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140Y1 - 잔디보호블럭 - Google Patents

잔디보호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140Y1
KR200430140Y1 KR2020060021868U KR20060021868U KR200430140Y1 KR 200430140 Y1 KR200430140 Y1 KR 200430140Y1 KR 2020060021868 U KR2020060021868 U KR 2020060021868U KR 20060021868 U KR20060021868 U KR 20060021868U KR 200430140 Y1 KR200430140 Y1 KR 2004301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grass
space
present
vege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8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석
Original Assignee
권오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석 filed Critical 권오석
Priority to KR20200600218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1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1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1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01C5/006Individual space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원이나 주차장 등 녹지조성이 필요한 지면에 설치하여 환경친화적인 공간을 창출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잔디블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블럭 몸체에 소정의 공간부를 형성시켜 잔디의 식재 및 생장이 가능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상기한 블럭들을 연속되게 설치함에 따라 블럭 양측 단부에 형성된 절곡홈을 통해 또 다른 식생공간부가 구성될 수 있도록 하여 충분한 녹지조성이 필요한 지면을 친환경적인 공간으로 마련할 수 있게 됨으로써 무더운 여름철 지면에서 발생한 지열을 효과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잔디 블럭, 잔디 보호 블럭, 블럭

Description

잔디보호블럭{The block which protects the grass}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하여 구성되는 잔디보호블럭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하여 구성되는 잔디보호블럭이 상호 결합되어 하나의 구조체로 이루어짐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하여 구성된 잔디보호블럭의 시공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몸체 2. 절곡홈
3. 식생공 4. 견착부
본 고안은 공원이나 주차장 등 녹지조성이 필요한 지면에 설치하여 환경친화적인 공간을 창출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잔디블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블럭 몸체에 소정의 공간부를 형성시켜 잔디의 식재 및 생장이 가능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상기한 블럭들을 연속되게 설치함에 따라 블럭 양측 단부에 형성된 절곡홈을 통해 또 다른 식생공간부가 구성될 수 있도록 하여 충분한 녹지조성이 필요한 지면을 친환경적인 공간으로 마련할 수 있게 됨으로써 무더운 여름철 지면에서 발생한 지열을 효과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잔디보호블럭에 관한 것이다.
공원의 광장 내지 야외 주차장은 대부분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아스팔트로 형성됨이 일반적이고, 특히 주차장은 그 상면에 도료를 칠한 후, 구획을 나누어 상기 구획 내에 각종 차량들이 주차될 수 있게 마련한 공간으로, 급속한 산업발전 및 도시화로 인해 자동차의 공급이 현저히 증가하게 됨에 따라 이와 비례하여 주차공간 또한 확보되어야하므로 상기와 같은 주차장이 증가하게 되었는바, 이는 곧 도시의 녹지공간 부족이란 문제점으로 직결되고 있다.
이에, 상기의 주차장은 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나 이스팔트로 형성된 바닥면에 녹색의 도료를 덧칠하여 육안으로 볼 때에 녹지처럼 인식되게 하는 한편, 상기 주차장의 일측에 나무 등을 심어 녹지공간으로 확보하려 하였으나, 상기 덧칠한 도료는 시각적인 효과만 있을 뿐 실질적으로 바닥에서 발생되는 지열을 저하시킬 수 없으며, 또한 나무를 심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조차도 현실적으로 용이하지 못하므로 상기의 방법들은 녹지조성의 근원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바닥에 덧칠한 도료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우천시에 지하로 스며들어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등의 또 다른 환경오염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즉, 이러한 주차장은 여름과 같은 무더운 날씨에 장시간 노출하게 되면서 많 은 지열을 내포하게 되어 차량을 주차시킬 경우 가열된 바닥에 직접 접촉하는 상기 차량의 타이어나 근접한 거리에 위치해 있는 저면부에 무리한 지열이 가해져 타이어의 파손이나 차량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할 여지가 다분하였다.
한편, 잔디는 정원이나 공원 또는 축구장, 야구장 등과 같은 장소에 심어 조경 등의 역할을 하게 됨이 일반적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야외 공연장의 광장이나 주차장 등에도 식재되어 친환경적인 공간을 조성하는데 기여하고 있는바, 이렇듯 사람의 왕래가 잦거나 자동차가 주행하게 되는 주차장 등과 같은 장소에 잔디를 식재할 경우에는 잔디의 줄기나 뿌리가 쉽게 손상될 뿐만 아니라, 폭우가 잦은 계절에는 토양이 유실되어 잔디가 손상되는 폐단이 야기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녹지조성을 위하여 상기 잔디를 주차장이나 공원의 광장 등 지면에 식재하되, 식재된 잔디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자형 잔디재배 블럭체 내지 측면부위가 개방된 원통형 블럭체 등을 제공하여 하부로 치중되는 외압에 견딜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상자형 잔디재배 블럭체는 명칭 그대로 측면부 사방이 벽처럼 막혀 있어서 가는 줄기에 의해 번식하게 되는 잔디의 번식성장에 적합하지 않게 되며, 또한 상기 원통형 블럭체는 잔디를 재배한 다음 다른 곳으로 이식시킬 경우에 있어 뿌리에 붙은 흙이 떨어져 이식활착에 이롭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종래의 블럭은 잔디가 손상된 부위를 부분적으로 교체해 주거나 블럭 자체를 타장소에 옮겨 설치하고자 할 경우 그 연결구조가 측면에서 돌출된 암수연결부재로 형성되어 있어서 보수가 용이하지 않아 작업이 번거로운 단점이 존 재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잔디를 식재하여 생장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녹지조성에 부합한 환경을 조성함에 부족함이 없는 잔디블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정한 틀에 의해 대량으로 생산되는 블럭을 형성하되, 상기 블럭 몸체 중심부에는 소정 형상의 식생공을 마련하여 잔디의 식생 및 생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블럭 몸체 사면을 공통적으로 절곡시켜 형성한 절곡홈이 또 하나의 식생공간으로 작용되게 구성하는 잔디보호블럭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례에 따른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하여 구성되는 잔디보호블럭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하여 구성되는 잔디보호블럭이 상호 결합되어 하나의 구조체로 이루어짐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하여 구성된 잔디보호블럭의 시공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정형화된 도심의 자연미를 복원하기 위한 방편 중 하나이며, 특히 공원이나 산책로, 실외 주차장 등의 지면에 설치되는 잔디블럭에 관한 것으로, 지면을 단정하게 하고 빗물의 유입과 잔디의 식 생이 가능한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경관의 향상과 환경보전 및 블럭의 수명유지에도 효능있는 잔디보호블럭에 관련되는 것이다.
상기 블럭 몸체(1)는 차량의 하중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강도를 유지하도록 시멘트와 자갈 그리고 모래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블럭 복수개를 연속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블럭의 사면(도면의 평면도를 기준으로 함)이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대칭되게 구성한다.
상기 잔디블럭의 알맞은 조합으로 주차장 또는 통행로의 바닥면을 형성하게 되며, 그 형상은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서로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고, 자동차의 바퀴 내지 사람의 발 부위와 맞닿이는 블럭의 상측 표면을 편평하게 혹은 통상적인 호박돌 형상으로 구성하여 자연석과 같은 효과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잔디블럭 몸체(1)의 네 꼭지점 부근은 블럭의 측면부보다 돌출된 형상으로 구성하여 이웃하는 블럭 간에 빈틈없이 밀착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상기 블럭의 시공 후 일정외압에 의해 일방향으로 밀리거나 치우치지 않도록 고정하여 주는 견착부(4)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블럭 몸체(1)에 있어서, 네 측면에 해당하는 견착부(4)와 견착부 사이 공간은 블럭 몸체(1) 내측 방향으로 만곡되게 구성되어 일정 공간 오목하게 형성되어지는 절곡홈(2)이 구비되는바, 이후 기술할 또 하나의 식생공간으로 작용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블럭과 관련하여 그 요지가 되는 잔디의 식생공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하나의 잔디블럭에는 표면적으로 몸체 중심측에 식생공(3) 을 형성시켜 잔디의 생장을 이롭게 함과 동시에 빗물이나 기타 외부에서 유입된 유수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배수홈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식생공(3)을 통해 지면에 식재된 잔디가 이후 식생공(3)을 벗어날 정도의 크기로 성장하였을 경우에 있어서도 블럭 자체의 높이만큼 잔디의 중요부위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되어 잔디의 생장에 보다 나은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블럭 몸체(1) 사면에 형성된 절곡홈(2)은 이웃하는 다른 블럭과 유기적으로 위치시켜 또 하나의 식생공간으로 활용하게 된다. 즉, 하나의 블럭 좌우 및 상하로 이웃하게 되는 타 블럭의 일측에는 공통적으로 소정의 절곡홈(2)이 위치하게 되면서 이들 절곡홈(2)이 상호 맞물려 일정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듯 상기 식생공(3)과 절곡홈(2)은 소정의 위치마다 일정한 간격으로 일정홈이 형성되어 지면에 대해 관통되도록 구성하여서 비나 눈 등이 토양으로 유입되기에 용이한 통로를 제공하고 또한, 식재된 잔디의 생장에도 유용한 수단이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블럭 몸체(1)에 소정의 공간부를 형성시켜 잔디의 식재 및 생장이 가능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상기한 블럭들을 연속되게 설치함에 따라 블럭 양측 단부에 형성된 절곡홈(2)을 통해 또 다른 식생공간부가 구성될 수 있도록 하여 충분한 녹지조성이 필요한 지면을 친환경적인 공간으로 마련할 수 있게 됨으로써 무더운 여름철 지면에서 발생한 지열을 효과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잔디보호 블럭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잔디 뿌리가 뻗어나가기에 용이하도록 블럭 몸체(1) 하부를 개방된 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블럭 간의 설치에 있어서도 체결부재 및 기타 도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상호 인접하는 블럭이 견고하게 시공된 상태 그대로 유지될 수 있게 하였는바, 이로 인해 블럭의 파손, 잔디의 훼손 등 상황에 따라 블럭을 보수 내지 교체할 경우에도 그 해체가 극히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잔디블럭을 실외 주차장이나 필요로 하는 특정 지면에 시공설치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면에서와 같이 블럭 몸체(1)에 형성된 식생공(3) 뿐만 아니라, 블럭 네 측면에 형성된 절곡홈(2)을 통해 실질적인 잔디의 생장을 유도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식생공(3) 및 절곡홈(2)을 통해 지면과 관통되게 잔디를 수용시킴으로써 토양으로부터 각종 양분을 공급해 주는 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것에 부족함이 없도록 하여 보다 이로운 공간에서 생장하게 되는 잔디로 말미암아 외부적으로 확연히 드러나는 라인으로도 기능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4를 기준으로 볼 때 횡으로 늘어서 있는 식생공(3) 및 블럭의 상하측 절곡홈(2)과는 달리 블럭 좌우측에 형성된 절곡홈(2)은 종방향으로 잔디가 심어져 식별력이 있게 되면서 외부에 명확하게 표출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 되며, 종으로 식재된 잔디를 통해 주차구획선이나 또는 통행로의 일정 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블럭은 그 하부를 다공질의 콘크리트로 형성하여 상단에 흙을 수용시키 고 잔디를 식재하였을 경우, 식재된 잔디가 흙에 뿌리를 내리면서 다공질로 형성된 하부의 콘크리트부에도 동시에 뿌리를 내릴 수 있어 잔디의 활착율을 더욱 양호하게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식재된 잔디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차량의 빈번한 주차나 사람들의 통행에 의해 짓눌려 잔디의 생장이 억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 넓이와 깊이를 갖는 식생공(3) 및 절곡홈(2) 내측에서 성장하게 되는 잔디는 차량의 바퀴나 사람의 발이 잔디의 중요부위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으므로 상기 잔디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
한편,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구성되는 블럭 다수를 한개조로 형성할 수 있음을 예시적으로 보인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례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성한 것으로, 본 고안에 적용될 수 있는 하나의 실시례에 불과하고, 본 고안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두는 바이며,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잔디보호블럭에 따르면, 잔디 뿌리가 뻗어나가기에 용이한 구조의 블럭을 제공하여 상기 블럭의 시공이 필요한 장소에도 자연미를 창출할 수 있으며, 또한 블럭 간의 설치에 있어서도 체결부재 및 기타 도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상호 인접하는 블럭이 견고하게 시공된 상태 그대로 유지될 수 있게 되면서 블럭의 파손, 잔디의 훼손 등 상황에 따라 블럭을 보수 내지 교체할 경우에 그 해체가 극히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우천시 비를 흡수하여 근접되어 심어진 나무들의 성장을 촉진하며 오염물질이 섞인 빗물을 정화하여 지하수의 오염을 최소화시키는 한편, 상기 잔디가 식재된 주차장은 무더운 여름철에 바닥에서 발생하는 지열을 효과적으로 저하시켜 차량의 바퀴나 지면과 가까이 위치한 차량의 저면부에 급격한 온도변화를 주지 않으므로 차량의 손상을 입히지 않고, 아울러 겨울철에는 지열을 발산하여 지면의 해빙을 촉진함으로써 주위의 수목 등의 성장을 도와주므로 자연 녹지공간의 조성을 극대화시켜 산업상 이용가치 및 용도나 이미지에 맞게 다양한 색생의 잔디를 식생하여 활용도를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일정한 틀에 의해 대량으로 생산되는 잔디블럭에 있어서,
    상기 잔디블럭 몸체 중심부에는 소정 형상의 식생공을 마련하여 잔디의 식생 및 생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블럭 몸체 사면을 절곡시켜 형성한 절곡홈이 이웃하는 타 블럭의 절곡홈과 연계되어 또 하나의 식생공간으로 작용되게 구성하며, 블럭 몸체의 각 꼭지점 부근은 블럭의 측면부보다 돌출된 형상으로 구성하여서 인접하는 블럭 간에 빈틈없이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특징이 있는 잔디보호 블럭.
KR2020060021868U 2006-08-10 2006-08-10 잔디보호블럭 KR2004301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868U KR200430140Y1 (ko) 2006-08-10 2006-08-10 잔디보호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868U KR200430140Y1 (ko) 2006-08-10 2006-08-10 잔디보호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140Y1 true KR200430140Y1 (ko) 2006-11-07

Family

ID=41778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868U KR200430140Y1 (ko) 2006-08-10 2006-08-10 잔디보호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14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98872A (zh) * 2012-12-27 2014-07-02 上海勘测设计研究院 一种护坡砌块
CN111021191A (zh) * 2019-12-28 2020-04-17 诚通凯胜生态建设有限公司 一种石材板的铺装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98872A (zh) * 2012-12-27 2014-07-02 上海勘测设计研究院 一种护坡砌块
CN111021191A (zh) * 2019-12-28 2020-04-17 诚通凯胜生态建设有限公司 一种石材板的铺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1321Y1 (ko) 녹지 조성용 잔디블록
KR200430140Y1 (ko) 잔디보호블럭
JP2003047346A (ja) 緑化用植栽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30137Y1 (ko) 잔디보도블럭
CN210017102U (zh) 一种苔藓覆盖型行道树树池的树池结构
KR200450786Y1 (ko) 녹지 조성용 컵잔디블록
KR100807771B1 (ko) 잔디블럭 구조물
JP2005133458A (ja) 緑化舗装路
Özyavuz et al. Xeriscape in landscape design
KR200401423Y1 (ko) 주차라인이 형성되는 잔디블럭
KR101279958B1 (ko) 식생층을 구비한 식생블록체 및 그 제조방법
CN213087174U (zh) 生态种植坡屋面
KR200379935Y1 (ko) 교체 가능한 주차장 잔디 보호대
KR101127628B1 (ko) 인공지반토양 적치를 위한 조경용 식생 상자
KR100917382B1 (ko) 공간 잔디 블럭
KR20110112494A (ko) 주차장용 식생블럭 및 그 시공방법
JP3136617U (ja) 路外駐車場に敷設する緑化用芝を有するグリーンパッド支持枠体
KR20020090781A (ko) 빗물받이가 구비된 옹벽축조용 조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1057646B1 (ko) 인공구조물을 이용한 천연잔디 포장재
JPH09170221A (ja) 緑化ブロック
CN209924530U (zh) 生态停车位
KR100937197B1 (ko) 공원녹지 가로수용 잔디보호 블록
CN210621370U (zh) 一种多功能异形植草砖
WO2007013737A1 (en) The paving block
KR200240386Y1 (ko) 주차장용 잔디보호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