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568B1 - 블록에 의한 시공이 가능한 부등침하 방지 투수성 도로 포장 침투 시설 - Google Patents
블록에 의한 시공이 가능한 부등침하 방지 투수성 도로 포장 침투 시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42568B1 KR101542568B1 KR1020140052218A KR20140052218A KR101542568B1 KR 101542568 B1 KR101542568 B1 KR 101542568B1 KR 1020140052218 A KR1020140052218 A KR 1020140052218A KR 20140052218 A KR20140052218 A KR 20140052218A KR 101542568 B1 KR101542568 B1 KR 1015425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block body
- water
- pavement
- protruding ja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 좌우 조립이 용이하여 시공이 편리하고 노면 하중에 따른 부등침하를 예방하며 강우의 침투와 저류 기작을 활용한 자연적 물순환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투수성 저류 블록을 제공함과 아울러, 비점오염 처리 블록과 여재층을 일체로 하는 모듈화된 침투포장시설을 제공하여 강우유출수에 따른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비점오염 처리 및 물순환 활용을 위한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침투포장시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닥면과 측벽 및 격벽으로 밀폐되어 내측에 수용 공간부를 갖는 블록 본체와; 상기 블록 본체의 좌우 양끝단부에서 상호 맞대응하게 단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블록 본체의 횡 방향으로 다른 블록 본체가 좌우 연속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조립부와; 상기 블록 본체는 일측 좌우 측벽에 형성되는 관통공이 더 천공되며, 상기 관통공에는 삽입되어 상기 블록 본체의 전후 종방향으로 다른 블록 본체가 연속 조립되기 위한 연결 조립봉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일체형의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을 제공하여 물이 침투하여 저류되면서 비점오염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닥면과 측벽 및 격벽으로 밀폐되어 내측에 수용 공간부를 갖는 블록 본체와; 상기 블록 본체의 좌우 양끝단부에서 상호 맞대응하게 단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블록 본체의 횡 방향으로 다른 블록 본체가 좌우 연속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조립부와; 상기 블록 본체는 일측 좌우 측벽에 형성되는 관통공이 더 천공되며, 상기 관통공에는 삽입되어 상기 블록 본체의 전후 종방향으로 다른 블록 본체가 연속 조립되기 위한 연결 조립봉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일체형의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을 제공하여 물이 침투하여 저류되면서 비점오염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로 포장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공이 용이한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투수성 도로 포장 침투 시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노면하중에 따른 부등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후 및 좌우 조립이 용이하며 시공이 편리한 강우의 침투와 저류 기작을 활용한 자연적 물 순환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에 관한 것이다.
또한,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과 여재층을 일체로 하는 모듈화된 침투포장시설을 제공하여 강우유출수에 따른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시공이 용이한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침투포장시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노면하중에 따른 부등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후 및 좌우 조립이 용이하며 시공이 편리한 강우의 침투와 저류 기작을 활용한 자연적 물 순환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에 관한 것이다.
또한,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과 여재층을 일체로 하는 모듈화된 침투포장시설을 제공하여 강우유출수에 따른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시공이 용이한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침투포장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연적인 기후변화는 기후 및 지구의 구성 인자(대기, 해양, 육지, 빙하, 지구궤도, 태양복사에너지의 변화, 지각판의 변화 등)의 복합적 활동에 기인한다. 이러한 기후변화는 우리나라의 경우 강우량의 증가, 온도의 상승, 홍수 빈도 증가, 수생태계의 변화, 가뭄의 증가와 같은 자연 및 환경재해로 나타나고 있으며, 국가 경제에도 영향을 끼칠 만큼 그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제는 에너지 수입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에너지 비용의 증가와 수입의 증가는 무역수지 악화라는 단점을 가진 경제구조이기 때문에 에너지 관리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과제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여름철 대기온도는 25℃를 넘고 있고 겨울철에는 약 1℃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계절적 온도차이로 인하여 여름과 겨울철의 온도관리를 위한 에너지 소비는 심각한 수준이다.
한편, 투수면(透水面) 포장과 불투수면(不透水面) 포장의 온도 차이를 살펴보면, 투수면 포장, 즉 물이 존재하는 포장에서는 여름철에 평균 7℃ 정도의 온도 저감을 보였으며, 겨울철에는 온도를 높여주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포장지역에서의 물의 저류와 침투는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중요한 인자로 나타나고 있다. 도시지역의 도로 및 단지조성은 인간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자연 상태의 공간을 다양한 구조물로 구축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도시공간에서 상당부분은 강우 시 물의 침투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 불투수성 도로로 구성되어 있어 다양한 환경수리학적 문제를 나타내고 있다. 불투수층의 증가는 자연적 물 순환 시스템의 왜곡을 가져오면서 강우유출량 및 침투유량의 증가와 더불어 다양한 비점오염물질의 유출도 증가시켜 도시홍수, 수생태계 파괴와 더불어 수질오염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비점오염물질에 대응하는 동시에 투수면을 가지는 포장의 개발이 필요하다.
도로와 단지를 포함하는 도시지역에서의 과거 물 관리는 개발지역으로부터 여분의 강우유출수를 빠르게 배수하는 시스템이었으며, 홍수에 관점을 두고 있었다. 그러나 기후변화, 온도상승, 물 순환의 왜곡, 비점오염물질의 유출 증가 등은 건설 분야에 환경수리적 기능 보완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의 노력은 선진국을 중심으로 녹색성장 및 스마트성장(smart growth)의 건설 분야 주요 내용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녹색성장 및 스마트성장에서의 건설 분야는 물 관리를 통한 생태계와 건설의 공존, 즉 환경과 개발의 공존을 추구하고 있으며, 생명의 근원인 물 관리를 중요한 이슈로 삼고 있다.
우리나라의 강우특성은 계절별로 다양한 강우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동일한 강우 현상에도 유역의 특성에 따라 오염물질의 다양한 유출이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고 있다. 또한, 강우유출수에 포함되는 오염물질은 초기 강우 시 발생하는 강우유출수에는 다량 포함되어 있는데 비하여 초기 이후 강우 시 발생하는 강우유출수에는 미량 포함되어 있으므로 초기 강우유출수에 대해서는 오염물질을 제거, 처리한 후 방류하고, 초기 이후 강우유출수에 대해서는 오염물질 제거 과정을 생략하고 그대로 방류하는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시스템에서는 오염물질 제거, 처리 과정을 거친 초기 강우유출수와 오염물질 제거, 처리 과정이 생략된 초기 이후 강우유출수를 방류수 계로 방류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유엔이 지정한 물 부족 국가 중의 하나로서 지표수는 물론 지하수의 개발과 유지, 관리가 어느 때보다 중요시되는 시점에 있다. 따라서 향후 물부족에 대비하여 도심지 내의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오염도가 낮은 도로 및 단지의 강우유출수를 재사용하기 위하여 물 순환의 각 단계에서 발생하는 차집, 정화, 저류를 위한 핵심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는 빗물의 차집 및 정화 단계에서 자연순응형 침투정화 저류층 기술의 개발, 저류 전 단계에서 자연순응형 녹색침투여과기술의 개발, 정화 및 여과 처리된 빗물의 저류 단계에서 친환경 빗물 저류조 모듈화 급속시공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기존의 아스팔트 및 콘크리트 투수성 포장은 단순히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노면 물기를 빨리 배수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개발되었기에 기층 및 보조기층에 물의 저류 및 침투공간이 없었다. 즉 기존의 투수성 포장은 배수시설이었으며, 저류시설이 아니었다. 따라서 비점오염물질 저감과 같은 환경적 기능은 전혀 없었다.
또한 블록형 투수성 포장기법은 부등침하를 예방하기 위하여 기층을 압축하고 상부에 블록을 배치해 놓은 시설로 강우 시 극히 일부만 침투되고 대부분의 물은 유출되는 문제가 있었고, 일부 침투에 의한 부등침하는 여전히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큰 저류 공극을 가진 플라스틱 구조물은 물의 저류에는 효과적이었으나 역시 투수 및 침투층의 깊이가 깊어 차량의 운행으로 인한 노면의 침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침투 포장면에 식재되어 있는 잔디의 경우 차량의 하중과 충분한 물공급의 부족으로 인하여 대부분 고사하며, 잡풀 및 외래 식물이 유입되어 미관 저해하는 문제점 또한 있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적정한 침투가 가능한 포장층을 전제로 하여 콘크리트 블록으로 시공이 용이한 도로 포장면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이유로 적정한 침투가 가능한 포장층을 전제로 하여 콘크리트 블록으로 시공이 용이한 도로 포장면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일체형으로 제공되어 물이 침투하여 저류되면서 비점오염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시공이 용이한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후 및 좌우 배열 설치되어 시공성이 용이하고, 지면 하중에 대한 지지력 증진 및 부등침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블록 간의 체결을 통하여 부등참하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차장 내의 물의 침투, 저류 기작을 활용한 자연적 물순환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의 침투 기능 보강으로 겨울철 동해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블록 본체와 여재층의 일체로 모듈화된 비점오염 처리를 위한 시공이 용이한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을 이용한 침투포장시설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친환경 여재를 재료로 사용하여 주차장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을 감소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을 이용한 침투포장시설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침투포장시설의 하부에 지하 저류조의 설치에 따른 침투포장을 통과한 강우유출수를 저류조에서 저류 후 조경 및 청소용수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침투포장시설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블록에 의한 시공이 가능한 부등침하 방지 투수성 도로 포장 시설에 있어서, 바닥면과 측벽 및 격벽으로 내측에 수용 공간부를 갖는 블록 본체와, 상기 블록 본체의 양끝단부에서 상호 맞대응하게 단이 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블록 본체와 다른 블록 본체가 연속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결속 조립부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처리 블록를 2개 이상 포함하고, 상기 블록 본체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의 투수성 표면층과 상기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의 내부에 적층되어 침투하는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원을 저감시키기 위한 여재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은 전후 및 좌우로 배열 설치되어 상기 상부의 표면층이 투수성 도로 포장면을 형성하고; 상기 블록 본체는 부등침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인접하는 다른 블록 본체와 연속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측벽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가로지르도록 삽입되어 상기 블록 본체와 다른 블록 본체가 연속 조립되기 위한 연결 조립봉을 더 포함하며, 상기 블록 본체의 무게에 의해 스스로 체결되어 시공이 용이하도록, 상기 결속 조립부는 상기 블록 본체의 끝단에서 바닥이 단이 지도록 형성되는 돌출턱과; 상기 돌출턱과 대응되게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턱지는 돌출턱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턱은 그 상측면에 바깥쪽에서 안쪽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턱 결속부는 상기 경사면과 대응되도록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강우량의 증가시에 상기 수용 공간부 간에 월류가 가능토록 하여 일부 상기 블록 본체에서 우수 범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블록 본체의 측벽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격벽의 상단에 침투수가 월류 가능하도록 침투수 월류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 공간부의 상기 블록 본체 바닥면에는 침투하는 강우유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바닥 배출공이 선택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 배출공이 형성된 상기 수용 공간부와 상기 바닥 배출공이 형성되지 않은 수용 공간부 간의 상기 격벽의 상단에는 상기 월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에 의한 시공이 가능한 부등침하 방지 투수성 도로 포장 시설을 제공한다.
상기 블록 본체는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걸림 단턱부는 일측 끝단이 상기 블록 본체의 수용 공간부 보다 외부로 확장되어 좌우 및 바닥 둘레가 단이 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여재층은 상측에 적층되는 자갈층과, 상기 자갈층의 하부에 적층되는 제올라이트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블록 본체는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걸림 단턱부는 일측 끝단이 상기 블록 본체의 수용 공간부 보다 외부로 확장되어 좌우 및 바닥 둘레가 단이 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여재층은 상측에 적층되는 자갈층과, 상기 자갈층의 하부에 적층되는 제올라이트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블록에 의한 시공이 가능한 부등침하 방지 투수성 도로 포장 침투 시설은 우수가 땅속으로 침투하거나 저류되면서 비점오염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점오염 처리 블록의 전후, 좌우 배열에 의해 설치 시공성이 용이하고, 지면 하중에 대한 지지력 증진 및 부등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점오염 처리 블록에 의해 주차장 내의 물의 침투, 저류 기작을 활용한 자연적 물 순환을 구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의 침투 기능 보강으로 겨울철 동해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 본체와 여재층의 일체로 모듈화 된 비점오염 처리 블록을 이용한 침투포장시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침투포장시설에 친환경 여재를 재료로 사용하여 주차장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침투포장시설의 하부에 지하 저류조의 설치에 따른 침투포장을 통과한 강우유출수를 저류조에서 저류 후 조경 및 청소용수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침투포장시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침투공이 형성되지 않은 블록 본체는 저류조가 되어 이와 같은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시공이 용이한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을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을 보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이 횡으로 결합되는 것을 보인 예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이 종으로 결합되는 것을 보인 예시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의 다른 실시 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결합전 상태 예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 후 상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을 이용한 침투포장시설을 보인 상태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을 보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이 횡으로 결합되는 것을 보인 예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이 종으로 결합되는 것을 보인 예시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의 다른 실시 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결합전 상태 예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 후 상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을 이용한 침투포장시설을 보인 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의 횡 방향 길이를 좌우로 설명하고,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의 종 방향 길이를 전후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시공이 용이한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 을 보인 것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100)은 블록 본체(110)와; 상기 블록 본체(110)를 좌우로 상호 연결하는 조립부(120); 및 상기 블록 본체(110)를 전후로 상호 연결하는 연결 조립봉(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블록 본체(110)는 일체형의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것으로, 바닥면(111)과, 측벽(112) 및 격벽(113)을 사이에 두고 강우유출수가 침투하는 수용 공간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조립부(120)는 일측 끝단이 상기 블록 본체(110)의 수용 공간부(114) 보다 외부로 확장되어 좌우 및 바닥 둘레가 단이 지도록 형성되는 걸림 단턱부(121)와; 타측 끝단이 수직으로 밀폐되어 상기 걸림 단턱부(121)에 대응하도록 결합되기 위한 안착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블록 본체(110)의 좌우 양끝단부에 형성된 걸림 단턱부(121)와 안착부(122)가 상호 맞대응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블록 본체(110)의 좌우 길이방향으로 다른 블록 본체(110A)가 좌우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록 본체(110)의 바닥면(111)에는 복수로 천공되어 상기 수용 공간부(114)에 침투하는 강우유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바닥 배출공(116)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 조립봉(130)은 상기 블록 본체(110)를 전후 종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블록 본체(110)의 일측 좌우 측벽(112)에 형성되는 관통공(115)이 더 천공되며, 상기 관통공(115)에 상기 연결 조립봉(130)이 삽입되어 상기 블록 본체(110)의 전후 종 방향으로 다른 블록 본체가 연속 조립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100)은 상기 블록 본체(110)와 좌우 횡 길이방향으로 다른 블록 본체(110A)를 조립부(120)에 의해 상호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 본체(110)와 전후 종단 길이방향으로 다른 블록 본체(110B)를 연결 조립봉(130)에 의해 상호 연속적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볼록 본체(110)의 전후 및 좌우 연속되는 조립으로써, 건물과 이어지는 노면도로 및 건물의 지하주차장에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을 횡단 및 종단 방향으로 설치 시공하여 강우유출수의 침투수를 효율적으로 저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100)은 상기 블록 본체(110)의 측벽(112)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격벽(113)의 각 상단에 관통 설치되는 침투수 월류부(140)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침투수 월류부(140)는 강우량의 갑작스런 증가로 침투수가 상기 블록 본체(110)의 수용 공간부(114)에 수위를 상승시킬 경우에 대비하여 블록 본체(110)의 각 수용 공간부(114)를 따라 침투수를 빠르게 월류시켜 순간 강우량의 폭주로 인한 침투수 범람을 최소할 수 있도록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수용 공간부 간에 월류부를 통한 침투수의 이동은 일부 수용 공간부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월류부(140)를 형성하는 경우, 일부 블록 본체(110)의 수용 공간부(114)에는 바닥 배출공(116)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즉, 상기 바닥 배출공(116)이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침투수가 과대한 경우 월류부(140)에 의하여 상기 바닥 배출공(116)이 형성된 인근 수용 공간부로(114) 침투수를 월류시키면 되기 때문이다. 이를 적절히 활용하면 침투수의 저류 기간과 저류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저류량의 조절은 포장지역에서의 에너지 효율(온도 조절)에 유용하다. 즉, 상기 수용 공간부(114)의 5개 중 1개는 상기 바닥 배출공(116)을 형성하지 않거나, 3개 중 1개는 상기 바닥 배출공(116)을 형성하지 않는 방법 등으로 침투수의 저류 기간과 저류량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3개의 수용 공간부(114) 중 1개는 상기 바닥 배출공(116)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배출공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상기 월류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월류부(140)를 형성하는 경우, 일부 블록 본체(110)의 수용 공간부(114)에는 바닥 배출공(116)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즉, 상기 바닥 배출공(116)이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침투수가 과대한 경우 월류부(140)에 의하여 상기 바닥 배출공(116)이 형성된 인근 수용 공간부로(114) 침투수를 월류시키면 되기 때문이다. 이를 적절히 활용하면 침투수의 저류 기간과 저류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저류량의 조절은 포장지역에서의 에너지 효율(온도 조절)에 유용하다. 즉, 상기 수용 공간부(114)의 5개 중 1개는 상기 바닥 배출공(116)을 형성하지 않거나, 3개 중 1개는 상기 바닥 배출공(116)을 형성하지 않는 방법 등으로 침투수의 저류 기간과 저류량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3개의 수용 공간부(114) 중 1개는 상기 바닥 배출공(116)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배출공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상기 월류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결합전 상태 예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 후 상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200)은 블록 본체(210)(210A)를 좌우로 상호 연결하도록 하는 결속 조립부(220)를 상호 올려 놓는 방식으로 설치 가능하게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결속 조립부(220)는 블록 본체(210)(210A)의 일측 끝단에서 상기 블록 본체(210)(210A)의 수용 공간부(214) 보다 외부로 확장되어 바닥 둘레가 단이 지도록 형성되는 돌출턱(221)과; 상기 돌출턱(221)과 대응되게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턱지는 돌출턱 결속부(22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돌출턱(221)은 그 상측면에 바깥쪽에서 안쪽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진 경사면(221a)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턱 결속부(222)는 상기 경사면(221a)과 대응되도록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진 경사면(222a)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블록 본체(210)의 돌출턱(221)에 다른 쪽 블록 본체(210A)의 돌출턱 결속부(222)를 올려놓으면, 돌출턱(221)에 형성된 경사면(221a)에 돌출턱 결속부(222)에 형성된 경사면(222a)이 맞닿게 되는데, 이때 돌출턱(221)의 경사면(221a)이 바깥쪽에서 안쪽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져 있고, 이에 대응되게 돌출턱 결속부(222)의 경사면(222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블록 본체(210A)의 무게에 의해 자연스럽게 미끄러지면서 쉽게 얹혀지는 것으로써, 블록 설치 작업을 매우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시공이 용이한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을 이용한 침투포장시설을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을 이용한 침투포장시설을 보인 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침투포장시설은 상기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점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침투포장시설은 바닥면(111)과 측벽(112) 및 격벽(113)으로 밀폐되어 내측에 수용 공간부(114)를 갖는 블록 본체(110)와, 상기 블록 본체(110)의 좌우 양끝단부에서 상호 맞대응하게 단이 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블록 본체(110)의 횡 방향으로 다른 블록 본체(110A)가 좌우 연속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조립부(120)를 포함하고 투수성 표면층의 하부 지면에 매설되어 상기 투수성 표면층을 침투한 강우유출수가 수용되어 저류되기 위한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100)과; 상기 블록 본체(1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의 투수성 표면층(10)과; 상기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100)의 내부에 적층되어 침투하는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원을 저감하기 위한 여재층(3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립부(120)는 일측 끝단이 상기 블록 본체(110)의 수용 공간부(114) 보다 외부로 확장되어 좌우 및 바닥 둘레가 단이 지도록 형성되는 걸림 단턱부(121)와; 타측 끝단이 수직으로 밀폐되어 상기 걸림 단턱부(121)에 대응하도록 결합되기 위한 안착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블록 본체(110)는 일측 좌우 측벽(112)에 관통공(115)이 더 천공되며, 상기 관통공(115)에는 삽입되어 상기 블록 본체(110)의 종방향으로 다른 블록 본체(110B)가 연속 결합하기 위한 연결 조립봉(130)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록 본체(110)의 바닥면(111)에는 복수로 천공되어 상기 수용 공간부(114)에 침투된 강우유출수를 저류하기 위한 바닥 배출공(116)이 더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재층(300)은 상측에 적층되는 자갈층(310)과, 상기 자갈층(310)의 하부에 적층되는 제올라이트층(320)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의한 시공이 용이한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침투포장시설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침투포장시설은 투수성 표면층(10)으로 침투하는 강우유출수가 침투함과 동시에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100)에 적층되어 있는 여재층(300)의 자갈층(310)과 제올라이트층(320)을 경유하면서 강우유출수에 포함된 비점오염 물질을 걸러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여재층(300)을 통과한 강우유출수는 상기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100)의 바닥면(111)에 천공된 바닥 배출공(116)을 통하여 지하로 저류되어 자연적 물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과 여재층이 일체화된 모듈화된 침투포장시설을 통하여 본 시설 하부에 지하 저류조 건설시 침투포장시설을 통과한 강우유출수는 시설 하부인 저류조에 저류된 후 조경 및 청소용수로 재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친환경 여재를 재료로 사용함으로써 주차장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투수성 표면층
100, 200 :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
110, 210 : 블록 본체
120 : 조립부
130 : 연결 조립봉
300 : 여재층
100, 200 :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
110, 210 : 블록 본체
120 : 조립부
130 : 연결 조립봉
300 : 여재층
Claims (9)
- 블록에 의한 시공이 가능한 부등침하 방지 투수성 도로 포장 시설에 있어서,
바닥면과 측벽 및 격벽으로 내측에 수용 공간부를 갖는 블록 본체와, 상기 블록 본체의 양끝단부에서 상호 맞대응하게 단이 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블록 본체와 다른 블록 본체가 연속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결속 조립부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처리 블록을 2개 이상 포함하고,
상기 블록 본체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의 투수성 표면층과
상기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의 내부에 적층되어 침투하는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원을 저감시키기 위한 여재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조립형 비점오염 처리 블록은 전후 및 좌우로 배열 설치되어 상기 상부의 표면층이 투수성 도로 포장면을 형성하고;
상기 블록 본체는 부등침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인접하는 다른 블록 본체와 연속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측벽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가로지르도록 삽입되어 상기 블록 본체와 다른 블록 본체가 연속 조립되기 위한 연결 조립봉을 더 포함하며,
상기 블록 본체의 무게에 의해 스스로 체결되어 시공이 용이하도록,
상기 결속 조립부는 상기 블록 본체의 끝단에서 바닥이 단이 지도록 형성되는 돌출턱과; 상기 돌출턱과 대응되게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턱지는 돌출턱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턱은 그 상측면에 바깥쪽에서 안쪽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턱 결속부는 상기 경사면과 대응되도록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강우량의 증가시에 상기 수용 공간부 간에 월류가 가능토록 하여 일부 상기 블록 본체에서 우수 범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블록 본체의 측벽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격벽의 상단에 침투수가 월류 가능하도록 침투수 월류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 공간부의 상기 블록 본체 바닥면에는 침투하는 강우유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바닥 배출공이 선택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 배출공이 형성된 상기 수용 공간부와 상기 바닥 배출공이 형성되지 않은 수용 공간부 간의 상기 격벽의 상단에는 상기 월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에 의한 시공이 가능한 부등침하 방지 투수성 도로 포장 시설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본체는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에 의한 시공이 가능한 부등침하 방지 투수성 도로 포장 시설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여재층은 상측에 적층되는 자갈층과, 상기 자갈층의 하부에 적층되는 제올라이트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에 의한 시공이 가능한 부등침하 방지 투수성 도로 포장 시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2218A KR101542568B1 (ko) | 2014-04-30 | 2014-04-30 | 블록에 의한 시공이 가능한 부등침하 방지 투수성 도로 포장 침투 시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2218A KR101542568B1 (ko) | 2014-04-30 | 2014-04-30 | 블록에 의한 시공이 가능한 부등침하 방지 투수성 도로 포장 침투 시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42568B1 true KR101542568B1 (ko) | 2015-08-07 |
Family
ID=53886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2218A KR101542568B1 (ko) | 2014-04-30 | 2014-04-30 | 블록에 의한 시공이 가능한 부등침하 방지 투수성 도로 포장 침투 시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4256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0910B1 (ko) | 2020-09-07 | 2021-01-11 | 유수정 | 스마트 조립형 물순환 배수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
KR102406486B1 (ko) * | 2021-04-30 | 2022-06-08 | 주식회사 클레이맥스 | 시인성을 확보한 호우 방재형 다단 빗물 침투 측구 구조물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9621B1 (ko) * | 2009-11-19 | 2010-07-14 | 주식회사 에코탑 | 환경생태저류형 수로관 구조 |
KR101339455B1 (ko) * | 2012-07-04 | 2013-12-06 | 주식회사 헥코리아 | 다단분리를 이용한 빗물 저류 장치 |
-
2014
- 2014-04-30 KR KR1020140052218A patent/KR10154256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9621B1 (ko) * | 2009-11-19 | 2010-07-14 | 주식회사 에코탑 | 환경생태저류형 수로관 구조 |
KR101339455B1 (ko) * | 2012-07-04 | 2013-12-06 | 주식회사 헥코리아 | 다단분리를 이용한 빗물 저류 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0910B1 (ko) | 2020-09-07 | 2021-01-11 | 유수정 | 스마트 조립형 물순환 배수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
KR102406486B1 (ko) * | 2021-04-30 | 2022-06-08 | 주식회사 클레이맥스 | 시인성을 확보한 호우 방재형 다단 빗물 침투 측구 구조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53044B1 (ko) | 보도블록 경사면과 저류 침투형 탄소 복합 소재 투수 보도 블록 조립체를 연계한 우수 유출 저감형 투수성 보도블록 포장 시공 시스템 | |
KR101288606B1 (ko) | 침투도랑 | |
KR101560719B1 (ko) | 조립식 침투저류조 블록유닛 및 이를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 | |
KR101923926B1 (ko) | 도시형 레인가든 시스템 | |
KR102089235B1 (ko) | 다기능 비점오염 저감 구조물 | |
KR101356690B1 (ko) | 하천형 수류 순환 시스템 및 하천형 수류 순환 관리 방법 | |
CN205153080U (zh) | 地埋式雨水蓄渗装置 | |
CN204919757U (zh) | 一种雨水原位净化修复系统 | |
KR101489248B1 (ko) | 정화 필터가 구비된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 | |
CN106917522B (zh) | 一种基于海绵城市理念的室外停车位系统 | |
JP2009257005A (ja) | 高架道路の雨水利用システム | |
CN207700351U (zh) | 一种强化水质净化功能的雨水花园系统 | |
KR20150110193A (ko) |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 | |
CN105220597A (zh) | 城市透水路面结构及基于该透水路面的雨水收集利用系统 | |
CN205046438U (zh) | 城市透水路面结构及基于该透水路面的雨水收集利用系统 | |
KR101510615B1 (ko) | 침투식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 |
KR20140146365A (ko) | 비점오염 처리 및 물순환 활용을 위한 조립형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침투포장시설 | |
KR101542568B1 (ko) | 블록에 의한 시공이 가능한 부등침하 방지 투수성 도로 포장 침투 시설 | |
CN108625454A (zh) | 海绵城市雨水处理系统 | |
KR101206269B1 (ko) | 저류 연계형 빗물 관리 시스템 | |
KR101997173B1 (ko) | 단계적 여과방식 빗물 저류 시스템 | |
KR102097635B1 (ko) | 미네랄 울 필터를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 | |
CN210597544U (zh) | 土壤及建筑垃圾浇筑自动喝水过滤式整体管道及其管井 | |
CN212427242U (zh) | 地下工程顶部结构清淤排水结构体系 | |
KR200391060Y1 (ko) | 투수성 저류 블럭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