로 동일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돌출부의 돌출된 부분의 전체 길이를 상기 상부 돌출부의 돌출된 부분의 길이 보다 짧게 하여 돌출된 길이가 달라 간섭되어 생긴 공간이나, 상기 하부 돌출부의 돌출된 부분을 요철의 형태로 군데군데 부분적으로 짧게 하여 생기는 공간을 이용하여 우수를 저장할 수 있는 우수 저장 블록 틈새 공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우수 저장 블록을 배열하면 일정한 간격을 이격시키면서도 이격 돌기들이 바닥에까지 연장되지 않고 중간에 끊겨 있어서 이격 돌기들의 하부 말단부가 지표면에 닿지 않게 되어 상기 우수 저장 블록들의 바닥 틈새가 막히지 않게 되고 상기 우수 저장 블록간의 막히지 않은 이 바닥 틈새로 우수가 이동할 수 있는 우수 저장 블록 이격 돌기 틈새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우수 저장 블록은 침하를 방지하는 침하 방지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침하 방지 결합부는 상기 우수 저장 블록의 일 측의 상기 우수 저장 공간이 형성된 부분에 상방으로 돌출된 수컷 결합부;를 구비하고 반대 측의 상기 우수 저장 공간이 형성된 부분에 상방으로 대응하여 결합하는 함몰된 암컷 결합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거나 상기 침하 방지 결합부를 형성하는 또 다른 방식으로써 상기 우수 저장 블록 일 측의 상기 우수 저장 공간 부분에 상방으로 돌출된 수컷 결합부와 함몰된 암컷 결합부가 앞뒤로 나란히 잇대어 형성된 수, 암 결합부;를 구비하고 반대 측의 상기 우수 저장 공간 부분에 상방으로 상기 수, 암 결합부에 대응하여 아귀가 맞게 결합되도록 함몰된 상기 암컷 결합부와 돌출된 상기 수컷 결합부가 앞뒤로 나란히 잇대어 형성된 암, 수 결합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우수 저장 블록은 상기 우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우수가 낮은 곳을 통하여 흘러가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공 시 경사가 있는 곳에서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하며, 건널목 등에서는 경계석과 보도의 높이가 낮아지기 시작하는 지점에 우수 유실 방지판을 설치하여 저장된 우수가 낮은 지역으로 흘러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우수 유실 방지 시공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우수 저장 블록은 소재를 콘크리트로 한정하지 않고 상기 우수 저장 블록을 천연 고무나 부드럽고 내구성 있는 다양한 소재로 제작하거나, 일정한 두께의 부드럽고 내구성 있는 소재의 고무판이나 인조 잔디 판을 상기 우수 저장 블록의 상부면에 부착하여 학교 운동장이나 놀이터 및 공터에 설치함으로써 넘어졌을 때 안전을 확보하고, 홍수 시 많은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다수의 저류지를 많은 예산을 들이지 않고도 확보 할 수 있는 저류지 확보 방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침하가 쉽게 되지 않고 우수 저장 공간이 구비된 블록 구조체는 설치하면 넓은 우수 저장 공간을 형성하여 많은 우수를 저장하고, 저장된 우수가 시간이 지나면 땅 속으로 스며들어 부족한 지하수를 보충하고, 우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우수가 경사가 지거나 인도보다 낮은 건널목에서 유실되지 않으며, 우수 저장 블록간의 틈새에 먼지나 흙이 들어가더라도 비가 오게 되면 우수 저장 블록 통수 통기구부를 통해서 흐르는 빗물에 먼지나 흙이 우수 저장 공간으로 씻겨 나가게 되어 우수 저장 블록 간 틈새가 장기간이 지나도 막히지 않아 우수가 우수 저장 공간에 용이하게 저장 될 수 있고 연접한 우수 저장 블록간의 틈새에 먼지나 흙이 쌓이지 않아 잡초의 씨앗이 틈새에서 발아하지 못하여 잡초가 자라지 못한다.
또한 우수 저장 블록간의 틈새나 우수 저장 블록 통구 통기구부로 공기가 잘 통하게 되어 지표면이 머금고 있는 수분이 증발하면서 달구어진 우수 저장 블록의 열을 빼앗아 가서 여름에는 우수 저장 블록 주변의 온도를 낮출 수 있고, 겨울에는 지열로 인하여 우수 저장 블록 주변의 온도를 높일 수 있으며, 설치된 우수 저장 블록이 장기간이 지나도 쉽게 침하되지 않고, 집중 호우 시 많은 우수를 저장하여 홍수피해를 저감할 수 있는 다수의 저류지를 많은 예산을 들이지 않고 조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블록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우수 저장 블록과 우수 저장 공간과 우수 저장 블록 통수 통기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우수 저장 블록과 우수 저장 공간과 또 다른 형태의 우수 저장 블록 통수 통기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우수 저장 블록과 우수 저장 공간과 우수 저장 블록 틈새 공간을 나타내는 배면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우수 저장 블록 틈새 공간과 우수 저장 블록 이격 돌기 틈새 통로를 나타내는 평면도와 측면도와 정면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우수 저장 블록의 일 측의 우수 저장 공간 부분에 상방으로 수컷 결합부가 있고 반대 측에 암컷 결합부가 각각 따로 있는 침하 방지 결합부을 나타내는 사시도와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우수 저장 블록의 일 측의 우수 저장 공간 부분에 상방으로 수컷 결합부가 있고 반대 측에 암컷 결합부가 각각 따로 있는 침하 방지 결합부을 나타내는 측면도와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우수 저장 블록의 일 측의 우수 저장 공간 부분에 상방으로 수컷 결합부와 암컷 결합부가 앞뒤로 나란히 잇대어 형성된 수, 암 결합부가 있고 반대 측에 대응하여 결합할 수 있는 암컷 결합부와 수컷 결합부가 앞뒤로 나란히 잇대어 형성된 암, 수 결합부로 이루어진 침하 방지 결합부을 나타내는 사시도와 평면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우수 저장 블록의 일 측의 우수 저장 공간 부분에 상방으로 수컷 결합부와 암컷 결합부가 앞뒤로 나란히 잇대어 형성된 수, 암 결합부가 있고 반대 측에 대응하여 결합할 수 있는 암컷 결합부와 수컷 결합부가 앞뒤로 나란히 잇대어 형성된 암, 수 결합부로 이루어진 침하 방지 결합부을 나타내는 측면도와 평면도 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 가지 방식의 침하방지 결합부를 구비한 우수 저장 블록이 두 가지 형태로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우수 유실 방지 시공법을 실현시키는 우수 유실 방지판이 설치된 보도의 측면도와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우수 저장 블록을 활용하여 안전을 확보하고 다수의 넓은 저류지 확보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우수 저장 블록의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본 발명인 침하가 쉽게 되지 않고 우수 저장 공간이 구비된 블록 구조체는 인도나 차도 또는 주차장 및 기타 여러 지표면에 설치되어 넓은 우수 저장 공간을 확보하여 많은 양의 빗물을 저장할 수 있어서 저장된 우수가 시간이 지나면 땅속으로 침투하여 부족한 지하수를 보충하고, 저장된 우수가 경사가 지거나 건널목 등의 낮은 곳을 따라 유실되지 않고 저류됨으로써 집중 호우 시 저지대 도심의 침수피해를 예방하고, 빗물이나 공기가 우수 저장 공간으로 침투하는 우수 저장 블록간의 틈새나 우수 저장 블록 통수 통기구부가 먼지나 흙에 의하여 막히지 않아 우수의 침투가 빠르고, 여름철에는 지표면의 물기가 우수 저장 블록간의 틈새나 우수 저장 블록 통수 통기구부를 통하여 증발하면서 우수 저장 블록의 열을 빼앗아 감으로써 우수 저장 블록 주변의 온도를 낮추고, 겨울철에는 지열이 올라와 우수 저장 블록 주변의 온도를 높이는 효과를 제공하며, 우수 저장 블록 간 틈새에 흙이나 먼지가 쌓이지 않아 잡초가 잘 자랄 수가 없어 인적이 드믄 곳에도 관리가 용이하며, 연접한 블록간의 결합강도가 강하여 우수 저장 블록에 작용하는 하중이 분산되어 침하나 파손이 되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침하가 쉽게 되지 않고 우수 저장 공간이 구비된 블록 구조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수 저장 공간(20)과 우수 저장 블록 통수 통기구부(30)를 구비하는 우수 저장 블럭(10)을 도 1,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도 1과 도 2에서 보여주듯이, 우수 저장 블록(10)은 설치하기 위하여 배열하면 겹쳐져서 중첩되도록 우수 저장 블록(10) 한쪽의 상부가 일정한 길이와 폭과 일정한 두께로 돌출되어 상부 돌출부(10-2)를 형성하고 반대쪽은 우수 저장 블록(10)의 하부가 일정한 길이와 폭과 일정한 두께로 돌출되어 하부 돌출부(10-1)를 형성하여 설치하면 하부 돌출부(10-1)위에 상부 돌출부(10-2)가 겹쳐져 중첩되는데 설치된 우수 저장 블록(10)들을 위에서 내려다보면 상부 돌출부(10-2)가 형성된 우수 저장 블록(10)의 상부 면은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이 될 수도 있고, 하나의 우수 저장 블럭(10)의 전체 모습은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이 될 수도 있다.
이런 우수 저장 블록(10)의 형상은 설명의 편이를 위하여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각형 형태 한가지로 국한 시켰을 뿐 배열하였을 때 서로 간섭되지 않는 또 다른 다각형 형태나 곡선을 갖는 형태가 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부 돌출부(10-2)와 하부 돌출부(10-1)의 돌출된 폭과 길이와 두께 중에 폭은 기본적으로 동일하나 필요에 따라 돌출된 길이와 두께는 달라질 수 있다.
먼저 두께가 달라질 수도 있는 이유는 우수 저장 블록(10)을 설치하면 하부 돌출부(10-1)위에 상부 돌출부(10-2)가 포개져서 중첩되는데, 그 포개진 두께가 우수 저장 블록(10)의 몸체 두께와 동일하여야 하므로 하부 돌출부(10-1)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상부 돌출부(10-2)의 두께가 그만큼 얇아져야하고 하부 돌출부(10-1)의 두께가 얇아지면 상부 돌출부(10-2)의 두께가 그만큼 두꺼워져야하기 때문이다.
돌출된 길이가 달라질 수도 있는 이유는 뒤에 설명할 우수 저장 블록 틈새 공간(21)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하부 돌출부(10-1)의 길이가 상부 돌출부(10-2)의 길이보다 짧아야 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우수 저장 블록(10)의 우수 저장 공간(20)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수 저장 블록(10)의 우수 저장 공간(20)은 우수 저장 블록(10)의 바닥 면에 적당한 깊이와 폭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이 파여 형성되는데 홈이 파인 방향은 우수 저장 블록(10) 바닥 면에 있는 네 개의 모서리 중 하부 돌출부(10-1) 끝에서 상부 돌출부(10-2)쪽으로 형성된 한 쪽의 모서리에서부터 시작되어 마주보는 반대편 모서리까지 파이게 된다.
즉 우수 저장 블록(10)을 뒤집어 놓고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우수 저장 블록(10) 하나의 전체 모습이 직사각형이라고 가정하면 우수 저장 블록(10)의 우수 저장 공간(20)은 한쪽의 긴 변에서부터 시작되어 마주보는 다른 한쪽의 긴 변까지 적당한 깊이와 폭으로 파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으로 형성 되는 것이다.
우수 저장 블록(10)이 구비하는 또 다른 저장 공간은 뒤에 설명할 우수 저장 블록 틈새 공간(21)으로써 우수 저장 블록(10)의 저장 공간은 우수 저장 공간(20)과 우수 저장 블록 틈새 공간(21)이 하나의 우수 저장 블록(10)에 같이 구비되거나 필요에 의해서 각각 독립적으로 따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렇게 형성된 우수 저장 블록(10)의 우수 저장 공간(20)에 우수 저장 블록(10) 간 틈새를 통하여 침투한 우수가 저장되며, 우수 저장 블록(10)간 틈새에 빠진 먼지나 흙들이 우수에 쓸려와 쌓이게 되어 우수 저장 블록(10)간 틈새나 다음으로 설명할 우수 저장 블록 통수 통기구부(30)가 막히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우수와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가 되며 흙이나 먼지의 이동통로의 역할을 하는 두 가지 방식으로 형성되는 우수 저장 블록 통수 통기구부(30)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수 저장 블록 통수 통기구부(30)가 형성되는 방식은 우수 저장 블록 1통수 통기구(31)와 우수 저장 블록 2통수 통기구(32)와 우수 저장 블록 3통수 통기구(33)로 이루어지는 방식과 우수 저장 블록 3통수 통기구(33)와 하부 돌출부 돌기 틈새 공간(34)으로 이루어지는 또 다른 방식으로 형성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우수 저장 블록 통수 통기구부(30)가 우수 저장 블록 1통수 통기구(31)와 우수 저장 블록 2통수 통기구(32)와 우수 저장 블록 3통수 통기구(33)로 형성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수 저장 블록 1통수 통기구(31)는 도 1에서와 같이 우수 저장 블록(10)의 몸체와 직각으로 만나는 지점의 하부 돌출부(10-1)의 상부 표면에 좌에서 우로 적당한 깊이와 폭으로 파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으로 형성된다.
우수 저장 블록 1통수 통기구(31)은 유입된 우수와 먼지와 흙들이 용이하게 빠져 나가도록 경사를 가파르게 하기 위해서 끝단 쪽으로 갈수록 홈의 깊이가 점차적으로 더 깊게 파여 형성될 수도 있다.
우수 저장 블록 1통수 통기구(31)에 우수 저장 블록(10)간 틈새로 빠진 먼지나 흙들이 쌓이게 되는데 비가 오면 쌓인 먼지나 흙들이 빗물에 쓸려 빠져나가는 통로가 되며 우수와 공기가 출입할 수 있는 통로가 된다.
도 1에서와 같이 우수 저장 블록 2통수 통기구(32)는 우수 저장 블록(10)의 하부 돌출부(10-1)의 상부 표면에 좌에서 우로 형성된 우수 저장 블록 1통수 통기구(31)에서부터 시작되어 반대쪽으로 적당한 깊이와 폭으로 파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으로 형성된다.
우수 저장 블록 2통수 통기구(32)는 우수와 먼지와 흙들이 쉽게 이동하도록 경사를 가파르게 하기 위하여 시작 지점에서 끝나는 지점으로 갈수록 홈의 깊이가 점차적으로 더 깊게 파여 형성될 수도 있다.
우수 저장 블록 2통수 통기구(32)는 우수 저장 블록(10)간 틈새를 통하여 유입되어 우수 저장 블록 1통수 통기구(31)에 쌓인 먼지나 흙들이 빗물에 쓸려 우수 저장 블록 틈새 공간(21)으로 이동하는 통로의 역할을 하여 결국에는 우수 저장 공간(20)에까지 쌓이게 하며, 우수와 외부의 공기가 우수 저장 블록(10)의 우수 저장 블록 틈새 공간(21)과 우수 저장 공간(20)까지 유입될 수 있게 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도 1에서와 같이 우수 저장 블록 3통수 통기구(33)는 기본적으로 우수 저장 블록(10)몸체의 상부 면에 있는 네 개의 모서리 중 하부 돌출부(10-1)쪽에 있는 모서리에서부터 우수 저장 블록 1통수 통기구(31)까지 적당한 깊이와 폭으로 파인 적당한 개수의 홈과, 나머지 세 개의 모서리에는 상부 면의 각각의 모서리에서부터 시작되어 수직 하방으로 적당한 길이로 적당한 깊이와 폭으로 파인 적당한 개수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우수 저장 블록 3통수 통기구(33)는 통수와 통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우수 저장 블록(10)의 모서리뿐만 아니라 우수 저장 블록(10)의 상부 표면에서부터 우수 저장 블록(10)의 우수 저장 공간(20)까지 관통되게 하나 이상의 구멍이 뚫려 형성 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우수 저장 블록 3통수 통기구(33)들은 여자들의 구두 뒤 굽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크기를 고려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배열하였을 때 연접한 우수 저장 블록 3통수 통기구(33)들이 대응하여 만나지 않도록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약간씩 어긋나게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우수 저장 블록(10)을 설치하면 우수 저장 블록 통수 통기구부(30)는 우수 저장 블록 3통수 통기구(33)만 노출되고 우수 저장 블록 1통수 통기구(31)와 우수 저장 블록 2통수 통기구(32)는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다.
우수 저장 블록 3통수 통기구(33)는 더 많은 우수가 침투할 수 있도록 하며, 공기가 우수 저장 블록(10) 내부의 지표면 까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증발한 수증기가 외부로 나갈 수 있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또 다른 방식의 우수 저장 블록 통수 통기구부(30)에 대하여 설명하면,
하부 돌출부(10-1) 위에 상부 돌출부(10-2)를 겹쳤을 때 중첩된 부분의 두께가 우수 저장 블록(10)몸체의 두께와 일치하도록 일정한 크기와 높이를 갖는 다수의 하부 돌출부 돌기(13)를 하부 돌출부(10-1)의 상부 면에 형성하고 설치를 위하여 다른 우수 저장 블록(10)의 상부 돌출부(10-2)를 하부 돌출부(10-1)에 덮듯이 포개면 상부 돌출부(10-2)의 하부 면이 하부 돌출부(10-1)의 상부 면에 형성된 하부 돌출부 돌기(13)들 위에 위치하게 되는데, 하부 돌출부(10-1)의 상부 면과 상부 돌출부(10-2)의 하부 면은 하부 돌출부 돌기(13)로 인하여 이격되어 틈새 공간이 생기게 되고 이 하부 돌출부 돌기 틈새 공간(34)이 앞서 설명한 우수 저장 블록 1통수 통기구(31)와 우수 저장 블록 2통수 통기구(32)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이때 우수 저장 블록 3통수 통기구(33)는 기본적으로 우수 저장 블록(10) 몸체의 상부 면에 있는 네 개의 모서리 중 하부 돌출부(10-1)쪽에 있는 모서리에서부터 하부 돌출부 돌기 틈새 공간(34)까지 적당한 깊이와 폭으로 파인 적당한 개수의 홈과, 나머지 세 개의 모서리에는 상부 면의 각각의 모서리에서부터 시작되어 수직 하방으로 적당한 길이로 적당한 깊이와 폭으로 파인 적당한 개수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우수 저장 불록 3통수 통기구(33)나 우수 저장 블록(10)간 틈새를 통하여 들어온 우수나 먼지와 흙들이 하부 돌출부 돌기 틈새 공간(34)으로 유입되면 하부 돌출부 돌기 틈새 공간(34)이 앞에서 설명한 우수 저장 블록 1통수 통기구(31)와 우수 저장 블록 2통수 통기구(32)의 역할을 동시에 하게 되어 비가 오면 유입된 우수나 먼지와 흙들이 우수 저장 블록 틈새 공간(21)으로 쓸려나가는 이동 통로의 역할을 하게 되어 결국에는 우수 저장 공간(20)에 까지 쌓이게 되는 것이다.
유입된 우수와 먼지와 흙들이 쉽게 우수 저장 블록 틈새 공간(21)으로 이동되도록 하부 돌출부 돌기 틈새 공간(34)이 형성되는 하부 돌출부(10-1)의 상부 면의 경사를 우수 저장 블록 틈새 공간(21)쪽으로 갈수록 가파르게 할 수도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우수 저장 블록(10)의 우수 저장 공간(20)과 함께 또 다른 저장 공간 역할을 하는 우수 저장 블록 틈새 공간(21)과 우수가 저장되는 공간들을 사방으로 연결시키는 우수 저장 블록 이격 돌기 틈새 통로(12)를 설명하면.
우수 저장 블록(10)의 하부 돌출부(10-1)와 상부 돌출부(10-2)의 돌출된 길이는 기본적으로 동일할 수도 있으나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우수 저장 블록 틈새 공간(21)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하부 돌출부(10-1)의 돌출된 부분의 전체 길이를 상부 돌출부(10-2)의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하거나, 하부 돌출부(10-1)의 끝단이 상부 돌출부(10-2)쪽 우수 저장 블록(10) 몸체와 접촉하는 면적을 넓혀 마찰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하부 돌출부(10-1)의 돌출된 부분의 길이를 전체적으로 짧게 하지 않고 요철이 형성되도록 군데군데 부분적으로 짧게 한다.
이렇게 형성된 우수 저장 블록(10)을 설치하기 위하여 배열을 하면 도 3과 도 4에 보여주듯이 하나의 우수 저장 블록(10)의 하부 돌출부(10-1) 위를 또 다른 우수 저장 블록(10)의 상부 돌출부(10-2)가 덮듯이 배열되는데 두 돌출부의 길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간섭이 발생하여 하나의 우수 저장 블록(10)의 하부 돌출부(10-1)와 또 다른 우수 저장 블록(10)의 상부 돌출부(10-2)쪽의 몸체는 사이가 벌어질 수밖에 없게 되어 틈새가 생기고 이 틈새 공간이나 군데군데 부분적으로 짧아 요철이 형성되어 생기는 하부 돌출부(10-1)와 또 다른 우수 저장 블록(10)의 상부 돌출부(10-2)쪽 몸체 사이에 생기는 부분적인 공간이 우수 저장 블록 틈새 공간(21)을 형성하게 된다.
우수 저장 블록 틈새 공간(21)은 우수 저장 공간(20)과 마찬가지로 우수와 빗물에 쓸려온 먼지나 흙들의 저장 공간의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우수 저장 블록 이격 돌기 틈새 통로(12)를 설명하면. 기존의 블록들은 배열하였을 때 연접한 블록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맞닿는 몸체의 대응되지 않는 위치에 이격 돌기가 형성되는데 일반적으로 블록의 상부 면에서부터 블록의 바닥 면까지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설치를 위하여 블록을 지면에 배열하면 이격 돌기의 하부 말단부가 지표면에 닿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이격 돌기들은 블록이 배열되었을 때 블록 간 사이를 일정 거리만큼 이격시키는 역할은 하지만 우수가 이동할 수 있는 블록 간 틈새를 막아 버리게 되어 우수나 먼지들이 이동을 할 수가 없어 비에 노출된 블록의 저장 공간에는 우수가 저장되지만 노출되지 않는 블록에는 우수가 저장될 수가 없으며 틈새에 빠진 먼지나 흙이 우수에 쓸려나가지 못하고 쌓이게 되어 블록 사이의 틈새를 메우게 된다.
이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우수 저장 블록(10)은 이격 돌기들이 바닥에 까지 연장되지 않도록 우수 저장 블록 이격 돌기(11)가 형성되는 지점이 상부 돌출부(10-2)의 옆면과 앞면에 일부가 형성되며, 필요한 나머지 우수 저장 블록 이격 돌기(11)들은 우수 저장 블록(10)의 우수 저장 공간 범위(22)안에 있는 일 지점의 우수 저장 블록(10)의 상부 표면에서부터 시작되어 우수 저장 블록(10)의 우수 저장 공간(20)의 상부 면까지만 형성된다.
설명한 위치에 우수 저장 블록 이격 돌기(11)들이 형성되면 우수 저장 블록 이격 돌기(11)들은 우수 저장 블록(10)의 상부 면에서부터 시작되어 밑으로 내려오다가 상부 돌출부(10-2)의 하부 면까지만 형성되어 바닥까지 연장되지 않고, 또 다른 우수 저장 블록 이격 돌기(11)들도 우수 저장 공간(20)의 상부 면까지만 형성되어 바닥까지 연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우수 저장 블록 이격 돌기(11)들은 우수 저장 블록(10)의 상부 면에서부터 우수 저장 블록(10)의 바닥 면까지 연장되게 형성되지 않아 설치를 하게 되면 우수 저장 블록 이격 돌기(11)들의 하부 말단부가 지표면과 접촉되지 않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우수 저장 블록 이격 돌기(11)를 갖는 우수 저장 블록(10)을 배열하면 연접한 우수 저장 블록(10)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키면서도 우수 저장 블록 이격 돌기(11)들이 바닥까지 연장되지 않고 중간에 끊겨 있기 때문에 우수 저장 블록 이격 돌기(11)하부 말단부에서부터 우수 저장 블록(10)바닥까지 틈새가 생기고 우수 저장 블록(10)간 이격 틈새로 우수와 먼지가 이동할 수 있는 우수 저장 블록 이격 돌기 틈새 통로(12)를 형성하게 된다.
우수 저장 블록 이격 돌기 틈새 통로(12)가 필요한 이유를 설명하면, 비가 오면 건물의 처마나 지붕 등에 의하여 비에 노출되지 않는 우수 저장 블록(10)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비에 노출되는 우수 저장 블록(10)의 우수 저장 공간(20)과 우수 저장 블록 틈새 공간(21)에는 우수가 침투하여 충분히 저장이 되지만 비에 노출되지 않는 우수 저장 블록(10)의 우수 저장 공간(20)과 우수 저장 블록 틈새 공간(21)에는 충분한 양의 우수가 저장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왜냐하면, 우수 저장 블록(10)의 우수 저장 공간(20)과 우수 저장 블록 틈새 공간(21)은 형성된 방향 때문에 좌우로 배열된 다른 우수 저장 블록(10)의 우수 저장 공간(20)과 우수 저장 블록 틈새 공간(21)과는 직접 연결이 되지만 전후로 배열된 다른 우수 저장 블록(10)의 우수 저장 공간(20)과 우수 저장 블록 틈새 공간(21)들과는 직접 연결이 되지 않아 비에 노출되지 않은 우수 저장 블록(10)의 우수 저장 공간(20)과 우수 저장 블록 틈새 공간(21)에 충분한 여유 공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수가 저장되지 못하고 유실되어 버리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우수 저장 블록(10)에 형성된 우수 저장 블록 이격 돌기 틈새 통로(12)들이 연결되지 않는 전후의 우수 저장 블록(10)의 우수 저장 공간(20)과 우수 저장 블록 틈새 공간(21)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통로가 되어 배열된 우수 저장 블록(10)의 우수 저장 공간(20)과 우수 저장 블록 틈새 공간(21)들을 사방으로 빠짐없이 연결되게 한다.
따라서 비에 노출된 우수 저장 블록(10)들을 통해 우수가 침투하면 사방으로 연결된 우수 저장 블록 이격 돌기 틈새 통로(12)를 통해 빗물이 이동하여 비에 노출되지 않은 다른 우수 저장 블록(10)의 우수 저장 공간(20)과 우수 저장 블록 틈새 공간(21)에도 고르게 분포되어 충분한 우수를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도 6, 도 7, 도 8, 도 9를 참조하여 침하 방지 결합부(14)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수 저장 블록(10)을 설치하면 앞에 위치한 우수 저장 블록(10)의 하부 돌출부(10-1)가 뒤에 위치한 우수 저장 블록(10)의 상부 돌출부(10-2)를 지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하여 앞뒤의 우수 저장 블록(10)간에는 결합력이 강하지만 좌우에 위치한 우수 저장 블록(10)간에는 지지하는 지지대가 없어 결합력이 약해 쉽게 침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형성된 침하 방지 결합부(14)는 우수 저장 블록(10)을 배열하였을 때 좌우에 연접한 우수 저장 블록(10)들도 서로 강하게 결합하게 하여 침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침하 방지 결합부(14)는 결합하는 방식에 따라 우수 저장 블록(10)의 측면에 각각 따로 형성된 수컷 결합부(14-1)와 암컷 결합부(14-2)로 형성되는 방식과 또는 경우에 따라 우수 저장 블록(10)의 일 측에는 수컷 결합부(14-1)와 암컷 결합부(14-2)가 앞뒤로 나란히 잇대어 있는 수, 암 결합부(14-3)와 반대 측에는 수, 암 결합부(14-3)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암컷 결합부(14-2)와 수컷 결합부(14-1)가 앞뒤로 나란히 잇대어 있는 암, 수 결합부(14-4)로 구성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우수 저장 블록(10)의 일 측의 우수 저장 공간(20)부분에 상방으로 돌출된 수컷 결합부(14-1)가 있고 반대 측의 우수 저장 공간(20)부분에 상방으로 대응하여 결합하는 함몰된 암컷 결합부(14-2)가 각각 따로 형성되는 방식과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우수 저장 블록(10)의 일 측의 우수 저장 공간(20)부분에 상방으로 돌출된 수컷 결합부(14-1)와 함몰된 암컷 결합부(14-2)가 앞뒤로 나란히 잇대어져 형성된 수, 암 결합부(14-3)가 형성되고 반대 측의 우수 저장 공간(20)부분에 상방으로 수, 암 결합부(14-3)와 각각 대응되게 결합하는 함몰된 암컷 결합부(14-2)와 돌출된 수컷 결합부(14-1)가 앞뒤로 나란히 잇대어 형성된 암, 수 결합부(14-4)로 된 두 가지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우수 저장 블록(10)의 일 측에 수컷 결합부(14-1)가 있고 반대 측에 대응하여 결합하는 암컷 결합부(14-2)가 각각 따로 있는 침하 방지 결합부(14)에 대하여 설명을 하면,
수컷 결합부(14-1)는 우수 저장 블록(10)의 일 측의 우수 저장 공간(20)의 상부 면에서부터 우수 저장 블록(10)의 상부 면까지 수직으로 형성되는데 우수 저장 공간(20)은 우수 저장 블록(10)을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역 사다리 꼴(예를 들면 역 사다리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부 폭은 80mm. 하부 폭은 60mm)로 형성되어 우수 저장 공간(20)의 양 옆면은 아래로 갈수록 좁아져 경사면을 형성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우수 저장 공간(20)의 상부 면과 폭이 같은 수컷 결합부(14-1)가 위에서 하중을 받았을 때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우수 저장 공간 경사면(14-6)에 접촉하여 간섭이 되기 때문에 침하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으로써 설명의 편이를 위하여 역 사다리꼴 하나의 형상만을 표시했을 뿐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이면 기타의 다른 형상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수컷 결합부(14-1)는 우수 저장 블록(10)의 일 측의 우수 저장 공간(20)의 상부 면에서부터 우수 저장 블록(10)의 상부 면까지의 두께와 역 사다리꼴의 우수 저장 공간(20)의 상부 면의 폭과 똑같은 폭(예를 들면 80mm)과 일정한 돌출 길이(예를 들면 10mm)로 우수 저장 공간(20)의 상부 면에서부터 우주 저장 블록(10)의 상부 면까지 수직 상방으로 돌출된 돌기로 형성되는데 다시 강조하지만 돌기의 두께는 우수 저장 블록(10)의 상부 표면에서부터 수직 하방으로 우수 저장 공간(20)의 상부 면까지만 형성된다.
수컷 결합부(14-1)를 우수 저장 블록(10)의 일 측의 우수 저장 공간(20)의 상부 면에서부터 우수 저장 블록(10)의 상부 면까지 수직 상방으로 형성하는 이유를 설명하면,
모든 블록들은 옆면에 돌기를 형성하면 그 돌기들은 블록의 상부 표면에서부터 블록의 바닥 면까지 연장되게 형성될 수밖에 없어서 돌기의 길이가 블록의 전체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밖에 없게 된다.
그 이유는 돌기를 블록 옆면의 상부 표면에서부터 바닥 면까지 형성하지 않고 중간까지만 형성하면 블록을 찍고 금형을 빼낼 때 상 방향으로 이탈시켜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중간까지만 형성된 돌기가 금형에 걸리게 되어 블록의 형체를 유지한 체 금형을 뺄 수 없기 때문으로써 상술한 우수 저장 블록 이격 돌기(11)와 마찬가지로 수컷 결합부(14-1)가 우수 저장 공간(20)의 상부 면에서부터 수직 상방으로 우수 저장 블록(10)의 상부 면까지 형성하는 이유를 설명하면, 먼저 금형을 기초 철판위에 올려놓고 우수 저장 공간(20)의 형상과 크기가 같은 역 사다리꼴의 핀을 금형의 옆면에 형성된 역 사다리꼴의 핀이 꼭 맞게 들락거릴 수 있는 공간을 통하여 관통시킨 다음에 모래와 시멘트가 섞인 혼합물을 충진하고 압축기로 압축을 하게 되는데 이때 금형을 관통하여 기초 철판위에 위치한 역 사다리꼴 형상의 핀의 상부 면이 우수 저장 공간(20)의 상부 면과 똑같은 폭과 일정한 길이로 돌출된 수컷 결합부(14-1)의 바닥 면이 되기 때문에 압력을 가한 후에 핀을 제거하고 금형을 이탈시키더라도 금형과 간섭되지 않아 돌출된 수컷 결합부(14-1)가 우수 저장 블록(10)의 상부 면에서부터 우수 저장 공간(20)의 상부 면까지만 수직으로 형성되어 의도했던 형태를 유지하고 블록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컷 결합부(14-1)와 쌍을 이루어 대응하여 결합되는 암컷 결합부(14-2)는 수컷 결합부(14-1)가 형성된 반대 측 우수 저장 공간(20)의 상부 면에서부터 우수 저장 블록(10)의 상부 면까지 수직으로 홈이 파여 형성되는데 암컷 결합부(14-2)의 두께는 수컷 결합부(14-1)의 두께와 동일하며 함몰된 깊이는 수컷 결합부(14-1)의 돌출 길이(예를 들면 10mm)보다 약간 짧은 깊이(예를 들면 7mm)로 형성되는데 그렇게 함으로써 설치를 하면 연접한 우수 저장 블록(10)들을 일정한 간격(예를 들면 3mm)으로 이격시킬 수 있는 우수 저장 블록 이격 돌기(10)의 역할도 할 수 있으며 암컷 결합부(14-2)의 폭은 수컷 결합부(14-1)의 폭(예를 들면 80mm)보다 수컷 결합부(14-1)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측으로 약간 더 큰 폭(예를 들면 3mm+80mm+3mm)으로 형성 된다.
암컷 결합부(14-2)의 폭이 수컷 결합부(14-1)의 폭보다 더 큰 이유는 우수 저장 블록(10)들을 설치할 때 설치의 편이를 위하여 암컷 결합부(14-2)에 수컷 결합부(14-1)가 쉽게 들락거릴 수 있도록 여유를 두기 위한 한 가지 이유와 암컷 결합부(14-2)는 우수 저장 공간(20)의 상부 면에서부터 우수 저장 블록(10)의 상부 면까지 수직 상방으로 홈이 파여 형성되는데 그 폭이 수컷 결합부(14-1)의 폭(예를 들면 80mm)보다 일직선 수평으로 더 큰 폭(예를 들면 3m+80mm+3mm)으로 형성되어 좌우로 폭을 약간 더 크게 함으로써 함몰된 암컷 결합부(14-1)의 양쪽 끝과 우수 저장 공간 경사면(14-6)이 만나는 지점에 각각 하나씩 두 개의 턱들이 형성되고 이 턱들 위에 우수 저장 블록(10)들을 설치할 때 수컷 결합부(14-1)의 하부 말단부가 올라가서 하중을 받더라도 일차적으로 침하를 방지할 수 있는 결합 턱(14-5)을 형성하게 되는데 그 크기를 예를 들면 전술한 예를 기준으로 하면 7mm×3mm 크기의 두개의 사각형의 턱이 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침하 방지 결합부(14)의 수컷 결합부(14-1)의 하부 양쪽 말단부의 좌우측 양끝 중 어느 한쪽이라도 암컷 결합부(14-2)의 양쪽 끝에 있는 결합 턱(14-5)의 어느 한쪽 위에 위치하게 되어 침하를 방지하고, 수컷 결합부(14-1)가 암컷 결합부(14-2)의 정 중앙에 위치하여 수컷 결합부(14-1)의 하부 말단부의 양끝이 결합 턱(14-5)에 걸리지 않더라도 우수 저장 공간(20)이 아래로 갈수록 좁아져 경사를 이루게 되어 형성된 우수 저장 공간 경사면(14-6)에 수컷 결합부(14-1)의 양끝 하부 말단부가 걸리게 되어 침하를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침하 방지 방식은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수컷 결합부(14-1)가 있는 쪽은 침하 방지가 가능하지만 반대 측에는 침하를 방지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우수 저장 블록(10)들이 양쪽으로 결합함으로써 하중을 분산하여 침하를 방지하는 또 다른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7에서 잘 보여주듯이 또 다른 방식의 침하 방지 결합부(14)는 우수 저장 블록(10)의 일 측의 우수 저장 공간(20)의 상부 면에서부터 우수 저장 블록(10)의 상부 면까지 수직으로 수컷 결합부(14-1)와 암컷 결합부(14-2)가 앞뒤로 나란히 잇대어 형성된 수, 암 결합부(14-3)가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암컷 결합부(14-2)와 수컷 결합부(14-1)가 앞뒤로 나란히 잇대어 형성된 암, 수 결합부(14-4)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수, 암 결합부(14-3)가 역 사다리꼴 형상의 일 측의 우수 저장 공간(20)의 상부 면에 형성되는데 수컷 결합부(14-1)와 암컷 결합부(14-2)가 앞뒤로 나란히 잇대어 형성되기 때문에 그 폭의 크기는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일 측에 수컷 결합부(14-1)와 암컷 결합부(14-2)가 각각 별도로 형성된 방식의 수컷 결합부(14-1)와 암컷 결합부(14-2) 폭의 절반의 크기로 각각 형성되는데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수치를 제시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부가 넓고 하부가 짧은 역 사다리꼴(예를 들면 역 사다리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부는 80mm, 하부는 60mm)의 일 측의 우수 저장 공간(20)의 상부 면에서부터 우수 저장 블록(10)의 상부 면까지의 두께로 형성된 수, 암 결합부(14-3)의 수컷 결합부(14-1)는 역 사다리꼴의 우수 저장 공간(20)의 상부 면의 폭의 절반의 폭(예를 들면 40mm)과 일정한 돌출 길이(예를 들면 10mm)로 돌출된 돌기로 형성되는데 다시 강조하지만 돌기의 두께는 우수 저장 블록(10)의 상부 표면에서부터 수직 하방으로 우수 저장 공hju간(20)의 상부 면까지만 형성된다.
수, 암 결합부(14-3)의 수컷 결합부(14-1)와 앞뒤로 나란히 잇대어 형성된 수, 암 결합부(14-3)의 암컷 결합부(14-2)는 수, 암 결합부(14-3)의 수컷 결합부(14-1)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며 폭은 수, 암 결합부(14-3)의 수컷 결합부(14-1)보다 약간 더 큰 폭(예를 들면 40mm+3mm)과 일정한 깊이(예를 들면 7mm)로 홈이 파여 형성된다.
따라서 우수 저장 블록(10)의 일 측의 수 ,암 결합부(14-3)의 폭은 예를 들면 40mm+(40mm+3mm)=83mm가 되고 대응하는 반대 측의 암, 수 결합부(14-4)의 폭의 크기는 (3mm+40mm)+ 40 mm=83mm가 된다.
따라서 수, 암 결합부(14-3)와 대응하여 결합되는 암, 수 결합부(14-4)는 돌기와 홈이 위치한 앞뒤의 순서만 다를 뿐 두께와 폭과 돌출 길이와 홈의 깊이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런 방식으로 형성된 수, 암 결합부(14-3)와 암, 수 결합부(14-4)에는 각각 하나의 결합 턱(14-5)과 두개의 우수 저장 공간 경사면(14-6)이 형성되는데 하나의 결합 턱(14-5)과 두개의 우수 저장 공간 경사면(14-6) 중 수, 암 결합부(14-3)와 암, 수 결합부(14-4)의 암컷 결합부(14-2) 쪽에 형성된 우수 저장 공간 경사면(14-6)이 침하를 방지하게 된다.
우수 저장 블록(10)의 좌측면에 수, 암 결합부(14-3)가 형성되어 있고 우수 저장 블록(10) 의 우측면에는 암, 수 결합부(14-4)가 형성되어 있는 기준이 되는 하나의 우수 저장 블록(10)을 설치하면, 수, 암 결합부(14-3)의 수컷 결합부(14-1)가 좌측에 연접한 다른 우수 저장 블록(10)의 우측면의 암, 수 결합부(14-4)의 암컷 결합부(14-2)의 홈에 삽입되어 결합 턱(14-5)과 우수 저장 공간 경사면(14-6)에 간섭이 되어 침하를 방지하고 좌측에 연접한 다른 우수 저장 블록(10)의 우측면의 암, 수 결합부(14-4)의 수컷 결합부(14-1)가 기준이 되는 우수 저장 블록(10)의 좌측면에 있는 수, 암 결합부(14-3)의 암컷 결합부(14-2)에 삽입되어 결합 턱(14-5)과 우수 저장 공간 경사면(14-6)에 간섭되어 침하를 방지하고, 기준이 되는 하나의 우수 저장 블록(10)의 우측에 연접한 또 다른 우수 저장 블록(10)의 좌측면에 있는 수, 암 결합부(14-3)의 수컷 결합부(14-1)가 기준이 되는 하나의 우수 저장 블록(10)의 우측면에 있는 암, 수 결합부(14-4)의 암컷 결합부(14-2)에 삽입되어 결합 턱(14-5)과 우수 저장 공간 경사면(14-6)에 간섭되어 침하를 방지하고 기준이 되는 하나의 우수 저장 블록(10)의 우측면에 있는 암, 수 결합부(14-4)의 수컷 결합부(14-1)는 우측에 연접한 또 다른 우수 저장 블록(10)의 좌측면에 있는 수, 암 결합부(14-3)의 암컷 결합부(14-2)에 삽입되어 결합 턱(14-5)과 우수 저장 공간 경사면(14-6)에 간섭되어 옆으로 연접한 세 개의 우수 저장 블록(10)들은 침하가 쉽게 되지 않는다.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우수 저장 블록(10)의 일 측에 수, 암 결합부(14-3)와 그 반대 측에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는 암, 수 결합부(14-4)가 형성된 우수 저장 블록(10)을 설치하면 연접한 좌우의 우수 저장 블록(10)에 하중이 분산되어 침하방지를 더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 보여주듯이 우수 저장 공간(20)의 상부 면에 침하 방지 결합부(14)를 형성함으로써 바둑 판 형상으로 설치할 수도 있고 교차하여 벽돌을 쌓듯이 설치할 수 있게 되어 기존의 블록들이 갖지 못한 침하를 방지하는 수단을 구비하면서 설치 시에도 기존의 블록들을 설치하는 두 가지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가 가능하여 더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우수 저장 블록(10)의 우수 저장 공간(20)에 저장된 우수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우수 유실 방지 시공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침하가 쉽게 되지 않고 우수 저장 공간이 구비된 불록 구조체는 여러 가지의 목적을 가지고 있으나 우수를 저장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인데 경사가 있는 인도나 차도, 또는 편평하더라도 건널목에는 사람과 자전거 등의 통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그 지점의 경계석(41)과 보도의 높이를 낮게 하여 그 지역은 양옆의 보도에 비하여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우수 저장 공간(20)에 저장된 우수가 땅 속으로 침투하기도 전에 낮은 곳으로 흐르게 되는데 높이가 낮아진 그 지점에서 차도로 흘러가버려 우수를 저장하는 효과가 크게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우수 저장 블록(10)을 설치할 때 전체적으로 경사가 있는 곳에서는 경사를 계산하여 일정한 거리를 두고 우수 유실 방지판(40)을 설치하고, 건널목 등에서는 경계석(41)과 보도의 높이가 낮아지기 시작하는 지점에 우수 유실 방지 판(40)을 설치하여 저장된 우수가 낮은 지역으로 흘러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우수 유실 방지 시공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수 유실 방지 판(40)은 한쪽 경계석(41)에서 반대편 경계석(41) 까지 연결되도록 설치하며, 한 끝은 적당한 깊이로 매설되고 또 다른 끝은 우수 저장 블록(10)위로 노출되지 않게 시공되면 더욱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우수 유실 방지 판(40)은 물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재질은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다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대도시에 많은 예산을 들이지 않고 다수의 넓은 공간을 갖는 저류지를 조성할 수 있는 저류지 조성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최근에는 이상 기후로 인하여 집중 호우가 빈번하여 대도시의 저지대가 커다란 홍수 피해를 입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집중 호우 시 빗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집중 호우가 그치면 방류하는 저류지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저류지를 관리하는데 많은 인력과 경비가 필요하고 무엇보다도 땅 값이 비싼 대도시에서 저류 효과를 볼 수 있을 만큼의 넓은 땅을 구매하여 필요한 수량만큼의 저류지를 조성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인 침하가 쉽게 되지 않고 우수 저장 공간이 구비된 블록 구조체는 별도의 땅을 매입하거나 공사비가 많이 드는 토목 공사를 하지 않고 예산을 많이 들이지 않고도 다수의 넓은 저류지를 조성하는 방법으로써 학교 운동장이나 놀이터 및 공터 등을 활용한 저류지 조성 방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부분의 학교 운동장과 놀이터는 바닥에 콘크리트로 기초를 하고 넘어졌을 때 안전을 위하여 그 위에 부드러운 재질의 고무판이나 인조 잔디 판이나 우레탄 판을 부착하여 조성되어 있다.
하지만 학교 운동장과 놀이터의 표면에 깔리는 고무판이나 인조 잔디 판이나 우레탄 판들은 빗물이 투수되지 않고 설령 투수가 된다 해도 별도의 저장 공간이 없어서 빗물이 저장되지 않고 저지대로 흘러가 버리게 되어 일시에 쏟아지는 빗물을 저류할 수가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많은 예산을 들이지 않고 다수의 넓은 공간을 갖는 저류지를 조성하는 방법으로써 부드러운 천연 고무 등의 소재로 우수 저장 블록(10)을 제작하여 운동장에 깔거나, 콘크리트 기초를 하지 않은 지표면에 우수 저장 블록(10)을 설치하고 설치된 우수 저장 블록(10)의 상부 면에 일정한 두께의 고무판 또는 인조 잔디 판(42)를 부착하는 것이다.
이런 방법으로 기존의 학교 운동장이나 놀이터 및 공터를 조성하면 침하가 잘되지 않는 우수 저장 블록(10)은 기초 콘크리트의 역할을 하고, 우수 저장 불럭(10)표면에 부착된 고무판 또는 인조 잔디 판(42)에 의하여 넘어졌을 때 안전을 확보할 수 있고, 우수 저장 블록(10)간 틈새와 우수 저장 블록 통수 통기구부(30)로 빗물이 침투하고 스며든 빗물은 우수 저장 공간(20)과 우수 저장 블록 틈새 공간(21)에 저장되어 집중 호우 시 홍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넓은 공간을 갖는 다수의 저류지를 많은 예산을 들이지 않고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음에 닥칠 집중 호우를 대비하여 저류지를 비우기 위해 경비를 소모하며 방류할 필요가 없어 관리비가 들지 않고, 저장된 우수는 시간을 두고 땅속으로 스며들어 부족한 지하수를 보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우수 저장 블록. 10-1: 하부 돌출부.
10-2: 상부 돌출부. 11: 우수 저장 블록 이격 돌기.
12: 우수 저장 블록 이격 돌기 틈새 통로
13: 하부 돌출부 돌기. 14:침하 방지 결합부.
14-1: 수컷 결합부. 14-2: 암컷 결합부
14-3: 수, 암 결합부.. 14-4: 암, 수 결합부.
14-5: 결합 턱. 14-6: 우수 저장 공간 경사면.
.20: 우수 저장 공간. 21: 우수 저장 블록 틈새 공간.
22; 우수 저장 공간 범위.
30: 우수 저장 블록 통수 통기구부. 31: 우수 저장 블록 1통수 통기구.
32: 우수 저장 블록 2통수 통기구. 33: 우수 저장 블록 3통수 통기구.
34: 하부 돌출부 돌기 틈새 공간.
40: 우수 유실 방지판. 41: 경계석.
42; 고무판 또는 인조 잔디 판..

Claims (12)

  1. 설치하기 위하여 배열하면 겹쳐져서 중첩되도록 블록 한쪽의 상부가 일정한 길이와 폭과 일정한 두께로 돌출되어 상부 돌출부를 형성하고, 반대쪽은 블록의 하부가 일정한 길이와 폭과 일정한 두께로 돌출되어 하부 돌출부를 형성하여, 설치하면 상기 하부 돌출부에 상기 상부 돌출부가 중첩되는 우수 저장 블록;과
    상기 우수 저장 블록의 바닥 면에 있는 네 개의 모서리 중 상기 하부 돌출부 쪽에서 상기 상부 돌출부 쪽으로 형성된 하나의 모서리에서부터 시작되어 마주보는 반대쪽 모서리까지 일정한 깊이와 폭으로 파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으로 형성된 상기 우수 저장 블록의 우수 저장 공간;과
    상기 우수 저장 블록의 상기 하부 돌출부 위에 상기 상부 돌출부가 중첩되면 상기 하부 돌출부의 상부 면에 형성된 다수의 하부 돌출부 돌기에 의해 상기 하부 돌출부 상부 면과 상기 상부 돌출부 바닥 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데 상기 하부 돌출부의 상부 면을 끝단 쪽으로 갈수록 경사를 급하게 하여 끝단으로 갈수록 틈새가 커지는 하부 돌출부 돌기 틈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우수 저장 블록의 상부 면에 형성된 네 개의 모서리 중 상기 하부 돌출부 쪽에 있는 모서리에서부터 상기 하부 돌출부 돌기 틈새 공간까지 연결되도록 일정한 길이와 깊이와 폭으로 파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과 나머지 상기 우수 저장 블록 상부 면의 각각의 모서리에서부터 시작되어 수직 하방으로 바닥까지 일정한 길이와 깊이와 폭으로 파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으로 이루어진 우수 저장 블록 3 통수 통기구를 구비하여 우수와 공기와 이물질의 출입을 원활하게 하는 우수 저장 블록 통수 통기구부;와
    상기 우수 저장 블록의 상기 상부 돌출부의 전면부와 측면부에 상기 상부 돌출부 상부 면에서부터 하부 면까지 연장되는 우수 저장 블록 이격 돌기가 필요한 개수만큼 형성되고, 나머지 필요한 개수만큼의 상기 우수 저장 블록 이격 돌기들은 상기 우수 저장 블록의 좌우측에 형성된 우수 저장 공간 범위내의 수직 상방인 지점의 상기 우수 저장 블록 상부 면에서부터 시작되어 상기 우수 저장 공간 상부 면까지 형성되어 상기 우수 저장 블록 이격 돌기들이 상기 우수 저장 블록의 상부 면에서부터 바닥까지 연장되지 않고 중간에 단절되어, 설치를 위하여 배열된 상기 우수 저장 블록의 상기 우수 저장 블록 이격돌기 아래는 상기 우수 저장 블록들 사이의 이격 틈이 바닥까지 연장된 이격 돌기에 의해 가로막히지 않아 상기 우수 저장 블록들의 상기 우수 저장 공간들을 사방으로 연결하여 우수와 이물질이 이동할 수 있는 우수 저장 블록 이격 돌기 틈새 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가 쉽게 되지 않고 우수 저장 공간이 구비된 블록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 저장 블록의 상기 상부 돌출부와 상기 하부 돌출부의 돌출된 길이는 기본적으로 동일할 수도 있으나 상기 우수 저장 공간과는 별도로 우수를 더 많이 저장할 수 있는 또 다른 저장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돌출부의 돌출된 부분을 요철의 형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부분적으로 짧게 하여 우수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거나, 상기 하부 돌출부를 요철의 형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부분적으로 짧게 하여 생긴 상기 우수 저장 블록 틈새 공간보다 더 많은 우수를 저장할 수 있는 더 넓은 저장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돌출부의 돌출된 전체 길이를 상기 상부 돌출부의 돌출된 전체 길이 보다 짧게 하여 돌출된 길이가 달라 배열하면 서로 간섭되어 앞에 배열된 상기 우수 저장 블록의 상기 하부 돌출부와 뒤에 중첩된 상기 우수 저장 블록의 상기 상부 돌출부 아래쪽 몸체사이에 상기 상부 돌출부와 상기 하부 돌출부의 돌출된 길이 차이만큼의 틈이 생겨 형성된 공간으로써 상기 우수 저장 블록 틈새 공간 보다 더 많은 우수를 저장할 수 있는 더 넓은 공간을 형성하는 우수 저장 블록 틈새 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가 쉽게 되지 않고 우수 저장 공간이 구비된 블록 구조체. .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 저장 블록의 일 측의 상기 우수 저장 공간 수직 상방의 상부 면에서부터 시작되어 상기 우수 저장 공간의 상부 면까지 상기 우수 저장 공간의 상부 면의 폭과 동일한 폭과, 일정한 두께로 돌출된 돌기로 형성되는 수컷 결합부와 반대쪽 상기 우수 저장 공간 수직 상방의 상부 면에서부터 시작되어 상기 우수 저장 공간의 상부 면까지 상기 수컷 결합부의 돌출 두께와 같은 두께와 상기 수컷 결합부의 폭보다 양쪽이 약간 더 넓은 폭과 상기 수컷 결합부의 돌출된 돌기보다 길이가 같은 홈이 파여 암컷 결합부가 형성되어, 설치하면 상기 우수 저장 블록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수컷 결합부가 연접한 다른 상기 우수 저장 블록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암컷 결합부에 삽입, 결합하여 압력을 받아도 쉽게 침하 되는 것을 방지하는 침하 방지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가 쉽게 되지 않고 우수 저장 공간이 구비된 블록 구조체.
  8. 삭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침하 방지 결합부는 상기 우수 저장 블록의 일 측의 상기 우수 저장 공간의 상부 면에서부터 시작되어 상기 우수 저장 블록의 상부 면까지의 두께와 상기 우수 저장 공간의 상부 면의 폭의 절반의 폭과 일정한 길이로 돌출된 돌기로 형성되는 수컷 결합부와 앞뒤로 나란히 잇대어 상기 우수 저장 공간의 상부 면에서부터 시작되어 상기 수컷 결합부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와 상기 수컷 결합부의 폭보다 약간 더 넓은 폭과 상기 수컷 결합부의 돌출 길이보다 약간 짧은 깊이로 홈이 파인 암컷 결합부로 형성된 수, 암 결합부;를 구비하고 그 반대 측에는 일 측의 상기 수, 암 결합부와 대응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위치는 반대지만 동일한 규격으로 상기 암컷 결합부와 상기 수컷 결합부가 앞뒤로 나란히 잇대어 형성된 암, 수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가 쉽게 되지 않고 우수 저장 공간이 구비된 블록 구조체.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암컷 결합부에는 상기 수컷 결합부와 접촉하여 침하를 방지하는 결합 턱;과 우수 저장 공간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가 쉽게 되지 않고 우수 저장 공간이 구비된 블록 구조체.
  11. 설치하면 중첩되는 우수 저장 블록과, 상기 우수 저장 블록의 바닥 면에 형성된 우수 저장 공간과, 우수와 공기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하부 돌출부 상부 면에 형성된 하부 돌출부 돌기 틈새 공간과 상기 우수 저장 블록의 옆면에 형성된 우수 저장 블록 3 통수구가 결합하여 형성되는 우수 저장 블록 통수 통기구부와, 상기 우수 저장 블록 옆면에 우수 저장 블록 이격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우수 저장 블록 상부 면에서부터 시작되어 바닥면까지 연장되지 않고 중간에서 단절되어 상기 우수 저장 블록 이격 돌기 밑으로는 우수가 이동할 수 있는 우수 저장 블록 이격 돌기 틈새 통로와, 상기 하부 돌출부의 돌출된 길이를 상부 돌출부의 돌출된 길이보다 짧게 하여 배열하면 간섭되어 생기는 우수 저장 블록 틈새 공간을 구비하는 상기 우수 저장 블록을 설치함에 있어서,
    경사가 있는 보, 차도나 건널목에 상기 우수 저장 블록을 설치할 때 상기 우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우수가 낮은 곳으로 빠져나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 차도의 한쪽 경계석에서부터 반대편 경계석까지 설치된 상기 우수 저장 블록들 사이에 한쪽 끝은 일정한 깊이로 매설되고, 또 다른 쪽 끝은 상기 우수 저장 블록 위로 노출되지 않게 하여 도로가 경사진 곳에서는 경사도를 계산하여 저장된 우수가 넘치지 않을 만큼의 거리를 두고 설치하고, 건널목은 보행과 자전거의 통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로의 높이와 같도록 낮아지기 전의 지점에 방수재질의 우수 유실 방지판;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유실 방지 시공법.
  12. 삭제
KR1020170024686A 2017-02-23 2017-02-23 침하가 쉽게 되지 않고 우수 저장 공간이 구비된 블록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저장된 우수 유실 방지 시공법 KR101865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686A KR101865231B1 (ko) 2017-02-23 2017-02-23 침하가 쉽게 되지 않고 우수 저장 공간이 구비된 블록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저장된 우수 유실 방지 시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686A KR101865231B1 (ko) 2017-02-23 2017-02-23 침하가 쉽게 되지 않고 우수 저장 공간이 구비된 블록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저장된 우수 유실 방지 시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5231B1 true KR101865231B1 (ko) 2018-07-13

Family

ID=62913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686A KR101865231B1 (ko) 2017-02-23 2017-02-23 침하가 쉽게 되지 않고 우수 저장 공간이 구비된 블록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저장된 우수 유실 방지 시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52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5697A (ko) 2018-09-27 2020-04-06 이정욱 조립식 보도블록
KR20200105603A (ko) * 2019-02-28 2020-09-08 최현석 우수한 투수 능력을 갖는 바닥 블록 구조물
KR20200105604A (ko) * 2019-02-28 2020-09-08 최현석 우수한 투수 능력을 갖는 바닥 블록 구조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4991A (ko) * 2011-10-25 2013-05-03 정미우 유해생물 방제블록 및 이를 이용한 유해생물 방제방법
KR20140130912A (ko) * 2013-05-02 2014-11-12 (주)자움 우수 유출을 조절하는 포장용 블록
KR20150047172A (ko) * 2013-10-24 2015-05-04 주식회사 누리종합기술단 우수 저장공간이 구비된 투수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1571799B1 (ko) * 2014-12-02 2015-11-25 서림이앤씨 주식회사 방초블록 구조체
KR20150145681A (ko) * 2014-06-20 2015-12-30 조창제 멀티기능을 가진 보도블록
KR20170007067A (ko) * 2015-07-08 2017-01-18 정문비 우수저장 공간이 있는 보,차도 블럭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4991A (ko) * 2011-10-25 2013-05-03 정미우 유해생물 방제블록 및 이를 이용한 유해생물 방제방법
KR20140130912A (ko) * 2013-05-02 2014-11-12 (주)자움 우수 유출을 조절하는 포장용 블록
KR20150047172A (ko) * 2013-10-24 2015-05-04 주식회사 누리종합기술단 우수 저장공간이 구비된 투수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150145681A (ko) * 2014-06-20 2015-12-30 조창제 멀티기능을 가진 보도블록
KR101571799B1 (ko) * 2014-12-02 2015-11-25 서림이앤씨 주식회사 방초블록 구조체
KR20170007067A (ko) * 2015-07-08 2017-01-18 정문비 우수저장 공간이 있는 보,차도 블럭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5697A (ko) 2018-09-27 2020-04-06 이정욱 조립식 보도블록
KR20200105603A (ko) * 2019-02-28 2020-09-08 최현석 우수한 투수 능력을 갖는 바닥 블록 구조물
KR20200105604A (ko) * 2019-02-28 2020-09-08 최현석 우수한 투수 능력을 갖는 바닥 블록 구조물
KR102218241B1 (ko) * 2019-02-28 2021-02-22 최현석 우수한 투수 능력을 갖는 바닥 블록 구조물
KR102222602B1 (ko) * 2019-02-28 2021-03-04 최현석 우수한 투수 능력을 갖는 바닥 블록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5231B1 (ko) 침하가 쉽게 되지 않고 우수 저장 공간이 구비된 블록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저장된 우수 유실 방지 시공법
US9938670B2 (en) Permeable paving system
JP4918686B2 (ja) 路面冷却道路構造
ES2767374T3 (es) Método para enfriar un campo deportivo
KR101147512B1 (ko) 평면부지의 직접배수방식 빗물처리 저류시설, 그 저류시설에 이용되는 직접배수방식 빗물처리 저류시설용 저류 블록 및 배수 블록
KR101619285B1 (ko) 멀티기능을 가진 보도블록
CN112982072B (zh) 一种绿化带蓄排水路沿石系统及蓄排水方法
KR20170007067A (ko) 우수저장 공간이 있는 보,차도 블럭
CN100417767C (zh) 露天用可渗水环保地砖
KR101190418B1 (ko) 빗물활용이 가능한 보도블럭 조립체
KR100917382B1 (ko) 공간 잔디 블럭
CN214573096U (zh) 具有高透水性的人行道铺装结构
CN210826961U (zh) 适用于住宅小区楼宇单元门前的路面结构
KR102051860B1 (ko) 보도용 배수 트렌치
CN211079804U (zh) 一种海绵城市构建排水渠
KR101733481B1 (ko) 빗물 저장 기능을 갖는 조립식 저류블록을 사용하는 지반 포장구조
TWI833115B (zh) 因應氣候變遷水資源調適系統之高強度道路
CN219568592U (zh) 一种利用水源涵养理念建造的生态桥台锥坡结构
CN215906503U (zh) 一种景观园林道路
CA2476003A1 (en) Landscaping block and system for use
CN217629259U (zh) 一种增绿的海绵型人行路面铺装结构
TWM558811U (zh) 土壤支撐單元及土壤支撐裝置
CN210561570U (zh) 一种防积水的市政道路
ES2891678B2 (es) Sistema urbano de drenaje
KR100888947B1 (ko) 공간 투수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