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4860Y1 - 블럭대용 지지체 - Google Patents

블럭대용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4860Y1
KR200304860Y1 KR20-2002-0034961U KR20020034961U KR200304860Y1 KR 200304860 Y1 KR200304860 Y1 KR 200304860Y1 KR 20020034961 U KR20020034961 U KR 20020034961U KR 200304860 Y1 KR200304860 Y1 KR 2003048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ravel
soil
compartm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9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청휘
정경진
김미경
Original Assignee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349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48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48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48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Abstract

본 고안은 블럭대용 지지체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블럭은 각 단위 블럭을 시공해야 하는 불편이 있고 자갈이나 흙을 채우거나 잔디를 심을 수 없으며 배수가잘 안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예시도 1 과 같이 지지체(1)를 형성함에 있어서 다수의 격실(2)에 흙이나 모래 또는 자갈 등을 채울 수 있도록 하고, 밑면에는 다수의 고정봉(3)을 형성하고 상면에는 다수의 돌기부(4)를 형성하며, 측면에는 요부(5)와 철부(6)를 형성하여 인접한 지지체(1)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격벽(7)과 곡면격벽(8)으로 격실(2)을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럭대용 지지체{Support for use as a block}
본 고안은 정원, 보도 또는 하천변 등에 설치하여 흙이나 자갈을 채울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잔디를 심을 수 있는 블럭대용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블럭은 변형이 불가능하고 개별적으로 이탈될 뿐만 아니라,자갈이나 흙을 고정시킬 수 없도록 되어 있어서 잔디를 심을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블럭이 갖는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부가 개방된 다수의 격실을 갖추고 인접한 지지체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각 격실에는 자갈이나 흙을 담을 수 있도록 하여 블럭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시키기 위한 본 고안은 전체가 다수의 격실로 구획되어 흙이나 자갈을 담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밑면에는 다수의 고정봉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요부와 철부가 형성되어 인접한 지지체를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되고, 일부 격벽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유연성을 갖도록 되며, 상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단위 지지체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체 간의 결합단면도 및 일부확대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단위 지지체의 평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체를 결합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체, 2 - 격실,
3 - 고정봉, 4 - 돌기부,
5 - 요부, 6 - 철부,
7 - 격벽, 8 - 곡면격벽,
9 - 관통부, 10 - 지지대.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지지체(1)를 형성함에 있어서 다수의 격실(2)에 흙이나 모래 또는 자갈 등을 채울 수 있도록 하고, 밑면에는 다수의 고정봉(3)을 형성하고 상면에는 다수의 돌기부(4)를 형성하며, 측면에는 요부(5)와 철부(6)를 형성하여 인접한 지지체(1)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격벽(7)과 곡면격벽(8)으로 격실(2)을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9 는 관통부로서 격실(2)의 바닥면(지면)에 해당하며, 10은 지지대이다.
예시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지지체의 사시도로서 다수의 격실(2)은 밑면이 관통되어 관통부(9)로 형성됨으로써 격실(2) 내에 흙이나 모래 또는 자갈을 채우더라도 빗물의 지하침투가 용이하게 된다.
지지체(1)는 합성수지재로서 다수의 격벽(7)과 곡면격벽(8)으로 인하여 견고한 형태를 유지하며, 곡면격벽은 지형에 따라 지지체가 어느 정도 유연성을 갖도록 다.
예시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체(1)와 지지체(1)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일측지지체(1)의 철부(7)가 타측 지지체(1)의 요부(5)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철부(6)는 평면상 T형으로 형성되어 요부(5)에 결합시 일부가 인접한 지지체(1)의 격실(2)내로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예시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지지체(1)의 평면도로서 격실(2)의 형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부의 관통부(9)에 적당한 굵기의 지지대(10)를 형성하였으며, 각 격실(2)을 구성하는 격벽(7) 및 곡면격벽(8)의 상면에는 다수의 돌기부(4)를 형성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예시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체들을 가로 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연결 결합한 예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인접한 부분의 격벽(7)에 형성된 요부(5)에는 이웃한 지지체(1)의 격벽(7)에 형성된 철부(6)가 끼워져서 일체형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지면에 설치된 지지체(1)의 격실(2)에는 자갈을 채워서 정원의 길또는 주차장 등을 이룰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유색의 자갈을 채워서 구획선을 이루게 할 수도 있으며, 흙을 담아 잔디를 심을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비가 오더라도 격실(2)의 바닥면이 뚫려 있기 때문에 빗물이 지표에 잘 흡수되며 격벽(7) 및 곡면격벽(8)으로 인하여 흙이나 자갈이 분산되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은 지지체(1)를 형성함에 있어서, 다수의 격실(2)에 흙이나 모래 또는 자갈등을 채울 수 있도록 하고, 밑면에는 다수의 고정봉(3)을 형성하고 상면에는 다수의 돌기부(4)를 형성하며, 측면에는 요부(5)와 철부와(6)를 형성하여 인접한 지지체(1)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격벽(7)과 곡면격벽(8)으로 격실(2)을 형성하도록 한 것으로서, 격실(2)내에 흙이나 모래 또는 자갈을 채워 블럭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잔디를 심을 수 있으며, 유색의 자갈을 채워 주차선 또는 기타의 경계선 표시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가 원활하고 인접한 지지체 간의 결합분리가 용이하여 시공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지지체(1)를 형성함에 있어서 다수의 격실(2)에 흙이나 모래 또는 자갈등을 채울 수 있도록 하고, 밑면에는 다수의 고정봉(3)을 형성하고 상면에는 다수의 돌기부(4)를 형성하며, 측면에는 요부(5)와 철부와(6)를 형성하여 인접한 지지체(1)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격벽(7)과 곡면격벽(8)으로 격실(2)을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대용 지지체.
KR20-2002-0034961U 2002-11-22 2002-11-22 블럭대용 지지체 KR2003048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961U KR200304860Y1 (ko) 2002-11-22 2002-11-22 블럭대용 지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961U KR200304860Y1 (ko) 2002-11-22 2002-11-22 블럭대용 지지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4860Y1 true KR200304860Y1 (ko) 2003-02-19

Family

ID=49401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961U KR200304860Y1 (ko) 2002-11-22 2002-11-22 블럭대용 지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486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745B1 (ko) 2011-04-29 2011-11-15 고선식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 시공 공법
KR101870768B1 (ko) * 2017-10-16 2018-07-20 배기성 차도 및 보도를 위한 블럭격자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745B1 (ko) 2011-04-29 2011-11-15 고선식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 시공 공법
KR101870768B1 (ko) * 2017-10-16 2018-07-20 배기성 차도 및 보도를 위한 블럭격자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7359B1 (ko) 식물 재배 매트
JPH083443Y2 (ja) 排水・保水装置
JP4084437B2 (ja) 雨水等の貯留浸透施設
JP3802445B2 (ja) 植栽ポット
CN107407061A (zh) 用于铺面的透水式地格
KR100868986B1 (ko) 담수 기능을 갖는 보도블록
KR200304860Y1 (ko) 블럭대용 지지체
JP4153600B2 (ja) 中空部を有する構造体
JP2000087397A5 (ko)
KR100568120B1 (ko) 식재박스를 이용한 옹벽 구조
KR100408850B1 (ko) 빗물받이가 구비된 옹벽축조용 조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0374495B1 (ko) 호안용 블럭
CN209082290U (zh) 透水砖
KR200245391Y1 (ko) 빗물받이가 구비된 옹벽축조용 조경블록
KR200324529Y1 (ko) 사각 틀 환경 블럭
CN210459037U (zh) 一种带有绿植和防撞结构的高速公路隔离带
KR200278170Y1 (ko) 건축물의 벽면 녹화용 포트 박스 및 그 설치 시스템
KR20130097416A (ko) 화분장착형 보강토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636834B1 (ko) 호안블록
KR200262743Y1 (ko) 화분형 잔디블록
KR20040092523A (ko) 사각 틀 환경 블럭
KR20060024745A (ko)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61532A (ko) 투수가능한 이피디엠 시공방법
JPH0719238Y2 (ja) 法面、壁面及び平面等の緑化構造体
JPS633827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