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2218B1 - 교체가 용이한 제트노즐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 Google Patents

교체가 용이한 제트노즐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2218B1
KR101882218B1 KR1020180077988A KR20180077988A KR101882218B1 KR 101882218 B1 KR101882218 B1 KR 101882218B1 KR 1020180077988 A KR1020180077988 A KR 1020180077988A KR 20180077988 A KR20180077988 A KR 20180077988A KR 101882218 B1 KR101882218 B1 KR 101882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jet nozzle
cleaning liquid
clean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창진
Original Assignee
(주)이화에코시스템
윤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화에코시스템, 윤창진 filed Critical (주)이화에코시스템
Priority to KR1020180077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2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2Washers with plural different washing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체가 용이한 제트노즐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가 중공인 몸체에 미스트 포집부와 정화가스 배출구, 가스 분배실 및 가스 유입관이 구비된 본체와; 제1세정액 저장탱크와 제1세정액 순환펌프, 제1세정액 공급관, 미세제트노즐 세정부 및 제1세정액 수위 조절부가 구비된 제1단 세정부; 제2세정액 저장탱크와 제2세정액 순환펌프, 제2세정액 분사관, 제2세정 팩배드부, 제2세정액 포집부 및 제2세정액 순환부가 구비된 제2단 세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미세제트노즐 세정부는 상기 악취가스 공급팬을 통해 가스 분배실로 유입되는 악취가스가 상부로 이동되게 하는 다수의 가스유입공이 구비된 가스 유입판과, 다수의 미세제트공을 구비하고 상기 가스유입공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유입공을 통해 상기 가스 유입판의 상부로 이동된 악취가스를 일시 포집하였다가 미세제트공들을 통해 외부로 배출해 주는 제트노즐과, 상기 제트노즐의 미세제트공들을 통해 배출된 악취가스를 제1세정액 내에서 와류 및 기포화시키고 상부로 이동시키는 다수의 충돌판으로 구성된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에 있어서, 상기 미세제트노즐 세정부 내 제트노즐을 저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갖게 합성수지재로 성형하되, 상방부 원주면을 따라서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미세제트공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저부 외면 일부에는 숫나사산을 형성하며, 상기 숫나사산의 상부 외면에는 와셔 형상을 갖고 제트노즐의 저부를 상기 가스 유입판의 가스유입공 내로 삽입한 다음 상기 가스 유입판의 저면으로 돌출된 상기 숫나사산에 고정용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할 때 가스 유입판의 상면에 걸려져 제트노즐들이 상기 가스 유입판의 가스유입공들에 각각 고정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가스 유입판 걸림판을 일체로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제트노즐들에 대한 동일한 구조로의 연속 생산이 가능하고, 미세제트노즐 세정부에 대한 생산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수 가공에 의한 가공오류를 줄일 수 있고, 특히 가스 유입판에 균일한 가스유입공 타공 후 나사 조립방식을 통한 충돌판이 일체로 구비된 제트노즐들의 조립만으로 구성품 조립을 완성할 수 있어 제품 자체의 생산 및 조립에 따른 시간과 생산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제트노즐과 충돌판의 부식에 따른 손상 및 고장율이 매우 낮아 유지보수비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체가 용이한 제트노즐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Simultaneous cleaning and deodorizing tower with two jet nozzles with easy replacement}
본 발명은 교체가 용이한 제트노즐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 탑을 다단으로 형성하고, 2종 이상의 세정액을 별개로 순환시켜 악취가스와의 중화 및 산화반응으로 정화하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의 구성요소 중 미세제트노즐 세정부의 가스 유입판에 설치되는 제트노즐을 합성수지재로 성형하되, 충돌판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성형하여 가스 유입판에 타공한 가스유입공에 착탈(교체) 가능하게 설치하는 방식을 통해, 제트노즐의 연속 생산이 가능하고, 자재(미세제트노즐 세정부)에 대한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수 가공에 의한 가공오류를 줄일 수 있고, 특히 가스 유입판에 균일한 가스유입공 타공 후 나사 조립방식을 통한 제트노즐들의 조립만으로 구성품 조립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 자체의 생산 및 조립에 따른 시간과 생산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발명한 교체가 용이한 제트노즐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장이나 분뇨처리장, 음식물 처리시설, 축산시설 등과 같은 장소에서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가 발생되어 복합 악취가 나기 마련인데, 이로 인한 악취는 그 성상이 알카리성, 산성, 중성 등으로 복합적이어서 반응속도가 느린 산화제와 같은 단일 약액 세정액으로는 악취가스의 효과적인 처리가 어려워지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을 토대로 복합성상의 악취가스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탈취 탑 내에 다수의 노즐을 설치하고, 이로부터 탈취 탑 내로 도입된 악취를 함유하는 가스에 물을 접촉시켜 악취를 제거하는 방법(수세법)이 있으며, 이외에 탈취 탑 내에 활성탄, 실리카겔 및 지올라이트(Zelite) 등과 같은 흡착제 층을 배치하여 악취 물질을 흡착하도록 하는 방법(흡착법)이나 상기 흡착제 대신 특정 미생물 층을 배치하여 상기 미생물이 악취 발생물질들을 분해하도록 하는 방법(미생물 접촉방법)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복합가스로 이루어진 악취 가스는 통상 '산과 알칼리' 약액에 의해 중화반응을 일으켜 정화되는 것으로, 이러한 통상의 탈취 탑은 반응속도가 느려 효율이 떨어지나 복합적으로 반응하는 산화제(차아염소산소다 등)를 사용하는 단일 탈취 탑이나, 2개의 탈취 탑을 직렬로 연결하는 직렬식으로 각각 구성되는 산, 알칼리 세정 탑으로 이루어진 바, 이는 복합가스의 탈취효율이 저하하거나, 시공 제작 등의 복잡하고 장치의 대형화로 설치공간과 설치비가 과다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820845호(발명의 명칭: 2액 동시세정 탈취 탑)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820845호에서 제시된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은, 내부가 중공인 몸체의 상방에 미스트 포집부와 배기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가스 분배실과 분배실 외부 일측에 악취가스 공급팬으로부터 유입된 악취가스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관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저면에 형성되어 산 세정액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제1탱크와, 상기 제1탱크 일측에 형성되어 수용된 산 세정액을 본체 상부측으로 이송시키도록 형성되는 제1순환펌프와, 상기 제1순환펌프에 의해 이송된 산 세정액을 본체 내에서 하부를 향해 분사시키도록 다수개의 공급공을 갖는 제1분사관과, 상기 제1분사관의 하부에 형성되어 악취가스와 세정액의 접촉면적을 최대로 확보하여 악취가스를 포집하도록 형성되는 팩배드와, 상기 제1분사관에 의해 분사되어 팩배드을 통과하고 하부로 떨어지는 산 세정액을 팩배드 하부에서 포집하도록 형성되는 포집디치와, 상기 포집디치의 일측에 형성되어 포집된 산 세정액을 제1탱크로 이송하도록 제1포집관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산 세정부와; 상기 본체의 저면에 형성되되 제1탱크와 이웃하며 알칼리 세정액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제2탱크와, 상기 제2탱크 일측에 형성되어 수용된 알칼리 세정액을 산 세정부의 포집디치 하부측으로 이송시키도록 형성되는 제2순환펌프와, 상기 제2순환펌프에 의해 이송된 알칼리 세정액을 본체 내에 공급시키도록 다수개의 공급공을 갖는 제2공급관과, 상기 제2공급관에 의해 공급되어 일정 수위가 유지되는 알칼리 세정액 중으로 악취가스를 분사시켜 악취가스를 세정하는 한편, 악취가스에 포함된 분진(Dust)을 제거하도록 형성되는 제트노즐과, 상기 제트노즐일측에 형성되어 순환되는 알칼리 세정액의 수위를 조정하면서 제2탱크로 순환 이송하도록 제2포집관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알칼리 세정부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트노즐은 다수개의 공급관을 갖는 가스 분배실과; 상기 가스 분배실의 공급관에 대응되되 결합시 외측단과 설정된 간격을 두고 쒸어지도록 형성되어 공급공을 이루고 악취가스가 공급공을 통하여 기포 상으로 액중 분사되도록 형성되는 분사캡;으로 구성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탑은, 산 및 알칼리 세정탑을 동시에 구비하게 됨은 물론 각 세정액이 별도로 순환하며 세정을 도모하고 있어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한편, 복합가스인 악취에 대해 신속하고 탁월한 세정력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 및 알칼리의 동시 중화반응으로 하여금 탈취력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탑의 상기 제트노즐은 본체 내부에 다수개가 고르게 분포되어 배치된다 하더라도 배치 상 개공율을 크게 할 수 없어 압력손실이 크게 되고, 또한 구조상 단위노즐의 분사구 폭이 커서 미세기포를 만들기 어렵고, 수중으로 분사되는 기포가 커서 세정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2액 동시세정 탈취탑은 팩배드을 통과하고 하부로 떨어지는 산 세정액을 팩배드 하부에서 포집하도록 형성되는 포집디치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포집디치가 단순히 V자형으로 되어 있어 알칼리 세정액 미스트가 악취가스 흐름과 동반하여 2단 세정부인 산 세정부로 케리오버(Carry over)되게 되고, 포집디치에 포집되는 산 세정액에 혼합됨으로써 산 세정액을 중화시키게 되어 약품의 과다소요와 함께 산 세정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즉, 개공 율을 크게 하여 압력손실이 적고, 노즐의 분사구를 미세화하여 미세기포 발생을 용이하게 하며, 1단 세정액이 악취가스 흐름과 동반하여 제2단 세정부로 케리오버(Carry over)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2액 동시 세정 탈취탑을 개발하여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203420호로 제시한 바 있다.
이와 같은 2액 동시 세정 탈취탑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인 몸체의 상방에 세정되어 정화된 공기에 함유된 세정액 미스트를 포집하는 미스트포집부(11)와 세정액 미스트가 포집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정화가스 배출구(12)가 구비되고, 하부에 가스분배실(13)과 상기 가스분배실(13) 외부 일측에 구비된 악취가스 공급팬(14)으로부터 악취가스가 유입되도록 하는 가스 유입관(15)이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구비되며 제1세정액을 수용하는 제1세정액 저장탱크(21)와,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21) 일측에 구비되어 수용된 제1세정액을 상기 본체(10) 내부로 이송시키는 제1세정액 순환펌프(22)와,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22)에 의해 이송된 제1세정액을 상기 본체(10) 내에서 하향 공급시키도록 다수개의 공급공을 갖는 제1세정액 공급관(23)과, 상기 가스분배실(13)과 상기 제1세정액 공급관(23)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공급관(23)에 의해 공급되어 일정수위가 유지되는 알칼리 세정액 중으로 악취가스를 분사시켜 악취가스를 세정하여 악취가스 정화와 함께 악취가스에 포함된 분진(Dust)을 동시에 제거하는 미세제트노즐 세정부(24)와, 상기 미세제트노즐 세정부(24) 일측에 구비되어 순환되는 제1세정액의 수위를 조정하며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21)로 순환 이송하도록 하는 제1세정액 수위 조절부(25)가 구비된 제1단 세정부(20);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21)와 인접하여 구비되어 제2세정액을 수용하는 제2세정액 저장탱크(31)와, 상기 제2세정액 저장탱크(31) 일측에 구비되어 수용된 제2세정액을 상기 본체(10) 내부로 이송시키는 제2세정액순환펌프(32)와, 상기 제2세정액순환펌프(32)에 의해 이송된 제2세정액을 상기 본체(10) 내에서 하향 분사시키도록 다수개의 공급 공을 갖는 제2세정액 분사관(33)과, 상기 제2세정액분사관(33)의 하부에 구비되어 악취가스와 세정액의 접촉면적을 최대로 확보하여 악취가스를 포집하는 제2세정팩배드부(34)와, 상기 제2세정팩배드부(34)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단 세정부(20)에서 세정된 악취가스를 상기 제2세정팩배드부(34)로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제2세정액분사관(33)에 의해 분사되어 제2세정팩배드부(34)를 통과하고 하부로 낙하되는 제2세정액을 포집하는 제2세정액포집부(35)와, 상기 제2세정액포집부(35)의 일측에 구비되어 포집된 제2세정액을 제2세정액 저장탱크(31)로 이송하는 제2세정액순환부(36)가 구비된 제2단 세정부(30);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미세제트노즐 세정부(24)는, 상기 악취가스 공급팬(14)으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본체(10)로 유입되는 악취가스공급방향으로 이격되며 악취가스 공급방향과 상기 본체(10)의 횡 방향으로 직각되게 길게 형성되어 유입되는 악취가스를 상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다수의 가스유입공(24a)이 구비된 가스 유입판(24b)과, 상기 가스유입공(24a)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가스유입공(24a)을 덮으며 상기 가스유입공(24a)에 의해 상부로 이동된 악취가스를 일시 포집하도록 역U자형으로 되며, 양쪽 하단부에 일시 포집된 악취가스를 양측으로 분사되도록 상기 가스유입공(24a)이 형성된 직각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의 미세제트공(24c)이 구비된 제트노즐(24d)과, 하나의 상기 가스유입공(24a)과 이와 인접한 상기 가스유입공(24a) 사이의 중간 부위에 위치한 상기 가스 유입판(24b)으로부터 상부로 입설되어 상기 제트노즐(24d)에 의해 양측으로 이동된 악취가스와 충돌하여 악취가스를 미세화시키고 상부로 이동시키는 다수의 충돌판(24e)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2액 동시 탈취탑에서는 미세제트노즐 세정부를 제작할 때, 소정 면적 및 두께의 스테인레스 강판제를 프레스 금형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의 가스 유입판과 제트노즐용 강판제 및 충돌판으로 각각 절단한 다음, 가스 유입판과 제트노즐용 강판제에는 각각 복수의 가스유입공과 미세제트공들을 드릴이나 펀칭기 등을 이용하여 천공 또는 펀칭한 다음, 제트노즐용 강판제는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형성으로 절곡 성형한 후, 상기 가스 유입판의 상면에서 각각의 가스유입공을 덮을 수 있도록 다수의 미세제트공이 구비된 제트노즐들을 용접 등을 통해 고정 설치함은 물론 서로 인접한 가스유입공 사이에 즉, 제트노즐들의 중간부에는 충돌판들을 각각 용접 등을 통해 고정 설치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미세제트노즐 세정부의 모든 구성품은 악취가스나 세정액에 의한 부식 등을 방지하기 위하는 목적 등으로 모든 구성품을 고가의 스테인레스 강판제으로 사용하고 있고, 또한 스테인레스 강제판으로 이루어진 이들을 상호 결합하는데 있어서 모두 용접 등의 방법을 채택할 수밖에 없어 미세제트노즐 세정부의 제조에 따른 생산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스테인레스 강판제를 이용하여 제트노즐을 제작하는 공정이 복잡하고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원재료비와 가공비 및 생산원가 자체가 많이 들고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며, 수 가공에 따른 오류가 발생할 수밖에 없고, 또한 상기한 제트노즐들과 별개로 스테인레스 강판제를 이용하여 충돌판을 제작한 다음 가스 유입판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별도 용접을 통해 설치해야 하므로 제품 자체의 생산 및 조립에 따른 시간과 생산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미세제트노즐 세정부의 가스 유입판에 용접을 통해 고정 설치되어 있는 제트노즐 중 일부에서 손상이나 파손 등이 발생될 경우, 해당 제트노즐만 떼어내고 새로운 제트노즐로 교환해 주기 매우 힘든 구조(즉, 용접 고정 구조)이므로 일부 제트노즐이 손상되었을 경우 미세제트노즐 세정부 전체를 교체하고 있어 유지보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20845호(2008년 04월 02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03420호(2012년 11월 15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85320호(2015년 01월 16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87058호(2013년 07월 11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단일 탑을 다단으로 형성하고, 2종 이상의 세정액을 별개로 순환시켜 악취가스와의 중화 및 산화반응으로 정화하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의 구성요소 중 미세제트노즐 세정부의 가스 유입판에 설치되는 제트노즐을 합성수지재로 다수의 미세제트공이 형성된 나사 결합형 원통 형상으로 성형하여 가스 유입판에 타공한 가스유입공에 착탈(교체) 가능하게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충돌판 역시 합성수지재로 상면에 다수의 가스 통과공이 구비된 원통 형상으로 성형하여 상기 제트노즐의 일부를 감싸도록 하여 상기 제트노즐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트노즐들에 대한 동일한 구조로의 연속 생산이 가능하고, 미세제트노즐 세정부에 대한 생산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수 가공에 의한 가공오류를 줄일 수 있고, 특히 가스 유입판에 균일한 가스유입공 타공 후 나사 조립방식을 통한 충돌판이 일체로 구비된 제트노즐들의 조립만으로 구성품 조립을 완성할 수 있어 제품 자체의 생산 및 조립에 따른 시간과 생산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제트노즐과 충돌판을 합성수지재로 성형함으로써 부식에 따른 손상 및 고장율이 매우 낮아 유지보수비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교체가 용이한 제트노즐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가 중공인 원통 또는 사각통 형상의 몸체 상방에 세정되어 정화된 공기에 함유된 세정액 미스트를 포집하는 미스트 포집부와 세정액 미스트가 포집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정화가스 배출구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가스 분배실이 구비됨은 물론 상기 가스 분배실의 일측벽에 내단부가 결합된 형태를 갖고 외부에서 악취가스 공급팬에 의해 공급되는 악취가스를 가스 분배실 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악취가스 유입관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저면에 구비되며 제1세정액을 수용하는 제1세정액 저장탱크와,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 일측에 구비되어 수용된 제1세정액을 상기 본체 내부로 이송시키는 제1세정액 순환펌프,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에 의해 이송된 제1세정액을 상기 본체 내에서 하향 공급시키도록 다수개의 공급공을 갖는 제1세정액 공급관, 상기 가스 분배실과 상기 제1세정액 공급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공급관에 의해 공급되어 일정수위가 유지되는 알칼리 세정액 중으로 악취가스를 분사시켜 악취가스를 세정하여 악취가스 정화와 함께 악취가스에 포함된 분진을 동시에 제거하는 미세제트노즐 세정부, 상기 미세제트노즐 세정부 일측에 구비되어 순환되는 제1세정액의 수위를 조정하며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로 순환 이송하도록 하는 제1세정액 수위 조절부가 구비된 제1단 세정부; 상기 본체의 저면에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와 인접하여 구비되어 제2세정액을 수용하는 제2세정액 저장탱크와, 상기 제2세정액 저장탱크 일측에 구비되어 수용된 제2세정액을 상기 본체 내부로 이송시키는 제2세정액 순환펌프,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에 의해 이송된 제2세정액을 상기 본체 내에서 하향 분사시키도록 다수개의 공급공을 갖는 제2세정액 분사관, 상기 제2세정액 분사관의 하부에 구비되어 악취가스와 세정액의 접촉 면적을 최대로 확보하여 악취가스를 포집하는 제2세정 팩배드부, 상기 제2세정 팩배드부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단 세정부에서 세정된 악취가스를 상기 제2세정 팩배드부로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제2세정액 분사관에 의해 분사되어 제2세정 팩배드부를 통과하고 하부로 낙하되는 제2세정액을 포집하는 제2세정액 포집부, 상기 제2세정액 포집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포집된 제2세정액을 제2세정액 저장탱크로 이송하는 제2세정액 순환부가 구비된 제2단 세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미세제트노즐 세정부는 상기 악취가스 공급팬을 통해 가스 분배실로 유입되는 악취가스가 상부로 이동되게 하는 다수의 가스유입공이 구비된 가스 유입판과, 다수의 미세제트공을 구비하고 상기 가스유입공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유입공을 통해 상기 가스 유입판의 상부로 이동된 악취가스를 일시 포집하였다가 미세제트공들을 통해 외부로 배출해 주는 제트노즐과, 상기 제트노즐의 미세제트공들을 통해 배출된 악취가스를 제1세정액 내에서 와류 및 기포화시키고 상부로 이동시키는 다수의 충돌판으로 구성된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에 있어서, 상기 미세제트노즐 세정부 내 제트노즐을 저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갖게 합성수지재로 성형하되, 상방부 원주면을 따라서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미세제트공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저부 외면 일부에는 숫나사산을 형성하며, 상기 숫나사산의 상부 외면에는 와셔 형상을 갖고 제트노즐의 저부를 상기 가스 유입판의 가스유입공 내로 삽입한 다음 상기 가스 유입판의 저면으로 돌출된 상기 숫나사산에 고정용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할 때 가스 유입판의 상면에 걸려져 제트노즐들이 상기 가스 유입판의 가스유입공들에 각각 고정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가스 유입판 걸림판을 일체로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트노즐의 상면 중앙에 충돌판 체결용 암나사를 더 형성하고, 상기 충돌판도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트노즐의 지름보다는 상대적으로 큰 지름을 갖고 저부가 트인 원통 형상으로 성형하되, 원통 형상을 갖는 상기 충돌판의 천정면 중앙에는 상기 제트노즐의 충돌판 체결용 암나사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를 일체로 돌출 성형하여 상기 충돌판이 상기 제트노즐의 상부를 감싸도록 씌운 상태에서 상기 제트노즐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돌판의 상면에는 상기 제트노즐의 미세제트공들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다음 상기 충돌판의 내면에 충돌되며 와류 및 기포화된 악취가스를 제1세정액 내로 배출시켜 주는 다수의 가스 통과공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체가 용이한 제트노즐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에 의하면, 단일 탑을 다단으로 형성하고, 2종 이상의 세정액을 별개로 순환시켜 악취가스와의 중화 및 산화반응으로 정화하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의 구성요소 중 미세제트노즐 세정부의 가스 유입판에 설치되는 제트노즐을 합성수지재로 다수의 미세제트공이 형성된 나사 결합형 원통 형상으로 성형하여 가스 유입판에 타공한 가스유입공에 착탈(교체) 가능하게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충돌판 역시 합성수지재로 상면에 다수의 가스 통과공이 구비된 원통 형상으로 성형하여 상기 제트노즐의 일부를 감싸도록 하여 상기 제트노즐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트노즐들에 대한 동일한 구조로의 연속 생산이 가능하고, 미세제트노즐 세정부에 대한 생산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수 가공에 의한 가공오류를 줄일 수 있고, 특히 가스 유입판에 균일한 가스유입공 타공 후 나사 조립방식을 통한 충돌판이 일체로 구비된 제트노즐들의 조립만으로 구성품 조립을 완성할 수 있어 제품 자체의 생산 및 조립에 따른 시간과 생산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제트노즐과 충돌판을 합성수지재로 성형함으로써 부식에 따른 손상 및 고장율이 매우 낮아 유지보수비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2액 동시세정 탈취탑의 정 단면도.
도 2는 종래 2액 동시세정 탈취탑에 구비된 미세제트노즐 세정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3은 종래 2액 동시세정 탈취탑에 구비된 미세제트노즐 세정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2액 동시 세정 탈취 탑의 개략적인 정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2액 동시 세정 탈취 탑 중 미세제트노즐 세정부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2액 동시 세정 탈취 탑의 미세제트노즐 세정부 중 일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2액 동시 세정 탈취 탑 중 미세제트노즐 세정부의 요부 확대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2액 동시 세정 탈취 탑의 개략적인 정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2액 동시 세정 탈취 탑 중 미세제트노즐 세정부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2액 동시 세정 탈취 탑의 미세제트노즐 세정부 중 일부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2액 동시 세정 탈취 탑 중 미세제트노즐 세정부의 요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가 중공인 몸체의 상방에 세정되어 정화된 공기에 함유된 세정액 미스트를 포집하는 미스트 포집부(11)와 세정액 미스트가 포집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정화가스 배출구(12)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가스 분배실(13)이 구비됨은 물론 상기 가스 분배실(13)의 일측벽에 내단부가 결합된 형태를 갖고 외부에서 악취가스 공급팬(14)에 의해 공급되는 악취가스를 가스 분배실(13) 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악취가스 유입관(15)이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구비되며 제1세정액을 수용하는 제1세정액 저장탱크(21)와,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21) 일측에 구비되어 수용된 제1세정액을 상기 본체(10) 내부로 이송시키는 제1세정액 순환펌프(22),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22)에 의해 이송된 제1세정액을 상기 본체(10) 내에서 하향 공급시키도록 다수개의 공급공을 갖는 제1세정액 공급관(23), 상기 가스 분배실(13)과 상기 제1세정액 공급관(23)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공급관(23)에 의해 공급되어 일정수위가 유지되는 알칼리 세정액 중으로 악취가스를 분사시켜 악취가스를 세정하여 악취가스 정화와 함께 악취가스에 포함된 분진을 동시에 제거하는 미세제트노즐 세정부(24), 상기 미세제트노즐 세정부(24) 일측에 구비되어 순환되는 제1세정액의 수위를 조정하며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21)로 순환 이송하도록 하는 제1세정액 수위 조절부(25)가 구비된 제1단 세정부(20);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21)와 인접하여 구비되어 제2세정액을 수용하는 제2세정액 저장탱크(31)와, 상기 제2세정액 저장탱크(31) 일측에 구비되어 수용된 제2세정액을 상기 본체(10) 내부로 이송시키는 제2세정액 순환펌프(32),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32)에 의해 이송된 제2세정액을 상기 본체(10) 내에서 하향 분사시키도록 다수개의 공급공을 갖는 제2세정액 분사관(33), 상기 제2세정액 분사관(33)의 하부에 구비되어 악취가스와 세정액의 접촉 면적을 최대로 확보하여 악취가스를 포집하는 제2세정 팩배드부(34), 상기 제2세정 팩배드부(34)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단 세정부(20)에서 세정된 악취가스를 상기 제2세정 팩배드부(34)로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제2세정액 분사관(33)에 의해 분사되어 제2세정 팩배드부(34)를 통과하고 하부로 낙하되는 제2세정액을 포집하는 제2세정액 포집부(35), 상기 제2세정액 포집부(35)의 일측에 구비되어 포집된 제2세정액을 제2세정액 저장탱크(31)로 이송하는 제2세정액 순환부(36)가 구비된 제2단 세정부(30);를 포함하되, 상기 미세제트노즐 세정부(24)는 상기 악취가스 공급팬(14)을 통해 가스 분배실(13)로 유입되는 악취가스가 상부로 이동되게 하는 다수의 가스유입공(24a)이 구비된 가스 유입판(24b)과, 다수의 미세제트공(24c)을 구비하고 상기 가스유입공(24a)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유입공(24a)을 통해 상기 가스 유입판(24b)의 상부로 이동된 악취가스를 일시 포집하였다가 미세제트공(24c)들을 통해 외부로 배출해 주는 제트노즐(24d)과, 상기 제트노즐(24d)의 미세제트공(24c)들을 통해 배출된 악취가스를 제1세정액 내에서 와류 및 기포화시키고 상부로 이동시키는 다수의 충돌판(24e)으로 구성된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에 있어서,
상기 미세제트노즐 세정부(24) 내 제트노즐(24d)을 저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갖게 합성수지재로 성형하되, 상방부 원주면을 따라서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미세제트공(24c)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저부 외면 일부에는 숫나사산(24d-1)을 형성하며, 상기 숫나사산(24d-1)의 상부 외면에는 와셔 형상을 갖고 제트노즐(24d)의 저부를 상기 가스 유입판(24b)의 가스유입공(24a) 내로 삽입한 다음 상기 가스 유입판(24b)의 저면으로 돌출된 상기 숫나사산(24d-1)에 고정용 너트(26)를 체결하여 고정할 때 가스 유입판(24b)의 상면에 걸려져 제트노즐(24d)들이 상기 가스 유입판(24b)의 가스유입공(24a)들에 각각 고정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가스 유입판 걸림판(24d-2)을 일체로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트노즐(24d)의 상면 중앙에 충돌판 체결용 암나사(24d-3)를 더 형성하고, 상기 충돌판(24e)도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트노즐(24d)의 지름보다는 상대적으로 큰 지름을 갖고 저부가 트인 원통 형상으로 성형하되, 원통 형상을 갖는 상기 충돌판(24e)의 천정면 중앙에는 상기 제트노즐(24d)의 충돌판 체결용 암나사(24d-3)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24e-1)를 일체로 돌출 성형하여 상기 충돌판(24e)이 상기 제트노즐(24d)의 상부를 감싸도록 씌운 상태에서 상기 제트노즐(24d)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돌판(24e)의 상면에는 상기 제트노즐(24d)의 미세제트공(24c)들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다음 상기 충돌판(24e)의 내면에 충돌되며 와류 및 기포화된 악취가스를 제1세정액 내로 배출시켜 주는 다수의 가스 통과공(24e-2)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교체가 용이한 제트노즐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에 대한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교체가 용이한 제트노즐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와 제1단 세정부(20), 제2단 세정부(30)를 포함하는데 이는 공지된 기술 구성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미세제트노즐 세정부(24)를 제1세정액으로 세정하는 제1단 세정부(20)에 구비하고, 그 상부에 제2세정액으로 세정하는 팩배드 세정장치인 제2단 세정부(30)를 구비하며, 제2단 세정부(30)에서 순환하는 제2세정액을 별도로 포집할 수 있도록 제2세정액 포집부(35)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제1단 세정부(20)의 제1세정액 역시 별도로 순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일의 탈취탑 내에서 복합가스인 악취가 동시에 제1단(산 또는 알카리), 제2단(산 또는 알카리) 및, 알카리 세정단에서 복합 사용되는 산화제(차아염소산 소다)로 중화와 산화작용으로 악취가 정화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10)는 내부가 중공인 몸체의 제2단 세정부(30)에서 세정되어 정화된 공기에 함유된 세정액 미스트를 포집하는 미스트 포집부(11)와, 세정액 미스트가 포집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정화가스 배출구(12)가 구비된다.
또, 상기 본체(10)는 하부에는 가스 분배실(13)이 구비됨은 물론 상기 가스 분배실(13)의 일측벽에 내단부가 결합된 형태를 갖고 외부에서 악취가스 공급팬(14)에 의해 공급되는 악취가스를 가스 분배실(13) 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악취가스 유입관(15)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단 세정부(20)는 제1세정액이 상기 본체(10) 내외를 순환하며 상기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악취가스 중에 제1세정액과 반응하는 악취 물질들을 세정하도록 제1세정액 저장탱크(21)와, 제1순세정액 순환펌프(22), 제1세정액 공급관(23), 미세제트노즐 세정부(24) 및 제1세정액 수위조절부(25)가 구비된다.
상기 제1단 세정부(20)의 구성요소 중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21)는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구비되며 1차 세정액인 제1세정액을 수용하고,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22)는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21) 일측에 구비되어 수용된 제1세정액을 상기 본체(10) 내부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22)는 상기 미세제트노즐 세정부(24)의 상부로 제1세정액을 공급하는 제1공급관(23)으로 제1세정액을 이송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세정액 알칼리 공급관(23)은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22)에 의해 이송된 제1세정액을 상기 본체(10) 내에서 하향 공급시키도록 다수개의 공급공(미도시됨)을 갖는다.
상기 미세제트노즐 세정부(24)는 상기 가스 분배실(13)과 상기 제1세정액 공급관(23)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세정액 공급관(23)에 의해 공급되어 일정 수위가 유지되는 제1세정액 중으로 악취가스를 분사시켜 악취가스를 세정하며, 악취가스에 포함된 분진(Dust)도 동시에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미세제트노즐 세정부(24)는 다수의 가스유입공(24a)이 구비된 가스 유입판(24b)과 다수의 미세제트공(24c)이 구비된 제트노즐(24d) 및 다수의 충돌판(24e)으로 구성된 형태를 갖는데 이 역시 공지된 기술구성이다.
이때, 상기 가스 유입판(24b)은 소정두께를 갖는 스테인레스 강판제를 이용하여 본체(10)의 평면 형상에 대응하는 원판 또는 사각판 형상으로 성형한 것으로, 가스 분배실(13)로 유입되는 악취가스를 상부로 이동되게 하는 다수의 가스유입공(24a)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10)의 가스 분배실(13)과 미세제트노즐 세정부(24) 사이에서 횡 방향으로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또, 공지된 상기 제트노즐(24d)은 상기 가스 유입판(24b)의 상면에서 가스유입공(24)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가스유입공(24a)을 덮으며 상기 가스유입공(24a)에 의해 상부로 이동된 악취가스를 일시 포집하도록 "∩"자 또는 "┌┐" 형상을 가지며, 양쪽 하단부에 일시 포집된 악취가스를 외측으로 분사되도록 상기 가스유입공(24a)이 형성된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의 미세제트공(24c)이 구비된 형태를 갖는다.
또한, 공지된 상기 다수의 충돌판(24e)은 인접한 상기 가스유입공(24a) 사이의 중간 부위에서 상기 가스 유입판(24b)의 상부에 입설된 상태를 갖고 상기 제트노즐(24d)의 미세제트공(24c)들을 통해 배출된 악취가스를 제1세정액 내에서 와류 및 기포화시키고 상부로 이동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제1세정액 수위조절부(25)는 상기 미세제트노즐 세정부(24) 일측에 구비되어 순환되는 제1세정액의 수위를 조정하며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21)로 순환 이송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단 세정부(20)에 알칼리 제1세정액(알카리 또는 산)을 사용하고 제2단 세정부(30)에 제1세정액과 대치되는 제2세정액(산 또는 알카리)을 사용하였으나, 복합악취의 성상에 따라 제1단 세정부(20)와 제2단 세정부(30)에 산, 알카리 세정액을 선택 사용하여 탈취효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2단 세정부(30)는 제2세정액이 상기 본체(10) 내외를 순환하며 상기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악취가스 중에 제2세정액과 반응하는 악취 물질들을 세정하도록 제2세정액 저장탱크(31)와, 제2세정액 순환펌프(32), 제2세정액 분사관(33), 제2세정 팩배드부(34), 제2세정액 포집부(35) 및 제2 세정액 순환부(36)가 구비된 형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제2세정액 저장탱크(31)는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21)와 인접하여 구비되어 2차 세정액인 제2세정액을 수용한다.
또,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32)는 상기 제2세정액 저장탱크(31) 일 측에 구비되어 수용된 제2세정액을 상기 본체(10) 내부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이때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32)는 상기 제2세정 팩배드부(34)의 상부로 제2세정액을 분사하는 제2세정액 분사관(33)으로 제2세정액을 이송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2세정액 분사관(33)은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32)에 의해 이송된 제2산 세정액을 상기 본체(10) 내에서 하향 분사시키도록 다수개의 공급공(미도시됨)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2단 동시세정 탈취 탑은, 제2세정액 저장탱크(31) 내에 수용된 제2세정액과 동시에 알칼리 세정을 실시하기 위함으로 이러한 제2단 세정부(30)는 제1단 세정부(20)와 독립된 순환구조를 갖되 일체의 본체(10) 내에서 복합 악취가스의 제1세정과 제2세정으로 산, 알칼리 중화반응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세정 팩배드부(34)는 상기 제2세정액 분사관(33)의 하부에 구비되어 악취가스와 세정액의 접촉면적을 최대로 확보하여 악취가스를 포집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2세정 팩배드부(34)는 메디아 충진 층으로써 팩베드 층을 통과하는 악취가스가 팩베드 표면의 보다 많은 세정액과의 접촉을 거치면서 세정 포집되도록 충분한 두께 및 충분한 표면적을 갖도록 충진 형성되어 악취가스를 세정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단 세정부(30)에서는 상부로 상승하는 악취가스 중 제2세정액과 반응하는 악취 물질들이 효과적으로 세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세정액 포집부(35)는 상기 제2세정 팩배드부(34)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단 세정부(20)에서 세정된 악취가스를 상기 제2세정 팩배드부(34)로 이동되도록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2세정액 분사관(33)에 의해 분사되어 제2세정 팩배드부(34)를 통과하고 하부로 낙하되는 제2세정액을 포집하는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2세정액 포집부(35)는 하부를 향해 떨어지는 제2세정액이 제1단 세정부(20)로 낙하되지 않도록 포집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또, 상기 제2세정액 순환부(36)는 상기 제2세정액 포집부(35)의 일측에 구비되어 포집된 제2세정액을 제2세정액 저장탱크(31)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공지된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의 구성요소 중 상기 미세제트노즐 세정부(24)의 가스 유입판(24b)에 설치되는 제트노즐(24d)을 합성수지재로 다수의 미세제트공(24c)이 형성된 나사 결합형 원통 형상으로 성형하여 가스 유입판(24b)에 원형으로 타공한 가스유입공(24a)에 고정용 너트(26)를 이용하여 착탈(교체) 가능하게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을 기본적인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즉, 상기 미세제트노즐 세정부(24) 내 제트노즐(24d)을 저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갖게 합성수지재로 성형하되, 상방부 원주면을 따라서는 종래 제트노즐(24d)에서와 마찬가지로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미세제트공(24c)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한 형태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저면이 개구된 원통 형태로 상기 제트노즐(24d)을 사출 성형할 때, 저부 외면 일부에는 숫나사산(24d-1)을 형성하여 주고, 또 상기 숫나사산(24d-1)의 상부 외면에는 와셔 형상을 갖는 가스 유입판 걸림판(24d-2)을 일체로 돌출 형성하여 주었다.
따라서, 상기 제트노즐(24d)들을 상기 가스 유입판(24b)에 설치할 때, 종래와 같이 용접 등의 방법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외면에 숫나사산(24d-1)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트노즐(24d)의 저부를 상기 가스 유입판(24b)의 가스유입공(24a) 내로 삽입한 다음, 상기 가스유입공(24a)을 통해 가스 유입판(24b)의 저면으로 돌출된 상기 숫나사산(24d-1)에 고정용 너트(26)를 체결하여 제트노즐(24d)들을 간단히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트노즐(24d)의 숫나사산(24d-1)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가스 유입판 걸림판(24d-2)의 저면은 상기 가스 유입판(24b)의 상면에 걸려지고, 상기 숫나사산(24d-1)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24e-1)의 상면은 상기 가스 유입판(24b)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제트노즐(24d)들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가스 유입판(24b)의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를 갖고 상기 가스유입공(24a)들에 각각 고정 설치된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트노즐(24d)의 상면 중앙에 충돌판 체결용 암나사(24d-3)를 더 형성하고, 상기 충돌판(24e)도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트노즐(24d)의 지름보다는 상대적으로 큰 지름을 갖고 저부가 트인 원통 형상으로 성형하되, 원통 형상을 갖는 상기 충돌판(24e)의 천정면 중앙에는 상기 제트노즐(24d)의 충돌판 체결용 암나사(24d-3)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24e-1)를 일체로 돌출 성형하여 주었다.
따라서, 상기 충돌판(24e)을 설치할 때, 종래와 같이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상기 가스 유입판(24b)의 상면에 직접 설치하지 않고, 상기 제트노즐(24d)들을 상기 가스 유입판(24b)의 가스유입공(24a)에 설치하기에 앞서 필드에서 또는 상기 제트노즐(24d)들을 상기 가스 유입판(24b)의 가스유입공(24a)에 설치한 상태에서, 원통 형상을 갖도록 사출 성형한 상기 충돌판(24e)들을 상기 제트노즐(24d)의 상부를 감싸도록 씌운 다음, 일반적인 나사 결합식 뚜껑을 결합시키는 것과 같이 상기 충돌판(24e)의 천정면에 돌출 형성된 볼트(24e-1)가 상기 제트노즐(24d)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충돌판 체결용 암나사(24d-3)에 나사 결합되도록 회전시켜 주면 상호 간편하게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충돌판(24e)을 제트노즐(24d)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거나 또는 제트노즐(24d)들을 가스 유입판(24b)의 가스유입공(24a)으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때에는 전술한 반대 방향으로 충돌판(24e)을 회전시키거나 제트노즐(24d)의 숫나사산(24d-1)에 결합된 고정볼트(24e-1)을 분리시키면 간단히 분리된다.
한편, 상기 충돌판(24e)을 사출 성형할 때 단순히 저면이 트인 원통 형상으로 성형하여 상기 제트노즐(24d)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할 경우, 상기 제트노즐(24d)의 주면부에 형성된 다수의 미세제트공(24c)을 통해 상기 제트노즐(24d)의 외면과 충돌판(24e)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로 배출되는 악취가스가 상기 충돌판(24e)의 내면에 부딪힌 다음 상기 제트노즐(24d)과 충돌판(24e) 사이의 공간부 저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제1세정액 내로 유입되는 형태를 갖게 되므로 악취가스가 제1세정액 내에서 크게 와류되지 않을 뿐더라 분포범위가 좁아 고르게 분포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충돌판(24e)의 상면에 비교적 크기가 큰 다수의 가스 통과공(24e-2)을 더 형성하여 줌으로써 상기 제트노즐(24d)의 미세제트공(24c)들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다음 상기 충돌판(24e)의 내면에 충돌되며 와류 및 기포화된 악취가스의 일부를 상기 다수의 가스 통과공(24e-2)을 통해 제1세정액 내로 원활히 배출시킬 수 있어 제1세정액 내애서의 악취가스에 대한 와류 및 기포화 현상을 더욱 촉진시길 수 있어 악취가스에 대한 탈취효과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미세제트공(24c)을 구비하고 제트노즐(24d)을 가스 유입판(24b)의 가스유입공(24a)에 착탈(교체) 가능하게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재로 성형함은 물론 충돌판(24e) 역시 합성수지재로 성형하여 상기 제트노즐(24d)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트노즐(24d)는 물론 충돌판(24e)들을 제조할 때 동일한 구조로 연속 생산이 가능하여 수 가공에 의한 가공오류를 완벽히 배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세제트노즐 세정부(24)에 대한 생산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특히, 가스 유입판(24b)에 균일한 가스유입공(24a)들을 타공한 후, 나사 조립방식을 통한 충돌판(24e)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제트노즐(24d)들을 조립하는 것만으로 미세제트노즐 세정부(24)의 조립을 완성할 수 있어 제품 자체의 생산 및 조립에 따른 시간과 생산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제트노즐(24d)과 충돌판(24e)이 합성수지재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부식 등으로 인한 손상 및 고장율이 매우 낮아 유지보수비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본체 11: 미스트 포집부
12: 정화가스 배출구 13: 가스 분배실
14: 악취가스 공급팬 15: 가스 유입관
20: 제1단 세정부 21: 제1세정액 저장탱크
22: 제1세정액 순환펌프 23: 제1세정액 공급관
24: 미세제트노즐 세정부 24a : 가스유입공
24b : 가스 유입판 24c : 미세제트공
24d : 제트노즐 24d-1 : 숫나사산
24d-2 : 가스 유입판 걸림판 24d-3 : 충돌판 체결용 암나사
24e : 충돌판
24e-1 : 볼트 24e-2 : 가스 통과공
25: 제1세정액 수위조절부
26 : 고정용 너트
30: 제2단 세정부
31: 제2세정액 저장탱크 32: 제2세정액 순환펌프
33: 제2세정액 분사관 34: 제2세정 팩배드부
35: 제2세정액 포집부 36: 제2 세정액 순환부

Claims (3)

  1. 내부가 중공인 몸체에 미스트 포집부와 정화가스 배출구, 가스 분배실 및 가스 유입관이 구비된 본체와; 제1세정액 저장탱크와 제1세정액 순환펌프, 제1세정액 공급관, 미세제트노즐 세정부 및 제1세정액 수위 조절부가 구비된 제1단 세정부; 제2세정액 저장탱크와 제2세정액 순환펌프, 제2세정액 분사관, 제2세정 팩배드부, 제2세정액 포집부 및 제2세정액 순환부가 구비된 제2단 세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미세제트노즐 세정부는 악취가스 공급팬을 통해 가스 분배실로 유입되는 악취가스가 상부로 이동되게 하는 다수의 가스유입공이 구비된 가스 유입판과, 다수의 미세제트공을 구비하고 상기 가스유입공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유입공을 통해 상기 가스 유입판의 상부로 이동된 악취가스를 일시 포집하였다가 미세제트공들을 통해 외부로 배출해 주는 제트노즐과, 상기 제트노즐의 미세제트공들을 통해 배출된 악취가스를 제1세정액 내에서 와류 및 기포화시키고 상부로 이동시키는 다수의 충돌판으로 구성된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에 있어서,
    상기 미세제트노즐 세정부 내 제트노즐을 저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갖게 합성수지재로 성형하되, 상방부 원주면을 따라서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미세제트공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저부 외면 일부에는 숫나사산을 형성하며, 상기 숫나사산의 상부 외면에는 와셔 형상을 갖고 제트노즐의 저부를 상기 가스 유입판의 가스유입공 내로 삽입한 다음 상기 가스 유입판의 저면으로 돌출된 상기 숫나사산에 고정용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할 때 가스 유입판의 상면에 걸려져 제트노즐들이 상기 가스 유입판의 가스유입공들에 각각 고정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가스 유입판 걸림판을 일체로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제트노즐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트노즐의 상면 중앙에 충돌판 체결용 암나사를 더 형성하고, 상기 충돌판도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트노즐의 지름보다는 상대적으로 큰 지름을 갖고 저부가 트인 원통 형상으로 성형하되, 원통 형상을 갖는 상기 충돌판의 천정면 중앙에는 상기 제트노즐의 충돌판 체결용 암나사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를 일체로 돌출 성형하여 상기 충돌판이 상기 제트노즐의 상부를 감싸도록 씌운 상태에서 상기 제트노즐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제트노즐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돌판의 상면에는 상기 제트노즐의 미세제트공들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다음 상기 충돌판의 내면에 충돌되며 와류 및 기포화된 악취가스를 제1세정액 내로 배출시켜 주는 다수의 가스 통과공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제트노즐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KR1020180077988A 2018-07-05 2018-07-05 교체가 용이한 제트노즐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KR101882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988A KR101882218B1 (ko) 2018-07-05 2018-07-05 교체가 용이한 제트노즐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988A KR101882218B1 (ko) 2018-07-05 2018-07-05 교체가 용이한 제트노즐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2218B1 true KR101882218B1 (ko) 2018-08-27

Family

ID=63455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988A KR101882218B1 (ko) 2018-07-05 2018-07-05 교체가 용이한 제트노즐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221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016B1 (ko) 2019-10-24 2020-01-06 홍의환 악취가스 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
KR102093121B1 (ko) 2020-02-05 2020-03-26 (주)이화에코시스템 유입 악취가스 내 습식 분진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식 탈취기
KR102226874B1 (ko) 2020-12-14 2021-03-10 윤창진 송풍압에 의해 부상되는 비산약액 혼입방지 기능을 갖는 단일탑 다단 약액 세정식 탈취장치
KR102252558B1 (ko) * 2020-11-23 2021-05-17 주식회사 국제기술인증원 격자 경사 스프레이 및 다중 격막 장치를 적용한 약액 탈취장치
KR102311452B1 (ko) 2021-08-18 2021-10-08 윤창진 송풍압에 의해 부상되는 비산약액 혼입방지 기능을 갖는 단일탑 다단 약액 세정식 탈취장치
KR102420317B1 (ko) 2022-03-02 2022-07-13 윤창진 세정액 누수 방지 제트노즐을 갖는 세정식 탈취기
CN116920594A (zh) * 2023-09-14 2023-10-24 石家庄天人化工设备集团有限公司 烟气洗涤塔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845B1 (ko) 2007-12-06 2008-04-11 (주)이화에코시스템 2액 동시세정 탈취탑
KR101203420B1 (ko) 2012-08-21 2012-11-21 (주)이화에코시스템 2액 동시 세정 탈취탑
KR101287058B1 (ko) 2013-02-19 2013-07-23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세정액 반응시간 증가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식 탈취장치
KR101485320B1 (ko) 2014-08-26 2015-01-23 (주)이화에코시스템 기포 미세화 기능을 갖는 탈취장치
KR20160083683A (ko) * 2015-01-02 2016-07-12 황명회 미세기포 버블기가 구비된 약액 세정 탈취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845B1 (ko) 2007-12-06 2008-04-11 (주)이화에코시스템 2액 동시세정 탈취탑
KR101203420B1 (ko) 2012-08-21 2012-11-21 (주)이화에코시스템 2액 동시 세정 탈취탑
KR101287058B1 (ko) 2013-02-19 2013-07-23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세정액 반응시간 증가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식 탈취장치
KR101485320B1 (ko) 2014-08-26 2015-01-23 (주)이화에코시스템 기포 미세화 기능을 갖는 탈취장치
KR20160083683A (ko) * 2015-01-02 2016-07-12 황명회 미세기포 버블기가 구비된 약액 세정 탈취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016B1 (ko) 2019-10-24 2020-01-06 홍의환 악취가스 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악취가스 저감 시스템
KR102093121B1 (ko) 2020-02-05 2020-03-26 (주)이화에코시스템 유입 악취가스 내 습식 분진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식 탈취기
KR102252558B1 (ko) * 2020-11-23 2021-05-17 주식회사 국제기술인증원 격자 경사 스프레이 및 다중 격막 장치를 적용한 약액 탈취장치
KR102226874B1 (ko) 2020-12-14 2021-03-10 윤창진 송풍압에 의해 부상되는 비산약액 혼입방지 기능을 갖는 단일탑 다단 약액 세정식 탈취장치
KR102311452B1 (ko) 2021-08-18 2021-10-08 윤창진 송풍압에 의해 부상되는 비산약액 혼입방지 기능을 갖는 단일탑 다단 약액 세정식 탈취장치
KR102420317B1 (ko) 2022-03-02 2022-07-13 윤창진 세정액 누수 방지 제트노즐을 갖는 세정식 탈취기
CN116920594A (zh) * 2023-09-14 2023-10-24 石家庄天人化工设备集团有限公司 烟气洗涤塔
CN116920594B (zh) * 2023-09-14 2023-12-26 石家庄天人化工设备集团有限公司 烟气洗涤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2218B1 (ko) 교체가 용이한 제트노즐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KR101955270B1 (ko) 복합형 악취 제거장치
KR101485320B1 (ko) 기포 미세화 기능을 갖는 탈취장치
KR100820845B1 (ko) 2액 동시세정 탈취탑
KR101874338B1 (ko) 복합형 악취 제거장치
KR101203420B1 (ko) 2액 동시 세정 탈취탑
KR101232603B1 (ko) 다단 탈취기의 알칼리 세정부 거품 제거 및 2차 세정장치
KR101893036B1 (ko) 세정부 내 세정액의 수위설정 기능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KR101883659B1 (ko) 악취가스 균일분배 기능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KR101587597B1 (ko) 수평방향 다단 약액세정 탈취장치
KR101893358B1 (ko) 악취가스 유입저항 감소 기능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KR101555672B1 (ko) 효율적 분리 기능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KR20180005439A (ko) 3단 습식 세정 장치
KR101789468B1 (ko) 다상흐름식 탈취장치
KR101986293B1 (ko) 모듈형미세분사부가 구비된 복합 탈취 장치
KR102076856B1 (ko) 극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극미세기포를 이용한 화학적 탈취제 세정장치
KR102129824B1 (ko) 분무노즐을 이용한 선회류 2단 약액세정탑
KR102308434B1 (ko) 고효율 세정식 탈취장치
KR101874952B1 (ko) 선회식 유로 접촉을 이용한 다단 세정 탈취장치
KR101851300B1 (ko) 와류 침지형 악취 및 미세분진 포집장치
KR101823139B1 (ko) 터널식 오존 세정 악취 제거 장치
CN210473407U (zh) 污水喷淋式多级气体洗涤塔
KR101679537B1 (ko) 습식 세정 장치
CN108159875B (zh) 一种模块化组合式除臭装置
CN209406063U (zh) 一种末端废气综合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