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803B1 - 악취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악취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803B1
KR100906803B1 KR1020080138119A KR20080138119A KR100906803B1 KR 100906803 B1 KR100906803 B1 KR 100906803B1 KR 1020080138119 A KR1020080138119 A KR 1020080138119A KR 20080138119 A KR20080138119 A KR 20080138119A KR 100906803 B1 KR100906803 B1 KR 100906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unit
odor
filter
distribu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양근
고인범
이완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주식회사 엔비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주식회사 엔비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Priority to KR1020080138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68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4Packed scrub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입된 악취가스의 습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켜 주는 한편 미생물이 서식하는 탈취용 담체로 악취가스가 통과되게 하여 악취가 제거되게 하는 악취 제거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에 고정설치되는 원통형 습도조절기 바디의 한쪽에 악취가스가 유입되는 악취가스 유입구가 형성되며 습도조절기 바디의 내부에 일정 수준의 물이 존재할 수 있게 습도조절기 바디의 하측 외주에는 물공급 탱크가 형성되는 한편 습도조절기 바디의 상부에는 악취가스 유입구에서 유입된 후 습도가 조절된 악취가스의 상향 배출을 유도하는 악취가스 유도구가 형성되되 습도조절기 바디의 내부 상측에는 악취가스 유도구를 향해 흐르는 악취가스와의 접촉면적 증대를 위한 충진재가 일정 두께 채워진 습도조절 유닛; 습도조절기의 악취가스 유도구를 통과한 악취가스의 진행방향이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변경되게 하며 단면적이 증가가 되는 형태의 분배기 헤드가 습도조절기의 악취가스 유도구의 상측에 유입 측이 접속되어 설치되는 한편 분배기 헤드의 유출 측에는 일정 길이 단위씩 다수의 분배기 바디가 연장설치되되 각 분배기 바디의 내부에는 물 스프레이가 설치된 악취가스 분배 유닛; 일정 크기를 갖는 상자형태의 다수의 필터 박스가 악취가스 분배 유닛의 하측에 다수의 층으로 적층이 되되 최상층에 위치된 각 필터 박스 내부로는 분배기 바디에 설치된 물 스프레이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가운데 악취가스가 유입이 되게 분배기 바디의 하측에 마련된 분배구와 상부가 연통이 되는 한편 상층과 하층에 위치된 각 필터 박스끼리는 상하방향으로 연통이 되며 각각의 필터 박스 내부에는 미생물이 서식가능한 탈취용 담체가 채워진 바이오 필터 유닛; 바이오 필터 유닛의 길이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으며 상부가 개방된 도랑 형태로 바이오 필터 유닛의 최하층에 위치된 필터 박스들을 통해 배출되는 기체 및 액체가 모이는 콜렉팅 챔버가 내측에 마련되는 한편 상단은 바이오 필터 유닛을 떠받치는 서포터에 고정 설치되는 콜렉팅 유닛; 콜렉팅 유닛의 일단에 접속되는 일정 내부공간을 갖는 통 형태의 세퍼레이터 바디의 하측에는 액체가 배출되는 액체 배출구가 설치되는 한편 상측에는 기체가 배출되는 기체 배출구가 설치된 기액 분리 유닛; 및 기액 분리 유닛의 기체 배출구에 흡입단이 접속되어 전동모터의 회전 구동시 흡입단과 접속된 기액 분리 유닛 내의 기체를 흡입하여 배출단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탈취 팬; 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Figure R1020080138119
악취, 제거, 필터, 기액 분리, 습도

Description

악취 제거장치{Device for removing bad smell}
본 발명은 악취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악취가 발생하게 되는 하수 처리장, 쓰레기 적환장, 분뇨 처리장, 음식물 처리장, 식품생산공장 및 화학공장 등에서 악취의 제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악취 제거를 위한 설비의 시공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악취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 처리장, 폐수 종말 처리장, 쓰레기 적환장, 축산 및 분뇨 처리장, 퇴비공장 및 음식물 처리장, 식품생산 공장 및 제약공장 등에서는 폐수, 화학약품 등의 각종 물질이 처리되는 과정에서 심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악취는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아민류 및 기타 자극성이 있는 기체상 물질이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사람으로 하여금 불쾌감과 혐오감을 느끼게 하는 원인이 된다. 악취의 발생물질이나 발생원에 따라 오염물질의 구성이 매우 다양하나 주요 악취 유발 물질로는 황화수소, 메르캅탄과 같은 황화합물, 암모니아 아민과 같은 질소화합물,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 등을 포함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또는 휘발성 황화합물(Volatile Sulphur Compounds) 등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악취의 정화방법은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방법으로 분리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는 활성탄 흡착법, 약액 세정법, 폭기조 탈취법, 토양 탈취법, 연소법, 냉각응축법, 바이오 필터 이용법 등이 있다.
특히, 악취 정화방법의 하나인 바이오 필터 이용법은 악취가스가 미생물이 서식하는 담체가 충전된 탈취재를 통과할 때 악취 성분이 담체에 흡착 또는 흡착된 후 담체에 서식하고 있는 미생물에 의해서 분해되는 공정을 통해서 처리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단위 크기당 악취제거의 효율을 높이려면 습도, 온도, 수소 이온농도, 자양성분조건 등 미생물의 생활조건이 적정 수준으로 유지되어야 하며, 악취 제거성능을 높이려면 미생물의 서식면적을 넓혀 많은 미생물이 존재하도록 하여야 하는 한편 미생물에 영양분이 고르게 공급될 수 있도록 악취가스가 담체를 고르게 통과되도록 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점이 고려되어 본 출원인에 의해서 개발된 '폐기가스의 생물학적 탈취방법 및 장치'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38050호를 통해서 공지된 상태이다.
이후, 본 출원인은 악취제거가 필요한 하수 처리장, 폐수 종말 처리장, 쓰레기 적환장, 축산 및 분뇨 처리장, 퇴비공장 및 음식물 처리장, 식품생산 공장 및 제약공장 등에 악취 제거장치를 설비하고 이를 운전하는 과정에서 더욱 효율적인 악취의 제거 및 악취 제거장치의 최적 설계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상당 부분이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하수 처리장, 쓰레기 적환장, 분뇨 처리장, 음식물 처리장, 식품생산공장 및 화학공장 등에서의 공정에서 발생하게 되는 악취가 생물학적으로 산화, 분해되어 악취가 제거될 수 있게 하기 위한 악취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습도조절 유닛, 악취가스 분배 유닛, 바이오 필터 유닛, 콜렉팅 유닛, 기액 분리 유닛 및 탈취 팬 등이 콤팩트하면서도 유기적으로 조립이 이루어져 악취가스 중에 포함된 악취의 제거가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악취 제거를 위한 설비의 시공 및 유지 관리 측면에서도 유리해질 수 있도록 한 악취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유입된 악취가스의 습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켜 주는 한편 미생물이 서식하는 탈취용 담체로 악취가스가 통과되게 하여 악취가 제거되게 하는 악취 제거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에 고정설치되는 원통형 습도조절기 바디의 한쪽에 악취가스가 유입되는 악취가스 유입구가 형성되며 습도조절기 바디의 내부에 일정 수준의 물이 존재할 수 있게 습도조절기 바디의 하측 외주에는 물공급 탱크가 형성되는 한편 습도조절기 바디의 상부에는 악취가스 유입구에서 유입된 후 습도가 조절된 악취가스의 상향 배출을 유도하는 악취가스 유도구가 형성되되 습도조절기 바디의 내부 상측에는 악취가스 유도구를 향해 흐르는 악취가스와의 접촉면적 증대를 위한 충진재가 일정 두께 채워진 습도조절 유닛; 습도조절기의 악취가스 유도구를 통과한 악취가스의 진행방향이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변경되게 하며 단면적이 증가가 되는 형태의 분배기 헤드가 습도조절기의 악취가스 유도구의 상측에 유입 측이 접속되어 설치되는 한편 분배기 헤드의 유출 측에는 일정 길이 단위씩 다수의 분배기 바디가 연장설치되되 각 분배기 바디의 내부에는 물 스프레이가 설치된 악취가스 분배 유닛; 일정 크기를 갖는 상자형태의 다수의 필터 박스가 악취가스 분배 유닛의 하측에 다수의 층으로 적층이 되되 최상층에 위치된 각 필터 박스 내부로는 분배기 바디에 설치된 물 스프레이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가운데 악취가스가 유입이 되게 분배기 바디의 하측에 마련된 분배구와 상부가 연통이 되는 한편 상층과 하층에 위치된 각 필터 박스끼리는 상하방향으로 연통이 되며 각각의 필터 박스 내부에는 미생물이 서식가능한 탈취용 담체가 채워진 바이오 필터 유닛; 바이오 필터 유닛의 길이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으며 상부가 개방된 도랑 형태로 바이오 필터 유닛의 최하층에 위치된 필터 박스들을 통해 배출되는 기체 및 액체가 모이는 콜렉팅 챔버가 내측에 마련되는 한편 상단은 바이오 필터 유닛을 떠받치는 서포터에 고정 설치되는 콜렉팅 유닛; 콜렉팅 유닛의 일단에 접속되는 일정 내부공간을 갖는 통 형태의 세퍼레이터 바디의 하측에는 액체가 배출되는 액체 배출구가 설치되는 한편 상측에는 기체가 배출되는 기체 배출구가 설치된 기액 분리 유닛; 및 기액 분리 유닛의 기체 배출구에 흡입단이 접속되어 전동모터의 회전 구동시 흡입단과 접속된 기액 분리 유닛 내의 기체를 흡입하여 배출단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탈취 팬; 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에서 습도조절기 바디의 내부 상측에는 충진재를 향해서 물이 분사되게 하는 물공급 파이프와 접속되는 환 형태의 물 스프레이 파이프가 설치되되 물 스프레이 파이프는 습도조절기 바디의 천장에서 일정 높이 하측을 향해 설치되는 노즐 서포터에 고정 설치되는 한편 물 스프레이 파이프의 하부 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물 스프레이 노즐이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에서 악취가스 분배 유닛의 분배기 헤드의 유출 측은 양 갈래로 분리 형성되어 분리된 양측에 각각 다수의 분배기 바디가 연결 설치되되 각 분배기 바디의 하측에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복수의 분배구가 형성되는 한편 각 분배구는 바이오 필터 유닛의 최상층에 설치된 필터 박스와 연통이 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에서 바이오 필터 유닛의 각 필터 박스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망상으로 형성되되 상층의 필터 박스 하부 둘레가 하측의 필터 박스 상부 둘레에 끼워 조립되게 상광하협의 상자형태로 형성되는 한편 최상층의 필터 박스는 필터 박스의 상부를 덮는 필터 커버로 씌워지고 필터 커버의 상면 중앙에 관통 형성된 연결구와 분배기 바디의 분배구 사이는 주름관으로써 연결되는 한편 분배기 바디 내측에 설치된 물 스프레이와 연결구의 안쪽 중앙에 설치된 호스 삽입구 사이는 작은 지름의 서브 물공급 호스로써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에서 기액 분리 유닛의 액체 배출구는 세퍼레이터 바디의 바닥 가까이에 설치되는 수동 드레인 파이프와 일정 높이 이상 에 설치되는 자동 드레인 파이프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에서 바이오 필터 유닛의 필터 박스 내부에는 미생물이 서식 가능한 나무 조각 또는 나무껍질 조각으로 된 탈취용 담체가 채워진다.
본 발명에 의한 악취 제거장치에 따르면 하수 처리장, 폐수 종말 처리장, 쓰레기 적환장, 축산 및 분뇨 처리장, 퇴비공장 및 음식물 처리장, 식품생산 공장 및 제약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악취의 제거가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악취 제거장치에 따르면 습도조절 유닛, 악취가스 분배 유닛, 바이오 필터 유닛, 콜렉팅 유닛, 기액 분리 유닛 및 탈취 팬이 콤팩트하면서도 유기적으로 조립이 이루어져 악취 제거를 위한 설비의 시공 및 유지 관리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의 구성 및 작동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의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의 평면도, 도 3 은 도 1 에 표시된 A-A선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의 설치를 위한 베이스의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습도조절 유닛의 정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습도조절 유닛의 측단면도, 도 7 은 도 5 에 표시된 B-B선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악취가스 분배 유닛의 정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악취가스 분배 유닛의 평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악취가스 분배 유닛의 측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 바디의 부분 정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 바디의 평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커버의 정단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커버의 평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콜렉팅 유닛의 단면도, 도 1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액 분리 유닛의 단면도, 도 17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의 배관 및 회로의 구성을 보인 다이어그램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를 지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10)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에 고정설치되는 원통형의 습도조절기 바디(210)와 함께 습도조절기 바디(210)의 내외부에 설치되어 유입된 악취가스의 습도가 일정 수준이 유지되게 하기 위한 습도조절 유닛(200), 습도조절 유닛(200)의 악취가스 유도구(214)를 통과한 악취가스의 흐름을 안내하는 한편 다수의 경로로 분배되게 습도조절기 바디(210)의 상측에 분배기 헤드(310)가 접속되는 한편 분배기 헤드(310)의 유출 측으로는 일정 길이 단위씩 다수의 분배기 바디(320)가 연장설치된 악취가스 분배 유닛(300), 내부공간에 미생물이 서식 가능한 탈취용 담체가 채워지는 일정 크기 단위의 상자 형태로 된 다수의 필터 박스(410)들이 분배기 바디(320)의 하측 에 다층으로 적층이 되는 한편 분배기 바디(320) 측에서 유입된 악취가스 및 물이 하향 이동이 되는 과정에서 탈취가 진행되는 바이오 필터 유닛(400), 바이오 필터 유닛(400)의 최하층의 필터 박스(410)들을 통과한 가스 및 물이 모이게 바이오 필터 유닛의 길이방향으로 긴 도랑 형태의 콜렉팅 챔버(510, collecting chamber)가 마련되는 한편 바이오 필터 유닛(400)을 떠받치는 필터 서포터(520)에 고정 설치되는 콜렉팅 유닛(500, collecting unit); 콜렉팅 유닛(500)의 콜렉팅 챔버(510)에서 모인 유체를 공급받아 액체와 기체가 분리될 수 있게 통 형태의 세퍼레이터 바디(610) 중간 하측에는 액체 배출구(620)가 설치되는 한편 중간 상측에는 기체 배출구(630)가 설치된 기액 분리 유닛(600) 및 기액 분리 유닛(600)의 기체 배출구(630)에 흡입단(710)이 접속되어 전동모터(730)의 회전 구동시 발생이 된 흡입력에 의해서 기액 분리 유닛(600) 내의 기체가 배출단(720)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탈취 팬(700)을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10)는 하수 처리장, 폐수 종말 처리장, 쓰레기 적환장, 축산 및 분뇨 처리장, 퇴비공장 및 음식물 처리장, 식품생산 공장 및 제약공장 등의 실내 또는 실외를 가릴 것 없이 설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각 부분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서는 주변의 기온이 적정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는 실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10)의 설치를 위해서 설치장소의 지면에는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높이를 갖는 베이스(100)가 사전에 시공될 필요가 있게 된다. 베이스(100) 상에는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 는 방향으로 습도조절 유닛(200)의 습도조절기 바디(210), 바이오 필터 유닛(400) 및 콜렉팅 유닛(500)을 지지하기 위한 필터 서포터(520), 기액 분리 유닛(600)의 세퍼레이터 바디(610) 및 탈취 팬(700)이 일정 간격을 둔 상태로 차례로 고정 설치된다. 이를 위해서, 베이스(100) 상에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성요소의 고정 설치를 위한 앵커 플레이트(110), 필터 서포터 베이스(120) 및 팬 베이스(130) 등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10)의 설비 이전에 설치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10)에서 습도조절 유닛(200)은 베이스(100)에 고정 설치된 습도조절기 바디(210)를 위주로 도 5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이 이루어진다. 습도조절기 바디(210)는 내부에 일정 용적의 공간이 확보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데, 그 내부 공간의 중간 상부 측에는 망 형태의 충진재 서포트 망(220)이 다수의 뼈대에 의해서 고정 설치된다. 충진재 서포트 망(220)의 상측에는 일정 두께만큼 충진재(230)로써 폴 링(pall ring)이 채워지는데, 이 폴 링은 악취가스가 통과되는 과정에서 악취가스와의 접촉면적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충진재(230)로서의 폴 링은 합성수지 재질로 일정한 지름 또는 다양한 지름으로 제작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충진재 서포트 망(220)이 설치된 부분을 기점으로 습도조절기 바디(210)의 하측 둘레의 한쪽에는 악취가스의 유입을 위한 악취가스 유입구(212)가 형성되는 한편 습도조절기 바디(210)의 상측에는 악취가스 유입구(212)에서 유입된 후 충진재(230)가 채워진 구간을 통과한 악취가스가 상측을 향해 배출이 이루 어지게 유도하는 악취가스 유도구(214)가 형성된다. 일정 길이의 목 형태로 형성되는 악취가스 유도구(214)의 내부구간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로 형태를 이루는 엘리미네이터(240, eliminator)가 설치된다. 이 엘리미네이터(240)는 악취가스가 상향으로 흐르는 과정에서 악취가스에 포함된 일정 크기 이상의 물방울의 통과가 허용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가는 살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형태로 성형이 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악취가스가 상향 이동이 되는 과정에서 악취가스의 습도가 일정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충진재(230)가 채워진 공간을 향해 물이 뿌려지게 하는 물공급 파이프(250)가 설치된다. 충진재(230)가 쌓인 공간을 향해서 물이 더욱 효율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물공급 파이프(250)는 원 형태의 물 스프레이 파이프(252)와 연결된 구조로 배관이 된다. 물 스프레이 파이프(252)의 안정된 설치를 위해서 습도조절기 바디(210)의 천장에는 일정 높이 하측을 향하는 형태의 노즐 서포터(256)가 설치되고, 물 스프레이 파이프(252)는 노즐 서포터(256)에 대하여 파이프 홀더(258)로써 고정 설치된다. 한편, 물 스프레이 파이프(252)의 하측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물 스프레이 노즐(254)이 설치되어 물공급 파이프(250)를 통해서 공급된 물이 보다 넓은 면적으로 골고루 분사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물공급 파이프(250)로는 습도조절기 바디(210)의 내부 하측에 일정 수준 저장되어 있는 물이 공급될 수도 있고, 습도조절기 바디(210)의 하부 일측에 마련되는 물공급 탱크(270)에 저장되어 있는 물이 공급될 수도 있으며, 외부에서 제공되는 별도의 물이 공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습도조절기 바디(210)의 내부공간 하측에 일정 수위로 유지되는 물은 악취가스의 습도 조절에 필요한 것으로, 이 물에는 악취가스에 포함되어 악취의 한 원인으로 작용하는 암모니아 또는 황화수소 등 수용성 가스의 악취성분이 흡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악취가스 중에 포함되어 있는 분진 등이 흡수될 수 있다. 습도조절기 바디(210)의 하부에 일정 수위로 물이 존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습도조절기 바디(210)의 한쪽에 설치되는 물공급 탱크(270)에는 습도조절기 바디(210)의 하부 측에 설치된 수위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서 물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워터 펌프(272)가 도면에 도시된 예와 같이 설치된다.
또한, 물이 채워지는 습도조절기 바디(210)의 하부 공간인 수조(260)에는 물의 온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켜주기 위하여 도 17 에 도시된 예와 같이 히터(262)가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습도조절기 바디(210)의 상부 둘레 즉, 물 스프레이 파이프(252)가 설치된 높이의 습도조절기 바디(210)의 둘레 한쪽에는 내부의 상태를 관리자의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투명한 재질로 된 점검구(280)가 개폐가능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악취가스 분배 유닛(300)은 습도조절기 바디(210)의 상측에 마련된 악취가스 유도구(214)를 통해서 상향 이동되는 악취가스가 바이오 필터 유닛(400)의 상측을 향해서 수평이동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분배기 헤 드(310)와 분배기 바디(320)로 이루어진다.
분배기 헤드(310)는 습도조절기 바디(210)의 악취가스 유도구(214) 상단에 플랜지 접속되는 원통 구간(312)과 원통 구간(312)의 한쪽으로 단면적이 증대되는 확관 구간(314)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원통 구간(312)은 악취가스가 유입되는 측이 되는 한편 확관 구간(314)은 악취가스가 유출되는 측이 된다. 분배기 헤드(310)의 원통 구간(312) 상단에는 관리자가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점검 커버(316)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전술한 분배기 헤드(310)의 확장 구간(314)의 끝단 측에는 일정 길이 단위의 사각 통 형태로 형성된 분배기 바디(320)가 차례로 연장설치된다.
분배기 바디(320)의 끝단에는 서로 이웃하는 구성요소들끼리의 접속을 위해서 플랜지가 형성되는 한편 맨 끝에 위치되는 분배기 바디(320)의 한쪽 끝은 폐관된 형태로 이루어져 분배기 헤드(310) 측에서 유입된 악취가스가 분배기 바디(320)의 하측으로 배출될 수 있는 조건이 된다. 한편, 각 분배기 바디(320)의 하부에는 유입된 악취가스가 바이오 필터 유닛(400)의 최상층에 위치된 필터 박스(410)를 향해서 유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분배구(322)가 형성되는 한편 각 분배기 바디(320)의 상부 측에는 점검커버(324)가 장착된다. 분배구(322)는 각 분배기 바디(320)의 하측에 위치되는 필터 박스(410)의 수에 맞춰서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분배기 바디(320)의 하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분배구(322)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인 도면들에서와 같이 악취가스 분배 유 닛(300)의 분배기 헤드(310)는 유출 측이 양 갈래로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양쪽으로 분리된 유출 측에는 다수의 분배기 바디(320)가 연결 설치된다.
특히, 각 분배기 바디(320)의 내부에는 바이오 필터 유닛(400)의 각 필터 박스(410)를 향해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물 스프레이(340)가 설치된다. 이 물 스프레이(340)에서 제공되는 물은 필터 박스(410) 내부의 습도가 미생물의 성장에 충분할 정도로 유지시켜 주기 위해서 공급이 이루어진다. 한편, 물 스프레이(340)가 설치된 형태를 도면에서 살피면, 분배기 바디(320)의 한쪽 측면 측에서 물공급 파이프(330)가 분배기 바디(320)의 중앙 부분을 향해서 인입 설치되는 한편 물공급 파이프(330)의 내측단 부분에는 공급된 물이 여러 갈래로 분배되게 하기 위한 물 스프레이(340)가 장착된다. 그리고 각각의 물 스프레이(340)에는 지름이 가는 서브 물공급 호스(350)의 일단이 접속되는 한편 서브 물공급 호스(350)의 다른 한쪽 단은 분배기 바디(320)의 하측에 마련되어 있는 분배구(322)를 통해서 바이오 필터 유닛(400)의 최상층에 놓인 필터 박스(410)의 상부를 향해 인입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10)에서 바이오 필터 유닛(400)은 악취가스가 통과되는 과정에서 악취 성분인 트리메틸아민((CH3)3N), 스티렌, 황화메틸((CH3)2S), 이황화메틸((CH3)2S2), 암모니아(NH3), 아세트알데히드, 메틸메르캅탄(CH3SH), 황화수소(H2S) 등의 악취성분이 분해될 수 있게 하는 미생물들의 서식이 가능한 탈취용 담체(430)가 채워지는 공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 의 실시 예에 따른 바이오 필터 유닛(400)은 일정 단위의 크기로 제작된 필터 박스(410)가 다수의 층으로 적층이 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필터 박스(41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망상으로 형성되되 여러 단으로 적층이 된 상태에서 상측에 위치된 필터 박스(410)의 하부 둘레는 하측에 위치된 필터 박스(410)의 상부 둘레에 끼워 조립될 수 있는 상광하협의 상자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최상층에 위치된 필터 박스(410)의 상부는 별도의 필터 커버(420)로써 씌워지게 되는데, 필터 커버(420)의 상면 중앙에는 연결구(422)가 관통 형성된다. 이 연결구(422)는 분배기 바디(320)에 형성된 분배구(322)와 주름관(360) 등으로 연결이 되는 한편 연결구(422)의 중앙에는 작은 지름의 서브 물 공급 호스(350)의 하단이 끼워지기 위한 물 호스 삽입구(424)가 형성된다.
또한, 연결구(422)를 통과한 악취가스 및 물이 필터 박스(410)의 중앙 측으로만 집중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필터 커버(420)의 중간 부분에는 다수의 작은 통공(426a)이 형성된 다공판(426)이 설치될 수 있다. 다공판(426)에 다수 형성된 통공(462a)는 다공판(426)의 중앙 부분보다는 주변에 주로 형성되는 것이 필터 박스(410) 내로 유입되는 악취가스가 널게 퍼지게 하는 측면에서 유리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 박스(410) 및 필터 커버(420)가 구성됨에 따라서 다수의 층으로 적층이 된 필터 박스(410)들 사이에는 상하방향으로 유체의 통과가 허용되게 된다. 즉, 최상층에 위치된 필터 박스(410)의 내부로 분배기 바디(320) 내에 설치된 물 스프레이(340)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가운데 유입이 된 악취가스는 하 향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악취가스의 하향 이동은 탈취 팬(700)의 회전 구동에 의해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전술한 필터 박스(410)에 채워지는 탈취용 담체(430)로는 흡수력이 우수하며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나무 조각 또는 나무껍질 조각이 이용될 수 있다. 필터 박스(410)에는 탈취용 담체(430)가 가득 채워지기보다는 상부에 소정의 공간이 남을 정도로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10)에서 콜렉팅 유닛(500)은 바이오 필터 유닛(400)의 최하층에 위치된 필터 박스(410)로부터 흘러나오는 탈취된 후의 가스 및 물 등의 유체를 받아 모으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바이오 필터 유닛(400)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길이로 길고 상부는 개방된 도랑 형태의 콜렉팅 챔버(510)가 내측에 마련된 콜렉팅 유닛(500)이 바이오 필터 유닛(400)의 하부에 설치된다. 특히, 측단면의 형태가 상광하협의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지는 콜렉팅 유닛(500)의 상단은 바이오 필터 유닛(400)을 떠받치기 위한 필터 서포터(520)에 고정된 구조로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10)의 기액 분리 유닛(600)은 내부에 일정 용적을 갖는 통 형태의 세퍼레이터 바디(610)를 위주로 구성이 이루어진다. 세퍼레이터 바디(610)의 내부 중간의 하측에는 콜렉팅 유닛(500) 측으로부터 유입된 유체 중에서 분리된 액체 성분이 배출되게 하기 위한 액체 배출구(620)가 설치되는 한편 세퍼레이터 바디(610)의 내부 중간의 상측에는 콜렉팅 유닛(500) 측으로부터 유입된 유체 중에서 분리된 기체 성분이 배출되게 하기 위한 기체 배출구(630)가 설치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액 분리 유닛(600)의 액체 배출구(6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 바디(610)의 바닥 가까이에 설치되는 수동 드레인 파이프(622)와 일정 높이 이상에 설치되는 자동 드레인 파이프(624)로 구분되게 설치된다. 수동 드레인 파이프(622)는 세퍼레이터 바디(610) 내의 저수된 액체를 깨끗하게 비우는 과정 등에서 이용이 된다. 한편, 자동 드레인 파이프(624)는 세퍼레이터 바디(610)의 하부에 채워진 물 등 액체가 일정 수위 이하로 감지될 경우에는 폐쇄 동작이 되었다가 일정 수위 이상으로 감지될 경우에는 개방 동작이 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자동 드레인 파이프(634)의 일정 구간에는 U자형 트랩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액 분리 유닛(600)의 기체 배출구(630)는 탈취 팬(700) 측에서 전달되는 흡입력에 의해서 세퍼레이터 바디(610)의 내부 하측에 저장된 액체가 비산이 되는 현상이 줄도록 하기 위해서 그 입구가 상부를 향해서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서와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양쪽에 바이오 필터 유닛(400)이 설치된 경우에는 그 하측에 위치되는 콜렉팅 유닛(500)도 일정 간격을 두고 양쪽에 위치됨에 따라서 양쪽의 콜렉팅 유닛(500)에서 하나의 기액 분리 유닛(600)으로 유체가 집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콜렉팅 파이프(53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콜렉팅 파이프(530)의 일단은 세퍼레이터 바디(610)의 한쪽 측면에 접속되고 다른 일단은 콜렉팅 유닛(500)의 한쪽 끝단에 접 속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과는 달리 콜렉팅 유닛(500)의 끝단 쪽에 각각 기액 분리 유닛(600)이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기액 분리 유닛(600)의 세퍼레이터 바디(610)의 한쪽에 마련된 기체 배출구(630)에는 세퍼레이터 바디(610)의 한쪽에 설치된 탈취 팬(700)의 흡입단(710)이 접속된다. 탈취 팬(700)은 전동모터(730)가 회전 구동되는 과정에서 내부에 설치된 팬이 회전되면서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는 것으로, 탈취 팬(700)의 배출단(7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를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배출단(720)에는 배기 덕트(800)의 일단이 접속되어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10)를 통과하면서 악취가 제거된 상태의 기체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원활하게 동작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이동되는 통로의 배관이 이루어지는 한편 전기 및 전자 장치의 구동을 위한 배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악취 제거장치(10)가 동작이 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습도조절 유닛(200)의 습도조절기 바디(210) 일측에 형성된 악취가스 유입구(212)를 통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10)가 설비된 장소에서 처리될 악취가스가 유입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취 팬(700)이 회전 구동됨에 따라서 발생하게 된 흡입력은 기액 분리 유닛(600), 콜렉팅 유닛(500), 바이오 필터 유닛(400) 및 악취가스 분배 유닛(300)을 차례로 거쳐 습도조절 유닛(200)의 습도조절기 바디(210) 상부에 마련된 악취가스 유도구(214)까지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흡입력의 전달에 따른 기압 차이에 의해서 악취가스 유입구(212)를 통해 유입된 악취가스는 악취가스 유도구(214)를 향해 상향하게 되고, 이후 탈취 팬(700)을 향해서 계속 흐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악취가스 유입구(212)를 통해서 악취가스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습도조절기 바디(210) 하측에 마련된 수조(260) 또는 습도조절기 바디(210)의 외부 측에 마련된 물공급 탱크(270)에 저장되어 있던 물이 물공급 파이프(250) 및 물 스프레이 파이프(252)를 통해서 습도조절기 바디(210)의 내부 상측에 채워진 충진재(230)들을 향해서 분사되게 된다. 이렇게 충진재(230)들을 향해서 분사되는 물은 악취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암모니아 또는 황화수소 등의 일부 악취 성분을 분해하게 된다.
악취가스가 습도조절기 바디(210)의 악취가스 유도구(214)를 통과하여 악취가스 분배 유닛(300)을 향해 흐르는 과정에서는 엘리미네이터(240)의 작용에 의해서 악취가스 내에서 물방울 성분은 걸러지게 된다.
악취가스 분배 유닛(300)의 분배기 헤드(310)에 의해서 악취가스의 흐름 방향은 수평방향으로 변경이 되고, 분배기 바디(320)가 양쪽에 마련된 경우라면 양쪽의 분배기 바디(320)를 향해서 악취가스의 흐름 방향은 양쪽으로 갈라진 후, 분배기 바디(320)의 내부 공간을 따라 흐르게 된다. 한편, 분배기 바디(320)의 하부 측에는 분배구(322)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서 악취가스는 분배구(322)를 따라 바 이오 필터 유닛(400)을 향하여 하측으로 흐르게 된다.
이 과정에서 분배기 바디(3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물 스프레이(340)에서는 물이 분사되어 바이오 필터 유닛(400)의 최상층에 위치된 필터 박스(410)의 내부를 향해서 물이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탈취용 담체(430)에서 미생물이 서식하는 데 필요한 충분한 수분의 제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악취가스 분배 유닛(300)의 각 분배기 바디(320)를 통과한 악취가스는 바이오 필터 유닛(400)의 최상층에 위치된 필터 박스(410)로 유도된 후, 하측에 차례로 위치된 필터 박스(410)를 따라서 차례로 하향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악취가스에 포함된 악취 성분은 탈취용 담체(430)에 서식하고 있는 미생물에 의해서 분해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이오 필터 유닛(400)의 최하층에 위치된 필터 박스(410)를 통과한 물 등 액체와 악취가 제거된 후의 탈취가스는 컬렉팅 유닛(500)의 컬렉팅 챔버(510)에서 모이게 된다. 이와 같이 컬렉팅 챔버(510) 모인 액체 및 기체 성분은 유로를 따라서 기액 분리 유닛(600)의 세퍼레이터 바디(610)로 흐르게 된다.
한편, 기액 분리 유닛(600)의 세퍼레이터 바디(610) 내부에는 기체 성분과 액체 성분의 분리 배출을 위한 액체 배출구(620) 및 기체 배출구(630)가 마련되어 있음에 따라서 악취가 제거된 상태의 탈취가스는 기체 배출구(630)를 통해서 배출이 되는 한편 물 등 액체성분은 액체 배출구(620)를 통해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액체 배출구(620)를 구성하는 자동 드레인 파이프(624)는 세퍼레이터 바디(610)에 존재하는 액체의 수위에 따라서 자동으로 개폐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탈취 팬(700) 측에서 제공되는 흡입력에 의해서 기체와 함께 외부로 비산되는 액체의 양이 줄어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악취 제거장치(10)의 일련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하수 처리장, 폐수 종말 처리장, 쓰레기 적환장, 축산 및 분뇨 처리장, 퇴비공장 및 음식물 처리장, 식품생산 공장 및 제약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악취의 제거는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10)는 콤팩트한 구조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악취가 처리되는 각 부분의 점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에 따라서 설비 및 유지관리 측면에서 유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의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의 평면도.
도 3 은 도 1 에 표시된 A-A선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의 설치를 위한 베이스의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습도조절 유닛의 정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습도조절 유닛의 측단면도.
도 7 은 도 5 에 표시된 B-B선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악취가스 분배 유닛의 정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악취가스 분배 유닛의 평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악취가스 분배 유닛의 측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 바디의 부분 정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 바디의 평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커버의 정단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커버의 평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콜렉팅 유닛의 단면도.
도 1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액 분리 유닛의 단면도.
도 17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의 배관 및 회로의 구성을 보인 다이어그램.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악취 제거장치 100. 베이스
110. 앵커 플레이트 120. 필터 서포터 베이스
130. 팬 베이스 200. 습도조절 유닛
210. 습도조절기 바디 230. 충진재
240. 엘리미네이터 250. 물공급 파이프
260. 수조 270. 물공급 탱크
280. 점검구 300. 악취가스 분배 유닛
310. 분배기 헤드 320. 분배기 바디
330. 물공급 파이프 340. 물 스프레이
350. 서브 물공급 호스 360. 주름관
400. 바이오 필터 유닛 410. 필터 박스
420. 필터 커버 422. 연결구
424. 호스 삽입구 430. 탈취용 담체
500. 콜렉팅 유닛 510. 콜렉팅 챔버
530. 콜렉팅 파이프 600. 기액 분리 유닛
610. 세퍼레이터 바디 610. 액체 배출구
622. 수동 드레인 파이프 624. 자동 드레인 파이프
630. 기체 배출구 700. 탈취 팬

Claims (6)

  1. 유입된 악취가스의 습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켜 주는 한편 미생물이 서식하는 탈취용 담체로 악취가스가 통과되게 하여 악취가 제거되게 하는 악취 제거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에 고정설치되는 원통형 습도조절기 바디의 한쪽에 악취가스가 유입되는 악취가스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습도조절기 바디의 내부에 일정 수준의 물이 존재할 수 있게 습도조절기 바디의 하측 외주에는 물공급 탱크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습도조절기 바디의 상부에는 상기 악취가스 유입구에서 유입된 후 습도가 조절된 악취가스의 상향 배출을 유도하는 악취가스 유도구가 형성되되 상기 습도조절기 바디의 내부 상측에는 악취가스 유도구를 향해 흐르는 악취가스와의 접촉면적 증대를 위한 충진재가 일정 두께 채워진 습도조절 유닛;
    상기 습도조절기의 악취가스 유도구를 통과한 악취가스의 진행방향이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변경되게 하며 단면적이 증가가 되는 형태의 분배기 헤드가 상기 습도조절기의 악취가스 유도구의 상측에 유입 측이 접속되어 설치되는 한편 상기 분배기 헤드의 유출 측에는 일정 길이 단위씩 다수의 분배기 바디가 연장설치되되 상기 각 분배기 바디의 내부에는 물 스프레이가 설치된 악취가스 분배 유닛;
    일정 크기를 갖는 상자형태의 다수의 필터 박스가 상기 악취가스 분배 유닛의 하측에 다수의 층으로 적층이 되되 최상층에 위치된 각 필터 박스 내부로는 상기 분배기 바디에 설치된 물 스프레이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가운데 악취가스가 유입이 되게 상기 분배기 바디의 하측에 마련된 분배구와 상부가 연통이 되는 한편 상층과 하층에 위치된 각 필터 박스끼리는 상하방향으로 연통이 되며 각각의 필터 박스 내부에는 미생물이 서식가능한 탈취용 담체가 채워진 바이오 필터 유닛;
    상기 바이오 필터 유닛의 길이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으며 상부가 개방된 도랑 형태로 상기 바이오 필터 유닛의 최하층에 위치된 필터 박스들을 통해 배출되는 기체 및 액체가 모이는 콜렉팅 챔버가 내측에 마련되는 한편 상단은 상기 바이오 필터 유닛을 받치는 서포터에 고정 설치되는 콜렉팅 유닛;
    상기 콜렉팅 유닛의 일단에 접속되는 일정 내부공간을 갖는 통의 형태의 세퍼레이터 바디의 하측에는 액체가 배출되는 액체 배출구가 설치되는 한편 상측에는 기체가 배출되는 기체 배출구가 설치된 기액 분리 유닛; 및
    상기 기액 분리 유닛의 기체 배출구에 흡입단이 접속되어 전동모터의 회전 구동시 상기 흡입단과 접속된 기액 분리 유닛 내의 기체를 흡입하여 배출단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탈취 팬;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조절기 바디의 내부 상측에는 상기 충진재를 향해서 물이 분사되게 하는 물공급 파이프와 접속되는 환 형태의 물 스프레이 파이프가 설치되되 상기 물 스프레이 파이프는 상기 습도조절기 바디의 천장에서 일정 높이 하측을 향해 설치되는 노즐 서포터에 고정 설치되는 한편 상기 물 스프레이 파이프의 하부 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물 스프레이 노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가스 분배 유닛의 분배기 헤드의 유출 측은 양 갈래로 분리 형성되어 분리된 양측에 각각 다수의 분배기 바디가 연결 설치되되 각 분배기 바디의 하측에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복수의 분배구가 형성되는 한편 각 분배구는 바이오 필터 유닛의 최상층에 설치된 필터 박스와 연통이 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필터 유닛의 각 필터 박스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망상으로 형성되되 상층의 필터 박스 하부 둘레가 하측의 필터 박스 상부 둘레에 끼워 조립되게 상광하협의 상자형태로 형성되는 한편 최상층의 필터 박스는 상기 필터 박스의 상부를 덮는 필터 커버로 씌워지고 상기 필터 커버의 상면 중앙에 관통 형성된 연결구와 상기 분배기 바디의 분배구 사이는 주름관으로써 연결되는 한편 상기 분배기 바디 내측에 설치된 물 스프레이와 상기 연결구의 안쪽 중앙에 설치된 호스 삽입구 사이는 작은 지름의 서브 물공급 호스로써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 분리 유닛의 액체 배출구는 세퍼레이터 바디의 바닥 가까이에 설치되는 수동 드레인 파이프와 일정 높이 이상에 설치되는 자동 드레인 파이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필터 유닛의 필터 박스 내부에는 미생물이 서식 가능한 나무 조각 또는 나무껍질 조각으로 된 탈취용 담체가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장치.
KR1020080138119A 2008-12-31 2008-12-31 악취 제거장치 KR100906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119A KR100906803B1 (ko) 2008-12-31 2008-12-31 악취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119A KR100906803B1 (ko) 2008-12-31 2008-12-31 악취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6803B1 true KR100906803B1 (ko) 2009-07-09

Family

ID=41337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119A KR100906803B1 (ko) 2008-12-31 2008-12-31 악취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68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936B1 (ko) 2012-10-19 2012-12-04 주식회사삼영이앤티 바이오탈취기의 그레이팅 고정용 망체 고정구
CN109529599A (zh) * 2018-12-24 2019-03-29 新县长征水资源环境治理有限公司 除臭系统及其除臭塔
CN109647180A (zh) * 2018-12-24 2019-04-19 新县长征水资源环境治理有限公司 除臭塔及使用该除臭塔的除臭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534B1 (ko) 2004-03-10 2004-07-03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탈취기내에 균일한 가스를 공급하는 다공성에어팩을이용한 생물학적 악취제거장치
KR20050039010A (ko) * 2003-10-23 2005-04-29 임종호 악취 제거용 바이오필터
KR20050043490A (ko) * 2003-11-06 2005-05-11 주식회사 에코비젼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를 위한 바이오필터
KR20060020431A (ko) * 2004-08-31 2006-03-06 비앤이테크(주) 용해도에 따른 복합악취가스처리 바이오필터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9010A (ko) * 2003-10-23 2005-04-29 임종호 악취 제거용 바이오필터
KR20050043490A (ko) * 2003-11-06 2005-05-11 주식회사 에코비젼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를 위한 바이오필터
KR100437534B1 (ko) 2004-03-10 2004-07-03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탈취기내에 균일한 가스를 공급하는 다공성에어팩을이용한 생물학적 악취제거장치
KR20060020431A (ko) * 2004-08-31 2006-03-06 비앤이테크(주) 용해도에 따른 복합악취가스처리 바이오필터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936B1 (ko) 2012-10-19 2012-12-04 주식회사삼영이앤티 바이오탈취기의 그레이팅 고정용 망체 고정구
CN109529599A (zh) * 2018-12-24 2019-03-29 新县长征水资源环境治理有限公司 除臭系统及其除臭塔
CN109647180A (zh) * 2018-12-24 2019-04-19 新县长征水资源环境治理有限公司 除臭塔及使用该除臭塔的除臭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956B1 (ko) 탈취장치
KR100793115B1 (ko) 폐기물 처리 장치
KR100598317B1 (ko) 고효율 탈취장치
KR101734185B1 (ko) 가변형 적층 흡수식 복합오염 악취물질 탈취 시스템, 이를 이용한 탈취 방법
KR101042489B1 (ko) 친환경적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정화장치
KR102127434B1 (ko) 고농도 악취가스를 처리하는 약액세정과 바이오필터가 병합된 친환경 복합 탈취기
KR20180031211A (ko) 악취물질을 먹이로 한 호기성 유용 미생물군을 이용한 악취제거 돈사와 그 시스템
KR101056064B1 (ko) 고농도 악취와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를 위한 스크러버와 바이오필터 일체형 탈취장치
KR102352706B1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악취 제거 장치 및 축사 악취 제거 장치
KR101629158B1 (ko) 복합 탈취기
KR100906803B1 (ko) 악취 제거장치
CN102188898A (zh) 复合式生物除臭一体化设备及其臭味气体的处理方法
KR101813843B1 (ko) 하수슬러지 건조시 발생하는 분진제거장치
KR100902791B1 (ko) 탈취 장치
KR101041216B1 (ko) 회전형 바이오 탈취장치
KR20170063013A (ko) 정화수를 이용한 탈취모듈
KR19990073885A (ko) 복합성 악취처리 시스템
KR102047381B1 (ko) 공기중의 악취탈취 시스템
JPH0780239A (ja) 大量培養した微生物を組み合わせた多段式脱臭装置
KR102063016B1 (ko) 악취가스 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
KR200229825Y1 (ko) 바이오세라믹 담체 및 토착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장치
KR100523757B1 (ko) 악취 발생시설의 탈취장치
JP4799747B2 (ja) 脱臭設備
KR200229840Y1 (ko) 무기성 악취와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혼합된 공기를동시에 제거하는 지중매설형 바이오필터 장치
KR101139793B1 (ko) 메디아 복층부를 구비한 탈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