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287B1 - 폐콘크리트전신주 및 폐콘크리트침목을 이용한 축대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폐콘크리트전신주 및 폐콘크리트침목을 이용한 축대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287B1
KR102189287B1 KR1020180113676A KR20180113676A KR102189287B1 KR 102189287 B1 KR102189287 B1 KR 102189287B1 KR 1020180113676 A KR1020180113676 A KR 1020180113676A KR 20180113676 A KR20180113676 A KR 20180113676A KR 102189287 B1 KR102189287 B1 KR 102189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concrete
unit structure
pair
sleepers
slee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4203A (ko
Inventor
허찬욱
Original Assignee
허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찬욱 filed Critical 허찬욱
Priority to KR1020180113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287B1/ko
Publication of KR20200034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16Cribb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폐콘크리트전신주 및 폐콘크리트침목을 이용한 축대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개시된 축대시공방법은 a) 경사지의 전방에 소정 폭으로 터파기한 후, 터파기한 부분에 잡석을 깔아준 다음, 상기 잡석 위에 제1폐콘크리트전신주들과 제1폐콘크리트침목을 직교되게 배열하여 기초부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기초부 위에 전후로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한 쌍의 제2폐콘크리트침목을 설치하고, 상기 제2폐콘크리트침목 양단 위로 한 쌍의 제3콘크리트침목을 올려 사각틀형태의 제1단위구조체를 형성하며, 상기 제1단위구조체 위로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한 쌍의 제4폐콘크리트침목을 설치하고, 상기 제4폐콘크리트침목 양단 위로 한 쌍의 제5폐콘크리트침목을 올려 사각틀형태의 제2단위구조체를 형성하며, 상기 제2단위구조체 위에 전후로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제6폐콘크리트침목을 올리고, 상기 한 쌍의 제6폐콘크리트침목 위에 직교되게 전후로 제2폐콘크리트전신주를 설치하고 채움토를 채워 제1적층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콘크리트전신주 및 폐콘크리트침목을 이용한 축대시공방법{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waste concrete poles and waste concrete sleepers}
본 발명은 면에 토사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경사지에 벽을 쌓아올리는 축대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콘크리트전신주 및 폐콘크리트침목을 이용하여 경사지에 벽을 쌓아올리는 축대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축대란 절토사면 등의 경사지에 토사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여 경사면의 안정화를 이루도록 쌓아올린 벽으로서, 축대는 경사지에 돌을 쌓아 토양을 지지하는 전통적 방식으로서 견치석, 성각돌과 같은 가공석 또는 자연석을 축조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된 축대블록을 축조하고 그 배면에 채움토로 채우거나 모르타르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화시키는 방식으로 실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축대는 가공석이나, 자연석 또는 축대블록의 사용에 따른 재료비 상승으로 인해 시공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축대들은 모두 토사 유출방지에 중점을 두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집중호우 등의 천재지변에는 쉽게 무너지는 등의 한계가 있었으며, 특히, 주변 자연경관이나 생태계에 대한 고려에는 미흡한 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0593181호 등록특허 10-1083947호 공개실용신안 20-2018-000243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종래의 자연석이나 축대블록을 대신하여 폐콘크리트전신주 및 폐콘크리트침목을 이용하여 축대를 시공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월등히 재료비를 줄여 전체적인 시공비 절감을 실현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체적인 내구성이 강하여 집중호우에도 쉽게 무너지지 않으며 식물들이 자연경관과 조화롭게 심어져 외관의 심미성까지도 향상될 수 있도록 개선된 형태를 갖는 폐콘크리트전신주 및 폐콘크리트침목을 이용한 축대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폐콘크리트전신주 및 폐콘크리트침목을 이용한 축대시공방법은 a) 경사지의 전방에 소정 폭으로 터파기한 후, 터파기한 부분에 잡석을 깔아준 다음, 상기 잡석 위에 제1폐콘크리트전신주들과 제1폐콘크리트침목을 직교되게 배열하여 기초부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기초부 위에 전후로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한 쌍의 제2폐콘크리트침목을 설치하고, 상기 제2폐콘크리트침목 양단 위로 한 쌍의 제3콘크리트침목을 올려 사각틀형태의 제1단위구조체를 형성하며, 상기 제1단위구조체 위로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한 쌍의 제4폐콘크리트침목을 설치하고, 상기 제4폐콘크리트침목 양단 위로 한 쌍의 제5폐콘크리트침목을 올려 사각틀형태의 제2단위구조체를 형성하며, 상기 제2단위구조체 위에 전후로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제6폐콘크리트침목을 올리고, 상기 한 쌍의 제6폐콘크리트침목 위에 직교되게 전후로 제2폐콘크리트전신주를 설치하고 채움토를 채워 제1적층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단위구조체의 전단과 상기 제2단위구조체의 전단 사이, 상기 제2단위구조체의 전단과 상기 한 쌍의 제6폐콘크리트침목 중 전단의 제6폐콘크리트침목 사이 및, 상기 제6폐콘크리트침목 상단에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생블록을 설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단위구조체는 상기 기초부위에 좌우로 연속적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단위구조체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는 상기 제2단위구조체는 상기 제1단위구조체 위에 좌우로 연속적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c) 상기 경사지의 높이에 따라, 상기 제1적층부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2적층부를 상기 b) 단계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제1적층부 위에 형성시키는 제2적층부 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 상기 경사지의 높이에 따라, 상기 제1적층부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3적층부를 상기 b) 단계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제2적층부 위에 형성시키는 제3적층부 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적층부는 상기 제1적층부의 수직상부에 형성되도록 시공되고, 상기 제3적층부는 상기 제2적층부의 후방상부에 형성되도록 시공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존과는 다르게 자연석이나 별도로 제작된 전용의 축대블록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폐콘크리트 전신주와 폐콘크리트침목을 이용하여 축대를 시공하는 것으로서 재료비를 줄여 전체적인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폐콘크리트전신주와 폐콘크리트침목을 이용하여 축대를 시공하므로 시공비용절감이 이루어지면서도, 경사지의 전방에 터파기 후 잡석을 깔고 폐콘크리트전신주와 폐콘크리트침목을 서로 직교되게 배열하여 기초부를 형성시킨 후, 그 위에 폐콘크리트침목과 폐콘크리트전신주를 이용해 제1적층부 및/또는 제2,3적층부를 시공하는 방식이므로, 기초부가 매우 견고하고 안정적이어서 전체적인 축대의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2,3적층부 각각은 전후로 한 쌍의 폐콘크리트침목 위에 좌우로 한 쌍의 폐콘크리트침목을 올려 서로 결속와이어나 결속바등으로 결합한 사각틀 형태의 제1단위구조체를 시공하고, 그 위에 제1단위구조체와 동일한 구조의 제2단위구조체를 시공하며, 그 위로 폐콘크리트침목과 폐콘크리트전신주를 직교되게 시공하고, 채움토를 채우는 방식으로 시공되므로, 축대의 구조의 안전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단위구조체의 전단부와 제2단위구조체의 전단부 사이, 제2단위구조체의 전단부와 그 위에 설치된 폐콘크리트침목 사이 등에 식생블록이 끼움결합형태로 설치되어 식생블록에 식물이 식재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축대 자체의 외관이 자연경관과 잘 어울리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수직 콘크리트 옹벽은 지진시 또는 겨울철에 땅이 얼었다가 해동될 때에 균열이 쉽게 발생하여 안전성이 떨어지나, 본 발명의 폐콘크리트전신주 및 폐콘크리트침목을 이용한 축대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축대는 폐콘크리트전신주 및 폐콘크리트침목들로 결속한 구조라서 기존에 비해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폐콘크리트전신주 및 폐콘크리트침목을 이용한 축대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축대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를 따라 나타낸 본 발명의 축대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축대의 제1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B를 따라 나타낸 본 발명의 축대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축대의 제2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축대시공방법에서 기초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축대시공방법에 이용되는 폐콘크리트침목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폐콘크리트전신주와 폐콘크리트침목의 결합형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축대시공방법에서 기초부 위에 설치되는 제1적층부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참고로 도 8은 도면의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폐콘크리트의 숄더를 생략하여 폐콘크리트침목을 간략화해 표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폐콘크리트침목에는 숄더가 구비되어져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축대시공방법에서 제1적층부의 시공 중 폐콘크리트침목들 간에 결합상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일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축대시공방법에 이용되는 식생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축대시공방법에서 식생블록의 설치상태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축대시공방법에서 좌우 이웃하는 두 식생블록의 연결상태를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폐콘크리트전신주 및 폐콘크리트침목을 이용한 축대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콘크리트전신주 및 폐콘크리트침목을 이용한 축대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축대시공방법은 절토사면 등의 경사지 전방에 축대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기초부(p1)를 형성하는 단계, 기초부(p1) 위에 제1적층부(p2)를 형성하는 단계, 제1적층부(p2) 위에 제2적층부(p3)를 형성하는 단계, 제2적층부(p3) 위에 제3적층부(p4)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은 경사지의 높이에 따라 기초부(p1)와 제1적층부(p2) 까지만, 시공될 수 있고, 경사지의 높이가 높을 경우, 제2적층부(p3)나, 제2적층부(p3) 및 제3적층부(p4)까지도 시공될 수 있으며, 그 이상의 적층부가 시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기초부(p1)를 형성하는 단계는 경사지(4)의 전방 지면(4a)에 전후방향으로 폐콘크리트침목의 길이만큼 터파기한 후, 경사지(4)의 전방 지면(4a)에 잡석(5)을 깔고 다짐작업하고, 잡석(5) 위에 제1폐콘크리트전신주(10)를 배설하고, 이 제1폐콘크리트전신주(10) 위에 제1폐콘크리트침목(12)을 배설함으로써 기초부(p1)를 형성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1폐콘크리트전신주(10)는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며, 복수개가 전후로 연속되게 병렬로 나란히 배열되도록 설치되며, 제1폐콘크리트침목(12)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되, 복수개가 좌우로 연속되게 병렬로 나란히 배열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제1폐콘크리트침목(12)들은 제1폐콘크리트전신주(10)에 직교되도록 배치된다.
통상적으로 침목은 소정간격으로 나열하여 그 위에 철도레일을 깔고 정착시킴으로써 철도레일과 철도레일 사이의 간격을 정확하게 유지시키고 철도레일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며, 침목은 통상적으로 콘크리트침목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침목에는 레일을 고정시키기 위해 숄더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초부(p1)의 시공시, 제1폐콘크리트침목(12)에 직교배열된 제1폐콘크리트전신주(10)들 중에서, 제1폐콘크리트침목(12)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숄더(s) 사이에 배치된 제1폐콘크리트전신주(10)는 철사 등의 결속와이어(w)를 한 쌍의 숄더(s)을 연결하도록 결속시켜 줌으로써 제1폐콘크리트침목(1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아울러, 서로 직교하는 제1폐콘크리트전신주(10)들과 제1폐콘크리트침목(12)들은 제1폐콘크리트침목(12)에 형성된 숄더(s)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철사등의 결속와이어를 이용해 서로 묶어줌으로써 결합시킬 수 있다.
제1적층부(p2)를 형성하는 단계는 기초부(p1) 위에 1단의 제1적층부(p2)를 형성시키기 위한 과정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전후로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한 쌍의 제2폐콘크리트침목(14) 양단부 위로 한 쌍의 제3폐콘크리트침목(16)을 올려 사각틀 형태의 제1단위구조체(c1)를 형성하며, 이러한 제1단위구조체(c1)는 기초부(p1)의 상단에 좌우방향으로 연속하게 배열되도록 설치된다.
제1단위구조체(c1)들의 상부에는 제1단위구조체(c1)들과 동일한 구조의 제2단위구조체(c2)들이 적층되며 좌우로 연속하게 배열되도록 설치된다.
즉, 제2단위구조체(c2)는 전후로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한 쌍의 제4폐콘크리트침목(18) 양단부 위로 한 쌍의 제5폐콘크리트침목(20)을 올린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제2단위구조체(c2)는 제1단위구조체(c1) 상단에 적층된 형태로 시공된다.
다시말해, 제1단위구조체(c1)의 한 쌍의 제3폐콘크리트침목(16) 위로 전후 이격되게 한 쌍의 제4폐콘크리트침목(18)을 올려 설치한 후, 그 위에 좌우로 이격되게 한 쌍의 제5폐콘크리트침목(20)을 올려 제1단위구조체(c1)와 동일한 사각틀형태의 제2단위구조체(c1)가 제1단위구조체(c1) 위에 올려지도록 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2단위구조체(c2)는 제1단위구조체(c1) 위에 좌우로 연속적으로 배열되도록 시공될 수 있다.
폐콘크리트침목은 중간높이부터 상부로 갈수록 점점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전방에 위치하는 제2폐콘크리트침목(14), 제4폐콘크리트침목(18), 제6폐콘크리트침목(22)은 폭이 좁은 상단이 아래쪽으로 가도록 뒤집어진 형태로 설치되며, 나머지 후방에 위치하는 제2폐콘크리트침목(14), 제4폐콘크리트침목(18), 제6폐콘크리트침목(22)과 제3폐콘크리트침목(16) 및 제5폐콘크리트침목(20) 모두는 폭이 좁은 상단이 윗쪽으로 가도록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2 내지 제5폐콘크리트침목(14,16,18,20)들 중 서로 직각되게 교차되는 두 폐콘크리트침목은 철사, 볼트너트, 결속바 등의 체결구를 통해 서로 결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도 9 및 도 10과 같이, "ㄱ" 형태의 결속바(k)를 서로 직교하는 두 폐콘크리트침목의 숄더(s)에 끼운 후, 결속바(k)의 끝단에 형성된 볼트부(b)에 너트(n)를 체결하여 조여줌으로써, 서로 직교되게 배치된 두 폐콘크리트침목(14,16,18,20)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서로 직교되게 배치된 두 폐콘크리트침목(14,16,18,20)들을 결속바(k)를 이용하여 볼팅체결하여 결합시키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직교되게 배치된 두 폐콘크리트침목(14,16,18,20)을 철사등의 결속와이어로 묶어서 서로 직교되게 결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1단위구조체(c1)들 위에 제2단위구조체(c2)들을 적층시공하기 전에, 제1단위구조체(c1)에서 전방에 좌우로 배치된 제2폐콘크리트침목(14)의 상단에 식생블록(30)들을 올려놓고, 식생블록(30)에 작은 꽃나무 등의 식물(f)을 심은 후에 제2단위구조체(c2)들을 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식생블록(30)들은 제1단위구조체(c1)의 전단에 있는 제2폐콘크리트침목(14)과 제2단위구조체(c2)의 전단에 있는 제4폐콘크리트침목(18) 사이에 끼워져 있는 형태로 설치되게 된다.
도 3, 도 4 및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식생블록(30)은 상하가 개방된 사각통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다수의 격판(33)에 의해 복수의 구획공간(32)으로 나뉘도록 구성되며, 상단면과 하단면에는 각각 상단레일홈부(r1)과 하단레일홈부(r2)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하단레일홈부(r2)에는 제1단위구조체(c1)의 전단에 있는 제2폐콘크리트침목(14)이 끼워지게 되고, 상단레일홈부(r1)에는 제2단위구조체(c2)의 전단에 있는 제4폐콘크리트침목(18)이 끼워지게 된다.
아울러, 식생블록(30)의 우측면에는 끼움돌기부(37)가 돌출형성되고, 좌측면에는 끼움홈부(38)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식생블록(30)을 제1단위구조체(c1)의 전단에 있는 제2폐콘크리트침목(14)의 상단에 좌우로 연속하게 설치하는 경우, 이웃하는 두 식생블록(30)은 도 13과 같이, 좌측의 식생블록(30)의 끼움돌기부(37)가 우측의 식생블록(30)의 끼움홈부(38)에 끼워져 안정적인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식생블록(30)은 저면 후단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식생블록(30)의 설치시 도 12와 같이,식생블록(30)과 폐콘크리트침목(18) 사이에 부직포(39)를 설치하되, 부직포(39)의 후측부가 아래쪽의 식생블록(30)의 후단부를 덮도록 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비가 오더라도 식생블록(30)과 폐콘크리트침목(18)의 후측에 채워진 채움토(26)가 앞쪽으로 흘러 토사가 유실되는 것은 막아주면서도 빗물은 부직포(39)를 통과하여 식생블록(30)과 폐콘크리트침목 앞쪽으로 흘러 배수될 수 있어 전체적인 축대의 투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측의 식생블록(30)으로 유입된 빗물이 하측의 식생블록(30)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면서, 하측의 식생블록(30)의 후방측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함으로써 빗물의 투수가 잘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식생블록(30)은 거푸집에 재료를 넣고 양생시켜 자체제작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재료비를 줄이기 위하여 폐콘크리트전신주나 폐콘크리트침목을 적당한 크기로 분쇄하여 시멘트와 섞어 거푸집에 넣고 양생시켜 제작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제1적층부(p2)를 형성하는 단계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식생블록(30)들을 제2단위구조체(c2)들의 전단에 위치한 제4폐콘크리트침목(18) 위에 좌우로 배열되게 설치하고, 제2단위구조체(c2)들의 상단 전후에 좌우방향으로 한 쌍의 제6폐콘크리트침목(22)을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단에 위치한 제4폐콘크리트침목(18)과 전단에 위치한 제6폐콘크리트침목(22) 사이에 좌우로 배열된 식생블록(30)들이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단에 위치한 제6폐콘크리트침목(22) 위에 직교되게 전후로 제2콘크리트폐전신주(24)를 설치한다. 여기서 제2콘크리트폐전신주(24)는 한 쌍의 제6폐콘크리트침목(22)들에 직교되게 배치되며, 경사지(4)까지 닿을 수 있는 길이로 재단된 것이 사용되어 후단이 경사지(4)까지 닿도록 연장되게 설치될 수 있다(도 2참조). 아울러, 제2폐콘크리트전신주(24)는 좌우방향으로 2개 또는 1개씩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그 사이에는 전방에 위치한 제6폐콘크리트침목(22) 위에 제2재생블록(30')들을 올려 설치할 수 있으며, 제2재생블록(30')에 식물들을 심을 수 있다. 여기서 제2재생블록(30')은 제1재생블록(30)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단지 사이즈가 다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기초부(p1)의 상부에 제1단위구조체(c1), 제2단위구조체(c2) 및 제6폐콘크리트침목(22), 제2폐콘크리트전신주(24), 재생블록(30), 제2재생블록(30')들의 지지구조물을 형성시킨 다음, 채움토(26)을 채워줌으로써 제1적층부(p2)의 시공이 완료된다.
아울러, 상기 제1적층부(p2)의 상부로 제1적층부(p2)와 동일한 구조의 제2적층부(p3)와 제3적층부(p4)를 순차적으로 시공할 수 있다.
즉, 상기의 제1적층부(p2)를 형성하는 단계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2적층부(p3)를 시공할 수 있으며, 제2적층부(p3) 위로 제1적층부(p2)를 형성하는 단계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3적층부(p4)를 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과 같이, 제2적층부(p3)는 제1적층부(p2)의 수직상부에 형성되도록 시공할 수 있으며, 제3적층부(p4)는 제2적층부(p3)의 후방상부에 형성되도록 시공할 수 있다.
이때, 제2적층부(p3), 제3적층부(p4)의 상단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폐콘크리트전신주(24',24'')들은 경사지(4)의 경사도에 따라 경사지(4)에 닿을 정도로 재단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전후로 설치된 폐콘크리트전신주(24,24',24'')들이 토압에 의해 제1적층부(p2),제2적층부(p3),제적층부(p4)들이 전방으로 무너져내리는 것을 막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과는 전혀 다르게 자연석이나 별도로 제작된 전용의 축대블록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폐콘크리트 전신주와 폐콘크리트침목을 이용하여 축대를 시공하는 것으로서 재료비를 대폭절감하여 전체적인 공사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경사지(4)의 전방에 터파기 후 잡석(5)을 깔고 폐콘크리트전신주(10)와 폐콘크리트침목(12)을 서로 직교되게 배열하여 기초부(p1)를 형성시킨 후, 그 위에 폐콘크리트침목과 폐콘크리트전신주를 이용해 제1적층부(p2) 및/또는 제2,3적층부(p3,p4)를 시공하므로 기초가 매우 견고하고 안정적이어서 전체적인 축대의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제1적층부(p2) 및 제2,3적층부(p3,p4)는 전후로 한 쌍의 폐콘크리트침목 위에 좌우로 한 쌍의 폐콘크리트침목을 올려 서로 결속와이어(w)나 결속바(k) 등으로 결합한 사각틀 형태의 제1단위구조체(c1)를 기초부(p1) 위에 좌우로 연속 배열되게 시공하고, 그 위에 제1단위구조체(c1)와 동일한 구조의 제2단위구조체(c2)를 좌우로 연속배열되게 시공하며, 그 위로 제6폐콘크리트침목(22)과 제2폐콘크리트전신주(24)를 직교되게 시공한 후, 채움토(26)를 채우는 방식으로 시공되므로, 축대의 구조가 매우 안전화되어 전체적인 축대의 안전성이 더욱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단위구조체(c1)의 전단부와 제2단위구조체(c2)의 전단부 사이에 식생블록(30)이 끼움결합형태로 설치되고, 제2단위구조체(c2)의 전단부와 제6폐콘크리트침목(22) 사이에도 식생블록(30)이 끼움결합형태로 설치되며, 제6폐콘크리트침목(22) 위에도 식생블록(30')이 설치되어, 이 식생블록(30,30')들에 식물(f)을 심어 가꿀 수 있으므로, 시공된 축대의 외관이 미려해지면서도 자연경관과 잘 어울리게 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5...잡석
10...제1폐콘크리트전신주
12...제1폐콘크리트침목
14...제2폐콘크리트침목
16...제3폐콘크리트침목
18...제4폐콘크리트침목
20...제5폐콘크리트침목
22...제6폐콘크리트침목
24...제2폐콘크리트전신주
26...채움토
30,30'...식생블록
32...구획공간
33...다수의 격판
37...끼움돌기부
38...끼움홈부
p1...기초부
p2...제1적층부
p3...제2적층부
p4...제3적층부

Claims (6)

  1. a) 경사지의 전방에 소정 폭으로 터파기한 후, 터파기한 부분에 잡석을 깔아준 다음, 상기 잡석위에 제1폐콘크리트전신주들을 좌우방향으로 배치하되 전후로 연속되게 병렬로 나란히 배열되도록 설치하며, 제1폐콘크리트침목들은 상기 제1폐콘크리트전신주 위에 직교되도록 배열하여 기초부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기초부 위에 전후로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한 쌍의 제2폐콘크리트침목을 설치하고, 상기 제2폐콘크리트침목 양단 위로 한 쌍의 제3콘크리트침목을 올려 사각틀형태의 제1단위구조체를 형성하며, 상기 제1단위구조체 위로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한 쌍의 제4폐콘크리트침목을 설치하고, 상기 제4폐콘크리트침목 양단 위로 한 쌍의 제5폐콘크리트침목을 올려 사각틀형태의 제2단위구조체를 형성하며, 상기 제2단위구조체 위에 전후로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제6폐콘크리트침목을 올리고, 상기 한 쌍의 제6폐콘크리트침목 위에 직교되게 전후로 제2폐콘크리트전신주를 설치하고 채움토를 채워 제1적층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제1폐콘크리트침목에 직교배열된 상기 제1폐콘크리트전신주들 중에서, 상기 제1폐콘크리트 침목의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숄더 사이에 배치된 제1폐콘크리트전신주는 철사로 이루어진 결속와이어를 상기 한 쌍의 숄더를 연결하도록 결속시켜줌으로써 상기 제1폐콘크리트침목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단위구조체의 전단과 상기 제2단위구조체의 전단 사이, 상기 제2단위구조체의 전단과 상기 한 쌍의 제6폐콘크리트침목 중 전단의 제6폐콘크리트침목 사이 및, 상기 제6폐콘크리트침목 상단에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생블록을 설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식생블록의 설치시 상기 식생블록과 상기 폐콘크리트침목 사이에 부직포를 설치하되 부직포의 후측부가 아랫쪽의 식생블록의 후단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식생블록은 상하가 개방된 통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다수의 격판에 의해 복수의 구획공간으로 나뉘도록 구성되며, 상단면과 하단면에는 각각 상단레일홈부와 하단레일홈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하단레일홈부에는 상기 제1단위구조체의 전단에 있는 제2폐콘크리트침목이 끼워지고, 상기 상단레일홈부에는 상기 제2단위구조체의 전단에 있는 제4폐콘크리트침목이 끼워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식생블록의 우측면에는 끼움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좌측면에는 끼움홈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좌우 이웃하는 두 식생블록은 일측 식생블록의 끼움돌기부와 타측식생블록의 끼움홈부가 서로 끼움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전신주 및 폐콘크리트침목을 이용한 축대시공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단위구조체는 상기 기초부위에 좌우로 연속적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단위구조체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는 상기 제2단위구조체는 상기 제1단위구조체 위에 좌우로 연속적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전신주 및 폐콘크리트침목을 이용한 축대시공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c) 상기 경사지의 높이에 따라, 상기 제1적층부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2적층부를 상기 b) 단계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제1적층부 위에 형성시키는 제2적층부 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전신주 및 폐콘크리트침목을 이용한 축대시공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d) 상기 경사지의 높이에 따라, 상기 제1적층부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3적층부를 상기 b) 단계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제2적층부 위에 형성시키는 제3적층부 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전신주 및 폐콘크리트침목을 이용한 축대시공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적층부는 상기 제1적층부의 수직상부에 형성되도록 시공되고, 상기 제3적층부는 상기 제2적층부의 후방상부에 형성되도록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전신주 및 폐콘크리트침목을 이용한 축대시공방법.
KR1020180113676A 2018-09-21 2018-09-21 폐콘크리트전신주 및 폐콘크리트침목을 이용한 축대시공방법 KR102189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676A KR102189287B1 (ko) 2018-09-21 2018-09-21 폐콘크리트전신주 및 폐콘크리트침목을 이용한 축대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676A KR102189287B1 (ko) 2018-09-21 2018-09-21 폐콘크리트전신주 및 폐콘크리트침목을 이용한 축대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203A KR20200034203A (ko) 2020-03-31
KR102189287B1 true KR102189287B1 (ko) 2020-12-09

Family

ID=70002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676A KR102189287B1 (ko) 2018-09-21 2018-09-21 폐콘크리트전신주 및 폐콘크리트침목을 이용한 축대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2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31220B (zh) * 2020-11-12 2022-06-10 中国铁道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铁道建筑研究所 一种使用废旧混凝土轨枕的挡墙及其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864Y1 (ko) * 2000-01-13 2000-06-15 김용언 폐침목을 이용한 격자옹벽
KR100442049B1 (ko) * 2002-04-15 2004-07-30 한재명 폐전주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KR100593181B1 (ko) 2004-09-14 2006-06-26 주식회사 세영콘크리트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083947B1 (ko) 2009-07-27 2011-11-15 주식회사 동호 축대 또는 옹벽용 블록 시스템과 그 축조방법
KR20110086930A (ko) * 2010-01-25 2011-08-02 임춘석 장방형 콘크리트체 또는 폐 침목을 활용한 점 형태의 힌지 체결식 격자형사면 보호 블록 및 이를 활용한 사면 보호 공법
KR101149362B1 (ko) * 2010-07-02 2012-05-30 홍순권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하여 축조된 옹벽, 계단형 옹벽 및 옹벽 축조방법
KR20180002439U (ko) 2017-02-03 2018-08-13 산천조경주식회사 옹벽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203A (ko)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7395A (en) Pre-cast, reinforced concrete retaining wall system
EA021863B1 (ru) Экологичная озеленительная стена и способ ее сооружения
CN104379841A (zh) 夹层板、建造这种夹层板的方法、这种夹层板的芯部以及由多个这种夹层板建造的建筑物
KR102189287B1 (ko) 폐콘크리트전신주 및 폐콘크리트침목을 이용한 축대시공방법
CN103835310A (zh) 一种框格式重力挡土墙
CN211368308U (zh) 一种透水性园林路面
CN108004866A (zh) 一种预制混凝土道路体系及施工方法
KR100402843B1 (ko) 블록식 녹화 옹벽
KR100843330B1 (ko) 계단식 식생호안블록
JP2014095216A (ja) ユニット化された土のう
KR101696663B1 (ko) 안전난간과 토목섬유 매트를 이용한 가시설 옹벽 시공방법
KR101582865B1 (ko) 지반 토사 유실방지를 위한 다기능 식생프레임 구조체
JP6240625B2 (ja) 擁壁、造成地及び造成地の造成方法
WO2018012986A1 (en) Free-standing module-based wall construction for retaining wall, fence, noise-deflection wall, windbreak or similar
CN208309301U (zh) 高速铁路加筋土挡墙路基接触网基础预留孔构造
KR101024064B1 (ko) 사면절토 옹벽용 블록 시공방법
KR102194293B1 (ko) 옹벽구조물
JP2002294713A (ja) 木材パネル、土留部材および木材固定工法
KR101313778B1 (ko) 각재로 만들어진 전방수직지지대를 이용한 보강토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601126B1 (ko) 선반식 녹화 옹벽의 앵커링 구조
KR100993505B1 (ko) 조립식 식생 방음벽 담장용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2006630B1 (ko) 전통 담장 보강용 구조물, 이를 포함하는 전통 담장 및 이의 시공방법
CN210066776U (zh) 护坡砖及公路路基护坡墙
KR200345934Y1 (ko) 선반식 녹화 옹벽의 앵커링 구조
JP2010150764A (ja) 緑化路面形成用ブロック及び該ブロックを敷設した緑化路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