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130B1 - 연기 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연기 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130B1
KR102472130B1 KR1020210058977A KR20210058977A KR102472130B1 KR 102472130 B1 KR102472130 B1 KR 102472130B1 KR 1020210058977 A KR1020210058977 A KR 1020210058977A KR 20210058977 A KR20210058977 A KR 20210058977A KR 102472130 B1 KR102472130 B1 KR 102472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lter
smoke
suction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1781A (ko
Inventor
이승수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크라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크라우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크라우드
Priority to KR1020210058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130B1/ko
Publication of KR20220151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ntila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연기 정화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열된 식재료로부터 발생되는 연기를 수집 가능하도록 가열 조리 기구 상에 배치되는 후드 유닛, 후드 유닛과 결합되어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 유닛, 흡입 유닛과 결합되어 연기에 포함된 유분을 여과하는 여과 유닛, 및 가열 조리 기구와 이격 배치되고, 여과 유닛과 결합되어 연기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여과하여 배출하는 정화 유닛을 포함하는 연기 정화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연기 정화 장치{APPARATUS FOR FILTERING SMOKE}
본 발명은 연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육류나 어류 등을 가스레인지 등의 가열 조리 기구를 이용해 굽는 경우 미세 먼지가 많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실내 환기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실내 환기를 위해 주방용 후드를 가동하여 강제 흡기를 하는 방법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주방용 후드의 경우 고정형으로서, 휴대용 전기 그릴 등을 이용해 그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조리가 이루어지는 경우 그 효율이 현저히 감소하며, 별도의 여과 수단 없어 흡입된 연기를 그대로 외기에 배출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가열 조리 기구의 이동에 대응하여 해당 기구 옆에 비치가 가능하고 연기에 포함된 유분 및 미세 먼지를 여과 가능한 장치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7766호(2017.07.06 공개)
본 발명은 가열 조리 기구 옆에 비치되어 가열된 어류, 육류 등의 식재료로부터 발생되는 연기를 수집하고 그에 포함된 유분 및 미세 먼지를 여과함으로써 해당 연기를 정화 가능한 연기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열된 식재료로부터 발생되는 연기를 수집 가능하도록 가열 조리 기구 상에 배치되는 후드 유닛, 후드 유닛과 결합되어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 유닛, 흡입 유닛과 결합되어 연기에 포함된 유분을 여과하는 여과 유닛, 및 가열 조리 기구와 이격 배치되고, 여과 유닛과 결합되어 연기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여과하여 배출하는 정화 유닛을 포함하는 연기 정화 장치가 제공된다.
후드 유닛은, 흡입 유닛으로 연기를 유도 가능하도록, 흡입 유닛의 주변을 커버하고 하향하여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후드 유닛 및 흡입 유닛은, 유분에 의한 오염을 세척 가능하도록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드 유닛 및 흡입 유닛 중 어느 하나에는 슬라이딩 돌기가 돌출되고, 후드 유닛 및 흡입 유닛 중 다른 하나에는 슬라이딩 돌기에 대응되게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후드 유닛 및 흡입 유닛은, 슬라이딩 돌기가 슬라이딩홈으로 삽입됨에 따라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흡입 유닛은, 후드 유닛과 결합되어 후드 유닛에 수집된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 파트, 흡입 파트와 결합되어 연기를 이동시키는 통로 파트, 및 통로 파트와 결합되어 연기의 이동 방향을 여과 유닛으로 변경시키는 연결 파트를 포함하고, 흡입 파트, 통로 파트 및 연결 파트는, 유분에 의한 오염을 세척 가능하도록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흡입 유닛 및 여과 유닛은, 유분에 의한 오염을 세척 가능하도록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흡입 유닛 및 여과 유닛 중 어느 하나에는, 탄성적으로 입출 가능한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흡입 유닛 및 여과 유닛 중 다른 하나에는, 결합 돌기가 탄성적으로 돌출됨에 따라 끼움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 돌기에 대응되게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은, 흡입 유닛 및 여과 유닛의 결합 길이를 조정하여 후드 유닛의 위치 높이를 조정 가능하도록, 복수로 형성되어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여과 유닛은, 유분을 여과 가능한 제1 필터, 제1 필터를 하부에서 지지하고, 정화 유닛과 결합되는 제1 케이싱, 및 흡입 유닛과 결합되고, 제1 필터를 분리 세척 가능하도록 제1 케이싱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다.
정화 유닛은,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배출공을 가지는 하부 케이스, 하부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회전하여 내부 공간의 공기를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함에 따라 연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 유닛, 팬 유닛과 결합되어 미세 먼지를 여과하는 제1 필터 유닛, 및 여과 유닛과 결합되고, 하부 케이스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정화 유닛은, 유분의 잔여를 여과 가능하도록, 제1 필터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필터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필터 유닛은, 유분의 잔여를 여과하는 제3 필터, 및 제3 필터를 지지하고, 제3 필터에서 낙하하는 유분을 수용 가능한 유분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 조리 기구 옆에 비치되어 가열된 어류, 육류 등의 식재료로부터 발생되는 연기를 수집하고 그에 포함된 유분 및 미세 먼지를 여과함으로써 해당 연기를 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기 정화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기 정화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기 정화 장치의 후드 유닛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기 정화 장치(100)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된 식재료(30)로부터 발생되는 연기(10)를 수집 가능하도록 가열 조리 기구(20) 상에 배치되는 후드 유닛(120), 후드 유닛(120)과 결합되어 연기(10)를 흡입하는 흡입 유닛(140), 흡입 유닛(140)과 결합되어 연기(10)에 포함된 유분을 여과하는 여과 유닛(160), 및 가열 조리 기구(20)와 이격 배치되고, 여과 유닛(160)과 결합되어 연기(10)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여과하여 배출하는 정화 유닛(180)을 포함하는 연기 정화 장치(100)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 조리 기구(20) 옆에 비치된 상태에서, 가열된 어류, 육류 등의 식재료(30)로부터 발생되는 연기(10)를 흡입 유닛(140)이 수집하고 그에 포함된 유분 및 미세 먼지를 여과 유닛(160) 및 정화 유닛(180)이 여과함으로써 해당 연기(10)를 정화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연기 정화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후드 유닛(120)은 가열된 식재료(30)로부터 발생되는 연기(10)를 수집 가능하도록 가열 조리 기구(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후드 유닛(120)은 전기 그릴 등의 가열 조리 기구(20) 위에 배치되어, 가열 조리 기구(20)에서 가열된 어류, 육류 등의 식재료(30)로부터 발생되어 상향하는 연기(10)를 수집할 수 있다.
후드 유닛(120)은, 흡입 유닛(140)으로 연기(10)를 유도 가능하도록, 흡입 유닛(140)의 주변을 커버하고 하향하여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드 유닛(120)은 흡입 유닛(14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확장되어, 가열 조리 기구(20) 측으로 하향하여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후드 유닛(120)은 가열 조리 기구(20)를 커버 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드 유닛(120)은 만곡된 곡면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후드 유닛(120)의 변형 가능한 형상 중 일부 실시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후드 유닛(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 흡착되어 저면을 따라 하향 이동하는 유분을 수용 가능하도록, 단부에서 내측을 향해 배치되는 기름 받이홈(128)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기름 받이홈(128)은 만곡된 곡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드 유닛(120)은, 흡입 유닛(140)과 결합되어 연기(10)를 수집하는 기본 후드(124), 및 흡입 유닛(140)의 주변을 커버하는 면적을 확장 가능하도록 후드와 결합되는 확장 후드(126)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장 후드(126)는 기본 후드(124)의 내부 또는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확장을 위해 외부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기본 후드(124)와 확장 후드(126)는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확장 후드(126)는 기본 후드(124)로부터 슬라이딩 이동되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기본 후드(124)와 확장 후드(126)는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확장 후드(126)는 기본 후드(124)로부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외부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힌지 결합 부분은 구체적으로 경첩 등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흡입 유닛(140)은 후드 유닛(120)과 결합되어 연기(10)를 흡입할 수 있다.
후드 유닛(120) 및 흡입 유닛(140)은, 유분에 의한 오염을 세척 가능하도록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드 유닛(120) 및 흡입 유닛(140) 중 어느 하나에는 슬라이딩 돌기(122)가 돌출되고, 후드 유닛(120) 및 흡입 유닛(140) 중 다른 하나에는 슬라이딩 돌기(122)에 대응되게 슬라이딩홈(141)이 형성되고, 후드 유닛(120) 및 흡입 유닛(140)은, 슬라이딩 돌기(122)가 슬라이딩홈(141)으로 삽입됨에 따라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흡입 유닛(140)에는 연기(10)를 내부로 흡입하는 흡기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흡기구는, 연기(10)의 흡입량을 증가 가능하도록, 복수로 형성되어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흡입 유닛(140)은, 후드 유닛(120)과 결합되어 후드 유닛(120)에 수집된 연기(10)를 흡입하는 흡입 파트(142), 흡입 파트(142)와 결합되어 연기(10)를 이동시키는 통로 파트(144), 및 통로 파트(144)와 결합되어 연기(10)의 이동 방향을 여과 유닛(160)으로 변경시키는 연결 파트(14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입 파트(142), 통로 파트(144) 및 연결 파트(147)는, 유분에 의한 오염을 세척 가능하도록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흡입 파트(142) 및 통로 파트(144) 중 어느 하나에는, 탄성적으로 입출 가능한 제1 결합 돌기(145)가 형성되고, 흡입 파트(142) 및 통로 파트(144) 중 다른 하나에는, 제1 결합 돌기(145)가 탄성적으로 돌출됨에 따라 끼움 결합 가능하도록 제1 결합 돌기(145)에 대응되게 제1 결합홀(14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통로 파트(144) 및 연결 파트(147) 중 어느 하나에는, 탄성적으로 입출 가능한 제2 결합 돌기(148)가 형성되고, 통로 파트(144) 및 연결 파트(147) 중 다른 하나에는, 제2 결합 돌기(148)가 탄성적으로 돌출됨에 따라 끼움 결합 가능하도록 제2 결합 돌기(148)에 대응되게 제2 결합홀(146)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결합홀(146)은, 통로 파트(144) 및 연결 파트(147)의 결합 길이를 조정하여 후드 유닛(120)의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정 가능하도록, 복수로 형성되어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통로 파트(144)는, 흡입 파트(142)로 흡입되어 여과 유닛(160)으로 이동되는 연기(10)의 속도를 감소시켜 여과 유닛(160)에서의 유분의 여과율을 증가 가능하도록, 흡입 파트(142)에서 연결 파트(147)로 갈수록 내부 공간의 단면이 증가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과 유닛(160)은 후드 유닛(120)과 결합되어 연기(10)를 흡입하는 흡입 유닛(140), 흡입 유닛(140)과 결합되어 연기(10)에 포함된 유분을 여과할 수 있다.
흡입 유닛(140) 및 여과 유닛(160)은, 유분에 의한 오염을 세척 가능하도록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흡입 유닛(140) 및 여과 유닛(160) 중 어느 하나에는, 탄성적으로 입출 가능한 제3 결합 돌기(149)가 형성되고, 흡입 유닛(140) 및 여과 유닛(160) 중 다른 하나에는, 제3 결합 돌기(149)가 탄성적으로 돌출됨에 따라 끼움 결합 가능하도록 제3 결합 돌기(149)에 대응되게 제3 결합홀(16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3 결합홀(161)은, 흡입 유닛(140) 및 여과 유닛(160)의 결합 길이를 조정하여 후드 유닛(120)의 위치 높이를 조정 가능하도록, 복수로 형성되어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여과 유닛(160)은, 유분을 여과 가능한 제1 필터(162), 제1 필터(162)를 하부에서 지지하고 정화 유닛(180)과 결합되는 제1 케이싱(164), 및 흡입 유닛(140)과 결합되고 제1 필터(162)를 분리 세척 가능하도록 제1 케이싱(164)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케이싱(16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케이싱(166)은 제1 필터(162)를 통해 여과된 연기(10)를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2 케이싱(166)을 통해 연기(10)의 여과 여부, 유분의 흘러내림 여부 등을 확인하여, 필요에 따라 제2 케이싱(166)으로부터 제1 케이싱(164)을 분리하여 제1 필터(162)를 분리 세척할 수 있다.
제1 필터(162)는, 유분을 흡착 가능한 메쉬(미도시), 메쉬와 이격되어 메쉬에서 낙하된 유분을 흡착 가능한 흡착포(미도시), 흡착포 및 메쉬 사이에 개재되어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스페이서(미도시), 및 메쉬, 흡착포 및 스페이서가 배치되는 케이스(16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쉬에서 1차적으로 유분이 흡착되고, 2차적으로 메쉬에 흡착된 후 낙하하는 유분을 흡착포가 흡착할 수 있어, 유분의 흡착 효과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이 때 메쉬는 보다 구체적으로 금속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정화 유닛(180)은 가열 조리 기구(20)와 이격 배치되고, 여과 유닛(160)과 결합되어 연기(10)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여과하여 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전기 그릴 등과 같은 가열 조리 기구(20)를 이용하여 불특정 장소에서 조리가 이루어지더라도, 정화 유닛(180)이 해당 조리 기구의 옆에 배치되어 후드 유닛(120), 여과 유닛(160)과 함께 연기(10)를 여과 및 정화할 수 있게 된다.
여과 유닛(160) 및 정화 유닛(180)은 나사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회전에 의해 탈착 가능하여 유분에 의한 오염을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여과 유닛(160) 및 정화 유닛(180) 중 어느 하나의 단부 측 외주면에는 제1 나사산(168)이 형성되고, 여과 유닛(160) 및 정화 유닛(180) 중 다른 하나의 단부 측 내주면에는 제1 나사산(168)에 대응되는 제2 나사산(18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여과 유닛(160) 및 정화 유닛(180)이 나사 결합됨에 따라, 정화 유닛(180)으로부터 여과 유닛(160)을 회전시켜 후드 유닛(120)의 위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 때 여과 유닛(160) 및 정화 유닛(180)의 사이에는 장식 기능을 수행함은 물론 과한 결합력에 따른 파손을 방지 가능하도록, 링 부재(170)가 개재될 수 있다.
정화 유닛(180)은,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배출공을 가지는 하부 케이스(182), 하부 케이스(182)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회전하여 내부 공간의 공기를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함에 따라 연기(10)의 흡입을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 유닛(183), 팬 유닛(183)과 결합되어 미세 먼지를 여과하는 제1 필터 유닛(186), 및 여과 유닛(160)과 결합되고, 하부 케이스(182)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케이스(187)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82)는 전원의 ON/OFF 및 팬 유닛(183)의 회전 정도를 조절 가능한 스위치(182a), 팬 유닛(183)의 제어를 위한 회로 기판(182b), 및 전원을 연결 가능한 전원 포트(182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팬 유닛(183)은 회전 운동하는 팬(184), 및 상기 팬(184)과 결합하고 제1 필터 유닛(186)과 결합하여 제1 필터 유닛(186)을 지지하는 브라켓(18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 유닛(186)은,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팬 유닛(183)에 결합되는 필터 지지부(186a), 및 필터 지지부(186a)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제2 필터(186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필터 지지부(186a)의 상면 및 상부 케이스(187)의 하면 중 어느 하나에는 자석(190)이 구비되고, 필터 지지부(186a)의 상면 및 상부 케이스(187)의 하면 중 다른 하나에는 자석(190) 또는 자성체(192)가 구비되고, 상부 케이스(187)는, 필터 지지부(186a)와 자성 결합됨에 따라 하부 케이스(182)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부 케이스(187)를 하부 케이스(182)로부터 용이하게 탈착하여, 하부 케이스(182)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구성들의 세척 및 제2 필터(186b)의 교체를 손쉽게 할 수 있게 되는 바, 사용자의 유지, 관리의 편의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정화 유닛(180)은, 유분의 잔여를 여과 가능하도록, 제1 필터 유닛(186)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필터 유닛(18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정화 유닛(180)은 제2 필터 유닛(188)을 통해, 미세 먼지를 여과하는 기능과 더불어 유분을 추가로 여과하는 기능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제2 필터 유닛(188)은, 유분의 잔여를 여과하는 제3 필터(188a), 및 제3 필터(188a)를 지지하고, 제3 필터(188a)에서 낙하하는 유분을 수용 가능한 유분 수용부(188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필터 유닛(188)이 제1 필터 유닛(186) 상부에 배치되어, 제3 필터(188a)가 유분을 여과하고 이에 더해 제3 필터(188a)를 지지하는 유분 수용부(188b)가 제3 필터(188a)로부터 낙하하는 유분을 수용함으로써, 유분에 의한 제1 필터 유닛(186), 구체적으로는 제2 필터(186b)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제3 필터(188a)는 금속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메쉬 부재일 수 있다.
유분 수용부(188b)는 제2 필터(186b) 상에 배치되어 필터 지지부(186a)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필터(186b)는 필터 지지부(186a) 및 유분 수용부(188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연기
20: 가열 조리 기구
30: 식재료
100: 연기 정화 장치
120: 후드 유닛
122: 슬라이딩 돌기
124: 기본 후드
126: 확장 후드
128: 기름 받이홈
140: 흡입 유닛
141: 슬라이딩홈
142: 흡입 파트
143: 제1 결합홀
144: 통로 파트
145: 제1 결합 돌기
146: 제2 결합홀
147: 연결 파트
148: 제2 결합 돌기
149: 제3 결합 돌기
160: 여과 유닛
161: 제3 결합홀
162: 제1 필터
163: 케이스
164: 제1 케이싱
166: 제2 케이싱
168: 제1 나사산
170: 링 부재
180: 정화 유닛
181: 제2 나사산
182: 하부 케이스
182a: 스위치
182b: 회로 기판
182c: 전원 포트
183: 팬 유닛
184: 팬
185: 브라켓
186: 제1 필터 유닛
186a: 필터 지지부
186b: 제2 필터
187: 상부 케이스
188: 제2 필터 유닛
188a: 제3 필터
188b: 유분 수용부
190: 자석
192: 자성체
193: 결합용 나사

Claims (10)

  1. 가열된 식재료로부터 발생되는 연기를 수집 가능하도록 가열 조리 기구 상에 배치되는 후드 유닛;
    상기 후드 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 유닛;
    상기 흡입 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연기에 포함된 유분을 여과하는 여과 유닛; 및
    상기 가열 조리 기구와 이격 배치되고, 여과 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연기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여과하여 배출하는 정화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정화 유닛은,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배출공을 가지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회전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부 공간의 공기를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함에 따라 상기 연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 유닛;
    상기 팬 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미세 먼지를 여과하는 제1 필터 유닛; 및
    상기 여과 유닛과 결합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정화 유닛은,
    상기 유분의 잔여를 여과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필터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필터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필터 유닛은,
    상기 유분의 잔여를 여과하는 제3 필터; 및
    상기 제3 필터를 지지하고, 상기 제3 필터에서 낙하하는 상기 유분을 수용 가능한 유분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 유닛은,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팬 유닛에 결합되는 필터 지지부; 및
    상기 필터 지지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미세 먼지를 여과하는 제2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유분 수용부는,
    상기 제2 필터 상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 지지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필터는,
    상기 필터 지지부 및 상기 유분 수용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유분 수용부는,
    상기 제3 필터에 의해 여과되어 낙하하는 상기 유분을 수용함으로써, 상기 유분에 의해 상기 제2 필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기 정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 유닛은,
    상기 흡입 유닛으로 상기 연기를 유도 가능하도록, 상기 흡입 유닛의 주변을 커버하고 하향하여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연기 정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 유닛 및 상기 흡입 유닛은,
    상기 유분에 의한 오염을 세척 가능하도록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후드 유닛 및 상기 흡입 유닛 중 어느 하나에는 슬라이딩 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후드 유닛 및 상기 흡입 유닛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슬라이딩 돌기에 대응되게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후드 유닛 및 상기 흡입 유닛은,
    상기 슬라이딩 돌기가 상기 슬라이딩홈으로 삽입됨에 따라 슬라이딩 결합되는, 연기 정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유닛은,
    상기 후드 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후드 유닛에 수집된 상기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 파트;
    상기 흡입 파트와 결합되어 상기 연기를 이동시키는 통로 파트; 및
    상기 통로 파트와 결합되어 상기 연기의 이동 방향을 상기 여과 유닛으로 변경시키는 연결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파트, 상기 통로 파트 및 상기 연결 파트는,
    상기 유분에 의한 오염을 세척 가능하도록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기 정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유닛 및 상기 여과 유닛은,
    상기 유분에 의한 오염을 세척 가능하도록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흡입 유닛 및 상기 여과 유닛 중 어느 하나에는,
    탄성적으로 입출 가능한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 유닛 및 상기 여과 유닛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탄성적으로 돌출됨에 따라 끼움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 돌기에 대응되게 결합홀이 형성되는, 연기 정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은,
    상기 흡입 유닛 및 상기 여과 유닛의 결합 길이를 조정하여 상기 후드 유닛의 위치 높이를 조정 가능하도록, 복수로 형성되어 서로 이격 배치되는, 연기 정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유닛은,
    상기 유분을 여과 가능한 제1 필터;
    상기 제1 필터를 하부에서 지지하고, 상기 정화 유닛과 결합되는 제1 케이싱; 및
    상기 흡입 유닛과 결합되고, 상기 제1 필터를 분리 세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케이싱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케이싱을 포함하는 연기 정화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58977A 2021-05-07 2021-05-07 연기 정화 장치 KR102472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977A KR102472130B1 (ko) 2021-05-07 2021-05-07 연기 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977A KR102472130B1 (ko) 2021-05-07 2021-05-07 연기 정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781A KR20220151781A (ko) 2022-11-15
KR102472130B1 true KR102472130B1 (ko) 2022-11-29

Family

ID=84042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977A KR102472130B1 (ko) 2021-05-07 2021-05-07 연기 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1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060B1 (ko) * 2023-02-06 2024-04-17 주식회사 메타빈스 화로 일체형 집진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544Y1 (ko) * 2000-03-03 2000-08-16 권삼노 상하 승강되는 덕트 및 후드를 구비하는 숯불 및가스겸용 원형그릴로스터
KR101334254B1 (ko) * 2013-06-25 2013-11-28 김경동 설치가 간편한 구이용 후드장치
KR200487625Y1 (ko) * 2017-08-04 2018-12-05 조정욱 휴대용 흡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932Y2 (ja) * 1989-06-30 1995-08-02 マツダ株式会社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JPH06193935A (ja) * 1992-12-25 1994-07-15 Tategu Sogo Shosha Futaba:Kk キッチン用換気設備
KR101758842B1 (ko) 2015-12-28 2017-07-17 신현명 연기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544Y1 (ko) * 2000-03-03 2000-08-16 권삼노 상하 승강되는 덕트 및 후드를 구비하는 숯불 및가스겸용 원형그릴로스터
KR101334254B1 (ko) * 2013-06-25 2013-11-28 김경동 설치가 간편한 구이용 후드장치
KR200487625Y1 (ko) * 2017-08-04 2018-12-05 조정욱 휴대용 흡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781A (ko) 202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51725A1 (en) Extractor hood
CN107923630A (zh) 具有烹调区域和排烟设备的组合式装置
US20040103789A1 (en) Fume-treating device and fume ducting system for cooker hoods
JP5985219B2 (ja) 空気清浄機能付き照明装置
JP6055605B2 (ja) 空気清浄機能付き照明装置
KR102472130B1 (ko) 연기 정화 장치
CN111780183B (zh) 吸油烟机
KR102153386B1 (ko) 필터 내장형 주방후드 거름망장치
KR101334254B1 (ko) 설치가 간편한 구이용 후드장치
CN111735091A (zh) 吸油烟机
KR102600575B1 (ko) 포터블 조리흄 후드기
KR101781102B1 (ko) 360도 전방향 공기순환 및 밀폐성능을 구현한 공기청정기
JP6268269B2 (ja) 空気清浄機能付き照明装置
KR20080026466A (ko) 공기청정기
KR20050110233A (ko) 공기청정기
KR102325563B1 (ko) 이동식 조리연기 제거기
KR101431508B1 (ko) 자동 공기순환 덕트장치
KR20040063041A (ko) 공기순환식 고기구이기
KR200417118Y1 (ko) 공기정화기
KR200309976Y1 (ko) 공기순환식 고기구이기
KR20220147387A (ko) 포터블 후드
CN111780184A (zh) 吸油烟机
KR20220157703A (ko) 포터블 후드
CN209484670U (zh) 灶具
KR100582452B1 (ko) 고기구이기의 제연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