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439U - 옹벽 블록 - Google Patents

옹벽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439U
KR20180002439U KR2020170000589U KR20170000589U KR20180002439U KR 20180002439 U KR20180002439 U KR 20180002439U KR 2020170000589 U KR2020170000589 U KR 2020170000589U KR 20170000589 U KR20170000589 U KR 20170000589U KR 20180002439 U KR20180002439 U KR 201800024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lock
block
rear unit
vertical direction
retain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5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영
박정필
Original Assignee
산천조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천조경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산천조경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05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439U/ko
Priority to PCT/KR2017/005891 priority patent/WO2017213406A1/ko
Publication of KR201800024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43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옹벽 블록에 관한 것으로, 옹벽 축조시 전방 단위블록과 이 전반 단위블록의 측부 또는 상하부로 후방 단위블록을 견고하게 끼워 맞춤식으로 조립하여 격자무늬 배열되고, 격자무늬 배열된 하나 이상의 전방 단위블록과 하나 이상의 후방 단위블록 사이에 마감 블록을 장착하여 옹벽의 전면에 다양한 연출 시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전방 단위블록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을 갖추거나 다양한 크기의 후방 단위블록을 통해 옹벽을 굴곡되게 배열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옹벽 블록 {Retaining wall block}
본 고안은 옹벽 블록, 특히 전면 연출 시공이 가능한 옹벽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비탈면이나 하천 변의 사면에 유실을 막기 위해서 옹벽용 블록을 시공하고 있다.
옹벽용 블록은 특허문헌 1에 제안되었듯이 토지 또는 절개지에 토사의 유실로 인한 변형 및/또는 붕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어, 하나의 옹벽블록 구조를 반복적으로 격자로, 즉 어긋나게 배열하여 다단의 옹벽 축조를 가능하게 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옹벽용 블록은 동일한 형상의 옹벽블록을 전술된 바와 같이 서로 교차시켜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지만 매우 단순한 패턴으로만 시공될 수밖에 없다. 또한, 종래기술의 옹벽용 블록은 절개지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두께방향으로 별도의 구배없이 수직방향으로만 적층되어 있어 신뢰할 수 있는 지지력을 확보하는데 한계를 가질 수밖에는 없을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36565호
본 고안은 옹벽 축조시 전방 단위블록과 이 전방 단위블록의 측부 또는 상하부로 후방 단위블록을 견고하게 끼워 맞춤식으로 조립하는 옹벽 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덧붙여서, 본 고안은 전방 단위블록과 후방 단위블록을 격자무늬로 배열하고, 전방 단위블록 간의 이격 공간에 다양한 문양과 무늬를 갖춘 마감 블록의 장착을 통해 옹벽 블록의 전면을 다양하게 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옹벽 블록은, 전면과, 양 단부에 소정의 각도로 모따기되어 있는 경사면을 갖춘 후면, 외부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반원통형상의 오목부를 갖춘 좌측면, 및 외부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반원통형상의 오목부를 갖춘 우측면을 구비한 전방 단위블록과; 양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반원통형상의 전방 돌기부와, 외부면의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 및 상부와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용홈을 갖춘 전면과, 양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반원통형상의 후방 돌기부를 갖춘 후면, 전방 돌기부의 후방에 배치된 대응 경사면과, 이 대응 경사면과 후방 돌기부 사이에 형성된 안착부를 갖춘 좌측면, 및 전방 돌기부의 후방에 배치된 대응 경사면과, 이 대응 경사면과 후방 돌기부 사이에 형성된 안착부를 갖춘 우측면을 구비한 제1 후방 단위블록; 수용홈에 삽입되어 전방 단위블록의 내부공간으로 뻗는 연결핀; 및 전면에 다양한 문양 혹은 무늬를 갖춘 장식 패널을 탈착가능하게 구비하고,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갖춘 패널 형상의 마감 블록;으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제1 후방 단위블록의 반원통형상의 전방 돌기부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전방 단위블록에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반원통형상의 오목부에 수용되어, 제1 후방 단위블록이 전방 단위블록을 회동가능하게 지지보유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전방 단위블록은 전면과 후면 사이를 가로지르는 제1 구획벽과; 제1 구획벽과 직교되게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를 가로지르는 제2 구획벽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전방 단위블록은 반원통형상의 오목부와 제2 구획벽을 일직선상에 배열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전방 단위블록은 제2 구획벽의 상부 또는 하부에 오목형상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제1 후방 단위블록은 좌측면의 상부와 우측면의 상부에 유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양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반원통형상의 전방 돌기부와, 외부면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 및 상부와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용홈을 갖춘 전면과, 양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반원통형상의 후방 돌기부와, 외부면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 및 상부와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용홈을 갖춘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구비한 제2 후방 단위블록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제2 후방 단위블록은 제1 후방 단위블록보다 좌우 길이방향으로 길게 신장되어 있기 때문에, 제2 후방 단위블록은 옹벽 블록에서 오목형상으로 굴곡 배열을 가능하게 돕는다.
본 고안은 양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반원통형상의 전방 돌기부와, 외부면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 및 상부와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용홈을 갖춘 전면과, 양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반원통형상의 후방 돌기부와, 외부면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 및 상부와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용홈을 갖춘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구비한 제3 후방 단위블록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제3 후방 단위블록은 제1 후방 단위블록보다 좌우 길이방향으로 짧게 신장되어 있기 때문에, 제3 후방 단위블록은 옹벽 블록에서 불록형상으로 굴곡 배열을 가능하게 돕는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고안의 설명에 의하면, 본 고안은 하나 이상의 전방 단위블록과 하나 이상의 후방 단위블록을 상호 교호적으로 끼워 맞춤식으로 조립되어 격자무늬로 배열된다.
본 고안은 후방 단위블록에 위치고정된 마감 블록을 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전방 단위블록 사이에 배치하여 옹벽의 전면을 다양하게 연출하여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토지 또는 절개지의 굴곡에 맞춰 일직선 뿐만 아니라 오목하게 혹은 볼록하게 옹벽을 굴곡 배열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전방 단위블록과 후방 단위블록을 상호 회동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어 옹벽 축조시 토지 또는 절개지의 형상에 맞춰 굴곡을 제공할 수 있다.
덧붙여서, 본 고안은 다양한 크기의 후방 단위블록을 수단으로 하여 토지 또는 절개지의 굴곡과 일치되게 옹벽을 굴곡 배열시킬 수 있다.
특별하기로, 본 고안은 토지 또는 절개토를 향해 배면으로 후방 단위블록을 끼움 맞춤식으로 확장시켜, 토사의 무게를 지탱하는 한편 옹벽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옹벽 블록의 축조상태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a)는 전방 단위블록을 전면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전방 단위블록을 후면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a)는 후방 단위블록을 전면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b)는 후방 단위블록을 후면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옹벽 블록의 전방 단위블록과 후방 단위블록의 조립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최하단에 배치된 옹벽 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례에 따른 후방 단위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례에 따른 후방 단위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다양한 굴곡형상으로 시공된 옹벽 블록의 축조상태를 도해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옹벽 블록은 토지 또는 절개지에 토사의 유실로 인한 변형 및/또는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축조방식으로 시공되는 조적식 벽체(壁體) 구조물이다.
바람직하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옹벽 블록은 전방 단위블록(100)과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을 수평방향으로 결합하여 하단 열을 구성하고, 다시 전방 단위블록(100)과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을 순차적으로 결합한 다른 열을 앞서 기술된 하단 열의 상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적층하여 벽체를 형성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의 옹벽 블록은 옹벽의 횡방향(혹은 수평방향)을 따라 전방 단위블록(100)과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을 교호적(交互的)으로 조립하는 한편, 옹벽의 종방향(혹은 수직방향)을 따라 전방 단위블록(100)과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을 교대로 적층하여 쌓는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옹벽 축조시 전방 단위블록(100)과, 이 전방 단위블록(100)의 측부 및/또는 상하부에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을 견고하게 끼워 맞춤식으로 조립하도록 설계되어, 다수의 전방 단위블록과 다수의 후방 단위블록을 격자무늬로 배열할 수도 있다.
도 2는 옹벽의 전면에 노출되는 전방 단위블록을 개략적으로 도해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단위블록(100)은 전면(110)과 이와 마주보는 후면(120), 좌측면(130)과 이와 마주보는 우측면(140), 및 전면(110)과 후면(120) 사이를 가로지르는 제1 구획벽(150), 및 제1 구획벽(150)과 직교되게 좌측면(130)과 우측면(140) 사이를 가로지르는 제2 구획벽(160)을 구비한다. 전방 단위블록(100)은 전면(110)과, 후면(120), 좌측면(130), 및 우측면(140)으로 한정된 내부공간에서 십(十)자로 배열된 제1 및 제2 구획벽(150,160)을 통해 2개의 전방 격실(170)과 2개의 후방 격실(180)로 구분된다. 제1 구획벽(150)은 전방 단위블록(100)의 전후면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대한 응력을 제공하여 전방 단위블록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2 구획벽(160)은 전방 단위블록(100)의 측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대한 응력을 제공하여 전방 단위블록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격실(170)과 후방 격실(180)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골재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옹벽 축조시 전방 단위블록(100)은 전방 격실과 후방 격실에 골재(미도시)를 채워 넣어 블록의 중량감을 확보할 수 있다. 물론, 전방 격실과 후방 격실에는 골재 이외에 흙으로 충전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좌측면(130)은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의 전방 돌기부(214;도 3 참조)를 회동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외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반원통형상의 오목부(131)를 구비한다.
좌측면과 대응되게, 우측면(140)은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의 전방 돌기부(213;도 3 참조)를 회동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외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반원통형상의 오목부(141)를 구비한다.
본 고안은 전방 단위블록(100)의 후면(120)의 양 단부에 소정의 각도로 모따기되어 있는 경사면(121)을 갖는다. 경사면(121)은 도시되었듯이 후면(120)과 오목부(131,141) 사이에 개재된다. 만약 전방 단위블록(100)이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의 전면(210)에 각각 형성된 반원통형상의 돌기부(213,214)를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동하게 되는 경우에, 전방 단위블록(100)의 후면에 경사면(121)을 제공하지 않는다면 전방 단위블록(100)의 좌측면(130) 및/또는 우측면(140)이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의 우측면(240) 및/또는 좌측면(230)에 접촉되어 회동이동을 제한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덧붙여서, 전방 단위블록(100)은 전방 격실(170)과 후방 격실(180)을 유체연통가능하도록 제2 구획벽(160)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오목형상의 유로(166)를 구비한다. 유로(166)는 아래에 기술된 바와 같이 물의 이동경로로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공급용 배선의 안내경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전방 단위블록(100) 사이에 맞물려져 결합하고 마감 블록을 지지보유할 수 있는 후방 단위블록을 개략적으로 도해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은 전면(210)과 이와 마주보는 후면(220), 좌측면(230)과 이와 마주보는 우측면(240), 및 전면(210)과 후면(220) 사이를 가로지르는 제3 구획벽(250)를 구비한다.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은 전면(210)과, 후면(220), 좌측면(230), 및 우측면(240)으로 한정된 내부공간에서 제3 구획벽(250)을 통해 2개의 제3 격실(260)로 구분하여 이중 격실로 형성되되, 제3 격실(260)은 배수 및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쇄석 및/또는 토양 등으로 채우기 위해 상면과 하면을 개방한 관통 구조를 갖는다. 제3 구획벽(250)은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의 전후면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대한 응력을 제공하여 후방 단위블록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의 전면(210)은 외부면의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211)을 구비한다. 또한,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의 전면(210)은 이의 양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길이연장된 반원통형상의 전방 돌기부(213,214)를 구비한다. 이와 대응되게,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의 후면(220)은 이의 양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길이연장된 반원통형상의 후방 돌기부(213a,214a)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전방 돌기부(213,214) 사이의 길이(L11)는 후방 돌기부(213a,214a) 사이의 길이(L12)보다 작아야 한다.
전면(210)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핀(500;도 4 참조)의 삽입을 허용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용홈(215)을 구비한다. 수용홈(215)은 연결핀(500)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용홈의 깊이는 연결핀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하여 연결핀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한다.
덧붙여서,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의 전면(210)은 인접하게 배치된 전방 단위블록(100) 간의 이격공간에 대응되는 폭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전방 단위블록(100)을 지지하는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은 전방 단위블록(100)과 동일 높이로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230)은 전방 돌기부(213)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떨어져 전방 단위블록(100)의 경사면(212)과 마주보도록 대응 경사면(231)을 구비하는 한편, 대응 경사면(231)과 후방 돌기부(213a) 사이에 안착부(232)를 구비한다. 추가로, 좌측면(230)은 이의 상부에 유로(236)를 구비하여 제1 하방 단위블록(200)의 외부와 제3 격실(260)을 유체연통가능하게 한다.
좌측면과 대응되게, 우측면(240)은 전방 돌기부(214)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전방 단위블록(100)의 경사면(212)과 마주보도록 대응 경사면(241)을 구비하는 한편, 대응 경사면(241)과 후방 돌기부(214a) 사이에 안착부(242)를 구비하다. 추가로, 우측면(240)은 이의 상부에 유로(246)를 구비하여 하방 단위블록(200)의 외부와 제3 격실(260)을 유체연통가능하게 한다.
다시 말하자면, 제1 후방 단위블록(200)도 전방 단위블록(100)의 회동을 돕도록 횡방향으로 배열된 전방 단위블록(100)의 경사면과 대향되는 좌우측면에 전술된 바와 같이 대응 경사면(231,241)을 배치하게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옹벽 블록은 도 4를 참조로 하여 옹벽의 횡방향 그리고 종방향을 따라 전방 단위블록(100)과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
횡방향 조립시,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이 성토체 혹은 절개부의 전면에 배치되고,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의 양측면에 각 전방 단위블록(100)을 배치한다.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은 성토체 전면에서 변위되지 않게 수용홈(215)에 삽입된 연결핀(500)에 메쉬형태의 지오그리드(미도시)의 일 단부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듯이, 지오그리드의 타 단부는 성토체 내부에 전개된 상태로 매설되어 성토체와의 마찰 저항을 이용하여 축조된 옹벽의 변위를 구속할 수 있게 된다.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의 반원통형상의 전방 돌기부(213)는 전방 단위블록(100)의 반원통형상의 오목부(141)에 배치하는 한편, 이와 상응하게 반원통형상의 전방 돌기부(214)는 타 전방 단위블록(100)의 반원통형상의 오목부(131)에 배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전방 단위블록(10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의 반원통형상의 전방 돌기부(213,214)는 전면의 양 단부에 형성되고, 전방 돌기부(213,214)를 전방 단위블록(100)의 측면(130,140)에 형성된 오목부(131,141)에 끼워 넣고 있어 전방 단위블록(100)은 제1 후방 단위블록(200) 보다 전면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동시에 소정의 각도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마감 블록(300)은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의 전면(210)에 결합되어 옹벽의 전면을 마감 연출할 수 있다. 마감 블록(300)은 이의 후면에 결합돌기(301)를 형성한 패널형상으로 형성되되, 마감 블록(300)의 전면은 다양한 문양 혹은 무늬를 갖춘 장식 패널(310)을 배치한다. 장식 패널(310)은 마감 블록(300)의 전면에서 탈장착될 수도 있다. 이는 다양한 문양 혹은 무늬를 갖춘 다른 장식 패널(310)을 마감 블록(300)의 전면에서 쉽게 교체할 수 있을 것이다.
전방 단위블록(100)과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을 횡방향으로 결합하여 하단 열을 구성한 다음에 하단 열의 상부에 다른 열을 적층하는 종방향 조립시, 하단 열에 배치된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은 수용홈(215)에 연결핀(500)을 장착한다. 상단에 배치될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은 하단 열에서 이격되게 배치된 2개의 제1 후방 단위블록(200) 간의 이격 공간 위에 배치하는데, 구체적으로 일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의 우측면(240)과 타 후방 블록(200)의 좌측면(230) 상에 안착되도록 한다. 상단에 배치될 전방 단위블록(100)은 하단 열에 배치된 제1 후방 단위블록(200)에 장착된 연결핀(500)을 전방 격실(170)에 삽입하여, 다시 말하자면 제2 구획벽(160) 전방측과 접촉되게 배치하여 수직방향으로 지그재그 배열된 각각의 전방 단위블록들을 확실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기로, 전방 단위블록(100)은 대향되게 배치된 반원통형상의 오목부(131,141)와 제2 구획벽(160)을 일직선상에 배열하도록 한다.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제2 구획벽(160)은 전방 단위블록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형성된 반원통형상의 오목부보다 후단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는 반원통형상의 오목부(131,141) 내부로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의 전방 돌기부(213,214)를 배치함으로써, 후방 단위블록의 전면(210)이 수평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전방 단위블록(100)의 제2 구획벽(160)과 일직선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1 후방 단위블록 아래에 배치된 전방 단위블록(100)의 제2 구획벽(160) 상에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의 전면(210)을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적층배열은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의 제3 격실(260)과 전방 단위블록(100)의 후방 격실(180)를 수직되게 배열시킬 수 있어, 예컨대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의 제3 격실(260)에 충전된 물이 하부에 배열된 전방 단위블록(100)의 후방 격실(180)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옹벽 블록은 전면으로 돌출된 전방 단위블록(100)과 배면을 향해 움푹 들어간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을 횡방향으로 끼움결합한다. 종방향 결합시, 전방 단위블록(100)의 상부에는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을 배치하고 이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의 상부에는 전방 단위블록(100)을 배치하여, 전방 단위블록(100)과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이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되도록 한다.
이는 결과적으로 전방 단위블록(100)과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을 격자무늬로 배열하게 될 것이다.
덧붙여서, 본 고안은 마감 블록(300)을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의 전면에 위치고정하고, 종방향으로 배열된 전방 단위블록(100)의 전면(11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물론, 마감 블록(300)은 횡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열된 전방 단위블록(100)의 측면에 의해 횡방향 이동도 제한된다.
본 고안은 앞서 기술된 조립단계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조립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5는 도 1의 최하단 열에 배치된 옹벽 블록의 평면도로서, 횡방향으로 이격되게 전방 배치된 제1 후방 단위블록(200) 사이에 맞물려 결합되어 후방으로 확장되어 있는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을 개략적으로 도해하고 있다.
본 고안은 앞서 전술된 바와 같이 성토체 또는 절개토의 전면에서 수직 벽체로 축조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성토체 또는 절개토를 향한 배면으로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을 끼움 맞춤식으로 확장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수평배열은 옹벽의 무게와 성토체(혹은 절개토) 등의 토사의 무게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옹벽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기초 저면을 확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전방에 이격배치된 2개의 제1 후방 단위블록(200) 사이에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을 배면 방향으로 확장결합할 수 있다.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의 반원통형상의 전방 돌기부(213)는 전방에 배치된 일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의 안착부(242)에 배치되는 한편, 이와 상응되게 반원통형상의 전방 돌기부(214)는 전방에 배치된 타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의 안착부(232)에 배치한다. 다시 말하자면, 전방에 배치된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의 후방 돌기부(213a,214a)는 후방에 배치될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의 전방 돌기부(213,214)와 대응 경사면(231,241) 사이에 수용된다. 전방에 배치된 후방 단위블록의 후방 돌기부(213a)와 후방에 배치된 후방 단위블록의 전방 돌기부(213)가 상호 맞물릴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이로써, 전방에 인접하게 배치된 2개의 후방 단위블록 사이에 다른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을 배면을 향해 확장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은 다른 형상의 제2 후방 단위블록(200')의 평면도이다. 제2 후방 단위블록(200')은 옹벽 블록에서 오목형상으로 굴곡 배열을 가능하게 돕는다. 제2 후방 단위블록(200')는 전면(210')과, 전면과 마주보는 후면(220'), 좌측면(230'), 및 좌측면과 마주보는 우측면(240')을 구비한다.
제2 후방 단위블록(200')의 전면(210')은 외부면의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211')을 구비하고, 이의 양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길이연장된 반원통형상의 전방 돌기부(213',214')를 구비한다. 이와 대응되게, 제2 후방 단위블록(200')의 후면(220')은 외부면의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221')을 구비하고, 이의 양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길이연장된 반원통형상의 후방 돌기부(213a',214a')를 구비한다. 결합홈(211',221')은 도 4에 도시된 마감 블록(300)의 결합돌기(301)를 수용하여, 제2 후방 블록 앞에서 마감 블록의 지지보유를 가능하게 한다. 제2 후방 단위블록은 전면과 후면 사이를 가로지르는 구획벽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제2 후방 단위블록(200')의 전방 돌기부(213',214') 사이의 길이(L21)는 후방 돌기부(213a',214a') 사이의 길이(L22)보다 작지만,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의 후방 돌기부(213a,214b) 사이의 길이(L12)보다 길게 신장되어 있다. 제2 후방 단위블록(200')의 폭 길이와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의 폭 길이의 차이를 통해 옹벽 블록을 오목형상으로 굴곡지게 배열할 수 있다.
덧붙여서, 전방 돌기부의 길이(L21) 또는 후방 돌기부의 길이(L22)는 오목형상의 굴곡부의 곡률에 맞춰 전방 단위블록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예컨대 곡률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전방 돌기부(213',214')를 전방 단위블록(100) 사이에 개재하는 반면에 곡률 크기가 큰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후방 돌기부(213a',214a')를 전방 단위블록(100) 사이에 개재할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형상의 제3 후방 단위블록(200")의 평면도이다. 제3 후방 단위블록(200")은 옹벽 블록에서 볼록형상으로 굴곡 배열을 가능하게 돕는다. 제3 후방 단위블록(200")은 전면(210")과, 전면과 마주보는 후면(220"), 좌측면(230"), 및 좌측면과 마주보는 우측면(240")을 구비한다.
제3 후방 단위블록(200")의 전면(210")은 외부면의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211")을 구비하고, 이의 양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길이연장된 반원통형상의 전방 돌기부(213",214")를 구비한다. 이와 대응되게, 제3 후방 단위블록(200")의 후면(220")은 외부면의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221")을 구비하고, 이의 양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길이연장된 반원통형상의 후방 돌기부(213a",214a")를 구비한다. 결합홈(211",221")은 도 4에 도시된 마감 블록(300)의 결합돌기(301)를 수용하여, 제3 후방 블록 앞에서 마감 블록의 지지보유를 가능하게 한다.
제3 후방 단위블록(200")의 전방 돌기부(213",214") 사이의 길이(L31)는 후방 돌기부(213a",214a") 사이의 길이(L32)보다 크지만,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의 후방 돌기부(213a,214b) 사이의 길이(L12)보다 작게 신장되어 있다. 제3 후방 단위블록(200")의 폭 길이와 제1 후방 단위블록(200)의 폭 길이의 차이를 통해 옹벽 블록을 볼록형상으로 굴곡지게 배열할 수 있다.
덧붙여서, 전방 돌기부의 길이(L31) 또는 후방 돌기부의 길이(L32)는 볼록형상의 굴곡부의 곡률에 맞춰 전방 단위블록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예컨대 곡률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전방 돌기부(213",214")를 전방 단위블록(100) 사이에 개재하는 반면에 곡률 크기가 큰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후방 돌기부(213a",214a")를 전방 단위블록(100) 사이에 개재할 수 있다.
도 8은 제1 후방 단위블록(200)과 제2 후방 단위블록(200') 및 제3 후방 단위블록(200")을 채용하여 옹벽 블록의 굴곡지게 축조한 상태를 도해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방 단위블록(100) 사이에 마감 블록(300)을 통해 장식 패널의 문양 혹은 무늬를 통해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토지 또는 절개지의 형상에 따라 오목 혹은 볼록하게 다양한 각도로 굴곡가능하게 조적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상 본 고안은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옹벽 블록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전방 단위블록,
121 ----- 경사면,
131,141 ----- 오목부,
200,200',200" ----- 후방 단위블록,
213,213',213",214,214',214" ----- 전방 돌기부,
213a,213a',213a",214a,214a',214a" ----- 후방 돌기부,
300 ----- 마감 블록,
500 ----- 연결핀.

Claims (7)

  1. 전면과, 양 단부에 소정의 각도로 모따기되어 있는 경사면을 갖춘 후면, 외부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반원통형상의 오목부를 갖춘 좌측면, 외부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반원통형상의 오목부를 갖춘 우측면을 구비한 전방 단위블록과;
    양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반원통형상의 전방 돌기부와, 외부면의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 및 상부와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용홈을 갖춘 전면과, 양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반원통형상의 후방 돌기부를 갖춘 후면, 상기 전방 돌기부의 후방에 배치된 대응 경사면과, 상기 대응 경사면과 상기 후방 돌기부 사이에 형성된 안착부를 갖춘 좌측면, 및 상기 전방 돌기부의 후방에 배치된 대응 경사면과, 상기 대응 경사면과 상기 후방 돌기부 사이에 형성된 안착부를 갖춘 우측면을 구비한 제1 후방 단위블록;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전방 단위블록의 내부공간으로 뻗는 연결핀; 및
    전면에 다양한 문양 혹은 무늬를 갖춘 장식 패널을 탈착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갖춘 패널 형상의 마감 블록;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 후방 단위블록의 반원통형상의 전방 돌기부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기 전방 단위블록에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상기 반원통형상의 오목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1 후방 단위블록이 상기 전방 단위블록을 회동가능하게 지지보유하는 전면 연출 시공이 가능한 옹벽 블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 단위블록은,
    상기 전면과 후면 사이를 가로지르는 제1 구획벽과;
    상기 제1 구획벽과 직교되게 상기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를 가로지르는 제2 구획벽을 갖춘 옹벽 블록.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방 단위블록은 상기 반원통형상의 오목부와 상기 제2 구획벽을 일직선상에 배열하는 옹벽 블록.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방 단위블록은 상기 제2 구획벽의 상부 또는 하부에 오목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는 옹벽 블록.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방 단위블록은 상기 좌측면의 상부와 상기 우측면의 상부에 유로를 구비하는 옹벽 블록.
  6. 청구항 1에 있어서,
    양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반원통형상의 전방 돌기부와, 외부면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 및 상부와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용홈을 갖춘 전면과, 양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반원통형상의 후방 돌기부와, 외부면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 및 상부와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용홈을 갖춘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구비한 제2 후방 단위블록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제2 후방 단위블록은 상기 제1 후방 단위블록보다 좌우 길이방향으로 길게 신장되어 있는 옹벽 블록.
  7. 청구항 1에 있어서,
    양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반원통형상의 전방 돌기부와, 외부면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 및 상부와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용홈을 갖춘 전면과, 양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반원통형상의 후방 돌기부와, 외부면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 및 상부와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용홈을 갖춘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구비한 제3 후방 단위블록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제3 후방 단위블록은 상기 제1 후방 단위블록보다 좌우 길이방향으로 짧게 신장되어 있는 옹벽 블록.
KR2020170000589U 2016-06-08 2017-02-03 옹벽 블록 KR20180002439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589U KR20180002439U (ko) 2017-02-03 2017-02-03 옹벽 블록
PCT/KR2017/005891 WO2017213406A1 (ko) 2016-06-08 2017-06-07 옹벽블록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589U KR20180002439U (ko) 2017-02-03 2017-02-03 옹벽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439U true KR20180002439U (ko) 2018-08-13

Family

ID=63207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589U KR20180002439U (ko) 2016-06-08 2017-02-03 옹벽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439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373B1 (ko) * 2018-11-05 2019-05-20 산천조경주식회사 적층식 옹벽블록 조립체
KR20200034203A (ko) 2018-09-21 2020-03-31 허찬욱 폐콘크리트전신주 및 폐콘크리트침목을 이용한 축대시공방법
KR102390543B1 (ko) 2021-08-27 2022-04-25 강병준 보강토 옹벽용 콘크리트 블록
KR102564283B1 (ko) * 2022-12-05 2023-08-07 박정식 지오그리드가 제외된 구성을 갖는 옹벽 블록 구조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6565A (ko) 2015-05-20 2016-11-30 김보환 옹벽용 블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6565A (ko) 2015-05-20 2016-11-30 김보환 옹벽용 블록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203A (ko) 2018-09-21 2020-03-31 허찬욱 폐콘크리트전신주 및 폐콘크리트침목을 이용한 축대시공방법
KR101980373B1 (ko) * 2018-11-05 2019-05-20 산천조경주식회사 적층식 옹벽블록 조립체
KR102390543B1 (ko) 2021-08-27 2022-04-25 강병준 보강토 옹벽용 콘크리트 블록
KR20230031766A (ko) 2021-08-27 2023-03-07 강병준 보강토 옹벽용 콘크리트 블록
KR102564283B1 (ko) * 2022-12-05 2023-08-07 박정식 지오그리드가 제외된 구성을 갖는 옹벽 블록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2439U (ko) 옹벽 블록
US6701687B1 (en) Modular wall block with mechanical course connector
CA2463704C (en) Wall block, system and method
CA2279771C (en) Block assembly and wall constructed therefrom
KR200429651Y1 (ko)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
EP3118377B1 (en)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KR100683972B1 (ko) 블록식 보강토 옹벽
KR200381301Y1 (ko) 옹벽 축조용 조립식 블록
KR20100111647A (ko) 보강토블록
KR101661350B1 (ko) 옹벽블록 조립체
KR101276761B1 (ko) 내진용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WO2014022637A1 (en) Structural unit and positioning member
KR100401173B1 (ko) 옹벽용 블록
KR20220100121A (ko) 조립식 옹벽블럭 및 옹벽시공방법
KR20060089367A (ko) 연결식 옹벽축조용 블록
ES2705625T3 (es) Conjunto constructivo para la construcción de paredes y muros
KR200354134Y1 (ko) 블록식 보강토 옹벽
KR20120003971U (ko) 조립식 옹벽블록
KR20060082388A (ko) 옹벽 축조용 조립식 블록
KR101724077B1 (ko) 보강토 옹벽
JP2006207174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擁壁
KR200245413Y1 (ko)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
KR20130043650A (ko) 옹벽블록
JP4194185B2 (ja) 護岸ブロック
KR101784779B1 (ko) 고정홈을 구비한 조립식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축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