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4745A -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4745A
KR20060024745A KR1020040073583A KR20040073583A KR20060024745A KR 20060024745 A KR20060024745 A KR 20060024745A KR 1020040073583 A KR1020040073583 A KR 1020040073583A KR 20040073583 A KR20040073583 A KR 20040073583A KR 20060024745 A KR20060024745 A KR 20060024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wall block
block
shaft retain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3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3181B1 (ko
Inventor
변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영콘크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13051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6002474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영콘크리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영콘크리트
Priority to KR1020040073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3181B1/ko
Publication of KR20060024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4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3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3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1Mort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eve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법면 등에 토사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 형상이 다각의 기하학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인접되는 블록과 치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축대옹벽블록과; 적층되는 상기 축대옹벽블록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결속시키기 위한 체결수단과; 상·하로 적층되는 상기 축대옹벽블록 사이에 구비되어 구조체 내부를 구획하는 사절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인접되는 블록과 맞물려 결합되어 시공이 용이함과 동시에 체결력 또한 우수하고, 체결수단를 사용하여 블록을 횡방향으로 고정함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이 증대되며, 구조체의 내부를 구획 가능하도록 하여 별도의 블록을 추가하지 않고도 서로 다른 용도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A terrace-revetment unit and a process of construction unsing the same}
도 1a ~ 1c는 종래기술에 의한 축대옹벽블록 및 사용상태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축대옹벽블록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축대옹벽블록 구조체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4는 상기 축대옹벽블록 구조체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 ~ 5c는 상기 축대옹벽블록 구조체를 구성하는 A형 축대옹벽블록, B형 축대옹벽블록, C형 축대옹벽블록을 각각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축대옹벽블록 구조체의 정면도이다.
도 7a ~ 7c는 본 발명에 의한 축대옹벽블록 구조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 100 축대옹벽블록 : 110
A형 축대옹벽블록 : 110a B형 축대옹벽블록 : 110b
C형 축대옹벽블록 : 110c 제 1 벽판 : 111
연결부재 : 113 제 2 벽판 : 115
측면벽판 : 119 체결수단 : 120
사절판 : 130 단석 : 140
인서트 : 150
본 발명은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이웃하는 블록과 치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체결력이 우수하고, 사절판이 구비되어 어소 및 수초대 조성용 식생공간 확보가 가능하며, 횡방향 양단에 구비되는 마감블록과 상기 마감블록 사이에 구비되는 블록을 연결하여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사법면 등에는 시멘트를 비롯하여 시트파일, 강관, 콘크리트와 시멘트 혼합물로 이루어진 방벽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비스듬히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방벽에는 축대옹벽블록이 별도로 설치되어 있어 자연친화적인 환경조성과 미감의 향상이라는 효과가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축대옹벽블록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블록본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통공과 그리고 시공 후의 각 블록본체 사이에 흙을 투입하여 복토층을 형성하여 수변식물을 식재하거나 잔디 또는 기타 야생초 등의 자생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1a ~ 1c는 종래기술에 의한 축대옹벽블록 및 사용상태를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축대옹벽블록은 정면부(10)와, 측벽(20)과, 후면부(30)로 구성되고, 상기 정면부(10), 측벽(20), 후면부(30)는 서로 연결되며, 그 내부에는 나무 또는 풀 등을 식재할 수 있는 공간부(40)가 형성된다.
상기 정면부(10)는 외측에 자연석 또는 자연석 문양의 인조석(11)이 부착되고, 나무 또는 풀과 같은 식물이 식재되는 통공(13)이 형성된다. 상기 후면부는 배수공 역할을 하는 통공이 후면 중앙에 구비되고, 후면 외측으로 돌출되는 앵커연결부(3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정면부(10)와 후면부(30)는 상면에 양측으로 4개의 앵커홈(50)이 형성되고, 정면부와 후면부 양단은 상기 측벽(20)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측벽(20)의 상부에는 다수의 요홈부(21)와 돌출부(23)로 이루어진 요철(25)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상부 요철(25)과 대응되어 결합 가능하도록 하부 요철(27)이 형성되며, 측벽면 중앙에는 벽면을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에 의한 축대옹벽블록은 정면부에 자연석 또는 자연석 문양의 인조석을 이용하여 친환경적이며, 경사법면 등에 시공되어 나무와 풀 식생 가능하도록 하여 생태환경을 복원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축대옹벽블록을 설치함에 있어, 이웃되는 블록과의 체결력이 부족하고, 체결력이 부족함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 로서 인접되는 블록과 맞물려 결합되어 시공이 용이함과 동시에 체결력 또한 우수하며, 체결수단를 사용하여 블록을 횡방향으로 고정함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구조체의 내부를 구획 가능하도록 하여 별도의 블록을 추가하지 않고도 서로 다른 용도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호안블록 구조체는, 경사법면 등에 토사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 형상이 다각의 기하학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인접되는 블록과 치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축대옹벽블록과; 적층되는 상기 축대옹벽블록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결속시키기 위한 체결수단과; 상·하로 적층되는 상기 축대옹벽블록 사이에 구비되어 구조체 내부를 구획하는 사절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축대옹벽블록은, 모든 측면이 인접되는 다른 블록과 치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A형 축대옹벽블록과; 상·하측면 중 일 측면은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다른 측면은 인접되는 다른 블록과 치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구조체의 상측단 또는 하측단 마감블록으로 사용되는 B형 축대옹벽블록과; 좌·우측면 중 일 측면은 수직면으로 형성되고, 다른 측면은 인접되는 다른 블록과 치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구조체의 좌측단 또는 우측단 마감블록으로 사용되는 C형 축대옹벽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축대옹벽블록 구조체의 시공방법은, 시공 대상 경사법 면 하단부 지반을 정리하고 기초 잡석을 깔아 충분히 다짐한 후, 축대옹벽블록 구조체가 설치될 부위에 콘크리트와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기초 지반을 형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기초 지반 위에 다수의 B형 축대옹벽블록을 설치하는 바, 수평면이 지반과 접하도록 설치되며 인접되는 다른 B형 축대옹벽블록 좌우측면과 치합되도록 횡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한 후, 양 끝단을 C형 축대옹벽블록으로 마감하는 제 2 단계와; 토사 유실 방지용 흡출방지재를 상기 축대옹벽블록의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충분히 넓게 포설한 후, 축대옹벽블록의 배면과 경사법면 사이에 뒷채움재를 채우고 다짐하여 1단(段) 축조를 완성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1단 구조체 위에 다수개의 A형 축대옹벽블록을 설치한 후, 양 끝단을 C형 축대옹벽블록으로 마감하여 2단 축조를 완성하는 제 4 단계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1단 구조체와 2단 구조체가 일체형이 되도록 횡방향으로 고정하는 제 5 단계와; 축대옹벽블록 구조체의 용도에 따라 1단 구조체 또는 2단 구조체의 내부 일정높이까지 속채움재을 채워 다짐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1단에서 2단으로 축조하는 과정과 동일한 축대옹벽블록과 방식으로 설계 높이까지 계속 반복 수행하여 구조체를 다단으로 축조하는 제 7 단계와; 상기 제 7 단계를 거쳐 다단으로 축조된 구조체 위에 상기 B형 축대옹벽블록의 수평면이 상향되도록 설치한 후, 양측 끝단을 C형 축대옹벽블록으로 마감하여 축대옹벽블록 구조체의 축조를 완성하는 제 8 단계와; 상기 8단계가 완료된 후, 축대옹벽블록 구조체의 전면에는 필요에 따라 소관목, 야생화 등의 식물을 식재하고 복토하여 축대옹벽블록 구조체의 시공을 완료하는 제 9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축대옹벽블록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축대옹벽블록 구조체의 단면을 도시하며, 도 4는 상기 축대옹벽블록 구조체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축대옹벽블록 구조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축대옹벽블록 구조체(100)는 전면 형상이 다각의 기하학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인접되는 블록과 맞물려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축대옹벽블록(110)과, 적층되는 상기 축대옹벽블록(110)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결속시키기 위한 체결수단(120)과, 상·하로 적층되는 상기 축대옹벽블록(110) 사이에 구비되어 구조체 내부를 서로 다른 용도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사절판(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축대옹벽블록(110)을 자세히 살펴보면, 축대옹벽블록(110)을 구성하는 각 블록은 형상과 설치 위치 및 기능 등에 따라서 A형에서 C형까지 분리된다.
A형 축대옹벽블록(110a)은 모든 측면이 인접되는 다른 블록과 치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B형 축대옹벽블록(110b)은 축대옹벽블록 구조체(100)의 최하단 및 최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지반과 접촉이 넓어 구조적으로 안정될 수 있으며, 지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지면보다 돌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상·하측면 중 일 측면이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그 외 타 측면 및 좌·우측면은 인접되는 블록과 맞물려 결합 또는 적층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축대옹벽블록 구조체(100)가 설치되는 지반에는 기초 콘크리트가 타설되며, 상기 기초 콘크리트 상면에는 축대옹벽블록 구조체(100)의 수평을 잡기 위하여 시멘트 모르타르가 타설된다.
C형 축대옹벽블록(110c)은 상기 축대옹벽블록 구조체(100)의 좌우측면에 설치되어 마감블록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좌·우측면 중 일 측면은 수직면으로 형성되고, 그 외 타 측면 및 상·하측면은 인접되는 블록과 맞물려 결합 또는 적층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C형 축대옹벽블록(110c)이 최상단 및 최하단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지반 또는 지면과 수평이 유지되도록 단석(140)이 추가로 구비된다.
상기 축대옹벽블록(110)을 구성하는 각 블록(110a,110b,110c)의 형상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a ~ 5c는 상기 축대옹벽블록 구조체를 구성하는 A형 축대옹벽블록, B형 축대옹벽블록, C형 축대옹벽블록을 각각 도시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A형 축대옹벽블록(110a)은, 전면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자연석 문양의 인조석이 구비되는 제 1 벽판(111)과, 상기 제 1 벽판(111)의 후면에 대해 직각이 되도록 형성되며 제 1 벽판(111)의 상부와 하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연결부재(113)와, 상기 제 1 벽판(111)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연결부재(113)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벽판(115)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벽판(111)과 제 2 벽판(115)의 상·하면에는 인접되는 다른 블록과의 적층 조립이 용이하도록 결합돌기(117a)와 결합홈(117b)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13)의 상·하면에도 다른 블록과의 적층 조립이 용이하도록 경사면(117c)이 형성 되며, 상기 경사면의 양측에는 상기 사절판(130)이 삽입 가능하도록 단턱부(117d)가 형성된다.
B형 축대옹벽블록(110b)은, 전면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자연석 문양의 인조석이 구비되는 제 1 벽판(111)과, 상기 제 1 벽판(111)의 후면에 대해 직각이 되도록 형성되며 제 1 벽판(111)의 상부와 하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연결부재(113)와, 상기 제 1 벽판(111)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연결부재(113)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제 2벽판(115)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벽판(111)과 제 2 벽판(115)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일면은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수평면이 아닌 일면에는 인접되는 다른 블록과의 적층 조립이 용이하도록 결합돌기(117a)와 결합홈(117b)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13)의 수평면이 아닌 일면에도 다른 블록과의 적층 조립이 용이하도록 경사면(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의 양측에는 상기 사절판(130)이 삽입 가능하도록 단턱부(미도시)가 형성된다.
C형 축대옹벽블록(110c)은, 전면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자연석 문양의 인조석이 구비되는 제 1 벽판(111)과, 상기 제 1 벽판(111)의 후면에 대해 직각이 되도록 돌출되며 그 중심에 상기 체결수단(120)이 관통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체결공(118a,b)이 형성되는 측면벽판(119)과, 상기 제 1 벽판(111)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측면벽판(119)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벽판(115)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벽판(111)과 제 2 벽판(115)의 상·하면에는 인접되는 다른 블록과의 적층 조립이 용이하도록 결합돌기(117a)와 결합홈(117b)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면벽판(119)의 상·하면에도 다른 블록과의 적층 조립이 용이하도록 경사면(117c)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체결수단(120)은 적층되는 상기 각 블록(110a, 110b, 110c)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각 단의 양측 끝에 구비되는 C형 블록(110c)의 측벽면판(119)을 관통시켜 체결함에 따라 맞물려 결합되어 있는 각각의 블록을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수단(120)은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1단 구조체의 C형 축대옹벽블록(110c) 상부 체결공(118a)과 상기 1단 구조체 상부에 설치되는 2단 구조체의 C형 축대옹벽블록(110c) 하부 체결공(118b)을 관통하도록 체결함으로 축대옹벽블록 구조체(100)의 종방향으로도 고정 가능하게 된다.
또한, 사절판(130)은 구조체의 내부를 서로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하로 적층되는 상기 축대옹벽블록(110) 사이에 구비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축대옹벽블록 구조체의 정면도이고, 도 7a ~ 7c는 본 발명에 의한 축대옹벽블록 구조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7a는 본 발명에 의한 축대옹벽블록 구조체가 일반 경사법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7b는 해안 또는 하안의 법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7c는 도로의 경사면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축대옹벽블록 구조체(100)의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시공 대상 경사법면 하단부 지반을 정리하고 기초 잡석을 깔아 충분히 다짐한 후, 축대옹벽블록 구조체(100)가 설치되는 지반은 기초 콘크리트(201)를 타설하 고, 상기 기초 콘크리트(201) 상면에는 축대옹벽블록 구조체(100)의 수평을 잡기 위하여 시멘트 모르타르(203)를 타설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기초 지반 위에 다수의 B형 축대옹벽블록(110b)을 설치하는 바, 수평면이 지반과 접하도록 설치되며 인접되는 다른 B형 축대옹벽블록(110b) 좌우측면과 치합되도록 횡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한 후, 양 끝단을 C형 축대옹벽블록(110c)으로 마감한다.
횡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 B형과 C형 축대옹벽블록(110b, 110c)의 배면에 토사 유실 방지용 흡출방지재(205)를 충분히 넓게 포설한 후, 축대옹벽블록(110)의 배면과 경사법면 사이에 뒷채움재를 채우고 다짐하여 1단(段) 축조를 완성한다.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1단 구조체 위에 다수개의 A형 축대옹벽블록(110a)을 설치하고 양 끝단을 C형 축대옹벽블록(110c)으로 마감하여 2단 축조를 완성한 후, 체결수단(120)을 이용하여 상기 1단 구조체와 2단 구조체가 일체형이 되도록 횡방향으로 고정한다.
이때, 축대옹벽블록 구조체(100)의 용도에 따라 1단 구조체 또는 2단 구조체의 내부 일정높이까지 속채움재을 채워 다짐하고, 상기 1단에서 2단으로 축조하는 과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설계 높이까지 계속 반복 수행하여 축대옹벽블록 구조체(100)를 다단으로 축조한다.
상기 제 7 단계를 거쳐 다단으로 축조된 축대옹벽블록 구조체(100) 위에 상기 B형 축대옹벽블록(110b)의 수평면이 상향되도록 설치한 후, 양측 끝단을 C형 축대옹벽블록(110c)으로 마감하여 축대옹벽블록 구조체(100)의 축조를 완성한다.
상기 다단 축조가 완료된 후, 축대옹벽블록 구조체(100)의 전면에는 필요에 따라 소관목, 야생화 등의 식물을 식재하고 복토한다.
상기와 같이 시공된 축대옹벽블록 구조체(100)는 사절판(미도시)에 의해 그 내부가 별도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대옹벽블록 구조체(100)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공간은 어소공간(310) 또는 우수용 측구(320)로도 사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축대옹벽블록 구조체(100)의 안정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각 블록의 후면에 인서트(150)가 매입되는 바, 상기 인서트(150)는 종래의 축대옹벽블록에 적용되는 것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축대옹벽블록 구조체의 구성 및 설치방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은 인접되는 블록과 맞물려 결합되어 시공이 용이하고 체결력이 우수하며, 블록 간의 이음매가 보이지 않아 천연석으로 석축을 쌓은 것과 같은 미관을 주어 경관이 우수하다. 또한, 체결수단를 사용하여 블록을 횡방향으로 고정함에 따라 옹벽이 일체화되고, 속이 메워짐에 의해 구조체가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어 구조적 안정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절판이 구비되어 구조체의 내부를 구획하므로 구조체의 내부 공간을 서로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경사법면 등에 토사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단으로 설치되는 축대옹벽블록 구조체에 있어서,
    전면 형상이 다각의 기하학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인접되는 블록과 치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축대옹벽블록(110)과;
    적층되는 상기 축대옹벽블록(110)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결속시키기 위한 체결수단(120)과;
    상·하로 적층되는 상기 축대옹벽블록(110) 사이에 구비되어 구조체 내부를 구획하는 사절판(1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대옹벽블록(110)은,
    모든 측면이 인접되는 다른 블록과 치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A형 축대옹벽블록(110a)과;
    상·하측면 중 일 측면은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다른 측면은 인접되는 다른 블록과 치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구조체의 상측단 또는 하측단 마감블록으로 사용되는 B형 축대옹벽블록(110b)과;
    좌·우측면 중 일 측면은 수직면으로 형성되고, 다른 측면은 인접되는 다른 블록과 치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구조체의 좌측단 또는 우측단 마감블록으로 사용되는 C형 축대옹벽블록(110c);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형 축대옹벽블록(110a)과 B형 축대옹벽블록(110b)은,
    전면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자연석 문양의 인조석이 구비되는 제 1 벽판(111)과;
    상기 제 1 벽판(111)의 후면에 대해 직각이 되도록 형성되며, 제 1 벽판(111)의 상부와 하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연결부재(113)와;
    상기 제 1 벽판(111)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연결부재(113)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벽판(115);
    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형 축대옹벽블록(110c)은,
    전면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자연석 문양의 인조석이 구비되는 제 1 벽판(111)과;
    상기 제 1 벽판(111)의 후면에 대해 직각이 되도록 돌출되며, 그 중심에 상기 체결수단(120)이 관통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체결공(118)이 형성되는 측면벽판 (119)과;
    상기 제 1 벽판(111)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측면벽판(119)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벽판(115);
    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조체의 상면과 하면이 수평면을 형성하도록 구조체의 양측 상하단에 단석(140)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6. 모든 측면이 인접되는 다른 블록과 치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A형 축대옹벽블록(110a)과, 상·하측면 중 일 측면은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다른 측면은 인접되는 다른 블록과 치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B형 축대옹벽블록(110b)과, 좌·우측면 중 일 측면은 수직면으로 형성되고, 다른 측면은 인접되는 다른 블록과 치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C형 축대옹벽블록(110c)을 포함하는 축대옹벽블록과; 적층되는 상기 축대옹벽블록(110)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결속시키기 위한 체결수단(120)과; 상·하로 적층되는 상기 축대옹벽블록(110) 사이에 구비되어 구조체 내부를 구획하는 사절판(130);으로 구성되는 축대옹벽블록 구조체(100)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시공 대상 경사법면 하단부 지반을 정리하고 기초 잡석을 깔아 충분히 다짐한 후, 축대옹벽블록 구조체(100)가 설치될 부위에 콘크리트와 모르타르를 사용하 여 기초 지반을 형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기초 지반 위에 다수의 B형 축대옹벽블록(110b)을 설치하는 바, 수평면이 지반과 접하도록 설치되며 인접되는 다른 B형 축대옹벽블록(110b) 좌우측면과 치합되도록 횡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한 후, 양 끝단을 C형 축대옹벽블록(110c)으로 마감하는 제 2 단계와;
    토사 유실 방지용 흡출방지재(205)를 상기 축대옹벽블록(110)의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충분히 넓게 포설한 후, 축대옹벽블록(110)의 배면과 경사법면 사이에 뒷채움재를 채우고 다짐하여 1단(段) 축조를 완성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1단 구조체 위에 다수개의 A형 축대옹벽블록(110a)을 설치한 후, 양 끝단을 C형 축대옹벽블록(110c)으로 마감하여 2단 축조를 완성하는 제 4 단계와;
    체결수단(120)을 이용하여 상기 1단 구조체와 2단 구조체가 일체형이 되도록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고정하는 제 5 단계와;
    축대옹벽블록 구조체(100)의 용도에 따라 1단 구조체 또는 2단 구조체의 내부 일정높이까지 속채움재을 채워 다짐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1단에서 2단으로 축조하는 과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설계 높이까지 계속 반복 수행하여 축대옹벽블록 구조체(100)를 다단으로 축조하는 제 7 단계와;
    상기 제 7 단계를 거쳐 다단으로 축조된 축대옹벽블록 구조체(100) 위에 상기 B형 축대옹벽블록(110b)의 수평면이 상향되도록 설치한 후, 양측 끝단을 C형 축대옹벽블록(110c)으로 마감하여 축대옹벽블록 구조체(100)의 축조를 완성하는 제 8 단계와;
    상기 8단계가 완료된 후, 축대옹벽블록 구조체(100)의 전면에는 필요에 따라 소관목, 야생화 등의 식물을 식재하고 복토하여 축대옹벽블록 구조체(100)의 시공을 완료하는 제 9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대옹벽블록 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20040073583A 2004-09-14 2004-09-14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593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583A KR100593181B1 (ko) 2004-09-14 2004-09-14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583A KR100593181B1 (ko) 2004-09-14 2004-09-14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745A true KR20060024745A (ko) 2006-03-17
KR100593181B1 KR100593181B1 (ko) 2006-06-26

Family

ID=37130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583A KR100593181B1 (ko) 2004-09-14 2004-09-14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31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392B1 (ko) * 2006-09-29 2007-07-03 박상희 조경용 경계블럭
KR101038148B1 (ko) 2008-11-04 2011-05-31 이송원 인공 바위의 시공방법 및 상기 시공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공 바위
KR102189287B1 (ko) 2018-09-21 2020-12-09 허찬욱 폐콘크리트전신주 및 폐콘크리트침목을 이용한 축대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3181B1 (ko) 2006-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0517B1 (ko) 조립식 친환경 식생블록
KR101807504B1 (ko) 시공이 편리한 식생용 조립식 옹벽블록
KR101215838B1 (ko)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200345937Y1 (ko)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KR100402843B1 (ko) 블록식 녹화 옹벽
KR100593181B1 (ko)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736269B1 (ko) 수직 방향의 연속 통공이 형성되는 근입식 블록 옹벽 및 그시공방법
KR100631379B1 (ko) 환경 친화적인 보강토 옹벽용 조적식 식생 블록 및 이를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 방법
KR20050035846A (ko) 조립 패널 옹벽
KR100349863B1 (ko) 호안용 블록 및 그를 이용한 자연형 호안시공법
KR200394946Y1 (ko) 환경식생 옹벽블록
KR100994426B1 (ko) 사면보강형 조경블럭
KR100574778B1 (ko) 식생 보강토 옹벽 블록
KR100794221B1 (ko) 친환경 식생옹벽
KR100720928B1 (ko) 친환경적인 건축단지용 옹벽구조
KR100746128B1 (ko) 식생공간을 포함하는 견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견치블록의축조방법
JP3774459B2 (ja) 組立柵工
KR100950092B1 (ko)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770559B1 (ko) 옹벽축조 구조물
KR100951125B1 (ko) 볏짚 층이 부착된 환경친화형 조립식 호안블록
KR200420342Y1 (ko) 환경 친화적인 보강토 옹벽용 조적식 식생 블록
KR200352991Y1 (ko) 사면 보호용 식생 호안 블럭 구조물
KR20100001736U (ko) 식재 가능한 절토사면 옹벽 구조
KR101070304B1 (ko) 옹벽용 식생 축조블록
KR100313441B1 (ko) 식생토구조물및동구조물의축조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823

Effective date: 2010111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0100002140; REJECTION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823

Effective date: 2010111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823

Effective date: 2012060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010000214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823

Effective date: 20120605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200005776;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705

Effective date: 20130117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200005776;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705

Effective date: 20130117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221

Effective date: 2013112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3100000409;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221

Effective date: 2013112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3200009942;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1219

Effective date: 20140703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3200009942;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1219

Effective date: 20140703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724

Effective date: 20141113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4300001471;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724

Effective date: 201411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