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3745B1 -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 시공 공법 - Google Patents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 시공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3745B1
KR101083745B1 KR1020110041013A KR20110041013A KR101083745B1 KR 101083745 B1 KR101083745 B1 KR 101083745B1 KR 1020110041013 A KR1020110041013 A KR 1020110041013A KR 20110041013 A KR20110041013 A KR 20110041013A KR 101083745 B1 KR101083745 B1 KR 101083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ermeable
base plate
pav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선식
Original Assignee
고선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선식 filed Critical 고선식
Priority to KR1020110041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37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 시공 공법에 관한 것으로, 서로 다른 모양과 크기의 투수블록과 잔디 또는 페블 등을 이용하여 보차도를 포장할 수 있으며, 투수블록의 위치를 중앙에 유지할 수 있고, 투수블록의 둘레부에 잔디 또는 페블을 채우기 위한 공간을 쉽게 조성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은, 투수공을 형성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에 일정한 형태로 배열되어 서로 다른 모양과 크기의 제1,2블록 수용부를 형성하는 측벽을 포함하는 베이스판(10)과; 상기 베이스판의 제1,2블록 수용부 중 하나 이상에 삽입되어 제1,2투수블록 이 상기 제1,2블록 수용부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하며 상기 베이스판의 측벽과의 사이에 잔디 또는 페블이 채워지도록 이격되는 블록지지구(20)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지지구는, 상기 베이스판의 제1,2블록수용부와 동일한 형상이면서 둘레부가 상기 베이스판의 측벽에 지지되며 상면에 상기 베이스판의 측벽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1,2투수블록을 지지하는 지지벽(21)이 세워지는 구조이다.

Description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 시공 공법{PERMEABLE BLOCK FRAME FOR PAVING PEDESTRIAN-VEHICLE ROAD AND PEDESTRIAN-VEHICLE ROA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IS}
본 발명은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모양과 크기의 투수블록과 잔디 또는 페블(pebble) 등을 이용하여 보차도를 포장할 수 있으며, 투수블록의 위치를 중앙에 유지할 수 있고, 투수블록의 둘레부에 잔디 또는 페블을 채우기 위한 공간을 쉽게 조성할 수 있는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도 포장은 원지반 상부에 모래등으로 적층되는 필터층, 필터층 상부에 자갈로 적층되는 쇄석기층, 쇄석기층 상부에 적층되는 기층, 및 기층 상부에 적층되는 포석층으로 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이 시공된 보도는, 포석층을 평탄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기층에는 투수성 제공하는 기층용 투수 콘크리트가 적층되어 있어 우수시 투수되어 보행자가 보행하는데 있어 편리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자갈로 이루어진 쇄석기층과 모래로 이루어진 필터층이 적층 시공되는 경우 포석층의 하중에 의하여, 구조물의 원지반이 침하함에 따라서 구조물의 여러 부분에서 불균등하게 침하를 일으키는 부분침하가 발생되어 보도 자체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발생된 파손 부위에는 통행에 불편함을 주고 있고, 안전사
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또한, 우수시 포석과 포석 사이에 형성된 홈에 통과하는 빗물에 의해 원지반 자체를 약화 시켜 포석층의 지반침하가 발생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쇄석과 석분으로 채워 설치하고 있으나 지반 침하발생시 포석 사이의 쇄석과 석분이 침하가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받은 제0989448호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홀더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 포장 공법이 있다.
선특허는 다수의 투수공이 형성된 바닥부와; 좌우로 관통하는 통공이 구비되며 상부에 턱의 형태인 스토퍼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스토퍼의 하부보다 작은 단면적의 끼움부가 형성된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상에 서로 다른 다각형의 제1,2투수블록이 삽입되도록 다수의 투수블록 수용부를 형성하는 측벽과; 상하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통공과 상기 측벽의 끼움부에 끼워지는 체결공이 구비되면서 상기 측벽보다 단면적이 큰 평평한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공을 통해 상기 측벽의 끼움부에 끼워져 상기 제1,2투수블록들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은 상기 바닥부에 근접되는 것들과 일면이 마주하도록 다각형으로 세워져 다각형의 제1투수블록을 수용하는 제1수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수용부의 4개를 셋트로 하여 상기 4개의 제1수용부의 사이에 상기 제1투수블록과 다른 다각형의 제2투수블록을 수용하는 제2수용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2수용부에 삽입되는 제1,2투수블록들과 상기 측벽 사이의 공간은 투수볼 또는 잔디가 채워져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출원에 의하면 투수성과 흡수성이 있는 현무암 등의 천연석을 가공하여 노면을 구성함으로써 인공적인 보차도가 아니라 자연의 노면을 연출할 수 있고, 아울러, 다양한 패턴의 연출을 통해 도시미관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천연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색상변질, 크랙변화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므로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투수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우천시 많은 비가 오더라도 빗물이 고이지 않으므로 빗물에 의한 보행자나 차량 운전자의 불쾌감을 없앨 수 있으며, 외부 환경에 따른 변질이 없어 재활요이 가능하고, 홀더를 통해 다수의 투수블록을 연결하여 투수블록간에 결속력이 발생될 뿐 아니라, 이 결속력에 의해 부분 침하 발생시 근접되는 투수블록들을 지지하므로 침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간격조절패드를 통해 투수블록의 크기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적용할 수 있으므로 패턴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고,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선출원은 다수의 간격조절패드가 단품으로 형성되어 일일이 끼워 조립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서로 다른 모양과 크기의 투수블록과 잔디 또는 페블 등을 이용하여 보차도를 포장할 수 있으며, 투수블록의 위치를 중앙에 유지할 수 있고, 투수블록의 둘레부에 잔디 또는 페블을 채우기 위한 공간을 쉽게 조성할 수 있는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 시공 공법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은, 투수공을 형성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에 일정한 형태로 배열되어 서로 다른 모양과 크기의 제1,2블록 수용부를 형성하는 측벽을 포함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제1,2블록 수용부 중 하나 이상에 삽입되어 제1,2투수블록 이 상기 제1,2블록 수용부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하며 상기 베이스판의 측벽과의 사이에 잔디 또는 페블이 채워지도록 이격되는 블록지지구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지지구는, 상기 베이스판의 제1,2블록수용부와 동일한 형상이면서 둘레부가 상기 베이스판의 측벽에 지지되며 상면에 상기 베이스판의 측벽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1,2투수블록을 지지하는 지지벽이 세워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 시공 공법에 의하면, 투수성과 흡수성이 있는 현무암 등의 천연석을 가공하여 노면을 구성함으로써 인공적인 보차도가 아니라 자연의 노면을 연출할 수 있고, 아울러, 다양한 패턴의 연출을 통해 도시미관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천연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색상변질, 크랙변화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므로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투수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우천시 많은 비가 오더라도 빗물이 고이지 않으므로 빗물에 의한 보행자나 차량 운전자의 불쾌감을 없앨 수 있다.
또한, 홀더를 통해 다수의 투수블록을 연결하여 투수블록간에 결속력이 발생될 뿐 아니라, 이 결속력에 의해 부분 침하 발생시 근접되는 투수블록들을 지지하므로 침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블록 지지구가 투수블록을 베이스판의 정중앙에 배치 및 지지하는 기능과 투수블록 둘레부에 잔디나 페블을 채울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기능을 겸하며, 블록 지지구를 삽입하는 한 번의 작업만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쏠라 LED 블록을 통해 야간 경관 조명 효과 및 안전보행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의 조립 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에 적용된 베이스판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에 적용된 블록 수용판의 평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에 적용된 블록지지구의 다른 예시도.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100)은, 서로 다른 크기와 모양의 투수블록을 수용하기 위하여 제1,2블록 수용부(11,12)가 구비된 베이스판(10) 및 블록지지구(2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모양과 크기의 제1,2투수블록(1,2)으로 노면을 포장하기 위한 것이며, 제1투수블록(1)은 8각형으로 형성되며 제2투수블록(2)은 제1투수블록(1)보다 작은 크기의 4각형으로 형성된다. 제2투수블록(2)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전 및 발전된 전기를 통해 발광하는 LED가 설치된 쏠라 LED 블록일 수도 있다. 즉, 쏠라 LED 블록은 야간 경관을 수려하게 하고 보행자 등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베이스판(10)은 제1,2투수블록(1,2)의 저면이 지지되는 바닥부(11) 및 제1,2블록 수용부(12,13)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측벽(14)으로 구성되며, 예를 들어 4각형일 수 있다.
도면에서 바닥부(11)는 판형이면서 다수의 투수공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베이스판(10)은 제1,2투수블록(1,2)의 저부가 노면에 지지되도록 띠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측벽(14)은 제1,2투수블록(1,2)의 형상을 따라 배열되어 제1,2블록 수용부(12,13)를 형성한다. 도면에서처럼 베이스판(10)은 4개의 제1블록 수용부(12)와 1개의 제2블록 수용부(13)가 형성되며, 제2블록 수용부(13)는 4개의 제1블록 수용부(12)의 사이에 배치된다. 측벽(14)은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제조원가를 감안하여 다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예를 들어, 각 변에 배치될 수 있다.
블록 지지구(20)는 제1투수블록(1)을 제1블록 수용부(1)의 중앙에 배치하도록 지지하고 제1투수블록(1)의 둘레부에 잔디나 페블을 채울 수 있도록 측벽(14)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바닥부가 있는 판형, 바닥부가 없는 루프(loop)형 등이 가능하다.
판형의 블록 지지구(20)는 도 1과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다수의 투수공이 구비된 격자형의 바닥부를 갖는 판재로서 베이스판(10)의 제1블록 수용부(12)와 동일한 형상이며 둘레부의 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곳에 지지벽(21)이 형성된다. 지지벽(21)은 블록 지지구(20)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 변에 해당되는 곳에 설치될 수 있다.
띠형의 블록 지지구(20)는 바닥이 없는 구조로서 제1투수블록(1)의 외형과 동일한 형태의 띠형이며, 둘레부가 측벽(14)에 지지되어 제1투수블록(1)이 제1블록 수용부(12)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지지하고, 지지벽(21)이 형성된다.
도 5와 도 6은 블록 지지구(20)의 다른 예로서, 지지벽(21)과 단부의 사이에 다수의 투수공(22)이 형성된 것이며, 페블용으로 적합할 것이고, 이에 반해, 도 4는 잔디용으로 적합하다. 잔디를 사용할 경우 잔디 아래에 흙을 채우기 때문에 흙이 빠지지 않도록 투수공이 없는 형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100)은, 도 3에서처럼, 다수개가 연결되어 사용되며, 이때,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100)들을 서로 결속하기 위하여 인터록킹 돌기(15)와 인터록킹 홈(16)이 형성된다.
도면에서 보이는 것처럼, 베이스판(10)의 4면 중에서 연속되는 2면에는 인터록킹 돌기(15)가 나머지 2면에는 인터록킹 홈(16)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투수블록(1)에만 적용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블록 지지구는 제2블록 수용부(13)에 삽입되어 제2투수블록(2)을 지지하면서 측벽(14)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100)은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가능하므로 구체적인 재질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을 이용한 보차도 포장 공법은 다음과 같다.
보차도의 포장시 노면을 평평하게 다짐한 후 베이스판(10)을 상기 노면 위에 나열한다. 근접되는 베이스판(10)들의 대응되는 인터록킹 돌기(15)와 인터록킹 홈(16)을 맞춰 끼움으로써 다수의 베이스판(10)을 서로 조립한다. 따라서, 베이스판(10)간의 결속을 통해 베이스판(10)들의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는다.
베이스판(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제1블록 수용부(12)에 블록 지지구(20)를 삽입한다. 블록 지지구(20)는 둘레부가 베이스판(10)의 측벽(14)에 지지되어 제1블록 수용부(12)의 중앙에 배치된다.
블록 지지구(20)의 내부에 제1투수블록(1)을 삽입하고 제2블록 수용부(13)에 제2투수블록(2)을 삽입한다.
블록 지지구(20)에 의해 베이스판(10)의 측벽(14)과 지지벽(21)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따라서, 제1투수블록(1)과 제2투수블록(2)의 둘레부에 전체적으로 공간이 형성된다.
제1,2투수블록(1,2)의 삽입 설치가 완료되면 제1,2투수블록(1,2) 둘레부의 공간에 잔디나 페블을 채워 마감한다.
블록 지지구(20)가 베이스판(1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잔디나 페블을 채울 때 제1,2투수블록(1,2)과 블록 지지구(20)는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보차도 포장 공법은 다음과 같다.
(S10) 투수 쇄석층 조성.
보도나 차도의 포장을 위하여 먼저 원지반 위에 쇄석 등을 포설하여 투수 쇄석층을 조성한다.
상기 투수 쇄석층은 쇄석 사이의 공극을 통해 물을 원지반으로 배수할 수 있으며, 포설 두께는 현장 여건 및 쇄석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것이므로 구체적인 수치로 한정하지 않는다.
(S20) 모래층 조성.
상기 투수 쇄석층 위에 모래를 포설하여 모래층을 조성한다.
상기 모래층은 보도와 차도의 노면을 평탄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투수 쇄석층의 상면이 울퉁불퉁하기 때문에 상기 투수 쇄석층 사이에 채워짐으로써 표면을 평탄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모래층의 포설 두께도 현장 여건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므로 수치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S30)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 안착.
상기 모래층 위에 본 발명에 의한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100)을 안착한다.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100)은 시공 면적에 따라 다수의 수량이 사용되며,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100)간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100)들을 배열 안착하고 인터록킹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베이스판(10)을 먼저 깔아 설치하고, 베이스판(10)의 제1블록 수용부(12) 내부에 블록 지지구(20)를 끼운다. 블록 지지구(20)는 둘레부가 베이스판(10)의 측벽(14)에 지지됨으로써 제1투수블록(1)의 설치 공간을 형성한다. 즉, 블록 지지구(20)를 끼우는 단일 공정을 통해 제1투수블록(1)의 설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S40) 제1,2투수블록 시공.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100)의 제1,2블록수용부(12,13)에 각각 제1,2투수블록(1,2)을 삽입한다.
제1,2투수블록(1,2)은 제1,2블록수용부(12,13)에 단순히 삽입되는 것만으로도 시공이 가능하며, 별도의 고정수단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제1,2투수블록(1,2)은 저면이 블록 지지구(20) 또는 베이스판(10)의 바닥부에 안착되고 둘레면이 블록 지지구(20)의 지지벽(21)에 지지되어 전후좌우로 움직이지 않고 또한 자중에 의해 상하 움직임도 일어나지 않는다.
1 : 제1투수블록, 2 : 제2투수블록
10 : 베이스판, 11 : 바닥부
12 : 제1블록 수용부, 13 : 제2블록 수용부
14 : 측벽, 15 : 인터록킹 돌기
16 : 인터록킹 홈, 20 : 블록 지지구
21 : 지지벽,

Claims (5)

  1. 투수공을 형성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에 일정한 형태로 배열되어 서로 다른 모양과 크기의 제1,2블록 수용부를 형성하는 측벽(14)을 포함하는 베이스판(10)과;
    상기 베이스판의 제1,2블록 수용부 중 하나 이상에 삽입되어 제1,2투수블록 이 상기 제1,2블록 수용부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하며 상기 베이스판의 측벽과의 사이에 잔디 또는 페블이 채워지도록 이격되는 블록지지구(20)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지지구는, 상기 베이스판의 제1,2블록수용부와 동일한 형상이면서 둘레부가 상기 베이스판의 측벽에 지지되며 상면에 상기 베이스판의 측벽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1,2투수블록을 지지하는 지지벽(21)이 세워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지지구는 바닥부가 없이 상기 제1,2투수블록을 감쌀 수 있도록 상하가 관통하는 루프(loop)형태로 형성되어 둘레부의 단부가 상기 베이스판의 측벽에 지지되면서 둘레부의 단부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된 곳에 상기 지지벽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제1,2투수블록은 상기 루프형태 블록지지구의 안에 삽입되면서 상기 베이스판의 바닥에 안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지지구는 바닥부에 다수의 투수공이 구비되며 둘레부가 상기 베이스판의 측벽에 지지되면서 둘레부의 단부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된 곳에 상기 지지벽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판형이며, 상기 제1,2투수블록은 상기 판형 블록지지구의 바닥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의 둘레부에는 인터록킹 돌기(15)와 홈(16)이 형성되며, 상기 인터록킹 돌기와 홈을 통해 상기 베이스판이 연결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
  5. 지반 위에 쇄석을 포설하여 투수 쇄석층을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 의해 형성된 투수 쇄석층 위에 모래를 포설 후 평탄화하여 모래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형성된 모래층 위에 청구항 1에 의한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을 안착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 의해 시공된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의 제1,2블록수용부에 각각 제1,2투수블록을 삽입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단계에서는 상기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의 베이스판(10)을 먼저 설치하고, 상기 베이스판의 내부에 블록 지지구(20)를 조립하여 상기 제1,2블록수용부의 크기를 조절하며, 상기 제4단계에서는, 상기 제1,2투수블록을 상기 블록 지지구의 내부에 삽입한 후 상기 제1,2투수블록들의 사이에 잔디 또는 페블을 채워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차도 포장 공법.
KR1020110041013A 2011-04-29 2011-04-29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 시공 공법 KR101083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013A KR101083745B1 (ko) 2011-04-29 2011-04-29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 시공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013A KR101083745B1 (ko) 2011-04-29 2011-04-29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 시공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3745B1 true KR101083745B1 (ko) 2011-11-15

Family

ID=45397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013A KR101083745B1 (ko) 2011-04-29 2011-04-29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 시공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37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74709A (zh) * 2015-02-04 2015-06-03 杭州市园林工程有限公司 一种冰裂纹简易施工法
KR101867295B1 (ko) * 2017-09-06 2018-06-14 명인종 도로용 패널 모듈
WO2019216711A1 (ko) * 2018-05-11 2019-11-14 주식회사 더지엘 경량 투수 기층 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포장 구조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860Y1 (ko) 2002-11-22 2003-02-19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블럭대용 지지체
KR200324301Y1 (ko) 2003-05-15 2003-08-25 한승호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
KR100712403B1 (ko) 2005-09-21 2007-04-27 (주)동호스톤 보도블록 시공 보조장치 및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860Y1 (ko) 2002-11-22 2003-02-19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블럭대용 지지체
KR200324301Y1 (ko) 2003-05-15 2003-08-25 한승호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
KR100712403B1 (ko) 2005-09-21 2007-04-27 (주)동호스톤 보도블록 시공 보조장치 및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74709A (zh) * 2015-02-04 2015-06-03 杭州市园林工程有限公司 一种冰裂纹简易施工法
KR101867295B1 (ko) * 2017-09-06 2018-06-14 명인종 도로용 패널 모듈
WO2019216711A1 (ko) * 2018-05-11 2019-11-14 주식회사 더지엘 경량 투수 기층 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포장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3745B1 (ko)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 시공 공법
CN204875442U (zh) 人行道地砖及人行道
KR20130064192A (ko) 스톤 바스켓을 이용한 도로포장 방법
US20060045619A1 (en) Paving system using arrays of vertically interlocking paving blocks
KR101019181B1 (ko) 도로용 블록을 이용한 도로의 포장구조
KR20170030170A (ko) 블록 포장용 패드 및 이를 이용한 블록 포장 방법
KR101167978B1 (ko)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89448B1 (ko)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 홀더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 포장 공법
KR101231177B1 (ko) 투수성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
KR101282096B1 (ko) 투수성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
KR101425709B1 (ko) 바닥 돌기를 구비한 보도 블럭 케이스
US20200123713A1 (en) Grass pavers for increasing visible green space
KR101579580B1 (ko) 투수기능이 지속가능한 투수블록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투수블록 조성물과 투수블록의 제조공법
CN107829347B (zh) 用于城市天然草皮的人行道结构及其施工方法
KR20120013623A (ko) 차도용 투수형 골재 셀 블록
US7419327B2 (en) Method for fabricating and employing a paving system using arrays of vertically interlocking paving blocks
CN220685680U (zh) 一种装配式混凝土人行道结构
CN218203670U (zh) 一种镶嵌式透水性路面砖
KR100924022B1 (ko) 건축단지용 결속식 보도블록 설치방법
CN210621368U (zh) 一种高性能透水砖
CN215758343U (zh) 顺畅排水式路缘石及其路缘石基建构造
KR20110117499A (ko) 블록용 간격유지구
CN210621367U (zh) 一种绿色环保连锁块砖
ES2391850B1 (es) Bloque constructivo empotrable
KR20090008925A (ko) 격자망을 가지는 보도용 포장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