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1542A -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 및 빗물처리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 및 빗물처리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1542A
KR20150061542A KR1020140032552A KR20140032552A KR20150061542A KR 20150061542 A KR20150061542 A KR 20150061542A KR 1020140032552 A KR1020140032552 A KR 1020140032552A KR 20140032552 A KR20140032552 A KR 20140032552A KR 20150061542 A KR20150061542 A KR 20150061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park
ssamzie
power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철
김진관
김학선
한상욱
이주탁
김수동
김태성
Original Assignee
조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철 filed Critical 조영철
Publication of KR20150061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15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2Downward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supported by pervious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underground tan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대중에게 상시 개방하고 인접대지 내 공지와 공동으로 조성되거나 주요 보행 결절 점 주변에 조성되는 쌈지공원과 같은 도심 녹지에서 빗물의 저류와 송수 및 여과처리 그리고 재활용할 수 있는 저영향개발(LID: Low Impact Development) 을 적용하고, 무동력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한 자연 친화적인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 및 빗물처리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쌈지공원를 포함하는 도심 녹지에서 빗물을 활용하기 위한 설비로서, 빗물을 지반 측으로 유도하는 투수 유닛; 상기 투수유닛으로부터 투수되어 오는 빗물을 집수하고 송수하는 송수 유닛; 상기 송수 유닛으로부터 제공받는 빗물을 여과처리하는 여과처리 유닛; 상기 여과처리 유닛에서 여과 처리된 빗물을 제공받아 저류하는 저류 유닛; 및 모세관현상을 통해 상기 저류 유닛에 저류된 빗물을 지반층으로 유도하는 무동력 빗물공급 유닛을 포함하는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 및 빗물처리 운용 방법{NON-POWER RAINWATER TREATING MANAGEMENT SYSTEM AND RAINWATER TREATING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빗물처리 운용설비 및 빗물처리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 대중에게 상시 개방하고 인접대지 내 공지와 공동으로 조성되거나 주요 보행 결절 점 주변에 조성되는 쌈지공원과 같은 도심 녹지에서 빗물의 저류와 송수 및 여과처리 그리고 재활용할 수 있는 저영향개발(LID: Low Impact Development) 을 적용하고, 무동력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한 자연 친화적인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 및 빗물처리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심의 환경 개선을 위하여 쌈지공원이 많이 조성되고 있다. 쌈지공원이라 함은 대지 내 공지를 일반 대중에게 상시 개방하고 인접대지 내 공지와 공동으로 조성하거나 주요 보행 결절 점 주변에 조성하는 공원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쌈지공원은 일반인의 휴식과 위락을 위한 벤치, 조명 등의 시설과 계절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는 교목, 관목, 꽃 등을 혼합식재하여 조성한다.
한편, 최근 지속적인 기후변화와 도시화로 인하여 강우량 및 강우강도가 약 20%증가하고, 강우일수는 14% 감소하며 도시 기온이 최대 3℃까지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하여 도시 물순환 체계가 파괴되고, 그로 인한 도시 물관리 여건과 환경이 악회되고 있다. 특히 불수면적의 증가로 인한 도시홍수 및 침수가 증가하고, 도시의 고온현상이 잦아지며, 그리고 도시하천의 건천화로 인한 수질의 악화를 야기시켜 오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하천 중심의 관리차원을 넘어선 도시단지 및 유역차원의 수자원 확보 및 재해경감 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고, 이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9019호(2011.12.28)에서 "평면부지의 직접배수방식 빗물처리 저류시설, 그 저류시설에 이용되는 직접배수방식 빗물처리 저류시설용 저류 블록 및 배수 블록"을 제안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0122호(2009.09.23)에서는 빗물의 재활용 시스템에 대해서 제안하고 있다.
(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9019호(2011.12.28) (문헌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0122호(2009.09.2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도심의 녹화공간인 쌈지공원에서 빗물의 저류와 송수 및 여과처리 그리고 재활용할 수 있는 저영향개발(LID: Low Impact Development)을 적용할 수 있고, 무동력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자연 친화적인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 및 빗물처리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쌈지공원를 포함하는 도심 녹지에서 빗물을 활용하기 위한 설비로서, 빗물을 지반 측으로 유도하는 투수 유닛; 상기 투수유닛으로부터 투수되어 오는 빗물을 집수하고 송수하는 송수 유닛; 상기 송수 유닛으로부터 제공받는 빗물을 여과처리하는 여과처리 유닛; 상기 여과처리 유닛에서 여과 처리된 빗물을 제공받아 저류하는 저류 유닛; 및 모세관현상을 통해 상기 저류 유닛에 저류된 빗물을 지반층으로 유도하는 무동력 빗물공급 유닛을 포함하는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투수 유닛은 복수의 투수공이 형성되는 투수 블럭; 및 상기 투수 블럭 하부에 구비되는 투수 지반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투수 블럭은 하면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일면 개방된 박스형 저류 부재; 상기 박스형 저류 부재의 개방된 일면을 커버하고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커버부재; 및 상기 박스형 저류 부재의 내부 공간에 충전되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소재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박스형 저류 부재는 내부 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재가 구비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소재 필터는 활성탄이 가공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송수 유닛은 상기 보도 블록의 하부에 구비되고, 복수의 유공이 형성되는 보조 송수 파이프; 및 상기 투수 지반층 하부에 구비되고, 복수의 유공이 형성되는 송수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송수 유닛은 상기 투수 유닛의 하부에 구비되고, 복수의 유공이 형성되는 송수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송수 유닛은 상기 송수 파이프가 설치되는 지오셀(Geo cell)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송수 파이프의 하부에는 미세기공을 갖는 시트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여과처리 유닛은 일측에 유입되는 빗물을 제공받기 위한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여과처리한 빗물을 상기 저류 유닛으로 배출하기 위한 유출구가 형성되는 여과처리조; 및 상기 여과처리조 내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빗물을 여과처리하는 여과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여과처리조의 상부는 지면에 노출되고, 상기 여과처리조의 상면에는 개폐가능한 개폐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여과부재는 교체가능한 카트리지 방식의 여과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여과 부재는 전체 면에 우수 통과공이 형성되는 카트리지; 및 상기 카트리지 내에 충전되어 빗물을 여과처리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활성탄이 가공처리된 폴리에틸렌(PE)소재 필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빗물이 유입되는 측의 상기 필터의 일면에는 망상 시트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저류 유닛은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저류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류조의 내부에는 항균처리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무동력 빗물공급 유닛은 상측부에 복수의 우수 유출공이 형성되는 봉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봉 부재는 하측부가 상기 저류 유닛 내에 위치되고, 상측부가 녹지대의 지반층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봉 부재는 내부에 섬유부재를 포함하는 다공성 재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저류 유닛에 저류된 빗물을 펌핑하여 활용하는 우수재활용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쌈지공원를 포함하는 도심 녹지에서 빗물을 활용하기 위한 운용 방법으로서, 투수 블럭을 통해 빗물을 지반으로 침투 유도시키는 빗물 유도 단계; 지반으로 침투 유도된 빗물을 집수하여 송수시키는 송수 단계; 상기 송수되어 오는 빗물을 여과처리하는 여과처리 단계; 상기 여과처리된 빗물을 저류시키는 저류 단계; 및 상기 저류 단계에서 저류된 빗물을 모세관 현상을 통해 지반층으로 전달하는 무동력 빗물활용 단계를 포함하는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 및 빗물처리 운용 방법은 빗물의 재이용을 촉진할 수 있고, 무동력으로 쌈지공원의 녹지지대를 유지관리할 수 있어 경제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쌈지공원의 녹지지대의 열섬현상 완화와 함께 보행자가 보행하며 빗물이 침투가능한 침투유닛(투수 블록)에서 함유하고 있는 빗물을 지면 측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하절기 도심의 열섬 현상을 완화시켜 쾌적한 도시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를 구성하는 투수 유닛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를 구성하는 투수 유닛의 투수 블럭을 도시한 배면 측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를 구성하는 여과처리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를 구성하는 저류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로, 무동력 빗물공급 유닛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를 구성하는 무동력 빗물공급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 및 그의 운용 방법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는, 쌈지공원을 포함하는 도심 녹지에서 빗물을 활용하기 위한 설비로서, 크게 빗물을 지반 측으로 투수시키는 투수 유닛(100); 상기 투수유닛(100)으로부터 투수되어 들어오는 빗물을 제공받아 송수하는 송수 유닛(200); 상기 송수 유닛(200)으로부터 제공받는 빗물을 여과시키는 여과처리 유닛(300); 상기 여과처리 유닛(300)에서 여과 처리된 빗물을 집수 저류하는 저류 유닛(400); 및 일단부는 상기 저류 유닛(400)에 구비되고 타단부는 녹지대 지반층에 구비되며, 모세관현상을 통해 저류 유닛(400)에 저류된 빗물을 지반층으로 유도하는 무동력 빗물공급 유닛(5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류 유닛(400)에 집수 저류된 빗물을 활용수로 활용하도록 구성되는 우수재활용 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투수 유닛(100)에 대하여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를 구성하는 투수 유닛(100)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를 구성하는 투수 유닛의 투수 블럭을 도시한 배면 측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수 유닛(100)은 상면과 하면에 복수의 투수공이 형성되는 투수 블럭(110); 및 상기 투수 블럭(100) 하부에 구비되는 투수 지반층(120)을 포함한다.
상기 투수 블럭(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에 다수의 관통공(101)이 형성된 일면 개방된 박스형 저류 부재(111); 상기 박스형 저류 부재(111)의 개방된 일면을 커버하여 고정되고 다수의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된 커버부재(112); 및 상기 박스형 저류 부재(111)의 내부 공간에 충전되는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소재 필터(113)를 포함한다.
상기 박스형 저류 부재(111)의 내부 공간에는 그 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지지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구획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수 블럭(110)은 플라스틱 재질, 예를 들면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수지,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수지,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수지, PET(Polyethylene Terephtalate) 수지, 나일론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폴리우레탄 소재 필터(113)는 물을 흡수 저장할 수 있으면서 대기의 상대 습도가 낮을 경우, 물을 서서히 방출하는 기능과 함께 포화 상태 이하에서는 지반의 수분과 대기의 수분을 재흡수하여 또다시 서서히 방출시키는 수펌프(Water-Pump)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우레탄 소재 필터(113)는 활성탄이 가공처리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활성탄은 비점오염원의 흡착 기능 또한 뛰어난 물질로서 물의 흡수 전달 및 비점오염원의 흡착 기능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상기에서 투수 블럭(11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교번적인 배치로 일반 블럭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투수 지반층(120)은 투수 블럭(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모래층(121); 및 상기 모래층(2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쇄석층(보조기층)(122)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송수 유닛(200)은 상기 투수 유닛(100) 하부(즉, 쇄석층 하부)에 구비되고, 복수의 유공이 형성되는 송수 파이프(210)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송수 유닛(200)은 송수 파이프가 지반 토압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소정 형태의 지오셀(Geo cell)(220)을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송수 파이프(210)는 지오셀 사이 또는 지오셀을 관통하여 설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송수 유닛(200)은 송수 파이프(210)의 하면 또는 지오셀(220)의 하면에 구비되어 송수 유닛(200) 하부의 원지반으로 빗물의 침투를 지연시켜 송수 파이프(210)로 유입되는 빗물을 확보할 수 있도록 미세기공을 갖는 시트부재(23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송수 유닛(200)은 투수블럭(110) 바로 하부에 구비되어 침투되는 빗물을 상기 여과 처리 유닛(300)로 공급하기 위한 보조 송수 파이프(211)(도 4에서 점선으로 나타냄)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송수 유닛(200)은 보조 송수 파이프(211)를 통해 투수 유닛(100)으로부터 침투되어 지반 측으로 들어오는 빗물을 여과 처리 유닛(300)으로 1차적으로 제공하고, 다시 투수 지반층(120)을 통해 침투되어 들어오는 빗물은 송수 파이프(210)를 통해 여과 처리 유닛(300)으로 2차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강우량이 적은 경우에도 원지반으로 침투되는 양을 최소화하여 최종적으로 저류 유닛(400)로 유도되는 우수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송수 유닛(200)으로부터 제공받는 빗물을 여과시키는 여과처리 유닛(300)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를 구성하는 여과처리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상기 여과처리 유닛(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송수 유닛(200)으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을 제공받기 위한 유입구(301)가 형성되고 타측에 여과처리한 빗물을 저류 유닛(400)으로 배출하기 위한 유출구(302)가 형성되는 여과처리조(310); 및 상기 여과처리조(310) 내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빗물을 여과처리하는 여과 부재(320)를 포함한다.
상기 여과처리조(310)의 상부는 지면에 노출되게 구비되고, 그 상면에는 개폐가능한 개폐 부재(31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여과부재(320)는 개폐 부재(131)의 개방을 통해 교체가능한 카트리지 방식의 여과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여과 부재(320)는 전체면에 우수 통과공이 형성되는 카트리지; 및 상기 카트리지 내에 충전되어 빗물을 여과처리하는 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는 빗물을 여과처리하는 재료나 구성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며,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물에 강한 활성탄이 가공처리된 폴리에틸렌(PE)소재 필터이거나 부직 필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필터(즉, 부직 필터)의 적어도 일면(빗물이 유입되는 측의 일면)에는 이물질에 의한 필터의 폐색을 감소 또는 방지하기 위하여 망상 시트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여과처리 유닛(300)에서 여과 처리된 빗물을 집수 저류하는 저류 유닛(400)과 모세관현상을 통해 저류 유닛(400)에 저류된 빗물을 지반층으로 유도하는 무동력 빗물공급 유닛(500)을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를 구성하는 저류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며, 무동력 빗물공급 유닛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를 구성하는 무동력 빗물공급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상기 저류 유닛(400)은 상기 여과처리 유닛(300)에서 여과 처리된 빗물을 제공받도록 형성되는 유입구(401)가 형성되는 저류조로 이루어지며, 빗물을 집수 저류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저류 유닛(400)은 바람직하게 후술할 무동력 빗물공급 유닛(500)에 의한 빗물이 관수 식재로 전달될 수 있도록 관수(조경수)나 잔디 등이 위치된 지대의 하부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류 유닛(400)에는 선택적으로 추가적인 오염원을 저감시키기 위한 오염원 저감 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저류조 내부에 항균처리수단을 설치하여 오염원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무동력 빗물공급 유닛(500)은 상측부 전면에 걸쳐 복수의 우수 유출공(511)이 형성되고, 하단부는 저류 유닛(400) 내에 위치되고, 타단부에 지반층에 위치되는 봉 부재(51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무동력 빗물공급 유닛(500)은 봉 부재(510)가 저류 유닛(400)에 위치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저류 유닛(400)으로부터의 빗물을 끌어올려 지반층으로 공급할 때, 모세관 현상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한 흡수지 또는 섬유부재와 같은 다공성 재료(520)가 충전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은 상기 저류 유닛(400)에 집수 저류된 빗물을 활용수로 활용할 수 있는 우수재활용 수단은, 저류 유닛(400)의 저류된 빗물을 펌핑할 수 있는 펌프와 펌프에 의해 끌어올린 빗물을 활용처로 제공하는 공급 유닛을 포함한다. 공급 유닛으로는 공원 잔디나 관수 식재 또는 조경수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잔디분사기나 살수기, 공원 화장실로 연결된 활용수로 등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 방법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 방법은, 도 7에 도시된바와 같이, 투수 블럭을 통해 빗물을 지반으로 침투 유도시키는 빗물 유도 단계(S100); 지반으로 침투 유도된 빗물을 집수하여 송수시키는 송수 단계(S200); 상기 송수되어 오는 빗물을 여과처리하는 여과처리 단계(S300); 상기 여과처리된 빗물을 저류시키는 저류 단계(S400); 및 상기 저류 단계(S400)에서 저류된 빗물을 모세관 현상을 통해 지반층으로 전달하는 무동력 빗물활용 단계(S5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운용 방법은 상기 저류 단계(S400)에서 저류된 빗물을 펌핑하여 조경용수, 화장실용수, 청소용수, 관수용 수로용수, 유지관리용수, 소하천 식생용수 등의 활용수로 활용하는 활용수 이용 단계(S600)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 및 빗물처리 운용 방법에 따르면, 강수지 저류 유닛(저류조) 내부로 빗물을 저장하고, 저류조 내부에 저장된 빗물을 모세관 현상에 의한 친환경적인 무동력 방식으로 상부 관수 식재로 전달하여 공원 조경수나 잔디에 대해 지속적인 물공급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기존 빗물저류조는 단순히 홍수 시 방재를 위한 수단인 반면, 본 발명은 홍수 방재 기능과 함께 갈수기 빗물재이용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 및 빗물처리 운용 방법은, 빗물의 재이용을 촉진할 수 있고, 무동력으로 쌈지공원의 녹지지대를 유지관리할 수 있어 경제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쌈지공원의 녹지지대의 열섬현상 완화와 함께 보행자가 보행하며 빗물이 침투가능한 침투유닛(투수 블록)에서 함유하고 있는 빗물을 지면 측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하절기 도심의 열섬 현상을 완화시켜 쾌적한 도시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투수 유닛 110: 투수 블럭
111: 박스형 저류 부재 112: 커버부재
113: 폴리우레탄 소재 필터 120: 투수 지반층
121: 모래층 122: 쇄석층(보조기층)
200: 송수 유닛 210: 송수 파이프
211: 보조 송수 파이프 220: 지오셀
230: 시트 부재 300: 여과처리 유닛
310: 여과처리조 311: 개폐부재
320: 여과부재 400: 저류 유닛
401: 유입구 500: 무동력 빗물공급 유닛
510: 봉 부재 511: 우수 유출공
520: 다공성 재료
S100: 빗물 유도 단계
S200: 송수 단계
S300: 여과처리 단계
S400: 저류 단계
S500: 무동력 빗물활용 단계
S600: 활용수 이용 단계

Claims (19)

  1. 쌈지공원를 포함하는 도심 녹지에서 빗물을 활용하기 위한 설비로서,
    빗물을 지반 측으로 유도하는 투수 유닛;
    상기 투수유닛으로부터 투수되어 오는 빗물을 집수하고 송수하는 송수 유닛;
    상기 송수 유닛으로부터 제공받는 빗물을 여과처리하는 여과처리 유닛;
    상기 여과처리 유닛에서 여과 처리된 빗물을 제공받아 저류하는 저류 유닛; 및
    모세관현상을 통해 상기 저류 유닛에 저류된 빗물을 지반층으로 유도하는 무동력 빗물공급 유닛
    을 포함하는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 유닛은
    복수의 투수공이 형성되는 투수 블럭; 및
    상기 투수 블럭 하부에 구비되는 투수 지반층을 포함하는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 블럭은
    하면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일면 개방된 박스형 저류 부재;
    상기 박스형 저류 부재의 개방된 일면을 커버하고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커버부재; 및
    상기 박스형 저류 부재의 내부 공간에 충전되는 폴리우레탄 소재 필터를 포함하는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형 저류 부재는 내부 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재가 구비되는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소재 필터는 활성탄이 가공처리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 유닛은
    상기 보도 블록의 하부에 구비되고, 복수의 유공이 형성되는 보조 송수 파이프; 및
    상기 투수 지반층 하부에 구비되고, 복수의 유공이 형성되는 송수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 유닛은
    상기 투수 유닛의 하부에 구비되고, 복수의 유공이 형성되는 송수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 유닛은
    상기 송수 파이프가 설치되는 지오셀(Geo cell)을 더 포함하는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 파이프의 하부에는 미세기공을 갖는 시트부재가 구비되는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처리 유닛은
    일측에 유입되는 빗물을 제공받기 위한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여과처리한 빗물을 상기 저류 유닛으로 배출하기 위한 유출구가 형성되는 여과처리조; 및
    상기 여과처리조 내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빗물을 여과처리하는 여과 부재를 포함하는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처리조의 상부는 지면에 노출되고, 상기 여과처리조의 상면에는 개폐가능한 개폐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여과부재는 교체가능한 카트리지 방식의 여과부재로 이루어지는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부재는
    전체 면에 우수 통과공이 형성되는 카트리지; 및
    상기 카트리지 내에 충전되어 빗물을 여과처리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활성탄이 가공처리된 폴리에틸렌(PE)소재 필터로 이루어지는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
  14. 제13항에 있어서,
    빗물이 유입되는 측의 상기 필터의 일면에는 망상 시트가 구비되는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 유닛은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저류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류조의 내부에는 항균처리수단이 구비되는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동력 빗물공급 유닛은 상측부에 복수의 우수 유출공이 형성되는 봉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봉 부재는 하측부가 상기 저류 유닛 내에 위치되고, 상측부가 녹지대의 지반층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봉 부재는 내부에 섬유부재를 포함하는 다공성 재료를 구비하는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 유닛에 저류된 빗물을 펌핑하여 활용하는 우수재활용 수단을 더 포함하는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
  19. 쌈지공원를 포함하는 도심 녹지에서 빗물을 활용하기 위한 운용 방법으로서,
    투수 블럭을 통해 빗물을 지반으로 침투 유도시키는 빗물 유도 단계;
    지반으로 침투 유도된 빗물을 집수하여 송수시키는 송수 단계;
    상기 송수되어 오는 빗물을 여과처리하는 여과처리 단계;
    상기 여과처리된 빗물을 저류시키는 저류 단계; 및
    상기 저류 단계에서 저류된 빗물을 모세관 현상을 통해 지반층으로 전달하는 무동력 빗물활용 단계
    를 포함하는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 방법.
KR1020140032552A 2013-11-27 2014-03-20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 및 빗물처리 운용 방법 KR201500615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5728 2013-11-27
KR1020130145728 2013-11-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542A true KR20150061542A (ko) 2015-06-04

Family

ID=53499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552A KR20150061542A (ko) 2013-11-27 2014-03-20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 및 빗물처리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1542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594B1 (ko) 2015-09-09 2016-01-29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침투식 수로구조물
KR101674126B1 (ko) 2016-05-12 2016-11-09 (주) 한국그린인프라연구소 빗물정원용 식생토
CN107034981A (zh) * 2017-05-24 2017-08-11 卓达新材料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雨水收集回收利用系统
CN107620365A (zh) * 2017-07-26 2018-01-23 袁冬海 生态雨水渗蓄回用系统
CN108360602A (zh) * 2018-02-11 2018-08-03 达芬(天津)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园林雨水回收系统
CN109098251A (zh) * 2018-07-27 2018-12-28 未来都市(苏州工业园区)规划建筑设计事务所有限公司 临近自然保护区的基于海绵城市的生态规划方法
CN109356225A (zh) * 2018-11-27 2019-02-19 上海园林绿化建设有限公司 一种多功能雨水生态利用系统
CN110080346A (zh) * 2019-05-30 2019-08-02 王曦 一种园林坡面蓄水滤栏装置及蓄水系统
KR20200053080A (ko) * 2018-11-07 2020-05-18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배출수 여과기능을 구비한 벽체구조물
KR20210035791A (ko) * 2021-03-18 2021-04-01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과토압 방지 배수구조를 구비한 옹벽 구조물
CN112609771A (zh) * 2021-01-05 2021-04-06 辛小峰 园林绿化灌溉用可收集雨水的灌溉装置及其收集方法
CN113356326A (zh) * 2021-06-29 2021-09-07 上海市园林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净化型园林式雨水花园系统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594B1 (ko) 2015-09-09 2016-01-29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침투식 수로구조물
KR101674126B1 (ko) 2016-05-12 2016-11-09 (주) 한국그린인프라연구소 빗물정원용 식생토
CN107034981A (zh) * 2017-05-24 2017-08-11 卓达新材料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雨水收集回收利用系统
CN107620365B (zh) * 2017-07-26 2019-11-15 袁冬海 生态雨水渗蓄回用系统
CN107620365A (zh) * 2017-07-26 2018-01-23 袁冬海 生态雨水渗蓄回用系统
CN108360602A (zh) * 2018-02-11 2018-08-03 达芬(天津)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园林雨水回收系统
CN109098251A (zh) * 2018-07-27 2018-12-28 未来都市(苏州工业园区)规划建筑设计事务所有限公司 临近自然保护区的基于海绵城市的生态规划方法
KR20200053080A (ko) * 2018-11-07 2020-05-18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배출수 여과기능을 구비한 벽체구조물
CN109356225A (zh) * 2018-11-27 2019-02-19 上海园林绿化建设有限公司 一种多功能雨水生态利用系统
CN110080346A (zh) * 2019-05-30 2019-08-02 王曦 一种园林坡面蓄水滤栏装置及蓄水系统
CN110080346B (zh) * 2019-05-30 2020-06-26 王曦 一种园林坡面蓄水滤栏装置及蓄水系统
CN112609771A (zh) * 2021-01-05 2021-04-06 辛小峰 园林绿化灌溉用可收集雨水的灌溉装置及其收集方法
KR20210035791A (ko) * 2021-03-18 2021-04-01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과토압 방지 배수구조를 구비한 옹벽 구조물
CN113356326A (zh) * 2021-06-29 2021-09-07 上海市园林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净化型园林式雨水花园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61542A (ko)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 및 빗물처리 운용 방법
US8318015B2 (en) Stormwater filtration systems
KR102053044B1 (ko) 보도블록 경사면과 저류 침투형 탄소 복합 소재 투수 보도 블록 조립체를 연계한 우수 유출 저감형 투수성 보도블록 포장 시공 시스템
KR101923926B1 (ko) 도시형 레인가든 시스템
KR101356690B1 (ko) 하천형 수류 순환 시스템 및 하천형 수류 순환 관리 방법
KR101662758B1 (ko) 도로 침수 방지, 지하수위 유지를 통한 지반안정 및 우수 재이용을 위한 우수 저류 및 관리시스템
KR101485001B1 (ko) 도로와 보도 연계형 빗물관리 시스템
KR20190072096A (ko) 빗물 저류 및 지중 침투 수단을 일체로 구비하는 복합 기능 탄소 복합 소재 투수 보도블록 조립체
KR101105368B1 (ko) 녹지 집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우수 처리방법
KR101362254B1 (ko) 비점오염 처리능이 강화된 가로수목 식재박스
KR101319073B1 (ko) 우수 집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관리장치
KR20150110193A (ko)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
KR101489248B1 (ko) 정화 필터가 구비된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
KR101292813B1 (ko) 보도용 우수 관리 시스템 및 우수 관리 방법
CN209907525U (zh) 一种城市道路雨水收集净化利用系统
KR101239389B1 (ko) 자연형 침투도랑형 재이용수 활용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300796B1 (ko)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
KR102089235B1 (ko) 다기능 비점오염 저감 구조물
KR20200032438A (ko) 우수를 여과하고 저장 및 배출하는 벤치
KR101525607B1 (ko) 융복합 하이브리드 우수 관리 시스템
JP2006046063A (ja) リサイクルガラスカレット利用の雨水貯留浸透施設
CN106193187A (zh) 一种新型海绵城市综合体
KR20140100448A (ko) 유분 흡착 스크린이 적용된 철도시설물의 비점오염 저감 시설
KR100477532B1 (ko) 연못의 수질정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97635B1 (ko) 미네랄 울 필터를 이용한 빗물 저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