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058B1 - 초기우수 배제장치 - Google Patents

초기우수 배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058B1
KR102414058B1 KR1020220042360A KR20220042360A KR102414058B1 KR 102414058 B1 KR102414058 B1 KR 102414058B1 KR 1020220042360 A KR1020220042360 A KR 1020220042360A KR 20220042360 A KR20220042360 A KR 20220042360A KR 102414058 B1 KR102414058 B1 KR 102414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space
unit
pipe
ini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희
박재형
이도훈
강종수
정태우
Original Assignee
해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해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2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0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배제장치는, 우수가 흐르는 배관에 설치된 채, 초기에 유입되는 오염된 우수를 배출하고 중기 이후에 유입되는 우수를 수집하는 초기우수 배제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외통부, 상기 외통부의 길이방향을 관통하여 형성된 배관부, 상기 외통부의 폭방향 일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우수수집부 및 상기 외통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조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부는,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상부측이 절개되어 내부공간이 개방된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의 절개된 공간을 커버하는 우수여과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관부로 유입된 우수 중 상기 우수여과부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이동된 우수는 상기 우수수집부를 통해 수집될 수 있다.

Description

초기우수 배제장치{Device for excluding early rainwater}
본 발명은 초기우수 배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우수가 흐르는 배관에 설치된 채, 초기에 유입되는 오염된 우수를 배출하고 중기 이후에 유입되는 우수를 수집하는 초기우수 배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대한민국도 물부족 국가 중 하나라는 사실을 모르거나 알면서도 아직은 풍부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가 많으나 쉽게 눈에 띄지 않는 지하수의 고갈, 하천 유량의 감소 등의 현상은 갈수록 그 심각성을 더 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물을 확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대안은 바로 우천시 빗물을 모아 저수 후 필요 할 경우에 저수된 빗물을 이용하는 것으로 빗물을 생태연못에 모으고 지하로 침투시킴으로써 쉽게 버려지는 빗물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할 수 있도록 생태연못을 포함한 생태공원을 조성하는 것과 식 수가 아닌 화장실에서 사용하는 용수로의 활용 및 청소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안이 마련되고 있다.
특히 화장실에서 양변기에 사용하는 물은 일반 가정에서 음식을 만들고 조리할 때 그리고 씻을 때 사용하는 물과 비교하면 거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많은 양이며 이는 정화된 수돗물을 사용하기에는 상당히 낭비라고도 할 수 있는 것으로 저장한 빗물을 활용한다면 상당한 절약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또 아파트와 같은 경우 화단의 식물에 주는 물이나 외부 바닥을 물 청소할 때 빗물을 사용하는 것도 상당한 효과를 가진 것이다.
이러한 우수를 사용하는 경우 기본적으로 부유하거나 침전하는 이물질 및 필터를 통하여 걸러지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우천시 최초의 빗물은 지표면을 따라 흐르면서 각종 이물질을 함유한 상태로 이동하므로 초기우수는 배제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2288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초기 우수는 그대로 배출하고, 중기 이후의 우수만 여과하여 수집할 수 있는 초기우수 배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배제장치는, 우수가 흐르는 배관에 설치된 채, 초기에 유입되는 오염된 우수를 배출하고 중기 이후에 유입되는 우수를 수집하는 초기우수 배제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외통부, 상기 외통부의 길이방향을 관통하여 형성된 배관부, 상기 외통부의 폭방향 일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우수수집부 및 상기 외통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조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부는,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상부측이 절개되어 내부공간이 개방된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의 절개된 공간을 커버하는 우수여과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관부로 유입된 우수 중 상기 우수여과부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이동된 우수는 상기 우수수집부를 통해 수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배제장치의 상기 외통부는, 속이 빈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되, 상부측이 개구된 공간형성부 및 상기 공간형성부의 개구된 상부측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구비하며, 상기 배관부는, 상기 공간형성부의 길이방향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우수수집부는, 상기 공간형성부의 폭방향 일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3 관통구에 연결되며, 상기 자외선조사부는, 상기 커버부에 형성되되, 내부에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공간에 수용된 채,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자외선을 발광하는 자외선발광부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부의 상기 수용공간에 대한 대향면은 자외선이 투과되는 투과부로 형성되어, 상기 자외선발광부에 의해 발광된 자외선이 상기 수용공간으로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배제장치의 상기 외통부는, 속이 빈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되, 상부측이 개구된 공간형성부 및 상기 공간형성부의 개구된 상부측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구비하며, 상기 자외선조사부는, 상기 커버부의 저면에 장착된 채, 상기 수용공간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우수에 침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배제장치의 상기 자외선조사부는, 상기 장착공간과 상기 우수수집부를 매개하여, 상기 장착공간 내의 반응기체와 상기 자외선발광부에 의해 발생된 오존이 상기 우수수집부로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통로형성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배제장치의 상기 자외선조사부는, 상기 커버부에 장착되어, 상기 장착공간으로 기체를 유입시키는 기체유입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배제장치의 상기 배관부는, 상기 원통부의 내부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 및 상기 구획부의 상면에 형성된 채, 상기 상부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공간을 따라 이동하는 우수의 이동 방향을 변화시키는 우수유도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배관부로 유입된 제1 유량의 우수는, 상기 하부공간을 통해 상기 배관부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배관부로 유입된 상기 제1 유량보다 많은 제2 유량의 우수 중, 일부분은 상기 상부공간으로 이동 중에 상기 우수여과부를 통해 상기 상부공간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으로 이동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이동된 우수는 상기 우수수집부를 통해 수집되고, 상기 우수유도부는, 상기 배관부의 우수유입구로부터 우수배출구를 향해 이동되는 우수가 방사상으로 분산되도록 하여, 상기 우수여과부로의 우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배제장치의 상기 우수유도부는, 상기 상부공간으로 유입된 우수의 제1 부분은 상기 우수여과부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1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제2 부분은 상기 우수여과부의 내측면과 충돌한 채, 반사되어 상기 원통부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제2 부분의 우수는, 상기 우수여과부에 체류 중인 이물질이 상기 우수여과부로부터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배제장치의 상기 외통부는, 길이방향 일측면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 관통구 및 길이방향 타측면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 관통구를 구비하며, 상기 원통부는, 상기 제1 관통구와 상기 제2 관통구를 관통한 채,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외통부의 수용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수용원통과 상기 외통부의 외측으로 노출된 노출원통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용원통은, 상부측의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수용원통의 길이방향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배제장치의 상기 배관부는, 상기 우수여과부의 외주면을 포위하는 보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으로 이동하는 우수에 의한 상기 우수여과부의 상기 원통부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형상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배제장치의 상기 배관부는, 상기 구획부의 일측에 상기 구획부와 이격되어 배치된 채, 상기 제1 유량의 우수가 상기 하부공간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우수이동방해부를 구비하며, 상기 우수이동방해부는, 상기 우수유입구에서 상기 우수배출구를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채, 상기 구획부와의 사이에 제1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유량의 우수는, 일정량 이상이 상기 우수유입구로 유입된 경우, 상기 우수이동방해부의 상측단을 넘어 상기 제1 유입구를 통해 상기 하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배제장치의 상기 구획부는, 상기 우수이동방해부와 대향하는 일측단에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우수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우수가이드부는, 상기 우수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1 유량의 우수가 상기 하부공간으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수의 수집 또는 분배 과정에서 우수가 살균되도록 하여, 악취 발생을 방지하고 후 공정에서의 수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우수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우수의 일부가 우수여과부를 통과하게 하여 여과된 우수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우수를 수집하는 동안 우수의 흐름에 의해 우수여과부의 세척이 가능하여 장치의 유지 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배제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배제장치의 자외선조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배제장치의 자외선조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배제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배제장치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배제장치 내의 우수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배제장치의 사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배제장치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배제장치의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수유도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수이동방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배제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배제장치의 자외선조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배제장치의 자외선조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배제장치(1)는, 우수가 흐르는 배관에 설치된 채, 초기에 유입되는 오염된 우수를 배출하고 중기 이후에 유입되는 우수를 수집하는 초기우수 배제장치일 수 있다.
상기 초기우수 배제장치(1)는, 외통부(10), 배관부(20), 우수수집부(30) 및 자외선조사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통부(10)는, 내부에 수용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외통부(10)는, 공간형성부(14), 커버부(15) 및 체결부(1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간형성부(14)는, 속이 빈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용공간(S1)을 형성하되, 상부측이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5)는, 상기 공간형성부(14)의 개구된 상부측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6)는, 상기 공간형성부(14)의 상측 테두리 및 상기 커버부(15)의 테두리에 동시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커버부(15)를 상기 공간형성부(14)에 체결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공간형성부(14)의 청소 또는 상기 배관부(20)의 유지 보수가 필요할 경우, 상기 커버부(15)를 열어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배관부(20)는, 상기 외통부(10)의 길이방향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우수수집부(30)는, 상기 외통부(10)의 폭방향 일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우수저장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조사부(40)는, 상기 외통부(10)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S1)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조사부(40)는, 장착부(41) 및 자외선발광부(4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41)는, 상기 커버부(15)에 형성되되, 내부에 장착공간(V)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장착공간(V)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자외선발광부(43)는, 상기 장착공간(V)에 수용된 채,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자외선을 발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외선발광부(43)는 일종의 자외선램프일 수 있다. 자외선램프는 살균 작용과 함께 오존을 발생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는데, 오존은 산소로부터 생성되는 산소의 불안정한 동소체(同素體)로서 공기 중에 미량함유(0.02~0.05ppm)되어 있고, 고층 대기권에 다량 존재하고 있는 바, 상기 오존을 구성하는 3개의 산소원자 중 제3원자는 결합이 약해 쉽게 분리되어 발생기 산소로 되는 경향이 강하고, 이 발생기 산소가 산화분해 작용을 하여 강한 살균력을 갖는다.
상기 장착부(41)의 상기 수용공간(S1)에 대한 대향면은 자외선이 투과되는 투과부로 형성되어, 상기 자외선발광부(43)에 의해 발광된 자외선이 상기 수용공간(S1)으로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조사부(40)는, 통로형성부(4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통로형성부(45)는, 상기 장착공간(V)과 상기 우수수집부(30)를 매개하여, 상기 장착공간(V) 내의 반응기체와 상기 자외선발광부(43)에 의해 발생된 오존이 상기 우수수집부(30)로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장착공간(V) 내에서 발생된 오존은, 상기 장착공간(V)과 상기 우수수집부(30)로 이동되는 우수에 의한 상기 우수수집부(30) 내의 압력 차(베르누이 법칙)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통로형성부(45)는 상기 장착부(41)와 상기 우수수집부(30)를 연결하는 배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로형성부(45)는 상기 장착부(41)와 연결되는 제1 배관(451)과 상기 제1 배관(451)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우수수집부(30)와 연결되는 제2 배관(45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V) 내의 오존은, 상기 제1 배관(451)과 상기 제2 배관(453)을 통해 상기 우수수집부(30)로 이동되어, 상기 우수수집부(30)를 통해 이동되는 우수의 살균 작용에 이용된다.
또한, 상기 자외선조사부(40)는 상기 커버부(15)에 장착되어, 상기 장착공간(V)으로 기체를 유입시키는 기체유입부(4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체유입부(47)는 일종의 흡입팬으로서, 인가된 전원에 의해 팬을 구동시켜 외부 기체가 상기 장착공간(V)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자외선조사부(40')의 통로형성부(45')의 제1 배관(451')은 복수개로 형성되어, 장착공간(V') 내의 오존이 상기 우수수집부(30)로의 이동이 원활히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장착부(41'), 자외선발광부(43') 및 기체유입부(47')는 상술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자외선조사부(40'')는, 상기 커버부(15)의 저면에 장착된 채, 수용공간(V)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수용공간(V)에 수용된 우수에 침수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V) 내에 침수된 상기 자외선조사부(40'')의 일부분은, 우수 수중에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하여, 우수가 살균되도록 하고, 상기 자외선조사부(40'')의 침수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은, 우수의 수면과 외통부(10)의 내부가 살균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배제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배제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배제장치 내의 우수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배제장치의 사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배제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배관부(20)는, 원통부(21), 구획부(22), 우수여과부(23), 우수유도부(24) 및 우수이동방해부(2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원통부(21)는,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상부측이 절개되어 내부공간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원통부(21)는, 길이방향 일측에는 우수가 유입되는 우수유입구(E1)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타측에는 우수가 배출되는 우수배출구(E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22)는, 상기 원통부(21)의 내부공간을 제1 상부공간(S3) 및 제1 하부공간(S4)으로 구획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상부공간(S3)이란 상기 구획부(22)를 기준으로 상측에 형성되는 공간을 의미하고, 제1 하부공간(S4)이란, 상기 구획부(22)를 기준으로 하측에 형성되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우수여과부(23)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채, 상기 원통부(21)의 절개된 공간을 커버할 수 있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우수이동방해부(26)는, 상기 구획부(22)의 일측에 상기 구획부(22)와 이격되어 배치된 채, 상기 제1 유량의 우수가 상기 하부공간(S3)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우수이동방해부(26)는, 상기 우수유입구(E1)에서 상기 우수배출구(E2)를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채, 상기 구획부(22)와의 사이에 제1 유입구(E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관부(20)로 유입된 제1 유량의 우수는, 상기 제1 하부공간(S4)을 통해 상기 배관부(2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초기에 상기 배관부(20)로 유입되는 제1 유량의 우수는 오염물질을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별도로 수집하지 않고 상기 제1 하부공간(S4)을 경유시켜 상기 우수배출구(E2)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1 유량의 우수는, 일정량 이상이 상기 우수유입구(E1)으로 유입된 경우, 상기 우수이동방해부(26)의 상측단을 넘어 상기 제1 유입구(E3)를 통해 상기 제1 하부공간(S4)으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우수이동방해부(26)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 유량의 우수가 상기 제2 상부공간(E3)으로 유입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제1 유량의 우수가 상기 제2 하부공간(E4)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배관부(20)로 상기 제1 유량보다 많은 제2 유량의 우수는, 상기 제1 상부공간(S3)을 통해 상기 배관부(2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중기 이후의 제2 유량의 우수는, 상기 제1 유량의 우수보다 유량도 많고, 유속도 빠르기 때문에 상기 제1 상부공간(S3)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배관부(20)로 유입된 제2 유량의 우수 중, 일부분은 상기 제1 상부공간(S3)으로 이동 중에 상기 우수여과부(23)를 통해 상기 제1 상부공간(S3)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S1)으로 이동되며, 상기 수용공간(S1)으로 이동된 우수는 상기 우수수집부(30)를 통해 수집될 수 있다.
상기 우수수집부(30)를 통해 수집된 우수는 상기 우수수집부와 연결된 우수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우수유도부(24)는, 상기 제2 유량의 우수 중 일부분의 이동 방향이 상기 우수여과부(23)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수유도부(24)는, 상기 구획부(22)의 상면에 형성된 채, 상기 제1 상부공간(S3)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상부공간(S3)을 따라 이동하는 우수의 이동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우수유도부(24)는, 상기 우수유입구(E1)로부터 상기 우수배출구(E2)를 향해 이동되는 우수가 방사상으로 분산되도록 하여, 상기 우수여과부(23)로의 우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도 9 참조).
도 7의 (b)는 상기 커버부(15)를 제거한 채, 도시한 상기 초기우수 배제장치(1)의 평먼도이다.
도 7의 (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우수유도부(24)는, 상기 제1 상부공간(S3)으로 유입된 우수의 제1 부분이 상기 우수여과부(23)을 통과하여 상기 수용공간(S1)으로 이동되도록 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부분의 우수에 포함되어 있던 이물질이 상기 우수여과부(23)에 의해 걸러질 수 있다.
상기 우수여과부(23)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은 상기 우수여과부(23)에 체류하게 되는데, 이를 세척해주지 않는다면, 상기 우수여과부(23)의 여과 성능이 현저하게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우수여과부(23)를 세척하기 위해, 상기 제1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제2 부분이 상기 우수여과부(23)의 내측면과 충돌한 채, 반사되어 상기 원통부(21)의 내부공간 즉 상측공간(S3)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의 우수는, 상기 우수여과부(23)와 충돌하여, 상기 우수여과부(23)에 체류 중인 이물질이 상기 우수여과부(23)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고, 이물질을 포함한 채, 상기 우수배출구(E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즉, 우수여과부(23)를 세척하는 구성요소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도 우수여과부(23)에 체류 중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우수이동방해부(26)는, 상기 제2 유량의 우수가 상기 제1 하부공간(S4)을 따라 상기 우수배출구(E2)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초기 우수인 상기 제1 유량의 우수는 배제시키고 중기 이후의 우수인 상기 제2 유량의 우수를 수집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상기 제2 유량의 우수가 상기 제1 하부공간(S4)을 통해 상기 우수배출구(E1)로 배출되는 것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즉, 상기 우수이동방해부(26)는, 상기 제2 유량의 우수가 상기 제2 하부공간(E4)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고 우수가 상기 제2 상부공간(E3)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구획부(22)는, 우수가이드부(22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우수가이드부(221)는, 상기 우수이동방해부(26)와 대향하는 일측단에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우수가이드부(221)는, 상기 우수유입구(E1)를 통해 상기 제1 유량의 우수가 상기 제1 하부공간(S4)으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유량의 우수가 상기 제1 상부공간(S3)으로 유입되면, 상기 우수가이드부(221)는, 상기 우수이동방해부(26)을 향한 하향경사를 통해 우수가 상기 제1 하부공간(S4)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외통부(10)는 제1 관통구(11) 및 제2 관통구(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구(11)는, 길이방향 일측면에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관통구(12)는, 길이방향 타측면에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통부(21)는, 상기 제1 관통구(11)와 상기 제2 관통구(12)를 관통한 채,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외통부의 수용공간(S1)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원통부(21)는, 상기 수용공간(S1)에 수용된 수용원통(211) 및 상기 외통부(10)의 외측으로 노출된 노출원통(2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원통(211)은, 절개부(21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2111)는, 상기 수용원통(211)의 상부측의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수용원통(211)의 길이방향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우수여과부(23)는 상기 절개부(2111)를 커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절개부(2111)가 수용원통(211)의 길이방향 중앙에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원통부(21)와 상기 외통부(10)의 연결부분의 기밀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만약, 상기 수용원통(211)의 길이방향 전체가 절개되어 있고, 절개된 부분을 상기 우수여과부(23)가 커버하고 있다면, 상기 수용원통(211)과 상기 외통부(10)가 맞닿는 부분으로 상기 수용공간(S1) 또는 상기 상측공간(S3)에 수용된 우수가 외통부(10)의 외부로 누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용원통(211)의 길이방향 중앙만 절개되도록 상기 절개부(2111)를 형성하여 상기 외통부(10)와 상기 원통부(21)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였다.
상기 절개부(2111)는, 상기 수용원통(211) 둘레의 70% 내지 80%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상부공간(S3)으로 흐르는 우수가 용이하게 상기 수용공간(S1)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우수유도부(24)는, 상기 우수유입구(E1)로부터 상기 우수배출구(E2)를 향해 점진적으로 외경의 크기가 커지는 반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우수유도부(24)는, 상기 구획부(22) 상면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이동변화편(24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동변화편(241)은, 상기 우수유입구(E1)로부터 상기 우수배출구(E2)를 향해 갈수록 크기가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상부공간(S3) 내에서 흐르는 우수 중 일부가 상기 우수여과부(23)를 향해 이동되도록 우수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상기 배관부(20)는, 보강부(2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25)는, 상기 우수여과부(23)의 외주면을 포위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S1)으로 이동하는 우수에 의한 상기 우수여과부(23)의 상기 원통부(21)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형상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25)는, 복수의 보강편(251)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보강편(251)은, 상기 우수여과부(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동변화편(241)은, 상기 복수의 보강편(25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상부공간(S3)에서 상기 우수여과부(23)를 향하는 우수와 상기 보강편(251)의 충돌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유량의 우수는 상기 복수의 이동변화편(241)에 의해 상기 우수여과부(23)를 거쳐 상기 수용공간(S1)으로 이동되는데, 만약 상기 복수의 이동변화편(241)이 상기 복수의 보강편(251)과 대응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한다면, 상기 우수여과부(23)를 향하는 우수와 상기 보강편(251) 사이의 충돌이 일어나 우수가 상기 수용공간(S1)으로 원활하게 이동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우수가 상기 보강편(251)에 충돌함으로써, 상기 보강편(251)의 내구성이 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이동변화편(241)은, 상기 복수의 보강편(25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여 우수가 상기 보강편(251)과 충돌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우수유도부(24)는, 상기 상부공간(S1)의 높이의 1/2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상부공간(S1)을 통과하는 제2 유량의 우수를 상기 우수여과부(23)를 향해 효과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배제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배제장치(2)의 공간형성부(14')는, 바닥면이 상기 제3 관통구(13, 도 5 참조)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바닥면에 체류하는 우수가 상기 우수수집부(30) 측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수용공간(S1)에 유입된 우수가 상기 우수수집부(30)로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상기 공간형성부(14')의 바닥면이 별도의 경사를 형성하지 않을 경우, 상기 수용공간(S1)에 유입된 우수가 상기 우수수집부(30)로 유동되지 못하고, 상기 공간형성부(14')의 일측에 체류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공간형성부(14')는, 바닥면이 상기 제3 관통구(13)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통부(10)는, 바닥면에 드레인부(1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부(17)는, 상기 공간형성부(14')의 바닥면에 형성된 채,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S1)에 수용된 우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부(17)는, 상기 제3 관통구(13)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개방된 경우 바닥면에 체류하는 우수가 상기 공간형성부(14')의 바닥면에 형성된 경사로를 따라 이동중에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공간(S1)에 우수가 체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작업자는, 상기 공간형성부(14')의 내부를 세척수로 세척하는 경우, 세척수를 상기 드레인부(17)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수유도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배제장치(4)의 복수의 이동변화편(241a)은, 각각의 크기가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이동변화편(241a)은, 제1 이동변화편(2411), 제2 이동변화편(2412) 및 제3 이동변화편(24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이동변화편(2411), 제2 이동변화편(2412) 및 제3 이동변화편(2413)은, 상기 구획부(22)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구획부(22) 상면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변화편(2412)의 크기는 상기 제1 이동변화편(2411)의 크기보다 크고, 상기 제3 이동변화편(2413)의 크기는 상기 제2 이동변화편(2412)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즉, 상기 제2 이동변화편(2412)은, 상기 제1 이동변화편(2411)보다 더 많은 양의 우수를 상기 우수여과부(23)로 향하게 하고, 상기 제3 이동변화편(2413)은 상기 제2 이동변화편(2412)보다 더 많은 양의 우수를 상기 우수여과부(23)로 향하게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상부공간(S3) 내에서의 우수가 상기 우수유입구로부터 상기 우수배출구를 향한 방향으로 흐르는데 방해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많은 양의 우수가 상기 수용공간(S1)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동일한 효과를 얻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2 이동변화편(2412)의 상기 우수유입구로(E1)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외경의 변화율은, 상기 제1 이동변화편(2411)의 상기 우수유입구(E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외경의 변화율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3 이동변화편(2413)의 상기 우수유입구(E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외경의 변화율은, 상기 제2 이동변화편(2412)의 상기 우수유입구(E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외경의 변화율보다 클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2 이동변화편(2412)은, 상기 제1 이동변화편(2411)보다 더 많은 양의 우수를 상기 우수여과부(23)로 향하게 하고, 상기 제3 이동변화편(2413)은 상기 제2 이동변화편(2412)보다 더 많은 양의 우수를 상기 우수여과부(23)로 향하게 할 수 있다.
도 11의 (a)를 참조하여 복수의 이동변화편(241a)의 크기를 상술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상기 제1 이동변화편(2411)의 크기는 상기 제2 이동변화편(2412)의 크기보다 크고, 상기 제2 이동변화편(2412)의 크기는 상기 제3 이동변화편(2413)의 크기보다 크도록 형성하는 등, 상기 복수의 이동변화편(241a)의 크기를 각각 상이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1의 (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배제장치(5)의 우수유도부(24')는, 콘형성부(242) 및 변형방지부(24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콘형성부(242)는 콘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변형방지부(243)는, 상기 콘형성부(242)가 우수의 흐름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공간(S3) 내에서 흐르는 우수 중 일부는, 상기 콘형성부(242)의 전면과 충돌하여 상기 우수여과부(23)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변형방지부(243)는, 상기 콘형성부(242)의 후면에 장착된 채, 상기 우수유입구(E1)로부터 상기 우수배출구(E2)를 향하는 우수의 흐름에 의해 상기 콘형성부(243)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배제장치(5)의 배관부(20a)는, 상기 복수의 보강편(251)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2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7)는, 상기 복수의 보강편(251)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우수여과부(23)가 상기 원통부(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형상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수이동방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배제장치(6)의 우수이동방해부(26')는, 상기 배관부(20)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관부(20)로 우수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우수이동방해부(26')는, 우수의 자중 또는 상구 우수유입구(E1)로부터 상기 우수배출구(E2)를 향해 흐르는 우수의 흐름에 의해 상기 우수가이드부(221)를 향한 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제1 유입구를 좁힐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유량의 우수의 자중 또는 상기 제2 유량의 우수의 흐름에 의해 상기 우수가이드부(221)를 향한 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제1 유입구의 크기를 좁힐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우수가 제1 하부공간(S4)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초기우수 배제장치 10: 외통부
11: 제1 관통구 12: 제2 관통구
13: 제3 관통구 14: 공간형성부
15: 커버부 16: 체결부
17: 드레인부 20: 배관부
21: 원통부 22: 구획부
221: 우수가이드부 23: 우수여과부
24: 우수유도부 25: 보강부
26: 우수이동방해부 27: 연결부
30: 우수수집부 40: 자외선조사부
41: 장착부 V: 장착공간
43: 자외선발광부 45: 통로형성부
47: 기체유입부

Claims (11)

  1. 우수가 흐르는 배관에 설치된 채, 초기에 유입되는 오염된 우수를 배출하고 중기 이후에 유입되는 우수를 수집하는 초기우수 배제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외통부;
    상기 외통부의 길이방향을 관통하여 형성된 배관부;
    상기 외통부의 폭방향 일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우수수집부; 및
    상기 외통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조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부는,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상부측이 절개되어 내부공간이 개방된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의 절개된 공간을 커버하는 우수여과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관부로 유입된 우수 중 상기 우수여과부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이동된 우수는 상기 우수수집부를 통해 수집되며,
    상기 배관부는,
    상기 원통부의 내부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 및 상기 구획부의 상면에 형성된 채, 상기 상부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공간을 따라 이동하는 우수의 이동 방향을 변화시키는 우수유도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배관부로 유입된 제1 유량의 우수는, 상기 하부공간을 통해 상기 배관부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배관부로 유입된 상기 제1 유량보다 많은 제2 유량의 우수 중, 일부분은 상기 상부공간으로 이동 중에 상기 우수여과부를 통해 상기 상부공간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으로 이동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이동된 우수는 상기 우수수집부를 통해 수집되고,
    상기 우수유도부는,
    상기 배관부의 우수유입구로부터 우수배출구를 향해 이동되는 우수가 방사상으로 분산되도록 하여, 상기 우수여과부로의 우수 흐름을 유도하며,
    상기 상부공간으로 유입된 우수의 제1 부분은 상기 우수여과부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1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제2 부분은 상기 우수여과부의 내측면과 충돌한 채, 반사되어 상기 원통부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제2 부분의 우수는,
    상기 우수여과부에 체류 중인 이물질이 상기 우수여과부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배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부는,
    속이 빈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되, 상부측이 개구된 공간형성부 및 상기 공간형성부의 개구된 상부측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구비하며,
    상기 배관부는,
    상기 공간형성부의 길이방향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우수수집부는,
    상기 공간형성부의 폭방향 일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3 관통구에 연결되며,
    상기 자외선조사부는,
    상기 커버부에 형성되되, 내부에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공간에 수용된 채,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자외선을 발광하는 자외선발광부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부의 상기 수용공간에 대한 대향면은 자외선이 투과되는 투과부로 형성되어, 상기 자외선발광부에 의해 발광된 자외선이 상기 수용공간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배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부는,
    속이 빈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되, 상부측이 개구된 공간형성부 및 상기 공간형성부의 개구된 상부측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구비하며,
    상기 자외선조사부는,
    상기 커버부의 저면에 장착된 채, 상기 수용공간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우수에 침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배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조사부는,
    상기 장착공간과 상기 우수수집부를 매개하여, 상기 장착공간 내의 반응기체와 상기 자외선발광부에 의해 발생된 오존이 상기 우수수집부로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통로형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배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조사부는,
    상기 커버부에 장착되어, 상기 장착공간으로 기체를 유입시키는 기체유입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배제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부는,
    길이방향 일측면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 관통구 및 길이방향 타측면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 관통구를 구비하며,
    상기 원통부는,
    상기 제1 관통구와 상기 제2 관통구를 관통한 채,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외통부의 수용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수용원통과 상기 외통부의 외측으로 노출된 노출원통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용원통은,
    상부측의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수용원통의 길이방향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배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부는,
    상기 우수여과부의 외주면을 포위하는 보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으로 이동하는 우수에 의한 상기 우수여과부의 상기 원통부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배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부는,
    상기 구획부의 일측에 상기 구획부와 이격되어 배치된 채, 상기 제1 유량의 우수가 상기 하부공간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우수이동방해부를 구비하며,
    상기 우수이동방해부는,
    상기 우수유입구에서 상기 우수배출구를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채, 상기 구획부와의 사이에 제1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유량의 우수는,
    일정량 이상이 상기 우수유입구로 유입된 경우, 상기 우수이동방해부의 상측단을 넘어 상기 제1 유입구를 통해 상기 하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배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우수이동방해부와 대향하는 일측단에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우수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우수가이드부는,
    상기 우수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1 유량의 우수가 상기 하부공간으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배제장치.
KR1020220042360A 2022-04-05 2022-04-05 초기우수 배제장치 KR102414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360A KR102414058B1 (ko) 2022-04-05 2022-04-05 초기우수 배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360A KR102414058B1 (ko) 2022-04-05 2022-04-05 초기우수 배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4058B1 true KR102414058B1 (ko) 2022-06-29

Family

ID=82270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360A KR102414058B1 (ko) 2022-04-05 2022-04-05 초기우수 배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0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054B1 (ko) * 2022-09-15 2023-07-27 윤현수 이동식 처리수 정화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786Y1 (ko) * 2004-04-22 2004-09-14 (주) 퓨쳐에코 살균기능을 갖는 정수기용 저장조
KR100522240B1 (ko) * 2004-09-14 2005-10-18 다불산업주식회사 자외선 및 오존 발생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상수,중앙정수 및 우수처리시스템
KR20120008830A (ko) * 2010-07-20 2012-02-01 (주)일산금속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KR101222885B1 (ko) 2012-07-06 2013-01-17 (주)청운환경기술 초기 우수를 배제한 우수 포집장치
KR20200133656A (ko) * 2019-05-20 2020-11-30 이승홍 초기 우수 배제 및 여과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786Y1 (ko) * 2004-04-22 2004-09-14 (주) 퓨쳐에코 살균기능을 갖는 정수기용 저장조
KR100522240B1 (ko) * 2004-09-14 2005-10-18 다불산업주식회사 자외선 및 오존 발생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상수,중앙정수 및 우수처리시스템
KR20120008830A (ko) * 2010-07-20 2012-02-01 (주)일산금속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KR101222885B1 (ko) 2012-07-06 2013-01-17 (주)청운환경기술 초기 우수를 배제한 우수 포집장치
KR20200133656A (ko) * 2019-05-20 2020-11-30 이승홍 초기 우수 배제 및 여과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054B1 (ko) * 2022-09-15 2023-07-27 윤현수 이동식 처리수 정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4058B1 (ko) 초기우수 배제장치
KR101330572B1 (ko)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수처리장치
KR101364127B1 (ko) 싱크대용 배수구 거름망
KR101106649B1 (ko)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정수기
KR101545182B1 (ko) 유기성폐기물 처리시설의 대기 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782010B1 (ko) 살균 기능을 포함하는 싱크 거름망 어셈블리 및 싱크대 장치
KR200404012Y1 (ko)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
KR101755113B1 (ko) 그리스 트랩
KR20170092503A (ko) 살균 기능을 포함하는 싱크 거름망 어셈블리 및 싱크대 장치
KR101397137B1 (ko) 야외화장실의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
JP2018003446A (ja) 防臭機能を備えた排水桝構造
KR101289936B1 (ko) 트렌치 타입의 악취정화장치
KR102109301B1 (ko) 휴지통과 냄새가 없는 순환수세 이동식 화장실
KR101791451B1 (ko) 위생용 싱크대 거름망 건조기
KR20050080155A (ko) 악취차단과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생활하수용 배수조
RU2292427C2 (ru) Система устранения неприятного запаха из туалета
KR102398648B1 (ko) 초기우수 배제장치
JP3215401U (ja) 自浄循環式簡易トイレ
KR200366612Y1 (ko) 싱크주변의 냄새처리 시스템
CN115707835A (zh) 卫生洁具用臭氧气体缓解设备
KR101610667B1 (ko) 악취저감 시스템
KR20230149625A (ko) 공기 내부순환형 악취제거 및 확산방지 장치
KR20140040588A (ko) 주행풍을 이용하는 쓰레기통
KR102063016B1 (ko) 악취가스 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
KR101172837B1 (ko) 탈취기능을 향상시킨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