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532Y1 - 수족관 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족관 정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532Y1
KR200344532Y1 KR20-2003-0036102U KR20030036102U KR200344532Y1 KR 200344532 Y1 KR200344532 Y1 KR 200344532Y1 KR 20030036102 U KR20030036102 U KR 20030036102U KR 200344532 Y1 KR200344532 Y1 KR 2003445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quarium
drain
chamb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61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영
Original Assignee
이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영 filed Critical 이세영
Priority to KR20-2003-00361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5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5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5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Abstract

본 고안은 여과 및 환수, 그리고 배수과정을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수족관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수족관 내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부와, 배수부로부터 유입된 물을 여과하거나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여과부와, 여과부로부터 여과된 물을 수족관 내로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와, 펌프로부터 펌핑된 물을 수족관 내로 급수하거나 수족관 내의 수위변화에 따라 별도의 급수를 실시하는 급수부가 구비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하나의 장치에 의해 여과 및 환수, 그리고 배수과정을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어 기존 수족관과 대비하여 콤팩트하고 정화 능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여과 및 환수, 배수과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그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하다. 뿐만 아니라, 하나의 장치에 의해 여과 및 환수, 배수과정이 모두 가능하므로 설치 및 그에 따른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족관 정화 시스템{CLEANING SYSTEM OF AQUARIUM}
본 고안은 수족관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과 및 환수, 그리고 배수를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수족관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족관은 생태환경을 인공적으로 조성하여 수서생물을 생활 속으로 끌어들인 것으로, 자연과 인간을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수족관은 흔히 가정의 거실이나 공공장소, 전시장 등에 설치된다.
수족관은 한정된 공간으로 이루어진 폐쇄계이므로 수서생물의 사료나 배설물 등에 의해 오염되기 쉽다. 이에 따라, 수족관에는 잉여 사료나 배설물 등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장치가 마련된다.
그러나 여과장치는 수족관 내의 부유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것으로 정화에는 한계가 있다.
즉, 여과과정을 살펴보면, 잉여사료나 배설물 등은 분해된 후 용존물질, 예컨대 암모니아, 황화질소, 질산염 등으로 변해 여전히 물 속에 남아 있게된다.
따라서 이러한 위해물질을 근본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물을 갈아주어야 한다.
종래의 수족관 물갈이는 대부분 수작업으로 이루어졌다.
즉, 바가지나 호스 등으로 일정량의 물을 빼낸 후 양동이 등으로 그 만큼의 물을 채워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물갈이 방식은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눈짐작으로 빼낸 만큼의 물을 채워주어야 하므로 상당히 불편하였다.
더욱이 물갈이와 여과과정이 별개로 이루어짐으로써 수족관의 정화능력이 떨어지고, 그에 따라 수족관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여과 및 환수, 배수과정을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수족관의 정화능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수족관의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여과 및 환수, 배수과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되, 이들 과정이 선택적으로 실시가능함으로써 그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한 수족관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여과 및 환수, 배수과정을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일체화시켜 설치 및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한 수족관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 정화 시스템의 전체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 정화 시스템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족관
2 : 저면여과기
10 : 배수부
20 : 여과부
30 : 침전실
31 : 격벽
40 : 필터실
41 : 필터
51 : 펌프
60 : 급수부
71 : 수도관
80 : 수위감지부
본 고안은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수족관 내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부와, 배수부로부터 유입된 물을 여과하거나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여과부와, 여과부로부터 여과된 물을 수족관 내로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와, 펌프로부터 펌핑된 물을 수족관 내로 공급하거나 수족관의 수위변화에 따라 별도의 급수를 실시하는 급수부가 구비된다.
또, 여과부는 침전실과 필터실이 격벽에 의해 각각 구획 설치되되, 침전실은 배수부로부터 배수된 물을 유입받기 위한 배수 유입구와, 배수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물이 필터실로 유입가능하도록 격벽 상에 관통 형성된 유입공과, 유입공을 통하여 유입된 침전실 내의 물이 침전실 측으로 배수가능하도록 격벽 하단부에 관통 형성된 배수공과, 침전실 내의 물을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침전실 하단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배수구와, 배수구를 통한 방류가 용이하도록 침전실 상단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공기 유입구가 구비되고, 필터실은 유입공을 통하여 유입된 물로부터 부유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와, 필터실로 유입된 물이 필터를 거쳐 펌프에 흡입되도록 펌프의 흡입구와 연결된 연통공 및, 필터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필터실 상단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도아가 구비된다.
또한, 급수부는 펌프로부터 물을 공급받거나 외부의 수도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펌프의 토출구 및 수도관과 연결된 급수관과, 급수관을 통한 수도관 측의 급수를 단속할 수 있도록 수도관과 인접하여 설치된 차단밸브와, 수족관 내의 수위변화를 감지하며 수족관의 수위가 기준수위보다 낮을 경우 수도관을 통하여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차단밸브를 개방시키는 수위감지부가 구비된다.
또, 필터실의 연통공 상에는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가 더 구비된다.
또한, 침전실의 배수를 단속하기 위하여 배수구 상에 전자밸브가 구비되고, 전자밸브가 개방됨에 따라 정지되도록 전자밸브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펌프가 구비된다.
또한, 수족관 내의 물이 배수부를 통하여 침전실로 유입되는 것을 단속할 수있도록 배수부 상에 개폐밸브가 구비되고, 수족관 내로 급수되는 것을 단속할 수 있도록 급수부 상에 개폐밸브가 더 구비된다.
또, 급수부의 일측단에는 기포발생기가 더 구비되고, 배수부의 일측단에는 저면여과기가 더 구비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 정화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 정화 시스템의 전체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 정화 시스템의 제어 블럭도이다.
본 고안은 수족관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여과 및 환수, 그리고 배수를 독립적 또는 병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족관(1)과, 수족관(1) 내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부(10)와, 배수부(10)로부터 배수된 물을 여과하거나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여과부(20)와, 여과부(20)로부터 여과된 물을 수족관(1) 내로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51)와, 펌프(51)로부터 펌핑된 물을 수족관(1) 내로 공급하거나 수족관(1)의 수위변화에 따라 별도의 급수를 실시하는 급수부(60)가 구비된다.
상기의 구성에서 여과과정은 수족관(1) 내의 물을 강제 순환시킴으로써 여과부(20)에서 여과되도록 한 것이고, 환수과정은 수족관(1) 내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한편 급수부(60)를 통하여 배수된 만큼의 물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수족관(1) 내의 물을 새로운 물로 교체하기 위한 것이며, 배수과정은 여과부(20) 내의 물을 외부로 배수함으로써 여과부(20) 내의 물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은 각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여과부(20)는 침전실(30)과 필터실(40)이 격벽(31)에 의해 각각 구획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펌프(51)가 내재된 기계실(50)이 더 설치된다.
상기의 구성에서 침전실(30)은 배수부(10)로부터 배수된 물을 유입받기 위한 배수 유입구(32)와, 배수 유입구(32)를 통하여 유입된 물이 필터실(40)로 유입가능하도록 격벽(31) 상에 관통 형성된 유입공(33)과, 유입공(33)을 통하여 유입된 필터실(40) 내의 물이 침전실(30) 측으로 배수가능하도록 격벽(31) 하단부에 관통 형성된 배수공(34)과, 침전실(30) 내의 물을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침전실(30) 하단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배수구(35)와, 배수구(35)를 통한 방류가 용이하도록 침전실(30) 상단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공기 유입구(36)가 구비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배수부(10)를 통하여 침전실(30)로 유입된 수족관 물은 침전실(30) 내에서 잠시 채류되고, 이때 입자가 큰 부유물질들은 침전됨으로써 1차 걸러진다.
또한, 펌프(51)의 구동으로 침전실 내의 물은 유입공(33)을 통하여 필터실(40)로 강제 유입되고, 필터(41)에 의해 부유물질들이 2차 걸러진다.
그리고 배수구(35)를 개방시킬 경우 침전실(30) 바닥에 침전된 부유물질들은 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고, 필터실(40) 내의 물은 배수공(34)과 침전실(30)을 거쳐 외부로 배수된다. 이때, 공기 유입구(36)의 밸브(38)를 개방시키면 침전실(30) 내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보다 신속히 배수가 이루어진다.
한편, 배수시 펌프(51)가 정지되는데, 이를 위하여 배수구(35) 상에는 배수를 단속하기 위한 전자밸브(37)가 구비된다. 상기의 전자밸브(37)는 펌프(51)의 구동과 연동되도록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전자밸브(37)가 닫힌 경우 펌프(51)는 자동적으로 정지된다.
필터실(40)은 유입공(33)을 통하여 유입된 물로부터 부유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41)와, 필터실(40)로 유입된 물이 필터(41)를 거쳐 펌프(51)에 흡입되도록 펌프(51)의 흡입구(52)와 연결된 연통공(42) 및, 필터(41)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필터실(40) 상단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도아(43)가 구비된다. 또한, 필터실(40)은 필터(41)의 청소 또는 교체시기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일측면이 투명창으로 제작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펌프(51)가 구동함에 따라 침전실(30) 내의 물은 유입공(33)을 통하여 필터실(40)로 강제 유입됨으로써 필터(41)에 의해 부유물질들이 걸러지고 급수부(60)를 통하여 수족관(1) 측으로 순환 급수된다.
또한, 배수시 필터실(40) 내의 물은 배수공(34)을 통하여 침전실(30)로 배수되고, 그에 따라 도아(43)를 열어 필터(41)를 세척하거나 새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한편, 필터실(40)의 연통공(42) 상에는 역류 방지용 체크밸브(44)가 구비되어, 급수부(60) 측으로부터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급수부(60)는 펌프(51)로부터 물을 공급받거나 외부의 수도관(71)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펌프(51)의 토출구(52) 및 수도관(71)과 연결된 급수관(61)과, 급수관(61)을 통한 수도관(71) 측의 급수를 단속할 수 있도록 수도관과 인접하여 설치된 차단밸브(62)와, 수족관(1) 내의 수위변화를 감지하며 수족관(1)의 수위가 기준수위보다 낮을 경우 수도관(71)을 통하여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차단밸브(62)를 개방시키는 수위감지부(80)가 구비된다. 또한, 급수부(60)의 일측단에는 공기유입관(65)이 연통된 기포발생관(63)이 수족관 저면 모래층까지 연장형성되고, 펌프(51) 및 수도관(71)을 통한 수족관(1) 내로의 급수를 단속할 수 있도록 급수관(61) 상에 개폐밸브(64)가 구비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수족관(1)으로의 급수는 펌프(51)에 의해 순환되는 물과, 수도관(71)을 통하여 유입되는 물이 있다.
즉, 펌프(51)의 구동으로 수족관(1) 내의 물은 배수부(10), 여과부(20), 급수부(60)를 거쳐 재차 수족관(1) 측으로 순환 급수된다.
또한, 수위감지부(80)에 의해 현 수위가 기준수위보다 낮은 것으로 감지되면, 차단밸브(62)가 개방되어 수도관(71)으로부터 급수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수위감지부(80)는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가능하다.
예컨대, 부구에 의해 접점이 개폐되는 방식과, 길이가 다른 전극(81)을 이용한 통전방식과, 적외선 검출에 의한 전자방식 등이 적용가능하며, 수위감지에 따른 전기적 신호에 근거하여 차단밸브(62)가 작동한다.
배수부(10)는 수족관(1)의 물이 여과부(20)의 침전실(30)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관로로, 일측단은 수족관(1) 저면에 설치된 저면여과기(2)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침전실(30)의 배수 유입구(32)와 연결된다. 그리고 배수는 사이펀(Siphon)의 원리 또는 자연 배수방식에 의해 이루어진다.
다음은 상기의 구성요소 및 도 2를 참조하여 여과 및 환수, 배수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여과과정은 수족관(1) 내의 물을 펌프(51)로 강제 순환시킴으로써 여과부(20)에서 여과되도록 한 것이다.
즉, 펌프(51)가 구동함에 따라 수족관(1) 내의 물은 배수부(10)를 거쳐 여과부(20)의 침전실(30)로 유입되고, 입자가 큰 부유물질들은 침전실(30) 바닥에 침전된다.
침전실(30)로 유입된 물은 유입공(33)을 통하여 필터실(40)로 재차 유입되고, 필터(41)에 의해 부유물질들이 걸러진다.
부유물질이 걸러진 물은 펌프(51)의 흡입력에 의해 연통공(42)과 체크밸브(44), 펌프(51), 급수부(60)를 거쳐 수족관(1) 측으로 순환 급수된다.
다음, 환수과정은 수족관(1) 내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한편 급수부(60)를 통하여 배수된 만큼의 물이 자동적으로 급수되도록 한 것으로, 수족관(1)의 물갈이 과정이다.
즉, 배수구(35) 상에 장착된 전자밸브(37)를 작동(개방)시키면 수족관(1) 내의 물은 배수부(10) 및 침전실(30)을 거쳐 외부로 배수된다. 이때, 펌프(51)는 전자밸브(37)와 연동하도록 전기적으로 구성되었으므로 전자밸브(37)가 개방됨에 따라 정지된다(물론, 전자밸브(37)가 닫히면 펌프(51)는 다시 구동함).
배수로 인하여 수족관(1) 수위가 낮아지면, 수위감지부(80)에 의해 수위변화가 감지되고, 그에 따라 차단밸브(62)가 작동(개방)하여 외부의 물이 급수부(60)를거쳐 수족관(1) 내로 급수된다. 이때, 연통공(42) 상에 체크밸브(44)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필터실(40) 측으로 역류되지는 않는다.
결국, 수족관(1)의 물이 배수되더라도 급수부(60)를 통하여 수돗물이 기준수위 만큼 자동적으로 급수되므로, 수족관(1)의 수위는 큰 변화 없이 전체적으로 물갈이가 이루어진다. 예컨대, 배수는 사이펀(Siphon)의 원리 또는 자연 배수되는 것이고, 급수는 수도관(71)의 수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급수량/시간당(h) 〉배수량/시간당(h)의 관계를 갖는다.
이후, 배수구(35) 상에 장착된 전자밸브(37)를 오프(닫힘)시키면, 펌프(51)가 구동되고 그에 따라 수족관(1) 내의 물은 여과부(20)를 거쳐 순환 급수된다. 또한 수위감지부(80)로부터 현 수위가 기준수위로 감지되면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차단밸브(62)는 자동적으로 오프(닫힘)된다.
다음, 배수과정은 여과부(20) 내의 물을 외부로 완전히 배수함으로써, 여과부(20)를 청소하거나 필터(41)를 용이하게 교체하기 위함이다.
즉, 배수부(10) 상에 구비된 개폐밸브(11)와 급수부(60) 상에 구비된 개폐밸브(64)를 닫으면, 수족관(1) 측의 급,배수관로는 폐쇄상태가 된다.
이때, 배수구(35) 상에 구비된 전자밸브(37)를 작동(개방)시키면, 펌프(51)가 정지되고 침전실(30) 내의 물과 함께 침전물이 배수구(3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물론, 필터실(40) 내의 물은 배수공(34)을 통하여 침전실(30)로 유입되고, 그에 따라 배수구(35)를 거쳐 배수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아(43)를 열고, 필터(41)를 세척하거나 필터(41)를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게된다.
더욱이 필터실(40)의 일측면은 투명창으로 제작되므로 필터(41)의 교환시기 등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여과 및 환수, 그리고 배수과정이 하나의 장치로 이루어짐으로써 기존 수족관과 대비하여 콤팩트하고 정화 능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여과 및 환수, 배수과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그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과 및 환수, 배수과정을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나의 여과부에 일체화시킴으로써 설치 및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수족관 정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족관 내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부와,
    상기 배수부로부터 유입된 물을 여과하거나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로부터 여과된 물을 상기 수족관 내로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와,
    상기 펌프로부터 펌핑된 물을 상기 수족관 내로 급수하거나 상기 수족관의 수위변화에 따라 별도의 급수를 실시하는 급수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정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침전실과 필터실이 격벽에 의해 각각 구획 설치되되,
    상기 침전실은 상기 배수부로부터 배수된 물을 유입받기 위한 배수 유입구와, 상기 배수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물이 상기 필터실로 유입가능하도록 상기 격벽 상에 관통 형성된 유입공과, 상기 유입공을 통하여 유입된 상기 침전실 내의 물이 상기 침전실 측으로 배수가능하도록 상기 격벽 하단부에 관통 형성된 배수공과, 상기 침전실 내의 물을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상기 침전실 하단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배수구와, 상기 배수구를 통한 방류가 용이하도록 상기 침전실 상단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공기 유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실은 상기 유입공을 통하여 유입된 물로부터 부유물질을 걸러내기위한 필터와, 상기 필터실로 유입된 물이 상기 필터를 거쳐 상기 펌프에 흡입되도록 상기 펌프의 흡입구와 연결된 연통공 및, 상기 필터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실 상단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도아가 구비되며,
    상기 급수부는 상기 펌프로부터 물을 공급받거나 외부의 수도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펌프의 토출구 및 상기 수도관과 연결된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을 통한 상기 수도관 측의 급수를 단속할 수 있도록 상기 수도관과 인접하여 설치된 차단밸브와, 상기 수족관 내의 수위변화를 감지하며 상기 수족관의 수위가 기준수위보다 낮을 경우 상기 수도관을 통하여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차단밸브를 개방시키는 수위감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정화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실의 연통공 상에는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정화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실의 배수를 단속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구 상에 전자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전자밸브가 개방됨에 따라 정지되도록 상기 전자밸브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기 펌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정화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족관 내의 물이 상기 배수부를 통하여 상기 침전실로 유입되는 것을 단속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부 상에 개폐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수족관 내로 급수되는 것을 단속할 수 있도록 상기 급수부 상에 개폐밸브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정화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의 일측단에는 기포발생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배수부의 일측단은 저면여과기와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정화 시스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실은 상기 필터의 교체시기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일측면 상에 투명창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정화 시스템.
KR20-2003-0036102U 2003-11-19 2003-11-19 수족관 정화 시스템 KR2003445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102U KR200344532Y1 (ko) 2003-11-19 2003-11-19 수족관 정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102U KR200344532Y1 (ko) 2003-11-19 2003-11-19 수족관 정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532Y1 true KR200344532Y1 (ko) 2004-03-11

Family

ID=49344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102U KR200344532Y1 (ko) 2003-11-19 2003-11-19 수족관 정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53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185B1 (ko) * 2009-07-14 2012-03-20 문경수 수족관
KR101919254B1 (ko) * 2017-12-06 2019-02-08 송정호 관상새우 양식시스템
KR20190061551A (ko) * 2017-11-28 2019-06-05 수상에스티(주) 스마트 수조 제어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185B1 (ko) * 2009-07-14 2012-03-20 문경수 수족관
KR20190061551A (ko) * 2017-11-28 2019-06-05 수상에스티(주) 스마트 수조 제어장치
KR102044074B1 (ko) * 2017-11-28 2019-11-12 수상에스티(주) 스마트 수조 제어장치
KR101919254B1 (ko) * 2017-12-06 2019-02-08 송정호 관상새우 양식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77130B1 (en) Water management system
CN109293158A (zh) 一种水利发电工程的污水废气净化处理系统
KR102060940B1 (ko) 다단계 빗물 저장탱크를 이용한 빗물 저장 및 수질 처리 시스템
KR200344532Y1 (ko) 수족관 정화 시스템
CN109204242A (zh) 一种工地自动洗车冲洗平台
CN205867668U (zh) 一种斜板冲洗装置
KR100386401B1 (ko) 화장실장치
KR100523853B1 (ko) 다가구 주택용 물탱크의 여과 장치
KR20200132647A (ko) 보 상류의 수질 관리 및 오염 대응 시스템
KR20050048107A (ko) 수족관 정화 시스템
CN109293157A (zh) 一种用于水利水电工程的污水废气净化处理系统
JP4313497B2 (ja) 逆洗水自己保有型圧力濾過機
CN211999233U (zh) 一种煤层气采出水处理装置
KR102046562B1 (ko) 초기 빗물이 배출 가능한 빗물 정화장치
KR100993164B1 (ko) 수중지하 정수처리장치
CN208603948U (zh) 一种地埋式污水处理设备
KR100583431B1 (ko) 간이 상수도의 여과장치 및 그 세척방법
KR101330560B1 (ko) 양식장의 급수 시스템
KR101152640B1 (ko) 수족관용여과장치
KR200196227Y1 (ko) 양변기의 절수장치
CN2448822Y (zh) 复合型污水处理装置
JPH09221975A (ja) 揚排水装置
KR200367387Y1 (ko) 간이 상수도의 여과장치
KR102492568B1 (ko) 소량의 하수를 처리하는 하수처리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N108589879A (zh) 隧道真空排污系统及排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