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6401B1 - 화장실장치 - Google Patents

화장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6401B1
KR100386401B1 KR10-1999-0024280A KR19990024280A KR100386401B1 KR 100386401 B1 KR100386401 B1 KR 100386401B1 KR 19990024280 A KR19990024280 A KR 19990024280A KR 100386401 B1 KR100386401 B1 KR 100386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toilet
supplied
active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4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6478A (ko
Inventor
야기히토시
Original Assignee
니혼신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신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신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06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4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42Small compact installations for use in homes, apartment blocks, hotel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6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with recirculation of bowl-cleaning flui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7/00Wheeled lavato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5Black water originating from toil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간이식임에도 불구하고, 오수가 확실히 정화처리된다.
하우징(10)내에 설치된 각 변기(31~33)로부터 오물이 활성순환조(16)내로 투입되면, 활성순환조(16)에서 폭기(曝氣)처리된다. 활성순환조(16)내에서 폭기처리된 오수는 제1 및 제2 활수조(51, 52)에 의해 물과 공기와 호기성미생물이 담지(擔持)된 담체 입자와의 삼상(三相)유동층 방식에 의해 차례로 정화된다. 그 후에 처리수는 제1 및 제2 침전정화조(53, 54)에 의해 차례로 고형물질이 침전분리되어 급수조(56)에 공급되어 저장된다. 급수조(56)의 처리수는, 각 변기(31~33)에 항상 공급된다. 각 침전정화조(53, 54)내에 침전된 침전물은, 침전물저장조(55)에 공급되어 저장된다.

Description

화장실장치{LAVATORY}
본 발명은, 토목, 건축 등의 공사현장, 많은 사람이 모이는 이벤트장, 화재현장 등에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간이식 화장실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수설비 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공사현장, 이벤트장, 화재현장 등에서는, 간이식 화장실설비가 일시적으로 설치된다. 간이식 화장실설비는 보통 재래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비위생적이며, 또한,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재래식으로 되어 있는 간이화장실설비에 대해서 실용신안등록 제3023323호 공보에는, 하우징내에 설치된 여러개의 변기로부터의 오물을 포함한 오수를 동일한 하우징내에 설치된 침전분리조에서 고형물질을 제거한 후에, 활수조에서 물과 공기와 호기성 미생물이 담지된 담체 입자와의 삼상유동층 방식에 의해정화처리하도록 된 수세식 간이화장실설비가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수세식 간이화장실설비는 정화처리된 처리수가 항상 변기에 공급되어, 변기가 처리수에 의해 세정되고 있기 때문에, 간이식임에도 불구하고, 수세식으로 되어 있어 위생적이며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침전분리조에서 고형물질을 제거한 처리수를, 삼상유동층 방식에 의해 정화처리된 물은 완전히 정화처리된 것이 아니며, 정화처리된 물에는 스컴(scum) 등의 고형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처리수를 변기의 수세수로서 이용하면 스컴 등의 고형물질이 변기에 부착할 우려가 있어, 그다지 적절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며, 게다가, 오수를 고도로 정화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수를 유효하게 재이용할 수 있으며, 더욱이 변기가 항상 청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수세식 화장실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화장실장치는 여러개의 변기로부터 오물이 투입되어 오수와 함께 폭기처리되는 활성순환조와 활성순환조내에서 폭기처리된 오수가 공급되어, 물과 공기와 호기성 미생물이 담지된 담체 입자와의 삼상유동층 방식에 의해 오수를 정화처리하는 활수조와, 활수조에서 정화처리된 처리수가 공급되어 고형물질을 침전분리하는 침전정화조와, 침전정화조에서 고형물질이 침전분리된 처리수가 공급되며, 공급되는 처리수를 저장하는 급수조와 급수조에 저장되는 처리수를 상기 변기에 항상 공급하는 수단과, 상기 침전정화조 밑바닥에 침전된 침전물이 공급되며 공급되는 침전물을 저장하는 침전물저장조를 구비하며, 상기 활성순환조, 활수조, 침전정화조, 급수조, 및 침전물저장조가, 하나의 하우징내에 일체적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변기도 하우징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침전정화조에는 처리수에 부유(浮遊)하는 스컴(scum)을 제거하는 스컴 스키머(scum skimmer)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스컴 스키머로 제거된 스컴이 활성순환조에 공급된다.
상기 하우징 내부는, 활수조, 침전정화조, 급수조 및 침전물저장조가 설치된 설비실과, 변기가 설치된 화장실로 이분되어 있으며, 화장실 하부에 활성순환조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장실장치의 실시예의 일예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C-C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화장실장치의 제어계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화장실장치의 실시예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하우징 10a…화장실
10b…설비실 11…저벽(底壁)부
12…외벽부 13…상벽부
14…간막이벽부 15…바닥부
16…활성순환조 16a…산기관(散氣管)
21…소변기 31…좌변기
32…재래식변기 33…재래식변기
51…제1활수조 51a…산기관
52…제2활수조 52a…산기관
53…제1침전정화조 53b…스컴 스키머(scum skimmer)
54…제2침전정화조 54b…스컴 스키머
55…침전물저장조 56…급수조
58…기계실 58b…도수실(導水室)
61…송풍기 62…수중펌프
63…에어리프트펌프 63a…유입관
64…에어리프트펌프 64a…유입관
65…에어리프트펌프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장실장치의 실시예의 일예를 나타낸 평면개략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C-C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이 화장실장치는, 예를 들면, 길이가 8200㎜, 폭이 2200㎜의 중공(中空) 직방체형상으로 구성된 하우징(10)을 가지고 있다. 하우징(10)은 수평한 저벽부(11)와 저벽부(11)의 바깥둘레가장자리 전체에 걸쳐 수직으로 세워진 외벽부(12)와 외벽부(12)의 윗가장자리 개구부를 덮는 상벽부(13)를 가지고 있다. 상벽부(13)는 폭방향의 중앙부가 원호형상으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하우징(10)은 일부가 강판에 의해 보강된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FRP)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외벽부(12)는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단면(12a, 12b)과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12c, 12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한 쪽 단면(12a)에는 개폐문(18)으로 개폐되는 출입구(12e)가 설치되어 있다. 각 측면(12c, 12d)의 길이방향의 각 단부에 있어서의 상부에는 매달기용 금구(金具)(12g)(도 3참조)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0) 내부는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부에서 폭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설치된 간막이벽부(14)에 의해 화장실(10a)과 설비실(10b)로 이분되어 있다. 화장실(10a) 내부에는 저벽부(11)에서 500㎜ 상방에 수평으로 배치된 바닥부(15)가 전체에 걸쳐 설치되어 있으며, 바닥부(15)와 저벽부(11) 사이의 공간이 활성순환조(16)로 되어 있다. 화장실(10a)을 형성하는 외벽부(12)의 단면(12a)에 있어서의 내면에는 세면대(17)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이 세면대(17)의 상방에는 거울(17a)이 설치되어 있다.
화장실(10a)안에는 측면(12d)에 따라 적당한 높이의 선반부(19)가 외벽부(12)에 있어서의 단면(12a)로부터 적당한 길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으며, 선반부(19)의 실내측 측면에는 한쌍의 수세식 소변기(21)가 측면(12d)의 길이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각 소변기(21)는 바닥부(15)위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바닥부(15) 하방의 활성순환조(16)에 각각 연이어 통해져 있다. 선반부(19) 상방의 측면(12d) 상부에는 환기팬(22)이 설치되어 있다.
선반부(19)와 간막이벽부(14) 사이에는 측면(12d)을 따라 3개의 변기실(23,24, 25)이 설치되어 있다. 각 변기실(23, 24, 25)은 측면(12d)의 실내측에 측면(12d)과 직교상태에서 수직으로 배치된 3장의 폭방향의 간막이판(26, 27, 28)과, 화장실(10a)내의 폭방향 중간쯤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배치된 1장의 길이방향의 간막이판(29)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길이방향의 간막이판(29)에는, 각 변기실(23, 24, 25)에 대응해서 출입구(29a)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각 출입구(29a)가 개폐문(29b)에 의해 각각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간막이벽부(14)에 근접한 변기실(25)의 바닥부(15)위에는 수세식 좌변기(31)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다른 2개의 변기실(23, 24)내에는 수세식의 재래식 변기(32, 33)가 각각 바닥부(15)위에 설치되어 있다. 좌변기(31) 및 각 재래식 변기(32, 33)는 바닥부(15) 하방에 설치된 활성순환조(16)에 각각 연이어 통해져 있다.
활성순환조(16)내에는, 산기관(散氣管)(16a)이 배치되어 있으며, 산기관(16a)에는 뒤에 언급하는 송풍기(61)에서 공기가 공급되고 있다. 소변기(21), 좌변기(31), 각 재래식 변기(32, 33)에서 활성순환조(16)내로 투입되는 오물을 포함한 오수는 산기관(16a)에서 항상 방출되는 공기에 의해 폭기처리되도록 되어 있다.
각 변기실(23, 24, 25)내에는 측면(12d)을 따라 비교적 낮은 선반부(34)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각 변기실(23, 24, 25)에는, 각 선반부(34) 상방의 측면(12d)부분에는 환기팬(35)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변기실(23, 24, 25) 내면에 있어서의 적당한 위치에는 화장지걸이(36)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하우징(10)의 상벽부(13)에 있어서의 각 변기실(23, 24, 25)에 대응한 폭방향의 중앙부분에는 채광환기구멍(13a)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한 쌍의 소변기(21)에 대응한 상벽부(13)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중앙부분에도 1개의 채광환기구멍(13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상벽부(13)에 있어서의 설비실(10b)에 대응한 부분에도 폭방향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4개의 채광환기구멍(13a)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0)에 있어서의 설비실(10b)은 외벽부(12)에 있어서의 단면(12b)과 평행하게 이루어진 수직의 제1간막이판(41)에 의해 나뉘어져 있으며 이 제1간막이판(41)과 단면(12b) 사이의 공간이 폭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배치된 제2간막이판(42)에 의해 제1활수조(51) 및 제2활수조(52)로 구획되어 있다.
단면(12b)과 평행한 제1간막이판(41)과 간막이벽부(14) 사이에는 하우징(10)의 한 쪽 측면(12b)과는 적당한 간격을 두고, 이 측면(12d)과 평행한 제3간막이판(43)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제3간막이판(43)과 간막이벽부(14)와 제1간막이판(41)과 측면(12d)에 의해 기계실(58)이 구획되어 있다. 하우징(10)의 측면(12c)과 제3간막이판(43)과 제1간막이판(41)과 간막이벽부(14)에 의해 구획된 공간은 각각이 폭방향을 따라 수직의 한 쌍의 제4간막이판(44) 및 제5간막이판(45)에 의해 대략 3등분으로 구획되어 있다. 제1간막이판(41)과 제3간막이판(43)과 제4간막이판(44)에 의해 구획된 공간은 제1침전정화조(53)로 되어 있으며, 또한 제4간막이판(44)과 제5간막이판(45)과 제3간막이판(43)과 측면(12c)에 의해 구획된 공간은 제2침전정화조(54)로 되어 있다.
또한, 제5간막이판(45)과 간막이벽부(14) 사이는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배치된 제6간막이판(46)에 의해 대략 이등분되어 있다. 그리고, 측면(12c)과 간막이벽(14)와 제6간막이판(46)과 측면(12c) 사이의 공간이 침전물이 저장되는 침전물저장조(55)로 되어 있으며, 제3간막이판(43)과 간막이벽부(14)와 제6간막이판(46)과 제3간막이판(43) 사이의 공간이 처리수가 저장되며 변기 등에 급수하는 급수조(56)로 되어 있다.
제1간막이판(41)∼제6간막이판(46)의 각각의 상단과 상벽부(13) 사이에 적당한 간극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측면(12d)과 제3간막이판(43) 사이에 간막이벽부(14)에 인접해서 설치된 기계실(58)내에는 화장실(10a)에 설치된 바닥부(15)와 같은 높이의 바닥부(58a)가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바닥부(58a)는 제1활수실(51)에 근접한 단부를 제외하고, 기계실(58) 전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바닥부(58a)와 하우징(10)의 저벽부(11) 사이에는 도수실(58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도수실(58b)과 화장실(10a) 하방에 형성된 활성순환조(16)가 간막이벽부(14)에 설치된 개구부(14a)(도4 참조)에 의해 연이어 통해져 있다. 도수실(58b)에 있어서의 제1활수조(51)에 근접한 단부에는 한 쌍의 수중펌프(62)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 수중펌프(62)에 의해 도수실(58b)내의 오물을 포함한 오수가 제1활수조(51)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기계실(58)을 구성하는 측면(12d)에는 기계실(58)의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부분에 개폐문(58c)에 의해 개폐되는 출입구(12f)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기계실(58) 내부에는 간막이벽부(14)를 따라 3대의 송풍기(6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계실(58) 내부에는 측면(12d) 상부를 따라 제어판(59)이 설치되어 있다.
도수실(58b)내에 설치된 한 쌍의 수중펌프(62)에 의해 오수가 공급되는 제1활수조(51) 하부에는 산기관(51a)이 배치되어 있으며, 기계실(58)내에 설치된 송풍기(61)에 의해 산기관(51a)에 항상 공기가 공급되고 있다. 제1활수조(51)에는 호기성 미생물이 담지된 활성탄 등의 담체 입자가 투입되어 있으며, 제1활수조(51)내에서는 물과 공기와 담체 입자의 이상(二相) 유동층에 의해 오수가 정화처리되도록 되어 있다.
제1활수조(51)내에서 정화처리된 오수는 연통관(連通管)(51b)에 의해 차례로 제2활수조(52)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 제2활수조(52) 하부에도 산기관(52a)이 배치되어 있으며, 기계실(58)내에 설치된 송풍기(61)에 의해 산기관(52a)에 항상 공기가 공급되고 있다. 제2활수조(52)내에도 미생물이 담지된 활성탄 등의 담체 입자가 투입되어 있으며, 물과 공기와 담체 입자의 삼상 유동층에 의해 오수가 정화처리되도록 되어 있다.
제2활수조(52)내에서 정화처리된 오수는 연통관(52b)에 의해 제1침전정화조(53)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침전정화조(53)에서 정화된 처리수는 제2침전정화조(54)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제1침전정화조(53) 및 제2침전정화조(54) 하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차례로 욕조내의 개구단면적이 작아진 호퍼(hopper)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저벽부의 경사각도는 수평에 대해서 60。로 되어 있다.
제1침전정화조(53) 및 제2침전정화조(54)의 축심부에는 원통체(53c, 54c)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각 원통체(53c, 54c) 내부에 제1침전정화조(53) 및 제2침전정화조(54) 하부에 침전된 침전물을 퍼올리는 에어리프트펌프(63, 64)(각각 도 5 참조)의 유입관(63a, 64a)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유입관(63a, 64a)의 하단부는 제1침전정화조(53) 및 제2침전정화조(54) 저부에 근접해 있으며, 그 하단부에 유입구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에어리프트펌프(63, 64)는 기계실(58)내에 배치된 송풍기(61)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각 유입관(63a, 64a)내로 공급되며, 유입관(63a, 64a)내의 오수 비중을 작게 하므로써, 제1침전정화조(53) 및 제2침전정화조(54) 저부에 침전된 침전물을 침전물저장조(55)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제1침전정화조(53) 및 제2침전정화조(54)에는 처리수위에 부유하는 스컴을 수집하는 플로트(float)식 스컴 스키머(53b, 54b)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스컴 스키머(53b, 54b)는, 기계실(58)내에 설치된 송풍기(61)에 의해 처리수위에 부유하는 스컴을 각각 흡인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스컴 스키머(53b, 54b)에 의해 수집된 스컴은 화장실(10a) 하부에 설치된 활성순환실(16)내로 순환되어 다시 폭기처리된다.
제1침전정화조(53) 상부에는 그 내측둘레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사각틀형상의 도수관(53a)이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도수관(53a)에는 틀의 내주부를 형성하는 측면부분에 처리수가 유입하는 유입구가 전체둘레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수관(53a)내로 유입된 처리수는 유수관(53c)에 의해 제2침전처리조(54)에 공급된다.
제2침전처리조(54) 상부에도 동일한 사각틀형상의 도수관(54a)이 설치되어 있으며, 도수관(54a)내에 유입된 처리수가 유수관(54c)에 의해 급수조(56)에 공급되고 있다.
급수조(56)에 공급된 처리수는 에어리프트펌프(65)(도5 참조)에 의해, 화장실(10a)내에 설치된 각 소변기(21), 좌변기(31), 각 재래식 변기(32, 33)에 항상 각각 공급되고 있다. 또한, 급수조(56)에는 화장실장치가 적당히 설치되었을 때에, 상수가 공급되는 수도관에 연결되는 배관이 설치되어 있으며, 급수조(56)에 저장되는 처리수량이 감소하였을 경우에는, 급수조(56)내에 수도관으로부터의 상수가 적당히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화장실(10a)내에 설치된 세면대(17)에도 급수조(56)로부터 공급되는 상수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도 5는, 이 화장실장치의 제어계 블록도이다. 기계실(58)에 설치된 제어판(59)은 기계실(58)내에 설치된 3대의 각 송풍기(61)와 도수실(58b)에 설치된 한 쌍의 수중펌프(62)를 각각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어판(59)은 급수조(56)에 상수를 공급할 때에 수도관과 연결되는 배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66)와 함께 송풍기(61)로부터의 공기를 제1침전정화조(53) 및 제2침전정화조(54)에 있어서의 에어리프트펌프(63, 64)와 스컴 스키머(53b, 54b)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솔레노이드밸브(67)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기계실(58)에 설치된 1대의 송풍기(61)는 활성순환조(16) 및 제1활수조(51)에 각각 설치된 산기관(16a, 51a)에 항상 공기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다른 1대의 송풍기(61)는 제2활수조(52)에 설치된 산기관(52a)에 항상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급수조(56)내의 처리수를 활성순환조(16)에 공급하기 위한 에어리프트펌프(65)에도 항상 공기를 공급하고 있다. 다른 1대의 송풍기(61)는 솔레노이드밸브(67)에 의해, 제1침전정화조(53)에 설치된 에어리프트펌프(63) 및 제2침전정화조(54)에 설치된 에어리프트펌프(64)와, 제1침전정화조(53)에 설치된 스컴 스키머(53b) 및 제2침전정화조(54)에 설치된 스컴 스키머(54b) 중 어느 한 쪽에, 선택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솔레노이드밸브(67)는 보통 제1 및 제2침전정화조(53, 54)에 각각 설치된 스컴 스키머(53b, 54b)에 송풍기(61)로부터의 공기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침전정화조(53, 54)의 침전물을 침전물저장조(55)에 공급할 경우에만 바뀌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화장실장치는 활성순환조(16), 도수실(58b), 제1 및 제2활수조(51, 52), 제1 및 제2침전정화조(53, 54), 침전물저장조(55) 및 급수조(56)를 각각 비워서, 하우징(10)의 각 측면(12c, 12d)에 설치된 각 매달기 금구(12g)를 이용해서, 예를 들면 4톤 트럭에 쌓아 운반한다. 그리고, 이벤트장, 공사현장 등에 운반되면, 화장실장치는 소정 장소에 설치된다. 그 후에, 활성순환조(16), 도수실(58b), 제1 및 제2활수조(51, 52), 제1 및 제2침전정화조(53, 54), 침전물저장조(55) 및 급수조(56)에 적당량의 물을 투입하고, 또한, 제1 및 제2활수조(51, 52)내에 호기성 미생물이 담지된 담지 입자를 적당한 양만큼 투입해서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 급수조(56)내의 물은 송풍기(61)에 의해 구동되는 에어리프트펌프(65)에 의해 항상 각 소변기(21), 좌변기(31), 각 재래식 변기(32, 33)에 공급되고 있으며, 각 소변기(21), 좌변기(31), 각 재래식 변기(32, 33)를 통해 활성순환조(16)내로 흘러내리고 있다. 따라서, 각 소변기(21), 좌변기(31), 각 재래식 변기(32, 33)는 급수조(56)로부터 공급되는 처리수에 의해 세정되고 있으며, 각 소변기(21), 좌변기(31), 각 재래식 변기(32, 33)내에 투입되는 오물은 급수조(56)로부터 공급되는 처리수와 함께 활성순환조(16)내로 흘러내리게 된다.
활성순환조(16)내에는 산기관(16a)이 설치되어 있으며, 산기관(16a)에는 송풍기(61)로부터 항상 공기가 공급되고 있기 때문에, 투입되는 오물을 포함하는 오수는 산기관(16a)로부터의 공기에 의해 폭기처리된다. 이것에 의해 활성순환조(16)내의 오수로 인한 악취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활성순환조(16)에서 폭기처리된 오물은 오수와 함께 간막이벽부(14)에 설치된 개구부(14a)를 통해 기계실(58) 하방에 설치된 도수실(58b)내로 흐르며, 수중펌프(62)에 의해 제1활수조(51)에 공급된다. 도수실(58b)에는, 한 쌍의 수중펌프(62)가 설치되어 있으나, 각 수중펌프(62)는 도수실(58b)내의 오수 수위가 소정 레벨이 되는 것에 의해 교대로 운전되도록 되어 있다.
제1활수조(51) 하부에는 산기관(51a)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산기관(51a)에는 송풍기(61)로부터 항상 공기가 공급되고 있다. 제1활수조(51)내에서는 산기관(51a)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내부의 오수가 순환되고 있으며, 그 내부에서 물과 공기와 호기성 미생물이 담지된 활성탄 등의 담체 입자의 삼상 유동층방식에 의해 오수가 정화처리된다. 제1활수조(51)에서 정화처리된 처리수는 연통관(51b)을 통해 제2활수조(52)에 공급되며, 제2활수조(52)에 있어서도, 동일한 삼상유동층 방식에 의해 오수가 정화처리된다.
이렇게 해서, 제1 및 제2활수조(51, 52)에 있어서, 삼상유동층 방식에 의해, 오수가 연속적으로 정화처리되면 제2활수조(52)내의 처리수는 연통관(52b)을 통해 제1침전정화조(53)에 공급된다.
제1침전정화조(53)에서는 공급되는 처리수내에 포함되는 비교적 비중이 가벼운 스컴은 수면위를 부유하며, 비중이 큰 고형물질이 침하되어 저부에 고인다. 제1침전정화조(53)의 수면위를 부유하는 스컴은 보통은 송풍기(61)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스컴 스키머(53b)내의 오수의 비중을 가볍게 함에 의해 스컴 스키머(53b)내로 흡인되며, 흡인된 스컴이 활성순환실(16)내로 환류된다. 그리고, 제1침전정화조(53)의 저부에 침전물이 고이면, 솔레노이드밸브(67)가 전환되어 송풍기(61)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저부에 침하된 침전물이 에어리프트펌프(64)의 유입관(63a)을 통해 침전물저장조(55)에 공급된다.
제1침전정화조(53)에 있어서 고형물질이 침전분리되어 스컴이 제거된 처리수인 상징수(上澄水)는 제1침전정화조(53)에서 도수관(53a) 및 연통관(53c)을 통해 제2침전정화조(54)에 가득채워진다. 그리고, 제2침전조(54)에 있어서도 동일한 처리가 실시되며, 처리된 상징수가 제2침전정화조(54)로부터 도수관(54a) 및 연통관(54c)을 통해 급수조(56)내에 가득채워진다.
급수조(56)에는 이렇게 제1 및 제2활수조(51, 52)에 있어서 차례로 삼상유동층 방식에 의해 연속적으로 정화처리된 후에 제1 및 제2 침전정화조(53, 54)에 의해 차례로 정화처리된 처리수가 공급되어 저장된다. 따라서, 급수조(56)에 저장되는 처리수는 확실하게 정화된 상태로 되어 있으며 음료수 이외의 용도로 사용해도아무런 문제가 없다. 급수조(56)에 저장된 처리수는 각 소변기(21), 좌변기(31), 각 재래식 변기(32, 33)에 항상 공급됨과 동시에, 세면대(17)에도 항상 공급되고 있다.
침전물저장조(55)에 공급되어 저장되는 침전물은 적당량이 고이면, 분뇨차 등에 의해 반출된다.
또한, 장기간에 걸친 사용 등에 의해. 급수조(56)에 저장되는 처리수량이 감소하였을 경우에는, 제어판(59)의 제어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66)가 구동되며, 급수조(56)에 상수가 보충된다. 또한, 제1 및 제2활수조(51, 52)내의 담체 입자가 제1침전정화조(53)로 유출되어 감소하였을 경우에도, 적당히 제1 및 제2활수조(51, 52)내에 담체 입자가 보충된다.
또한, 하우징(10)내의 화장실(10a)에 있어서의 각 변기, 세면대(17) 등의 배치는,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래식 변기(32, 33)가 각각 설치된 각 변기실(23, 24)간의 폭방향의 간막이판(27)을 따라 간막이벽부(23a)를 설치함에 의해, 남성용(10c)과 여성용(10d)으로 분리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남성용(10c) 및 여성용(10d)과 실외를 연이어 통하는 출입구(10e)가 측면(12c)에 각각 설치됨과 동시에, 남성용(10c) 및 여성용(10d)내에 있어서의 각 출입구(10e)에 근접한 측면(12c)에 세면대(17)가 각각 설치된다.
본 발명의 화장실장치는 이와 같이 소정 장소에 운반해서 설치할 수 있는 가반식(可搬式)이라도, 수세방식이기 때문에, 위생적이어서 악취가 발생할 염려가 없으며, 또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할 필요도 없다. 게다가, 확실히 정화처리된 처리수가 항상 변기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변기에 스컴 등이 부착할 염려가 없으며, 변기는 청정한 상태로 유지된다. 게다가, 처리수는 손씻는 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처리수는 항상 변기로 흐르고 있기 때문에, 변기선상을 위한 밸브 등이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간결한 구조이며 또한 관리 등도 용이하다.

Claims (3)

  1. 여러개의 변기로부터 오물이 투입되어 오수와 함께 폭기처리되는 활성순환조와 활성순환조내에서 폭기처리된 오수가 공급되어, 물과 공기와 호기성 미생물이 담지된 담체 입자와의 삼상유동층 방식에 의해 오수를 정화처리하는 활수조와, 활수조에서 정화처리된 처리수가 공급되어 고형물질을 침전분리하는 침전정화조와, 침전정화조에서 고형물질이 침전분리된 처리수가 공급되며, 공급되는 처리수를 저장하는 급수조와 급수조에 저장되는 처리수를 상기 변기에 항상 공급하는 수단과, 상기 침전정화조 저부에 침전된 침전물이 공급되며 공급되는 침전물을 저장하는 침전물저장조를 구비하며, 상기 활성순환조, 활수조, 침전정화조, 급수조, 및 침전물저장조가, 하나의 하우징내에 일체적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변기도 하우징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정화조에는 처리수에 부유(浮遊)하는 스컴(scum)을 제거하는 스컴 스키머(scum skimmer)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스컴 스키머로 제거된 스컴이 활성순환조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는, 활수조, 침전정화조, 급수조 및 침전물저장조가 설치된 설비실과, 변기가 설치된 화장실로 이분되어 있으며, 화장실 하부에 활성순환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장치.
KR10-1999-0024280A 1998-06-26 1999-06-25 화장실장치 KR1003864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180671 1998-06-26
JP18067198A JP2000008459A (ja) 1998-06-26 1998-06-26 トイレ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478A KR20000006478A (ko) 2000-01-25
KR100386401B1 true KR100386401B1 (ko) 2003-06-02

Family

ID=16087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4280A KR100386401B1 (ko) 1998-06-26 1999-06-25 화장실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78566B1 (ko)
JP (1) JP2000008459A (ko)
KR (1) KR100386401B1 (ko)
TW (1) TW4082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5876A (ja) * 2000-07-31 2002-02-12 Juyou:Kk 循環式水洗トイレにおける浄化槽の構造
KR100514522B1 (ko) * 2003-07-10 2005-09-13 주식회사 진성모바일 화물차에 탑재가 용이한 이동식화장실
JP5451155B2 (ja) * 2009-04-13 2014-03-26 株式会社オリエント・エコロジー 循環式水洗トイレ
JP5922916B2 (ja) * 2011-12-05 2016-05-24 株式会社福永博建築研究所 トイレ用コンテナ
CN102491446B (zh) * 2011-12-06 2013-08-14 大连民族学院 光纤微等离子体液体处理工艺及装置
JP5912650B2 (ja) * 2012-02-22 2016-04-27 株式会社ハイテックス 水洗式の簡易トイレシステム
CN103967097B (zh) * 2014-05-13 2016-03-30 李泽 一种可移动厕所
CN104060662A (zh) * 2014-06-20 2014-09-24 欧士玺 一种生态环保移动厕所
CN111877805A (zh) * 2020-07-13 2020-11-03 三河蓝洁士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自清洁式移动卫生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8582U (ja) * 1982-09-03 1984-03-12 平賢 太郎 浄化循環式水洗装置
JPH03100241A (ja) * 1989-09-11 1991-04-25 Nichinan Sangyo Kk 移動式の多人数用全自動水洗便所
JPH08277566A (ja) * 1995-04-06 1996-10-22 Cosmo Kasei Kk 可搬式多人数用全自動水洗焼却便所
JPH1121972A (ja) * 1997-07-03 1999-01-26 Chuo Setsubi Kogyo Kk 移動式トイ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27955B (ko) * 1968-08-08 1970-08-31 Stenberg Flygt Ab
US5560821A (en) * 1993-09-02 1996-10-01 Leo; Enzo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8582U (ja) * 1982-09-03 1984-03-12 平賢 太郎 浄化循環式水洗装置
JPH03100241A (ja) * 1989-09-11 1991-04-25 Nichinan Sangyo Kk 移動式の多人数用全自動水洗便所
JPH08277566A (ja) * 1995-04-06 1996-10-22 Cosmo Kasei Kk 可搬式多人数用全自動水洗焼却便所
JPH1121972A (ja) * 1997-07-03 1999-01-26 Chuo Setsubi Kogyo Kk 移動式トイ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78566B1 (en) 2001-01-30
KR20000006478A (ko) 2000-01-25
JP2000008459A (ja) 2000-01-11
TW408206B (en) 2000-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7562A (en) Multi-chambered septic tank with elongated partition crossover conduits
US20090065412A1 (en) Apparatus for waste water treatment
RU2121981C1 (ru) Мет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JPH0550360B2 (ko)
KR100386401B1 (ko) 화장실장치
US5635064A (en) Waste water filter
US5904847A (en) Septic tank waste water filter
SK283567B6 (sk) Čistiace zariadenie
RU2424986C2 (ru) Септик
US20210087088A1 (en) Septic tank or aerobic tank level control system
US9556602B2 (en) Self-contained oil flush toilet unit and sewage treatment system for separating and pre-treating waste
JPWO2008111643A1 (ja) 有機汚水処理装置
CN2603138Y (zh) 循环冲水式环保厕所
US6814863B2 (en) Radial flow septic tank
JP4411187B2 (ja) 汚水処理装置
US11365538B2 (en) Cesspool and liner
KR200194200Y1 (ko) 분리막을 이용한 이동용 오폐수 처리 시설
KR950011768B1 (ko) 혐기, 호기접촉순환법에 의한 오수정화시설 및 그 처리방법
AU779522B2 (en) Waste treatment system
JP2001020354A (ja) 水洗便所及び汚水処理装置
JP2001020347A (ja) 水洗便所及び汚水処理装置
JPH05337488A (ja) 家庭雑排水浄化装置
JP2000246245A (ja) 汚水処理装置
JPH08323378A (ja) 汚水浄化槽
KR910003347Y1 (ko) 세척수 순환식 수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