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9422A - 저장수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저장수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9422A
KR20150129422A KR1020140056360A KR20140056360A KR20150129422A KR 20150129422 A KR20150129422 A KR 20150129422A KR 1020140056360 A KR1020140056360 A KR 1020140056360A KR 20140056360 A KR20140056360 A KR 20140056360A KR 20150129422 A KR20150129422 A KR 20150129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air
water
storage water
inn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6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복
Original Assignee
이상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복 filed Critical 이상복
Priority to KR1020140056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9422A/ko
Publication of KR20150129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4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5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1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7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외통(210)과 내통(212) 사이에 상기 내통(21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저장수를 휘저어 내부를 세척해주는 세척날개(270)와, 상기 내통(212) 내부에 설치되고 저장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230) 및 상기 순환펌프(230)에 연결되고 상기 저장수를 배출시키는 배출파이프(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날개(270)가 여과수단(200) 내부의 저장수를 휘저어 내부에 쌓인 이물질을 순간적으로 부유시켜줌과 동시에 제2여과부재(220)에 흡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순간적으로 분리시켜주며, 이물질 함량이 높은 저장수를 퇴수라인(137)을 통해 연못 밖으로 뽑아냄으로써 여과수단(200) 내부의 청소가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저장수 정화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2여과부재의 재사용도 가능하고,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저장수 정화장치{Pond water treatment equipment}
본 발명은 저장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못 등의 저장수에 설치되어 저장수를 정화시켜주는 저장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32125호에는 설치가 간편하고 관리비용을 줄이며, 사용연한을 늘리고, 기계적 생물학적 정화 방법을 함께 적용할 수 있는 저장수 정화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저장수 정화장치는 연못 등의 저장수에 설치되고 다양한 여과수단으로 오염물이나 부유물을 흡수 응집하고, 정화된 물을 여과하는 방식으로 저장수를 정화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저장수 정화장치는 자체 청소 장치가 없기 때문에, 내부에 오염물을 다량 흡수한 여과부재가 쌓이면, 작업자가 직접 여과부재를 교체하거나, 정화장치 내부에 쌓인 오염물들을 청소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여과수단 내부의 청소가 자동으로 가능하도록 구성된 저장수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저장수가 통과하는 흡입구가 하나 이상 형성된 외통; 상기 외통 내에서 폐공간을 형성하며, 저장수가 통과하는 흡입구가 하나 이상 형성된 내통; 상기 외통과 내통 사이에 구비되고, 저장수를 여과하여 이물질을 분리하는 제2여과부재; 상기 외통과 내통 사이에 상기 내통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저장수를 휘저어 내부를 세척해주는 세척날개; 상기 내통 내부에 설치되고 저장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 상기 순환펌프에 연결되고 상기 저장수를 배출시키는 배출파이프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파이프는 변환밸브에 의해 정수라인과 퇴수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변환밸브가 상기 정수라인과 퇴수라인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상기 세척날개가 회전할 때 상기 퇴수라인이 개방되어 이물질을 다량 함유한 저장수가 상기 퇴수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통의 하부 가장자리를 둘러서 에어라인이 설치되고, 상기 에어라인에는 다수의 에어노즐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라인에는 외부의 공기를 공급해주는 에어브로어가 연결되고, 상기 에어브로어에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에어라인과 에어노즐을 통해 외통의 내부에 전달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수 정화장치에 의하면, 세척날개를 회전시켜 여과수단 내부를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다. 세척날개가 여과수단 내부의 저장수를 휘저어 내부에 쌓인 이물질을 순간적으로 부유시켜줌과 동시에 제2여과부재에 흡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순간적으로 분리시켜주며, 이물질 함량이 높은 저장수를 퇴수라인을 통해 연못 밖으로 뽑아냄으로써 여과수단 내부의 청소가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저장수 정화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2여과부재의 재사용도 가능하고,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저장수 정화장치가 사용되는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저장수 정화장치의 내부구성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여과수단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저장수 정화장치가 사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저장수 정화장치(100)는 연못 등의 저장수 내에 위치시키고, 상기 정화장치(100)에는 전선을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작동시키게 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저장수 정화장치의 내부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주요구성인 여과수단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장수 정화장치(100)는 여과수단(200) 내부를 세척해주는 세척날개(270)와 세척날개(270)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오염된 세척수를 밖으로 배출시키는 퇴수라인(1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와 같이, 저장수 정화장치(100)는 다수의 흡입구가 형성된 외부케이스(110), 상기 외부케이스(110) 내에 설치된 여과수단(200) 그리고 상기 여과수단(200) 내에 설치되고 저장수를 상기 정화장치(100)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230)를 포함한다.
상기 순환펌프(230)에는 저장수를 위쪽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파이프(130)가 부설되고,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150)이 연결된다. 상기 전선(150)에는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160)가 더 부설된다. 상기 스위치는 전원을 단속하는 임의의 스위치로 할 수 있으나, 전원을 공급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타이머가 부착된 스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케이스(110)는 연못 속의 어류 등과 같은 저장수 내의 유동물체로부터 상기 여과수단(200)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외부케이스(110)는 내수성이 강한 임의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나,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형상 역시 임의의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내부에 설치된 여과수단(200)과 동일한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케이스(110)에 형성된 흡입구(111)는 저장수를 여과수단(200)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임의의 크기와 배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케이스(110)와 여과수단(200)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은 외부에서 상기 외부케이스(110)를 통해 들어온 물에 포함된 굵고 큰 슬러지(Sludge) 등을 가라앉히는 기능을 한다. 상기 공간에는 일정 크기의 제1여과부재(170)가 다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제1여과부재(170)는 오염물 등을 흡착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위해 투수성이 강한 임의의 여과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섬유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와 도 3을 중심으로 여과수단(200)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도 2에는 회전축(260)과 세척날개(270)를 생략하였다.
여과수단(200)은 외통(210), 내통(212), 상기 외통(210)을 덮는 덮개(215), 상기 외통(210)과 내통(212) 사이에 구비되는 제2여과부재(220)를 포함한다.
상기 외통(210)과 내통(212)의 형상은 임의의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원통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통(210)과 내통(212)에는 일정한 크기의 흡입구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통(210)과 내통(212)에 형성된 흡입구는 임의의 크기와 배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지름 10mm 내지 100mm 의 크기로, 흡입구 사이 간격을 10mm 내지 70mm 로 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구의 지름은 상기 외통(210)과 내통(212) 사이에 설치되는 제2여과부재(220)의 소재 및 상기 여과용기의 소재에 따라 조정가능하며, 상기 흡입구 사이 간격은 흡입구의 지름이 작을수록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통(212)의 내부에는 순환펌프(230)가 설치되는데, 상기 순환펌프(230)는 외통(210)의 물을 내통(212)으로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순환펌프(230)에는 배출파이프(130)가 연결되고, 배출파이프(130)는 내통(212)의 상부를 관통하여 외통(210)의 외부로 연장된다. 상기 배출파이프(130)는 정수라인(135)과 퇴수라인(137)으로 분리되며, 정수라인(135)과 퇴수라인(137)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변환밸브(139)가 상기 배출파이프(130)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배출파이프(130)에는 수면까지 이어진 관형상의 외부산소흡입관(360)이 연결된다. 외부산소흡입관(360)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면서 상기 배출파이프(130)를 통해 배출되는 저장수의 용존산소량을 늘릴 수 있다.
상기 제2여과부재(220)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 수지로 발포한 스펀지 소재로 된 제1필터와 활성탄으로 된 제2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여과부재(220)는 입자가 큰 이물질을 흡착시키고 물은 여과해주는 부재이다.
상기 외통(210)과 내통(212) 사이에는 상기 내통(212)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세척날개(270) 다수 설치된다. 상기 세척날개(270)는 상기 내통(212)의 외부에 설치되는 회전축(260)에 방사상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축(260)은 상기 내통(21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60)에는 상기 회전축(260)을 회전시켜주는 회전모터(280)가 연결된다.
상기 세척날개(270)는 회전함에 따라 상기 외통(210)과 내통(212) 사이의 저장수를 혼합시키고 저장수에 물살을 만들어주어 상기 제2여과부재(220)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들을 분리시켜준다. 제2여과부재(220)나 외통(210)과 내통(212) 주변에서 분리된 오염물은 물과 함께 배출파이프(130)을 통과한 후 퇴수라인(137)을 통해 연못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외통(210)의 하부 가장자리를 둘러서 에어라인(300)이 설치되고, 상기 에어라인(300)에는 다수의 에어노즐(3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라인(300)에는 외부의 공기를 공급해주는 에어브로어(320)가 연결된다. 상기 에어브로어(320)에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에어라인(300)과 에어노즐(310)을 통해 외통(210)의 내부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외통(210) 내부에 충분한 공기를 공급하여 잔존하는 미생물에 의한 생물학적 부유물을 해소하고, 아질산 암모니아 등 불순물을 제거함으로써 저장수의 성분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저장수 정화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연못 등의 저장수 내에 잠긴 저장수 정화장치(100)의 내부에는 저장수가 고여있다. 저장수를 정화시키려면, 순환펌프(230)를 작동시키고, 변환밸브(139)가 정수라인(135)을 열어주고 퇴수라인(137)은 닫아준다. 순환펌프(230)가 작동되면, 배출파이프(130)를 통해 저장수가 배출되고, 저장수가 배출될 때에는 상기 배출파이프(130)에 연결된 외부산소흡입관(360)으로 공기와 접촉하여 용존산소량이 늘어난 상태로 배출된다.
상기 순환펌프(230)에 의해 저장수가 배출된 상기 내통(212) 속에는 압력이 낮아지고, 외통(210) 외부와의 압력차로 인해 상기 외통(210) 외부로부터 저장수가 내통 쪽으로 흘러들어온다.
저장수는 먼저 외부케이스(110)를 지나면서 매우 굵은 이물질이 걸러지게 되고, 외부케이스(110)를 통과한 저장수에 포함된 슬러지(sludge) 등 일정한 무게의 이물질은 상기 외부케이스(110)와 여과수단(200) 사이의 공간에 머물면서 하부로 가라앉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스(110)와 여과수단(200) 사이에 구비되는 제1여과부재(170)를 통해 저장수에 포함된 부유물들이 걸러진다. 즉, 저장수가 제1여과부재(170)와 만나면서, 저장수에 포함된 부유물들이 제1여과부재(170)에 흡착된다. 제1여과부재(170)가 부유물들을 흡착시킴에 따라 저장수가 정화되는 것이다.
한편, 외부케이스(110)를 통해 들어와 상기 제1여과부재(170)를 통과한 저장수는 상기 외통(210)에 형성된 흡입구를 통해 외통(210) 내부로 들어오고, 상기 외통(210)과 내통(212) 사이의 상기 제2여과부재(220)에서 여과된 후 내통(212)에 형성된 흡입구를 통해 내통(212) 속으로 들어간다.
이와 같이 저장수가 내통(212) 속으로 흘러 들어감에 따라 제1여과부재(170)에서 굵은 입자가 걸러지게 되고, 상기 제2여과부재(220)에서 작은 입자가 걸러지게 된다.
다음으로, 여과수단(200) 내부를 세척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여과수단(200)을 통해 저장수의 정수가 오랜시간 진행되면, 상기 제2여과부재(220)에는 수많은 이물질이 부착되며, 상기 외통(210)과 내통(212) 사이의 공간에는 이물질이 많이 쌓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의 여과수단(200)을 세척하기 위해서, 상기 회전모터(280)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변환밸브(139)를 통해 정수라인(135)을 닫고, 퇴수라인(137)을 열어준다.
회전모터(280)가 작동되면, 회전축(260)이 회전함에 따라 세척날개(270)가 회전하게 되고, 세척날개(270)가 상기 외통(210)과 내통(212) 사이의 저장수를 휘저어줌에 따라 상기 제2여과부재(220)에 붙어있던 이물질이 분리되며, 상기 외통(210)과 내통(212) 사이 공간에 쌓여있던 이물질을 부유시키게 된다.
상기 세척날개(270)의 회전동작에 따라 상기 외통(210)과 내통(212) 사이의 저장수에는 순간적으로 이물질 함량이 극대화되며, 상기 순환펌프(230)의 동작에 따라 상기 내통(212) 내부로 이물질 함량이 높은 저장수가 유입된 후 배출파이프(130)와 퇴수라인(137)을 통해 연못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배출이 일정 시간 지속됨에 따라, 상기 여과수단(200) 내부의 이물질이 저장수와 함께 배출됨으로써 상기 여과수단(200) 내부가 자동으로 세척될 수 있다. 동시에 제2여과부재(220)에 흡착되어 있던 이물질이 제거되므로 상기 제2여과부재(220)의 여과기능이 되살아나고, 재사용도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과수단(200) 내부를 자동으로 세척시켜주며, 제2여과부재(220)의 재사용도 가능하게 해준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저장수 정화장치 110: 외부케이스
111: 흡입구 130: 배출파이프
135: 정수라인 137: 퇴수라인
139: 변환밸브 170: 제1여과부재
200: 여과수단 210: 외통
212: 내통 215: 덮개
230: 순환펌프 220: 제2여과부재
260: 회전축 270: 세척날개
280: 회전모터 300: 에어라인
310: 에어노즐 320: 에어브로어

Claims (3)

  1. 저장수가 통과하는 흡입구가 하나 이상 형성된 외통(210);
    상기 외통(210) 내에서 폐공간을 형성하며, 저장수가 통과하는 흡입구가 하나 이상 형성된 내통(212);
    상기 외통(210)과 내통(212) 사이에 구비되고, 저장수를 여과하여 이물질을 흡수하는 제2여과부재(220);
    상기 외통(210)과 내통(212) 사이에 상기 내통(21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저장수를 휘저어 내부를 세척해주는 세척날개(270);
    상기 내통(212) 내부에 설치되고 저장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230);
    상기 순환펌프(230)에 연결되고 상기 저장수를 배출시키는 배출파이프(130)를 포함하는 저장수 정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파이프(130)는 변환밸브(139)에 의해 정수라인(135)과 퇴수라인(137)과 연결되고,
    상기 변환밸브(139)가 상기 정수라인(135)과 퇴수라인(137)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상기 세척날개(270)가 회전할 때 상기 퇴수라인(137)이 개방되어 이물질을 다량 함유한 저장수가 상기 퇴수라인(13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수 정화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210)의 하부 가장자리를 둘러서 에어라인(300)이 설치되고, 상기 에어라인(300)에는 다수의 에어노즐(310)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라인(300)에는 외부의 공기를 공급해주는 에어브로어(320)가 연결되고, 상기 에어브로어(320)에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에어라인(300)과 에어노즐(310)을 통해 외통(210)의 내부에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수 정화장치.
KR1020140056360A 2014-05-12 2014-05-12 저장수 정화장치 KR201501294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360A KR20150129422A (ko) 2014-05-12 2014-05-12 저장수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360A KR20150129422A (ko) 2014-05-12 2014-05-12 저장수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422A true KR20150129422A (ko) 2015-11-20

Family

ID=54844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6360A KR20150129422A (ko) 2014-05-12 2014-05-12 저장수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942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388B1 (ko) * 2018-02-14 2019-07-1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호수 수질개선을 위한 수처리제의 완속 투여장치
KR20190090215A (ko) * 2018-01-24 2019-08-01 광주과학기술원 무전력 정수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215A (ko) * 2018-01-24 2019-08-01 광주과학기술원 무전력 정수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KR102000388B1 (ko) * 2018-02-14 2019-07-1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호수 수질개선을 위한 수처리제의 완속 투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8425B2 (ja) 水処理機器
KR101728525B1 (ko) 하수 처리 장치
KR101728529B1 (ko) 하수 처리 장치
KR101556157B1 (ko) 빗물의 여과 및 정화장치
KR100965972B1 (ko) 가축 분료 및 음식물 쓰레기 폐수 정화 장치
KR20190052350A (ko) 다중 복합 샌드 여과기
JP2010099585A (ja) 汚水浄化装置
KR101196471B1 (ko) 여과사 분리세척수거 장치
JP2008029946A (ja) 洗浄処理システム、洗浄処理方法、遠心濾過装置及び遠心濾過方法
KR100957423B1 (ko) 역세척이 가능한 정수장치
KR20150129422A (ko) 저장수 정화장치
KR100479476B1 (ko) 드럼필터 및 와류형여과기를 이용한 하폐수 재이용 처리장치
KR101391233B1 (ko) 용수의 고형물 제거 및 정화장치
KR101985292B1 (ko) 필터 자동 클리닝 기능을 갖는 정수장치
KR20150061417A (ko) 오염 유체 원심분리 정화기
KR20140058082A (ko) 역세장치의 회전만으로 백프러싱을 하는 바스켓형의 필터링시스템
KR101176889B1 (ko) 고액 분리장치
KR102230178B1 (ko) 가압버블을 이용한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 장치
JP2004113875A (ja) 油分離装置
KR20100137638A (ko) 정수필터장치
KR101667491B1 (ko) 정수처리장치
KR101796774B1 (ko) 잡배수 및 빗물 처리시스템
KR101551385B1 (ko)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KR200199577Y1 (ko) 연못 등의 저장수 정화장치
KR101584203B1 (ko) 정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