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8632B1 -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 Google Patents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8632B1
KR101158632B1 KR1020100070043A KR20100070043A KR101158632B1 KR 101158632 B1 KR101158632 B1 KR 101158632B1 KR 1020100070043 A KR1020100070043 A KR 1020100070043A KR 20100070043 A KR20100070043 A KR 20100070043A KR 101158632 B1 KR101158632 B1 KR 101158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anhole
case
hole
contamin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830A (ko
Inventor
이상종
이동섭
Original Assignee
(주)일산금속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주)지앤위더스
주식회사한국수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산금속,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주)지앤위더스, 주식회사한국수안 filed Critical (주)일산금속
Priority to KR1020100070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8632B1/ko
Publication of KR20120008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2Partitioned to allow more than one medium to flow through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03F5/16Devices for separating oil, water or grease from sewage in drains leading to the main se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에 걸러진 오염물을 여과체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정해진 곳으로 모이도록 함으로써 여재의 막힘을 현저히 줄여 여과효율의 증대와 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몸체의 중앙에 상하 오픈 된 차수벽이 구비되고 차수벽과 배수구 사이에 필터를 설치하여 유입된 우수가 점차 차올라 필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오염물이 걸러져 배수되도록 한 맨홀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하 관통된 통 형상을 갖으며, 하부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유입공을 형성하여 유입공 둘레로 침전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유입공의 상부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며 유입공보다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진 유도판과;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여재가 저장된 여과체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해 필터에 걸러진 오염물이 침전공간으로 낙하하여 오염물에 의한 필터의 막힘 현상을 현저히 줄임으로써 필터의 수명이 연장되고 여과 효율이 지속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Non-Point Source decrease equipment}
본 발명은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천시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오염물질이 정화되어 배수되도록 하는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나 인도의 가장자리에는 집수시설이 설치되어 우천시 우수가 유입되었다가 일측에 연결된 배수관을 통해 정해진 우수처리 시설이나 하천 등으로 배수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도로의 각종 이물질도 우수와 함께 집수시설로 유입된다. 특히 초기의 우수는 도로의 오염물질을 씻어 집수시설로 유입하게 되는데, 이는 지하수는 물론 하천 오염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오염원으로써 이러한 오염원을 저감하기 위한 시설이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이다.
종래의 비점 오염원 저감시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 분할 벽(3)에 의해 구획되는 제 1 수조(1) 및 제 2 수조(2)로 이루어지고, 제 1 수조(1)는 그 상부에 유입구(4)가 형성되어 우수가 유입되도록 하며, 제 2 수조(2)는 그 상부에 배수구(6)가 형성되어 차오르는 우수가 배수구(6)를 통해 배수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수조(1) 및 제 2 수조(2) 사이에 구비된 수조 분할 벽(3) 상단에는 월류구(5)가 형성되어 제 1 수조(1)로 유입된 우수가 점차 차오르면 월류구(5)를 통해 제 2 수조(2)로 월류되도록 한다. 또한, 제 2 수조(2)의 중앙 즉, 배수구(6)와 월류구(5) 사이에는 상 하부가 연통된 격벽(7)이 수직 형성되고 배수구(6) 하부에 필터(8)가 설치되어 월류구(5)를 통해 유입된 우수가 격벽(7)의 하부를 통해 필터(8)를 통과하여 배수구(6)로 배수된다. 이와 같이 우수가 필터(8)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우수에 포함된 각종 오염물이 걸러지면서 배수된다. 아울러 장마철과 같이 우수의 양이 많을 경우 격벽(7)의 상부를 통해 월류하여 배수구(6)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원할한 배수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비점 오염원 저감장치는 필터(8)를 통해 오염물질을 걸러 배수함으로써 하천이나 지하수 등의 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비점 오염원 저감장치는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큰 부피의 오염원은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없고 침전과 필터(8)에 의해서만 오염원을 제거하는 구조이므로 필터(8)의 수명이 짧아 자주 교체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제 1 수조(1)와 제 2 수조(2) 즉, 두 개의 수조로 구성함으로써 콘크리트 재질의 특성상 제조가 매우 어렵고 크기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수조를 제조하여 현장에서 조립할 수밖에 없으며, 중량체 이므로 조립이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필터에 걸러진 오염물을 여재로부터 자동 분리되도록 하여 정해진 곳으로 모이도록 함으로써 여재의 막힘을 현저히 줄여 여과효율과 필터의 교체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제조가 용이함은 물론이고, 우수의 유입량이 없어 수위가 낮아질 때 필터에 걸러진 오염물이 하강하여 다시 수조 내로 역유입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간단한 조작에 의해 걸러진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조 내에 침전되는 오염원적체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수조 내에 적체된 오염물을 제거하는 유지관리 주기를 지연시킬 수 있도록 하여 유지관리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그리고 간단한 필터의 유지관리작업이 가능함에 따라 항상 최상의 필터 컨디션을 유지토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터를 필터공에 삽입하는 단순 조작에 의해 필터가 필터공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장탈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은,
유입구와 배수구 사이의 맨홀 중앙부에 하부가 연통된 차수벽을 형성하고, 유입된 우수가 차수벽 하부를 통해 차올라 배수구로 배출되는 경로에 필터공을 형성하고, 이에 필터를 설치하여 오염물을 걸러내도록 하되,
상기 필터는, 케이스 하부에 우수 유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유입공의 상부에 상기 유입공보다 넓은 면적의 유도판을 구비하며,
상기 유도판의 상측에 상하가 망으로 이루어지면서 그 내부에 여재가 충진된 여과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공은 상협하광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도판은 중앙부에서 바깥쪽으로 상향 경사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여재는 요구르트병 또는 요구르트병을 파쇄한 복수의 조각으로 구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수벽의 하부에 스크린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침전공간의 상부에는 일측이 개구된 가두리 판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은 우수의 유입이 중단되면 필터에 걸러진 오염물이 침전공간으로 낙하하여 오염물에 의한 필터의 막힘 현상을 현저히 줄임으로써 필터의 수명이 연장되고 여과 효율이 지속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염물이 한곳으로 모임으로써 단순히 오염물만 수거하면 청소가 완료되기 때문에 신속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전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필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우수의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필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필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7a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필터의 구조를 도시한 반단면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필터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전체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필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우수의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은 몸체(100)의 중앙에 상하 오픈된 차수벽(400)이 구비되고 차수벽(400)과 배수구(300) 사이에 필터(600)를 설치하여 유입된 우수가 점차 차올라 필터(6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오염물이 걸러져 배수되도록 한 맨홀에 있어서, 상기 필터(600)는 상하 관통된 통 형상을 갖으며, 하부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유입공(611)을 형성하여 유입공(611) 둘레로 침전공간(612)이 형성된 케이스(610)와; 상기 유입공(611)의 상부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며 유입공(611)보다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진 유도판(620)과; 상기 케이스(610)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여재(631)가 저장된 여과체(630); 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0)는 통 형상을 가지며 일측에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00)가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유입된 우수가 배수되는 배수구(300)가 형성된다. 유입구(200)는 몸체(100)의 중간 부분에 구비되고 배수구(300)는 유입구(200)와 동일하거나 낮게 형성된다.
이러한 몸체(100)의 중앙에는 유입구(200) 측과 배수구(300) 측을 구획하는 차수벽(400)이 수직 형성되는데, 차수벽(400)의 상부와 하부는 오픈되어 유입구(200)에서 유입되는 우수가 차수벽(400)의 하부 또는 상부를 통해 배수구(300)로 흘러가도록 한다. 여기서 우수의 양이 일반적인 경우 유입구(200)로부터 유입된 우수가 몸체(1)의 바닥으로 낙하되어 바닥부터 차오르게 되고 배수구(300)까지 차오르면 자연스럽게 배수구(300)를 통해 배수되며, 우수의 양이 많을 경우 차수벽(400)의 상부로 월류하여 배수구(300)로 흐르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차수벽(400)의 상단은 배수구(300)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설계하여 월류시 물의 흐름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는 게 바람직하다. 또한, 차수벽(400)의 하부 오픈된 통로에는 스크린(500)을 설치하여 부피가 큰 오염물이 일차적으로 걸러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필터(600)는 차수벽(400)과 배수구(300) 사이 즉, 우수가 상부로 흐르는 구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스크린(500)을 통과한 작은 부피의 오염물이 이 필터(600)를 통해 걸러지게 된다. 이러한 필터(600)는 침전공간(612)을 갖는 케이스(610)와, 케이스(610) 내에 설치되는 여과체(630)와, 여과체(630)에서 낙하하는 오염물을 침전공간(612)으로 안내하는 유도판(6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610)는 상하 관통된 통 형상을 갖되, 바닥면에는 스크린(500)을 통과한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공(611)이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부로 돌출된 유입공(611)에 의해 유입공(611)의 둘레를 돌아가며 침전공간(612)이 형성된다. 이러한 유입공(611)은 상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구조를 갖음으로써 우수의 유입이 원활해진다.
상기 여과체(630)는 케이스(610)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수많은 눈이 형성된 금속망으로 이루어지고 케이스(610)와 동일한 모양을 갖음으로써 케이스(610)의 상부로부터 장탈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610)의 내주연에는 단턱(613)이 형성되어 여과체(63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케이스(610)의 상단에는 고정장치(614)를 설치하여 수압에 의해 여과체(6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여과체(630)의 내부에는 여재(631)가 내장되어 우수가 여재(631)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오염물을 거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여재(631)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다공체, 스펀지, 부직포 등을 사용할 수도 있고, 요구르트병을 파쇄하여 여재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요구르트병을 이용하면 재활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재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여재(631)에 의해 걸러진 오염물은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케이스(610)의 침전공간(612)으로 모이게 되는데, 유입공(611)의 상부에 중앙이 상부로 볼록한 유도판(620)을 설치하여 유도판(620)으로 낙하한 오염물이 경사면을 따라 침전공간(612)으로 안내되도록 한다. 이러한 유도판(620)은 유입공(611)보다 크게 형성하여 낙하하는 오염물이 유입공(611)을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케이스(610)의 내측면으로부터 연결대(621)를 용접하여 유입공(611)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유도판(620)은 그 하부 중앙도 볼록하게 돌출시켜 유입공(611)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가 방사형으로 퍼지면서 유입되므로 원활한 유입이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필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610)의 침전공간(612) 상부에 가두리 판(640)을 구비하여 침전된 오염물이 상부로 나가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이러한 가두리 판(640)은 중앙에 커다란 구멍(641)이 형성된 원판으로 이루어지되 중앙의 구멍(641)부분이 하부로 돌출되어 경사면을 갖도록 한다. 여기서 구멍(641)의 크기는 케이스(610)의 유입공(611)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하여 구멍(641)과 유입공(611) 간에 틈새가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가두리 판(640)의 상부에 낙하되는 오염물은 가두리 판(640)의 경사면에 의해 구멍(641) 쪽으로 이동되고 구멍(641)으로 유입된 오염물은 입구가 좁은 구멍(641)으로는 쉽게 나가지 못하여 가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침전공간(612)에는 오염물이 점차 쌓이게 된다.
이와 같은 가두리 판(64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가장자리를 상부로 연장하여 통 형상을 갖도록 하고 상단에 외향 플랜지(642)를 형성함으로써 케이스(610)의 단턱(642)에 안착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가두리 판(640)은 제조 및 분리가 쉽고 청소가 용이하다. 여기서 가두리 판(640)이 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때 유도판(620)의 연결대(621)는 가두리 판(640)의 통 부위에 용접하거나 케이스(610)의 유입공(611)에 용접하여 설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은 스크린(500)을 통해 부피가 큰 오염물을 걸러내고 필터(600)에 의해 작은 오염물을 걸러냄으로써 정수된 우수를 배수할 수 있으며, 필터(600)에 걸러진 오염물을 침전공간(612)으로 모이도록 함으로써 필터(600)의 효율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수명을 연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필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도판(620)은 그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부력이 발생토록 하고, 그 일단과 케이스(610)의 내측면 간에 연결대(621)로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대(621)의 양단은 즉, 연결대(621)와 케이스(610)가 연결되는 부분과 연결대(621)와 유도판(620)이 연결되는 부분은 힌지(H)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우수가 유입되지 않을 때는 유도판(620)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유입공(611)을 차단하고, 우수의 유입이 이루어지면 부력에 의해 유도판(620)이 승강하여 유입공(611)이 자동으로 개방된다. 이와 같이 유도판(620)이 승하강 함에 따라 악취의 발생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도 7a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필터의 구조를 도시한 반단면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필터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는 그 둘레에 돌기를 형성하여 필터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케이스(610)는 그 둘레에 'U' 모양으로 절취하여 탄지대(615)를 형성하고, 이 탄지대(615)의 외측면에 돌부(616)를 형성한다. 이러한 탄지대(615)는 케이스(610)의 둘레에 거쳐 복수 개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맨홀의 필터 삽입공에 케이스(610)를 삽입하면 돌출된 돌부에 의해 탄지대(615)가 내측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여과체(630)를 케이스(610)에 삽입하면 여과체(630)가 다시 탄지대(615)를 밀게 됨으로써 맨홀 벽면과 여과체(630) 사이에 돌부(616)가 게재됨에 따라 억지 결합되어 탈착되지 않는다. 단순히 여과체(630)를 삽입하는 방법에 의해 견고한 고정이 완료되므로 상부의 걸림장치가 필요 없다.
100 : 몸체 200 : 유입구 300 : 배수구
400 : 차수벽 500 : 스크린 600 : 필터
610 : 케이스 611 : 유입공 612 : 침전공간
613 : 단턱 614 : 걸림장치 615 : 탄지대
616 : 돌부 620 : 유도판 621 : 연결대
630 : 여과체 631 : 여재 640 : 가두리 판
641 : 구멍 642 : 외향 플랜지 H : 힌지

Claims (6)

  1. 몸체(100)의 중앙에 상하 오픈 된 차수벽(400)이 구비되고 차수벽(400)과 배수구(300) 사이에 필터(600)를 설치하여 유입된 우수가 점차 차올라 필터(6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오염물이 걸러져 배수되도록 한 맨홀에 있어서,
    상기 필터(600)는, 상하 관통된 통 형상을 갖으며 하부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유입공(611)을 형성하여 유입공(611) 둘레에 거쳐 침전공간(612)이 형성된 케이스(610)와; 상기 유입공(611)의 상부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며 유입공(611)보다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진 유도판(620)과; 상기 케이스(610)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여재(631)가 저장된 여과체(630);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공간(612)의 상부에는 가두리 판(640)을 설치하되 케이스(610)의 유입공(611)과 틈새를 형성하여 오염물이 틈새를 통해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틈새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벽(400)의 하부 오픈된 통로에 스크린(50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여재(631)는 요구르트병을 파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판(620)은 그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부력을 갖도록 하고, 케이스(610)의 측면과 유도판(620) 간에는 연결대(621)로 연결하되 힌지(H)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610)는 그 둘레에 복수 'U' 모양으로 절취하여 탄지대(615)를 형성하고, 이 탄지대(615)의 외측면에 돌부(616)를 형성하여 케이스(610)에 여과체(630)를 삽입하면 맨홀 벽면과 여과체(630) 사이에 돌부(615)가 게재됨에 따라 억지 결합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KR1020100070043A 2010-07-20 2010-07-20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KR101158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043A KR101158632B1 (ko) 2010-07-20 2010-07-20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043A KR101158632B1 (ko) 2010-07-20 2010-07-20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830A KR20120008830A (ko) 2012-02-01
KR101158632B1 true KR101158632B1 (ko) 2012-06-26

Family

ID=45833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043A KR101158632B1 (ko) 2010-07-20 2010-07-20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86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031B1 (ko) * 2013-05-28 2014-12-24 신해 자동제설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793B1 (ko) * 2012-04-04 2013-10-08 주식회사 대경산업 비점오염 처리 장치
KR102414058B1 (ko) * 2022-04-05 2022-06-29 해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초기우수 배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1732B2 (ja) 2000-05-25 2002-08-05 株式会社ホクコン 排水処理装置
KR100605267B1 (ko) 2005-02-25 2006-07-28 제이디에코 주식회사 우수처리장치
KR100715286B1 (ko) 2005-07-14 2007-05-08 (주) 디아이엔바이로 필터가 부착된 와류형 분리기
KR100896015B1 (ko) 2008-11-06 2009-05-11 주식회사한국수안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1732B2 (ja) 2000-05-25 2002-08-05 株式会社ホクコン 排水処理装置
KR100605267B1 (ko) 2005-02-25 2006-07-28 제이디에코 주식회사 우수처리장치
KR100715286B1 (ko) 2005-07-14 2007-05-08 (주) 디아이엔바이로 필터가 부착된 와류형 분리기
KR100896015B1 (ko) 2008-11-06 2009-05-11 주식회사한국수안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031B1 (ko) * 2013-05-28 2014-12-24 신해 자동제설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830A (ko) 201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656B1 (ko) 친환경 여과 집수조 및 그것을 이용한 우수 재순환 시스템
AU2010292395B2 (en) Stormwater filt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0896015B1 (ko)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KR101683365B1 (ko) 여과기능을 첨부한 우수집수정 그레이팅
KR101023537B1 (ko) 빗물 수질개선 처리 시스템
KR100524151B1 (ko) 초기 우수를 배제한 청정 우수 포집 장치
KR100486105B1 (ko)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KR101907012B1 (ko) 착탈식 맨홀 멀티 스크린 시스템
CN109372087B (zh) 一种面源控污雨水井
KR100913315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158632B1 (ko)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KR101036018B1 (ko) 오수의 오염물질 여과기 및 이를 이용한 여과장치
KR100891940B1 (ko)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20170117280A (ko) 강우수 정화장치
KR20160087099A (ko) 마제형 아치 형상을 갖는 교량용 배수장치
KR101227920B1 (ko) 초기 우수 배제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036019B1 (ko) 오수의 오염물질 여과장치
KR101231458B1 (ko) 초기 우수처리 빗물받이
KR101355342B1 (ko) 우수 재사용을 위한 집수장치
KR100958442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177714B1 (ko) 노면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195091B1 (ko) 지중침투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KR101799513B1 (ko)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KR101145050B1 (ko) 유수분리 기능을 갖는 초기우수처리 빗물받이
KR101203059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