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439A - 구이 연기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구이 연기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439A
KR20210058439A KR1020190145897A KR20190145897A KR20210058439A KR 20210058439 A KR20210058439 A KR 20210058439A KR 1020190145897 A KR1020190145897 A KR 1020190145897A KR 20190145897 A KR20190145897 A KR 20190145897A KR 20210058439 A KR20210058439 A KR 20210058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vacuum
water
suctio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0812B1 (ko
Inventor
김통일
Original Assignee
김통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통일 filed Critical 김통일
Priority to KR1020190145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812B1/ko
Publication of KR20210058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47J37/0641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air fr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76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electrically he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흡입력에 의해 흡입된 구이판 상의 연기가 물 속으로 투입되어 물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면서 연기 중의 유분이나 냄새, 이물질이 효율적으로 제거되는 효과를 제공하는 구이 연기 제거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구이 연기 제거장치{SMOKE ELIMINATING DEVICE}
본 발명은 구이판 상의 육류 또는 어류를 구울 때 발생하는 유분과 냄새가 함유된 연기를 제거하기 위한 연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덕트를 통해 흡입된 구이판 상의 연기가 물필터로 투입된 다음 나선방향으로 선회하는 물과 혼합교반되어 연기 중에 함유된 이물질이나 냄새를 효율적으로 제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 연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가정이나 대중음식점 등에서 고기 또는 생선과 같은 구이물을 굽거나 용기에 담긴 찌개류 등을 끓일 때 대개 숯불이나 가스 또는 전기 등의 다양한 열원을 사용하는데, 근래에는 전기를 사용함에 따라 열원의 공급이 용이하면서도 간접 가열방식에 의해 구이물이 타거나 연기가 발생되는 것을 줄이고자 하였다.
실내에서 육류나 어류를 굽게 되면 구이물이 열에 의해 익혀지는 과정에서 유분이 함유된 연기 및 냄새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창문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 구이물을 구워 먹거나, 식사 후 장시간 창문을 열어 실내공기를 환기시켜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구이장치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0992호의 "크린기능이 개선된 에어순환식 로스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6269호의 "불판연기처리장치"를 포함하여 다수의 선행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상기의 에어순환식 로스터는 본체(31) 상에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흡출팬(39)이 구비되고, 상기 흡출팬(39)으로부터 송풍되는 에어를 물이 충전된 트레이(38) 상으로 유도하도록 된 가이드수단(46)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흡출팬(39)에 의해 순환되는 에어를 상기 가이드수단(46)에 의해 트레이(38) 측으로 유도함에 따라 상기 트레이(38)에 충전된 물과의 접촉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공기 중에 포함된 기름성분을 물에 침지시키고, 그로 인해 구이작업 중에 발생되는 냄새나 연기를 최소화시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상기의 불판연기처리장치는 화덕과 불판이 장착되는 구이통(100)과, 상기 구이통과 연통되며 그 연통된 유로 상에 물이 담긴 수조가 내장된 정화통(300)과, 상기 구이통에서 연기를 흡입하여 상기 정화통으로 송출하는 흡인팬(200);을 포함하여, 상기 진공팬이 상기 구이통에서 발생된 연기를 흡입하여 상기 정화통으로 보내면, 그 연기가 상기 수조를 지나면서 내부에 함유된 오염 성분이 물속으로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즉, 상기의 에어순환식 로스터와 불판연기처리장치는 모두 구이판 상의 공기를 흡입하여 트레이(또는 정화통)에 담긴 물에 접촉시킴으로써 공기 중에 포함된 기름성분이 응축된 상태로 침지되어 냄새와 연기가 제거되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상기의 로스터와 불판연기처리장치는 구이판 상의 오염된 공기가 물위를 지나게 하여 물과 접촉하는 부분을 통해서 정화가 이루어지는데, 물 위를 지나는 오염된 공기 가운데 물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공기는 극히 일부라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정화 효율을 조금이라도 높이기 위해 공기가 물 측으로 최대한 근접한 상태로 이동시키기 위해 별도의 가이드수단이 구비되기도 하지만 극히 일부의 공기만이 물 속으로 투입되어 정화될 뿐 대부분의 공기는 대류 현상으로 인해 가이드수단의 내벽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에어순환식 로스터와 불판연기처리장치는 흡입된 공기중의 기름이 트레이(또는 정화통)에 담긴 물의 수면에서 유막을 형성하여 시간이 지날수록 흡입된 공기가 물에 접촉되는 면적이 줄어들 수 밖에 없다. 즉, 사용시간이 증가할수록 유막이 넓어지면서 흡입된 공기가 물에 접촉되는 면적이 줄어들게 되므로 정화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장시간 사용시 유막이 수면 전체를 덮게 되면 흡입된 공기가 물에 접촉되지 못하고 유막 위를 그대로 통과하여 배출되어 버리기 때문에 공기 중의 기름성분과, 냄새 및 연기가 전혀 제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육류나 어류 등의 구이물을 구울 때 발생하는 유분과 냄새가 함유된 연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구이 연기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구이판 상의 육류 또는 어류를 구울 때 발생하는 유분과 냄새가 함유된 연기를 제거하기 위한 연기 제거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소정 수위까지 물이 채워지는 중공체로써 내부가 밀폐되도록 구성되며 진공흡입력을 제공하는 진공모터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1진공결합부가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원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직으로 기립설치되어 내부에 하부로부터 소정 높이까지 물이 채워지는 중공기둥으로써 상단은 상기 구이판 상의 연기가 연기흡입부로 이루어지고 하단은 연기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연기가 배출되어 물 속으로 투입되도록 하는 연기배출부로 이루어지는 중공관과; 상기 제1진공결합부와 연기배출부 사이에 형성되어 진공흡입력에 의해 상기 연기흡입부를 통과한 연기가 물에 투입되어 정화된 후 제1진공결합부로 투입되도록 하는 제1진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기배출부를 통과한 연기가 물 속에 나선방향을 따라 선회하면서 투입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가이드 날개를 포함하는 와류유도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와류유도부재는 내부가 비어있으며 상면이 상기 중공관의 하단과 연통되게 결합되어 연기배출부와 연통되는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측면 모서리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배치되되 상기 몸체 내부로 투입된 연기가 측방으로 배출될 때 나선방향을 따라 선회배출되도록 하여 물을 회전가속시켜 물과의 혼합교반을 통해 정화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날개를 포함하는 와류유도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진공부는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압력이 감소하여 물 밖으로 배출된 정화된 공기가 진공부로 이동하는 속도가 감소되면서 정화된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이 중량에 의해 분리되도록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진공결합부를 통해 진공흡입력이 작용할 때 회전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는 흡입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제1진공결합부를 기준으로 회전흡입되는 방향의 반대편에 위치하여 중공관과 하우징을 가로질러 차단하는 사이클론 유도격벽이 구비되고, 상기 진공모터의 진공흡입력으로 인해 하우징 내부의 물이 제1진공결합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튀김방지판이 상기 중공관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수평방향을 따라 결합되되, 상기 물튀김방지판은 중량에 의해 공기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하우징의 바닥면으로 회수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배수홀이 형성되는 타공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이판 상의 연기를 흡입하는 후드와 연통되는 덕트의 단부가 상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연기흡입부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덕트연통부재가 중앙부에 마련되는 상부바디와, 진공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모터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진공모터의 진공흡입력을 통해 흡입되는 연기가 투입되는 흡입구 및 흡입된 연기가 배출되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하부바디와, 상기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의 일측 단부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일측 단부는 상기 제1진공결합부와 연통되게 결합되는 제2진공결합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진공팬의 흡입력을 통해 하우징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상기 중공관 내부에 채워진 물과 연기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연기가 상기 연기배출부를 통해 나선방향으로 선회하며 빠져나가면서 하우징 내부에 채워진 물을 나선방향으로 선회시켜 연기가 물과 혼합교반되면서 정화된 후 상기 배기부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제2진공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수직바디를 포함하는 진공흡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진공흡입력에 의해 흡입된 구이판 상의 연기가 물 속으로 투입되어 물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면서 연기 중의 유분이나 냄새, 이물질이 효율적으로 제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기배출부로 배출되는 연기가 중공관의 하부에 구비되는 와류유도부재를 통과하면서 나선방향의 선회력이 발생되어 물의 회전가속에 의해 연기와 물의 혼합교반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 정화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선회투입되는 연기에 의해 하우징 내부의 물이 선회되면서 구이판 상의 연기의 흡입과 정화된 공기의 배출을 보다 신속하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진공부의 단면적이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점차 넓게 형성됨에 따라 디퓨저(diffuser) 원리를 통해 물 밖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제2진공부로 이동할 때 감속되어 정화된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이 중량에 의해 자연스럽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분에 의한 진공모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물이 회전될 때 원심력에 의해 바깥으로 퍼지면서 경사면을 타고 쉽게 회전상승하여 연기배출부를 통해 하부에 채워지는 물에 투입된 연기가 물과 쉽게 섞인 후 제1진공결합부로 빠져 나가도록 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진결합부를 기준으로 회전흡입되는 방향의 반대편에 위치하여 중공관과 하우징을 가로질러 차단하는 사이클론 유도격벽을 구비하여 상기 제1진공결합부를 통해 진공흡입력이 작용될 때 회전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는 흡입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하우징 내부에 채워진 물이 보다 원활하게 나선방향을 따라 선회되어 연기와 물의 혼합교반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중공관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물튀김방지판이 결합되어 하우징 내부의 물이 제1진공결합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물튀김방지판이 복수개의 배수홀이 형성되는 타공판으로 이루어져 정화된 공기가 상승할 때 중량에 의해 공기로부터 분리된 공기가 물튀김방지판 상에 떨어지면 자연스럽게 배수홀을 통해 하우징 내부로 회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덕트와 연통되게 결합되는 진공흡입부재와 착탈식으로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하우징 내부를 청소하거나 연기에 의해 오염된 물을 교체하거나 물을 보충할 때 연기흡입구와 덕트를 분리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며, 하부바디 내부에 진공모터가 구비되어 무게중심을 유지하여 진동에 의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배기부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한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구이의 연기 제거장치의 예시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이 연기 제거장치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류유도부재의 확대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유도격벽과 물튀김지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이판 상의 연기가 정화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구이 연기 제거장치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구이판 상의 육류 또는 어류를 구울 때 발생하는 유분과 냄새가 함유된 연기를 제거하기 위한 연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육류나 어류를 굽기 위해서는 구이 대상물이 안착될 수 있도록 소정 면적을 갖는 구이판(1)이 구비되고, 상기 구이판의 상부에는 구이판 상의 연기를 흡입하기 위한 후드(2)가 마련되며, 후드는 흡입된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덕트(3)가 구비된다.
본 발명은 상기 덕트를 통해 흡입된 구이판 상의 연기가 나선방향으로 선회하는 물과 혼합교반되면서 연기 중에 함유된 이물질이나 냄새가 효율적으로 제거되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구이 연기 제거장치를 개시한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이 연기 제거장치(100)는 내부가 밀폐되도록 구성되는 속이 빈 하우징(11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의 형상은 공기와 물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10)은 구이판 상의 유분과 냄새가 함유된 연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물(W)이 내부에 소정 높이까지 채워진다.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 일측에는 진공흡입력을 제공하는 진공모터(M)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1진공결합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재질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금속이나 합성수지 또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중공관(120)이 수직으로 기립설치된다.
상기 중공관(120)은 내부가 비어있는 소정길이의 중공기둥으로써, 상단은 덕트(3)를 통한 연기가 흡입되는 연기흡입부(121)로 이루어지고 하단은 연기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연기가 배출되는 연기배출부(122)로 구성되며, 양측 단부가 개방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채워진 물(W)이 내부로 인입되어 소정 높이까지 채워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기배출부(122)를 통해 연기가 배출될 때 물에 의한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중공관(120)은 하부 일부만 물 속에 잠기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도면에서는 상기 중공관을 원기둥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이며, 예를 들어 내부가 비어있는 원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진공모터(M)의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는 제1진공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제1진공부(130)는 제1진공결합부(111)와 연기배출부(12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로서, 상기 진공모터의 진공흡입력을 통해 연기흡입부(121)를 통한 연기를 물에 투입되도록 하여 연기 중에 함유된 액체, 이물질, 먼지, 오물이 제거되도록 하며, 정화 후 물 밖으로 배출된 공기는 제1진공결합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은 구이판 상의 오염된 연기가 물 속에 투입되어 물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면서 정화되도록 함으로써 정화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연기배출부를 통해 연기가 배출될 때 나선방향을 따라 선회배출되도록 복수개의 가이드날개를 포함하는 와류유도부재(200)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중공관의 하단에 연통되게 결합되는 와류유도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5와 같이 상기 와류유도부재(200)는 내부가 비어있으며 상면이 상기 중공관의 하단과 연통되게 결합되어 연기배출부(122)와 연통되는 원통형의 몸체(210)와, 상기 몸체의 측면 모서리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날개(220)를 포함한다.
상기 와류유도부재(200)는 복수개의 가이드날(220)개가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그 사이로 연기가 토출되는 복수개의 토출홈(230)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날개(220)는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토출홈(230)이 일방향을 따라 편심되게 형성되어 몸체 내부에서 측방으로 연기가 토출될 때 나선방향을 따라 선회배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연기가 나선방향을 따라 선회배출되면 하우징 내부의 물을 회전가속시켜 연기와 물의 혼합교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연기가 물 속에 체류하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정화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만약, 상기 토출홈이 편심되지 않으면 연기가 측방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하우징 내부의 물을 회전시키는 힘을 제공할 수 없으므로 연기와 물의 혼합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며, 물 속으로 투입된 연기가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동안만 체류한 후 물 밖으로 배출되므로 정화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화된 공기가 물 밖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수중에 큰 기포가 형성되어 기포의 면적만큼 오염공기가 물과 접촉할 수 있는 면적이 줄어드는 손실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와류유도부재(200)는 하우징 내부에서 고정되거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와류유도부재(200)는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중앙부와 몸체의 저면 중앙부에 고정되는 고정축(240)을 매개로 하여 하우징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수직 방향으로 투입된 연기가 나선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선회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축의 하부에 하우징의 바닥면과의 접촉면적을 확보하여 결속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고정판(2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와류유도부재(200)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중앙부로부터 하우징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회전축(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와류유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몸체가 회전되면 하우징 내부의 물이 회전되면서 수중에 형성된 기포를 잘게 부수어 연기가 보다 원활하게 물에 접촉되도록 할 수 있으며, 물 속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연장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물의 회전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 나선방향의 선회력이 증가하면서 연기흡입부 측에 흡입력이 향상되어 구이판 상의 연기의 흡입이 촉진되므로 단위 시간당 많은 양의 연기를 흡입하여 정화할 수 있다. 상기 와류유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상기 몸체가 중공관으로부터 간섭을 받지 않고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몸체의 상면에는 중공관의 외주면을 감싸는 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날개의 형상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가이드날개의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날개는 프로펠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진공부(130)는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체(기체, 액체)가 가진 운동 에너지를 압력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해 단면적이 차츰 넓게 형성되는 디퓨저(diffuser)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에 따르면 상기 제1진공부는 제1진공결합부와 가까워 질수록 압력이 감소하여 물 밖으로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가 제1진공결합부 측으로 이동할 때 감속되도록 하여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이 중량에 의해 자연스럽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분에 의한 진공모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물이 회전할 때 원심력에 의해 바깥으로 퍼지면서 경사면을 타고 쉽게 회전상승하여 연기배출부를 통해 하부에 채워진 물에 투입된 연기가 물과 쉽게 분리시킨 후 제1진공부로 빠져 나가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중공관과 하우징을 가로질러 차단하는 사이클론 유도격벽(150)이 구비된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상기 사이클론 유도격벽(150)은 상기 제1진공결합부를 통해 하우징 내부에 진공흡입력이 작용할 때 회전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는 흡입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상기 제1진공결합부를 기준으로 연기가 회전흡입되는 방향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선회 흡입된 정화된 공기가 제1진공결합부 내부로 흡입될 때 저항에 의해 감속되지 않고 원활하게 흡입되도록 곡선 형태, 예를 들어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이클론 유도격벽(150)을 통해 물 밖으로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가 제1진공부 상에서 나선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선회하면서 하우징 내부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연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공기 중의 수분이 중량에 의해 자연스럽게 분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는 방향이 연기가 회전되는 방향과 역방향일 경우 하우징 내부에 채워진 물을 회전시키는 힘을 원활하게 제공할 수 없으므로 연기와 물의 혼합교반 효율성이 저하되며, 물 밖으로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가 저항에 의해 원활하게 제1진공결합부 측으로 이동할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채워진 물이 제1진공결합부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튀김방지판(160)이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제1진공부가 형성되도록 하우징(110)은 밀폐되게 구성되는데, 진공모터의 진공흡입력이 강하게 작용할 경우 하우징 내부에 채워진 물에 투입된 연기가 정화된 후 물을 빠져나갈 때 물이 튀겨서 제1진공결합부로 인입될 수 있다. 만약, 하우징 내부의 물이 제1진공결합부로 인입되면 진공모터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며, 하우징 내부의 물의 양이 점차적으로 줄어들면 연기 중에 함유된 유분이나 냄새, 이물질을 정화시킬 수 있는 성능이 저하될 수 밖에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물튀김방지판(160)은 진공이 발생하는 제1진공결합부의 하부와 하우징 내부의 물의 수위보다 소정 높이만큼 높은 위치에 수평방향을 따라 중공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진공흡입력이 유도격벽(150)에 의해 형성된 공기의 흡입회전방향성(공기의 흡입회전력이 작용하는 방향)쪽으로 형성이 된다. 물튀김방지판(160)과 하우징의 내부와 중공관의 외벽은 공기가 회전하여 흐르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물튀김방지판의 길이는 중공관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형성될 때 중공관의 일부만 감싸도록 하여 흡입력이 충분히 하부로 전달될 수 있는 공기흡입구(162)를 확보하도록 한다.
또한, 진공흡입력에 의해 공기흡입구(162)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공기와 같이 튀어 오른 물방울이 섞여 있다. 물방울이 섞인 공기는 상기 물튀김방지판(160)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따라 선회 이동하며, 이때 중력에 의해 물방울 및 수분은 물튀김방지판으로 떨어진다. 상기 수분이 하우징의 바닥면으로 회수될 수 있도록 상기 물튀김방지판(160)은 복수개의 배수홀(161)이 형성되는 타공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서는 상기 물튀김방지판을 반도넛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구이 연기 제거장치와 결합되는 진공흡입부재(300)를 포함한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상기 진공흡입부재(300)는 상부바디(310)와, 하부바디(320) 및 상부바디와 하부바디의 일측 단부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수직바디(330)가 일체로 결합되어 측면에서 봤을 때 대략 "ㄷ"자 형태를 이루며, 상기 구이 연기 제거장치(100)는 상부바디(310)와 하부바디(320) 사이에 착탈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상부바디(310)는 소정 두께로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구이판 상의 연기를 상기 구이 연기 제거장치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덕트연통부재(311)가 수직으로 배치된다.
상기 덕트연통부재(311)는 양측 단부가 개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파이프 또는 관의 형태로서, 상단은 상기 덕트(3)의 단부와 연통되게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중공관의 연기흡입부(121)와 연통되게 연결된다.
상기 하부바디(320)는 지면에 안착되는 소정 두께의 몸체로서, 진공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모터(321)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이 연기 제거장치를 통해 정화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322) 및 흡입된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323)가 형성된다.
상기 진공모터(321)는 진공흡입부재(300)의 무게중심을 유지할 수 있고, 작동시 진동에 의한 떨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정화 후 배출된 공기로 인해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유발하지 않도록 하부바디(320) 내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바디(330)는 상기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의 일측 단부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소정길이의 몸체로서, 내부에는 진공모터의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는 제2진공부(331)가 형성된다.
상기 제2진공부(331)는 일측 단부에 상기 제1진공결합부와 연통되게 결합되는 제2진공결합부(332)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흡입구(322)와 연통되게 연결된다.
상기 제1진공결합부(111)와 제2진공결합부(332)가 상호 결합되면 구이 연기 제거장치(100)와 진공흡입부재(300)가 연통되어 제1진공부(130) 및 제2진공부(331)를 통해 구이판 상의 연기가 물 속으로 진공흡입되어 정화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구이 연기 제거장치(100)는 장시간 사용시 연기에 의해 물이 오염되고, 하우징이나 중공관의 내주면에 기름때가 엉겨 붙게 되므로 물의 보충이나 교체, 그리고 하우징이나 중공관의 세척이 필수적으로 행해져야 하는데, 상기 덕트가 중중관의 연기흡입부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진공모터가 제1진공결합부와 연통되게 연결된다면, 물을 보충하거나 세척작업을 할 때 덕트와 진공모터를 각각 분리해야 하므로,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덕트연통부재(311)가 구비되는 상부바디(310)와 진공모터(321)가 내부에 장착되는 하부바디(320)를 포함하는 진공흡입부재(300)가 구이 연기 제거장치(100)와 착탈식으로 결합됨에 따라 하우징 내부에 물의 보충이나 교체 또는 하우징이나 중공관의 세척이 필요한 경우 덕트(3)나 진공모터(321)를 구이 연기 제거장치(100)로부터 별도로 분리하지 않고서도 작업이 가능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연기가 정화되는 원리를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상기 물필터와 본체가 제1진공결합부 및 제2진공결합부를 매개로 상호 결합된 상태이다.
먼저, 도 9a)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우징과 중공관 내부에는 소정 수위까지 물(W)이 채워지며, 상기 연기배출부는 물 속에 잠겨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9b)과 같이 진공모터가 작동되면 하우징 내부에 진공흡입력이 작용하여 제1진공결합부와 배출구 사이에 제1진공부가 형성되어 연기배출부 내부의 물이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어 하우징 내부의 수위는 증가하고, 구이판 상의 연기는 배출구를 통과하여 물 속으로 투입된다.
이와 함께 도 9c)와 같이 상기 연기흡입부를 통해 구이판 상의 연기가 지속적으로 중공관 내부로 흡입되며, 연기배출부의 배출구를 통해 물 속으로 투입된 연기가 물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면서 유분, 이물질, 냄새가 제거되어 정화된 다음 제1진공부 및 제2진공부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9b) 및 9c)의 진공모터에 도시된 내부가 비어있는 화살표는 진공모터가 작동되어 진공흡입력이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종래의 물을 매개로 하여 유분이나 이물질이 포함된 연기를 제거하는 방식은 연기에 물을 안개분사하여 연기 중의 이물질이 물에 흡착되면서 제거되는 방식으로써 연기와 물이 골고루 혼합되지 않기 때문에 여과 효율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흡입되는 오염공기의 양이 많아질수록 그에 비례하여 더 많은 양의 물을 분무해주어야 하므로 정화 효율성이 현저히 낮고 물의 소비량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이판 상의 연기를 수면 위로 통과시켜 정화하는 방식은 연기가 수면 위를 통과할 때 온도차로 인해 유분이 응축된 상태로 침지되면서 분리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시간이 길어질수록 유막의 면적이 넓어지면서 공기가 접촉할 수 있는 물의 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공기의 정화 효율성이 점차적으로 저하되는 문제점이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장시간 사용시 유막이 형성된 물을 새로운 물로 교체해주어야만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유분, 냄새, 이물질 등이 포함된 연기가 물 속으로 직접 투입되기 때문에 물과 접촉되는 시간과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정화 효율성이 우수하며, 흡입되는 연기의 양이 많아지더라도 물의 추가적인 소모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연기가 나선방향으로 선회 투입되면서 물과의 혼합교반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연기로부터 분리된 기름 성분에 의해 물필터 내부의 수면 위로 유막이 형성되더라도 연기가 하부 물 속에서 직접투입되기 때문에 정화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구이물을 굽는 시간이 길어지더라도 물필터 내부의 물을 교체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물질이나 유분, 냄새가 제거된 정화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구이판 2 : 후드
3 : 덕트
100 : 구이 연기 제거장치
110 : 하우징 111 : 제1진공결합부
120 : 중공관 121 : 연기흡입부
122 : 연기배출부
130 : 제1진공부 140 : 손잡이
150 : 사이클론 유도격벽
160 : 물튀김방지판 161 : 배수홀
162: 공기흡입구
200 : 와류유도부재 210 : 몸체
220 : 가이드날개 230 : 토출홈
300 : 진공흡입부재
310 : 상부바디 311 : 덕트연통부재
320 : 하부바디 321 : 진공모터
322 : 흡입구 323 : 배기구
330 : 수직바디 331 : 제2진공부
332 : 제2진공결합부

Claims (6)

  1. 구이판 상의 육류 또는 어류를 구울 때 발생하는 유분과 냄새가 함유된 연기를 제거하기 위한 연기 제거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소정 수위까지 물이 채워지는 중공체로써 내부가 밀폐되도록 구성되며 진공흡입력을 제공하는 진공모터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1진공결합부가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원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직으로 기립설치되어 내부에 하부로부터 소정 높이까지 물이 채워지는 중공기둥으로써 상단은 상기 구이판 상의 연기가 연기흡입부로 이루어지고 하단은 연기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연기가 배출되어 물 속으로 투입되도록 하는 연기배출부로 이루어지는 중공관과;
    상기 제1진공결합부와 연기배출부 사이에 형성되어 진공흡입력에 의해 상기 연기흡입부를 통과한 연기가 물에 투입되어 정화된 후 제1진공결합부로 투입되도록 하는 제1진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 연기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배출부를 통과한 연기가 물 속에 나선방향을 따라 선회하면서 투입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가이드날개를 포함하는 와류유도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 연기 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유도부재는 내부가 비어있으며 상면이 상기 중공관의 하단과 연통되게 결합되어 연기배출부와 연통되는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측면 모서리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배치되되 상기 몸체 내부로 투입된 연기가 측방으로 배출될 때 나선방향을 따라 선회배출되도록 하여 물을 회전가속시켜 물과의 혼합교반을 통해 정화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 연기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진공부는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압력이 감소하여 물 밖으로 배출된 정화된 공기가 진공부로 이동하는 속도가 감소되면서 정화된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이 중량에 의해 분리되도록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 연기 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진공결합부를 통해 진공흡입력이 작용할 때 회전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는 흡입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제1진공결합부를 기준으로 회전흡입되는 방향의 반대편에 위치하여 중공관과 하우징을 가로질러 차단하는 사이클론 유도격벽이 구비되고,
    상기 진공모터의 진공흡입력으로 인해 하우징 내부의 물이 제1진공결합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튀김방지판이 상기 중공관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수평방향을 따라 결합되되,
    상기 물튀김방지판은 중량에 의해 공기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하우징의 바닥면으로 회수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배수홀이 형성되는 타공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 연기 제거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 상의 연기를 흡입하는 후드와 연통되는 덕트의 단부가 상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연기흡입부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덕트연통부재가 중앙부에 마련되는 상부바디와,
    진공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모터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진공모터의 진공흡입력을 통해 흡입되는 연기가 투입되는 흡입구 및 흡입된 연기가 배출되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하부바디와,
    상기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의 일측 단부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일측 단부는 상기 제1진공결합부와 연통되게 결합되는 제2진공결합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진공팬의 흡입력을 통해 하우징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상기 중공관 내부에 채워진 물과 연기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연기가 상기 연기배출부를 통해 나선방향으로 선회하며 빠져나가면서 하우징 내부에 채워진 물을 나선방향으로 선회시켜 연기가 물과 혼합교반되면서 정화된 후 상기 배기부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제2진공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수직바디를 포함하는 진공흡입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 연기 제거장치.
KR1020190145897A 2019-11-14 2019-11-14 구이 연기 제거장치 KR102270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897A KR102270812B1 (ko) 2019-11-14 2019-11-14 구이 연기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897A KR102270812B1 (ko) 2019-11-14 2019-11-14 구이 연기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439A true KR20210058439A (ko) 2021-05-24
KR102270812B1 KR102270812B1 (ko) 2021-06-29

Family

ID=76152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897A KR102270812B1 (ko) 2019-11-14 2019-11-14 구이 연기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8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060B1 (ko) * 2023-02-06 2024-04-17 주식회사 메타빈스 화로 일체형 집진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9417A (ja) * 1996-12-26 1998-07-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ホットプレート
JP2000070643A (ja) * 1998-08-26 2000-03-07 Tootekku:Kk 空気清浄方法及びその装置
US6679163B1 (en) * 2003-05-29 2004-01-20 Yung Sen Su Structure of a roasting device
WO2018024783A1 (en) * 2016-08-05 2018-02-08 De' Longhi Appliances S.R.L. Con Unico Socio Autonomous apparatus for cooking food, and corresponding method
KR101851300B1 (ko) * 2018-01-18 2018-04-23 (주)이화에코시스템 와류 침지형 악취 및 미세분진 포집장치
KR20190069296A (ko) * 2017-12-11 2019-06-19 김통일 정화 효율성을 향상시킨 구이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9417A (ja) * 1996-12-26 1998-07-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ホットプレート
JP2000070643A (ja) * 1998-08-26 2000-03-07 Tootekku:Kk 空気清浄方法及びその装置
US6679163B1 (en) * 2003-05-29 2004-01-20 Yung Sen Su Structure of a roasting device
WO2018024783A1 (en) * 2016-08-05 2018-02-08 De' Longhi Appliances S.R.L. Con Unico Socio Autonomous apparatus for cooking food, and corresponding method
KR20190069296A (ko) * 2017-12-11 2019-06-19 김통일 정화 효율성을 향상시킨 구이장치
KR101851300B1 (ko) * 2018-01-18 2018-04-23 (주)이화에코시스템 와류 침지형 악취 및 미세분진 포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060B1 (ko) * 2023-02-06 2024-04-17 주식회사 메타빈스 화로 일체형 집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0812B1 (ko) 202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3836B1 (ko) 유증기 및 연기 정화 순환시스템을 구비한 전기구이기
JP4704352B2 (ja) フライヤー
US67645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 gas
US4500331A (en) Kitchen exhaust apparatus
KR101864077B1 (ko) 순환커버가 구비된 에어순환식 로스터
KR100823674B1 (ko) 고기 구이기의 후드 및 탈취장치
KR20160015256A (ko) 식품 처리 장치
KR102314857B1 (ko) 유증기 분리형 친환경 오일회수장치
KR101423602B1 (ko) 육류 구이기용 집진기
KR20210058439A (ko) 구이 연기 제거장치
KR102346143B1 (ko) 내부크린 구조의 에어순환식 로스터
JP2004290379A (ja) 煙循環式焼肉器
KR20200001819U (ko) 습식 공기정화장치
KR102113730B1 (ko) 정화 효율성을 향상시킨 구이장치
KR102207302B1 (ko) 조리용기를 위한 휴대용 연기정화장치
KR102358113B1 (ko) 하향식 로스터가 구비되는 테이블의 연기 정화시스템
JP5480570B2 (ja) ファンフィルタ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レンジフード
KR102314021B1 (ko)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
CN209819641U (zh) 一种接油装置及电烤炉
JPH09155139A (ja) 空気清浄装置
JPH112414A (ja) 厨房等に於ける油分離機
KR102346152B1 (ko) 워터휠이 구비된 에어순환 로스터
KR102314022B1 (ko)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
JP2016133229A (ja) レンジフード
CN220024745U (zh) 一种前投料全自动炒菜机及其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