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796B1 -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 - Google Patents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796B1
KR101300796B1 KR1020130032826A KR20130032826A KR101300796B1 KR 101300796 B1 KR101300796 B1 KR 101300796B1 KR 1020130032826 A KR1020130032826 A KR 1020130032826A KR 20130032826 A KR20130032826 A KR 20130032826A KR 101300796 B1 KR101300796 B1 KR 101300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rainfall
recycling
rain garden
rainfall runof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2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이형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32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7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B01D21/34Controlling the feed distribution; Controlling the liquid level ; Control of process parame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Abstract

본 발명은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강우유출수 유입부, 강우유출수 유입부에 연결되어 강우유출수를 우수관거로 이송하는 제1 수로, 상기 제1 수로의 일측에 설치된 제2 수로, 상기 제1 수로와 제2 수로를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제1 수로와 연결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수로선택수단, 및 상기 제2 수로에 연결되며, 초목류가 식재되는 레인가든으로 구성되어 초기 강우유출수와 초기이후 강우유출수를 구분하여 초기 강우유출수를 정화처리하여 기존의 우수관거로 이송되게 하고, 초기이후 강우유출수를 이용하여 레인가든을 조성함으로써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가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도심경관을 살릴 수 있고, 최종적으로 저수조에 저수함으로써 수자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Rain garden system for treating selectively and recycling storm water runoff}
본 발명은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초기 강우유출수와 초기이후 강우유출수를 구분하여 초기 강우유출수를 정화처리하여 기존의 우수관거로 이송되게 하고, 초기이후 강우유출수를 이용하여 레인가든을 조성하여 도심경관을 살림과 아울러 최종적으로 저수조에 저수함으로써 수자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우유출수에는 비점오염물질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강우유출수로부터 비점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시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설은 대부분이 콘크리트 시설로서 주변경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주민들에게는 혐오시설로 인식되어 처리시설을 설치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설에 초목류가 식재된 식재영역을 구비하여 비점오염물질의 정화처리 기능과 조경 기능을 겸하도록 하여 혐오감을 최소화한 소위 레인가든이라고 하는 시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강우유출수를 여과처리한 후 식재영역에 도입함으로써 초목류의 생장에 필요한 용수로서 활용하는 개념을 가지는 것으로서, 비점오염물질이 다량 함유된 초기 강우유출수와 비점오염물질이 소량 함유된 초기이후 강우유출수를 구분하지 않고 동일한 경로를 거쳐 식생영역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강우유출수의 효과적인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식재영역에 식재된 초목류의 생장에 필요한 용수로서 제공되는 강우유출수의 수질이 불량하여 초목류의 생장에 영향을 주게 되며, 레인가든을 통과한 강우유출수를 저수시설에 저수할 경우 수질이 중수로서 활용하기에도 불량할 뿐만 아니라 저수된 강우유출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이 부패하면서 악취를 발생시키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다.
종래 레인가든으로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66887호의 "개량형 레인가든"이 알려져 있다. 상기 등록특허의 개량형 레인가든은 우수가 흘러가는 통로 역할을 하는 수로, 상기 수로의 측벽에 접하되, 쇄석층, 섬유필터층, 부직포층 및 식물이 식재되는 유기질 토양층이 아래에서부터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부직포층보다 아래층에서 상기 수로와 연통되는 우수정화 및 저류부; 및 상기 유기질 토양층 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세워 설치되며 그 하단이 상기 부직포층을 관통하여 상기 섬유필터층의 상면에 이어지는 봉모양의 섬유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의 레인가든은 비점오염물질이 다량 함유된 초기 강우유출수와 비점오염물질이 소량 함유된 초기이후 강우유출수의 구분 없이 동일한 경로를 통해 처리하고, 식재된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용수로서 활용되기 때문에 강우유출수의 처리, 식물의 생장, 수질 등에서 상술한 종래의 레인가든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초기 강우유출수와 초기이후 강우유출수를 선택적으로 처리함으로써 강우유출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레인가든을 조성하여 도심경관을 살릴 수 있도록 하고, 처리된 강우유출수를 저수함으로써 수자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강우유출수 유입부; 강우유출수 유입부에 연결되어 강우유출수를 우수관거로 이송하는 제1 수로; 상기 제1 수로의 일측에 설치된 제2 수로; 상기 제1 수로와 제2 수로를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제1 수로와 연결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수로선택수단; 및 상기 제2 수로와 저수조 사이에 연결되며, 초목류가 식재되는 레인가든;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제1 수로와 제2 수로는 서로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수로와 제2 수로를 구획하는 구획벽과, 상기 구획벽에 형성되는 통수공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수로와 제2 수로는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수로와 제2 수로를 연결하는 연결통로를 형성하는 연결관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로선택수단은 상기 유입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강우유출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수로는 강우유출수 중 비교적 입도와 비중이 큰 비점오염물질을 침강시키는 침강부와, 강우유출수 중 미세한 비점오염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여재가 충전된 여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수로는 강우유출수 중의 비교적 입도가 큰 비점오염물질을 여과함과 아울러 강우유출수의 유속을 제어하여 유량조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여재가 충전된 여과 및 유량조정부와, 강우유출수 중 미세한 비점오염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여재가 충전된 여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여과부의 여재는 우드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 및 유량조정부의 여재는 자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인가든은 하층에 충전되는 여재와, 상기 여재의 상층에 충전되어 초목류가 식재되는 식생토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여재는 하층의 모래와 상층의 우드칩으로 구성된다.
상기 레인가든에는 복수개의 식재포트가 구비되고, 상기 식재포트에는 하층에 충전되는 여재와, 상기 여재의 상층에 충전되는 식생토가 구비된다.
상기 여재는 우드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강우유출수 유입부; 강우유출수 유입부에 연결되어 강우유출수를 우수관거로 이송하는 제1 수로와, 상기 제1 수로의 일측에 설치된 제2 수로와, 상기 제1 수로와 제2 수로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제1 수로와 연결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수로선택수단, 및 상기 제2 수로와 저수조 사이에 연결되며 초목류가 식재되는 레인가든을 구비하여 초기 강우유출수와 초기이후 강우유출수를 구분하여 초기 강우유출수를 정화처리하여 기존의 우수관거로 이송되게 하고, 초기이후 강우유출수를 이용하여 레인가든을 조성함으로써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가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도심경관을 살릴 수 있고, 최종적으로 저수조에 저수함으로써 수자원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전체 사시도,
도 2는 구조물만 보인 초기 강우시의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구조물만 보인 초기이후 강우시의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초기 강우시의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5는 초기이후 강우시의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6은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부분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은, 유입되는 강우유출수를 초기 강우유출수와 초기이후 강우유출수로 구분하여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유동시킴과 아울러 서로 다른 처리를 하도록 함으로써 강우유출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우유출수 유입부(I); 강우유출수 유입부(I)와 우수관거를 연결하는 제1 수로(100); 상기 제1 수로(100)의 일측에 설치된 제2 수로(200); 상기 제1 수로(100)와 제2 수로(200)를 연결하는 연결부(300); 상기 제1 수로(100)와 연결부(30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수로선택수단(400); 및 상기 제2 수로(200)에 연결된 레인가든(500); 을 포함한다.
상기 유입부(I)는 도심의 도로나 주차장 또는 건축물의 옥상 등에서 발생하는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유입부(I)를 도로에서 발생하는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는 통상적인 측구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유입부(I)를 건축물의 옥상에서 발생하는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는 옥상배수관이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유입부(I)에 연결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요부에 해당하지 아니 하므로 이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수로(100)에 연결되는 우수관거는 기존에 설치된 우수관거로서 이에 대해서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수로(100)와 제2 수로(200)가 통상적인 수로 형태로 구성되며, 하나의 벽을 공유하는 상태로 나란히 설치된다.
상기 제1 수로(100)와 제2 수로(200)는 상면이 개방된 홈통 모양으로 형성하여 그 상단이 지표면에 위치하도록 지중에 매설하고, 개방된 상단을 덮개(101)(201)로 복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내부 구조를 보이기 위하여 덮개(101)(201)를 제거하소, 여재(121)(211)(221)를 생략한 상태로 도시하였다.
도시예에서는 상기 제1 수로(100) 및 제2 수로(200)의 상단인 덮개(101)(201)와 레인가든(500)의 상단이 지표면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예를 들고 있으나, 상기 제1 수로(100) 및 제2 수로(200)의 상단인 덮개(101)(201)가 지표면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레인가든(500)의 상단이 지표면에 위치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로(100)는 침강부(110)와, 여과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침강부(110)는 유입되는 강우유출수 중에 함유된 입도와 비중이 큰 비점오염물질이 침강되도록 일정한 공간으로 구성된다.
상기 여과부(120)는 제1 수로(100)를 유동하는 초기 강우유출수로부터 비점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여재(121)가 충전된다. 상기 여재(121)로서는 모래와 자갈과 같은 전통적인 여재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우드칩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드칩팩은 우드칩을 패키지화한 것으로서 여과부(120)에 대한 설치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게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수로(100)의 하류단에는 우수관거에 연결되는 관거연결관(130)이 연결된다.
상기 제2 수로(200)는 여과 및 유량조정부(210)와 여과부(220)를 구비한다.
상기 여과 및 유량조정부(210)에는 자갈(211)이 충전된다.
상기 여과 및 유량조정부(210)에서는 유입된 강우유출수가 자갈(211) 사이를 통과하면서 강우유출수에 함유된 비교적 큰 입도의 비점오염물질을 여과하는 기능과, 강우유출수의 유속을 조정하여 상기 레인가든(500)로 유입되는 강우유출수의 유량을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여과부(220)에는 여재(221)가 충전된다.
상기 여재(221)로서는 모래, 자갈 등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우드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우드칩을 패키지화한 우드칩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부(220)의 여재(221)는 상기 제2 수로(200)를 유동하는 초기이후 강우유출수로부터 비점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제1 수로와 제2 수로(200)를 연결하는 연결통로(3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통로(310)는 상기 제1 수로(100)와 제2 수로(200) 사이에 배치되는 구획벽(320)에 천공한 통공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로선택수단(400)은 상기 저1 수로(100) 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판(410)과, 상기 개폐판(410)을 회동 구동하는 회동구동기구(420)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판(410)은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회동구동기구(420)는 상기 제1 수로(100)의 상단에 장착되는 구동모터(421)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터(421)는 감속기가 구비된 전기모터를 사용하여 그 출력축에 상기 개폐판(410)의 일단부를 결합할 수도 있으며, 도시예와 같이 감속기가 구비되지 않은 전기모터를 사용하여 그 출력축에 별도의 감속기(422)를 결합하고, 감속기(422)의 출력축에 상기 개폐판(410)의 일단부를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수로선택수단(400)은 관리자가 상기 구동모터(421)를 수동으로 가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유입부(I)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430)를 구비하여 수위감지센서(430)의 수위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421)가 자동으로 가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위감지센서(430)의 수위감지신호는 제어부(미도시)에 전달되고, 제어부에서는 수위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421)를 구동시켜 개폐판(410)이 제1 수로(10))와 연결통로(3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는 제어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유입부(I)의 내부의 강우유출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그 수위가 초기 강우유출수의 수위에 해당하면 상기 구동모터(421)가 상기 개폐판(410)을 상기 연결통로(31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작동되게 하고, 그 수위가 초기이후 강우유출수의 수위에 해당하면 상기 구동모터(421)가 상기 개폐판(410)을 상기 연결통로(31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작동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유입부(I) 내의 수위가 최초 초기 강우유출수의 수위보다 높아진 후 다시 초기 강우유출수의 수위보다 낮아진 경우에는 강우가 그칠 때까지 연결통로(310)를 개방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수로(100)의 내면에는 상기 개폐판(410)이 제1 수로(100)를 폐쇄하는 상태일 때 개폐판(410)의 선단부가 걸리는 걸림돌기(440)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통로(310)는 그 상하류측 면(321)(322)이 제1 수로(200) 내에서의 강우유출수의 유동방향에서 볼 때 제2 수로(200)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강우유출수가 제1 수로(100)에서 제2 수로(200)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유동저항이 최소화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로선택수단(400)을 구성하는 개폐판(410)은 연결통로(310)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구획벽(300)에 밀착되고, 연결통로(310)를 개방하고 제1 수로(100)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제1 수로(100)의 바깥쪽 벽체(101)에 밀착되는 선단부가 구획벽(300) 측에 위치하는 회전지지부보다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강우유출수가 제1 수로(100)에서 연결통로(310)를 통해 제2 수로(200)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와류발생 및 유동저항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인가든(500)은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유입공(520)을 통하여 상기 제2 수로(200)에 연결되는 레인가든 본체(510)와, 상기 레인가든 본체(510)의 내부에 충전되는 여재(530)와, 상기 여재(530)의 상부에 적층되는 식생토(540)와, 상기 레인가든 본체(510)의 하류측에 구비되는 배수관(550)을 포함한다.
상기 여재(530)는 하부에 적층되는 굵은 모래(531)와, 상기 굵은 모래(531)의 상측에 적층되는 자갈(532)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우드칩을 추가로 적층할 수도 있다.
상기 식생토(540)로서는 부엽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통상적인 토양이나 인공토양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식생토(540)에는 초목류(V)가 식재된다.
상기 레인가든(500)은 상기 레인가든 본체(51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복수개의 식재포트(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재포트(560)에는 레인가든 본체(510)된 강우유출수가 통수공(561)을 통해 식재포트(560)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개의 통수공(561)이 형성된다.
상기 식재포트(560)는 목재나 콘크리트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식재포트(560)에는 여재(570)와 식생토(580)가 충전된다.
상기 여재(570)로서는 우드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모래와 자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식생토(580)로서는 부엽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통상적인 토양이나 인공토양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생토(580)에는 초목류(V)가 식재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에 의한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강우가 없는 평상시, 다시 말하면 제1 수로(100) 내의 수위가 초기 강우유출수의 수위 범위 이내일 때에는 상기 수로선택수단(400)의 개폐판(410)이 상기 제1 수로(100)와 제2 수로(200)의 연결통로(310)를 폐쇄하여 상기 유입부(I)로 강우유출수가 유입되었을 때 제1 수로(100)를 거쳐 우수관거로 유동하게 되는 상태로 유지된다(도 2 및 도 4 참조).
강우가 시작되면, 상기 유입부(I)에 강우유출수가 유입되고, 상기 유입부(I)로 유입된 강우유출수는 상기 제1 수로(100)로 유입된다.
강우가 계속되어 상기 유입부(I) 내의 수위가 초기 강우시의 수위보다 높아지게 되면, 관리자가 구동모터(421)를 가동시켜 개폐판(410)에 의하여 제1 수로(100)가 폐쇄되고 연결통로(310)가 개방되도록 하여 유입부(I)의 강우유출수가 연결통로(310)를 통해 제2 수로(200)로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제2 수로(200)로 유입된 강우유출수는 먼저 여과 및 유량조정부(210) 내에 충전된 자갈(211) 사이의 틈새를 통과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강우유출수에 함유된 비점오염물질이 여과됨과 아울러 강우유출수의 유속이 자연스럽게 제어되어 유량조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유량조정부(210)를 거친 강우유출수는 여과부(220)를 통과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여과부(220)에 충전된 여재(221)에 의하여 비점오염물질이 제거된다.
한편, 상기 유입부(I)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430)를 구비한 경우에는, 수위감지센서(430)에 의해 감지된 강우유출수의 수위에 따라 구동모터(421)가 제어되어 개폐판(310)이 연결통로(310)와 제1 수로(100)를 자동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비강우시에는 수위감지센서(430)에 의해 감지된 강우유출수의 수위가 초기 강우유출수의 수위범위보다 낮게 되고, 이 수위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가 구동모터(421)를 제어하여 개폐판(410)이 연결통로(310)를 폐쇄하고 제1 수로(100)를 개방한 상태로 유지된다.
초기 강우시에는 수위감지센서(430)에 의해 감지된 강우유출수의 수위가 초기 강우유출수의 수위범위 내에 있게 되고, 이 수위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가 구동모터(421)를 제어하여 개폐판(410)이 연결통로(310)를 폐쇄하고 제1 수로(100)를 개방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초기이후 강우시에는 수위감지센서(430)에 의해 감지된 강우유출수의 수위가 최기 강우유출수의 수위범위보다 높게 되고, 이 수위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가 구동모터(421)를 제어하여 개폐판(410)이 제1 수로(100)를 폐쇄하고 연결통로(310)를 개방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2 수로(200)를 통과하면서 비점오염물질이 제거된 강우유출수는 유입공(520)을 통하여 레인가든(500)으로 유입된다.
상기 레인가든(500)으로 유입된 강우유출수는 레인가든(500)의 내부에 충전된 여재(530)에 의하여 여과되어 정화되고, 배수관(550)을 통하여 지중에 매설된 저수시설(미도시)로 이송된다.
한편, 레인가든(500)으로 유입되어 여재(530)에 의하여 여과된 강우유출수는 여재(530)와 식생토(540)에 스며들어 식생토(540)에 식재된 초목류(V)의 생장에 필요한 용수로서 공급된다.
또한 레인가든(500)으로 유입되어 여재(530)에 의하여 여과된 강우유출수는 통수공(561)을 통하여 식재포트(560)로 유입되고, 식재포트(560)에 충전된 여재(570)에 의해 여과되고, 여재(570)와 식생토(580)에 스며들어 식재포트(560)에 식재된 초목류(V)의 생장에 필요한 용수로서 공급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수로(100)와 제2 수로(200)가 나란히 배치될 수 없는 지형에서는 제1 수로(100)와 제2 수로(200)를 각기 독립적으로 배치하고, 상기 연결부(300)가 상기 제1 수로(100)와 제2 수로(200)를 연결하는 연결통로(331)를 형성하는 연결관(330)으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수로선택수단(400)을 구성하는 개폐판(410)이 상기 연결통로(331)의 제1 수로(100) 측 단부를 개폐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여타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I : 유입부 100 : 제1 수로
110 : 침강부 120 : 여과부
200 : 제2 수로 210 : 여과 및 유량조정부
220 : 여과부 300 : 연결부
310, 331 : 연결통로 330 : 연결관
400 : 수로선택수단 410 : 개폐판
420 : 회동구동기구 430 : 수위감지센서
500 : 레인가든 530 : 여재
540 : 식생토 560 : 식생포트
570 : 여재 580 : 식생토

Claims (12)

  1. 강우유출수 유입부;
    강우유출수 유입부에 연결되어 강우유출수를 우수관거로 이송하는 제1 수로;
    상기 제1 수로의 일측에 설치된 제2 수로;
    상기 제1 수로와 제2 수로를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제1 수로와 연결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수로선택수단; 및
    상기 제2 수로와 저수조 사이에 연결되며, 초목류가 식재되는 레인가든;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로와 제2 수로는 서로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수로와 제2 수로를 구획하는 구획벽과, 상기 구획벽에 형성되는 통수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수로와 제2 수로는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수로와 제2 수로를 연결하는 연결통로를 형성하는 연결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선택수단은 상기 유입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강우유출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로는 강우유출수 중 비교적 입도와 비중이 큰 비점오염물질을 침강시키는 침강부와, 강우유출수 중 미세한 비점오염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여재가 충전된 여과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로는 강우유출수 중의 비교적 입도가 큰 비점오염물질을 여과함과 아울러 강우유출수의 유속을 제어하여 유량조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여재가 충전된 여과 및 유량조정부와, 강우유출수 중 미세한 비점오염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여재가 충전된 여과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의 여재는 우드칩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및 유량조정부의 여재는 자갈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가든은 하층에 충전되는 여재와, 상기 여재의 상층에 충전되어 초목류가 식재되는 식생토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여재는 하층의 모래와 상층의 우드칩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
  11. 제1항, 제9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가든에는 복수개의 식재포트가 구비되고, 상기 식재포트에는 하층에 충전되는 여재와, 상기 여재의 상층에 충전되는 식생토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여재는 우드칩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
KR1020130032826A 2013-03-27 2013-03-27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 KR101300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826A KR101300796B1 (ko) 2013-03-27 2013-03-27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826A KR101300796B1 (ko) 2013-03-27 2013-03-27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0796B1 true KR101300796B1 (ko) 2013-08-29

Family

ID=49221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2826A KR101300796B1 (ko) 2013-03-27 2013-03-27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79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3625A (ko) * 2014-09-04 2014-09-24 이용백 빗물처리장치를 이용한 빗물재이용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25607B1 (ko) * 2014-08-08 2015-06-03 조영철 융복합 하이브리드 우수 관리 시스템
KR101583357B1 (ko) 2014-09-18 2016-01-07 장익식 개량형 레인가든 구조
KR20160022632A (ko) 2014-08-20 2016-03-02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식생 성장 촉진 및 비점오염물질의 저감 제거를 갖는 빗물 정원 시설의 시공 방법
KR102386824B1 (ko) * 2021-11-05 2022-04-14 경기도 고양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옥상 빗물저금통 활용 건물 통합녹화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6529A (ja) 2005-05-13 2006-11-24 Seiki Rin 非点汚染源除去装置
KR100959161B1 (ko) 2008-08-12 2010-05-24 성무건설 주식회사 초기우수 처리시스템
KR20110116608A (ko) * 2010-04-19 2011-10-26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장치
KR101108281B1 (ko) 2010-07-05 2012-01-31 신강하이텍(주)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와 처리잔류수의 자동방류가 가능한 여과형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6529A (ja) 2005-05-13 2006-11-24 Seiki Rin 非点汚染源除去装置
KR100959161B1 (ko) 2008-08-12 2010-05-24 성무건설 주식회사 초기우수 처리시스템
KR20110116608A (ko) * 2010-04-19 2011-10-26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장치
KR101108281B1 (ko) 2010-07-05 2012-01-31 신강하이텍(주)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와 처리잔류수의 자동방류가 가능한 여과형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607B1 (ko) * 2014-08-08 2015-06-03 조영철 융복합 하이브리드 우수 관리 시스템
KR20160022632A (ko) 2014-08-20 2016-03-02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식생 성장 촉진 및 비점오염물질의 저감 제거를 갖는 빗물 정원 시설의 시공 방법
KR20140113625A (ko) * 2014-09-04 2014-09-24 이용백 빗물처리장치를 이용한 빗물재이용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39004B1 (ko) * 2014-09-04 2016-07-12 이용백 초기 빗물의 정화 배제 기능이 강화된 빗물재이용시스템
KR101583357B1 (ko) 2014-09-18 2016-01-07 장익식 개량형 레인가든 구조
KR102386824B1 (ko) * 2021-11-05 2022-04-14 경기도 고양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옥상 빗물저금통 활용 건물 통합녹화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1698B2 (en) Hybrid artificial wetland water purification system, sewage treatment device using same, and natural nonpoint purification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purifying river and lake water
US8318015B2 (en) Stormwater filtration systems
US8940170B2 (en) Triple-chambered wetland biofilter treatment system
KR101300796B1 (ko)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
KR101218344B1 (ko)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
KR101078773B1 (ko)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KR101294715B1 (ko)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0691763B1 (ko) 강우유출수를 비롯한 오염수 처리를 위한 수처리장치
KR20150061542A (ko)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 및 빗물처리 운용 방법
KR20160022140A (ko) 빗물 침투에 의한 저류 및 증발로 식생 성장이 가능토록 한 확장형 침투 화분 시설물
KR101239389B1 (ko) 자연형 침투도랑형 재이용수 활용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704901B1 (ko) 강우의 특성을 고려한 우수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101922669B1 (ko) 미생물을 활용하는 카트리지형 수목여과상자
KR100791965B1 (ko) 비점오염원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수 처리장치
CN102574718A (zh) 一种促进水利用的方案和方法
KR100601908B1 (ko) 우수저류연못을 이용한 비점오염물질 정화 및 친수시설활용방법과 그 장치
KR101404215B1 (ko) 빗물저장시설 및 이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
KR100477532B1 (ko) 연못의 수질정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08694B1 (ko) 우수의 여과장치
KR101380776B1 (ko) 측구집수조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 박스
KR20170084428A (ko) 식생포트 및 상기 식생포트를 포함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635966B1 (ko)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생태수로
CN209082658U (zh) 一种市政道路排水系统
KR100949388B1 (ko) 도시형 우수정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KR101218044B1 (ko) 자연형 비점 오염 처리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