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8316B1 - 역세척수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고속 여과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역세척수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고속 여과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8316B1
KR100988316B1 KR1020100036109A KR20100036109A KR100988316B1 KR 100988316 B1 KR100988316 B1 KR 100988316B1 KR 1020100036109 A KR1020100036109 A KR 1020100036109A KR 20100036109 A KR20100036109 A KR 20100036109A KR 100988316 B1 KR100988316 B1 KR 100988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ration
housing
discharg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6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낙
Original Assignee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6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83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316B1/ko
Priority to MYPI2012001631A priority patent/MY170572A/en
Priority to CN201080047296.2A priority patent/CN102574031B/zh
Priority to MX2012004597A priority patent/MX2012004597A/es
Priority to JP2012535140A priority patent/JP5576491B2/ja
Priority to RU2012121557/05A priority patent/RU2499629C1/ru
Priority to US13/503,845 priority patent/US9149746B2/en
Priority to TR2012/04505T priority patent/TR201204505T1/xx
Priority to AU2010314048A priority patent/AU2010314048B2/en
Priority to CA2777191A priority patent/CA2777191C/en
Priority to PCT/KR2010/007312 priority patent/WO2011052938A2/ko
Priority to EP10827022.4A priority patent/EP2495024B1/en
Priority to BR112012011353A priority patent/BR112012011353A2/pt
Priority to ZA2012/02753A priority patent/ZA201202753B/en
Priority to CO12068935A priority patent/CO6531484A2/es
Priority to JP2014016039A priority patent/JP2014097500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2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provided in an open container
    • B01D24/22Downward filtration, the filter material being supported by pervious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4/4807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 B01D24/4815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for was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8Regeneration of the fil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세척수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고속 여과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여과처리될 유입수를 고속 여과처리장치의 상부로 안내하고 하향류하면서 여과처리하는데, 유입수의 수위 혹은 처리수의 유량 변동을 감지한 다음에, 유입수와 처리수의 유동을 차단하고, 역세설비를 통해 역세척수 및/또는 공기를 상향류로 공급하면, 역세척수의 수류를 통한 다공성 여재의 유동화로써 다공성 여재 간의 충돌과 마찰작용으로 다공성 여재에서 오염물질을 분리하고, 다공성 여재를 정위치에 안착시키고 오염물질이 가라앉기 전에 고속 여과처리장치의 개폐수단을 개방하여 배출관을 통해 오염물질을 배출하여 다공성 여재를 역세척하여 여과효율을 최적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역세척수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고속 여과처리장치 {Filtrat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charge of backwash water}
본 발명은 고속 여과처리장치, 더욱 특별하기로 별도의 개폐수단을 구비하여 역세척수와 탈질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고속 여과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 폐수 및 우수에는 다양한 오염물질과 총인(T-P)을 함유하고 있는데, 특히 이러한 하수에 의한 인 부하가 매우 높은 편이다.
종래에 사용되었던 하수 처리장치는 수중에 함유된 불용성 부유물질(Suspended Solid;이하 SS),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과 총인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다양한 매질, 예컨대 모래 등의 여재를 사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있다.
하지만, 현존하는 하수 처리장치에서 하수의 유속과 유량에 따라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양이 현저하게 달라 그에 따른 여과공정을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여재 내에서 발생하는 수두손실(Head Loss)의 차이와 여과처리시간에 의해 정기적으로 혹은 부정기적으로 역세척을 실시해야 하는데 적정한 역세척 주기를 산정하는 데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종래의 고속 여과처리장치 내에서 역세척이 시의적절하게 실행되지 않게 되면 여과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 또한, 종래의 여과장치는 역세척시 역세척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여과장치를 월류시켜 외부로 세척수와 함께 오염물질을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역세척수의 소모량이 상당하다. 이렇게 발생하는 다량의 세척수는 또 다른 하수의 주처리공정에 의해 여과처리해야 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출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 여과처리장치 내에 여과속도 등을 감안하여 역세척할 수 있도록 제안된다.
특히, 본 발명은 점오염원 혹은 비점오염원 등에서 유출될 다양한 유형의 오염물질, 특히 본 발명은 별도로 구비된 역세설비를 매개로 하여 다공성 여재에 포획된 SS와 T-P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일정 수준의 여과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여재를 이용한 고속 여과처리장치는, 여과처리될 유입수를 고속 여과처리장치의 상부로 안내하고 하향류하면서 여과처리하는데, 유입수의 수위 혹은 처리수의 유량 변동을 감지한 다음에, 유입수를 차단하고 처리수를 완전히 배출하고, 비워진 고속 여과처리장치에 역세설비를 통해 역세척수 및/또는 공기를 상향류로 공급하면서, 역세척수의 수류 혹은 공기의 기류를 통한 다공성 여재의 유동화로써 다공성 여재 간의 충돌과 마찰작용으로 다공성 여재에서 오염물질을 분리하고, 역세척 배관을 차단하여 다공성 여재를 정위치에 안착시키고 오염물질이 가라앉기 전에 고속 여과처리장치의 배출관을 통해 오염물질을 배출하여 다공성 여재를 역세척하여 여과효율을 최적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된 종래기술에 따른 여과장치의 역세과정에서, 역세척수로 역세하면서 그 오염물질과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 역세 도중에는 역세척수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역세척수의 소모량이 상당하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여과처리장치는 역세척수를 고속 여과처리장 내의 일정한 수위, 다시 말하자면 개폐수단보다 높고 고속 여과처리장치의 하우징을 월류하지 않을 정도의 수위, 까지만 채워도 충분히 역세척할 수 있어 그 역세척수의 소모량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장점을 갖는다. 이와 더불어서, 본 발명은 단순히 역세척수의 상향 분사만을 통해서도 다공성 여재의 박리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은 역세후에 다공성 여재에서 박리된 오염물질과 세척수를 고속 여과처리장치로부터 개방된 배출관을 지나 외부로 배출하는데, 특히 배출관의 입구에 별도의 개폐수단을 구비하여 세척수와 오염물질의 배출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개폐수단은 그 상부부터 먼저 개방하여 개방된 배출관으로 유입될 세척수와 오염물질의 흐름속도를 제어하여 가라앉아 있는 다공성 여재가 휩쓸려 가지 않도록 하는 한편, 오염물질이 여과층부 상으로 내려앉기 전에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져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여과처리장치는 하향류 고속 여과장치 내에서 다공성 여재를 역세척하여 고속 여과장치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여 여과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여과처리장치는 역세척수의 불필요한 과다 소모를 줄여 수처리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특성에 부합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역세척 방법에 비해서 역세척 시간을 현저하게 줄이고 역세척수 공급에 필요한 동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제공된다.
본 발명은 역세척 후에 오염물질이 여과층부로 다시 침강되지 전에 조속하게 배출하고 개폐수단의 개방정도를 제어하여 배출관으로 배출될 역세척수의 유량을 조절하여 여과층부를 구성하는 다공성 여재의 유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속 여과처리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속 여과처리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제, 본 발명의 역세척이 용이한 고속 여과처리장치는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속 여과처리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여기서, 유입수라는 용어는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이미 널리 알려져 있듯이 점오염원 혹은 비점오염원에서 직접 안내될 하수이거나 전처리 과정, 예컨대 혼화지, 침전지 등에서 일차적으로 처리된 처리수일 수도 있다.
또한, 처리수라는 용어는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으로 여과공정을 거친 상태의 물,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여과층부를 통과하여 여과된 물을 의미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속 여과처리장치(1)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하향류 여과조로 되어 있는데, 유입관(11)을 따라 이송된 유입수는 고속 여과처리장치(1)로 안내된다. 특히 고속 여과처리장치(1)에서는 유입수가 위에서 아래로 내려보내는 하향류로 여과층부(40)를 관통하여 여과처리되도록 설계되어 있고, 역세설비(20)를 수단으로 하여 여과층부를 더욱 빠르고 쉽게 역세척한다.
본 발명의 고속 여과처리장치(1)는 교반기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는데, 이 교반기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고속 여과처리장치의 여과시 유입수와 응집제의 혼합을 도울 수 있으며, 고속 여과처리장치의 역세척시 역세척수의 수위 상승으로 떠오르는 다공성 여재는 교반기의 구동을 통해 단시간 내에 서로 충돌을 야기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공성 여재가 충분히 가라앉은 후에는 역세척수와 함께 부유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천천히 가라앉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여과층부(40)는 고속 여과처리장치(1)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이격되게 배치되는바, 다공성 여재(44)로 충전되어 있다.
여과층부(40)의 구조는 도 1의 원호에 비교적 상세하게 도해한다. 선택가능하기로, 여과층부(40)는 지지대(41)와, 와이어 메쉬(42), 굵은 모래층(43), 및 다공성 여재(44)로 구성된다. 지지대(41)는 고속 여과처리장치(1)를 가로질러 배열되되, 그 상에 안착될 와이어 메쉬, 굵은 모래층 뿐만 아니라 다공성 여재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게 배열된다. 와이어 메쉬(42)는 도시되었듯이 지지대(41) 상에 배열된다. 와이어 메쉬(42)는 그 위에 안착될 구성부재, 예컨대 굵은 모래가 여과층부(40) 아래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촘촘한 구조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 메쉬(42)는 전술된 바와 같이 굵은 모래의 유실방지를 목적으로 할 뿐만 아니라 여과층부(40)를 역세척할 경우 역세척수의 상향류 이동을 돕는다.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알려져 있듯이, 역세척수의 흐름을 안내하면서 굵은 모래층이 통과하지 않도록 하는 와이어 메쉬를 대신하여 다공판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더욱 효과적으로 굵은 모래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와이어 메쉬(42)가 적층될 수 있다.
다공성 여재(44)는 와이어 메쉬(42) 위에 배열된 굵은 모래층(43) 상에 안착되어, 고속 여과처리장치(1)에서 하향류하는 처리수를 여과한다.
여과처리하면서, 다공성 여재 상에 적층될 오염물질에 의해 더 이상 유입수가 여과처리되지 못해 여과처리된 처리수의 배출량이 현저하게 줄어들면 고속 여과처리장치(1) 내부에서 유입수의 수위가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은 감지기(50)를 수단으로 하여 고속 여과처리장치(1)의 유입수에 대한 변동사항을 측정하게 되는바, 예컨대 고속 여과처리장치 내의 유입수 수위, 처리수 유량 혹은 역세척수 수위 등을 측정한다. 예컨대, 유입수 수위의 변동, 더욱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수위 이상으로 유입수가 차오르게 되면 이를 감지기(50)가 감지하는 한편, 여과층부(40)를 통해 여과처리된 처리수를 유출관(12)을 통해 외부로 내보내게 되는데, 이때 처리수의 유량을 실시간 혹은 비정기적으로 측정한 결과가 유출관(12)을 따라 배출될 처리수의 유량이 미리 설정된 유량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 역세설비(20)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여과처리장치(1)의 바닥에서 여과층부(40)를 향해 상향류되게 역세척수를 공급한다. 선택가능하기로, 역세설비(20)는 역세척수와 공기를 동시에 공급하여 오염물질 박리를 위한 역세척 과정을 도울 수 있다.
감지기(50)는 역세척시 역세척수가 하우징 상부를 월류하지 않고 여과층부보다 높게 유지할 수 있도록 역세척수의 수위를 감지할 수도 있다. 만약 역세척수가 미리 설정된 수위 이상으로 넘치게 될 경우에는, 감지기(50)의 감지를 통해 본 발명의 개폐수단(60)을 개방하여 역세척수의 수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역세척수는 유입수의 여과처리되는 유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주입되어 여과층부(40)에 오염물질로 폐색된 다공성 여재(44)를 분산시키면서 그 표면상에 붙어 있던 탈질을 분리하여 여과층부의 막힘을 방지한다.
이러한 역세척으로 박리된 오염물질은 고속 여과처리장치(1), 더욱 구체적으로 여과층부(40) 위로 떠오르게 하여 고속 여과처리장치(1)의 측면에 구비된 세척수 배출용 배출관(13)을 지나 외부(예컨대, 배출수 저류조)로 반출된다. 덧붙여서, 굵은 모래층(43)은 역세척수의 분사를 통해 부상되는 다공성 여재와는 달리 별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본 발명은 고속 여과처리장치(1)의 측벽면에 개폐수단(60)을 구비하는바, 이 개폐수단(60)은 하우징과 배출관(13)를 유체연통가능하게 연결되어 이의 개방 및 폐쇄를 돕는다. 특별하기로 개폐수단(60)은 도시되었듯이 여과층부(40)보다 높게 그리고 고속 여과처리장치(1)의 상부보다 아래에 위치된다. 개폐수단(60)은 여과층부(40)의 상부와 인접하게 위치되되, 하우징의 상부와 여과층부 사이의 중간지점 보다 아래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개폐수단(60)은 다공성 여재를 역세척한 세척수와 함께 세척수에 휩쓸려 박리된 오염물질을 여과층부(40) 상으로 침강되기 전에 신속하게 외부(즉, 배출관(13)으로 안내되어)로 반출될 수 있게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물론, 개폐수단(60)은 여과처리중이거나 역세척 도중에는 폐쇄되어야 한다.
개폐수단(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식 수문 형태로 되어 있다. 개폐수단(60)의 디스크(61)는 배출관(13)의 입구 둘레를 둘러싸고 있는 프레임(62) 상에서 힌지부(63)를 매개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힌지부(63)를 중심으로 한 디스크(61)의 회동이동(화살표로 도시함)으로 배출관(13)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하우징 내부에 채워질 처리수 혹은 역세척수의 수압에 위해서는 강제로 개방되지 않는다.
특히, 개폐수단(60)은 힌지부(63)를 프레임(62)의 최하단부에 배열하여 디스크(61)의 개방시 수문의 위쪽부터 개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배열구조는, 역세척시 부유상태의 다공성 여재끼리 충돌하여 오염물질이 분리되고, 역세척수의 공급을 중단하게 되면 다공성 여재(44)는 다시 굵은 모래층(43) 위로 안착되는데, 다공성 여재(44)가 충분히 안착된 후에, 다공성 여재에서 박리된 오염물질이 다시 다공성 여재 상으로 가라앉기 전에 개방된 개폐수단(60)을 통해 배출관(13)을 따라 조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개폐수단(60)은 실린더(미도시)의 왕복동 이동을 통해서 프레임(62) 상에서 디스크(61)를 회동가능하게 이동하여 개폐될 수 있다. 또는 힌지부(63)와 디스크(61)를 연결하는 힌지축을 모터에 연결하여 모터 구동으로 디스크(61)를 개폐할 수도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디스크(61)가 위쪽부터 개방되므로 상대적으로 하우징의 상부에 있는 세척수를 먼저 배출함으로써, 침강되어 있던 다공성 여재가 배출관(13)을 따라 배출된 세척수의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여과층부(40)에 균일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아래에 기술되었듯이, 다공성 여재(44)는 역세척수의 상향류 흐름으로는 유동(부상)될 수 있어야 하지만 바람직하기로는 유입수의 공급 및 세척수의 배출시에는 유수의 흐름에 가급적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고속 여과처리장치(1)에 사용될 다공성 여재(44)는 작은 입자크기를 갖는 유리분말에 수지 및 발포제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고온(예컨대, 800~1,100℃)으로 가열하고 이를 냉각분쇄하여 입경은 3mm 이하이며, 건조시 용적밀도 0.4~1.2g/㎤, 수분포화시 용적밀도 1.2~2.0g/㎤인 다공성 입자 여재로서 수질정화용으로 사용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적용될 다공성 여재(44)의 수분포화시 용적밀도는 1.2~2.0g/㎤이며, 바람직하게는 1.3~1.8g/㎤로 되어 있다. 기술된 다공성 여재(44)의 수분포화시 용적밀도를 참조하여, 용적밀도가 1.2g/㎤ 이하의 경우에는 물의 밀도와 거의 흡사하여 유동하는 물의 흐름에 쉽게 휩쓸리게 되어 여과층부 상에서 균등하게 분포되어야 할 다공성 여재가 일측으로 쏠릴 수 있고, 용적밀도가 2.0g/㎤ 이상의 경우에는 쉽게 떠오르지 않게 되어 다공성 여재의 부상으로 구현되는 본 발명만의 독특한 역세척 방법에 적합하지 않아 역세척수의 분사압을 상당히 높여야 하는 단점을 갖는다.
다시 말하자면, 수분포화시 다공성 여재는 물의 밀도(1g/㎤)보다 커 여과처리시 하방으로 흐르는 유입수의 흐름에 동요(흩날림)되지 않고 정위치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상대적으로 일반 모래의 밀도보다는 가벼워 역세척시 역세척수의 공급만으로도 용이하게 부상되어 오염물질과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다공성 여재(44)는 유리분말에 수지 및 발포제를 혼합하고 고온으로 가열하여 이를 냉각분쇄하여 형성하는데, 상기 다공성 여재(44)는 작게 분쇄되면서 기포가 파괴되어 가라앉게 되어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속 여과처리장치의 여과과정과 역세척과정에 대해서 간략하게 기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여과처리장치는 우선적으로 유입수를 유입관으로 하우징에 공급한다. 유입수의 공급과 동시에, 고속 여과처리장치에서 유입수는 중력의 작용에 위한 자유낙하를 통해 고속 여과처리장치(1)의 하부를 향해 떨어지는데, 이때 유입수는 고속 여과처리장치에 구비된 여과층부(40)를 관통하면서 다공성 여재로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여과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여과과정중에는 유입관과 유출관을 개방하고 역세설비와 개폐수단을 차단한다.
유입수의 연속 공급으로, 고속 여과처리장치는 여과과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데, 장시간 운전하거나 유입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을 경우에는 처음에 비해서 여과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여과층부(40)의 다공성 여재(44)의 겉표면에 오염물질이 과도하게 포획되어 여과저항이 커지게 되면 여과효율이 떨어져, 여과층부(40)의 통과속도가 현저하게 느려지는 한편, 유입수는 계속 공급되므로 인해 고속 여과처리장치 내에 수용될 유입수의 수위가 높아질 것이다. 즉, 여과층부(40)가 폐색되면 처리성능이 떨어져 유출관(12)으로 빠져나갈 처리수의 유량도 현저하게 감소될 것이다. 이러한 수동 변동사항은 감지기(50)를 수단으로 하여 감지하여 역세척 주기를 결정한다.
미리 설정된 임의의 수치(예컨대, 유입수의 수위, 처리수의 유량 등)가 역세척 운전을 결정하게 되는바, 역세척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우선적으로, 유입관(11)을 폐쇄하여 유입수의 공급을 차단한다.
그런 다음에, 고속 여과처리장치의 하우징 내에 잔존해 있는 유입수만을 여과처리하여 유출관(12)을 통해 물을 배출하여 고속 여과처리장치의 내부를 비운다. 선택가능하기로, 역세척수의 공급량을 줄이기 위해서 여과층부(40)의 상부 수체 정도만을 배출시킬 수 있다.
유입관(11)과 유출관(12) 및 배출관(13)을 폐쇄한 상태로, 역세설비(20)만을 개방하여 역세척수를 여과층부(40) 아래에서 위를 향해 공급한다. 역세척수의 공급은 전술된 바와 같이 여과층부(40)를 아래에서 위로 관통할 수 있게 상향류로 분사되되, 이때 역세척수는 여과층부(40)에 걸쳐 골고루 균등하게 분배될 수 있도록 한다. 역세척수가 균일하게 분배되지 않으면, 여과할 때 세척된 부분으로만 유입수과 관통하게 되며 그 부분에서만 여과속도가 빠르게 되고, 반대로 세척이 불충분한 부분에서는 여과층의 부분적인 폐색이 발생할 수 있다.
역세척수가 분사되어 여과층부(40)를 역세척하도록 여과층부(40)에서 다공성 여재(44)가 역세척수와 함께 부상되면서 유동되게 한다. 역세척수 혹은 역세척수/공기의 분사를 통해 다공성 여재(44) 상호 간의 충돌과 마찰 혹은 수류의 전단력으로 다공성 여재에 붙어 있던 오염물질들을 분리한다.
참고로, 역세척수는 본 발명의 고속 여과처리장치를 월류하지 않도록 역세척수의 공급량을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더욱 바람직하기로 역세척수의 공급량은 개폐수단(60)보다 높고 하우징 상부보다 낮게 수위조절하여 공급한다. 역세척수의 수위도 감지기(50)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역세척수의 공급을 차단하여 유동하던 다공성 여재(44)가 굵은 모래층 상으로 침전되어 안정화되되, 다공성 여재(44)는 오염물질에 비해서 무거워 오염물질보다 더욱 빠르게 굵은 모래층(43)에 안착된다.
다공성 여재(44)가 충분히 안착된 다음에, 다공성 여재 상으로부터 분리된 오염물질을 조속하게 배출하기 위해서 개폐수단(60)의 디스크(61)를 상부부터 천천히 개방한다. 개방된 배출관(13)을 통해 세척수와 함께 오염물질을 외부로 반출시킬 수 있다. 배출중에,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세척수와 오염물질의 수위에 상응하게 개폐수단(60)의 디스크(61)를 개방한다. 이때에는 유입관(11)과 유출관(12) 및 역세설비(20)는 폐쇄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속 여과처리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고속 여과처리장치의 하우징에 구비된 힌지식 개폐수단(60)을 대신하여 역세척수 배출을 위한 승강식 개폐수단(60')을 별도로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료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는 배제할 것이다.
개폐수단(60')은 도 1의 개폐수단(60)과 동일하게 다공성 여재를 역세척한 역세척수와 함께 이 역세척수에 휩쓸려 박리된 오염물질들이 여과층부(40) 상으로 침전되기 전에 신속하게 배출관(13)을 따라 외부로 반출될 수 있게 개방되어야 한다. 물론, 개폐수단(60')은 여과처리중이거나 역세척 도중에는 폐쇄되어야만 한다.
개폐수단(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식 수문 형태로 되어 있다. 개폐수단(60')의 디스크(61')는 승강 및/또는 하강의 왕복이동을 통해 배출관(13)의 입구를 개방 혹은 폐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하우징 내부에 채워진 처리수 혹은 역세척수의 수압에 위해서는 강제로 개방되지 않는다.
반면에, 개폐수단(60')은 다양한 유형의 승강장치(M)를 수단으로 하여 디스크(61')를 수직이동(화살표로 도시함)시켜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언급된 승강장치(M)는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주지관용적 기술, 예컨대 모터 혹은 실린더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구체적으로 이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기로, 개폐수단(60')은 개폐수단과 마찬가지로 상부부터 개방되도록 설계되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된 상세한 설명과 첨부도면에 국한되지 않고 다음의 청구범위의 범주와 범위 내에서 변경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1 ----- 고속 여과처리장치,
11 ----- 유입관,
12 ----- 유출관,
13 ----- 배출관,
20 ----- 역세설비,
40 ----- 여과층부.

Claims (10)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수를 공급하는 유입관(11);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된 여과층부(40);
    상기 여과층부(40)를 통과한 처리수를 상기 하우징 밖으로 내보내도록 상기 여과층부(40) 아래에 구비된 유출관(12);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과 상기 여과층부(40) 사이에 배치되어 역세척수를 상방향으로 공급하는 역세설비(20);
    상기 여과층부(40)의 상부에 상기 역세척수와 오염물질을 배출하도록 구비된 배출관(13); 및
    상기 배출관(13)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게, 상기 배출구(13)에 배치된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여과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수가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하향류로 상기 여과층부(40)를 관통하여 여과처리되도록 설계되어 있고,
    상기 여과층부(40)에 다공성 여재(4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다공성 여재(44)는 작은 입자크기를 갖는 유리분말에 발포제를 포함한 혼합물을 고온으로 가열하고 이를 냉각시켜 분쇄한 입자로 되어 있으며, 이 입자는 입경이 3mm 이하이며, 건조시 용적밀도 0.4~1.2g/㎤, 수분포화시 용적밀도 1.2~2.0g/㎤으로 되어 있고,
    상기 역세척수는 상기 배출관(13)보다 높고 고속 여과처리장치(1)의 하우징 상부보다 낮게 수위 조절하여 상기 하우징을 넘치지 않게 공급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다공성 여재(44)는 역세척수의 공급으로 오염물질과 함께 부상하였다가, 상기 다공성 여재(44)가 침전되고 난 후, 상기 개폐수단(60,60')이 개방되어 상기 배출관을 통해 역세척수와 오염물질을 배출하게 되어 있는, 역세척수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고속 여과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여과처리장치(1)의 하우징에 하나 이상의 유입수 수위 또는 처리수의 배출을 감지하는 감지기(50)를 추가로 구비하는 고속 여과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설비(20)는 역세척수와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고속 여과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60,60')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여과층부 사이의 중간지점 보다 아래에 위치되는 고속 여과처리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층부(40)는 상기 고속 여과처리장치(1)를 가로질러 배열된 지지대(41)와, 이 지지대(41) 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와이어 메쉬(42) 또는 다공판, 상기 와이어 메쉬를 통과하지 않는 굵은 모래층(43), 및 다공성 여재(44)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고속 여과처리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여재(44)는 건조시 용적밀도 0.4~0.6g/㎤, 수분포화시 용적밀도 1.3~1.8g/㎤으로 되어 있는 고속 여과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60)은 상기 하우징의 측벽면에 배출관(13) 입구 둘레를 에워싸는 프레임(62)과 상기 프레임(62) 상에서 힌지부(63)로 연결된 디스크(61) 및 상기 디스크(61)의 회동을 돕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힌지식 수문 형태로 되어 있는 고속 여과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60')은 상기 하우징의 측벽면에 배출관(13)을 개폐할 수 있게 승·하강하는 디스크(61')과 상기 디스크(61')의 승·하강을 돕는 승강장치(M)로 이루어진 승강식 수문 형태로 되어 있는 고속 여과처리장치.

KR1020100036109A 2009-10-26 2010-04-19 역세척수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고속 여과처리장치 KR100988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109A KR100988316B1 (ko) 2010-04-19 2010-04-19 역세척수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고속 여과처리장치
BR112012011353A BR112012011353A2 (pt) 2009-10-26 2010-10-25 dispositivo de filtragem de alta velocidade que utiliza um meio de filtragem poroso, e seu metodo de retrolavagem
RU2012121557/05A RU2499629C1 (ru) 2009-10-26 2010-10-25 Высокоскоростное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спользующее пористую фильтрующую среду, и способ его обратной промывки
AU2010314048A AU2010314048B2 (en) 2009-10-26 2010-10-25 High speed filtration device using porous media, and backwash method thereof
MX2012004597A MX2012004597A (es) 2009-10-26 2010-10-25 Dispositivo de filtracion de alta velocidad que utiliza un medio de filtracion poroso y metodo de retrolavado del mismo.
JP2012535140A JP5576491B2 (ja) 2009-10-26 2010-10-25 多孔性濾材を用いた高速濾過処理装置とその逆洗方法
MYPI2012001631A MY170572A (en) 2009-10-26 2010-10-25 High speed filtration device using porous filtration media, and backwash method thereof
US13/503,845 US9149746B2 (en) 2009-10-26 2010-10-25 High speed filtration device using porous media, and backwash method thereof
TR2012/04505T TR201204505T1 (tr) 2009-10-26 2010-10-25 Gözenekli filtrasyon malzemesi kullanan yüksek hızlı filtrasyon cihazı ve bunun geri yıkama yöntemi.@
CN201080047296.2A CN102574031B (zh) 2009-10-26 2010-10-25 具有多孔过滤介质的高速过滤装置及其反冲洗方法
CA2777191A CA2777191C (en) 2009-10-26 2010-10-25 High speed filtration device using porous media, and backwash method thereof
PCT/KR2010/007312 WO2011052938A2 (ko) 2009-10-26 2010-10-25 다공성 여재를 이용한 고속 여과처리장치와 이의 역세척 방법
EP10827022.4A EP2495024B1 (en) 2009-10-26 2010-10-25 High speed filtration device using porous media, and backwash method thereof
ZA2012/02753A ZA201202753B (en) 2009-10-26 2012-04-16 High speed filtration device using porous madia, and backwash method thereof
CO12068935A CO6531484A2 (es) 2009-10-26 2012-04-26 Dipositivo de filtración de alta velocidad que utiliza un medio de filtración poroso y método de retrolavado del mismo
JP2014016039A JP2014097500A (ja) 2009-10-26 2014-01-30 多孔性濾材を用いた高速濾過処理装置とその逆洗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109A KR100988316B1 (ko) 2010-04-19 2010-04-19 역세척수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고속 여과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8316B1 true KR100988316B1 (ko) 2010-10-18

Family

ID=43135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6109A KR100988316B1 (ko) 2009-10-26 2010-04-19 역세척수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고속 여과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831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385B1 (ko) * 2013-08-30 2015-09-08 (주) 영동엔지니어링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KR20170002491U (ko) * 2015-12-31 2017-07-10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우수 처리 장치
CN109205914A (zh) * 2018-11-28 2019-01-15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有机含量高的污染河水的处理方法
CN114558358A (zh) * 2022-03-24 2022-05-31 兖矿能源集团股份有限公司 矿井水复用系统及其反冲洗方法
KR20220073159A (ko) * 2020-11-26 2022-06-03 주식회사 연 세척기능을 구비하는 직접여과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278Y1 (ko) * 2000-10-17 2001-03-15 손경하 배수관의 배출구 자동개폐장치
KR100441208B1 (ko) * 2001-10-24 2004-07-22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생물 여과 기술을 이용하는 회분식 폐수처리장치 및 이를이용한 폐수처리방법
KR100827641B1 (ko) * 2007-01-18 2008-05-09 에스아이비(주) 미세다공판을 설치한 접촉산화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278Y1 (ko) * 2000-10-17 2001-03-15 손경하 배수관의 배출구 자동개폐장치
KR100441208B1 (ko) * 2001-10-24 2004-07-22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생물 여과 기술을 이용하는 회분식 폐수처리장치 및 이를이용한 폐수처리방법
KR100827641B1 (ko) * 2007-01-18 2008-05-09 에스아이비(주) 미세다공판을 설치한 접촉산화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385B1 (ko) * 2013-08-30 2015-09-08 (주) 영동엔지니어링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KR20170002491U (ko) * 2015-12-31 2017-07-10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우수 처리 장치
KR200487052Y1 (ko) * 2015-12-31 2018-07-30 한국남부발전(주) 우수 처리 장치
CN109205914A (zh) * 2018-11-28 2019-01-15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有机含量高的污染河水的处理方法
KR20220073159A (ko) * 2020-11-26 2022-06-03 주식회사 연 세척기능을 구비하는 직접여과장치
KR102555149B1 (ko) * 2020-11-26 2023-07-14 주식회사 연 세척기능을 구비하는 직접여과장치
CN114558358A (zh) * 2022-03-24 2022-05-31 兖矿能源集团股份有限公司 矿井水复用系统及其反冲洗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6491B2 (ja) 多孔性濾材を用いた高速濾過処理装置とその逆洗方法
KR100978070B1 (ko) 초고속 여과기능 및 역세기능을 구비한 여과장치
EP28890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vertical lift decanter system in a water treatment system
US3977970A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filtering solid particles from a particulate-bearing liquid
KR100951135B1 (ko) 합류식하수도의 월류수 처리장치와, 그에 사용되는부상여재의 제조방법 및 부상여재
KR100988316B1 (ko) 역세척수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고속 여과처리장치
KR101664356B1 (ko) 오폐수 처리를 위한 연속식 여과 장치 및 연속식 여과 방법
KR100955098B1 (ko) 초기우수의 인 제거용 처리장치
KR100949823B1 (ko) 수처리장치
KR100990196B1 (ko) 세척과 슬러지 배출이 용이한 상수 및 하폐수 처리용 하이브리드 여과지
US8323514B2 (en) Method and system for cleaning filter media support structures
KR100975410B1 (ko) 슬러지 순환기능과 초고속 역세기능의 여과장치
US4818414A (en) Slime control for primary filtration systems
KR100981290B1 (ko) 비점오염원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원처리방법
KR100975144B1 (ko) 다공성 여재를 이용한 하천수 여과장치
JP2017064574A (ja) 水処理装置
KR100978071B1 (ko) 초고속 여과기능 및 역세기능을 구비한 여과장치
KR102373598B1 (ko) 처리수를 활용한 역세척 기능이 구비되는 여과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978069B1 (ko) 다공성 여재를 이용한 고속 여과처리장치의 역세척 방법
JP2007229658A (ja) 繊維ろ材を用いたろ過処理方法とそのろ過装置
KR100988315B1 (ko) 역세척이 용이한 고속 여과처리장치
JP3419640B2 (ja) 濾過装置及び濾過方法
KR200454816Y1 (ko) 하수 월류수의 고속여과처리장치
KR100963290B1 (ko) 슬러지 순환기능을 갖춘 2단 여과장치
KR102441762B1 (ko) 블라스팅 장치의 용수 정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