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723A - 오염 가스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오염 가스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1723A
KR20180131723A KR1020170067969A KR20170067969A KR20180131723A KR 20180131723 A KR20180131723 A KR 20180131723A KR 1020170067969 A KR1020170067969 A KR 1020170067969A KR 20170067969 A KR20170067969 A KR 20170067969A KR 20180131723 A KR20180131723 A KR 20180131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yclone
primary
gas
clean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영록
진한솔
Original Assignee
진영록
진한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영록, 진한솔 filed Critical 진영록
Priority to KR1020170067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1723A/ko
Publication of KR20180131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7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4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5/00 and B01D47/00
    • B01D50/0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4Packed sc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 가스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염된 GAS의 용매제거 효율을 높이기 위한 오염 가스 집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악취가 포함된 공기를 1차 정화시키기 위한 1차 충진재 및 1차 정화제가 수용된 1차 탈취실과, 1차 탈취실을 통해 정화된 공기를 연동관을 통해 공급받아 2차 정화시키기 위한 2차 충진재 및 2차 정화제를 운송펌프를 통해 2차 충진재의 상부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이 장착된 2차 탈취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악취제거 스크러버에 있어서, 1차 탈취실은 1차 정화제 보관실 및 2차 정화제 보관실로 격리되어 구성되고, 2차 탈취실은 1차 탈취실의 상부에 장착되며, 2차 정화제가 수집되도록 형성되고, 2차 정화제 및 2차 충진재의 이상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감시창이 구성되고, 2차 탈취실 하부에 배치되어 1차 탈취실에서 폭기되는 1차 정화제의 폭기량을 감소시키고 1차 탈취실로부터 1차 정화된 공기를 2차 탈취실로 포집 또는 유도하는 1차 싸이클론이 구성되고, 2차 탈취실의 배출구와 분사노즐 사이에 배치되어 2차 탈취실에서 발생된 정화된 공기를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2차 싸이클론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가스 집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염된 공기를 단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산성 정화제나 염기성 정화제를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으며, 싸이클론의 가스 회전을 이용하여 정화제의 폭기가 일어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고 정화제의 혼합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악취가스 분사관을 일정수위의 물에 잠기게 하여 1차 정화제의 폭기량을 감소시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오염 가스 집진장치{POLLUTION GAS SCRUBBER}
본 발명은 오염 가스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염된 GAS의 용매제거 효율을 높이기 위한 오염 가스 집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경보호를 위한 중간처리는 범세계적인 이슈이다. 공기나 물의 오염은 건강과 식품에 영향을 주고 세계기후 변화의 중요한 요인이다. 내연기관 배가스, 제조공정, 동물 폐기물에서 유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는 어느 때보다도 그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모든 종류의 제조과정이나 상업적 처리과정에서 나오는 오염입자, 질소기체, 산성화합물, 악취 등(총칭하여 "오염 물"이라 함)을 제거하는 장치는 최근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제조공장, 발전소, 자동차, 중장비에서 배출되는 배기 가스나 배출물을 세정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필요성은 점점 증대하고 있다. 이런 장치들은 폐기물이나 폐 가스에서 오염 물을 분리하거나 변화시켜 제거하는데 각각 다른 공정을 이용하고 있다. 이런 공정에서 오염 물을 제거하는데 화학약품을 분무하거나, 촉매반응, 전기장, 필터, 사이클론, 화학용액을 이용한다. 석탄, 오일, 가솔린, 디젤 형태의 탄화수소의 연소는 현대생활에서 필수적으로 일어난다. 석탄은 전 세계적으로 주거용이나 산업용으로 열과 전기를 생산하는데 사용된다. 디젤유는 운수산업, 광산이나 삼림이나 농장에서 사용되는 중장비는 물론, 자동차, 선박, 철도차량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런 연소과정이 증가할수록 환경오염도 증가한다. 연소과정 외에도, 독성이나 악취가 나는 화학물, 예컨대 페인트, 화학약품, 종이, 플라스틱 등의 제조과정에서 나오는 오염물도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산성비 형태의 화학적 강우는 수로를 오염시키고 물고기와 전세계의 식생을 파괴한다. 제조과정에서 나오는 악취와 대량사육 동물농장에서 나오는 악취도 인간의 생활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와 관련, 종래의 한국등록 실용신안 제20-0204943호(매연 가스의 세정 집진 장치)는 본체 내부 상측은 분사노즐과 하측은 물탱크를 연통 설치한 것에 있어서, 분사노즐 하측 중앙의 원통체 외 둘레와 본체 내 둘레에 간격부를 각각 두고 경사익판을 등간격으로 겹치게 하여 용접부로 일체가 되게 용접하여서 된 매연, 가스의 세정 집진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종래기술은 오염된 공기를 한 번에 처리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단계적인 설계가 어렵고, 최근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VOCs(Volatile Organic Chemicals: 유기화합물질)의 주요 성분인 황화계 악취물질과 질소계 악취물질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0494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오염된 공기를 단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오염 가스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화제의 폭기가 일어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고 정화제의 혼합을 방지할 수 있는 오염 가스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악취가 포함된 공기를 1차 정화시키기 위한 1차 충진재 및 1차 정화제가 수용된 1차 탈취실과, 1차 탈취실을 통해 정화된 공기를 연동관을 통해 공급받아 2차 정화시키기 위한 2차 충진재 및 2차 정화제를 운송펌프를 통해 2차 충진재의 상부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이 장착된 2차 탈취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악취제거 스크러버에 있어서, 1차 탈취실은 1차 정화제 보관실 및 2차 정화제 보관실로 격리되어 구성되고, 2차 탈취실은 1차 탈취실의 상부에 장착되며, 2차 정화제가 수집되도록 형성되고, 2차 정화제 및 2차 충진재의 이상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감시창이 구성되고, 2차 탈취실 하부에 배치되어 1차 탈취실에서 폭기되는 1차 정화제의 폭기량을 감소시키고 1차 탈취실로부터 1차 정화된 공기를 2차 탈취실로 포집 또는 유도하는 1차 싸이클론이 구성되고, 2차 탈취실의 배출구와 분사노즐 사이에 배치되어 2차 탈취실에서 발생된 정화된 공기를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2차 싸이클론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가스 집진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1차 정화제는, 1차 정화제 보관실에 일정 수위의 높이로 유지되고 1차 정화제 보관실은 하부 외측에서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배출 통공을 통해 오염된 공기를 공급받아 1차 정화제 내부에서 분사하는 악취가스 분사관과, 악취가스 분사관의 상부로 이격되어 장착되는 타공판과, 상부 일측에 1차 정화제를 일정 수위로 유지하기 위한 1차 수위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1차 충진재는, 1차 정화제의 수면 위에 위치하여 악취가스 분사관으로부터 분사되는 오염된 공기의 기포를 세분화시키면서 체류시간을 연장하여 1차 정화제의 접촉시간 및 탈취효율이 증대되도록 타공판에 안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악취가스 분사관은, 하부만 일정 수위의 물에 잠겨있게 하여 1차 정화제의 폭기량을 감소시키고 물의 수압으로 악취가스를 하부로 방출시키므로 인하여 악취가스가 한번 탈취되고, 다시 위로 상승하면서 다시 한번 탈취하므로 접촉시간 및 탈취효율의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2차 정화제 보관실은, 2차 정화제를 일정 수위로 유지시키기 위한 2차 수위감지부와, 2차 정화제가 연동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범람방지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1차 싸이클론 및 2차 싸이클론은, 하부 일측에 오염 가스가 유입되는 싸이클론 유입관; 및 상부에 상기 오염 가스의 탈취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싸이클론 가스 유도 안내깃을 더 포함하고, 오염 가스가 유입되어 1차 회전상승과 회전하강 및 2차 회전상승을 유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1차 싸이클론 및 2차 싸이클론은, 하부의 공기를 일측 상부로 유동시키기 위한 공기유도통로를 구비하고, 이로 인하여 악취가스가 벽체를 따라 회전하여 추가적인 탈취효율 증대 및 상부로 도출되는 정화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1차 싸이클론 및 2차 싸이클론은 일측 상부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홀이 형성되어 내부와 외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오염된 공기를 단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산성 정화제나 염기성 정화제를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싸이클론의 가스 회전을 이용하여 정화제의 폭기가 일어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고 정화제의 혼합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악취가스 분사관을 일정수위의 물에 잠기게 하여 1차 정화제의 폭기량을 감소시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 가스 집진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차 탈취실의 상세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싸이클론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악취가스 분사관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차 탈취실에서 1차 정화제가 폭기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 가스 집진장치(1)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오염 가스 집진장치(1)는 1차 탈취실(100), 2차 탈취실(200), 팬(300), 1차 펌프(301), 2차 펌프(302), 악취가스 분사관(110), 분사노즐(220), 1차 싸이클론(401), 2차 싸이클론(402)을 포함할 수 있다.
1차 탈취실(100)과 2차 탈취실(200)에는 각각 수용액 상태의 1차 정화제와 2차 정화제(A)가 보관되는데, 이러한 정화제들은 1차 탈취실(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켜 배출구(230)로 배출되도록 한다. 1차 탈취실(100)은 폭기조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2차 탈취실(200)은 순환조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1차 정화제와 2차 정화제(A)는 수산화나트륨(NaOH) 또는 차염소산나트륨(NaOCl) 중 어느 하나가 물에 혼합된 염기성 수용액이고, 나머지 하나는 염산(HCl) 또는 황산(H2SO4)이 물에 혼합된 산성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1차 정화제는 수용액 상태의 차염소산나트륨이 사용되면, 2차 정화제(A)는 수용액 상태의 염산이 사용된다. 또한, 1차 정화제와 2차 정화제(A) 모두 차염소산나트륨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나, 이러한 경우 차염소산나트륨 특유의 소독약 냄새가 날 염려가 있는 바, 1차 정화제와 2차 정화제(A)의 산·염기 중화반응을 이용하여 특유의 소독약 냄새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차 탈취실(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1차 정화제를 보관하며, 악취가스 분사관(110)이 일 측면에서부터 내부로 연장 형성되는데, 이러한 악취가스 분사관(110)은 1차 탈취실(100)의 내부로 오염된 외기(예: 하수, 축사폐수, 분뇨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생활악취,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발생되는 산성/염기성 분진)를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악취가스 분사관(110)의 외주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배출통공(1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악취가스 분사관(110)의 상부에는 1차 정화제와 오염된 외기의 혼합작용이 촉진됨과 동시에 외기 중에 포함된 불순물들이 걸러지도록 1차 충진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1차 충진재의 하면에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가 1차 충진재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며, 1차 충진재가 하부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타공된 타공판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2차 탈취실(200)의 내부에는, 보관되는 2차 정화제(A)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감지부(250)가 설치될 수 있는데 2차 정화제(A)의 상측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위감지부(250)에 배관 또는 호스(B)를 설치하여 2차 탈취실(200) 내부로 2차 정화제(A)를 공급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수위감지부(250)는 상기 배관 또는 호스(B)로부터 2차 정화제(A) 또는 식염수를 전달받아 2차 탈취실(100)의 내부로 공급하되, 2차 정화제(A)가 일정수위까지 상승하면, 배관 또는 호스(B)를 막아 더 이상 2차 정화제(A)가 1차 탈취실(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1차 탈취실(100)은 악취가 포함된 공기를 1차 정화시키기 위한 1차 충진재 및 1차 정화제를 수용할 수도 있고, 2차 탈취실(200)은 1차 탈취실(100)을 통해 정화된 공기를 연동관을 통해 공급받아 2차 정화시키기 위한 2차 충진재 및 2차 정화제(A)를 수용할 수 있으며, 2차 탈취실(200)은 2차 펌프(302)를 통해 2차 충진재의 상부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220)을 포함할 수 있다.
1차 탈취실(100)은 1차 정화제 보관실(101) 및 2차 정화제 보관실(102)로 격리되어 구성되고, 2차 탈취실(200)은 1차 탈취실(100)의 상부에 장착되며, 2차 정화제(A)가 수집되도록 형성되고, 2차 정화제(A) 및 2차 충진재의 이상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일 측면에 감시창(260)을 구성할 수 있다.
2차 탈취실(200)은 상술한 1차 탈취실(100)을 거쳐 1차 정화된 오염된 외기가 내부로 유입되면, 내부에 보관된 2차 정화제(A)를 이용하여 2차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2차 정화제 보관실(102)은, 2차 정화제(A)를 일정 수위로 유지시키기 위한 2차 수위감지부(250)와, 범람방지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정화제 혼합 방지판(501)을 구비하여, 1차 정화제 보관실(101)과 2차 정화제 보관실(102)의 정화제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부통관(502)을 그 하부에 구비할 수도 있다.
1차 싸이클론(401)은, 2차 탈취실(200) 하부에 배치되어 1차 탈취실(100)에서 폭기되는 1차 정화제의 유입을 감소시키고, 1차 탈취실(100)로부터 1차 정화된 공기를 2차 탈취실(200)로 포집 또는 유도할 수 있다.
2차 싸이클론(402)은, 2차 탈취실(200)의 배출구(230)와 분사노즐(220) 사이에 배치되어 2차 탈취실(200)에서 발생된 정화된 공기를 배출구(230)로 배출시킬 수 있다.
싸이클론이 응용되는 세정법에 의한 처리장치는, 가스-액체 접촉방법에 따라 충전탑, 분무탑, 벤츄리 스크러버, 사이클론 스크러버 등으로 구분되며 처리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단독 또는 두 종류 이상을 복합 설치하기도 한다.
싸이클론 세정탑은 처리가스가 세정 탑 측면으로 유입되면서 원심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액체를 가스가 회전하는 부위에 분사하여 가스와 액체간 접촉을 향상시키는 방법의 세정장치이기 때문에 입자상 물질 및 가스상 물질의 제거에 사용이 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온가스로 인한 사용온도의 제한에 관계없이 광범위한 온도범위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또 단순히 물리적인 힘만을 이용하여 집진율을 크게 향상시킴으로써 모든 산업체 현장에서의 적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오염 가스 집진장치(1)는 기체속에 부유하고 있는 고체나 액체의 미립자를 포집하여 제거하는 장치로서, 그 원리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분진을 함유한 가스에 중력보다 훨씬 큰 가속도를 주게 되면, 분진과 가스와의 분리속도가 무게에 의한 침강과 비교해서 커지게 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차 탈취실(100)의 상세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1차 정화제는, 1차 정화제 보관실(101)에 일정 수위로 충진될 수 있으며, 1차 정화제 보관실(101)은 하부 외측에서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배출 통공을 통해 오염된 공기를 공급받아 1차 정화제 내부에서 분사하는 악취가스 분사관(110), 악취가스 분사관(110)의 상부로 이격되어 장착되는 타공판을 포함할 수 있다. 1차 탈취실(100)은 이에 결합되는 분사관 플랜지(110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1차 충진재는, 1차 정화제에 잠수되어 악취가스 분사관(110)으로부터 분사되는 오염된 공기의 기포를 세분화시키면서 체류시간을 연장하여 1차 정화제의 접촉시간 및 탈취효율이 증대되도록 타공판에 안착될 수 있다.
2차 탈취실(200)의 하부에 보관되는 2차 정화제(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별도로 마련된 팬(300)과 1차 펌프(301)를 거쳐, 2차 펌프(302)에 설치된 운송관(310)을 통해 2차 탈취실(200)의 상부로 운송되는데, 이렇게 운송된 2차 정화제(A)는 2차 탈취실(200)의 상부에 설치된 분사노즐(220)을 매개로 분사되어 1차 정화된 공기와 혼합된다.
분사노즐(220)의 하부에는 2차 충진재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2차 충진재는 2차 정화제(A)와 1차 정화된 공기가 2차 충진재를 통과하면서 접촉 시간과 탈취효율을 높이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2차 탈취실(200)의 외주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시창(26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감시창(260)은 분사노즐(220)과 2차 충진재의 이상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해주며, 분사노즐(220)이나 2차 충진재의 유지 보수 시 작업자의 이동통로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1차 탈취실(100) 내부에는 1차 정화제와 2차 정화제(A)가 각각 보관되도록 1차 정화제 보관실(101)과 2차 정화제 보관실(102)이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2차 정화제(A)가 1차 탈취실(100)의 내부에 보관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보다 차지하는 높이가 현저히 줄어들어 층고가 낮은 곳에 설치가 용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수위감지부(250)는 2차 정화제 보관실(102)에 설치되고, 수위감지부(250)와 범람방지배관은 2차 정화제 보관실(102)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1차 정화제와 2차 정화제(A)는 수산화나트륨(NaOH), 차염소산나트륨(NaOCl), 염산(HCl), 황산(H2SO4)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된 수용액인데, 상기와 같이 정화제로 사용되는 약품들과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들과 반응을 한다.
본 발명이 설치되는 곳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황화수소인 경우 수산화나트륨, 차염소산나트륨, 황산, 염산을 정화제로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싸이클론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싸이클론은 1차 싸이클론(401)과 2차 싸이클론(402)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 1차 탈취실(100)과 2차 탈취실(200)에 포함될 수 있다.
1차 싸이클론(401) 및 2차 싸이클론(402)은, 하부 일측에 오염 가스가 유입되는 싸이클론 유입관(404) 및 상부에 상기 오염 가스의 탈취효율을 높이기 위한 싸이클론 가스유도 안내깃(405)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오염 가스가 유입되어 1차 회전상승과 회전하강 및 2차 회전상승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싸이클론 몸체의 일측에 홀을 형성하여 일단에 고압 세정액 분사노즐(22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세정내관을 싸이클론 몸체의 내부에 삽입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처리가스에 포함된 미세한 입자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압 세정액 분사노즐(220)에서 분사되는 세정액이 서로 충돌되도록 고압 세정액 분사노즐(220)을 마주하게 배치할 수 있다.
1차 싸이클론(401) 및 2차 싸이클론(402)은, 하부의 공기를 일측 상부로 유동시키기 위한 공기유도통로를 구비하고, 일측 상부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홀이 형성되어 내부와 외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처리가스의 체류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고압 세정액 분사노즐(220)을 싸이클론 몸체의 내부에 구비하여 세정액을 분사하면 미세 분진의 포집도 이룰 수 있다.
고압 세정액 분사노즐(220)을 서로 마주하게 배치함으로써 분사되는 세정액이 서로 충돌되어 세정액이 미세하게 확산 될 수 있어 2차 오염물질인 세정액의 양을 줄일 수 있고, 미세분진의 포집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사된 세정액은 분진을 포집한 후 홀 또는 2차 정화제 유도 배관(403)을 통하여 계속적으로 재순환될 수 있다.
특히 종래 싸이클론 집진장치와 같이 단순히 외부에서 불어주는 송풍수단에 의해 분진가스가 싸이클론 본체 내에서 일정 시간 동안 머물면서 선회됨에 따라 커지게 되는 압력손실을 해소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즉, 회전자에서 발생하여 각기 다른 방향으로 작용하는 와류에 의해서 본체 내에는 항상 일정한 압력이 유지됨에 따라 가스의 유입 및 배기의 순환이 원활히 수행되며 압력손실이 적고 그 만큼 높은 집진율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악취가스 분사관(110)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악취가스 분사관(110)은, 상술한 도 2의 분사관 플랜지(1101)를 포함하여 1차 탈취실(1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하부가 일정 수위의 물에 잠겨있어 1차 정화제의 폭기량을 감소시키고 물의 수압에 의해 기존보다 저압으로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악취가스 분사관(110)은 사각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악취가스 분사관(110)은 맨홀(601)을 통해 사람이 직접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측면에 배수배관(602)을 구비하여, 내부의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차 탈취실(100)에서 1차 정화제가 폭기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악취가스 분사관(110)은, 하부가 일정 수위의 물에 잠겨있어 1차 정화제의 폭기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악취가스를 물에 잠긴 방향으로 방출시켜 탈취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 : 오염 가스 집진장치
100 : 1차 탈취실(폭기조) 101 : 1차 정화제 보관실
102 : 2차 정화제 보관실 110 : 악취가스 분사관
1101 : 분사관 플랜지 111 : 배출통공
200 : 2차 탈취실(순환조) 220 : 분사노즐
230 : 배출구 240 : 충진재
250 : 수위감지부 260 : 감시창
300 : 팬(FAN) 301 : 1차 펌프
302 : 2차 펌프 310 : 운송관
401 : 1차 싸이클론 402 : 2차 싸이클론
403 : 2차 정화제 유도 배관 404 : 싸이클론 유입관
405 : 싸이클론 가스유도 안내깃
501 : 정화제 혼합 방지판 502 : 내부통관
601 : 맨홀 602 : 배수배관
(A) : 2차 정화제 (B) - 배관

Claims (7)

  1. 악취가 포함된 공기를 1차 정화시키기 위한 1차 충진재 및 1차 정화제가 수용된 1차 탈취실과, 상기 1차 탈취실을 통해 정화된 공기를 연동관을 통해 공급받아 2차 정화시키기 위한 2차 충진재 및 2차 정화제를 운송펌프를 통해 상기 2차 충진재의 상부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이 장착된 2차 탈취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악취제거 스크러버에 있어서,
    상기 1차 탈취실은 1차 정화제 보관실 및 2차 정화제 보관실로 격리되어 구성되고,
    상기 2차 탈취실은 상기 1차 탈취실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2차 정화제가 수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2차 정화제 및 2차 충진재의 이상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감시창이 구성되고,
    상기 2차 탈취실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1차 탈취실에서 폭기되는 상기 1차 정화제의 폭기량을 감소시키고 상기 1차 탈취실로부터 1차 정화된 공기를 상기 2차 탈취실로 포집 또는 유도하는 1차 싸이클론이 구성되고,
    상기 2차 탈취실의 배출구와 상기 분사노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2차 탈취실에서 발생된 정화된 공기를 상기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2차 싸이클론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가스 집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정화제는,
    상기 1차 정화제 보관실에 일정 수위로 충진되고 상기 1차 정화제 보관실은 하부 외측에서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배출 통공을 통해 오염된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1차 정화제 내부에서 분사하는 악취가스 분사관과,
    상기 악취가스 분사관의 상부로 이격되어 장착되는 타공판과,
    상부 일측에 상기 1차 정화제를 일정 수위로 유지하기 위한 1차 수위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가스 집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충진재는,
    상기 1차 정화제에 잠수되어 상기 악취가스 분사관으로부터 분사되는 오염된 공기의 기포를 세분화시키면서 체류시간을 연장하여 상기 1차 정화제의 접촉시간 및 탈취효율이 증대되도록 상기 타공판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가스 집진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가스 분사관은,
    하부가 일정 수위의 물에 잠겨있어 상기 1차 정화제의 폭기량을 감소시키고 상기 물의 수압에 의해 기존보다 저압으로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방출시켜 동력 절감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가스 집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정화제 보관실은,
    상기 2차 정화제를 일정 수위로 유지시키기 위한 2차 수위감지부와,
    상기 2차 정화제가 연동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범람방지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가스 집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싸이클론 및 2차 싸이클론은,
    하부 일측에 오염 가스가 유입되는 싸이클론 유입관; 및
    상부에 상기 오염 가스의 탈취효율을 높이기 위한 싸이클론 가스유도 안내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염 가스가 유입되어 1차 회전상승과 회전하강 및 2차 회전상승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가스 집진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싸이클론 및 2차 싸이클론은,
    하부의 공기를 일측 상부로 유동시키기 위한 공기유도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일측 상부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홀이 형성되어 내부와 외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가스 집진장치.
KR1020170067969A 2017-05-31 2017-05-31 오염 가스 집진장치 KR201801317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969A KR20180131723A (ko) 2017-05-31 2017-05-31 오염 가스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969A KR20180131723A (ko) 2017-05-31 2017-05-31 오염 가스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723A true KR20180131723A (ko) 2018-12-11

Family

ID=64671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969A KR20180131723A (ko) 2017-05-31 2017-05-31 오염 가스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172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253B1 (ko) * 2019-12-19 2020-05-29 (주)벨이앤씨 악취 및 질소산화물 동시 제거가 가능한 스크러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거방법
KR102178024B1 (ko) * 2020-02-11 2020-11-12 박일남 태양광 폐모듈 처리용 가스 분리 포집 장치
KR102283397B1 (ko) * 2021-05-07 2021-07-29 주식회사 경동냉열산업 공기정화장치
KR20230026169A (ko) * 2021-08-17 2023-02-24 한국화학연구원 액상 탈취제를 이용한 가축 악취 제거장치
KR102596562B1 (ko) 2023-02-22 2023-11-01 손재덕 축산분뇨를 이용한 유기질 오염가스 정화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253B1 (ko) * 2019-12-19 2020-05-29 (주)벨이앤씨 악취 및 질소산화물 동시 제거가 가능한 스크러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거방법
KR102178024B1 (ko) * 2020-02-11 2020-11-12 박일남 태양광 폐모듈 처리용 가스 분리 포집 장치
KR102283397B1 (ko) * 2021-05-07 2021-07-29 주식회사 경동냉열산업 공기정화장치
KR20230026169A (ko) * 2021-08-17 2023-02-24 한국화학연구원 액상 탈취제를 이용한 가축 악취 제거장치
KR102596562B1 (ko) 2023-02-22 2023-11-01 손재덕 축산분뇨를 이용한 유기질 오염가스 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6537B1 (ko) 악취가스 액적 분리시스템
KR20180131723A (ko) 오염 가스 집진장치
KR101653368B1 (ko) 약액세정 탈취장치
KR100663635B1 (ko) 가압 탈취용액운회전식 탈취장치
KR101653544B1 (ko) 오염공기 탈취장치
KR102022476B1 (ko) 미세분진 또는 수용성 악취 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100948052B1 (ko) 저탄소 악취 저감장치
KR101055592B1 (ko) 수벽 회전식 오염공기 정화장치
KR100966737B1 (ko) 약액 세정식 탈취탑
KR101997185B1 (ko) 촉매산화수 발생장치를 이용한 약액 세정 탈취장치
KR101591849B1 (ko) 세정식 탈취장치
CN207745696U (zh) 一种石油化工行业的臭气处理装置
KR20180041352A (ko) 멀티 사이클론 스크러버
KR100865574B1 (ko) 폐수 자가처리 습식 집진기
KR100691729B1 (ko) 원수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CN201613106U (zh) 填料式喷淋洗涤污水除臭装置
KR102188763B1 (ko) 약액과 오존수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KR101635935B1 (ko) 배기가스 처리방법
CN204891567U (zh) 一种难降解恶臭废气芬顿氧化深度处理装置
KR101896065B1 (ko) 악취처리장치
KR102174694B1 (ko) 자가정화 기능을 가지는 기체 정화장치
KR200425412Y1 (ko) 탈취탑 및 믹싱 시스템을 이용한 오염기체정화장치
CN109248559B (zh) 一种曝气池废气脱硫工艺
KR101539367B1 (ko) 하수슬러지 고화처리시설의 가스 배출 장치
KR20110126494A (ko) 원심분리식 공기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