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300B1 - 와류 침지형 악취 및 미세분진 포집장치 - Google Patents

와류 침지형 악취 및 미세분진 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300B1
KR101851300B1 KR1020180006448A KR20180006448A KR101851300B1 KR 101851300 B1 KR101851300 B1 KR 101851300B1 KR 1020180006448 A KR1020180006448 A KR 1020180006448A KR 20180006448 A KR20180006448 A KR 20180006448A KR 101851300 B1 KR101851300 B1 KR 101851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tank
fine dust
gas
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창진
Original Assignee
(주)이화에코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화에코시스템 filed Critical (주)이화에코시스템
Priority to KR1020180006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3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류 침지형 악취 및 미세분진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가 중공인 사각 또는 원형 탑 형상을 갖고 상부에는 역 호퍼 형상의 정화가스 배출구가 구비되고 저면은 개구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저면 개구부에 설치되어 미세분진을 포집하는데 필요한 물이 수용되는 저류조와; 외부에서 상기 본체의 중간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를 오리피스를 통해 저류조 내 물속으로 공급하는 악취 가스공급 관로와; 링의 내측에 복수의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악취 가스공급 관로의 저단부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어 펌프를 통해 공급되어 오는 물을 악취 가스공급 관로를 통과하고 있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에 정해진 압력으로 분사시켜 주는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와; 가스유입관 상단부가 상기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의 저면에 교체 가능하게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악취 가스공급 관로를 통해 공급되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의 유속을 순간적으로 빠르게 했다가 다시 유속을 낮춰 줌은 물론 상기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의 노즐들에서 분사되는 물이 내면을 따라 저류조 측으로 흘러내리며 내면에 흡착되는 미세분진이 저류조 내로 자동 흘러내리도록 하는 오리피스와; 저류조의 수면으로 노출된 상기 오리피스의 저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오리피스를 통과한 악취가 내포된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를 포함하여 습기를 먹은 미세분진이 와류되며 원주를 따라 형성된 가스 배출구를 통해 저류조 내 물속으로 직접 유입되게 함은 물론 와류되는 형태로 배출되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의 분사압력에 의해 저류조 물이 와류되게 하는 회전 방사형 가이드 베인과; 저류조 내의 물을 상기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에 지속적으로 공급시켜 주는 펌프와; 상기 본체 내에서 악취 가스공급 관로를 제외한 중간 부분을 수평방향으로 막아주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저류조 내 물을 통과하고 배출되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 내 악취와 습기 및 미세분진 협잡물을 1차적으로 포집하는 쉐브론 타입의 제 1 데미스터와; 상기 본체 내의 정화가스 배출구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 1 데미스터를 통과하고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정화가스 내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와 습기 및 미세분진 협잡물을 2차적으로 포집하는 제 2 데미스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물이 와류되는 형태로 분사되고 있는 관로 속으로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를 통과시키며 그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분진은 저류조 내 물속으로 침지시키고 악취는 저류조 내 물속은 물론 이중으로 설치된 데미스터를 통해 포집시켜 줄 수 있으므로 최종 단일 또는 이중 탈취 탑 형태를 갖는 탈취장치에 공급시켜 주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 및 미세분진 량을 최소화할 수 있어 단일 또는 이중 탈취 탑 형태를 갖는 탈취장치의 압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정액들의 교체비용을 줄일 수 있고, 탈취장치들의 탈취효과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와류 침지형 악취 및 미세분진 포집장치{Vortex-type odor and fine dust collecting device}
본 발명은 와류 침지형 악취 및 미세분진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합 악취 및 미세분진이 다량으로 포함된 상태로 하수처리장이나 분뇨처리장, 음식물 처리시설, 축산시설 등과 같은 장소에서 발생하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를 각종 세정액이 구비된 단일 또는 이중 탈취 탑 형태를 갖는 탈취장치에 공급하여 탈취하기에 앞서 전처리 차원에서 물이 와류되는 형태로 분사되고 있는 관로를 통과시키며 미세분진(微細粉塵, microscopic dust)은 저류조 내 물속으로 침지시키고 악취(bad smell)는 저류조 내 물속은 물론 이중으로 설치된 데미스터(Demister)를 통해 포집시켜 단일 또는 이중 탈취 탑 형태를 갖는 탈취장치의 압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정액들의 교체비용을 줄이고, 특히 탈취효과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와류 침지형 악취 및 미세분진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장이나 분뇨처리장, 음식물 처리시설, 축산시설 등과 같은 장소에서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가 발생되어 복합 악취가 나기 마련인데, 이로 인한 악취는 그 성상이 알카리성, 산성, 중성 등으로 복합적이어서 중화반응에 비해 반응속도가 느린 산화제(차아염소산소다 등)와 같은 단일 약액 세정액으로는 악취가스의 효과적인 처리가 어려워지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을 토대로 복합 성상의 악취가스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탈취 탑 내에 다수의 노즐을 설치하고, 이로부터 탈취 탑 내로 도입된 악취를 함유하는 가스에 물을 접촉시켜 악취를 제거하는 방법(수세법)이 있으며, 이외에 탈취 탑 내에 활성탄, 실리카겔 및 지올라이트(Zelite) 등과 같은 흡착제 층을 배치하여 악취 물질을 흡착하도록 하는 방법(흡착법)이나 상기 흡착제 대신 특정 미생물 층을 배치하여 상기 미생물이 악취 발생물질들을 분해하도록 하는 방법(미생물 접촉방법)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복합가스로 이루어진 악취 가스는 통상 '산과 알칼리' 약액에 의해 중화반응을 일으켜 정화되는 것으로, 이러한 통상의 탈취 탑은 반응속도가 느려 효율이 떨어지나 복합적으로 반응하는 산화제(차아염소산소다 등)를 사용하는 단일 탈취 탑이나, 2개의 탈취 탑을 직렬로 연결하는 직렬식으로 각각 구성되는 산, 알칼리 세정 탑으로 이루어진 바, 이는 복합가스의 탈취효율이 저하하거나, 시공 제작 등의 복잡하고 장치의 대형화로 설치공간과 설치비가 과다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한국특허등록 제10-0820845호(발명의 명칭: 2액 동시세정 탈취 탑)가 개시된 바 있는데, 이와 같은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은 산, 알칼리 세정탑을 일체형 탈취 탑으로 구비함으로써 각 세정액이 별도로 순환하며 복합가스의 세정을 도모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한편, 산이나 알칼리 단독 세정 시에도 제트노즐과 팩배드 2단 세정을 수행함으로써 세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산, 알칼리의 동시 중화반응으로 하여금 탈취력이 개선되는 효과가 일부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은 물론 대부분의 탈취 탑 및 탈취장치 등에서는 복합 악취 및 미세분진이 다량으로 포함된 상태로 하수처리장이나 분뇨처리장, 음식물 처리시설, 축산시설 등과 같은 장소에서 발생하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가 전처리(즉, 일부 복합 악취 및 미세분진에 대한 처리) 없이 직접 유입시키고 있다.
따라서, 종래 대부분의 단일 또는 이중 탈취 탑 형태를 갖는 탈취장치에서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 내에 포함되어 있는 복합 악취 및 미세분진에 의해 압력손실이 크게 발생되어 탈취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정액들의 오염속도가 빨라 세정액들의 교체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31301호(2013년 02월 01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77488호(2016년 11월 14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586292호(2016년 01월 12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23903호(1998년 06월 03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복합 악취 및 미세분진이 다량으로 포함된 상태로 하수처리장이나 분뇨처리장, 음식물 처리시설, 축산시설 등과 같은 장소에서 발생하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를 각종 세정액(예를 들어 산 및 알칼리 세정액 등)이 구비된 단일 또는 이중 탈취 탑 형태를 갖는 탈취장치에 공급하여 탈취하기에 앞서 전처장치로 설치하되, 물이 와류되는 형태로 분사되고 있는 관로 속으로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를 통과시키며 그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분진은 저류조 내 물속으로 침지시키고 악취는 저류조 내 물속은 물론 이중으로 설치된 데미스터를 통해 포집시켜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 및 미세분진 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단일 또는 이중 탈취 탑 형태를 갖는 탈취장치의 압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정액들의 교체비용을 줄일 수 있는 와류 침지형 악취 및 미세분진 포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와류 침지형 악취 및 미세분진 포집장치는, 내부가 중공인 사각 또는 원형 탑 형상을 갖고 상부에는 역 호퍼 형상의 정화가스 배출구가 구비되고 저면은 개구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저면 개구부에 설치되어 미세분진을 포집하는데 필요한 물이 수용되는 저류조와; 단면이 "ㄱ"자 형상을 갖고 상기 본체의 중간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를 본체의 하방부를 향해 공급시켜 주는 악취 가스공급 관로와; 링의 내측에 복수의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악취 가스공급 관로의 저단부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어 펌프를 통해 공급되어 오는 물을 정해진 압력으로 분사시켜 악취 가스공급 관로를 통과하고 있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분진이 저류조 내 물속으로 침지되게 하는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와; 깔때기 형상의 가스유입관과 역 깔때기 형상의 가스배출관 사이에 좁은 유체 및 가스 통과공이 구비된 형태를 갖고, 가스유입관 상단부는 상기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의 저면에 교체 가능하게 고정되며, 가스배출관 하단부 일부는 저류조의 물속에 잠긴 형태로 설치되어 악취 가스공급 관로를 통해 공급되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의 유속을 순간적으로 빠르게 했다가 저류조의 물속으로 유입될 때는 유속을 낮춰 줌은 물론 상기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의 노즐들에서 분사되는 물이 내면을 따라 저류조 측으로 흘러내리며 내면에 흡착되는 미세분진이 저류조 내로 자동 흘러내리도록 하는 오리피스와; 상기 저류조의 일측 저부와 상기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 사이에 설치되어 저류조 내의 물을 상기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에 지속적으로 공급시켜 주는 펌프와; 상기 본체 내에서 악취 가스공급 관로를 제외한 중간 부분을 수평방향으로 막아주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저류조 내 물을 통과하고 배출되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 내 악취와 습기 및 미세분진 협잡물을 1차적으로 포집하는 쉐브론 타입의 제 1 데미스터와; 상기 본체 내의 정화가스 배출구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 1 데미스터를 통과하고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정화가스 내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와 습기 및 미세분진 협잡물을 2차적으로 포집하는 제 2 데미스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리피스의 저단부는 저류조의 수면으로 노출되게 설치하고, 수면으로 노출된 상기 오리피스의 저단부에는 오리피스를 통과한 악취가 내포된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를 포함하여 습기를 먹은 미세분진이 와류되며 원주를 따라 형성된 가스 배출구를 통해 저류조 내 물속으로 직접 유입되게 함은 물론 와류되는 형태로 배출되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의 분사압력에 의해 저류조 물이 와류되게 하는 회전 방사형 가이드 베인을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전 방사형 가이드 베인은, 중앙에 가스 유입공이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오리피스의 저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원판형 상판과; 중앙에서 상방향을 향해 외면이 내측 방향으로 만곡진 원뿔 형상의의 가스 배출방향 안내 돌부가 구비된 형태를 갖고 복수의 와류 형성용 날개를 통해 상기 상판의 저부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원판형 하판과; 평면이 ")"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고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의 틈새에서 정해진 각도를 두고 방사 형태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상판의 가스 유입공을 통해 유입되는 악취가 내포된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를 포함하여 습기를 먹은 미세분진이 와류되며 원주를 따라 형성된 가스 배출구를 통해 저류조 내 물속으로 유입되게 하는 복수의 와류 형성용 날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저류조 상부 일측을 관통하도록 직수관을 더 설치하되, 상기 저류조 내에 위치된 직수관의 단부에는 저류조 내의 수위가 정해진 수위 이하로 내려갈 경우 자동으로 물을 공급시켜 주는 자동 물 공급밸브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의 링 내측에 구비된 노즐들은 일측 방향으로 정해진 각도(θ)만큼 경사지게 설치 또는 형성시켜 노즐들을 통해 분사되는 물이 와류되는 형태로 분사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오리피스의 내면에는 내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은 물론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가 와류되는 형태를 갖고 저류조 내 물속으로 유입되게 하여 저류조 내 물이 와류를 일으키게 하는 복수의 와류발생용 가이드 베인을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류조의 저부 타측에는 오염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드레인 밸브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저류조의 일측 또는 전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저류조 내 물의 수위와 오염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시 창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리피스의 가스배출관 하단부는 저류조 내 물속에 3~5㎝ 깊이(h)만큼 잠기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의 링 외부에는 상기 악취 가스공급 관로의 저단부와 오리피스의 상단부 사이에 끼워 동시에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플랜지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와류 침지형 악취 및 미세분진 포집장치에 의하면, 본체와 저류조, 악취 가스공급 관로,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 오리피스, 펌프, 제 1 및 제 2 데미스터로 구성하여 복합 악취 및 미세분진이 다량으로 포함된 상태로 하수처리장이나 분뇨처리장, 음식물 처리시설, 축산시설 등과 같은 장소에서 발생하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를 각종 세정액(예를 들어 산 및 알칼리 세정액 등)이 구비된 단일 또는 이중 탈취 탑 형태를 갖는 탈취장치에 공급하여 탈취하기에 앞서 전처장치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이 와류되는 형태로 분사되고 있는 관로 속으로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를 통과시키며 그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분진은 저류조 내 물속으로 침지시키고 악취는 저류조 내 물속은 물론 이중으로 설치된 데미스터를 통해 포집시켜 줄 수 있으므로 최종 단일 또는 이중 탈취 탑 형태를 갖는 탈취장치에 공급시켜 주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 및 미세분진 량을 최소화할 수 있어 단일 또는 이중 탈취 탑 형태를 갖는 탈취장치의 압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정액들의 교체비용을 줄일 수 있고, 탈취장치들의 탈취효과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와류 침지형 악취 및 미세분진 포집장치의 정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도 1의 B부 확대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장치 중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의 서로 다른 실시 예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와류 침지형 악취 및 미세분진 포집장치의 정단면도.
도 7은 도 6 중 회전 방사형 가이드 베인의 사시도.
도 8은 도 6 중 회전 방사형 가이드 베인의 평면도.
도 9는 도 6 중 회전 방사형 가이드 베인의 정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와류 침지형 악취 및 미세분진 포집장치의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도 1의 B부 확대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장치 중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의 서로 다른 실시 예를 보인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와류 침지형 악취 및 미세분진 포집장치의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도 6 중 회전 방사형 가이드 베인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도 6 중 회전 방사형 가이드 베인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도 6 중 회전 방사형 가이드 베인의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 장치는,
내부가 중공인 사각 또는 원형 탑 형상을 갖고 상부에는 역 호퍼 형상의 정화가스 배출구(1a)가 구비되고 저면은 개구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저면 개구부에 설치되어 미세분진을 포집하는데 필요한 물이 수용되는 저류조(2)와;
단면이 "ㄱ"자 형상을 갖고 상기 본체(1)의 중간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를 오리피스(5)를 통해 본체(1) 저부에 설치되어 있는 저류조(2) 내 물속으로 공급시켜 주는 악취 가스공급 관로(3)와;
링(41)의 내측에 복수의 노즐(42)을 구비하고 상기 악취 가스공급 관로(3)의 저단부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어 펌프(6)를 통해 공급되어 오는 물을 정해진 압력으로 분사시켜 악취 가스공급 관로(3)를 통과하고 있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분진이 저류조(2) 내 물속으로 침지되게 하는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4)와;
깔때기 형상의 가스유입관(51)과 역 깔때기 형상의 가스배출관(52) 사이에 좁은 유체 및 가스 통과공(53)이 구비된 형태를 갖고, 가스유입관(51) 상단부는 상기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4)의 저면에 교체 가능하게 고정되며, 가스배출관(52) 하단부 일부는 저류조(2)의 물속에 정해진 깊이(h)만큼 잠긴 형태로 설치되어 악취 가스공급 관로(3)를 통해 공급되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의 유속을 순간적으로 빠르게 했다가 저류조(2)의 물속으로 유입될 때는 유속을 낮춰 줌은 물론 상기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4)의 노즐(42)들에서 분사되는 물이 내면을 따라 저류조(2) 측으로 흘러내리며 내면에 흡착되는 미세분진이 저류조(2) 내로 자동 흘러내리도록 하는 오리피스(5)와;
상기 저류조(2)의 일측 저부와 상기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4) 사이에 설치되어 저류조(2) 내의 물을 상기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4)에 지속적으로 공급시켜 주는 펌프(6)와;
상기 본체(1) 내에서 악취 가스공급 관로(3)를 제외한 중간 부분을 수평방향으로 막아주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저류조(2) 내 물을 통과하고 배출되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 내 악취와 습기 및 미세분진 협잡물을 1차적으로 포집하는 쉐브론 타입의 제 1 데미스터(7)와;
상기 본체(1) 내의 정화가스 배출구(1a)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 1 데미스터(7)를 통과하고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정화가스 내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와 습기 및 미세분진 협잡물을 2차적으로 포집하는 제 2 데미스터(8);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리피스(5)의 저단부는 저류조(2)의 수면으로 노출되게 설치하고, 수면으로 노출된 상기 오리피스(5)의 저단부에는 오리피스(5)를 통과한 악취가 내포된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를 포함하여 습기를 먹은 미세분진이 와류되며 원주를 따라 형성된 가스 배출구(114)를 통해 저류조(2) 내 물속으로 직접 유입되게 함은 물론 와류되는 형태로 배출되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의 분사압력에 의해 저류조(2) 물도 와류되게 하는 회전 방사형 가이드 베인(11)을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전 방사형 가이드 베인(11)은,
중앙에 가스 유입공(111a)이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오리피스(5)의 저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원판형 상판(111)과;
중앙에서 상방향을 향해 외면이 내측 방향으로 만곡진 대략 원뿔 형상의 가스 배출방향 안내 돌부(112a)가 구비된 형태를 갖고 복수의 와류 형성용 날개(113)를 통해 상기 상판(111)의 저부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원판형 하판(112)과;
평면이 ")"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고 상기 상판(111)과 하판(112) 사이의 틈새에서 정해진 각도를 두고 방사 형태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상판(111)의 가스 유입공(111a)을 통해 유입되는 악취가 내포된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를 포함하여 습기를 먹은 미세분진이 와류되며 수평방향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원주를 따라 형성된 가스 배출구(114)를 통해 저류조(2) 내 물속으로 유입되게 하는 복수의 와류 형성용 날개(113);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저류조(2) 상부 일측을 관통하도록 직수관(9)을 더 설치하되, 상기 저류조(2) 내에 위치된 직수관(9)의 단부에는 저류조(2) 내의 수위가 정해진 수위 이하로 내려갈 경우 자동으로 물을 공급시켜 주는 자동 물 공급밸브(10)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4)의 링(41) 내측에 구비된 노즐(42)들은 일측 방향으로 정해진 각도(θ)만큼 경사지게 설치 또는 형성시켜 노즐(42)들을 통해 분사되는 물이 노즐들의 경사각도(θ)만큼 경사지게 분사되며 와류되는 형태를 갖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오리피스(5)의 내면에는 내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은 물론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가 와류되는 형태를 갖고 저류조(2) 내 물속으로 유입되게 하여 저류조(2) 내 물이 와류를 일으키게 하는 복수의 와류발생용 가이드 베인(54)을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류조(2)의 저부 타측에는 저류조(2) 내 물이 오염될 경우 오염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드레인 밸브(21)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저류조(2)의 일측 또는 전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저류조(2) 내 물의 수위와 오염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시 창(22)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리피스(5)의 가스배출관(52) 하단부는 저류조(2) 내 물속에 3~5㎝ 깊이(h)만큼 잠기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4)의 링(41) 외부에는 상기 악취 가스공급 관로(3)의 저단부와 오리피스(5)의 상단부 사이에 끼워 복수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동시에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플랜지(43)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와류 침지형 악취 및 미세분진 포집장치에 대한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와류 침지형 악취 및 미세분진 포집장치의 일 실시 예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와 저류조(2), 악취 가스공급 관로(3),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4), 오리피스(5), 펌프(6), 쉐브론 타입의 제 1 데미스터(7) 및 제 2 데미스터(8)로 형성하여 최종 단일 또는 이중 탈취 탑 형태를 갖는 탈취장치에 공급시켜 주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 및 미세분진 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구성요소 중 상기 본체(1)는 내부가 중공인 사각 또는 원형 탑 형상을 갖되, 상부에는 역 호퍼 형상의 정화가스 배출구(1a)가 구비되고 저면은 개구된 형상를 갖고 본 발명 장치의 메인 프레임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저류조(2)는 상기 본체(1)의 저면 개구부를 통해 본체(1)의 내부와 관통되도록 상기 본체(1)의 저면 개구부에 설치되어 미세분진을 포집하는데 필요한 물을 수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저류조(2)를 상기 본체(1)의 저면 개구부에 설치하게 되면, 결국 상기 본체(1)와 저류조(2)는 본체의 상방부에 형성된 정화가스 배출구(1a)를 제외하고는 모두 밀폐된 형태를 갖게 되어 후술하는 악취 가스공급 관로(3)와 오리피스(5)를 통해 본체(1) 내부로 공급되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 자체가 아예 방지된다.
또한, 상기 악취 가스공급 관로(3)는 단면이 "ㄱ"자 형상을 갖고 상기 본체(1)의 중간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공급되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를 오리피스(5)를 통해 본체(1) 저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저류조(2) 내 물속으로 공급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4)는 도 4와 같이 기본적으로 외경이 상기 악취 가스공급 관로(3)의 내경과 같은 링(41)의 내측에 복수의 노즐(42)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 또는 형성한 형태를 갖고, 상기 악취 가스공급 관로(3)의 저단부와 후술하는 오리피스(5)의 상단부 사이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4)는 펌프(6)를 통해 공급되어 오는 저류조(2) 내 물을 정해진 압력으로 분사시켜 상기 악취 가스공급 관로(3)를 통과하고 있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분진이 노즐(42)들을 통해 분사되는 물분자와 결합된 후 저류조(2) 내 물속으로 침지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4)의 링(41) 내측에 구비되는 노즐(42)들을 단순히 링(41)의 도 4와 같이 중심점을 향해 설치하는 것보다 도 5와 같이 어느 일측 방향으로 정해진 각도(θ; 예를 들어 15~30도)만큼 경사지게 설치 또는 형성시켜 주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즉, 상기 노즐(42)들을 어느 일측 방향으로 정해진 각도(θ)만큼 경사지게 설치 또는 형성시켜 주게 되면, 노즐(42)들을 통해 분사되는 물이 노즐들의 경사진 각도(θ)만큼 경사지게 분사되며 와류되므로 상기 악취 가스공급 관로(3)를 통과하고 있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와의 접촉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 자체의 기류를 와류시킬 수 있어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분진에 더 많은 습기를 공급할 할 수 있으므로 저류조(2) 내 물속으로 침지되는 량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4)의 링(41) 외부에 플랜지(43)를 더 설치해 주게 되면, 상기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4)를 상기 악취 가스공급 관로(3)의 저단부와 오리피스(5)의 상단부 사이에 간단히 끼우고 도시 생략한 복수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동시에 이들을 상호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어 제작은 물론 교체시 아주 편리하게 된다.
한편, 상기 오리피스(5)는 깔때기 형상을 갖고 상부에 위치되는 가스유입관(51)과 역 깔때기 형상을 갖고 하부에 위치되는 가스배출관(52) 사이에 좁은 유체 및 가스 통과공(53)이 구비된 형태를 갖고, 상기 가스유입관(51) 상단부는 상기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4)의 저면에 교체 가능하게 고정되며, 가스배출관(52) 하단부 일부는 도 1과 같이 저류조(2)의 물속에 정해진 깊이(h)만큼 잠기게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오리피스(5)는 상기 악취 가스공급 관로(3)를 통해 공급되며 상기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4)의 링(41) 사이를 통과하며 노즐(42)들을 통해 분사되는 물기를 일부 머금은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의 유속을 좁은 유체 및 가스 통과공(53)을 통과시키며 순간적으로 빠르게 했다가 역 깔때기 형상을 갖는 가스배출관(52)을 통해 유속을 낮춘 다음 저류조(2)의 물속으로 유입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4)의 노즐(42)들에서 분사되는 물이 오리피스(5)의 내면을 따라 저류조(2) 측으로 원활히 흘러내리면서 일부 내면에 흡착될 수 있는 미세분진이 저류조(2) 내로 자동 흘러내리도록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오리피스(5)의 가스배출관(52) 하단부는 저류조(2) 내 물속에 3~5㎝ 깊이(h)만큼 잠기게 설치하여 줌으로써 상기 악취 가스공급 관로(3)와 오리피스(5)를 통과한 모든 유기 또는 무기가스가 저류조(2) 내 물속으로 유입된 다음 물속을 통과하며 일부 악취가 제거됨은 물론 미세분진들을 물속으로 침지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오리피스(5)의 내면에 복수의 와류발생용 가이드 베인(54)을 더 돌출 성형하여 주었다.
따라서, 상기 오리피스(5)의 가스유입관(51) 및 가스배출관(52) 내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은 물론 상기 오리피스(5)를 통과하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가 복수의 와류발생용 가이드 베인(54)의 형상에 대응하여 와류되는 형태를 갖고 저류조(2) 내 물속으로 유입되게 할 수 있으므로 저류조(2) 내 물이 와류현상을 일으키게 되어 미세분진을 포함한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와 저류조(2) 내 물 사이의 접촉시간을 크게 늘릴 수 있어 악취 제거 및 미세분진에 대한 침지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저류조(2) 내 물속으로 유입시켜 주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에 회전력(즉, 와류) 주거나, 또는 오리피스(5) 내에 이미 복수의 와류발생용 가이드 베인(54)이 구비된 경우는 2중으로 회전력을 더 주기 위하여, 상기 오리피스(5)의 저단부에 별도의 회전 방사형 가이드 베인(11)을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하여 주었다
즉, 복수의 와류발생용 가이드 베인(54)이 구비되지 않은 오리피스(5)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면에 복수의 와류발생용 가이드 베인(54)가 일체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 상기 오리피스(5)의 저단부를 전술과 같이 정해진 깊이(h)만큼 잠기게 설치하지 않고, 저류조(2)의 수면으로 노출되게 설치하되, 상기와 같이 수면으로 노출된 상기 오리피스(5)의 저단부에 도 6과 같이, 회전 방사형 가이드 베인(11)을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하여 주었다.
이와 같이 상기 오리피스(5)의 저단부를 저류조(2)의 수면으로 노출되게 설치하고, 수면으로 노출된 상기 오리피스(5)의 저단부에 회전 방사형 가이드 베인(11)을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하되, 상기 회전 방사형 가이드 베인(11)가 저류조(2) 내의 물속에 잠기도록 설치하게 되면, 상기 오리피스(5)를 통과한 악취가 내포된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를 포함하여 습기를 먹은 미세분진이 와류되며 측면 원주를 따라 형성된 가스 배출구(114)를 통해 저류조(2) 내 물속으로 직접 유입된다.
이때, 상기 회전 방사형 가이드 베인(11)은 도 6 내지 도 9와 같이, 원판형 상판(111)과 원판형 하판(112) 및 복수의 와류 형성용 날개(113)를 구비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회전 방사형 가이드 베인(11)의 구성요소 중 상기 상판(111)은 정해진 지름을 갖는 원판 형상을 가짐은 물론 중앙에는 가스 유입공(111a)이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오리피스(5)의 저단부에 복수의 볼트와 너트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된다.
또, 상기 하판(112)은 상기 상판(111)과 마찬가지로 정해진 지름을 갖는 원판 형상을 가짐은 물론 중앙에서 상방향을 향해서는 대략 원뿔 형상의 가스 배출방향 안내 돌부(112a)가 형성되되, 상기 가스 배출방향 안내 돌부(112a)의 외면은 내측 방향으로 만곡진 형태를 갖고, 후술하는 복수의 와류 형성용 날개(113)를 통해 상기 상판(111)의 저부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하판(112)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가스 배출방향 안내 돌부(112a)의 외면을 내측 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시켜 줌으로써, 상기 상판(111)의 가스 유입공(111a)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유입되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가 내측을 향해 만곡진 형태를 갖는 대략 원뿔 형상의 가스 배출방향 안내 돌부(112a)의 외면을 따라 수평방향 측으로 방향 전환되며 가스 배출구(114) 측으로 원활히 흐르게 되어, 하판(112)의 내면과 가스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마찰력을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사이의 마찰에 의해 파생될 수 있는 소음 및 진동발생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와류 형성용 날개(113)는 평면이 ")"을 갖게 절곡된 형태를 갖고 상기 상판(111)과 하판(112) 사이의 틈새에서 도 8과 같이 정해진 각도를 두고 방사 형태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상판(111)의 가스 유입공(111a)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유입되는 악취가 내포된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를 포함하여 습기를 먹은 미세분진이 와류 형성용 날개(113)들의 형상 및 설치 각도에 대응하여 와류되며 내측 방향으로 만곡진 형태를 갖는 상기 하판(112)의 가스 배출방향 안내 돌부(112a) 외면 형상에 대응하여 수평방향으로 원활히 방향 전환된 다음 상기 상판(111) 및 하판(112)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 가스 배출구(114)를 통해 저류조(2) 내 물속으로 직접 유입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저류조(2) 내 물이 상기 회전 방사형 가이드 베인(11)의 상판(111)과 하판(112)의 원주를 따라 방사형으로 형성된 가스 배출구(114)를 통해 와류되는 형태로 배출되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의 회전형 분사압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와류되는 형태를 갖게 되므로 미세분진을 포함한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와 저류조(2) 내 물 사이의 접촉시간을 더욱 크게 늘릴 수 있어 악취 제거 및 미세분진에 대한 침지효과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판(111)과 복수의 와류 형성용 날개(113) 및 하판(112)으로 이루어진 상기 회전 방사형 가이드 베인(11)은 주물을 통해 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고, 각각 별개로 성형한 다음 상호 접촉면 즉, 상판(111)의 저면과 와류 형성용 날개(113)의 상단부 사이 및 와류 형성용 날개(113)의 하단부와 하판(112)의 상면 사이 접촉부를 용접을 통해 일체로 고정시키는 방식을 통해 제조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펌프(6)는 상기 저류조(2)의 일측 저부와 상기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4) 사이에 설치되어 저류조(2) 내의 물을 상기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4)에 지속적으로 공급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 1 데미스터(7)는 도 3의 확대도와 같이 가스 배출시간 지연겸 협잡물 낙하 날개가 구비된 물결 형상의 판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된 쉐브론 타입을 갖고 상기 본체(1) 내에서 악취 가스공급 관로(3)를 제외한 중간 부분을 수평방향으로 막아주는 형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기포형태로 상기 저류조(2) 내 물을 통과하여 물 밖으로 배출된 다음 본체(1)의 밀폐된 내부 공간을 통해 정화가스 배출구(1a) 측으로 상승하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에 포함되어 있은 악취와 습기 및 미세분진 협잡물을 1차적으로 필터링시켜 포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제 2 데미스터(8)는 도 2의 확대도와 같이 복수의 판재를 물 결 형상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된 형태를 갖고 상기 본체(1) 내의 정화가스 배출구(1a)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데미스터(7)를 통과하고 본체(1)의 정화가스 배출구(1a)를 통해 도시 생략한 외부의 또 다른 탈취장치 또는 포집장치 등으로 공급 또는 포집시키기에 앞서 정화가스 내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와 습기 및 미세분진 협잡물을 2차 즉, 최종적으로 한번 더 필터링시켜 포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 장치에서는 외부의 또 다른 탈취장치 등으로 정화된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를 공급시키기에 앞서 제 1 및 제 2 데미스터(7)(8)를 통해 1, 2차에 걸쳐 악취 및 미세분진 협작을 더 제거 및 필터링시켜 주므로 악취 제거 및 미세분진 제거효율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저류조(2) 상부 일측에 내부로 관통하도록 직수관(9)을 더 설치하고, 상기 저류조(2) 내에 위치된 직수관(9)의 단부에는 자동 물 공급밸브(10)를 설치하여 주었다.
따라서, 상기 저류조(2) 내의 수위가 정해진 수위 이하로 내려갈 경우 상기 직수관(9)에 구비된 자동 물 공급밸브(10)가 자동으로 열려 직수를 저류조(2) 내로 자동 공급시켜 줄 수 있어 저류조(2) 내 수위가 항상 정해진 수위를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 장치를 이용하여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 내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 및 미세분진을 제거에 필요한 물의 부족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저류조(2)의 저부 타측에서 저루조의 바닥면에 근접하게 드레인 밸브(21)를 구비시켜 줌은 물론 상기 저류조(2)의 일측 또는 전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저류조(2) 내 물의 수위와 오염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시 창(22)을 구비시켜 주었다.
따라서, 본 발명 장치를 지속적으로 작동시켜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 내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 및 미세분진을 제거하던 중 저류조(2) 내 물의 오염정도 및 수위 등을 상기 투시 창(22)을 통해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류조(2) 내 물이 미세분진 등에 의해 크게 오염된 상태로 판단될 경우 상기 드레인 밸브(21)를 열고 저류조(2) 내 오염된 물을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고 직수관(9)을 통해 깨끗한 물론 자동 공급시켜 줄 수 있어 유지관리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본체 1a : 정화가스 배출구
2 : 저류조
21 : 드레인 밸브 22 : 투시 창
3 : 악취 가스공급 관로
4 :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 41 : 링
42 : 노즐 43 : 플랜지
5 : 오리피스
51 : 가스유입관 52 : 가스배출관
53 : 유체 및 가스 통과공 54 : 와류발생용 가이드 베인
6 : 펌프
7 : 제 1 데미스터
8 : 제 2 데미스터
9 : 직수관
10 : 자동 물 공급밸브
11 : 회전 방사형 가이드 베인
111 : 상판 111a : 가스 유입공
112 : 하판 112a : 가스 배출방향 안내 돌부
113 : 와류 형성용 날개 114 : 가스 배출구

Claims (10)

  1. 내부가 중공인 사각 또는 원형 탑 형상을 갖고 상부에는 역 호퍼 형상의 정화가스 배출구가 구비되고 저면은 개구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저면 개구부에 설치되어 미세분진을 포집하는데 필요한 물이 수용되는 저류조와;
    외부에서 상기 본체의 중간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를 오리피스를 통해 저류조 내 물속으로 공급하는 악취 가스공급 관로와;
    링의 내측에 복수의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악취 가스공급 관로의 저단부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어 펌프를 통해 공급되어 오는 물을 악취 가스공급 관로를 통과하고 있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에 정해진 압력으로 분사시켜 주는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와;
    가스유입관 상단부가 상기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의 저면에 교체 가능하게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악취 가스공급 관로를 통해 공급되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의 유속을 순간적으로 빠르게 했다가 다시 유속을 낮춰 줌은 물론 상기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의 노즐들에서 분사되는 물이 내면을 따라 저류조 측으로 흘러내리며 내면에 흡착되는 미세분진이 저류조 내로 자동 흘러내리도록 하는 오리피스와;
    저류조의 수면으로 노출된 상기 오리피스의 저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오리피스를 통과한 악취가 내포된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를 포함하여 습기를 먹은 미세분진이 와류되며 원주를 따라 형성된 가스 배출구를 통해 저류조 내 물속으로 직접 유입되게 함은 물론 와류되는 형태로 배출되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의 분사압력에 의해 저류조 물이 와류되게 하는 회전 방사형 가이드 베인과;
    저류조 내의 물을 상기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에 지속적으로 공급시켜 주는 펌프와;
    상기 본체 내에서 악취 가스공급 관로를 제외한 중간 부분을 수평방향으로 막아주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저류조 내 물을 통과하고 배출되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 내 악취와 습기 및 미세분진 협잡물을 1차적으로 포집하는 쉐브론 타입의 제 1 데미스터와;
    상기 본체 내의 정화가스 배출구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 1 데미스터를 통과하고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정화가스 내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와 습기 및 미세분진 협잡물을 2차적으로 포집하는 제 2 데미스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 침지형 악취 및 미세분진 포집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사형 가이드 베인은,
    중앙에 가스 유입공이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오리피스의 저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상판과;
    중앙에 가스 배출방향 안내 돌부가 구비된 형태를 갖고 복수의 와류 형성용 날개를 통해 상기 상판의 저부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원판형 하판과;
    평면이 ")"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고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의 틈새에서 정해진 각도를 두고 방사 형태로 고정 설치되어 악취가 내포된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를 포함하여 습기를 먹은 미세분진이 와류되며 원주를 따라 형성된 가스 배출구를 통해 저류조 내 물속으로 유입되게 하는 복수의 와류 형성용 날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 침지형 악취 및 미세분진 포집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 상부 일측을 관통하도록 직수관을 설치하되, 상기 저류조 내에 위치된 직수관의 단부에는 저류조 내의 수위가 정해진 수위 이하로 내려갈 경우 자동으로 물을 공급시켜 주는 자동 물 공급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 침지형 악취 및 미세분진 포집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의 링 내측에 구비된 노즐들은 일측 방향으로 정해진 각도(θ)만큼 경사지게 설치 또는 형성시켜 노즐들을 통해 분사되는 물이 와류되는 형태로 분사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 침지형 악취 및 미세분진 포집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의 내면에는 내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과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가 와류되는 형태를 갖고 저류조 내 물속으로 유입되게 하는 복수의 와류발생용 가이드 베인을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 침지형 악취 및 미세분진 포집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의 저부 타측에는 오염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드레인 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 침지형 악취 및 미세분진 포집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의 일측 또는 전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저류조 내 물의 수위와 오염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시 창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 침지형 악취 및 미세분진 포집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의 가스배출관 하단부는,
    저류조 내 물속에 3~5㎝ 잠기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 침지형 악취 및 미세분진 포집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세분진 침지용 물 분사기의 링 외부에는 상기 악취 가스공급 관로의 저단부와 오리피스의 상단부 사이에 끼워 동시에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플랜지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 침지형 악취 및 미세분진 포집장치.
KR1020180006448A 2018-01-18 2018-01-18 와류 침지형 악취 및 미세분진 포집장치 KR101851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448A KR101851300B1 (ko) 2018-01-18 2018-01-18 와류 침지형 악취 및 미세분진 포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448A KR101851300B1 (ko) 2018-01-18 2018-01-18 와류 침지형 악취 및 미세분진 포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1300B1 true KR101851300B1 (ko) 2018-04-23

Family

ID=62089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448A KR101851300B1 (ko) 2018-01-18 2018-01-18 와류 침지형 악취 및 미세분진 포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3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5811A1 (ko) * 2018-05-23 2019-11-28 Seo Min Su 벤튜리 일체형 스크러버 장치
KR102093481B1 (ko) * 2019-08-05 2020-03-25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악취 저감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스크러버
KR20210058439A (ko) * 2019-11-14 2021-05-24 김통일 구이 연기 제거장치
KR102352706B1 (ko) * 2021-09-06 2022-01-17 배도춘 플라즈마를 이용한 악취 제거 장치 및 축사 악취 제거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810B1 (ko) * 2007-03-15 2007-08-02 홍은표 세정집진장치
KR101227893B1 (ko) * 2010-09-14 2013-01-30 주식회사 에이피티 습식 집진장치
KR101729079B1 (ko) 2016-06-20 2017-04-21 노창식 분진을 포함한 유해가스 및 악취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810B1 (ko) * 2007-03-15 2007-08-02 홍은표 세정집진장치
KR101227893B1 (ko) * 2010-09-14 2013-01-30 주식회사 에이피티 습식 집진장치
KR101729079B1 (ko) 2016-06-20 2017-04-21 노창식 분진을 포함한 유해가스 및 악취 제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5811A1 (ko) * 2018-05-23 2019-11-28 Seo Min Su 벤튜리 일체형 스크러버 장치
KR102093481B1 (ko) * 2019-08-05 2020-03-25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악취 저감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스크러버
KR20210058439A (ko) * 2019-11-14 2021-05-24 김통일 구이 연기 제거장치
KR102270812B1 (ko) * 2019-11-14 2021-06-29 김통일 구이 연기 제거장치
KR102352706B1 (ko) * 2021-09-06 2022-01-17 배도춘 플라즈마를 이용한 악취 제거 장치 및 축사 악취 제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300B1 (ko) 와류 침지형 악취 및 미세분진 포집장치
KR101955270B1 (ko) 복합형 악취 제거장치
KR101874338B1 (ko) 복합형 악취 제거장치
KR100972921B1 (ko) 회전 격판식 선회류 세정 및 탈취장치
KR101804418B1 (ko) 선박용 습식 스크러버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용 습식 스크러버 시스템
KR100663635B1 (ko) 가압 탈취용액운회전식 탈취장치
KR101396537B1 (ko) 악취가스 액적 분리시스템
KR101664148B1 (ko) 미세기포 버블기가 구비된 약액 세정 탈취장치
KR101650855B1 (ko) 회전식 세정액 분무 유니트를 갖는 탈취장치
KR101997185B1 (ko) 촉매산화수 발생장치를 이용한 약액 세정 탈취장치
KR101965612B1 (ko)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갖는 악취제거용 탈취기
KR101999165B1 (ko)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탈취장치
KR101912617B1 (ko) 무동력 마이크로버블 형성구조를 갖는 탈취장치
KR100966737B1 (ko) 약액 세정식 탈취탑
KR101918005B1 (ko) 다단 탈취 필터를 구비한 하이브리드형 2단 세정 탈취 장치
KR101443157B1 (ko) 오염가스 정화장치
CN215138070U (zh) 一种VOCs废气高效预处理装置
KR101883659B1 (ko) 악취가스 균일분배 기능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KR20180131723A (ko) 오염 가스 집진장치
CN114042375A (zh) 一种化学加工废气净化塔
KR101963765B1 (ko) 촉매수 발생장치를 이용한 세정장치를 구비한 약액세정탈취장치
CN213790748U (zh) 一种环保工程用有害气体处理装置
KR102151060B1 (ko) 와류세정기능을 갖는 악취제거용 탈취장치
KR101896065B1 (ko) 악취처리장치
CN205867984U (zh) 一种烟气超低排放吸收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