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016B1 - 악취가스 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 - Google Patents

악취가스 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016B1
KR102063016B1 KR1020190132714A KR20190132714A KR102063016B1 KR 102063016 B1 KR102063016 B1 KR 102063016B1 KR 1020190132714 A KR1020190132714 A KR 1020190132714A KR 20190132714 A KR20190132714 A KR 20190132714A KR 102063016 B1 KR102063016 B1 KR 102063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dor gas
unit
branch
path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의환
Original Assignee
홍의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의환 filed Critical 홍의환
Priority to KR1020190132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0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장치는, 저면에 세정액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조 및 상기 수조의 하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저면을 관통한 관통구를 통해 상기 수조 내로 악취가스를 배출하는 악취가스배출부를 구비한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에 설치되어 상기 악취가스배출부를 통해 배출된 악취가스를 저감시키는 악취가스 저감장치에 있어서,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저면에 안착되되, 상기 복수의 관통구를 구성하는 각각의 관통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상측에 연결된 채, 상기 악취가스배출부로부터 배출된 악취가스의 이동 방향을 변화시키는 이동방향변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곡면으로 형성된 측면부 및 평면으로 형성된 평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측면부는,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을 향해 비스듬히 관통하여 형성된 제1 기포생성홀을 구비하고, 상기 평면부는,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을 향해 수직하게 관통하여 형성된 제2 기포생성홀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악취가스 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Treatment apparatus for offensive gas and treatment system for offensive ga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악취가스 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하수로부터 발생된 악취가스를 저감시키는 악취가스 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기물처리장, 분뇨처리장, 오폐수처리장, 산업시설 등에서 발생하는 악취가스에는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은 악취가스는 인체 흡입시 두통이나 불쾌감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다각적인 방면에서 악취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많은 악취가스 처리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악취가스 탈취 기술로는, 활성탄 흡착법과 약액 세정법, 오존 산화법 및 연소탈취 등과 같은 물리화학적 처리방법, 토양미생물 처리법, 활성 슬러지 처리방법, 바이오필터 등의 생물학적 처리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은 악취가스를 탈취하고자 하는 처리환경에 따라 선택되어 각각 단독 또는 2개이상 병행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한 악취가스 세정법 중, 습식 스크러버는 일반적으로 약액과 악취가스를 접촉시켜 탈취 처리하는 것이다.
이러한 습식 스크러버는 악취 저감의 목적으로 이용하기보다는 배기가스로부터 오염 물질 또는 분진을 제거하는 목적으로 대기오염 방지시설로써 주로 사용되었으며, 건조설비나 소각로 후단에 설치되어 사이클론 스크러버, 벤츄리 스크러버 및 습식 세정탑의 여러 가지 형태로 현장에 적용되었다.
특히,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공정에서 음식물 투입공정과 후부숙공정의 경우 실내 공간에 악취는 대단히 고농도이며, 이러한 공정 중에 발생하는 음식물로부터 오는 가벼운 협잡물 및 미세분진은 공간적으로 흡기하여 옥외에 설치된 악취저감설비로 배기하였다. 그러나 다량의 오염물질을 충분하게 처리하지 못하여 유입관과 악취저감설비의 성능 저하를 초래함으로써 악취가스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하수 슬러지의 건조공정에서는 건조 슬러지의 배출과정에서 유발된 미세분진이 단위 공기 체적당 더욱 많은 양으로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분진은 유기물 성분과 다량의 수분을 자체적으로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공정 후단에서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설비에 막힘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폐수 처리장의 경우 공간 탈취의 목적으로 악취가스의 처리를 위하여 미생물 탈취기, 약액 세정탑 또는 축열식 탈취기 등을 사용하여 적용하고 있으나 습윤한 미세분진 특히 유기물 성질을 가진 슬러지 및 퇴비의 입자들은 공간 탈취를 위한 흡입 배관과 악취저감설비의 오염을 유발시켜 설비의 수명을 극히 단축시킴과 더불어 빈번한 고장을 초래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악취가스 저감 시설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40217호의 "와류 믹스식 탈취장치 및 상기 탈취장치를 이용한 탈취방법"(이하, 종래기술이라 칭함)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악취가스 저감 시설은, 악취가스가 단순히 덕트를 거쳐 탈취부에 유입된 후 약액 공급관 및 원형으로 형성된 유입관의 분사노즐을 거쳐 분사되는 약액과 접촉하여 탈취가 이루어지는 관계로, 악취가스와 약액의 접촉면적 및 접촉시간이 적게 되며, 이에 따라 악취가스의 탈취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85320호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로부터 발생된 악취를 저감시켜 주위 환경을 개선하고, 악취로 인한 인적 피해를 줄이는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장치는, 저면에 세정액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조 및 상기 수조의 하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저면을 관통한 복수의 관통구를 통해 상기 수조 내로 악취가스를 배출하는 악취가스배출부를 구비한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에 설치되어 상기 악취가스배출부를 통해 배출된 악취가스를 저감시키는 악취가스 저감장치에 있어서,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저면에 안착되되, 상기 복수의 관통구를 구성하는 각각의 관통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상측에 연결된 채, 상기 악취가스배출부로부터 배출된 악취가스의 이동 방향을 변화시키는 이동방향변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곡면으로 형성된 측면부 및 평면으로 형성된 평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측면부는,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을 향해 비스듬히 관통하여 형성된 제1 기포생성홀을 구비하고, 상기 평면부는,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을 향해 수직하게 관통하여 형성된 제2 기포생성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장치의 상기 이동방향변화부는,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의 상측에 연결되며, 상측으로 볼록한 돔형으로 형성되는 돔형부를 구비하며, 상기 악취가스배출부로부터 상측으로 배출된 악취가스는, 상기 돔형부와 충돌한 채, 상기 원통부를 따라 하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장치는 상기 관통구로부터 상기 저면의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체결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된 체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돌출부와 연결되는 매개부 및 상기 매개부와 연결된 채, 상기 원통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착탈부를 구비하고, 상기 착탈부는,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경로부를 구비하며, 상기 원통부는, 내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채, 이격되어 배치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로부가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삽입된 채, 슬라이딩되어 상기 착탈부에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장치의 상기 경로부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경로편 및 제2 경로편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경로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편 및 상기 제2 경로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편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장치의 상기 가이드부는, 이격되어 배치되어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제1 돌출형성부 및 제2 돌출형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돌출형성부는, 하측면이 상기 제2 돌출형성부를 향해 비스듬히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형성부는, 하측면이 상기 제1 돌출형성부를 향해 비스듬히 형성되어, 상기 경로부의 상기 이격공간으로의 유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장치의 상기 이동방향변화부는, 상기 원통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확인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장치의 상기 제1 기포생성홀은, 상기 악취가스배출부로부터 배출된 악취가스가 상기 측면부의 외측면을 따라 회류되도록 하여, 상기 세정액 내에서의 체류 시간이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은, 하수로부터 발생된 악취가스를 저감시키는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에 있어서, 저면에 세정액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조 및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세정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구를 구비한 본체부, 상기 수조의 하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저면을 관통한 복수의 관통구를 통해 상기 수조 내로 악취가스를 배출하는 악취가스배출부, 상기 복수의 관통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악취가스 저감장치 및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세정액의 상기 배수구로의 이동 경로 상에 설치되어, 개폐에 따라 상기 세정액의 상기 배수구로의 배출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배수구를 구획하며, 복수의 배출공을 구비하는 구획부, 상기 구획부를 기준으로 승강하여 상기 복수의 배출공의 개방 크기를 결정하는 웨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부터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웨어부를 작동하는 레버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의 상기 레버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 설치된 채, 외력이 인가되는 외력인가부, 상기 웨어부와 연결된 채, 상기 외력인가부로부터 인가된 외력에 회동되는 회동부 및 상기 외력인가부와 상기 회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동부는, 제1 직선 상의 경로로 위치 이동되는 상기 연결부의 위치 이동에 따라 회동되어, 상기 웨어부가 상기 제1 직선과 수직한 제2 직선 상의 경로로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의 상기 회동부는, 상기 구획부에 연결된 고정축으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된 제1 가지부 및 제2 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가지부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가지부는, 상기 웨어부에 연결된 가변축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가지부는, 상기 연결부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축을 기준으로 회동되고, 상기 제2 가지부는, 상기 제1 가지부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어 회동되며, 상기 웨어부는, 상기 제1 가지부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제2 직선 상의 경로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의 상기 제1 가지부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제2 직선 상의 경로 중 상기 제1 가지부를 향한 제1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제2 가지부는, 상기 제1 가지부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구획부를 기준으로 하강하여, 연결된 상기 웨어부가 하강하도록 하고, 상기 제1 가지부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구획부를 기준으로 상승하여, 연결된 상기 웨어부가 상승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의 상기 제2 가지부는, 상기 구획부를 기준으로 승강하는 경우, 상기 가변축을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의 상기 웨어부는, 상기 구획부와 밀착된 채, 승강되며, 상기 가변축과 연결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기 수조의 저면을 기준으로 사선으로 형성된 가이드홀 및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된 채, 상기 플레이트부가 상기 구획부에 장착되도록 하는 장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가변축의 승강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부가 승강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의 상기 외력인가부는, 상기 본체부의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며,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 배치된 채, 외력이 인가되는 작동부 및 일측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작동부에 연결되는 와이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의 상기 외력인가부는, 상기 장착공간을 분할하는 분할부 및 상기 분할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연결부의 위치 이동에 따라 탄성 변형되어, 상기 연결부와 상기 와이어부 사이에 텐션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의 상기 작동부는, 반원 형상의 관통홀을 형성하는 수위조절부, 상기 수위조절부에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부가 권취되는 권취부 및 상기 권취부와 연결된 채, 인가된 외력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권취부를 회전시키는 연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의 상기 수위조절부는, 상기 반원 형상의 관통홀을 따라, 상기 수조 내의 유체 수위가 표시된 표시부 및 일측은 상기 연동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표시부가 표시된 일면으로 노출되는 표시지침부를 구비하며, 상기 표시지침부는, 상기 연동부에 의한 상기 웨어부의 위치에 따른 상기 수조 내의 유체 수위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악취가스와 약액과의 접촉 시간을 늘려, 악취가스의 효율적인 정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수조의 유체 수위를 조절하는 웨어(weir)를 수조 내부가 아닌, 외부에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수조의 유체 수위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장치를 도시한 개략 저면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장치의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장치의 프레임부 및 체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의 연결부 및 회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의 외력인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악취가스 저감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장치를 도시한 개략 저면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장치의 프레임부 및 체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장치(10)는, 저면에 세정액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S, 도 6 참조)이 형성된 수조(21, 도 6 참조) 및 상기 수조(21)의 하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저면을 관통한 관통구(미도시)를 통해 상기 수조(21) 내로 악취가스를 배출하는 악취가스배출부(미도시)를 구비한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1, 도 7 참조)에 설치되어, 상기 악취가스배출부를 통해 배출된 악취가스를 저감시키는 장치일 수 있다.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1)은, 이하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악취가스 저감장치(10)는, 프레임부(11) 및 이동방향변화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1) 및 이동방향변화부(13)는, ABS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프레임부(11)는,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저면에 안착되되, 상기 복수의 관통구를 구성하는 각각의 관통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1)는, 상측면은 상기 이동방향변화부(13)에 연결되고, 하측면은 개구가 형성된 채, 개구에 의해 관통구가 포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관통구로부터 배출된 악취가스는 상기 프레임부(11) 및 이동방향변화부(13)를 거쳐 상기 수조(21) 내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11)는, 곡면으로 형성된 측면부(11a) 및 평면으로 형성된 평면부(11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평면부(11b)는, 상기 프레임부(11)의 상측면으로서, 상측면 중 상기 이동방향변화부(13)가 위치하는 영역 외의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측면부(11a)는,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을 향해 비스듬히 관통하여 형성된 제1 기포생성홀(11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포생성홀(111)은, 상기 측면부(11a)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포생성홀(111)은, 상기 악취가스배출부(미도시)로부터 배출된 악취가스가 상기 측면부(11a)의 외측면을 따라 회류되도록 하여, 상기 세정액 내에서의 체류 시간이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평면부(11b)는,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을 향해 수직하게 관통하여 형성된 제2 기포생성홀(11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포생성홀(112)은 상기 평면부(11b)의 외측면을 따라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기포생성홀(111)과 상기 제2 기포생성홀(112)의 생성 방향은 상이하게 배치되며, 악취가스는 상기 프레임부(11)로부터의 이탈이 복수의 생성홀(111, 112)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탈 경로의 무작위성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11) 내 유체가 와류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부(11) 내의 악취가스는 유체(세정액) 내에서의 체류 시간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이동방향변화부(13)는, 상기 프레임부(11)의 상측에 연결된 채, 상기 악취가스배출부로부터 배출된 악취가스의 이동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방향변화부(13)는,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원통부(131) 및 상기 원통부(131)의 상측에 연결되며, 상측으로 볼록한 돔형으로 형성되는 돔형부(1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원통부(131) 및 상기 돔형부(133)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공간은 상기 프레임부(11)의 내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악취가스배출부로부터 상측으로 배출된 악취가스는, 상기 돔형부(133)와 충돌한 채, 상기 원통부(131)를 따라 하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장치(10)는 체결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5)는, 상기 관통구로부터 상기 저면의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3)와 체결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부(15)는, 상기 돌출부(33)와 연결되는 매개부(151) 및 상기 매개부(151)와 연결된 채, 상기 원통부(131)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착탈부(15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매개부(151)의 외주면은 수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33)의 내주면은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매개부(151)와 상기 돌출부(33)는 나사산 결합에 의해 결합되거나 결합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3)의 높이는 상기 프레임부(11)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매개부(151)가 상기 돌출부(33) 내로 삽입 완료되면, 상기 착탈부(153)의 하측단은 상기 돌출부(33)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착탈부(153)는 상기 원통부(131)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매개부(151)는, 상기 원통부(131)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33)를 통해 배출된 악취가스는 상기 매개부(151)를 통해 상기 돔형부(133)를 향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돔형부(133)에 충돌한 악취가스는, 상기 돔형부(133)의 형상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원통부(131)를 따라 상기 프레임부(11)가 형성하는 공간 내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조(21) 내의 세정액은, 상기 프레임부(11)의 높이보다 높게 채워지되, 상기 돔형부(133) 보다는 낮은 수위로 채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조(21) 내의 세정액은 상기 원통부(131)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착탈부(153)를 통해 상기 악취가스배출부로 유입될 수 없다. 이는, 상기 악취가스배출부로부터의 악취가스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상기 세정액의 상기 악취가스배출부로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착탈부(153)가 상기 원통부(131)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 배치되는 중에 상기 원통부(131)와 체결되어,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착탈부(153)는,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경로부(15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원통부(131)는, 내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채, 이격되어 배치되는 가이드부(13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통부(131)는, 상기 경로부(154)가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가이드부(134) 사이에 삽입된 채, 슬라이딩되어 상기 착탈부(153)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경로부(154)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경로편(154a) 및 제2 경로편(154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34)는, 상기 제1 경로편(154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편(134a) 및 상기 제2 경로편(154b)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편(134b)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부(134a)는, 이격되어 배치되어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제1 돌출형성부(1341) 및 제2 돌출형성부(134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형성부(1341)는, 하측면이 상기 제2 돌출형성부(1342)를 향해 비스듬히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돌출형성부(1342)는, 하측면이 상기 제1 돌출형성부(1341)를 향해 비스듬히 형성되어, 상기 경로부(154)의 상기 이격공간으로의 유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부(134b)는, 상기 제1 가이드부(134a)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상기 가이드부(134)가 2개, 상기 경로부(154)가 2개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면과 같이 가이드부(134)가 4개, 경로부(154)가 4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이동방향변화부(13)는, 상기 원통부(131)의 외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부(13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상기 가이드부(134)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확인부(13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위치확인부(135)를 설명하기 전에, 상기 착탈부(153)와 상기 원통부(131)의 착탈 과정을 설명하면, 우선 상기 돌출부(33)와 상기 매개부(151)를 나사 결합하고, 상기 매개부(151)의 경로부(154)와 상기 원통부(131)의 가이드부(134)가 동일 선상에 배치되도록 한 후, 상기 경로부(154)가 상기 가이드부(134)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상기 프레임부(11)가 상기 수조(21) 저면에 안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경로부(154)와 상기 가이드부(134)를 동일 선상에 배치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상기 원통부(131)의 내측에 위치한 가이드부(134)는 외부에서는 확인할 수 없으며, 상기 경로부(154)는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가이드부(134)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반복적으로 상기 원통부(131)의 내부 공간을 확인하여야 하며, 이 과정에서도 정확한 위치를 맞추기가 쉽지 않다.
상기 위치확인부(135)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외부에서도 상기 가이드부(134)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가이드부(134)와 상기 경로부(154)를 동일 선상에 배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위치확인부(135)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돌출된 부재 또는 구별이 용이한 색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의 연결부 및 회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1)은 하수로부터 발생된 악취가스를 저감시키는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1)은, 본체부(20), 악취가스배출부(미도시), 악취가스 저감장치(10) 및 개폐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는, 저면에 세정액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S)이 형성된 수조(21) 및 상기 수용공간(S)에 수용된 세정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구(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수구(23)는, 상기 수조(21) 내에 수용된 세정액을 교체하거나 수조(21) 내의 세정액 수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수조(21) 내의 세정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의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악취가스배출부는, 상기 수조(21)의 하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저면을 관통한 복수의 관통구의 돌출부(33)를 통해 상기 수조(21) 내로 악취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악취가스 저감장치(10)는, 상기 복수의 관통구와 대응되는 위치 각각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상기 악취가스 저감장치(10)일 수 있다.
상기 개폐부(40)는, 상기 수용공간(S)에 수용된 세적액의 상기 배수구(23)로의 이동 경로 상에 설치되어, 개폐에 따라 상기 세정액의 상기 배수구(23)로의 배출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부(40)는, 상기 수용공간(S)과 상기 배수구(23)를 구획하며, 복수의 배출공(H, 도 9 참조)을 구비하는 구획부(41), 상기 구획부(41)를 기준으로 승강하여 상기 복수의 배출공의 개방 크기를 결정하는 웨어부(43) 및 상기 본체부(20)의 외부로부터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웨어부(43)를 작동하는 레버부(4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배출공(W)은, 상기 구획부(41)의 상측단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웨어부(43)의 높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노출되는 정도가 상이해질 수 있다.
상기 웨어부(43)는, 상기 복수의 배출공(W)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배출공(W) 전체와 중첩되어 배치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배출공(W)을 막을 수 있다.
상기 레버부(45)는, 상기 본체부(20)의 외부에 설치된 채, 외력이 인가되는 외력인가부(451), 상기 웨어부(43)와 연결된 채, 상기 외력인가부(451)로부터 인가된 외력에 회동되는 회동부(453) 및 상기 외력인가부(451)와 상기 회동부(453)를 연결하는 연결부(45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동부(453)는, 제1 직선(L1) 상의 경로로 위치 이동되는 상기 연결부(457)의 위치 이동에 따라 회동되어, 상기 웨어부(43)가 상기 제1 직선(L1)과 수직한 제2 직선(L2) 상의 경로로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직선(L1) 상의 경로는, 지면과 수평한 방향이며, 상기 제2 직선(L2) 상의 경로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이다.
상기 웨어부(43)는, 상기 회동부(453)의 위치 이동과 연동되되, 상기 회동부(453)의 위치 이동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1)의 회동부(453)는, 상기 구획부(41)에 연결된 고정축(C1)으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된 제1 가지부(453a) 및 제2 가지부(453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지부(453a)는, 상기 연결부(457)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지부(453a)는, 상기 연결부(457)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축(C1)을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지부(453b)는, 상기 웨어부(43)에 연결된 가변축(C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지부(453b)는, 상기 제1 가지부(453a)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어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웨어부(43)는, 상기 제1 가지부(453a)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제2 직선(L2) 상의 경로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지부(453a)는, 상기 연결부(457)가 상기 제1 직선(L1) 상의 경로 중, 상기 제1 가지부(453a)를 향한 제1 방향(D1)으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제1 방향(D1)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D2)으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지부(453b)는, 상기 제1 가지부(453a)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구획부(41)를 기준으로 하강하여, 연결된 상기 웨어부(43)가 하강하도록 하고, 상기 제1 가지부(453a)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구획부(41)를 기준으로 상승하여, 연결된 상기 웨어부(43)가 상승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지부(453b)는, 상기 구획부(41)를 기준으로 승강하는 경우, 상기 가변축(C2)을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웨어부(43)는, 상기 구획부(41)와 밀착된 채, 승강되며 상기 가변축(C2)과 연결되는 플레이트부(431), 상기 플레이트부(431)를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기 수조(21)의 저면을 기준으로 사선으로 형성된 가이드홀(433) 및 상기 가이드홀(433)에 삽입된 채, 상기 플레이트부(431)가 상기 구획부(41)에 장착되도록 하는 장착부(43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435)는, 상기 가변축(C2)의 승강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부(431)가 승강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홀(433)을 따라 위치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가지부(453a)의 끝단에는 상기 연결부(457)가 장착되는 장착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457)는 상기 장착홀에 삽입된 채, 회동 또는 상기 장착홀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의 외력인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1)의 외력인가부는, 상기 본체부(20)의 수용공간(S)과 외부를 연통하며,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된 베이스부(51), 상기 본체부(20)의 외부에 배치된 채, 외력이 인가되는 작동부(53) 및 일측은 상기 연결부(457)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작동부(53)에 연결되는 와이어부(5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력인가부는, 상기 장착공간을 분할하는 분할부(55) 및 상기 분할부(55)와 상기 연결부(457)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5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P)은, 상기 분할부(55)에 의하여, 제1 공간(P1)과 제2 공간(P2)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공간(P1)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수조(21)의 수용공간(S)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공간(P2)은 상기 본체부(2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57)는, 상기 제1 공간(P1)과 상기 제2 공간(P2)에 걸쳐진 채,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공간(P1)에만 위치하는 경우, 상기 수조(21)의 수용공간(S)으로 최대 돌출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방향(D2)으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 공간(P2)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56)는, 상기 연결부(457)의 위치 이동에 따라 탄성 변형되어, 상기 연결부(457)와 상기 와이어부(54) 사이에 텐션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56)는, 일측은 상기 분할부(55)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연결부(457)에 고정된 채, 탄성 변형될 수 있는데, 이 때 상기 연결부(457)가 상기 제2 공간(P2)으로 진입하면, 상기 탄성부(56)는 압축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457)는 상기 탄성부(56)의 압축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방향(D1)으로 외력이 작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457)는 상기 복원력 보다 작은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457)는, 상기 탄성부(56)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분할부(55)와의 사이에서 텐션이 작용되면, 예기치 못한 외력에 의한 위치 이동이 제한되며, 이는 상기 웨어부(43)의 위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웨어부(43)에 의한 상기 수조(21) 내의 유체 수위를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웨어부(43)에 작용하는 외력(수조 내의 세정액의 수위에 따른 수압 등)에 의해 상기 연결부(457)가 위치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1)의 작동부(53)는, 반원 형상의 관통홀을 형성하는 수위조절부(531), 상기 수위조절부(531)에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부(54)가 권취되는 권취부(533) 및 상기 권취부(533)와 연결된 채, 인가된 외력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권취부(533)를 회전시키는 연동부(53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위조절부(531)는, 상기 반원 형상의 관통홀(H)을 따라, 상기 수조(21) 내의 유체 수위가 표시된 표시부(531a) 및 일측은 상기 연동부(535)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관통홀(H)을 관통하여 상기 표시부(531a)가 표시된 일면으로 노출되는 표시지침부(531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531a)는, 상기 연동부(535)에 의한 상기 웨어부(43)의 위치에 따른 상기 수조(21) 내의 유체 수위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수위를 맞추기 위하여, 상기 표시부(531a)에 표시된 유체 수위에, 상기 표시지침부(531b)를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수조(21) 내의 유체 수위를 맞출 수 있으며, 또한 외부에서 수조(21)의 현재 수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
10: 악취가스 저감장치
11: 프레임부
13: 이동방향변화부
15: 체결부
20: 본체부
30: 악취가스배출부
40: 개폐부
41: 구획부
43: 웨어부
45: 레버부
C1: 고정축
C2: 가변축

Claims (17)

  1. 저면에 세정액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조 및 상기 수조의 하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저면을 관통한 복수의 관통구를 통해 상기 수조 내로 악취가스를 배출하는 악취가스배출부를 구비한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에 설치되어 상기 악취가스배출부를 통해 배출된 악취가스를 저감시키는 악취가스 저감장치에 있어서,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저면에 안착되되, 상기 복수의 관통구를 구성하는 각각의 관통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상측에 연결된 채, 상기 악취가스배출부로부터 배출된 악취가스의 이동 방향을 변화시키는 이동방향변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곡면으로 형성된 측면부 및 평면으로 형성된 평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측면부는,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을 향해 비스듬히 관통하여 형성된 제1 기포생성홀을 구비하고,
    상기 평면부는,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을 향해 수직하게 관통하여 형성된 제2 기포생성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스 저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향변화부는,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의 상측에 연결되며, 상측으로 볼록한 돔형으로 형성되는 돔형부를 구비하며,
    상기 악취가스배출부로부터 상측으로 배출된 악취가스는, 상기 돔형부와 충돌한 채, 상기 원통부를 따라 하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스 저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로부터 상기 저면의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체결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된 체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돌출부와 연결되는 매개부 및 상기 매개부와 연결된 채, 상기 원통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착탈부를 구비하고,
    상기 착탈부는,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경로부를 구비하며,
    상기 원통부는,
    내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채, 이격되어 배치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로부가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삽입된 채, 슬라이딩되어 상기 착탈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스 저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부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경로편 및 제2 경로편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경로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편 및 상기 제2 경로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스 저감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이격되어 배치되어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제1 돌출형성부 및 제2 돌출형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돌출형성부는,
    하측면이 상기 제2 돌출형성부를 향해 비스듬히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형성부는,
    하측면이 상기 제1 돌출형성부를 향해 비스듬히 형성되어, 상기 경로부의 상기 이격공간으로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스 저감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향변화부는,
    상기 원통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확인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스 저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포생성홀은,
    상기 악취가스배출부로부터 배출된 악취가스가 상기 측면부의 외측면을 따라 회류되도록 하여, 상기 세정액 내에서의 체류 시간이 연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스 저감장치.
  8. 하수로부터 발생된 악취가스를 저감시키는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에 있어서,
    저면에 세정액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조 및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세정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구를 구비한 본체부;
    상기 수조의 하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저면을 관통한 복수의 관통구를 통해 상기 수조 내로 악취가스를 배출하는 악취가스배출부;
    상기 복수의 관통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악취가스 저감장치; 및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세정액의 상기 배수구로의 이동 경로 상에 설치되어, 개폐에 따라 상기 세정액의 상기 배수구로의 배출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배수구를 구획하며, 복수의 배출공을 구비하는 구획부, 상기 구획부를 기준으로 승강하여 상기 복수의 배출공의 개방 크기를 결정하는 웨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부터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웨어부를 작동하는 레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 설치된 채, 외력이 인가되는 외력인가부, 상기 웨어부와 연결된 채, 상기 외력인가부로부터 인가된 외력에 회동되는 회동부 및 상기 외력인가부와 상기 회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동부는,
    제1 직선 상의 경로로 위치 이동되는 상기 연결부의 위치 이동에 따라 회동되어, 상기 웨어부가 상기 제1 직선과 수직한 제2 직선 상의 경로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구획부에 연결된 고정축으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된 제1 가지부 및 제2 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가지부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가지부는,
    상기 웨어부에 연결된 가변축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가지부는,
    상기 연결부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축을 기준으로 회동되고,
    상기 제2 가지부는,
    상기 제1 가지부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어 회동되며,
    상기 웨어부는,
    상기 제1 가지부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제2 직선 상의 경로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지부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제2 직선 상의 경로 중 상기 제1 가지부를 향한 제1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제2 가지부는,
    상기 제1 가지부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구획부를 기준으로 하강하여, 연결된 상기 웨어부가 하강하도록 하고, 상기 제1 가지부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구획부를 기준으로 상승하여, 연결된 상기 웨어부가 상승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지부는,
    상기 구획부를 기준으로 승강하는 경우, 상기 가변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부는,
    상기 구획부와 밀착된 채, 승강되며, 상기 가변축과 연결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기 수조의 저면을 기준으로 사선으로 형성된 가이드홀 및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된 채, 상기 플레이트부가 상기 구획부에 장착되도록 하는 장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가변축의 승강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부가 승강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인가부는,
    상기 본체부의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며,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 배치된 채, 외력이 인가되는 작동부 및 일측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작동부에 연결되는 와이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인가부는,
    상기 장착공간을 분할하는 분할부 및 상기 분할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연결부의 위치 이동에 따라 탄성 변형되어, 상기 연결부와 상기 와이어부 사이에 텐션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반원 형상의 관통홀을 형성하는 수위조절부, 상기 수위조절부에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부가 권취되는 권취부 및 상기 권취부와 연결된 채, 인가된 외력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권취부를 회전시키는 연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부는,
    상기 반원 형상의 관통홀을 따라, 상기 수조 내의 유체 수위가 표시된 표시부 및 일측은 상기 연동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표시부가 표시된 일면으로 노출되는 표시지침부를 구비하며,
    상기 표시지침부는,
    상기 연동부에 의한 상기 웨어부의 위치에 따른 상기 수조 내의 유체 수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
KR1020190132714A 2019-10-24 2019-10-24 악취가스 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 KR102063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714A KR102063016B1 (ko) 2019-10-24 2019-10-24 악취가스 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714A KR102063016B1 (ko) 2019-10-24 2019-10-24 악취가스 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3016B1 true KR102063016B1 (ko) 2020-01-06

Family

ID=69158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714A KR102063016B1 (ko) 2019-10-24 2019-10-24 악취가스 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01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845B1 (ko) 2007-12-06 2008-04-11 (주)이화에코시스템 2액 동시세정 탈취탑
KR101882218B1 (ko) 2018-07-05 2018-08-27 (주)이화에코시스템 교체가 용이한 제트노즐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KR101901719B1 (ko) 2018-05-21 2018-11-22 (주)현보산업 다단 선회류 습식 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845B1 (ko) 2007-12-06 2008-04-11 (주)이화에코시스템 2액 동시세정 탈취탑
KR101901719B1 (ko) 2018-05-21 2018-11-22 (주)현보산업 다단 선회류 습식 집진장치
KR101882218B1 (ko) 2018-07-05 2018-08-27 (주)이화에코시스템 교체가 용이한 제트노즐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6227B1 (ko) 격자틀을 이용한 약액세정 및 와류믹서식 탈취장치
KR102069379B1 (ko) 오염공기 탈취장치
KR101591849B1 (ko) 세정식 탈취장치
KR101628712B1 (ko) 복합 다단 탈취 장치
KR101056064B1 (ko) 고농도 악취와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를 위한 스크러버와 바이오필터 일체형 탈취장치
JP5405014B2 (ja) 脱臭装置および脱臭方法
KR100948652B1 (ko) 탈취 효율이 높은 와류 회절 믹서 탈취기
KR20220137514A (ko) 악취 제거용 플라즈마 발생 유닛, 플라즈마 발생 모듈을 포함한 악취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계장 악취 제거 장치
KR101738349B1 (ko) 악취 제거장치
KR102063016B1 (ko) 악취가스 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
KR100902791B1 (ko) 탈취 장치
KR100540217B1 (ko) 와류 믹스식 탈취장치 및 상기 탈취장치를 이용한 탈취방법
KR102086738B1 (ko) 오존과 광촉매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악취저감장치
KR102063645B1 (ko) 악취가스의 탈취장치
KR101142967B1 (ko) 이온수와 선회류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KR100906803B1 (ko) 악취 제거장치
KR101041216B1 (ko) 회전형 바이오 탈취장치
KR102437262B1 (ko) 수세정 기능이 향상된 악취가스 탈취장치
KR102395853B1 (ko) 자기부상 회전식 급속 기액혼합 탈취장치
KR20210059528A (ko) 복합 다단식 탈취장치
KR101006615B1 (ko) 악취제거장치 및 스크러버
KR102248512B1 (ko) 악취저감장치
KR200312656Y1 (ko) 와류 믹스식 탈취장치
KR101868046B1 (ko) 포기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악취제거설비
KR101831839B1 (ko) 백연 방지 기능을 갖는 복합악취 제거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