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1532A - 투수가능한 이피디엠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투수가능한 이피디엠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1532A
KR20090061532A KR1020070128565A KR20070128565A KR20090061532A KR 20090061532 A KR20090061532 A KR 20090061532A KR 1020070128565 A KR1020070128565 A KR 1020070128565A KR 20070128565 A KR20070128565 A KR 20070128565A KR 20090061532 A KR20090061532 A KR 20090061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dm
gravel
block
construction method
rub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길택
Original Assignee
(주)가이아 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가이아 글로벌 filed Critical (주)가이아 글로벌
Priority to KR1020070128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1532A/ko
Publication of KR20090061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5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피디엠이 포설되는 바닥에 식생블록들을 밀접하게 결속고정시켜 설치 바닥면을 식생블록들로 세분화함으로써 각 식생블록 내부에 채워져 다짐된 자갈은 공극률에 의한 변동이 그 식생블록 단위면적 내에 한정되므로 침하 또는 수평이동 등의 변동이 바닥면에서 부분적으로 극히 미미하게 이루어져 바닥면의 견고성을 확보하여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이피디엠 시공 후 지반침하 등 하자발생을 줄일 수 있는 투수가능한 이피디엠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설치장소의 지반 위에 잡석을 고르게 분포시켜 다짐하는 단계;
상기 다짐된 잡석 위에 수납실을 갖는 복수 개의 블록을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밀접하게 결속 고정하여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고정된 블록의 각 수납실에 자갈을 고르게 채운 후 다짐하는 단계;
상기 다짐된 자갈 위에 바인더와 혼합된 폐타이어를 포설하는 단계; 및
상기 폐타이어 상부에 바인더와 혼합된 EPDM을 포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70128565
블록, 식생블록, 고무칩, 이피디엠(EPDM), 공극

Description

투수가능한 이피디엠 시공방법{Method carrying out EDPM passing water}
본 발명은 이피디엠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피디엠이 포설되는 바닥에 식생블록들을 밀접하게 결속고정시켜 설치 바닥면을 식생블록들로 세분화함으로써 각 식생블록 내부에 채워져 다짐된 자갈은 공극률에 의한 변동이 그 식생블록 단위면적 내에 한정되므로 침하 또는 수평이동 등의 변동이 바닥면에서 부분적으로 극히 미미하게 이루어져 바닥면의 견고성을 확보하여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이피디엠 시공 후 지반침하 등 하자발생을 줄일 수 있는 투수가능한 이피디엠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어린이 놀이터, 공원, 고수부지, 조깅코스 또는 자전거 전용도로 등과 같이 사람들의 보행이나 자전거 주행이 행해지는 장소는 부상을 방지하면서도 조경 목적을 위해 탄성을 갖는 표층재를 포설하고 있다.
표층재로 사용되는 소재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thylene propylene rubber)가 대표적이며, 이는 이피디엠(EPDM)이라고 불리우고 있다.
종래의 EPDM 시공방법은 도 1과 같이 지반(1) 상부에 잡석(2)을 일정두께로 다짐하고, 상기 다짐된 잡석(2) 위에는 콘크리트(3)를 타설 양생하여 바닥면을 견고하게 하며,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3) 상부에 바인더와 혼합된 폐타이어(4)를 포설하여 완충성능을 높이고, 상기 폐타이어(4) 상부에 고무칩이라 불리는 표층재인 EPDM(5)을 포설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EPDM 시공방법은 EPDM이 포설되는 바닥면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콘크리트(3)를 타설하고 있으나, 콘크리트(3)는 물을 통과시키는 기능, 즉 투수 기능이 없기 때문에 환경 또는 생태적인 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다시 말해, 타설된 콘크리트(3)는 투수성이 없기 때문에 빗물의 지하유입을 차단하여 지하수 충진을 방해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지하수 부족현상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어 지하수에 의존하는 식물의 서식조건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강우시 지하로 유입되지 못한 빗물은 급격히 불어나 강이나 하천 등으로 흐르게 되므로 강이나 하천이 범람하는 등 홍수를 일으켜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빈번하게 유발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3)의 불투성으로 지반에 수분이 부족하게 되면 날씨가 더운 여름철에 대지가 건조하여 온도가 상승하고 이로 인하여 도시열섬화(열대야) 현상이 심화되어 여름철 무더위를 극복하기가 힘든 현실적인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이피디엠 시공방법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이피디엠이 포설되는 바닥에 식생블록들을 밀접하게 결속고정시켜 설치 바닥면을 식생블록들로 세분화함으로써 각 식생블록 내부에 채워져 다짐된 자갈은 공극률에 의한 변동이 그 식생블록 단위면적 내에 한정되므로 바닥면의 견고성을 확보하여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이피디엠 시공 후 지반침하 등 하자발생을 줄일 수 있는 투수가능한 이피디엠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투수가능한 이피디엠 시공방법은,
설치장소의 지반 위에 잡석을 고르게 분포시켜 다짐하는 단계;
상기 다짐된 잡석 위에 수납실을 갖는 복수 개의 블록을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밀접하게 결속 고정하여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고정된 블록의 각 수납실에 자갈을 고르게 채운 후 다짐하는 단계;
상기 다짐된 자갈 위에 바인더와 혼합된 폐타이어를 포설하는 단계; 및
상기 고무칩 상부에 바인더와 혼합된 EPDM을 포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EPDM 시공방법은 EPDM이 포설되는 바닥면을 복수 개의 식생블록으로 세분화하고 상기 세분화된 식생블록 내부에 자갈을 채워 다짐하게 되므로, EPDM 시공 후 사용에 의한 수직압력을 받은 자갈은 공극율에 의해 위치가 변동되는데, 이때 자갈은 식생블록 내부에 수납된 상태이므로 그 수납공간 내의 한정된 범위 내에서 변동된다.
그러므로, EPDM이 포설되는 바닥면은 식생블록으로 세분화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다짐된 자갈은 전체 바닥면에 대해 부분적으로 미세하게 변동되므로 변동공차가 누적되지 않아 바닥면의 견고성이 확보된다.
따라서, 자갈 상부에 포설되는 EPDM은 바닥면이 견고하게 되므로 시공 후 자갈의 변동에 의해 침하현상 또는 벌어지는 크랙현상 등의 하자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 유지 보수가 간편하고 재시공에 따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EPDM 시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라 EPDM이 포설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원내부를 확대하여 식생블록의 결속상태를 보인 상세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핀이 접착제에 의해 부착고정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 식생블록과 이를 이용하여 EPDM이 시공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 식생블록과 이를 이용하여 EPDM이 시공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EPDM 시공방법 순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EPDM 시공방법은 EPDM 이 시공되는 바닥면을 식생블록으로 세분화하여 그 내부에 수납된 자갈이 다짐된 후 공극율에 의해 위치가 변동되어도 식생블록 내부에서 미세하게 변동되므로 변동공차가 누적되지 않아 설치장소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EPDM 시공방법은, 설치장소의 지반(10) 위에 잡석(20)을 고르게 분포시켜 다짐하는 단계(S1);
상기 다짐된 잡석(20) 위에 수납공간(31)을 갖는 복수 개의 식생블록(30)을 고정수단(70)을 이용하여 서로 밀접하게 결속 고정하여 배치시키는 단계(S2);
상기 고정된 식생블록(30)의 각 수납공간(31)에 자갈(40)을 고르게 채운 후 다짐하는 단계(S3);
상기 다짐된 자갈(40) 위에 바인더와 혼합된 폐타이어(50)를 포설하는 단계(S4); 및
상기 폐타이어(50) 상부에 바인더와 혼합된 EPDM(60)을 포설하는 단계(S5);를 포함한다.
상기 잡석(20)을 다짐하는 단계(S1)는 투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반(10) 상부에 잡석(20)을 고르게 분포시키고 포크레인 또는 다짐롤과 같은 중장비를 이용하여 배치된 잡석(20)을 가압하여 다짐하는 것이다.
상기 잡석(20)은 그 상부에 포설되는 크기가 작은 자갈(40)이 지반(10)에 매립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대략 지름이 1-3cm 정도의 것이 좋으며, 두께약 약 10-20cm가 되게 다짐한다.
상기 잡석(20)은 그 상부에 자갈(40)이 포설되므로, 그의 공극율이 자갈(40)의 변동에 영향을 미치므로 공극율이 작게 다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짐된 잡석(20) 위에 식생블록(30)들을 고정하는 단계(S2)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식생블록(30)은 식물에 양분을 제공하는 토양이 채워지는 수납공간(31)이 구비되는 공지의 것으로, 수납공간(31)은 토양에 공급되는 물이 배수되게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식생블록(30)들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결속핀(72)에 의해 서로 밀접하게 결속 고정되어 EPDM(60)이 포설되는 바닥면을 세분화하게 된다. 따라서 식생블록(30)의 수납공간(31)에 채워진 자갈(40)이 공극율에 의해 침하되거나 또는 수평 이동하는 등의 변동이 발생되더라도 수납공간(31) 내부의 범위 내에서 변동되므로 이는 곧 EPDM(60)이 설치되는 바닥면 전역에 걸쳐 변동이 발생하지 않고 해당 영역에 국부적으로 발생하여 바닥면의 안정을 기할 수 있다.
상기 식생블록(30)은 종래에도 옹벽 축조용, 호안용 등 여러 가지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고 있으며,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다각형 형상을 갖는 2가지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일 실시예 식생블록(30)은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사각형태의 블록(30a)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재질은 부식되지 않는 콘크리트, 합성수지재, 비철금속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조가 간편하고 비용이 저렴한 콘크리트 블록이 좋다.
다른 실시예 식생블록(30)은 도 9 내지 도 11과 같이 육각형태의 블록(30b)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육각형태의 블록(30b)은 정육각형태가 되므로 도 9와 같이 측면이 이웃하는 블록(30b)과 밀접하게 접촉되어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블록(30)은 복수 개가 서로 밀접하게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수단(70)에 의해 고정되는데, 상기 고정수단(70)은 이웃하는 각 블록(30)의 프레임 맞대응면 상부에 형성되는 조립홈(71)과, 상기 조립홈(71)에 삽입되는 결속핀(72)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속핀(72)은 한 쌍의 조립홈(7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편(72-1)이 평행하게 형성된 터널형상으로 구성되고, 삽입편(72-1) 단부는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모따기 처리된다.
상기 결속핀(72)이 조립홈(71)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조립 홈(71)에 접착제(73)를 공급하여 결속핀(72)을 부착고정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73)는 에폭시, 본드, 또는 실리콘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자갈(40) 다짐단계는 잡석(20) 상부에 자갈(40)을 포설하여 거친 잡석(20)의 표면을 균일하게 정리하는 공정이다. 상기 자갈(40)은 잡석(20) 상부에 배치된 블록(30)들의 수납공간(31)에 채움되는데, 블록(30)의 프레임 상단부와 일치되게 채움하여 상기 중장비 등으로 다짐한다.
상기 자갈(40)은 너무 크지 않을 것을 사용하여 공극율은 낮추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한 크기는 대략 지름이 1-3cm가 좋다.
여기서, 공극율은 자갈(40)과 자갈(40) 사이의 공간을 말하는 것으로, 자갈(40)들이 크면 클수록 공극율은 커진다.
상기 포설된 자갈(40) 상부에 폐타이어(50)를 포설하는 단계는 공지의 기술이다.
즉, 상기 폐타이어(50)는 7-10mm잘게 파쇄된 것을 바인더와 혼합하여 형성하는데, 접착성을 갖게 되므로 자갈(40) 상부에 일정 두께로 포설하게 되면 건조된 후에는 견고하게 부착되면서 물이 침투할 수 있어 투수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폐타이어(50)는 충격을 흡수하고 시공이 간편하며, 무엇보다 완충작용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기층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폐타이어(50) 상부에 EPDM(60)을 포설하는 단계는 본 발명의 마지막 공정이다.
상기 EPDM(60)은 표층재로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thylene propylene rubber) 또는 우레탄을 잘게 파쇄하여 바인더와 혼합한 후 폐타이어(50) 상부에 포설하게 된다.
상기 EPDM(60)은 3-10mm의 크기로 잘게 파쇄된 고무 알갱이들이 접착제(73) 기능을 하는 바인더와 혼합된 형태로서 투수성 및 탄성력이 우수하며, 폐타이어(50) 상부에 약 5cm 이상이 되게 포설된다.
상기 EPDM(60)은 다양한 색상으로 시공될 수 있도록 색상별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EPDM(60)을 다양한 색상으로 구비하게 되면 그림, 글자, 문자, 도형 등을 장식할 수 있어 설치장소를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시공되는 본 발명은 지반(10) 상부에 잡석(20), 상기 잡석(20) 상부에 식생블록(30), 상기 식생블록(30) 내부에 자갈(40), 상기 자갈(40) 상부에 투수성이 있는 폐타이어(50), 상기 폐타이어(50) 상부에 투수성이 있는 EPDM(60)을 순차적으로 포설하게 되므로 EPDM(60)에서부터 지반(10)까지 투수성을 갖게 되므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블록(30)은 복수 개가 서로 밀접하게 고정되고 그 내부에 자갈(40)이 채움된 후 다짐 되기 때문에 자갈(40)이 공극률에 의해 변동하더라도 그가 수납되는 블록(30) 내부에서 미세하게 변동하게 되므로 EPDM(60)이 시공되는 바닥면은 견고성이 확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빗물을 지하로 안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타이어(50) 및 EPDM(60)이 탄성을 갖추고 있어 보행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시공방법에 따라 EPDM이 포설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라 EPDM이 포설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원내부를 확대하여 식생블록의 결속상태를 보인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핀이 접착제에 의해 부착고정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 식생블록이 결속핀으로 고정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핀이 조립홈에 조립되기 전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 식생블록 내부에 자갈이 다짐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 식생블록을 이용하여 EPDM이 시공된 상태를 보인 단면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 식생블록이 결속핀으로 고정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 식생블록 내부에 자갈이 다짐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 식생블록을 이용하여 EPDM이 시공된 상태를 보인 단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EPDM 시공방법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잡석 30 : 블록
40 : 자갈 50 : 폐타이어
60 : 이피디엠(EPDM) 70 : 고정수단
71 : 조립홈 72 : 결속핀
73 : 접착제

Claims (5)

  1. 설치장소의 지반 위에 잡석을 고르게 분포시켜 다짐하는 단계;
    상기 다짐된 잡석 위에 수납실을 갖는 복수 개의 블록을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밀접하게 결속 고정하여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고정된 블록의 각 수납실에 자갈을 고르게 채운 후 다짐하는 단계;
    상기 다짐된 자갈 위에 바인더와 혼합된 폐타이어를 포설하는 단계; 및
    상기 폐타이어 상부에 바인더와 혼합된 EPDM을 포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가능한 이피디엠 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은 이웃하는 각 블록의 프레임 맞대응면 상부에 형성되는 조립홈; 및
    상기 조립홈에 삽입되는 결속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가능한 이피디엠 시공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다각형태로 구성되며, 각 면에 조립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가능한 이피디엠 시공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블록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은 조립홈에 접착제를 공급하여 결속핀이 조립홈에 부착되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가능한 이피디엠 시공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에폭시, 본드, 또는 실리콘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가능한 이피디엠 시공방법.
KR1020070128565A 2007-12-11 2007-12-11 투수가능한 이피디엠 시공방법 KR200900615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565A KR20090061532A (ko) 2007-12-11 2007-12-11 투수가능한 이피디엠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565A KR20090061532A (ko) 2007-12-11 2007-12-11 투수가능한 이피디엠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532A true KR20090061532A (ko) 2009-06-16

Family

ID=40990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565A KR20090061532A (ko) 2007-12-11 2007-12-11 투수가능한 이피디엠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153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90301A (zh) * 2012-08-16 2014-02-19 王建军 一种无垫层透水生态植草地坪及其施工方法
KR101705315B1 (ko) * 2015-09-25 2017-02-10 재단법인 한국재난연구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및 이의 설치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90301A (zh) * 2012-08-16 2014-02-19 王建军 一种无垫层透水生态植草地坪及其施工方法
CN103590301B (zh) * 2012-08-16 2017-03-08 王建军 无垫层透水生态植草地坪的施工方法
KR101705315B1 (ko) * 2015-09-25 2017-02-10 재단법인 한국재난연구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및 이의 설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236B1 (ko) 사면보강을 위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사면보강공법
KR101435373B1 (ko) 중공형 우수 저류블록
KR101020718B1 (ko) 지반보강용 지오셀과 중공형 섬유보강 투수블록을 이용한 지반침투형 포장구조
KR101835881B1 (ko) 투수성 보도블록
KR101152212B1 (ko) 투수형 보도블록의 하부지반 안정화 및 빗물의 임시저장 공간 형성화 시공방법
KR101027006B1 (ko) 투수블록 구조체
CN110924255A (zh) 园林透水路面结构
KR101019181B1 (ko) 도로용 블록을 이용한 도로의 포장구조
KR101206728B1 (ko) 빗물 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인조잔디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654667B1 (ko) 투수성 도로 포장체에서 저수저감 공간을 형성하는 환경친화적 다공 패널
KR200391060Y1 (ko) 투수성 저류 블럭
KR20090061532A (ko) 투수가능한 이피디엠 시공방법
KR100528051B1 (ko) 저수공간을 구비하는 투수 블록
JPH1171789A (ja) 雨水貯溜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貯水用構造材
CN210657848U (zh) 透水砖铺设结构
KR101733481B1 (ko) 빗물 저장 기능을 갖는 조립식 저류블록을 사용하는 지반 포장구조
KR101448335B1 (ko) 조립식블록을 이용하여 저류조를 구비하는 도로의 시공방법
KR100936575B1 (ko) 친환경 투수 블록 제작 방법
CN111809476A (zh) 一种透水砖及其制备方法
KR20210062872A (ko) 빗물 지중 저류침투장치
TWI840184B (zh) 透水植草鋪面地下儲水構造
KR200262770Y1 (ko) 투수 블록 포장판 및 이를 이용한 포장 구조
CN217104561U (zh) 一种铺路格栅
CN213740420U (zh) 一种新型混凝土结构园林道路
KR20140032160A (ko) 스톤 바스켓과 유공관을 이용한 도로포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