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281B1 - 자연녹화가 가능한 경계석 - Google Patents

자연녹화가 가능한 경계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281B1
KR100770281B1 KR1020070067967A KR20070067967A KR100770281B1 KR 100770281 B1 KR100770281 B1 KR 100770281B1 KR 1020070067967 A KR1020070067967 A KR 1020070067967A KR 20070067967 A KR20070067967 A KR 20070067967A KR 100770281 B1 KR100770281 B1 KR 100770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stone
water
reinforcing
reinforcing block
bou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7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근
이강윤
손기만
안태정
Original Assignee
이창근
이강윤
손기만
안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근, 이강윤, 손기만, 안태정 filed Critical 이창근
Priority to KR1020070067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2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2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단과 주차장 또는 도로와 인도 등의 경계 및 인도와 화단의 경계 부분에 설치되어 화단의 토양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도로와 인도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여 인도와 도로를 구분하고 자동차의 도로 이탈을 방지하는 경계석에 관한 발명으로서, 황토와 나무칩이 접착제와 반죽되어 내측에 철근이 배근되어 형성되는 보강블록과; 상기 보강블록의 외측에 결합되며, 요철이 형성된 식생매트의 요철 사이 사이마다 식물의 씨앗이 혼합된 황토가 채워져 형성되는 식생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계석은 화단과 도로의 경계 및 인도와 차도의 경계 부분에 설치되어 경계석의 역할을 하는 것은 물론,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별도의 노력없이도 경계석 자체에서 식물이 자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로 인한 도시의 삭막한 분위기를 없애고 자연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건조한 기후에서도 경계석에 자생하는 식물에 별도의 수분의 공급없이도 경계석 자체에서 수분을 충진하여 식물에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식물의 자생력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경계석, 식생, 황토, 화단, 수분흡수대

Description

자연녹화가 가능한 경계석{Boundary stone}
본 발명은 화단과 주차장 또는 도로와 인도 등의 경계 및 인도와 화단의 경계 부분에 설치되어 화단의 토양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도로와 인도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여 인도와 도로를 구분하고 자동차의 도로 이탈을 방지하는 경계석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주차장의 주변이나 인도의 일측에는 화단을 대부분 설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화단과 주차장 또는 인도를 경계하는 부분에는 경계석을 설치함으로써 화단의 토양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로와 차도의 경계부분에도 경계석을 설치하여 자동차의 이탈을 방지하고 있으나, 이러한 경계석은 대부분 견고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콘크리트재로 제작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자연친화적이지 못하고 주변 미관을 해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6167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61674호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식생이 가능한 생태용 도로경계석에 대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는 경계석의 본체(110) 내측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식재공(120)이 형성되고, 본체(110)의 상부에는 배수로(130)가 형성되며, 본체(110)의 배면에는 배수공(150)을 형성하여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이루어진다.
이렇게 구성되는 도로경계석을 인도(M)와 차도(W)의 경계부분에 고정 설치하고, 본체(110) 내부의 식재공(120)에 흙과 자갈을 채우고 식물을 식재한다. 따라서, 우천시에는 빗물의 일부가 상기 배수로(130)를 따라 흘러 내리고, 일부는 흙과 자갈을 통해 유입되어 배수공(150)으로 배출된다.
그러므로, 상기 도로경계석은 도로와 인도의 경계석 기능을 유지함과 더불어 도시미관을 미려하게 단장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도로경계석도 콘크리트가 그대로 노출되어 도시미관을 해치는 것은 마찬가지며, 식재한 식물에 소정의 주기마다 물을 제대로 공급해 주지 못하거나, 높은 기후로 인해 흙이 건조되게 되면 식물의 자생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황토와 나무칩이 접착제와 반죽되어 내측에 철근이 배근되어 형성되는 보강블록과; 상기 보강블록의 외측에 결합되며, 요철이 형성된 식생매트의 요철 사이 사이마다 식물의 씨앗이 혼합된 황토가 채워져 형성되는 식생대;로 이루어져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강블록의 내측 중앙에는 수분충진부가 더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수분충진부는 고압으로 압축되어 내측에 철근이 배근된 수분흡수대와, 상기 수분흡수대의 외측을 감싸 지지하는 지지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대에는 통수공이 다수 관통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경계석은 화단과 도로의 경계 및 인도와 차도의 경계 부분에 설치 되어 경계석의 역할을 하는 것은 물론,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별도의 노력없이도 경계석 자체에서 식물이 자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로 인한 도시의 삭막한 분위기를 없애고 자연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건조한 기후에서도 경계석에 자생하는 식물에 별도의 수분의 공급없이도 경계석 자체에서 수분을 충진하여 식물에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식물의 자생력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계석(B)은 견고한 보강블록(10)이 구비되고, 상기 보강블록(10)의 외측에는 식물이 자생할 수 있는 식생대(20)를 결합한다.
상기 보강블록(10)은 황토(11)와 나무칩(12)이 접착제와 혼합되어 내측 중간 중간에 배근된 철근(13)과 함께 건조됨으로써 견고하게 형성되며, 상기 식생대(20)는 요철이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식생매트(21)의 사이 사이마다 식물의 씨앗이 혼합된 황토(22)를 채워 구성된다.
[실시예 2]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경계석(B)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황토(11)와 나무칩(12)이 접착제와 혼합되어 건조됨으로써 견고하게 형성된 보강블록(10)이 구비되고, 상기 보강블록(10)의 외측에는 요철이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식생매트(21)의 사이 사이마다 식물의 씨앗이 혼합된 황토(22)를 채워 구성됨으로써 식물이 자생할 수 있는 식생대(2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블록(10)의 내측 중앙에는 수분충진부(30)가 더 형성되며, 상기 수분충진부(30)는 내측에 고압으로 압축된 섬유재 또는 펄프재 등의 수분흡수대(31)가 마련되고, 상기 수분흡수대(31)의 사이 사이에는 철근(33)을 배근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분흡수대(31)의 외측에는 통수공(34)이 다수 관통 형성된 지지대(35)로 감싸 지지함으로써,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도 수분흡수대(31)가 압축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발명의 경계석(B)을 화단(G)과 도로(R) 및 주차장 사이, 인도와 차도 사이 등에 설치함으로써, 식생대(20)에 혼합되어 있는 식물의 씨앗이 발아하면서 경계석(B) 자체에도 다양한 식물이 식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경계석(B) 주변의 수분이 식생대(20)의 황토(22)에 의해 흡수되고 다시 보강블록(10)의 황토(11)와 나무칩(12)에 흡수되어 본 발명의 경계석(B)은 항상 수분을 머금고 있게 되며, 식물의 자생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게 된다.
물론, 보강블록(10)의 내부에 수분충진부(30)가 구비된 경우에는 보강블록(10)에서 흡수한 수분이 지지대(35)의 통수공(34)을 통해 수분흡수대(32)에 흡수되어 충진되고, 충진된 수분은 주변 기온이 상승하여 건조한 경우에 다시 지지대(34)의 통수공(34)을 통해 보강블록(10)으로 배출되므로 식물에 필요한 수분의 공급이 원할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경계석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경계석의 측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을 시공한 상태의 일부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보강블록 11,22 : 황토
12 : 나무칩 20 : 식생대
21 : 식생매트 30 : 수분충진부
31 : 수분흡수대 33 : 철근
34 : 통수공 35 : 지지대

Claims (3)

  1. 황토(11)와 나무칩(12)이 접착제가 반죽되어 내측에 철근(13)이 배근되어 형성되는 보강블록(10)과;
    상기 보강블록(10)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요철이 형성된 식생매트(21)의 요철 사이 사이마다 식물의 씨앗이 혼합된 황토(22)가 채워져 형성되는 식생대(2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녹화가 가능한 경계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블록(10)의 내측 중앙에는 수분충진부(3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녹화가 가능한 경계석.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충진부(30)는 고압으로 압축되어 내측에 철근(33)이 배근된 수분흡수대(31)와, 상기 수분흡수대(31)의 외측을 감싸 지지하는 지지대(35)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대(35)에는 통수공(34)이 다수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녹화가 가능한 경계석.
KR1020070067967A 2007-07-06 2007-07-06 자연녹화가 가능한 경계석 KR100770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967A KR100770281B1 (ko) 2007-07-06 2007-07-06 자연녹화가 가능한 경계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967A KR100770281B1 (ko) 2007-07-06 2007-07-06 자연녹화가 가능한 경계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0281B1 true KR100770281B1 (ko) 2007-10-25

Family

ID=38815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7967A KR100770281B1 (ko) 2007-07-06 2007-07-06 자연녹화가 가능한 경계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02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571B1 (ko) 2013-05-16 2013-06-21 김종호 조명수단이 구비된 연속 경계석의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1674A (ja) * 2001-08-27 2003-03-04 Asahi Breweries Ltd ザイモフィラス属菌検出のための核酸プローブ、およびビール混濁細菌の検出方法
KR100659603B1 (ko) * 2006-09-21 2006-12-20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도로경계블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1674A (ja) * 2001-08-27 2003-03-04 Asahi Breweries Ltd ザイモフィラス属菌検出のための核酸プローブ、およびビール混濁細菌の検出方法
KR100659603B1 (ko) * 2006-09-21 2006-12-20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도로경계블록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실용 20-0361674호
등록특허 10-0659603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571B1 (ko) 2013-05-16 2013-06-21 김종호 조명수단이 구비된 연속 경계석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3673B2 (ja) 緑化用培地構造
KR101659168B1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JP5246991B2 (ja) 珪藻頁岩を用いた舗装構造
KR100770281B1 (ko) 자연녹화가 가능한 경계석
US20060159517A1 (en) Core for paver and method
JP2006345825A5 (ko)
KR101167978B1 (ko)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70087942A (ko) 가로수 아래의 식물식재와 비산 먼지 방지 가로수 보호대
KR20150134255A (ko) 식물이 자랄 수 있는 건축 구조물 및 그 구성방법
KR101279958B1 (ko) 식생층을 구비한 식생블록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057646B1 (ko) 인공구조물을 이용한 천연잔디 포장재
KR20130022632A (ko) 수목의 뿌리 돌출 방지를 위한 식재용 조성물
KR100538541B1 (ko) 방음벽의 조기녹화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20110112494A (ko) 주차장용 식생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200450576Y1 (ko) 보도블록
JP5270748B2 (ja) 植栽用基盤の構造
KR20090028988A (ko) 계단식 옹벽의 화단 구성 방법
JP2006283528A (ja) 緑化対応型透水性舗装の造成方法及び緑化対応型透水性舗装構造
TWI434980B (zh) 地盤形成材及使用該地盤形成材的覆土工法
JP2003038028A (ja) 緑化版
CN210561574U (zh) 一种防滑的城乡园林景观道路
KR101293807B1 (ko) 식재용 생태 블록과 그 제조방법
RU2449087C2 (ru) Структура укрепления откосов
KR20090005307U (ko) 계단식 옹벽의 친환경 화단
KR20080006264A (ko) 보도블럭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