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284B1 - 빗물저장을 위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 - Google Patents

빗물저장을 위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284B1
KR101874284B1 KR1020180006962A KR20180006962A KR101874284B1 KR 101874284 B1 KR101874284 B1 KR 101874284B1 KR 1020180006962 A KR1020180006962 A KR 1020180006962A KR 20180006962 A KR20180006962 A KR 20180006962A KR 101874284 B1 KR101874284 B1 KR 101874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drainage
road
circulation system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재
Original Assignee
이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재 filed Critical 이성재
Priority to KR1020180006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2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3Kerb-and-gutter structures; Kerbs with drainage openings channel or conduits, e.g. with out- or inlets, with integral gutter or with channel formed into the kerb ; Kerbs adapted to house cables or pipes, or to form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3Naturals or landscape retention bodies, e.g. pon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은, 우천시 수집되는 빗물을 이용하여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가로수와 같은 식물재배화분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빗물순환시스템에 있어서,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배수공을 형성하고 하측 길이방향으로 중공의 홈부를 구비하는 상부블럭, 및 상기 상부블럭의 하측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중공의 홈부 내측으로 결합하여 상기 배수공과 연통되는 배수공간을 형성하는 하부배수관을 포함하여 인도와 도로 사이에 설치되는 배수형 도로 경계석; 상기 배수형 도로 경계석과 인접하게 도로 가장자리의 하부에 매립 설치되는 빗물받이용 저장공간; 상기 빗물받이용 저장공간과 상기 배수형 도로 경계석의 배수공간에서 수집되는 빗물을 상기 식물재배화분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특정 저류시설로 이동시키기 위한 빗물침투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측면에 배수공을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배수공과 연통되는 배수로를 구비하여 호우시 도로로 유입되는 우수의 임시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관 및 저류시설로 우수를 신속히 이동시킬 수 있는 빗물저장을 위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빗물저장을 위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 {Water Cycling System having Drain Road Boundary Stone }
본 발명은 빗물저장을 위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측면에 배수공을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배수공과 연통되는 배수로를 구비하여 호우시 도로로 유입되는 우수의 임시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관 및 저류시설로 우수를 신속히 이동시킬 수 있는 빗물저장을 위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도시의 난개발로 인해 지표면에 설치되는 도로가 불투수 포장도로로 급속하게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불투수 포장도로는 강우시 우수의 유출량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지하수의 고갈 및 하천의 건천화를 증가시키고 있으며, 지하수의 고갈로 인해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관리되는 가로수의 경우에 제때 지하수를 공급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보도블럭과 도로 사이에 설치되는 경계석은 보도블럭이 도로와의 경계 부분에서 하중이 집중되어 도로쪽으로 밀려나올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어 시설물을 보존할 수 있으며, 또한, 차도와 보도를 구분하여 차량등이 보도로 근접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대부분의 도로 경계석은 차도와 보도의 경계를 이루는 경계석 역할만을 수행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최근들어 도로 경계석에 본연의 목적인 차도와 보도와의 경계를 형성하는 기능 뿐 아니라 야간이나 우천시에 추돌방지를 위하여 형광물질을 상면에 형성시켜 야간이나 우천시 운전자로 하여금 경계석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도로 경계석은 차도와 보도의 경계를 이루는 지점에 설치되기 때문에 비가 많이 오는 장마철이나 호우가 내릴 경우에 우수가 경계석을 넘어가 보도블럭의 틈으로 스며들어 보도블럭의 지반을 침하시키고 심할 경우에 경계석의 지반도 침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대부분의 도로가 경계석이 설치되는 가장자리에 배수로를 설치하고 있으나 호우시에 도로에 유입되는 우수의 배수처리가 배수시설의 용량에 따라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거나 배수로 유입부가 이물질로 막힐 경우에 빗물로 인해 차량통행에 방해가 되고 도로침수 및 교통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불투수 포장도로로 인한 지하수의 고갈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장마철이나 호우시에 도로의 침수피해를 줄일 수 있는 현실적이고도 적용이 가능한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용신안등록공보 KR 20-0432255호(공고일 2006.11.30.)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측면에 배수공을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배수공과 연통되는 배수로를 구비하여 호우시 도로로 유입되는 우수의 임시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관 및 저류시설로 우수를 신속히 이동시킬 수 있는 빗물저장을 위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저장을 위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은, 우천시 수집되는 빗물을 이용하여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가로수와 같은 식물재배화분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빗물순환시스템에 있어서,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배수공을 형성하고 하측 길이방향으로 중공의 홈부를 구비하는 상부블럭, 및 상기 상부블럭의 하측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중공의 홈부 내측으로 결합하여 상기 배수공과 연통되는 배수공간을 형성하는 하부배수관을 포함하여 인도와 도로 사이에 설치되는 배수형 도로 경계석; 상기 배수형 도로 경계석과 인접하게 도로 가장자리의 하부에 매립 설치되는 빗물받이용 저장공간; 상기 빗물받이용 저장공간과 상기 배수형 도로 경계석의 배수공간에서 수집되는 빗물을 상기 식물재배화분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특정 저류시설로 이동시키기 위한 빗물침투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빗물침투수단은, 일단이 상기 빗물받이용 저장공간의 상측벽에 여과망이 설치된 채 연결되는 유입구로 형성되고 관형상의 몸통 외주연상 일부가 상기 배수형 도로 경계석의 하부배수관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빗물받이용 저장공간과 상기 배수형 도로 경계석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특정 저류시설에 연결되는 배출구로 형성되는 제 1 침투관; 및 일단은 상기 빗물받이용 저장공간의 하측벽에 역류방지기와 첨착여과장치가 결속되어 설치된 채 연결되는 유입부로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특정 저류시설에 연결되어 상기 빗물받이용 저장공간의 빗물을 배출하는 배출부로 형성되는 제 2 침투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 침투관은, 호우시 빗물이 빗물받이용 저장공간에 급속하게 유입되는 경우에 빗물을 신속하게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침투관은, 초기우수 및 빗물소량 유입시 부유물질과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빗물을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2 침투관의 타단에 결속되는 첨착여과장치는, 외형 단면이 직각삼각형의 형태를 갖는 외부 필터통과; 상기 외부 필터통의 내부에 배치되며 표면과 내부에 크기가 서로 다른 다수의 공극을 갖는 다공성 구조의 첨착여재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블럭은, 본체를 지지하며 상기 홈부를 중심으로 도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배수공이 형성되는 외측 하부프레임; 및 상기 홈부를 중심으로 인도방향으로 배치되어 본체와 보도블럭을 지지하는 내측 하부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배수관은, 길이방향으로 상부가 개구되고 단면이 반원형태를 갖는 배수관본체; 상기 배수관본체의 길이방향 양측면을 따라 직사각형 판재형상으로 각각 연장형성되어 상기 상부블럭의 외측 하부프레임 및 내측 하부프레임의 하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프레임지지부; 및 상기 배수관본체의 개구된 상측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블럭의 하측에 형성된 중공의 홈부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는 한 쌍의 홈부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배수관은, 하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토양층, 빗물받이, 우수관로, 저류조에 연결되는 연결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형 도로 경계석은, 상기 상부블럭과 하부배수관을 결합하는 경우에 콘크리트를 이용한 결합틀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형 도로 경계석은, 상기 상부블럭과 하부배수관을 일정한 크기로 복수개 형성하여 길이방향으로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형 도로 경계석은, 상기 상부블럭과 하부배수관이 결합하여 형성된 배수공간을 이용하여 도로에 유입된 빗물을 임시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형 도로 경계석은, 상기 상부블럭의 하측에 형성되어 하부 배수관과 결합하는 중공의 홈부는 단면이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측면에 배수공을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배수공과 연통되는 배수로를 구비하여 호우시 도로로 유입되는 우수의 임시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관 및 저류시설로 우수를 신속히 이동시킬 수 있는 빗물저장을 위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형 도로 경계석을 구성하는 상부블럭의 외측 하부프레임 및 내측 하부프레임의 하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프레임지지부를 하부배수관에 형성하여 도로 경계석의 본체를 구성하는 상부블럭의 기본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형 도로 경계석을 구성하는 상부블럭과 하부배수관을 결합하는 경우에 콘크리트를 이용한 결합틀을 형성함으로써 배수공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에 의해 하부배수관에 전가되는 하중이 늘어나더라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빗물침투가 가능한 침투관을 빗물받이용 저장공간과 배수형 경계석의 연결관에 연결시켜 호우시 빗물받이용 저장공간과 배수형 경계석에 저장된 빗물을 저류시설로 신속하게 이동시킴으로써 빗물받이용 저장공간의 처리용량을 완화시키고 불투수 포장도로로 인한 빗물의 유출을 최소화하는 빗물순환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저장을 위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2 침투관에 형성된 첨착여과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 에 도시된 제 1 내지 제 2 침투관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형 도로 경계석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도로 경계석의 분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도로에 설치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배수형 도로 경계석의 여러가지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저장을 위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은, 우천시 수집되는 빗물을 이용하여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가로수와 같은 식물재배화분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빗물순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저장을 위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2 침투관에 형성된 첨착여과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도 3은 도 1 에 도시된 제 1 내지 제 2 침투관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저장을 위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은, 배수형 도로 경계석(10), 빗물받이용 저장공간(20), 및 빗물침투수단(30)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배수형 도로 경계석(10)은,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배수공(101)을 형성하고 하측 길이방향으로 중공의 홈부(110)를 구비하는 상부블럭(100), 및 상기 상부블럭(100)의 하측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중공의 홈부 내측으로 결합하여 상기 배수공과 연통되는 배수공간을 형성하는 하부배수관(200)을 포함하여 인도와 도로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구성은 후술하는 도 4 내지 도 5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빗물받이용 저장공간(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형 도로 경계석(10)과 인접하게 도로 가장자리의 하부에 매립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빗물침투수단(30)은, 상기 빗물받이용 저장공간(20)과 상기 배수형 도로 경계석(10)의 배수공간에서 수집되는 빗물을 상기 식물재배화분(1)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특정 저류시설(2)로 이동시킬 수있다.
여기서, 상기 빗물침투수단(30)은, 일단이 상기 빗물받이용 저장공간(20)의 상측벽에 여과망이 설치된 채 연결되는 유입구(31a)로 형성되고 관형상의 몸통 외주연상 일부가 상기 배수형 도로 경계석(10)의 하부배수관(200)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빗물받이용 저장공간(20)과 상기 배수형 도로 경계석(10)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특정 저류시설(2)에 연결되는 배출구(31b)로 형성되는 제 1 침투관(31), 및 일단은 상기 빗물받이용 저장공간의 하측벽에 역류방지기(33)와 첨착여과장치(34)가 결속되어 설치된 채 연결되는 유입부(32a)로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특정 저류시설(2)에 연결되어 상기 빗물받이용 저장공간의 빗물을 배출하는 배출부(32b)로 형성되는 제 2 침투관(3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침투관(31)은, 호우시 빗물이 빗물받이용 저장공간(20)에 급속하게 유입되는 경우에 빗물을 신속하게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침투관(32)은, 초기우수 및 빗물소량 유입시 부유물질과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빗물을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침투관(32)의 타단에 결속되는 첨착여과장치(34)는, 외형단면이 직각삼각형의 형태를 갖는 외부 필터통(35)과, 상기 외부 필터통(35)의 내부에 배치되며 표면과 내부에 크기가 서로 다른 다수의 공극을 갖는 다공성 구조의 첨착여재필터(36)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필터통(35)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에 여과망이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면을 이루는 상부면의 하단에서 1/4 지점까지는 폐쇄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필터통(35)이 직각 삼각형의 세워진 모양으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은 부유물질이 유입되는 경우에 여과망으로 쏠림현상이 되지 않게 함으로서 여과망의 막힘을 방지하고 부유물질이 한쪽으로 모이도록 하기 위함이고, 하단 일부가 막혀 있는 것은 빗물받이 바닥의 토사 및 부유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첨착여재필터(36)는, 표면과 내부에 다수의 공극을 갖는 다공성 구조로, 공극의 크기가 모두 일정하지 않도록 부직포, 스펀지, 합성수지, 및 스테인레스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작은 공극은 이물질의 유입을 막으며 큰 공극은 내부에 여과재(활성탄 등 흡착여재류)가 충진되어 미세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첨착여과장치(34)의 형태를 직각삼각형태로 하였으나 사각형, 원통형 구조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빗물받이 벽체와 첨착여과장치(34) 사이에 저류시설의 저류된 빗물이 빗물받이 쪽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역류방지기(33)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내지 제 2 침투관(31,32)은 관형상의 몸통 포면상에 침투구가 다수개 형성되어 침투관 주변으로 빗물을 침투시켜 불투수 포장도로 하부에서 지하수가 고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정 저류시설(2)이 아닌 다른 저류시설이 경로상에 배치될 경우에 관통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저류시설(2)에 수집된 빗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설치된 펌프관(3)을 이용하여 우기시에는 저류시설에 저장되는 빗물을 지상으로 끌어올려 사용할 수 있으며, 건기시에는 펌프관(3)에 물을 주입하여 저류시설과 침투수단(30)을 통해 식물재배화분과 지표면 하부에 저장된 빗물을 공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형 도로 경계석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도로 경계석의 분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형 도로 경계석(10)은, 상부블럭(100) 및 하부배수관(200)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상부블럭(100)은 인도와 도로 사이에 설치되는 도로 경계석의 외부에 배치되는 본체에 해당하는 구성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배수공(101)을 형성하고 하측 길이방향으로 중공의 홈부(11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공(101)은, 호우시 도로에 빗물이 넘치게 되면 우수가 유입되고, 상기 배수공(101)이 상기 상부블럭(100)의 측면을 관통하여 연통되는 상기 중공의 홈부(110)에 우수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어, 호우시 도로에 유입되는 우수의 양이 도로의 가장자리에 매설되는 배수로나 오폐수 유입공간이 처리할 수 있는 배수용량이나 처리용량을 초과할 경우에 도로가 급격히 침수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배수관(200)은, 상기 상부블럭(100)의 하측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중공의 홈부(101) 내측으로 결합하여 상기 배수공(101)과 연통되는 배수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배수관(200)의 상측에 형성되는 홈부결합부(130)는, 상기 상부블럭(100)의 홈부(110) 내측으로 결합 될 때 측면에 형성된 배수공(11)의 입구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공(101)이 형성된 지점보다 낮은 지점에 상단이 위치하도록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블럭(100)의 하측에 형성되어 하부 배수관(200)의 홈부결합부(130)와 결합하는 중공의 홈부(110)는 단면이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블럭(100)은, 본체를 지지하며 상기 홈부(110)를 중심으로 도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배수공(101)이 형성되는 외측 하부프레임(120), 및 상기 홈부(110)를 중심으로 인도방향으로 배치되어 본체와 보도블럭을 지지하는 내측 하부프레임(130)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외측 하부프레임(120)의 하측으로 앞서 상술한 상기 배수공(11)이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도로의 가장자리에 빗물이 넘치기 시작하면 배수공(101)을 통해 경계석 내부로 빗물이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배수관(200)은, 배수관본체(210), 프레임지지부(220), 및 홈부결합부(230)을 구비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배수관본체(2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상부가 개구되고 단면이 반원형태를 가지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블럭(100)에 형성된 홈부와 결합하여 배수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배수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지지부(220)는, 상기 상부블럭(100)의 외측 및 내측 프레임(120,130)에 대응되는 것으로, 상기 배수관본체(210)의 길이방향 양측면을 따라 직사각형 판재형상으로 각각 연장형성되어 상기 상부블럭(100)의 외측 하부프레임(120) 및 내측 하부프레임(130)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부결합부(2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블럭(100)의 하측에 형성된 중공의 홈부(110)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는 부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배수관본체(210)의 개구된 상측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수직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배수관(200)을 구성하는 상기 배수관본체(210), 프레임지지부(220), 및 홈부결합부(230)는 전체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경계석을 구성하는 상부블럭(100)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도로에 설치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10은 배수형 도로 경계석의 여러가지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형 도로 경계석(10)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형 도로 경계석(10)은, 상기 상부블럭(100)과 하부배수관(200)을 콘크리트를 이용한 결합틀로 결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형 도로 경계석(10)은,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블럭(100)과 하부배수관(200)을 견고하게 결합시켜 필요한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블럭(100)은 도 1 내지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를 지지하며 상기 홈부(110)를 중심으로 도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배수공이 형성되는 외측 하부프레임(120), 및 상기 홈부(110)를 중심으로 인도방향으로 배치되어 본체와 보도블럭을 지지하는 내측 하부프레임(13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배수관(2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상부가 개구되고 단면이 반원형태를 갖는 배수관본체(210), 상기 배수관본체(210)의 길이방향 양측면을 따라 직사각형 판재형상으로 각각 연장형성되어 상기 상부블럭(100)의 외측 하부프레임(120) 및 내측 하부프레임(130)의 하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프레임지지부(220), 및 상기 배수관본체(210)의 개구된 상측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블럭(100)의 하측에 형성된 중공의 홈부(110)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는 한 쌍의 홈부결합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블럭(100)과 하부배수관(200)은 경계석을 형성하는데 사용하는 콘크리트재 뿐만 아니 고밀도 고강도의 보강재를 이용한 합성콘크리재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하부배수관(200)은, 콘크리트재 뿐만 아니라 고밀도 및 고강도를 갖는 방수처리된 금속재, 합성수지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형 도로 경계석(10)은, 상기 상부블럭(100)과 하부배수관(200)을 일정한 크기로 복수개 형성하여 길이방향으로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경계석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배수관(200)은, 하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토양층, 빗물받이, 우수관로, 저류조에 연결되는 연결관(400)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8은 하부배수관(200)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관(400)을 통해 토양층으로 빗물을 침투시킬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9는 상기 연결관(400)을 통해 하부배수관(200)을 따라 이동된 빗물을 빗물받이 및 우수관으로 연결하여 보내는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 10은 저류시설(집수정,침투통)에 하부배수관(200)을 통해 상류에서 하류로 이동된 빗물을 이동하는 도면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형 도로 경계석(10)은, 상기 상부블럭과 하부배수관이 결합하여 형성된 배수공간을 이용하여 도로에 유입된 빗물을 임시저장할 뿐만 아니라, 상기 하부배수관(200)을 통해 유입된 빗물을 목적지로 보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빗물침투가 가능한 침투관을 빗물받이용 저장공간과 배수형 경계석의 연결관에 연결시켜 호우시 빗물받이용 저장공간과 배수형 경계석에 저장된 빗물을 저류시설로 신속하게 이동시킴으로써 빗물받이용 저장공간의 처리용량을 완화시키고 불투수 포장도로로 인한 빗물의 유출을 최소화하는 빗물순환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면에 배수공을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배수공과 연통되는 배수로를 구비하여 호우시 도로로 유입되는 우수의 임시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관 및 저류시설로 우수를 신속히 이동시킬 수 있는 빗물저장을 위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블럭의 외측 하부프레임 및 내측 하부프레임의 하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프레임지지부를 하부배수관에 형성하여 도로 경계석의 본체를 구성하는 상부블럭의 기본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느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블럭과 하부배수관을 결합하는 경우에 콘크리트를 이용한 결합틀을 형성함으로써 배수공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에 의해 하부배수관에 전가되는 하중이 늘어나더라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식물재배화분
2 : 특정 저류시설
3 : 펌프관
10 : 배수형 도로 경계석
20 : 빗물받이용 저장공간
30 : 빗물침투수단
31 : 제 1 침투관
32 : 제 2 침투관
33 : 역류방지기
34 : 첨착여과장치
35 : 외부필터통
36 : 첨착여재필터
100 : 상부블럭
101 : 배수공
110 : 홈부
120 : 외측 하부프레임
130 : 내측 하부프레임
200 : 하부배수관
210 : 배수관본체
220 : 프레임지지부
230 : 홈부결합부
300 : 콘크리트결합틀
400 : 연결관

Claims (11)

  1. 우천시 수집되는 빗물을 이용하여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가로수와 같은 식물재배화분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빗물순환시스템에 있어서,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배수공을 형성하고 하측 길이방향으로 중공의 홈부를 구비하는 상부블럭, 및 상기 상부블럭의 하측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중공의 홈부 내측으로 결합하여 상기 배수공과 연통되는 배수공간을 형성하는 하부배수관을 포함하여 인도와 도로 사이에 설치되는 배수형 도로 경계석;
    상기 배수형 도로 경계석과 인접하게 도로 가장자리의 하부에 매립 설치되는 빗물받이용 저장공간;
    상기 빗물받이용 저장공간과 상기 배수형 도로 경계석의 배수공간에서 수집되는 빗물을 상기 식물재배화분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특정 저류시설로 이동시키기 위한 빗물침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빗물침투수단은,
    일단이 상기 빗물받이용 저장공간의 상측벽에 여과망이 설치된 채 연결되는 유입구로 형성되고 관형상의 몸통 외주연상 일부가 상기 배수형 도로 경계석의 하부배수관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빗물받이용 저장공간과 상기 배수형 도로 경계석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특정 저류시설에 연결되는 배출구로 형성되는 제 1 침투관; 및
    일단은 상기 빗물받이용 저장공간의 하측벽에 역류방지기와 첨착여과장치가 결속되어 설치된 채 연결되는 유입부로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특정 저류시설에 연결되어 상기 빗물받이용 저장공간의 빗물을 배출하는 배출부로 형성되는 제 2 침투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장을 위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침투관은, 호우시 빗물이 빗물받이용 저장공간에 급속하게 유입되는 경우에 빗물을 신속하게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침투관은, 초기우수 및 빗물소량 유입시 부유물질과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빗물을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장을 위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침투관의 타단에 결속되는 첨착여과장치는,
    외형 단면이 직각삼각형의 형태를 갖는 외부 필터통과;
    상기 외부 필터통의 내부에 배치되며 표면과 내부에 크기가 서로 다른 다수의 공극을 갖는 다공성 구조의 첨착여재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장을 위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블럭은,
    본체를 지지하며 상기 홈부를 중심으로 도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배수공이 형성되는 외측 하부프레임; 및
    상기 홈부를 중심으로 인도방향으로 배치되어 본체와 보도블럭을 지지하는 내측 하부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장을 위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부배수관은,
    길이방향으로 상부가 개구되고 단면이 반원형태를 갖는 배수관본체;
    상기 배수관본체의 길이방향 양측면을 따라 직사각형 판재형상으로 각각 연장형성되어 상기 상부블럭의 외측 하부프레임 및 내측 하부프레임의 하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프레임지지부; 및
    상기 배수관본체의 개구된 상측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블럭의 하측에 형성된 중공의 홈부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는 한 쌍의 홈부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장을 위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부배수관은,
    하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토양층, 빗물받이, 우수관로, 저류조에 연결되는 연결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장을 위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블럭과 하부배수관을 결합하는 경우에 콘크리트를 이용한 결합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장을 위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블럭과 하부배수관을 일정한 크기로 복수개 형성하여 길이방향으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장을 위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블럭과 하부배수관이 결합하여 형성된 배수공간을 이용하여 도로에 유입된 빗물을 임시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장을 위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블럭의 하측에 형성되어 하부 배수관과 결합하는 중공의 홈부는 단면이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장을 위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
KR1020180006962A 2018-01-19 2018-01-19 빗물저장을 위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 KR101874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962A KR101874284B1 (ko) 2018-01-19 2018-01-19 빗물저장을 위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962A KR101874284B1 (ko) 2018-01-19 2018-01-19 빗물저장을 위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284B1 true KR101874284B1 (ko) 2018-07-03

Family

ID=62918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962A KR101874284B1 (ko) 2018-01-19 2018-01-19 빗물저장을 위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28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8405A (zh) * 2019-06-20 2019-08-23 无锡市政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城市道路排水性沥青路面采用的平石结构
KR102337289B1 (ko) * 2020-09-24 2021-12-07 한국토지주택공사 친환경 빗물관리를 통한 도시 열섬현상 감소 시스템
KR102373103B1 (ko) * 2020-10-23 2022-03-1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수받이
KR102373102B1 (ko) * 2020-10-23 2022-03-1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우수받이
KR20220102818A (ko) * 2021-01-14 2022-07-21 이성훈 띠녹지 화분
KR20220109842A (ko) 2021-01-29 2022-08-05 (주)다흥 우수의 포집 및 처리가 가능한 인조 가로수
KR102677124B1 (ko) * 2023-11-20 2024-06-21 김용범 비점오염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경계석 겸용 배수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758B1 (ko) * 2015-10-29 2016-10-05 (주)아록이엔지 도로 침수 방지, 지하수위 유지를 통한 지반안정 및 우수 재이용을 위한 우수 저류 및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758B1 (ko) * 2015-10-29 2016-10-05 (주)아록이엔지 도로 침수 방지, 지하수위 유지를 통한 지반안정 및 우수 재이용을 위한 우수 저류 및 관리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8405A (zh) * 2019-06-20 2019-08-23 无锡市政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城市道路排水性沥青路面采用的平石结构
KR102337289B1 (ko) * 2020-09-24 2021-12-07 한국토지주택공사 친환경 빗물관리를 통한 도시 열섬현상 감소 시스템
KR102373103B1 (ko) * 2020-10-23 2022-03-1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수받이
KR102373102B1 (ko) * 2020-10-23 2022-03-1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우수받이
KR20220102818A (ko) * 2021-01-14 2022-07-21 이성훈 띠녹지 화분
KR102543474B1 (ko) * 2021-01-14 2023-06-13 이성훈 띠녹지 화분
KR20220109842A (ko) 2021-01-29 2022-08-05 (주)다흥 우수의 포집 및 처리가 가능한 인조 가로수
KR102677124B1 (ko) * 2023-11-20 2024-06-21 김용범 비점오염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경계석 겸용 배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284B1 (ko) 빗물저장을 위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
US5810510A (en) Underground drainage system
CN106245734A (zh) 改进的城市道路雨水收集、涵养绿地的调蓄系统
JP2007520651A (ja) 木の根及び嵐の水に対する一体化システム
CN106284588A (zh) 一种可用于海绵城市的雨水处理与储存系统
CN204919757U (zh) 一种雨水原位净化修复系统
CN207727714U (zh) 海绵城市生态渗滤系统
KR101822899B1 (ko) 지하수 확보 기능이 향상된 측구 겸용 친환경 집수정 및 그것을 이용한 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친환경 도로 구조물
CN208981408U (zh) 海绵城市道路雨水收集利用系统
KR20180071063A (ko) 집수식 투수블록
US20050100412A1 (en) Drainage support apparatus
KR20150110193A (ko)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
JP2006118265A (ja) 雨水排水システムにおける浸透管、浸透管付き取水桝及び排水システム
KR101510615B1 (ko) 침투식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547900B1 (ko)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저영향 개발 기법 시설
KR20160097993A (ko) 빗물 침투 및 집수 유도 관로 삽입형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빗물 활용 시스템
CN204898828U (zh) 一种雨水涵养-修复一体装置
CN206245444U (zh) 雨水渗透系统
KR101894740B1 (ko) 투수식 맨홀
KR101511768B1 (ko) 녹지 부상형 초기빗물 관리 시스템 및 초기빗물 관리 방법
KR100714315B1 (ko) 화단형 빗물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100529500B1 (ko) 도로의 배수처리 방법
CN209652693U (zh) 一种人行道用排水结构
KR200426719Y1 (ko) 터널형 빗물 침투 및 저류 시스템
JPH0414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