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172B1 - 개량형 필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자연여과식 정수기 - Google Patents

개량형 필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자연여과식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172B1
KR102652172B1 KR1020210124296A KR20210124296A KR102652172B1 KR 102652172 B1 KR102652172 B1 KR 102652172B1 KR 1020210124296 A KR1020210124296 A KR 1020210124296A KR 20210124296 A KR20210124296 A KR 20210124296A KR 102652172 B1 KR102652172 B1 KR 102652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raw water
water
housing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4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0776A (ko
Inventor
김시준
마재철
Original Assignee
김시준
마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준, 마재철 filed Critical 김시준
Priority to KR1020210124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172B1/ko
Publication of KR20230040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38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24/40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01D24/405Special treatment of the feed stream before contacting the filtering material, e.g.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in parallel connection
    • B01D24/005Filters being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ells or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4/4876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in which the filtering elements are moved between filtering operations; particular measures for removing or replacing the filter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량형 필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자연여과식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단으로 적층된 필터층마다 압력차에 의한 수막현상으로, 원수가 원활하게 통과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원수의 흐름성을 보다 향상시키고 원수가 필터의 전체적인 면적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터의 사용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필터의 교체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보장하는 개량형 필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자연여과식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량형 필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자연여과식 정수기{NATURAL FILTERING PURIFIER WITH IMPROVED FILTERING SYSTEM}
본 발명은 개량형 필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자연여과식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단으로 적층된 필터층마다 압력차에 의한 수막현상으로, 원수가 원활하게 통과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원수의 흐름성을 보다 향상시키고 원수가 필터의 전체적인 면적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터의 사용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필터의 교체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보장하는 개량형 필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자연여과식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약수와 같은 원수를 정수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침전, 여과, 살균 등의 과정을 포함한 정수법을 기초로 원수에 포함된 중금속이나 기타 유해 물질을 제거하여 인체에 유익한 음용수를 제공한다.
이러한 정수기는 작동방식에 따라 크게 저수조 방식(자연여과식)과 역삼투압 방식으로 대별될 수 있다.
역삼투압 방식의 정수기는 필터 바깥의 물에 압력을 가해 촘촘한 필터를 통과시켜 중금속이나 바이러스, 미생물 등을 걸러주어 정수와 오염물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물을 압송할 수 있는 각종 전기장치 및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상시전원을 필수로 요구한다는 이유로, 일반 가정집이나, 식당 등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반면, 자연여과식 정수기는 저수조에 저수된 원수를 중력과 같은 자연원리에 의해 필터를 통과시킨 후 정수된 물을 정수탱크에 저장한 다음, 필요에 따라 물을 소비하는 방식으로, 기타 전기장치를 요구하지 않아 구조가 간단하고, 상시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이동설치가 간편해 야외, 공공장소 등에 주로 사용 설치된다.
이러한 자연여과식 정수기는 대부분, 기능식 필터층을 다단으로 적층한 다단식 필터모듈을 이용해 원수를 정수하게 되는데, 자중에 의해서만 원수가 각각의 필터층을 통과하게 되는 관계로, 각각의 필터층을 균일하게 통과할 수 없어 필터 사용 효율이 떨어졌다.
또한, 건조된 필터층 표면에 원수가 한 방향으로 흐르게 되면, 소위 물길이라고 하는 길이 생겨 원수가 상기 물길로만 흐르려는 성질로 인해, 필터층의 특정 부분에서만 원수가 흐르게 되어 필터층의 전체적인 면적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데 문제가 있었다.
또, 각각의 필터층 사이 공간에 압력차나, 필터층 표면의 점성 등에 의해 필터층 외면에 수막이 형성되면, 상기 수막에 의해 원수가 가로막혀 필터층을 통과할 수 없게 되고, 이에 정수 생성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실용신안 20-2011-0001490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다단으로 적층된 필터층마다 압력차에 의한 수막현상으로, 원수가 원활하게 통과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원수의 흐름성을 보다 향상시키고 원수가 필터의 전체적인 면적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터의 사용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필터의 교체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보장하는 개량형 필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자연여과식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원수가 저장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하부에 결합되는 정수탱크 및 상기 정수탱크에 내장되며 상기 저수조에서 공급되는 원수를 정수하는 여과모듈을 포함하는 자연여과식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여과모듈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면에는 제1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단 설치되는 복수 개의 격판; 및 인접한 격판 사이 공간에 실장되는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격판 각각에는 원수가 통과하는 통과구가 관통 형성되며 중앙에서 일측으로 편심 이격된 상면에는 상부로 압력유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압력유지돌기 상에는 상하 방향으로 통기구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측 벽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격판 각각의 둘레에는 상기 가이드대에 접속되는 가이드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여과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단에 장착되어 원수를 확산해 낙하시키는 확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수조와 정수탱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모듈을 지지하는 필터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수조의 상단에는 개방구가 개방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에는 상기 개방구를 개폐하는 커버가 설치되며 상기 개방구 주변으로는 견인구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여과모듈은, 상기 필터지지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태로 이루어져 내부로 상기 하우징을 수용하며, 하면에는 상기 제1 배출구와 연통되는 제2 배출구가 관통 형성되는 자켓부재; 상기 자켓부재의 상단에서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압축되는 분할관; 및 상기 분할관의 상단에서 상기 견인구를 통과해 외부로 연장되는 견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분할관은 압축되어 있다가, 상부로 견인시 탄성 변형되는 탄성재질의 중공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할관의 상단 둘레에는 링 형태의 제1 밀폐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1 밀폐부재의 내부에는 제1 자석부재가 내장되며, 상기 저수조의 상단 내측면에는 상기 제1 밀폐부재와 동일한 형상의 제2 밀폐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밀폐부재 내부에는 상기 제1 자석부재와 다른 극성의 제2 자석부재가 내장되며, 상기 견인부재는, 일단은 상기 제1 밀폐부재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 상기 견인구를 통과해 외부로 노출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설치되며 상기 견인구에 걸림 지지되어 와이어의 일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하우징에 실장된 필터를 교반시키는 교반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교반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격판 및 커버의 중앙을 관통해 결합되는 수직바; 상기 수직바에서 외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되 인접한 격판 사이 공간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평바; 및 상기 복수 개의 수평바 각각의 외면에 형성되는 실리콘브러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단으로 적층된 필터층마다 압력차에 의한 수막현상으로, 원수가 원활하게 통과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원수의 흐름성을 보다 향상시키고 원수가 필터의 전체적인 면적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터의 사용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필터의 교체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보장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여과식 정수기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여과식 정수기의 요부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여과식 정수기의 요부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여과모듈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여과모듈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연여과식 정수기의 요부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 내지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여과모듈을 교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필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자연여과식 정수기(이하, 정수기라 함)은 크게,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가 저장되는 저수조(10), 상기 저수조(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정수탱크(20) 및 상기 정수탱크(20)에 내장되며 상기 저수조(10)에서 공급되는 원수를 정수하는 여과모듈(30)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저수조(10)의 내부에 채워진 원수는 상기 여과모듈(30)을 통과하여 정수된 상태로 정수탱크(20)에 저장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정수탱크(20)에는 정수탱크(20) 내 정수된 음용수를 외부로 정량씩 배출시키기 위한 디스펜서가 설치될 수 있다.
저수조(10)와 정수탱크(20)의 내공간은 서로 이원화 되어 있으며, 여과모듈(30)을 통해서만 저수조(10)에 채워진 원수가 정수탱크(2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예컨대, 저수조(10)의 바닥면에는 원수를 통과시키기 위한 소정 직경의 저수구(11)가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동시에, 정수탱크(20)의 상부는 개방 형성되어진 상태에서 저수조(10) 하부에 연결 결합되되 여과모듈(30)은 상기 저수조(10)와 정수탱크(20) 사이에 설치되는 필터지지부(40) 상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저수구(11) 직하방에 놓여 원수를 정수할 수 있다.
이에, 저수조(10)에 채워진 원수는 여과모듈(30)을 향해 하부로 자유낙하한 뒤 여과모듈(30)에 의해 정수되어 취음 가능한 음용수로서 정수탱크(20)에 저장되어질 수 있다.
여과모듈(30)은 저수조(10)로부터 자유낙하하는 원수를 단계적으로 정수하여 유해물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예컨대, 여과모듈(3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면에는 제1 배출구(31a)가 형성되는 하우징(31), 상기 하우징(31) 내부에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단 설치되는 복수 개의 격판(32) 및 인접한 격판(32) 사이 공간에 실장되는 필터(33)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하우징(31)의 내측 벽면에는 일정 높이마다 각각의 필터(33)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미도시)이 형성되어 내부로 필터(33)를 일정 높이에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격판(32)의 장착시 격판(32)를 항시 동일한 방향으로 안내하고, 또한, 격판(32)이 제자리 회전되지 아니하도록 하우징(31)의 내측 벽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대(31b)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대(31b)는 복수 개가 등각도로 배열되어질 수 있다.
이와 상보적으로, 복수 개의 격판(32) 각각의 둘레에는 상기 가이드대(31b)에 접속되는 가이드홈(32d)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31) 내부로 복수 개의 격판(32)이 다단으로 장착되면 인접한 격판(32) 사이마다 필터장입실이 마련될 수 있고, 이 필터장입실 상에 각개의 필터(33)가 장입 설치될 수 있다.
필터(33)는 원수를 음용 가능하게 정화시킬 수 있는 선에서 공지된 수단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필터(33)는 물에 함유된 잔류염소와 같은 유기화합물 질과 각종 냄새를 흡착 제거하는 활성탄, 이온물질을 제거하는 제오라이트, 물맛을 향상시키고 청정도를 유지하기 위한 맥반석규사 또는 규사맥옥석, 냄새를 제거해서 일반세균 및 항균 작용을 하도록 일정 직경을 가지는 은입자 등에서 선택되어질 수 있다.
각각의 격판(32)은 필터(33)를 하부에서 받쳐 지지하되, 원수가 통과하는 통과구(32a)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원수가 격판(32)과 필터(33) 모두를 무리 없이 통과할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지며, 나아가, 모든 필터(33)를 통과한 음용수는 하우징(31)의 제1 배출구(31a)를 통해 정수탱크(20)로 배출되어질 수 있다.
한편, 각각의 필터장입실은 필터(33), 격판(32) 등에 의해 상대적 밀폐구조가 형성되며 원수가 유입되는 구조로 인해, 내부가 쉽게 환기되지 못하고, 각각의 필터장입실마다 압력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전술한 역삼투압식 정수기의 경우, 원수를 강한 압력으로 압송하기 때문에, 필터(33) 또는 격판(32) 상에 수막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원수가 이를 파괴하고 쉽게 배출되어질 수 있지만, 자연여과식 정수기의 경우 원수를 자중에 의해서만 공급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원수의 공급 압력이 떨어지는 관계로, 수막이 발생하면 원수가 이를 쉽게 통과하지 못하고, 유로가 막히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압력 차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격판(32)의 중앙에서 일측으로 편심 이격된 상면에는 상부로 압력유지돌기(32b)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압력유지돌기(32b) 상에는 상하 방향으로 통기구(32c)가 관통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즉, 압력유지돌기(32b)가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필터장입실로 유입된 원수가 압력유지돌기(32b)의 상단 높이까지는 쉽게 차오르지 못해 통기구(32c) 상으로 유입되기 힘든 구조가 된다. 이에, 통기구(32c) 상으로는 공기만 통과하게 되어 각각의 필터장입실에 공기순환이 가능해져 압력차이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원수의 유로가 막히지 아니하고, 원수가 원활하게 배출되어질 수 있게 된다.
필터(33)와 격판(32)은 하우징(31) 내부에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이룬다면 특별히 그 개수를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여과모듈(30)은 하우징(31)의 개방된 상단에 장착되어 원수를 확산해 낙하시키는 확산판(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확산판(34)에는 원수를 넓게 분배시키도록 분배구(34a)가 방사상으로 절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원수가 필터(33)에 보다 넓은 면적으로 확산하여 접촉되어질 수 있다.
한편, 유해 물질 제거 효율을 고려해 하우징(31)의 하부에는 원수를 한 번 더 정화하는 보조필터(6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저수구(11)에는 세라믹 필터(50)가 장착될 수도 있다.
이하,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며,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 대비, 저수조(10)와 여과모듈(30)의 구조에서 일부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차이점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통상적인 자연여과식 정수기에서 필터(33)의 교체를 위해서는 적어도 저수조(10)에 있는 원수를 모두 배수한 뒤 교체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필터(33)를 지지하는 하우징(31) 자체가 저수조(10)의 원수나 정수탱크(20)의 음용수 상에 그대로 침지되어 있기 때문에, 저수조(10)에 채워진 원수를 배수하지 않은 상태에서 필터(33)의 교체작업을 수행할 경우 반드시 작업자의 손이니 기타 도구가 원수에 노출되어지는바, 이렇게 되면 원수의 오염은 물론이고 작업성이 보장되지 않는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저수조(10)에 채워진 원수를 배수하지 않고서도 필터(33)를 청결하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저수조(10) 상단에는 개방구(12)가 개방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12)에는 상기 개방구(12)를 개폐하는 커버(13)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커버(13)를 제거한 상태에서 개방된 개방구(12)로 사용된 필터(33)를 수용한 하우징(31)을 제거하거나, 반대로 새로운 필터(33)를 수용한 하우징(31)을 인입시킬 수 있다.
다시, 상기 개방구(12) 주변으로는 견인구(14)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견인구(14)로는 후술 될 견인부재(37)가 작동되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여과모듈(30)은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에 더해, 상기 필터지지부(40)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태로 이루어져 내부로 상기 하우징(31)을 수용하며, 하면에는 상기 제1 배출구(31a)와 연통되는 제2 배출구(35a)가 관통 형성되는 자켓부재(35), 상기 자켓부재(35)의 상단에서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압축되는 분할관(36) 및 상기 분할관(36)의 상단에서 상기 견인구(14)를 통과해 외부로 연장되는 견인부재(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의 제1 배출구(31a)로 배출된 원수는 제2 배출구(35a)를 통해 정수탱크(20)로 유출되어질 수 있으며, 고정된 자켓부재(35) 상에 수용된 하우징(31)은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부로 끌어 올려지는 구조가 된다.
상기 분할관(36)은 압축되어 있다가, 상부로 견인시 탄성 변형되는 탄성재질의 중공형태로 이루어져, 작업자에 의한 하우징(31)의 이동시 원수에 접촉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저수조(10)의 내공간을 이원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자켓부재(35) 상에 고정된 분할관(36)의 상단을 부로 견인하게 되면, 압축되어 있던 분할관(36)이 상부로 신장하면서 분할관(36) 내부로 통로를 형성하게 되며, 이렇게 형성된 통로는 저수조(10)의 내공간과 구획되어질 수 있다.
한편, 분할관(36)은 탄성재질 중공형 관형태 외에도, 공지된 자바라관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할관(36)의 상단 둘레에는 링 형태의 제1 밀폐부재(38)가 결합되고, 상기 제1 밀폐부재(38)의 내부에는 제1 자석부재(38a)가 내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10)의 상단 내측면에는 상기 제1 밀폐부재(38)와 동일한 형상의 제2 밀폐부재(15)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밀폐부재(15) 내부에는 상기 제1 자석부재(38a)와 다른 극성의 제2 자석부재(16)가 내장될 수 있다.
이에, 제2 밀폐부재(15) 상에 제1 밀폐부재(38)가 접촉되게끔 분할관(36)을 상부로 신장시키게 되면 제1 자석부재(38a)와 제2 자석부재(16)의 흡착력에 의해 제1 밀폐부재(38)와 제2 밀폐부재(15)가 기밀하게 흡착 고정되고 이에, 분할관(36)의 신장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분할관(36)을 별도 고정시킬 필요 없이 분할관(36) 내부 통로로 하우징(31)을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성이 대폭 개선되며, 분할관(36) 내부 통로와 저수조(10) 내공간을 서로 보다 확실하게 구획 구성할 수 있게 되어, 저수조(10)의 원수가 분할관(36) 내부 통로로 유입되지 않는 밀폐구조가 갖춰지게 된다.
다음으로, 견인부재(37)는 저수조(10) 내부에 위치한 분할관(36)의 신장 조작을 위해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며, 작업자는 견인구(14)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견인부재(37)를 손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분할관(36)을 신장시킬 수 있다.
예컨대, 견인부재(37)는 일단은 상기 제1 밀폐부재(38)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 상기 견인구(14)를 통과해 외부로 노출되는 와이어(37a) 및 상기 와이어(37a)의 타단에 설치되며 상기 견인구(14)에 걸림 지지되어 와이어(37a)의 일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37b)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와이어(37a)를 손에서 놓더라도, 상기 스톱퍼(37b)가 견인구(14) 상에 걸려 와이어(37a)가 저수조(10) 내부로 완전히 빨려 들어가지 아니하는 구조가 갖춰진다.
한편, 필터(33)는 대체적으로, 적정 입도를 가지는 구조, 예컨대, 활성탄, 제오라이트, 맥반석규사, 규사맥옥석, 은입자 등으로 이루어진바, 표면에 스케일이 고착되거나 또는 사이 사이마다 각종 이물질이 배출되지 못하고 잔류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31)에 실장된 필터(33)를 교반시키는 교반부재(70)를 이용해 필터(33)를 적절히 교반시킴으로써 각종 스케일이나 이물질 등이 원수와 함께 하우징(31) 내에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보다 구체적으로, 교반부재(70)는 상기 복수 개의 격판(32) 및 커버(13)의 중앙을 관통해 결합되는 수직바(71), 상기 수직바(71)에서 외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되 인접한 격판(32) 사이 공간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평바(72) 및 상기 복수 개의 수평바(72) 각각의 외면에 형성되는 실리콘브러쉬(73)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수직바(71)의 상단은 커버(13)를 관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노출된 상단에는 손잡이(74)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수평바(72)는 필터(33) 내부를 파고들어 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평바(72)에 형성된 실리콘브러쉬(73)는 필터(33)에 상처를 가하지 않는 선에서 필터(33)와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이에, 필터(33)의 청소를 위해 작업자가 수직바(71)의 손잡이(74)를 잡고 회전력을 가하면 각각의 필터장입실에서 수평바(72)가 회전하면서 필터(33)를 교반시키게 되며, 이때 실리콘브러쉬(73)가 필터(33)에 고착된 각종 스케일을 필터(33) 표면으로부터 탈리시키게 되어, 하우징(31) 외측으로 배출되어질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교반부재(70)의 조작 후 저수조(10) 내지 정수탱크(20)에 저장된 음용수를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스케일과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고 저수조(10)에 새 원수를 채워 넣는다.
이와 같이, 필터(33)의 청소시 불필요하게 필터(33)를 외부로 분리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나아가, 필터(33)를 정기적으로 청소해주게 되면 필터(33)의 수명이 대폭 연장되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의 정수기에서 필터(33)를 교체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외부로 노출된 와이어(37a)의 타단을 상부로 견인하여 분할관(36)을 신장시킨다.
이때, 분할관(36)이 더 이상 상부로 신장될 수 없는 높이에서 제1 밀폐부재(38)와 제2 밀폐부재(15)가 서로 흡착 고정되지면 분할관(36)의 내부 통로가 저수조(10)의 내공간과 완전히 분할 구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저수조(10)에는 원수가 채워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분할관(36)의 통로 역시 원수가 그대로 자리잡고 있다.
다시, 저수조(10)의 내공간과 분할관(36)의 통로가 완전히 분할 구성되었으면, 작업자는 디스펜서를 조작해 음용수를 적정 량 배수하게 되면 정수탱크(20) 내의 음용수가 외부로 배수되면서 분할관(36)의 통로에 채워진 원수의 수위가 낮아지게 된다.
이때, 분할관(36)에 의해 저수조(10)의 내공간과 분할관(36) 내의 통로가 서로 이원화되어 저수조(10)의 원수가 분할관(36)의 내부로 유입되지 아니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관(36)을 손이나 기타 도구로 잡아 올릴 수 있을 정도의 높이까지 수위가 내려가면 작업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켓부재(35) 상에서 하우징(31)을 상부로 들어 올려 분할관(36)의 통로 및 개방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고, 하우징(31) 내부에 새로운 필터(33)를 장입한 뒤 다시 이 하우징(31)을 자켓부재(35) 내부로 결합한다.
이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제2 밀폐부재(15)에 흡착 고정된 제1 밀폐부재(38)를 손으로 살짝 밀어 제2 밀폐부재(15)로부터 이격시키면 분할관(3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분할관(36)이 압축되고 저수조(10)에 채워졌던 원수가 다시 여과모듈(30)로 유입되어질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지게 된다.
즉, 필터(33)의 교체시 저수조(10)에 채워진 물을 모두 배출시키지 않고서도, 작업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원수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함은 물론, 저수조(10)에 채워진 원수가 외부요인에 노출되지 아니하여, 불필요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필터(33) 교체 작업이 보다 간소화되어 작업성이 대폭 개선되어진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저수조
20: 정수탱크
30: 여과모듈
31: 하우징
32: 격판
33: 필터
34: 확산판

Claims (5)

  1. 원수가 저장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하부에 결합되는 정수탱크 및 상기 정수탱크에 내장되며 상기 저수조에서 공급되는 원수를 정수하는 여과모듈을 포함하는 개량형 필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자연여과식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여과모듈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면에는 제1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단 설치되는 복수 개의 격판; 및
    인접한 격판 사이 공간에 실장되는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격판 각각에는 원수가 통과하는 통과구가 관통 형성되며 중앙에서 일측으로 편심 이격된 상면에는 상부로 압력유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압력유지돌기 상에는 상하 방향으로 통기구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 벽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격판 각각의 둘레에는 상기 가이드대에 접속되는 가이드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여과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단에 장착되어 원수를 확산해 낙하시키는 확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저수조와 정수탱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모듈을 지지하는 필터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수조의 상단에는 개방구가 개방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에는 상기 개방구를 개폐하는 커버가 설치되며 상기 개방구 주변으로는 견인구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여과모듈은,
    상기 필터지지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태로 이루어져 내부로 상기 하우징을 수용하며, 하면에는 상기 제1 배출구와 연통되는 제2 배출구가 관통 형성되는 자켓부재;
    상기 자켓부재의 상단에서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압축되는 분할관; 및
    상기 분할관의 상단에서 상기 견인구를 통과해 외부로 연장되는 견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분할관은 압축되어 있다가, 상부로 견인시 탄성 변형되는 탄성재질의 중공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할관의 상단 둘레에는 링 형태의 제1 밀폐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1 밀폐부재의 내부에는 제1 자석부재가 내장되며, 상기 저수조의 상단 내측면에는 상기 제1 밀폐부재와 동일한 형상의 제2 밀폐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밀폐부재 내부에는 상기 제1 자석부재와 다른 극성의 제2 자석부재가 내장되며,
    상기 견인부재는,
    일단은 상기 제1 밀폐부재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 상기 견인구를 통과해 외부로 노출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설치되며 상기 견인구에 걸림 지지되어 와이어의 일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필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자연여과식 정수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실장된 필터를 교반시키는 교반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교반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격판 및 커버의 중앙을 관통해 결합되는 수직바;
    상기 수직바에서 외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되 인접한 격판 사이 공간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평바; 및
    상기 복수 개의 수평바 각각의 외면에 형성되는 실리콘브러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필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자연여과식 정수기.
KR1020210124296A 2021-09-16 2021-09-16 개량형 필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자연여과식 정수기 KR102652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296A KR102652172B1 (ko) 2021-09-16 2021-09-16 개량형 필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자연여과식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296A KR102652172B1 (ko) 2021-09-16 2021-09-16 개량형 필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자연여과식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776A KR20230040776A (ko) 2023-03-23
KR102652172B1 true KR102652172B1 (ko) 2024-03-27

Family

ID=85799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4296A KR102652172B1 (ko) 2021-09-16 2021-09-16 개량형 필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자연여과식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217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200Y1 (ko) * 2004-12-29 2005-03-29 최강수 황토 지장수제조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487B1 (ko) * 2003-11-13 2005-06-03 정영옥 무동력 모래 여과장치
KR20110001490U (ko) 2009-08-05 2011-02-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이중 항살균 자연여과식 정수기
KR101961545B1 (ko) * 2017-04-12 2019-03-25 김길재 자연 여과방식 정수기의 필터에 적합한 기포층 분산유닛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200Y1 (ko) * 2004-12-29 2005-03-29 최강수 황토 지장수제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776A (ko)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3146B1 (ko) 무동력 자동세척 필터링장치
KR20170006088A (ko) 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KR102652172B1 (ko) 개량형 필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자연여과식 정수기
KR101814618B1 (ko) 디스크 필터
RU175286U1 (ru) Устройство глубокой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102327425B1 (ko) 부분 교체가 가능한 생활용수용 흡착형 복합 필터
KR100928151B1 (ko) 여과장치를 구비한 수족관
KR101298691B1 (ko) 수족관 정수장치
JP2008296104A (ja) 加圧濾過方法と加圧濾過器
KR101010365B1 (ko) 계곡수 여과장치
JP6243822B2 (ja) 水浄化装置及び濾過器
KR20140023032A (ko) 용수의 고형물 제거 및 정화장치
KR101481634B1 (ko) 수족관용 물관리장치
KR20170129580A (ko) 물세척식 공기정화기
CN214714778U (zh) 一种全自动过滤器
CN211688680U (zh) 一种利用磁场净化不纯水的滤水器
CN209307162U (zh) 一种小型景观水体生化处理系统
KR20050022499A (ko) 공기청정수단을 구비한 수족관
CN207391214U (zh) 一种用于生活污水治理的离心净化装置
CN211339137U (zh) 一种污水排泄池污水再处理装置
RU197273U1 (ru) Компактный усреднитель бытовых сточных вод
CN212387834U (zh) 一种具有清洗功能的活性炭过滤器
CN218507664U (zh) 一种多级过滤式水过滤器
RU280679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и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воды
CN211462234U (zh) 一种高效过滤的自清洗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