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0430A - 역세가 용이한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역세가 용이한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0430A
KR20140050430A KR1020120116838A KR20120116838A KR20140050430A KR 20140050430 A KR20140050430 A KR 20140050430A KR 1020120116838 A KR1020120116838 A KR 1020120116838A KR 20120116838 A KR20120116838 A KR 20120116838A KR 20140050430 A KR20140050430 A KR 20140050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ackwash
backwashing
outer cylinder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6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0985B1 (ko
Inventor
김억조
Original Assignee
(주) 영동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영동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영동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20116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985B1/ko
Priority to PCT/KR2013/002986 priority patent/WO2014061884A1/ko
Publication of KR20140050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4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large scale industrial sized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세가 용이한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염수의 부유물질을 여과하는 제1여과부재가 내부에 설치된 내통과, 상기 내통의 외측에 내통에서 여과된 처리수가 일시 저수되는 처리수저수공간이 구비되게 설치되고 오염수의 용존물질을 여과하는 제2여과부재가 내부에 설치된 외통으로 구성되되, 내통의 하부는 물론이고 상기 외통의 내측 하부에 각각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흐름을 통해 처리수저수공간에 저수된 처리수를 압송시켜 제1여과부재와 제2여과부재를 역세하는 제1역세수단과 제2역세수단이 각각 설치되어, 오염수에 포함된 부유물질과 용존물질 모두를 여과할 뿐만 아니라 역세펌프와 역세수조 없이 여과부재의 역세가 가능함으로써, 오염수에 대한 여과효율이 향상되고 여과부재를 용이하게 역세할 수 있는 역세가 용이한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부에 오염수유입관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내부에 오염수의 부유물질을 여과하는 제1여과부재가 설치되며, 하부는 개구된 내통; 상기 내통의 외측에 부유물질이 여과된 처리수가 일시 저수되는 처리수저수공간을 두고 설치되고, 내부에 처리수의 용존물질을 여과하는 제2여과부재가 설치되며, 상부에 처리수배출관이 설치된 외통; 상기 내통의 하부에 내통 및 외통과 연통하도록 설치된 제1역세수압송함과, 상기 제1역세수압송함의 일측에 외통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제1압축공기공급관과, 상기 내통의 상부 일측에 외통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제1역세수배출관으로 구성되어, 상기 처리수를 내통의 하부에서 상부로 역류시켜 제1여과부재를 역세하는 제1역세수단; 및 상기 외통의 내부 하측에 설치된 제2역세수압송함과, 상기 제2역세수압송함의 일측에 설치된 제2압축공기공급관과, 상기 외통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제2역세수배출관으로 구성되어, 상기 처리수를 외통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역류시켜 제2여과부재를 역세하는 제2역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가 용이한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역세가 용이한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Easy to back wash multiple waste water processing filtration device}
본 발명은 역세가 용이한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염수의 부유물질을 여과하는 제1여과부재가 내부에 설치된 내통과, 상기 내통의 외측에 내통에서 여과된 처리수가 일시 저수되는 처리수저수공간이 구비되게 설치되고 오염수의 용존물질을 여과하는 제2여과부재가 내부에 설치된 외통으로 구성되되, 내통의 하부는 물론이고 상기 외통의 내측 하부에 각각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흐름을 통해 처리수저수공간에 저수된 처리수를 압송시켜 제1여과부재와 제2여과부재를 역세하는 제1역세수단과 제2역세수단이 각각 설치되어, 오염수에 포함된 부유물질과 용존물질 모두를 여과할 뿐만 아니라 역세펌프와 역세수조 없이 여과부재의 역세가 가능함으로써, 오염수에 대한 여과효율이 향상되고 여과부재를 용이하게 역세할 수 있는 역세가 용이한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처리라 함은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배출되는 하수나 폐수 등과 같은 오염수에 포함된 오염원인 물질을 여과하여 제거하는 일련의 처리 작업을 통틀어서 말한다.
상기 오염수에 포함된 오염원인 물질은 크게 부유물질(Suspended Solids)과 용존물질(Dissolved Solids)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염수에 대한 수처리 작업을 위한 수처리 여과장치는 오염원인 물질인 부유물질과 용존물질을 모두 여과 처리하는 능력을 보유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수처리 여과장치는 부유물질 또는 용존물질만을 여과하는 복수 개의 여과장치를 각각 독립적으로 연속 배치하여 구성한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종래의 수처리 여과장치는 복수 개의 여과장치를 일률적으로 작동되게 구성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설치공간도 많이 차지하므로 공간에 따른 제약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수처리 여과장치는 각 여과장치에서 부유물질 또는 용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재에 대한 역세를 위해서는 역세수조와 역세펌프가 별도로 설치해야 하므로 구조가 더욱 복잡해짐은 물론이고 유지관리도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하나의 여과장치를 통해 오염수에 포함된 부유물질과 용존물질을 동시에 여과할 수 있고, 부유물질과 용존물질이 여과되는 여과부재를 별도의 역세수조와 역세펌프 없이도 간편하게 역세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역세가 용이한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는, 상부에 오염수유입관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내부에 오염수의 부유물질을 여과하는 제1여과부재가 설치되며, 하부는 개구된 내통; 상기 내통의 외측에 부유물질이 여과된 처리수가 일시 저수되는 처리수저수공간을 두고 설치되고, 내부에 처리수의 용존물질을 여과하는 제2여과부재가 설치되며, 상부에 처리수배출관이 설치된 외통; 상기 내통의 하부에 내통 및 외통과 연통하도록 설치된 제1역세수압송함과, 상기 제1역세수압송함의 일측에 외통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제1압축공기공급관과, 상기 내통의 상부 일측에 외통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제1역세수배출관으로 구성되어, 상기 처리수를 내통의 하부에서 상부로 역류시켜 제1여과부재를 역세하는 제1역세수단; 및 상기 외통의 내부 하측에 설치된 제2역세수압송함과, 상기 제2역세수압송함의 일측에 설치된 제2압축공기공급관과, 상기 내통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제2역세수배출관으로 구성되어, 상기 처리수를 외통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역류시켜 제2여과부재를 역세하는 제2역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역세수압송함과 상기 제2역세수압송함은,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복수 개의 역세수유출공과 역세수유입공이 형성된 일정 높이를 가진 통체 형상으로 구성되거나, 일정 높이를 가지고 복수 개의 역세수압송관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된 통체 형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통의 상부에는, 상기 내통의 내부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관과, 상기 내통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주입되는 제1공기주입관이 설치되고; 상기 외통의 상부에는, 상기 외통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주입되는 제2공기주입관이 설치되며; 상기 내통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내통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여과부재와 상기 제2여과부재는 각각 복수 개의 카트리지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내통과 외통의 상부는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외통의 일측에는 점검문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오염수유입관과 상기 제1압축공기공급관 및 상기 제1역세수배출관은 외통을 경계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공기주입관과 상기 압력계는 외통을 경계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여과부재와 상기 제2여과부재의 교체가 가능하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여과부재는, 상기 내통의 내부에서 상부에 일정공간을 두고 설치되되, 수축과 팽창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여과시에는 오염수의 유속과 압력, 및 제1공기주입관의 기압에 의해 수축된 상태에서 오염수의 부유물질을 여과하고 역세시에는 처리수의 유속과 압력에 의해 팽창된 상태에서 역세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내통과 외통의 내부에 각각 부유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재와 용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재가 각각 설치되어 오염수에 포함된 부유물질과 용존물질을 동시에 제거함으로써 오염수에 대한 여과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처리수저수공간에 일시 저수된 처리수는 외기의 유입에 따라 역방향으로 압송되어 내통과 외통의 내부에 설치된 여과부재를 동시에 역세함으로써 여과부재에 대한 역세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과부재는 카트리지 형태로 외통과 내통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통과 내통은 외부에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여과부재를 교체하거나 외통과 내통을 점검하는 등의 유지보수 작업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통에 대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통에 대한 구성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역세수단에 대한 구성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역세수단에 대한 구성도.
도 8은 일반적인 수처리 여과장치에 대한 처리 공정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처리 공정도.
본 발명에 따른 역세가 용이한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는, 오염수에 포함된 오염 물질을 물리적인 방식으로 여과 처리함으로써 환경기준치 이상의 용수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여과장치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역세가 용이한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는, 오염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은 물론이고 유무기물질과 영양염류 등의 용존물질까지도 제1여과부재와 제2여과부재로 여과 처리할 수 있는 것과, 별도의 역세수조와 역세펌프 없이 상기 제1여과부재와 제2여과부재를 역세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내통과 외통이 처리수저수공간을 사이에 두고 내측과 외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내통과 외통의 내부에 각각 부유물질을 여과하는 제1여과부재와 용존물질을 여과하는 제2여과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내통과 외통에 각각 외부에서 강제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처리수저수공간에 일시 저수된 처리수를 역류시켜 제1여과부재와 제2여과부재를 역세하는 제1역세수단과 제2역세수단이 설치된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간단한 구조를 통해 오염수에 포함된 부유물질과 용존물질을 제1여과부재와 제2여과부재를 통해 효과적으로 여과 처리할 수 있고, 상기 제1여과부재와 제2여과부재에 부착된 부유물질과 용존물질을 제1역세수단과 제2역세수단을 통해 간단하게 역세 처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통에 대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통에 대한 구성도이고,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역세수단에 대한 구성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역세수단에 대한 구성도이고, 도 8은 일반적인 수처리 여과장치에 대한 처리 공정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처리 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역세가 용이한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내통(10), 외통(20), 제1역세수단(30), 및 제2역세수단(4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내통(10)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오염수를 1차 여과 처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오염수유입관(11)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내부에 제1여과부재(12)가 설치되며 하부는 개구된 통체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내통(10)은 상기 오염수유입관(11)을 통해 외부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을 상기 제1여과부재(12)를 통해 1차 여과 처리한 후 개구된 하부로 유출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제1여과부재(12)는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갖는 단독의 여재 또는 복수의 여재로 구성 가능한데, 오염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을 물리적인 방식으로 여과 처리할 수 있는 단독 또는 복수의 여재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내통(10)의 상부에는 제1여과부재(12)의 역세 공정 후 제1여과부재(12)를 신속하게 압축 상태로 만들기 위해 외부 공기가 내통(10)의 내부로 주입되는 제1공기주입관(14)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공기주입관(14)에는 외부 공기의 주입을 단속하는 개폐밸브(14V)가 설치된다.
여기서 제1여과부재(12)는 수축과 팽창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내통(10)의 내부에서 상부에 일정공간을 두고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여과시에는 오염수의 유속과 압력, 및 제1공기주입관(14)의 기압에 의해 수축된 상태에서 오염수의 부유물질을 효과적으로 여과하고 역세시에는 처리수의 유속과 압력에 의해 팽창된 상태에서 여과된 오염수의 부유물질이 자연스럽게 역세된다.
또한, 제1여과부재(12)는 사용 수명이 다한 경우 교체가 가능하도록 내통(10)의 내부에 카트리지 형태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오염수유입관(11)에는 오염수의 유입을 단속하는 개폐밸브(11V)가 설치된다.
이때 내통(10)의 상부에는 오염수가 오염수유입관(11)을 통해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내통(10)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배출관(13)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공기배출관(13)에는 내통(10)의 내부 공기 유출을 단속하는 개폐밸브(13V)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외통(20)은, 내통(10)의 제1여과부재(12)를 통해 부유물질이 제거된 처리수를 내부로 유입시켜 2차 여과 처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10)의 외측에 처리수저수공간(21)을 두고 설치되고 내부에 제2여과부재(22)가 설치되며 상부에 처리수배출관(23)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통(20)은 상기 처리수저수공간(21)에 일시 저수되는 처리수에 포함된 잔존 부유물질과 용존물질을 상기 제2여과부재(22)를 통해 2차 여과 처리하면서 상기 처리수배출관(2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2여과부재(22)는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구성된 단독의 여재 또는 복수의 여재로 가능한데, 처리수에 포함된 부유물질과 용존물질을 물리적인 방식으로 여과 처리할 수 있는 단독 또는 복수의 여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여과부재(22)는 제1여과부재(12)와 같이 사용 수명이 다한 경우 교체가 가능하도록 외통(20)의 내부에 복수 개의 카트리지 형태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처리수배출관(23)에는 처리수의 배출을 단속하는 개폐밸브(23V)가 설치된다. 또한, 외통(20)의 하부에는 처리수저수공간(21)에 잔류하는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잔류수배출관(27)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잔류수배출관(27)에는 잔류하는 처리수의 배출을 단속하는 개폐밸브(27V)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역세수단(30)은, 상기 내통(10)의 제1여과부재(12)에 부착된 부유물질을 역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10)의 하부에 설치된 제1역세수압송함(31), 제1역세수압송함(31)의 일측에 설치된 제1압축공기공급관(32), 및 내통(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제1역세수배출관(33)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부의 압축공기가 상기 제1압축공기공급관(32)을 통해 상기 제1역세수압송함(31)으로 공급되면서 외통(20)의 처리수저수공간(21)에 일시 저수된 처리수를 역세수로 사용하기 위해 내통(10)의 하부에서 상부로 역류시켜 상기 제1여과부재(12)를 역세하는 것이다.
따라서 외통(20)의 처리수저수공간(21)에 일시 저수된 처리수는 압축공기의 유입에 의해 강한 압력으로 내통(10)의 하부에서 상부로 역류되면서 역세수로 작용하여 제1여과부재(12)에 부착된 부유물질을 역세한 후 제1역세수배출관(3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역세펌프나 역세수조 없이 제1여과부재(12)를 신속 간편하게 역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압축공기공급관(32)에는 압축공기의 공급을 단속하는 개폐밸브(32V)가 설치되고, 상기 제1역세수배출관(33)에는 역세수의 배출을 단속하는 개폐밸브(33V)가 설치된다.
이때 제1역세수압송함(3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수가 강한 압력으로 역류되도록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복수 개의 역세수유출공(31a)과 역세수유입공(31b)이 형성된 일정 높이를 가진 통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역세수압송함(3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수가 더욱 강한 압력으로 역류되도록 일정 높이를 가지고 복수 개의 역세수압송관(31d)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된 통체 형상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외통(20)의 상부에는 제2공기주입관(24)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외통(20)의 내부에 외부 공기가 주입되도록 하여 외통(20)의 진공을 방지하면서 처리수저수공간(21)의 처리수가 원활하게 역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공기주입관(24)에는 외부 공기의 주입을 단속하는 개폐밸브(24V)가 설치된다.
여기서 내통(10)의 상부 일측에는 외통(20)을 관통하도록 압력계(25)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압력계(25)는 내통(10)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제1역세수단(30)이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제1여과부재(12)에 부유물질이 많이 부착되면 오염수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으면서 내통(10)의 압력이 증대되는데, 이러한 압력 변화를 압력계(25)가 실시간으로 측정 감지하여 제1압축공기공급관(32)과 제1역세수배출관(33) 및 제2공기주입관(24)을 자동으로 개방시킴으로써 제1역세수단(30)의 자동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역세수단(40)은 상기 외통(20)의 제2여과부재(22)에 부착된 부유물질과 용존물질을 역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20)의 하부에 설치된 제2역세수압송함(41), 제2역세수압송함(41)의 일측에 설치된 제2압축공기공급관(42), 및 외통(2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제2역세수배출관(43)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부의 압축공기가 상기 제2압축공기공급관(42)을 통해 상기 제2역세수압송함(41)으로 공급되면서 외통(20)의 처리수저수공간(21)에 일시 저수된 처리수를 역세수로 사용하기 위해 외통(20)의 하부에서 상부로 압송시켜 제2여과부재(22)를 역세하는 것이다.
따라서 외통(20)의 처리수저수공간(21)에 일시 저수된 처리수는 압축공기의 유입에 의해 강한 압력으로 외통(20)의 하부에서 상부로 압송되면서 역세수로 작용하여 제2여과부재(22)에 부착된 부유물질과 용존물질을 역세한 후 제2역세수배출관(4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역세펌프나 역세수조 없이 제2여과부재(22)를 신속 간편하게 역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압축공기공급관(42)에는 압축공기의 공급을 단속하는 개폐밸브(42V)가 설치되고, 상기 제2역세수배출관(43)에는 역세수의 배출을 단속하는 개폐밸브(43V)가 설치된다.
이때 제2역세수압송함(4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수가 강한 압력으로 상향류가 되도록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복수 개의 역세수유출공(41a)과 역세수유입공(41b)이 형성된 일정 높이를 가진 통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역세수압송함(4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수가 더욱 강한 압력으로 상향류가 되도록 일정 높이를 가지고 복수 개의 역세수압송관(41d)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된 통체 형상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여과부재(12)와 상기 제2여과부재(22)는 각각 복수 개의 카트리지 형태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내통(10)의 상부는 결합수단(10C)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외통(20)의 상부도 결합수단(20C)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외통(20)의 일측에는 점검문(26)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압력계(25)는 외통(20)을 경계로 하여 결합수단(25C)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오염수유입관(11)은 외통(20)을 경계로 하여 결합수단(11C)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압축공기공급관(32)은 외통(20)을 경계로 하여 결합수단(32C)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역세수배출관(33)은 외통(20)을 경계로 하여 결합수단(33C)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공기배출관(13)은 외통(20)을 경계로 하여 결합수단(13C)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공기주입관(14)은 외통(20)을 경계로 하여 결합수단(14C)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역세가 용이한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100)에 대한 여과 공정과 역세 공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여과 공정은 오염수에 포함된 부유물질과 용존물질을 여과 처리하는 공정으로, 이를 위해서는 오염수유입관(11)과 처리수배출관(23) 및 공기배출관(13)은 개방하고, 제1공기주입관(14)과 제2공기주입관(24)과 잔류수배출관(27)과 제1역세수배출관(33)과 제2역세수배출관(43)과 제1압축공기공급관(32) 및 제2압축공기공급관(42)은 폐쇄한다.
그런 다음 오염수를 오염수유입관(11)을 통해 내통(10)의 상부로 유입시킨다. 상기 오염수는 자유 낙하하는 과정에서 외통(20)의 제1여과부재(12)를 그대로 통과하면서 그 속에 포함된 부유물질이 1차로 여과 처리된 후 내통(10)의 하부를 통해 외통(20)의 처리수저수공간(21)에 일시 저수된다.
상기와 같이 처리수저수공간(21)에 일시 저수된 처리수는 외통(20)의 하부에서 상부로 흘러 외통(20)의 제2여과부재(22)를 그대로 통과하면서 그 속에 포함된 용존물질이 2차로 여과 처리된 후 외통(20)의 처리수배출관(2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한 여과 처리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오염수는 부유물질과 용존물질이 제거된 처리수 상태로 처리수배출관(2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환경기준치 이상의 용수로 사용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역세 공정은 오염수에 포함된 부유물질과 용존물질이 부착된 제1여과부재(12)와 제2여과부재(22)를 역세하는 공정으로, 이를 위해서는 오염수유입관(11)과 공기배출관(13)과 제1공기주입관(14)과 처리수배출관(23) 및 잔류수배출관(27)은 폐쇄한다.
그리고 제1여과부재(12)만을 역세하고자 할 때는 제1역세수배출관(33)과 제1압축공기공급관(32) 및 제2공기주입관(24)은 개방하고, 제2여과부재(22)만을 역세하고자 할 때는 제2역세수배출관(43)과 제2압축공기공급관(42)은 개방하며, 제1여과부재(12)와 제2여과부재(22)를 동시에 역세하고자 할 때는 제1역세수배출관(33)과 제1압축공기공급관(32)과 제2역세수배출관(43) 및 제2압축공기공급관(42)은 개방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제1압축공기공급관(32) 또는 제2압축공기공급관(42) 또는 제1압축공기공급관(32)과 제2압축공기공급관(42)을 통해 외부에서 압축공기를 일정압력으로 공급한다.
그러면 압축공기는 내통(10) 또는 외통(20) 또는 내통(10)과 외통(20)의 하부에 설치된 제1역세수압송함(31) 또는 제2역세수압송함(41) 또는 제1역세수압송함(31)과 제2역세수압송함(41)을 통과한 후 내통(10) 또는 외통(20) 또는 내통(10)과 외통(20)의 하부에서 상부로 유입된다.
이와 동시에 외통(20)의 처리수저수공간(21)에 저수된 처리수는 상기한 압축공기의 흐름과 함께 내통(10) 또는 외통(20) 또는 내통(10)과 외통(20)의 하부에서 상부로 역류하면서 내통(10)의 제1여과부재(12) 또는 외통(20)의 제2여과부재(22) 또는 내통(10)의 제1여과부재(12)와 외통(20)의 제2여과부재(22)에 부착된 부유물질 또는 용존물질 또는 부유물질과 용존물질을 제거한 후 부유물질 또는 용존물질 또는 부유물질과 용존물질과 함께 제1역세수배출관(33) 또는 제2역세수배출관(43) 또는 제1역세수배출관(33)과 제2역세수배출관(4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외통(20)의 처리수저수공간(21)에 일시 저수된 처리수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흐름을 통해 역세수로 사용하여 제1여과부재(12)와 제2여과부재(22)에 부착된 부유물질과 용존물질을 역세함으로써 역세 공정을 신속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역세가 용이한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의 처리 공정을 갖는 일반적인 수처리 여과장치와 달리 별도의 역세수조와 역세펌프 없이 자체적으로 제1여과부재와 제2여과부재의 역세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오염수에 포함된 부유물질과 용존물질을 한 번에 여과함으로써, 공간 제약을 완전히 해소할 뿐만 아니라 오염수에 대한 여과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 내통 10C: 결합수단
11: 오염수유입관 11V: 개폐밸브
11C: 결합수단 12: 제1여과부재
13: 공기배출관 13V: 개폐밸브
13C: 결합수단 14: 제1공기주입관
14V: 개폐밸브 14C: 결합수단
20: 외통 20C: 결합수단
21: 처리수저수공간 22: 제2여과부재
23: 처리수배출관 23V: 개폐밸브
24: 제2공기주입관 24V: 개폐밸브
25: 압력계 25C: 결합수단
26: 점검문 27: 잔류수배출관
27V: 개폐밸브
30: 제1역세수단 31: 제1역세수압송함
31a: 역세수유출공 31b: 역세수유입공
31d: 역세수압송관 32: 제1압축공기공급관
32V: 개폐밸브 32C: 결합수단
33: 제1역세수배출관 33V: 개폐밸브
33C: 결합수단
40: 제2역세수단 41: 제2역세수압송함
41a: 역세수유출공 41b: 역세수유입공
41d: 역세수압송관 42: 제2압축공기공급관
42V: 개폐밸브 43: 제2역세수배출관
43V: 개폐밸브
100: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

Claims (5)

  1. 상부에 오염수유입관(11)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내부에 오염수의 부유물질을 여과하는 제1여과부재(12)가 설치되며, 하부는 개구된 내통(10);
    상기 내통(10)의 외측에 부유물질이 여과된 처리수가 일시 저수되는 처리수저수공간(21)을 두고 설치되고, 내부에 처리수의 용존물질을 여과하는 제2여과부재(22)가 설치되며, 상부에 처리수배출관(23)이 설치된 외통(20);
    상기 내통(10)의 하부에 내통(10) 및 외통(20)과 연통하도록 설치된 제1역세수압송함(31)과, 상기 제1역세수압송함(31)의 일측에 외통(20)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제1압축공기공급관(32)과, 상기 내통(10)의 상부 일측에 외통(20)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제1역세수배출관(33)으로 구성되어, 상기 처리수를 내통(10)의 하부에서 상부로 역류시켜 제1여과부재(12)를 역세하는 제1역세수단(30); 및
    상기 외통(20)의 내부 하측에 설치된 제2역세수압송함(41)과, 상기 제2역세수압송함(41)의 일측에 설치된 제2압축공기공급관(42)과, 상기 외통(2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제2역세수배출관(43)으로 구성되어, 상기 처리수를 외통(20)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역류시켜 제2여과부재(22)를 역세하는 제2역세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가 용이한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역세수압송함(31)과 상기 제2역세수압송함(41)은,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복수 개의 역세수유출공(31a)(41a)과 역세수유입공(31b)(41b)이 형성된 일정 높이를 가진 통체 형상으로 구성되거나, 일정 높이를 가지고 복수 개의 역세수압송관(31d)(41d)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된 통체 형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가 용이한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10)의 상부에는,
    상기 내통(10)의 내부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관(13)과, 상기 내통(10)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주입되는 제1공기주입관(14)이 설치되고;
    상기 외통(20)의 상부에는,
    상기 외통(20)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주입되는 제2공기주입관(24)이 설치되며;
    상기 내통(10)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내통(10)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25)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가 용이한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여과부재(12)와 상기 제2여과부재(22)는 복수 개의 카트리지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내통(10)과 외통(20)의 상부는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외통(20)의 일측에는 점검문(26)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오염수유입관(11)과 상기 제1압축공기공급관(32) 및 상기 제1역세수배출관(33)은 외통(20)을 경계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공기주입관(14)과 상기 압력계(25)는 외통(20)을 경계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여과부재(12)와 상기 제2여과부재(22)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가 용이한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여과부재(12)는,
    상기 내통(10)의 내부에서 상부에 일정공간을 두고 설치되되, 수축과 팽창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여과시에는 오염수의 유속과 압력, 및 제1공기주입관(14)의 기압에 의해 수축된 상태에서 오염수의 부유물질을 여과하고 역세시에는 처리수의 유속과 압력에 의해 팽창된 상태에서 역세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가 용이한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
KR1020120116838A 2012-10-19 2012-10-19 역세가 용이한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 KR101470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838A KR101470985B1 (ko) 2012-10-19 2012-10-19 역세가 용이한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
PCT/KR2013/002986 WO2014061884A1 (ko) 2012-10-19 2013-04-10 역세가 용이한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838A KR101470985B1 (ko) 2012-10-19 2012-10-19 역세가 용이한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430A true KR20140050430A (ko) 2014-04-29
KR101470985B1 KR101470985B1 (ko) 2014-12-09

Family

ID=50488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6838A KR101470985B1 (ko) 2012-10-19 2012-10-19 역세가 용이한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70985B1 (ko)
WO (1) WO20140618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559B1 (ko) * 2015-08-05 2016-07-12 주식회사 에코스타 슬러지를 여과하여 건조시키는 비점오염저감시설
CN105883258B (zh) * 2016-05-27 2018-01-19 彭展忠 办公场所专用抽拉式垃圾桶
KR102357123B1 (ko) 2021-06-18 2022-02-08 이에스피 주식회사 연속 역세기능을 구비하는 판상형 적층여과기 및 이를 구비하는 여과시스템
CN114225545B (zh) * 2021-12-24 2022-07-15 清远市嘉禾稀有金属有限公司 一种酸溶渣反洗设备及其使用方法
CN117619045A (zh) * 2024-01-25 2024-03-01 四川贝克森云灌溉科技有限公司 一种蓄水池复合式过滤器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079B1 (ko) * 2008-02-14 2008-09-24 유림엔마텍(주) 수 처리기의 상향류식 여과 및 역세 방법 및 그 장치
KR100952236B1 (ko) * 2008-03-06 2010-04-09 제천시 자동역세장치를 갖는 오폐수정화처리 시스템
KR100843304B1 (ko) * 2008-03-18 2008-07-04 주식회사 알피노필터링시스템 여과망 양면 세척식 수처리용 여과장치
KR101134510B1 (ko) * 2009-12-30 2012-04-13 (주)이엔바이오21 역세여과장치를 이용한 폐수 처리 장치 및 그에 따른 폐수 처리 방법
KR101155948B1 (ko) * 2010-05-25 2012-06-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무동력 역세방식을 이용한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61884A1 (ko) 2014-04-24
KR101470985B1 (ko) 201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23933B (zh) 水处理方法
US11198625B2 (en) Method for the treatment of wastewater
KR101470985B1 (ko) 역세가 용이한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
FI97025C (fi) Menetelmä ja laite hienojakoisten lietteiden saostamiseksi
KR101335668B1 (ko) 살균 및 역세 기능이 향상된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
CN207928807U (zh) 一种自动反冲洗袋式过滤装置
CN103768852B (zh) 反冲洗过滤机
CN202506319U (zh) 一种罐式膜分离装置
CN203791265U (zh) Pet瓶片清洗液过滤水箱
US7648630B2 (en) Underwater filtration operator
KR101488965B1 (ko) 스펀지 여재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
WO2013191245A1 (ja) 濁水処理システムおよび濁水処理方法
KR100989049B1 (ko) 하천오염원 고도처리 여과장치
CN107626132B (zh) 束管式过滤器的高性能反冲洗装置
KR101384333B1 (ko) 부유물질 처리장치
CN210974209U (zh) 车载式污水处理系统
CN206910958U (zh) 一种工业废水过滤装置
KR101551385B1 (ko)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CN205528130U (zh) 一种污水处理装置
KR20120055378A (ko)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의 수압에 의한 무동력 수처리 여과장치
KR101517724B1 (ko) 폐액 정화장치
CN221107261U (zh) 过滤设备滤料反洗装置
CN203123689U (zh) 一种模块组合式快拆反压过滤器
CN203725034U (zh) 一种陶瓷过滤系统
CN218755209U (zh) 一种水墨废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