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022B1 -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022B1
KR102314022B1 KR1020210070908A KR20210070908A KR102314022B1 KR 102314022 B1 KR102314022 B1 KR 102314022B1 KR 1020210070908 A KR1020210070908 A KR 1020210070908A KR 20210070908 A KR20210070908 A KR 20210070908A KR 102314022 B1 KR102314022 B1 KR 102314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ase
oil vapor
unit
sepa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성재
Original Assignee
원성재
주식회사 명지미래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성재, 주식회사 명지미래솔루션 filed Critical 원성재
Priority to KR1020210070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wetting, e.g. using surfaces covered with 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8/133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by direct contact with liquid, e.g. with sprayed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Ventilation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 등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유증기 등을 정화하여 처리하는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조리시 발생하는 유증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흡입부에서 흡입된 유증기를 통과시켜 유증기에 포함된 오일을 기체와 분리시키는 오일분리부, 그리고 오일분리부를 통과한 기체를 필터링하여 냄새와 유해물질을 필터링하는 정화부를 포함하며, 흡입부는 내부에 유증기가 오일분리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통로가 형성된 제1 케이스, 제1 케이스에 설치되어 유증기를 제1 케이스의 통로로 흡입시켜 오일분리부로 이동시키는 흡입팬을 포함하고, 오일분리부는 내부에 유체가 수용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고, 제2 케이스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흡입부에서 유입된 유증기에 포함된 오일과 기체를 분리하도록 유체와 유증기를 교반시키는 교반기가 설치된다.

Description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and oil vapor generated during cooking}
본 발명은 주방 등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연기 또는 유증기 등을 정화하여 처리하는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고기 또는 생선 등을 굽거나 튀김요리 등을 할 때 인체에 유해한 미세먼지가 포함된 연기 또는 유증기 등이 발생된다. 음식물의 조리시에 발생하는 연기나 유증기는 주방 뿐만 아니라 주방과 연결되어 있는 실내를 오염시킨다. 이와 같이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하는 연기나 유증기는 발암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인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하는 연기나 유증기는 불쾌한 냄새를 포함하고 있어 실내의 쾌적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주방에서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하는 연기나 유증기를 정화하는 장치는 고정식과 이동식이 있다. 고정식의 연기정화장치는 배연유도장치가 조리를 위한 화구의 상측에 설치되어 조리시 발생하는 연기를 빨아들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고정식의 연기정화장치는 조리기구와 상당한 거리가 떨어져 배치되므로 조리시 발생하는 연기 또는 유증기를 충분하게 빨아들이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고정식의 연기정화장치는 조리시 발생하는 연기 또는 유증기를 주방이나 실내로 유입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고정식의 연기정화장치는 조리기구와 상당한 거리가 떨어져 배치되므로 연기나 유증기의 빨아들이기 위해 용량이 큰 흡입용 팬이 설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고정식의 연기정화장치는 설치 비용이 증가되고 유증기에 포함되어 있던 기름 성분이 배출 관로에 달라붙어 쌓이면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고정식 정화장치는 고유의 성능을 유지시키기 위한 청소 또는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이동식으로 이루어진 연기정화장치는 주방에 조리기구 근처로 쉽게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주방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정화하는 이동식 연기정화장치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55196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공보는 이송관을 통해 외부에서 흡입된 연기가 필터에 의해 먼저 1차로 정화되고, 1차로 정화된 연기가 또 다른 필터에 의해 2차로 정화되며, 2차로 정화된 연기가 냉각수조를 지나면서 연기에 포함되어 있던 기름을 냉각시켜 추출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문헌은 1차 및 2차의 필터로 유증기를 통과시킨 후 냉각수조를 통과시키므로, 기름성분이 필터에 달라붙고 이러한 기름성분으로 인해 연기 또는 유증기의 정화 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필터를 빈번하게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즉, 유증기가 먼저 필터를 통과하는 구조이므로 유증기에 포함된 기름 성분과 기체를 효과적으로 분리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선행문헌은 음식물을 조리할 때 연기정화장치를 화기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시켜야 음식물을 조리하는 중에 발생하는 연기 또는 유증기를 흡입구로 충분하게 빨아들일 수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의 연기정화장치는 조리에 사용되는 화기에 지나치게 근접하게 되면 화기에 의해 연기정화장치가 손상되거나 화재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연기정화장치를 화기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시키면 조리 중에 발생하는 연기 또는 유증기를 충분하게 빨아들이지 못하여 연기 및 유증기를 정화하는 성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이 용이하여 조리시 필요한 곳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협소한 주방 공간에서도 조리시에 발생되는 연기 또는 유증기를 원활하게 빨아들여 정화시키거나 제거하는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시 발생하는 유증기에 포함되어 있는 기름성분과 기체를 효율적으로 분리하고 기름성분을 제거할 수 있는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시 발생한 연기나 유증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면서도 연기나 유증기가 통과하는 필터의 수명을 증가시켜 유지 보수 비용을 줄이는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리시 발생하는 연기 또는 유증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연기 또는 유증기를 통과시켜 상기 연기 또는 상기 유증기에 포함된 오일을 기체와 분리시키는 오일분리부, 그리고 상기 오일분리부를 통과한 기체를 필터링하여 냄새와 유해물질을 필터링하는 정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부는 내부에 상기 연기 또는 상기 유증기가 상기 오일분리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통로가 형성된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연기 또는 상기 유증기를 상기 제1 케이스의 통로로 흡입시켜 상기 오일분리부로 이동시키는 흡입팬을 포함하고,
상기 오일분리부는 내부에 유체가 수용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스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흡입부에서 유입된 상기 연기 또는 상기 유증기에 포함된 오일과 기체를 분리하도록 상기 유체와 상기 연기 또는 상기 유증기를 회전시키는 교반기가 설치되는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교반기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간격을 이루어 결합되는 다수의 회전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는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다수의 구멍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반기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다수의 브러시가 결합되어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반기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다수의 메쉬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팬은 상기 제1 케이스에 결합되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의 축에 결합되어 상기 연기 또는 상기 유증기를 외부에서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시켜 상기 오일분리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팬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팬부는 상기 모터부의 축에 연결되며 원판형으로 이루어진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중심에서 일정한 거리가 떨어짐과 동시에 제1 플레이트의 일면에서 일정한 거리가 떨어져 배치되는 원형의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사이에 곡면으로 형성되어 외부의 상기 연기 또는 유증기를 오일분리부로 이송시키는 제1 날개부, 그리고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중앙부에서 연장되는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며 평면으로 이루어져 외부의 상기 연기 또는 유증기를 방사상 방향으로 분산시켜 와류를 일으키는 제2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분리부는 내부에 유체가 수용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스는 회전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제2 케이스의 회전 홈부에 끼워져 상기 제2 케이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회전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화부는 상기 오일분리부와 또 다른 통로로 연결되어 상기 오일분리부를 통과한 기체를 통과시키는 제3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케이스는 상기 오일분리부를 통과한 기체에 포함된 유해물질 및 냄새를 제거하는 필터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를 통과시키면서 외부로 가스를 배출시키는 배출팬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기체가 통과하는 순서를 기준으로, 미세먼지를 걸러주는 헤파필터, OH라디칼을 발생시켜 오염물질과 반응하여 살균하는 라디칼필터, 냄새를 제거하는 활성탄필터, 그리고 세균과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황동필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를 쉽게 이동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고, 음식물을 조리할 때 흡입부에 설치되는 신축 가이드의 길이를 조절하여 신축가이드를 조리기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하여 협소한 조리 공간에서도 조리시에 발생되는 연기나 유증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를 조리시 화기에서 어느 정도 떨어진 위치에 배치시키고, 흡입부의 신축가이드를 연기나 유증기가 발생하는 조리기구에 인접한 위치에 길이 조절을 통해 배치시킬 수 있으므로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가 화기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주방의 협소한 장소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오일분리부로 유입된 유증기와 함께 냉각수조의 물을 교반(Churning)하여 유증기의 냉각 효과를 극대화시켜 유증기에 포함된 기름성분을 효율적으로 분리하고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기가 유증기가 먼저 오일분리부의 냉각수조를 통과하고, 오일분리부에서 기름성분으로부터 분리된 기체가 필터를 통과하므로 필터의 수명을 증가시켜 유지 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의 전체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를 세로 방향으로 잘라서 내부 형상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의 흡입부의 일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부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흡입부의 신축가이드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흡입부의 와류가이드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흡입부의 팬(fan)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오일분리부의 교반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의 흡입부의 신축 및 회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의 제어를 위한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오일분리부의 교반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오일분리부의 교반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을 세로 방향으로 잘라서 본 단면도로,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는, 흡입부(100), 오일분리부(300), 그리고 정화부(500)를 포함한다.
흡입부(100)는 조리시 발생하는 연기 또는 유증기를 빨아들이는 부분이다.
흡입부(100)는 제1 케이스(101), 흡입팬(103), 와류가이드(105), 그리고 신축가이드(107)를 포함한다.
제1 케이스(101)는 제1 입구부(101a), 제1 입구부(101a)에 연결된 내부의 통로(101b), 그리고 통로(101b)에 연결된 제1 출구부(101c)를 포함한다. 제1 케이스(101)의 제1 입구부(101a)로 유입된 연기 또는 유증기는 제1 케이스(101)의 내부에 있는 통로(101b) 및 제1 출구부(101c)를 통해 오일분리부(300)로 전달된다. 제1 케이스(101)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출구부(101c)는 제1 케이스(101)에서 연장되어 돌출된 회전돌출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출구부(101c)는 제1 케이스(101)의 통로(101b)에 연결되며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 출구부(101c)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오일분리부(300) 측에 결합되어 제1 케이스(101)를 오일분리부(3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흡입팬(103)은 제1 케이스(101)에 설치되어 조리시 발생하는 연기 또는 유증기를 제1 케이스(101)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흡입팬(103)은 제1 케이스(101)의 입구부(101a) 측에 설치되어 조리시 발생하는 연기 또는 유증기를 제1 케이스(101)의 통로(101b)로 빨아들여 오일분리부(300) 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흡입팬(103)은,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부(103a)와 팬부(104)를 포함한다. 모터부(103a)는 제1 케이스(101)에 결합되어 팬부(104)를 회전시킨다. 팬부(104)는 모터부(103a)의 축에 결합되어 연기 또는 유증기를 외부에서 제1 케이스(101)의 내부 통로(101b)로 유입시켜 오일분리부(300) 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팬부(104)는 제1 플레이트(104a), 제2 플레이트(104b), 제1 날개부(104c), 그리고 제2 날개부(104d)를 포함한다.
팬부(104)의 제1 플레이트(104a)는 모터부(103a)의 축에 결합되며 원판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팬부(104)의 제2 플레이트(104b)는 제1 플레이트(104a)의 중심에서 일정한 거리가 떨어짐과 동시에 제1 플레이트(104a)의 일면에서 일정한 거리가 떨어져 배치된다. 팬부(104)의 제2 플레이트(104b)는 가운데 부분이 공간을 이루는 원판으로 이루어진다.
팬부(104)의 제1 날개부(104c)는 팬부(104)의 제1 플레이트(104a)와 제2 플레이트(104b)의 사이에 형성되어 제1 플레이트(104a)와 제2 플레이트(104b)를 연결한다. 팬부(104)의 제1 날개부(104c)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외부의 연기 또는 유증기를 오일분리부(300)로 이송시킬 수 있다. 팬부(104)의 제1 날개부(104c)는 오일분리부(300) 측으로 연기 또는 유증기를 이송시키는 방향으로 유체의 이동이 발생되는 형태의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팬부(104)의 제2 날개부(104d)는 제1 플레이트(104a)의 중앙부에서 연장되어 방사상 방향으로 다수가 돌출된다. 팬부(104)의 제2 날개부(104d)는 평면으로 이루어져 외부의 연기 또는 유증기를 방사상 방향으로 분산시켜 와류를 일으키는 역할을 한다. 팬부(104)의 제1 날개부(104c)와 제2 날개부(104d)는 외부의 연기 또는 유증기를 제1 케이스(101)의 내부로 흡입시킴과 동시에 와류를 일으키면서 오일분리부(300) 측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와류가이드(105)는 제1 케이스(101)에 결합되며, 제1 케이스(101)에 설치된 흡입팬(103)의 프론트측인 제1 입구부(101a)를 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와류가이드(105)는 제1 케이스(101)의 제1 입구부(101a) 측으로 유입되는 연기 또는 유증기에 와류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와류가이드(105)는 제1 케이스(101)의 내부로 유입되는 연기 또는 유증기에 와류를 발생시켜 오일 분리부(300)로 전달하여 기름성분과 기체의 분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와류가이드(105)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부(105a), 연결부(105b), 외주부(105c)를 포함한다. 그리고 와류가이드(105)는 센터부(105a)와 외주부(105c) 사이에 다수의 공간부(105d)가 형성된다.
와류가이드(105)의 센터부(105a)는 외측부인 제1 입구부(101a)를 향해 볼록한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센터부(105a)가 제1 입구부(101a)를 향해 볼록한 모양으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유입되는 연기 또는 유증기가 볼록한 곡면에 부딪히면서 팬부(104)의 제1 날개부(104c)와 제2 날개부(104d) 측으로 이송되면서 와류 현상을 극대화시킨다.
와류가이드(105)의 연결부(105b)는 센터부(105a)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간격을 이루어 연장된다. 와류가이드(105)의 외주부(105c)는 연결부(105b)에 연결되며 제1 케이스(101)에 결합된다. 그리고 와류가이드(105)의 공간부(105d)는 센터부(105a)와 외주부(105c) 사이에 형성되어 연기 또는 상기 유증기를 통과시킬 수 있다.
신축가이드(107)는 제1 케이스(101)의 제1 입구부(101a)에 설치되며 길이가 가변되어 연기 또는 유증기가 제1 케이스(101)의 통로(101b)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신축가이드(107)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유연관로(107a)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4 참조). 또한, 신축가이드(107)는 전체의 길이가 접혀져 길이를 줄일 수 있으며, 접혀진 것을 펼쳐 전체의 길이를 늘일 수도 있다. 이러한 신축가이드(107)는 유연관로(107a)에 원주 방향을 따라 한 개 또는 다수개의 심재(107b)가 간격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신축가이드(107)의 심재는 유연관로(107a)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금속이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보강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신축가이드(107)의 심재는 유연관로(107a)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가늘고 긴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신축가이드(107)는 불연재 또는 난연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축가이드(107)가 불연재 또는 난연재로 이루어지면 조리시에 화기 또는 조리기구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더욱 안전하게 연기 또는 유증기를 빨아들일 수 있다.
이러한 신축가이드(107)는 제1 케이스(101)에 고정되는 부분의 직경에 비해 입구측의 직경이 더 크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신축가이드(107)의 형상은 다량의 연기 또는 유증기를 순간적으로 빨아들이는데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리시 발생하는 다량의 연기나 유증기를 순간적으로 빨아들여 주방 이외의 장소로 연기나 유증기가 퍼지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오일분리부(300)는 흡입부(100)에서 흡입된 연기 또는 유증기를 통과시켜 연기 또는 유증기에 포함된 오일을 기체와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오일분리부(300)는 제2 케이스(301)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2 케이스(30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입구부(301a), 메인 냉각수조부(301b), 보조 냉각수조부(301c) 그리고 제2 출구부(301d)를 포함한다.
또한, 오일분리부(300)는 메인 냉각수조부(301b)로 유입된 연기 또는 유증기에 포함된 오일과 기체를 분리하는 교반기(303)를 포함한다. 그리고 오일분리부(300)는 메인 냉각수조부(301b)에 수용된 물과 같은 유체를 보조 냉각수조부(301c)로 순환시키는 펌프(305)를 포함한다.
제2 케이스(301)의 제2 입구부(301a)는 제1 케이스(101)의 제1 출구부(101c)와 연결되어 제1 케이스(101)를 통과한 연기 또는 유증기가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케이스(301)의 제2 입구부(301a)는 제1 케이스(101)의 제1 출구부(101c)인 회전돌출부가 끼워지는 회전홈부로 이루어진다. 즉,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301)는 회전돌출부와 회전홈부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케이스(101)가 제2 케이스(301)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예시로 제1 케이스(101)에 회전홈부가 형성되고, 제2 케이스(301)에 제1 케이스(101)의 회전홈부가 끼워지는 회전돌출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301)가 상대적으로 회전하면, 흡입부(100)의 신축가이드(107)의 방향을 쉽게 변경하여 조리기구가 있는 방향으로 향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협소한 공간에서도 제1 케이스(101)의 방향을 조리기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조절하여 사용하므로 연기나 유증기를 잘 빨아들일 수 있다.
메인 냉각수조부(301b)는 비교적 낮은 온도의 차가운 물과 같은 유체가 채워질 수 있다. 그리고 메인 냉각수조부(301b)에는 교반기(303)가 설치된다. 교반기(303)는 메인 냉각수조부(301b)로 유입되는 연기나 유증기가 차가운 물과 함께 섞어 기름성분을 굳게 하여, 기체 성분을 분리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보조 냉각수조부(301c)는 메인 냉각수조부(301b)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하부에 물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배출구멍부(301e)가 형성된다. 또한, 보조 냉각수조부(301c)에는 일정한 양의 이상 물이 유입된 경우에 다시 메인 냉각수조부(301b)로 배출시켜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는 바이패스관로(301f)가 설치된다.
한편, 제2 케이스(301)에는 메인 냉각수조부(301b)에 수용된 차가운 물을 보조 냉각수조부(301c)로 순환시키기는 펌프(305)가 설치된다. 이러한 펌프(305)는 관로를 통해 메인 냉각수조부(301b)의 차가운 물을 보조 냉각수조부(301c)로 공급한다.
제2 케이스(301)의 제2 출구부(301d)는 정화부(500)와 연결되어 제2 케이스(301)를 통과한 기체를 정화부(500)로 이송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교반기(303)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와 같은 구동원(303a), 구동원(303a)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축(303b), 그리고 회전축(303b)에 결합되는 다수의 회전 플레이트(303c)를 포함한다. 구동원(303a)은 메인 냉각수조부(301b)와 격벽으로 분리된 별도의 쳄버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원(303a)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303b)은 메인 냉각수조부(301b)에 배치된다. 그리고 회전 플레이트(303c)는 다수로 이루어져 회전축(303b)에 간격을 이루어 결합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303c)는 별도의 개별적으로 분리된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나선모양의 플레이트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회전축(303b)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회전 플레이트(303c)는 다수의 구멍부(303d)를 구비한다. 회전 플레이트(303c)에 형성된 구멍부(303d)는 회전 플레이트(303c)가 회전할 때 메인 냉각수조부(301b)로 공급된 연기나 유증기에 포함된 기름과 메인 냉각수조부(301b)의 물을 연속적으로 섞을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연기나 유증기에 포함된 기름성분이 굳게 되어 기름성분과 기체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즉, 메인 냉각수조부(301b)로 유입되는 연기나 유증기를 회전 플레이트(303c) 부딪히게 하거나 구멍부(303d)에 통과시키면서 기름성분과 기체 성분을 분리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303c)는 메인 냉각수조부(301b)의 차가운 물을 교반(Churning)하여 연기나 유증기에 포함되어 있는 기름성분은 물과 함께 굳어져 남겨 기체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회전 플레이트(303c)는 연기 또는 유증기에서 분리된 기름이 달라붙게 되어 물과 기름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 한편으로, 제1 케이스(101) 또는 제2 케이스(301)에 유입되는 연기나 유증기의 양을 센싱하는 유입량 검출센서(109)를 제1 케이스(101) 측에 설치된다.
유입량 검출센서(109)는 제1 케이스(101)로 유입되는 연기나 유증기의 양을 검출하여 검출된 값을 제어부(C)에 전송한다. 제어부(C)는 제1 케이스(101)의 내부로 유입되는 연기나 유증기의 양이 설정값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에 교반기(303)의 구동원(303a)을 구동시켜 회전 플레이트(303c)를 회전시킬 수 있다.
물론, 유증기의 유입량을 비교할 수 있는 설정값은 사전에 사용자에 의해 세팅하여 유증기 설정값 저장 데이터 베이스(111, 도 10 참조)에 저장하여 필요한 경우 제어부(C)가 로딩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C)는 제1 케이스(101)의 내부로 유입되는 연기나 유증기의 양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에 구동원(303a)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제2 케이스(301)로 유입되는 연기나 유증기의 양이 적어 회전 플레이트(303c)를 회전시키는 않을 때는 펌프(305) 만을 구동시켜 메인 냉각수조부(301b)의 물은 보조 냉각수조부(301c)로 순환시키고, 보조 냉각수조부(301c)에의 배출구멍부(301e)에서 자유낙하로 떨어지는 차가운 물에 의해 연기나 유증기에서 기름성분을 분리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기 소모량을 줄일 수 있고, 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청소주기와 같은 유지 관리 기간을 늘릴 수 있다.
정화부(500)는 오일분리부(300)를 통과한 기체를 필터링하여 냄새와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부분이다. 정화부(500)는 제3 케이스(501)를 포함한다. 제3 케이스(501)는 제2 케이스(301)를 통과한 기체성분이 유입되어 필터링 되는 곳이다. 이러한 제3 케이스(501)는 제3 입구부(501a), 그리고 제3 출구부(501b)를 포함한다. 제3 케이스(501)에는 필터어셈블리(503)와 배출팬(505)이 설치된다.
제3 케이스(501)의 제3 입구부(501a)는 제2 케이스(301)의 제2 출구부(301d)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2 케이스(301)를 통과한 기체는 필터어셈블리(503)를 통과하여 제3 배출부(501b)로 배출된다. 이러한 기체의 배출은 제3 케이스(501)에 설치된 배출팬(505)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배출팬(505)은 제2 케이스(301)를 통과한 기체가 필터어셈블리(503)를 통과하고 제3 출구부(501b)로 정화된 기체를 배출시킨다.
한편, 필터어셈블리(503)는 제3 케이스(501)의 제3 입구부(501a)와 제3 출구부(501b)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필터어셈블리(503)는 제3 입구부(501a)에서부터 기체가 유입되는 순서를 기준으로 헤파필터(503a), 라디칼필터(503b), 활성탄필터(503c), 그리고 황동필터(503d)가 배치된다.
헤파필터(503a)는 미세먼지를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라디칼필터(503b)는 OH라디칼을 발생시켜 오염물질과 반응하여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활성탄필터(503c)는 냄새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황동필터(503d)는 세균과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필터어셈블리(503)는 오일분리부(300)의 제2 케이스(301)를 통과한 기체를 필터링하여 신선한 공기 만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조리시에 화기에서 조금 떨어진 위치에 본 발명의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를 배치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조리기구 측을 향해 제1 케이스(101)를 손으로 잡고 돌린다. 그러면 제1 케이스(101)의 제1 출구부(101c)는 회전돌출부로 이루어지고, 제2 케이스(301)의 제2 입구부(301a)는 회전홈부로 이루어지므로, 제1 케이스(101)는 제2 케이스(30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제1 케이스(101)는 조리기구 측을 향해 배치된다(도 9 참조). 그리고 사용자는 신축가이드(107)를 늘려 조리기구에 인접한 위치에 신축가이드(107)의 입구를 배치시킨다(도 9 참조).
그리고 사용자는 전원스위치(S)를 작동시키면(S1)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의 흡입팬(103), 펌프(305), 그리고 배출팬(505)이 구동된다(S3, S5, S7, 도 11 참조). 그러면 조리시 조리기구에서 발생되는 연기나 유증기가 신축가이드(107)를 통해 흡입되면서 와류가이드(105a)의 센터부(105a)에 부딪히면서 공간부(105d)를 통과한다. 이 과정에서 제1 케이스(101)로 유입되는 연기 또는 수증기는 와류가 발생한다. 또한, 흡입팬(103)의 팬부(104)에 설치된 제1 날개부(104c)와 제2 날개부(104d)에 의해 제1 케이스(101)로 유입된 연기나 유증기가 와류를 일으키면서 제1 케이스(101)의 통로(101c)를 통과한다. 제1 케이스(101)를 통과한 연기 또는 유증기는 제1 케이스(101)의 제1 출구부(101c)를 통과하고, 제2 케이스(301)의 제2 입구부(301a)를 통해 메인 냉각수조부(301b)로 공급된다. 이때 제어부(C)는 유증기 설정값을 유증기 설정값 저장 데이터 베이스(111)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값을 로딩한다(S9).
그리고 제어부(C)는 유입량 검출센서(109)에 의해 검출된 연기 또는 유증기의 양이 설정치 이상인 경우(S11)에 교반기(303)의 구동원(303a)을 구동시킨다(S13). 그러면 교반기(303)의 구동원(303a)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303b)이 회전하면서 회전플레이트(303c)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2 케이스(301)의 메인 냉각수조부(301b)로 유입된 연기 또는 유증기는 회전 플레이트(303c)에 부딪히면서 차가운 물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회전플레이트(303c)가 회전하면서 메인 냉각수조부(301b)에 있는 차가운 물과 연기 또는 유증기의 접촉 면적을 높인다. 그러면 빠른 시간 내에 연기 또는 유증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기름성분이 굳게 되고 기체는 기름성분과 분리되어 제2케이스(301)의 제2 출구부(301d) 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회전플레이트(303c)의 구멍부(303d)는 메인 냉각수조부(301b)의 차가운 물과 유입된 연기나 유증기를 더욱 잘 교반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오일분리부(300)에 설치된 펌프(305)가 작동하면서 메인 냉각수조부(301b)의 차가운 물은 보조 냉각수조부(301c)로 이동한다. 보조 냉각수조부(301c)로 이동된 차가운 물은 배출구멍부(301e)를 통해 자중에 의해 떨어지면서 메인 냉각수조부(301b)를 통과하는 연기나 유증기와의 접촉 면적을 더욱 향상시킨다.
따라서 제2 케이스(301)로 유입된 연기나 유증기는 차가운 물과 접촉 면적이 늘어나서 짧은 시간 내에 굳으면서 기름성분과 기체가 분리된다. 오일분리부(300)에서 분리된 기체는 제2 케이스(301)의 제2 출구부(301d)를 통과하여 정화부(500)의 제3 케이스(501)의 제3 입구부(501a)를 통해 이동된다.
제3 케이스(501)로 유입된 연기 또는 유증기는 필터어셈블리(503)를 통과하면서 냄새 및 미세먼지 등의 유해한 성분이 걸러진다. 즉, 헤파필터(503a)를 통과하면서 미세한 입자의 유해물질이 걸러지고, 라디칼필터(503b)에 의해 오염물질이 살균되어 처리된다. 계속해서, 라디칼필터(503b)를 통과한 기체가 활성탄필터(503c)를 통과하면서 냄새가 제거되고, 황동필터(503d)를 통과하면서 세균과 바이러스가 살균된다. 이와 같이 필터 어셈블리(503)를 통과한 기체는 배출팬(505)에 의해 제3 케이스(501)의 제3 출구부(501b)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를 쉽게 이동시키면서 흡입부(100)의 방향을 조절하고, 신축가이드(107)의 길이를 조절하여 조리기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연기 또는 유증기를 빨아들여 정화할 수 있다. 따라서 협소한 공간에서도 조리시에 발생되는 연기나 유증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를 조리시 화기에서 어느 정도 떨어진 위치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연기나 유증기를 빨아들일 수 있어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가 화기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오일분리부로 유입된 유증기와 함께 냉각수조의 물을 교반(Churning)하여 연기 또는 유증기와 차가운 물의 접촉면적을 향상시켜 유증기 등에 포함된 기름성분을 효율적으로 분리하고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기가 유증기가 먼저 오일분리부의 냉각수조를 통과하여 오일분리부에서 기름성분이 분리된 상태의 기체가 필터어셈블리를 통과하므로 필터의 수명을 증가시키고 유지 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브러시 교반기(351)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다른 점 만을 설명하고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의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치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교반기(303)가 회전플레이트(303c)로 이루어지고 회전플레이트(303c)에 다수의 구멍부(303d)가 있는 구조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회전플레이트(303c) 대신에 브러시(351a)가 회전축(303b)에 설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2 케이스(301)로 유입되는 연기나 유증기가 메인 냉각수조부(301b)의 차가운 물과 만날 때 회전하는 브러시(351a)에 의해 더욱 접촉 면적을 향상시켜 기름성분을 더욱 빠르게 굳게 하여 기름성분과 기체를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구조에 비해 더욱 기름성분과 기체를 분리하는 효과가 뛰어나며 다양한 구조로 실시하여 차가운 물과 연기 또는 유증기를 교반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메쉬 타입 교반기(371)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비교하여 다른 점 만을 설명하고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의 제2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치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회전축(303b)에 메쉬부재(371a)를 설치한 점이 차이가 있다. 이러한 메쉬부재(371a)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다수의 구멍이 뚫린 원판 또는 이러한 원판 구조가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의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본 발명을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작용 및 효과는 제1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흡입부,
101. 제1 케이스, 101a. 제1 입구부,
101b. 통로, 101c. 제1 출구부,
103. 흡입팬, 103a. 모터부,
104. 팬부, 104a. 제1 플레이트,
104b. 제2 플레이트, 104c. 제1 날개부,
104d. 제2 날개부,
105. 와류가이드, 105a. 센터부,
105b. 연결부, 105c. 외주부,
105d. 공간부,
107. 신축가이드, 109. 유입량 검출센서,
111. 유증기 설정값 저장 데이터 베이스,
300. 오일분리부,
301. 제2 케이스, 301a. 제2 입구부,
301b. 메인 냉각수조부, 301c. 보조 냉각수조부,
301d. 제2 출구부, 301e. 배출구멍부,
301f. 바이패스관로,
303. 교반기, 303a. 구동원,
303b. 회전축, 303c. 회전 플레이트,
303d. 구멍부,
305. 펌프,
500. 정화부,
501. 제3 케이스, 501a. 제3 입구부,
501b. 제3 출구부,
503. 필터어셈블리, 503a. 헤파필터,
503b. 라디칼필터, 503c. 활성탄필터,
503d. 황동필터,
505. 배출팬

Claims (9)

  1. 조리시 발생하는 유증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유증기를 통과시켜 상기 유증기에 포함된 오일을 기체와 분리시키는 오일분리부, 그리고
    상기 오일분리부를 통과한 기체를 필터링하여 냄새와 유해물질을 필터링하는 정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부는
    내부에 상기 유증기가 상기 오일분리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통로가 형성된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유증기를 상기 제1 케이스의 통로로 흡입시켜 상기 오일분리부로 이동시키는 흡입팬을 포함하고,
    상기 오일분리부는
    내부에 유체가 수용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스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흡입부에서 유입된 상기 유증기에 포함된 오일과 기체를 분리하도록 상기 유체와 상기 유증기를 교반시키는 교반기가 설치되며,
    상기 교반기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다수의 브러시가 결합되어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조리시 발생하는 유증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유증기를 통과시켜 상기 유증기에 포함된 오일을 기체와 분리시키는 오일분리부, 그리고
    상기 오일분리부를 통과한 기체를 필터링하여 냄새와 유해물질을 필터링하는 정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부는
    내부에 상기 유증기가 상기 오일분리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통로가 형성된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유증기를 상기 제1 케이스의 통로로 흡입시켜 상기 오일분리부로 이동시키는 흡입팬을 포함하고,
    상기 오일분리부는
    내부에 유체가 수용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스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흡입부에서 유입된 상기 유증기에 포함된 오일과 기체를 분리하도록 상기 유체와 상기 유증기를 교반시키는 교반기가 설치되며,
    상기 흡입팬은
    상기 제1 케이스에 결합되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의 축에 결합되어 상기 유증기를 외부에서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시켜 상기 오일분리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팬부
    로 이루어지며,
    상기 팬부는
    상기 모터부의 축에 연결되며 원판형으로 이루어진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중심에서 일정한 거리가 떨어짐과 동시에 제1 플레이트의 일면에서 일정한 거리가 떨어져 배치되는 원형의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사이에 곡면으로 형성되어 외부의 유증기를 오일분리부로 이송시키는 제1 날개부, 그리고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중앙부에서 연장되는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며 평면으로 이루어져 외부의 상기 유증기를 방사상 방향으로 분산시켜 와류를 일으키는 제2 날개부
    를 포함하는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
  7. 조리시 발생하는 유증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유증기를 통과시켜 상기 유증기에 포함된 오일을 기체와 분리시키는 오일분리부, 그리고
    상기 오일분리부를 통과한 기체를 필터링하여 냄새와 유해물질을 필터링하는 정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부는
    내부에 상기 유증기가 상기 오일분리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통로가 형성된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유증기를 상기 제1 케이스의 통로로 흡입시켜 상기 오일분리부로 이동시키는 흡입팬을 포함하고,
    상기 오일분리부는
    내부에 유체가 수용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스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흡입부에서 유입된 상기 유증기에 포함된 오일과 기체를 분리하도록 상기 유체와 상기 유증기를 교반시키는 교반기가 설치되며,
    상기 제2 케이스는 회전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제2 케이스의 회전 홈부에 끼워져 상기 제2 케이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회전돌출부
    를 구비한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
  8. 삭제
  9. 조리시 발생하는 유증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유증기를 통과시켜 상기 유증기에 포함된 오일을 기체와 분리시키는 오일분리부, 그리고
    상기 오일분리부를 통과한 기체를 필터링하여 냄새와 유해물질을 필터링하는 정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부는
    내부에 상기 유증기가 상기 오일분리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통로가 형성된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유증기를 상기 제1 케이스의 통로로 흡입시켜 상기 오일분리부로 이동시키는 흡입팬을 포함하고,
    상기 오일분리부는
    내부에 유체가 수용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스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흡입부에서 유입된 상기 유증기에 포함된 오일과 기체를 분리하도록 상기 유체와 상기 유증기를 교반시키는 교반기가 설치되며,
    상기 정화부는
    상기 오일분리부와 또 다른 통로로 연결되어 상기 오일분리부를 통과한 기체를 통과시키는 제3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케이스는
    상기 오일분리부를 통과한 기체에 포함된 유해물질 및 냄새를 제거하는 필터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를 통과시키면서 외부로 가스를 배출시키는 배출팬
    이 설치되며,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기체가 통과되는 순서를 기준으로,
    미세먼지를 걸러주는 헤파필터,
    OH라디칼을 발생시켜 오염물질과 반응하여 살균하는 라디칼필터,
    냄새를 제거하는 활성탄필터, 그리고
    세균과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황동필터
    가 설치되는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
KR1020210070908A 2021-06-01 2021-06-01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 KR102314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908A KR102314022B1 (ko) 2021-06-01 2021-06-01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908A KR102314022B1 (ko) 2021-06-01 2021-06-01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4022B1 true KR102314022B1 (ko) 2021-10-18

Family

ID=78271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908A KR102314022B1 (ko) 2021-06-01 2021-06-01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0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662B1 (ko) * 2012-04-03 2013-12-03 주식회사트라이애드 회전체 내장형 후드 시스템
KR101434562B1 (ko) * 2013-02-22 2014-08-26 양태한 공기 정화 및 탈취장치
KR101533983B1 (ko) * 2014-03-27 2015-07-03 주식회사 제이케이글로벌 음식 냄새 제거장치
KR102207302B1 (ko) * 2019-05-01 2021-01-25 이상무 조리용기를 위한 휴대용 연기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662B1 (ko) * 2012-04-03 2013-12-03 주식회사트라이애드 회전체 내장형 후드 시스템
KR101434562B1 (ko) * 2013-02-22 2014-08-26 양태한 공기 정화 및 탈취장치
KR101533983B1 (ko) * 2014-03-27 2015-07-03 주식회사 제이케이글로벌 음식 냄새 제거장치
KR102207302B1 (ko) * 2019-05-01 2021-01-25 이상무 조리용기를 위한 휴대용 연기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50965A1 (en) Exhausting and cooling system for cooking utensil
KR101614105B1 (ko) 공기정화 및 순환기능을 갖는 직화 구이장치
KR102314021B1 (ko)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
JP6790247B2 (ja) 空気取入れ口を有する換気装置
KR100823674B1 (ko) 고기 구이기의 후드 및 탈취장치
KR101423602B1 (ko) 육류 구이기용 집진기
KR20200012233A (ko) 이동식 철판구이 시스템
KR102314022B1 (ko) 주방용 유해물질 정화장치
KR101334254B1 (ko) 설치가 간편한 구이용 후드장치
KR20220028833A (ko) 주방용 후드
KR20140036479A (ko) 진공청소기
CN114983266A (zh) 旋流灰尘收集装置及包括其的真空吸尘器
KR102207302B1 (ko) 조리용기를 위한 휴대용 연기정화장치
KR20190063521A (ko) 방향성을 갖는 습식 공기청정기
KR100640733B1 (ko) 흡입형 습식 공기청정기
JP2002340377A (ja) 空気清浄機能付きレンジフード
KR102472130B1 (ko) 연기 정화 장치
TW202403238A (zh) 集塵罩裝置
US20060010639A1 (en) Electro-optical vacuum cleaner
KR20210058439A (ko) 구이 연기 제거장치
KR102358113B1 (ko) 하향식 로스터가 구비되는 테이블의 연기 정화시스템
KR101433087B1 (ko) 음압과 양압에 의해 실내를 청소하는 붙박이 청소기
KR20180071686A (ko) 다운드래프트 방식의 공기정화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시스템
JPH09155139A (ja) 空気清浄装置
KR102055196B1 (ko) 조리용기를 위한 휴대용 연기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