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965B1 - 스펀지 여재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스펀지 여재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965B1
KR101488965B1 KR20140083878A KR20140083878A KR101488965B1 KR 101488965 B1 KR101488965 B1 KR 101488965B1 KR 20140083878 A KR20140083878 A KR 20140083878A KR 20140083878 A KR20140083878 A KR 20140083878A KR 101488965 B1 KR101488965 B1 KR 101488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ration
discharge pipe
cylinder
treat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3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억조
Original Assignee
(주) 영동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영동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영동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140083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9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02F2201/3222Units using UV-light emitting diodes [L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스펀지 여재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폐수 처리시설에서 처리된 처리수에 포함된 부유물질과 용존물질 및 세균을 스펀지 여재 등을 통해 용수로 충분히 사용 가능한 수질 상태로 여과 처리하는 스펀지 여재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폐수 처리시설에서 처리된 처리수에 포함된 부유물질과 용존물질 및 세균을 제거하는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 일측에 처리수유입관이 설치되고 내부에 부유물질을 여과하는 제1여과부재가 설치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유입되어 유출되는 상기 처리수의 부유물질을 걸러내는 내통; 상기 내통의 외측에 일정공간을 두고 설치되고 내부에 용존물질을 여과하는 제2여과부재가 설치되며 상부 일측에 처리수배출관이 설치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유입되어 배출되는 상기 처리수의 용존물질을 걸러내는 외통; 상기 외통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외통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처리수의 세균을 제거하는 자외선램프; 상기 내통의 하부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제1역세수압송함과, 상기 외통의 내부 하측에 설치된 제2역세수압송함과, 상기 제1역세수압송함의 일측에 설치된 제1압축공기공급관과, 상기 외통의 상측에 설치된 제2압축공기공급관과, 상기 처리수유입관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제1역세수배출관과, 상기 외통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수유입관과 연결된 제2역세수배출관으로 이루어져, 상기 외통의 내부로 유입되어 저수되는 상기 처리수를 상방으로 압송하여 상기 제1여과부재와 상기 제2여과부재를 역세하는 역세수단; 및 상기 외통의 내부에서 상기 내통의 상측에 설치되어 가압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1여과부재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여과부재와 상기 제2여과부재를 통한 여과와 상기 역세수단을 통한 역세를 가능하게 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여과부재는, 스펀지 여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지 여재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스펀지 여재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Filtering equipment for sewage and waste water using sponge filter}
본 발명은 스펀지 여재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폐수 처리시설에서 처리된 처리수에 포함된 부유물질과 용존물질 및 세균을 제거하여 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펀지 여재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폐수 처리시설에서 처리된 하폐수처리수에는 부유물질(Suspended Solids)과 용존물질(Dissolved Solids)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하폐수처리수를 용수로 사용하고자 할 때는 부유물질과 용존물질을 여과 처리하는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를 더 거쳐야 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 2와 같은 종래의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는 부유물질 또는 용존물질만을 여과하는 복수 개의 여과장치를 각각 연속 배치하여 구조임에 따라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설치공간도 많이 차지하므로 공간에 따른 제약이 많을 뿐만 아니라 여과부재의 역세에 필요한 역세수조와 역세펌프가 별도로 필요함에 따라 구조가 더욱 복잡해지고 유지관리도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공간도 작게 차지하면서도 하폐수처리수에 포함된 용존물질과 부유물질을 효과적으로 여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폐수처리수에 포함된 세균까지도 제거할 수 있는 특허문헌 3의 살균 및 역세기능이 향상된 복합 수처리 여과 장치가 본출원인에 의해 특허출원되어 등록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살균 및 역세기능이 향상된 복합 수처리 여과 장치는 여과부재를 역세하는 구조가 복잡하게 구성되고 하폐수처리수와 역세수 및 처리수가 유입되고 유출되는 관들이 복잡하게 많이 설치됨에 따라 제조가 용이하지 못하고 유지관리도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여전히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562449호, 2006.03.13.자 등록.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051285호, 2011.07.18.자 등록.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35668호, 2013.11.26.자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복잡한 구조에서 벗어나 간단한 구조를 통해 하폐수처리수에 포함된 부유물질과 용존물질 및 세균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스펀지 여재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펀지 여재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는, 하폐수 처리시설에서 처리된 처리수에 포함된 부유물질과 용존물질 및 세균을 제거하는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 일측에 처리수유입관이 설치되고 내부에 부유물질을 여과하는 제1여과부재가 설치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유입되어 유출되는 상기 처리수의 부유물질을 걸러내는 내통; 상기 내통의 외측에 일정공간을 두고 설치되고 내부에 용존물질을 여과하는 제2여과부재가 설치되며 상부 일측에 처리수배출관이 설치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유입되어 배출되는 상기 처리수의 용존물질을 걸러내는 외통; 상기 외통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외통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처리수의 세균을 제거하는 자외선램프; 상기 내통의 하부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제1역세수압송함과, 상기 외통의 내부 하측에 설치된 제2역세수압송함과, 상기 제1역세수압송함의 일측에 설치된 제1압축공기공급관과, 상기 외통의 상측에 설치된 제2압축공기공급관과, 상기 처리수유입관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제1역세수배출관과, 상기 외통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수유입관과 연결된 제2역세수배출관으로 이루어져, 상기 외통의 내부로 유입되어 저수되는 상기 처리수를 상방으로 압송하여 상기 제1여과부재와 상기 제2여과부재를 역세하는 역세수단; 및 상기 외통의 내부에서 상기 내통의 상측에 설치되어 가압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1여과부재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여과부재와 상기 제2여과부재를 통한 여과와 상기 역세수단을 통한 역세를 가능하게 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여과부재는, 스펀지 여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먼저,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하폐수 처리시설에서 1차적으로 처리된 처리수에 대한 여과 공정을 물론이고 여과공정에 사용되는 제1여과부재와 제2여과부재에 대한 역세공정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과장치의 제조 단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고 여과장치에 대한 유지관리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그리고, 제1여과부재가 가격이 저렴하고 압축이 용이한 스펀지 여재로 구성됨에 따라 운용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역세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폐수처리수에 대한 여과성능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펀지 여재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펀지 여재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의 가압수단을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은 하폐수 처리시설에서 1차 처리된 하폐수처리수에 포함된 부유물질과 용존물밀 및 각종 세균들을 제거하여 용수로 충분히 사용 가능한 수질 상태로 처리하는 스펀지 여재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스펀지 여재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는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등록된 특허등록 제10-1335668호를 개량 발전시켜 구조의 복잡함을 해소함으로써 부유물질과 용존물밀 및 각종 세균들에 대한 여과능력을 극대화하면서 제조 단가를 낮추고 유지관리도 용이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펀지 여재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펀지 여재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펀지 여재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의 가압수단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펀지 여재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내통(100)과 외통(200)과 자외선램프(300)와 역세수단(400) 및 가압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내통(100)은 하폐수 처리시설에서 1차 처리된 처리수가 상부로 유입된 후 하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처리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을 여과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내통(100)은 하부가 개방된 통체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부 일측에는 처리수가 유입되는 처리수유입관(110)이 설치되며 내부에는 처리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을 여과하는 제1여과부재(120)가 설치되고 처리수유입관(110)에는 처리수의 유입을 단속하는 개폐밸브(미도시)가 설치된다.
즉, 처리수유입관(110)을 통해 내통(100)의 상측 내부로 유입된 처리수는 내통(100)의 내부 하측으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제1여과부재(120)를 통과하면서 부유물질이 여과된 상태로 내통(100)의 하부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제1여과부재(120)는 단가가 저렴하고 공극이 미세하면서도 일정하고 압축률이 높아 여과성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고 역세 결과도 상대적으로 좋은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진 스펀지 여재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펀지 여재는 부유물질의 여과 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45PPI이면서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10×10×10T 크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내통(100)의 상부 타측에는 처리수가 처리수유입관(110)을 통해 내통(100)의 내부로 유입될 때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내통(10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관(130)이 설치된다. 단, 공기배출관(130)에는 공기의 배출을 단속하는 개폐밸브(131)가 설치된다.
또한, 공기배출관(130)에는 압력계(700)가 별도로 설치되는데, 이는 제1여과부재(120)에 부착되는 부유물질의 양에 비례하여 상승하는 내통(100)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여 표시함으로써 제1여과부재(120)와 후수할 제2여과부재(220)의 역세가 필요함을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
이때 내통(100)의 상부는 내부에 설치되는 제1여과부재(120)의 점검이나 교체 등을 위한 목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외통(200)은 내통(100)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부유물질이 여과된 처리수가 하부로 유입되어 상부 일측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처리수에 포함된 용존물질을 여과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외통(200)은 내통(100)의 외측에서 내통(100)의 하부가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용존물질을 여과하는 제2여과부재(220)가 설치되며 상부 일측에는 용존물질이 제거된 처리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처리수배출관(210)이 설치되고 처리수배출관(210)에는 처리수의 배출을 단속하는 개폐밸브(211)가 설치된다.
즉, 내통(100)의 하부를 통해 외통(200)의 내부로 유입된 처리수는 외통(200)의 상부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제2여과부재(220)를 통과하면서 용존물질이 여과된 상태로 처리수배출관(2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제2여과부재(220)는 처리수에 포함된 용존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것으로, 용존물질을 흡착하는 활성탄이나 제올라이트 등의 흡착 물질로 구성된다.
그리고 외통(200)의 하부에는 개폐밸브(231)에 의해 단속되는 잔류수배출관(230)이 구비되는데, 이는 외통(200)의 내부를 청소하거나 제1여과부재(120)와 제2여과부재(220)를 역세한 후에 외통(200)의 내부에 잔류하는 처리수를 모두 배출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2여과부재(220)의 상측에는 제2여과부재(220)의 역세시 제2여과부재(220)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처리수의 통과만이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통공(610)이 형성된 여재유출방지판(600)이 설치된다.
이때 외통(200)의 상부는 내부에 설치되는 제2여과부재(220)의 점검이나 교체 등을 위한 목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자외선램프(300)는 외통(100)의 내부에서 부유물질과 용존물질이 여과된 상태의 처리수에 포함된 각종 세균들을 살균 처리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자외선램프(300)는 외통(100)의 내부 상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된다. 즉, 처리수의 수질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 세균의 양에 대응되게 자외선램프(300)의 설치 개수가 결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역세수단(400)은 내통(100)과 외통(200)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어 처리수에 포함된 부유물질과 용존물질을 여과하는 제1여과부재(120)와 제2여과부재(220)를 역세하는 구성이다.
즉, 역세수단(400)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유입 압력을 통해 외통(200)의 내부에 부유물질과 용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일시 저수된 처리수를 유동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압송하여 제1여과부재(120)와 제2여과부재(220)를 역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역세수단(400)은 제1역세수압송함(410)과 제2역세수압송함(420)과 제1압축공기공급관(430)과 제2압축공기공급관(440)과 제1역세수배출관(450) 및 제2역세수배출관(4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역세수압송함(410)은 압축공기의 주입에 따라 내통(100)의 하부로 유입되는 처리수가 내통(100)의 상부로 압송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통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통(100)의 하부에 연통되게 설치되며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복수 개의 제1압송공(411)이 상하로 대칭되게 천공된다.
상기 제2역세수압송함(420)은 압축공기의 주입에 따라 외통(200)의 하부에 일시 저수되는 처리수를 외통(200)의 상부로 압송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통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통(2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복수 개의 제2압송공(421)이 상하로 대칭되게 천공된다.
상기 제1압축공기공급관(430)은 처리수를 상방으로 압송하여 역세수로 작용할 수 있도록 제1역세수압송함(410)의 내측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제1역세수압송함(410)의 일측에서 분기되고 압축공기를 단속하는 개폐밸브(431)가 구비된다.
상기 제2압축공기공급관(440)은 외통(200)의 처리수가 제1역세수압송함(410)의 내부로 신속히 유입되도록 외통(200)의 내부에서 처리수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외통(200)의 상측에 설치되고 압축공기를 단속하는 개폐밸브(441)가 구비된다.
상기 제1역세수배출관(450)은 제1역세수압송함(410)을 통해 압송되면서 제1여과부재(120)에 부착된 부유물질을 역세하여 제거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처리수유입관(110)의 일측에 설치되고 개폐밸브(451)에 의해 단속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역세수배출관(460)은 제2역세수압송함(420)을 통해 압송되면서 제2여과부재(220)에 부착된 용존물질을 역세하여 제거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외통(20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단부는 제1역세수배출관(450)과 연결되며 개폐밸브(461)에 의해 단속되도록 구성된다.
즉, 제1역세수압송함(410)의 내측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따라 외통(200)에 일시 저수되는 처리수가 내통(100)의 하부 또는 외통(200)의 하부에서 제1역세수압송함(410) 또는 제2역세수압송함(420)을 통해 상방으로 압송되면서 역세수로 작용하여 제1여과부재(120)에 부착된 부유물질 또는 제2여과부재(220)에 부착된 용존물질을 역세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단, 제1역세수배출관(450)과 제2역세수배출관(460)을 통해 상기 부유물질과 용존물질을 역세한 처리수가 배출될 때 처리수유입관(110)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처리수유입관(110)의 단부에는 제1역세수배출관(450)이 처리수유입관(110)에 연결된 부분보다 높은 위치로 상방으로 절곡된 후 다시 하방으로 절곡된 형태의 역류방지부가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가압수단(500)은 내통(100)의 내측 상부에서 제1여과부재(120)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압축시키는 구성이다.
즉, 가압수단(500)은 제1여과부재(120)를 압축시켜 공극을 미세하게 함으로써 여과시에는 압축에 따른 미세 공극을 통하여 부유물질에 대한 여과 기능을 가능하게 하고 역세시에는 역세수로 작용하는 처리수가 내통(100)이 아닌 외통(200)의 상부로 압송되도록 하여 제2여과부재(220)에 대한 역세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가압수단(500)은 가압실린더(510)와 상부가압체(520)와 하부가압체(530)와 상부통공(521) 및 하부통공(53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압실린더(510)는 내통(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작동에 따라 로드(511)가 수직으로 하강 운동하게 된다. 상기 상부가압체(520)와 하부가압체(530)는 내측에 여재유출방지공간(540)이 구비되도록 상하로 결합된 상태로 가압실린더(510)의 로드(511)에 고정되는 것으로 가압실린더(510)의 작동에 따라 제1여과부재(120)를 가압하게 된다.
단, 가압실린더(510)는 외통(200)의 내부에 완전히 내입된 상태로 설치됨에 따라 여과장치의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설치공간에 따른 제약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상부통공(521)과 하부통공(531)은 각각 상부가압체(520)와 하부가압체(530)에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부가압체(520)와 하부가압체(530)에 의해 제1여과부재(120)가 가압될 때 처리수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단, 상부통공(521)과 하부통공(531)은 여재유출방지공간(540)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어긋난 위치로 관통되는데, 이는 제1여과부재(120)의 역세시 역세수로 작용하는 처리수의 강한 압력으로 인하여 가압수단(500)을 그대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폐단을 막기 위함이다.
즉, 제1여과부재(120)가 상부가압체(520)의 하부통공(531)을 통해 여재유출방지공간(540)으로 유입되더라도 여재유출방지공간(540)의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과 하부통공(531)과 상부통공(521) 간의 위치 차에 의해 하부가압체(530)의 상부통공(521)으로는 유출되지 않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펀지 여재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배출관(130)에 설치된 압력계(700)에서 감지된 압력이 기준 압력 미만일 경우에는 제1여과부재(120)와 제2여과부재(220)를 통해 여과 공정이 가능한 상태이다.
상기 상태가 되면 처리수유입관(110)과 처리수배출관(210)과 공기배출관(130)은 개방되고 제1압축공기공급관(430)과 제2압축공기공급관(440)과 제1역세수배출관(450)과 제2역세수배출관(460)과 잔류수배출관(230)은 폐쇄되며 가압수단(500)은 제1여과부재(120)를 가압한 상태가 된다.
그러면 처리수유입관(110)을 통해 처리수가 내통(100)의 상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처리수는 하방으로 유동하면서 제1여과부재(120)에 의해 부유물질이 제거되며 부유물질이 여과된 처리수는 내통(100)의 하부를 통해 외통(200)의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처리수는 상방으로 유동하면서 제2여과부재(220)과 자외선램프(300)에 의해 용존물질과 각종 세균들이 제거된 상태에서 처리수배출관(2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용수로 사용 가능하게 된다.
단, 내통(100)의 내부에 처리수가 가득 찬 후에는 처리수가 공기배출관(130)을 통해 배출되지 않고 제1여과부재(120)와 제2여과부재(220)에 의해 여과되도록 공기배출관(130)은 폐쇄된다.
한편, 공기배출관(130)에 설치된 압력계(700)에서 감지된 압력이 기준 압력 이상일 경우에는 제1여과부재(120)와 제2여과부재(220)에 부유물질과 용존물질이 많이 부착되어 역세 공정이 필요한 상태이다.
상기 상태에서 제1여과부재(120)에 대한 역세 공정이 진행되는 경우에는 제1압축공기공급관(430)과 제2압축공기공급관(440)과 제1역세수배출관(450)은 개방되고 제2역세수배출관(460)과 처리수배출관(210)과 공기배출관(130)과 잔류수배출관(230)은 폐쇄되게 된다.
그러면 제1압축공기공급관(430)과 제2압축공기공급관(440)을 통해 압축공기가 제1역세수압송함(410)의 내부와 외통(200)의 상부로 압축공기가 유입되면서 외통(200)에 일시 저수된 처리수는 제1역세수압송함(410)에 의해 상방으로 압송되고, 압송된 처리수는 압축공기에 의한 강한 압력으로 제1여과부재(120)를 역세하여 제1여과부재(120)에서 탈리된 부유물질과 함께 제1역세수배출관(4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제2여과부재(220)에 대한 역세 공정이 진행되는 경우에는 가압수단(500)이 제1여과부재(120)를 가압하고 제1압축공기공급관(430)과 제2역세수배출관(460)은 개방되며 처리수배출관(210)과 공기배출관(130)과 잔류수배출관(230)은 폐쇄되게 된다.
그러면 제1압축공기공급관(430)을 통해 압축공기가 제1역세수압송함(410)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외통(200)에 일시 저수된 처리수가 제2역세수압송함(420)에 의해 상방으로 압송되고, 압송된 처리수는 압축공기에 의한 강한 압력으로 제2여과부재(220)를 역세하여 제2여과부재(220)에서 탈리된 용존물질과 함께 제2역세수배출관(460)을 통과하고 제1역세수배출관(450)을 거쳐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런 다음 잔류수배출관(230)을 개방하여 제2역세수배출관(460)을 통해 배출되지 않고 외통(200)의 내부에 잔류하고 있는 처리수를 외부로 완전히 배출시켜 외통(200)의 내부가 비워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펀지 여재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는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하폐수 처리시설에서 1차적으로 처리된 처리수에 대한 여과 공정을 물론이고 여과공정에 사용되는 여과부재들에 대한 역세공정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유지관리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내통
110: 처리수유입관
120: 제1여과부재
130: 공기배출관
131: 개폐밸브
200: 외통
210: 처리수배출관
211: 개폐밸브
220: 제2여과부재
230: 잔류수배출관
231: 개폐밸브
300: 자외선램프
400: 역세수단
410: 제1역세수압송함
411: 제1압송공
420: 제2역세수압송함
421: 제2압송공
430: 제1압축공기공급관
431: 개폐밸브
440: 제2압축공기공급관
441: 개폐밸브
450: 제1역세수배출관
451: 개폐밸브
460: 제2역세수배출관
461: 개폐밸브
500: 가압수단
510: 가압실린더
511: 로드
520: 상부가압체
530: 하부가압체
521: 상부통공
531: 하부통공
540: 여재유출방지공간
600: 여재유출방지판
610: 통공
700: 압력계

Claims (8)

  1. 하폐수 처리시설에서 처리된 처리수에 포함된 부유물질과 용존물질 및 세균을 제거하는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 일측에 처리수유입관(110)이 설치되고 내부에 부유물질을 여과하는 제1여과부재(120)가 설치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유입되어 유출되는 상기 처리수의 부유물질을 걸러내는 내통(100);
    상기 내통(100)의 외측에 일정공간을 두고 설치되고 내부에 용존물질을 여과하는 제2여과부재(220)가 설치되며 상부 일측에 처리수배출관(210)이 설치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유입되어 배출되는 상기 처리수의 용존물질을 걸러내는 외통(200);
    상기 외통(20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외통(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처리수의 세균을 제거하는 자외선램프(300);
    상기 내통(100)의 하부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제1역세수압송함(410)과, 상기 외통(200)의 내부 하측에 설치된 제2역세수압송함(420)과, 상기 제1역세수압송함(410)의 일측에 설치된 제1압축공기공급관(430)과, 상기 외통(200)의 상측에 설치된 제2압축공기공급관(440)과, 상기 처리수유입관(110)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제1역세수배출관(450)과, 상기 외통(20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수유입관(110)과 연결된 제2역세수배출관(460)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외통(200)의 내부로 유입되어 저수되는 상기 처리수를 상방으로 압송하여 상기 제1여과부재(120)와 상기 제2여과부재(220)를 역세하는 역세수단(400); 및
    상기 외통(200)의 내부에서 상기 내통(100)의 상측에 설치되어 가압실린더(51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1여과부재(120)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여과부재(120)와 상기 제2여과부재(220)를 통한 여과와 상기 역세수단(400)을 통한 역세를 가능하게 하는 가압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여과부재(120)는
    45PPI이면서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10×10×10T 크기를 가지는 스펀지 여재로 구성되고,
    상기 가압수단(500)은
    상기 제1여과부재(120)를 압축시켜 상기 제1여과부재(120)의 공극을 미세하게 하여 여과시 압축에 따른 미세 공극을 통하여 부유물질에 대한 여과 기능을 가능하게 하고 역세시 역세수로 작용하는 처리수가 상기 내통(100)이 아닌 상기 외통(200)의 상부로 압송되도록 하여 상기 제2여과부재(220)에 대한 역세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상기 가압실린더(510)와, 상기 가압실린더(510)의 로드(511) 단부에 설치되고 상부가압체(520)와, 상기 상부가압체(52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상부가압체(520)의 하부에 여재유출방지공간(540)이 구비되게 설치되는 하부가압체(530)와, 상기 상부가압체(520)에 수직으로 관통 형성된 복수 개의 상부통공(521)와, 상기 하부가압체(530)에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되 상기 상부통공(521)과는 어긋한 위치로 관통 형성되는 하부통공(531)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여과부재(220)의 상측에는
    처리수의 통과만이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통공(610)이 형성된 여재유출방지판(60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지 여재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역세수압송함(410)은,
    통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에 복수 개의 제1압송공(411)이 동일 선상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지 여재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역세수압송함(420)은,
    통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에 복수 개의 제2압송공(421)이 동일 선상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지 여재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100)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내통(10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관(13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지 여재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관(130)에는,
    상기 내통(100)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계(13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지 여재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200)의 하단에는,
    잔류수배출관(23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지 여재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
KR20140083878A 2014-07-04 2014-07-04 스펀지 여재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 KR101488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3878A KR101488965B1 (ko) 2014-07-04 2014-07-04 스펀지 여재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3878A KR101488965B1 (ko) 2014-07-04 2014-07-04 스펀지 여재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8965B1 true KR101488965B1 (ko) 2015-02-02

Family

ID=52590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3878A KR101488965B1 (ko) 2014-07-04 2014-07-04 스펀지 여재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96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910B1 (ko) * 2016-02-03 2016-07-04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비점오염원 여과 장치
KR101699682B1 (ko) 2016-09-01 2017-01-25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전기분해와 스펀지 여과장치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시스템
CN109607898A (zh) * 2018-12-18 2019-04-12 中山市正清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废水处理回收装置
KR102070225B1 (ko) 2019-06-13 2020-01-29 (주)영동엔지니어링 윈치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6411A (ja) 2004-10-21 2006-05-11 Maezawa Ind Inc ろ過装置
KR101335668B1 (ko) 2013-04-30 2013-12-05 (주) 영동엔지니어링 살균 및 역세 기능이 향상된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
KR20140028692A (ko) * 2012-08-30 2014-03-10 (주) 영동엔지니어링 부유물질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6411A (ja) 2004-10-21 2006-05-11 Maezawa Ind Inc ろ過装置
KR20140028692A (ko) * 2012-08-30 2014-03-10 (주) 영동엔지니어링 부유물질 처리장치
KR101335668B1 (ko) 2013-04-30 2013-12-05 (주) 영동엔지니어링 살균 및 역세 기능이 향상된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910B1 (ko) * 2016-02-03 2016-07-04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비점오염원 여과 장치
KR101699682B1 (ko) 2016-09-01 2017-01-25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전기분해와 스펀지 여과장치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시스템
CN109607898A (zh) * 2018-12-18 2019-04-12 中山市正清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废水处理回收装置
KR102070225B1 (ko) 2019-06-13 2020-01-29 (주)영동엔지니어링 윈치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5668B1 (ko) 살균 및 역세 기능이 향상된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
KR101488965B1 (ko) 스펀지 여재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
US8197680B2 (en) Apparatus for waste-water filtration
US20150166385A1 (en) Mobile 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CN104291459B (zh) 一种多层净水滤芯及其净水器
CA2626941A1 (en) Combination membrane/biolytic filtration
JP2010221206A (ja) 携行型浄水キット
US20090230042A1 (en) Underwater filtration operator
WO2013191245A1 (ja) 濁水処理システムおよび濁水処理方法
KR102070225B1 (ko) 윈치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수 여과장치
KR101470985B1 (ko) 역세가 용이한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
EP3190090A1 (en) Ballast water treatment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ballast water
KR101010365B1 (ko) 계곡수 여과장치
KR102062968B1 (ko) 밸러스트수의 제조 방법 및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JP2008093644A (ja) バッグフィルター
US9403108B2 (en) Filtration operator
CN107902785B (zh) 一种家用小型节能净水器
ES2942181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prefiltración mejorada
KR101384333B1 (ko) 부유물질 처리장치
CN212994232U (zh) 一种橄榄菜自动高效清洗脱盐装置
KR20170101490A (ko) 해수의 여과시스템
KR101762097B1 (ko) 액젓 필터링 장치
KR101075955B1 (ko) 흡착분리를 이용하여 방류수 중의 총인을 제거하는 장치
CN206881244U (zh) 一种印刷版材生产用水的过滤装置
CN111646609A (zh) 一种家用水循环与排污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