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5256A - 식품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식품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5256A
KR20160015256A KR1020157035457A KR20157035457A KR20160015256A KR 20160015256 A KR20160015256 A KR 20160015256A KR 1020157035457 A KR1020157035457 A KR 1020157035457A KR 20157035457 A KR20157035457 A KR 20157035457A KR 20160015256 A KR20160015256 A KR 20160015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aberration
rotationa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5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4763B1 (ko
Inventor
마사카즈 야마모토
구니타카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르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르스
Publication of KR20160015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수류에 의한 처리의 치우침이나 정체를 막는 식품 처리 장치로 하기 위해, 상면이 개방된 수조(13)의, 세정할 처리 대상물(16)을 투입하는 수조 본체부(13a)에서의 세정의 진행 방향의 개시단측(13c)에, 물을 수조 본체부(13a)에서의 진행 방향으로 송출하는 제1 회전익(21)을 봉 형상의 축체(22)의 외주를 따라 부착한 제1 회전 수차(14)를 설치하고, 상기 진행 방향을 따른 한쪽의 측벽 근방 바닥부에 그 측벽을 따라, 수조 본체부(13a)에서 상기 진행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회전 방향의 수류를 보내는 제2 회전익(41)을 봉 형상의 축체(42)의 외주를 따라 부착한 제2 회전 수차(15)를 설치하고, 수조 본체부(13a)와, 상기 진행 방향을 따라 제2 회전 수차(15)가 배치되고 상기 회전 방향으로 보내는 물이 공급되는 수조 측부(13b)와의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판(63)을, 하부에 상기 회전 방향이 되는 수류가 통과할 수 있는 간극이 생기도록 설치했다.

Description

식품 처리 장치{FOOD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처리 대상물의 세정이나 가온 처리 등의 처리, 및 반송을 행하는 식품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식품을 세정하는 장치로는, 특허문헌 1에 개시한 바와 같은, 상면이 개방된 수조 내에, 상면이 개방된 처리 바구니를 수납하고, 상기 처리 바구니를 상기 수조 내에서 지지함과 동시에, 이것을 수조 외부까지 들어올려 이 처리 바구니의 개방면이 한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회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장치를 들 수 있다. 이 장치는, 수조의 바닥부에 공기 분출 장치를 설치하고, 이것으로부터 공기를 분출하여 버블링함으로써, 처리 바구니 내의 식품이 세정되고, 이 식품에 부착되어 있는 제외물을 분리시킬 수 있다.
다만, 특허문헌 1에 개시한 장치에서는, 상기한 공기 분출 장치를 이용하여 분리된 제외물은, 그 대부분이 홈통부로부터 외부로 내보내지기는 하지만, 일부 쓰레기는, 다시 식품과 접촉하기 때문에, 제외물과 식품의 부착이 생겨, 세정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특허문헌 2에는, 바닥벽이 원호형을 형성하고, 세정을 개시하는 쪽으로부터 세정을 종료시키는 방향으로의 수류를 따라 수조 한쪽의 상측연부에 ロ자형의 측연 개구부를 형성하고, 측연 개구부의 근방에 발부(簾部)를 설치하고, 상측연부의 외측에 측연 개구부로부터 넘치는 물을 받는 홈통부를 설치하고, 홈통부의 일부에 복수의 구멍을 갖는 분리부를 설치하고, 분리부의 하측에 배수 회수부를 설치하고, 그 측연 개구부가 형성된 쪽의 측벽 또는 바닥벽에 상대되는 쪽을 향하는 수류를 발생시키는 물 송출 장치로서 스크루를 설치하고, 발생하는 수류를 따라 발부에서 제외물을 제외시키는 처리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것은, 수조 안을 회전하는 수류와 수조 밖으로 나가는 수류를 발생시킴으로써, 발부에 의해 처리 대상물과 제외물을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11-26680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8-72911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2에 나타내는 물 송출 장치는 스크루식이고, 그곳으로부터 발생하는 회전 수류는 상하 좌우 방향에서 치우침이 발생하기 때문에, 세정하는 식품이 지나치게 많으면 세정이 고르게 진행되지 않고, 세정 효과에 치우침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특히, 세정의 진행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스크루가 늘어서 있기 때문에, 스크루끼리의 틈새에서는 수류의 진행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흐름이 정체되는 장소가 발생하여, 처리 대상물이나 제외물이 수조 속에 머물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으며, 이것을 해소하기 위해 세정을 진행시키는 방향으로의 수류의 강도나 개개의 스크루의 강도 등을 세밀하게 조정해야 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수류에 의한 처리의 치우침이나 정체를 막고, 보다 운용하기 쉬운 식품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처리 대상물을 개시단측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종단측을 향하여 이송시키면서 처리하는 상면이 개방된 수조 본체부와, 상기 개시단측에서 상기 수조 본체부와 접하는 수조 개시단부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수조 본체부와 접하는 수조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 개시단부에,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회전축으로 회전익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의 접선 방향으로 발생하는 수류를 상기 수조 본체부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송출하는 제1 회전 수차와,
상기 수조 측부에, 상기 길이 방향을 따른 회전축으로 회전익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의 접선 방향으로 발생하는 수류를 상기 수조 본체부의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송출하는 제2 회전 수차를 설치한 식품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회전의 접선 방향으로 수류를 발생시키는 회전익은, 스크루와 달리 날개에 비틀림이 없고, 축방향으로 똑바른 판형 부분을 갖는다. 이러한 회전익을 부착한 회전 수차에 의함으로써, 스크루식에 비교하여 대폭 수류의 치우침을 없앨 수 있고, 정체를 막아, 세정의 마무리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회전익은, 축방향에 일치된 형상으로 직경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어도 좋다. 또한, 노즐이나 파이프와 같은 청소 곤란한 파트를 사용하지 않고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분해하여 청소하는 것도 용이하며, 처리 대상물에서 유래되는 쓰레기의 제거도 용이해진다.
상기 제1 회전 수차를 설치하는 개소는, 상기 수조 본체부와의 사이에 차단판을 통해 나누어진 수조 개시단부 속으로 한다. 이 차단판에는, 상기 제1 회전 수차로부터의 수류가 송출되는 개소에 수류가 통과할 수 있는 가로 슬릿형의 수류 개시구를 형성해 둔다. 이와 같이 구획함으로써, 상기 제1 회전 수차가 상기 수조 본체부의 개시단측에 공급되는 처리 대상물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경우가 없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류 개시구로부터 송출되는 수류에 의해, 수조 개시단부 부근에 투입한 처리 대상물이 순차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송출되어, 투입 개소에 처리 대상물이 쌓이는 것을 막는다. 또,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류 개시구는 수면 근방에 뚫어져 있으면 된다.
한편, 상기 제2 회전 수차로부터 발생하는 수류는, 세정 등의 처리를 위해 상기 처리 대상물을 상기 수조 본체부 속에서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 때문에, 상기 제2 회전 수차로부터 발생하는 수류를 도입해야 하는 위치는, 처리하고자 하는 처리 대상물의 비중에 따라 상이하다. 즉, 물보다 무거운 처리 대상물을 처리하고자 하는 것이면, 상기 제2 회전 수차로부터 발생하는 수류는, 상기 수조 본체부의 바닥부 근방에 도입하여, 침강하는 처리 대상물을 날려 올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물보다 가벼운 처리 대상물을 처리하고자 하는 것이면, 상기 제2 회전 수차로부터 발생하는 수류는, 상기 수조 본체부의 수면 근방에 도입하여, 떠오르는 처리 대상물을 상대되는 벽면까지 흘러가게 하여 가라앉혀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어느 경우도, 발생하는 수류를 회전하는 방향으로 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2 회전 수차에 상대되는 쪽의 벽면이, 바닥부 중앙으로부터 수차와 반대측 측면의 수면 부근을 향하여,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부를 형성하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조의 수면 근방에 위치하는 상기 구획판의 상단에, 상기 처리 대상물이 통과 불가능하고, 상기 처리 대상물로부터 제거해야 하는 제외물과 수류가 통과 가능한 유공판을 설치하고, 상기 구획판의 상단과, 상기 수조 측부측의 수조 측벽 사이에, 상기 제외물을 잔류시킬 수 있는 망부를 설치하면, 수조 본체부에 제외물이 모여가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유공판 및 망부를 넘어 낙하하는 물에 의해 수조 측부로부터 송출하기 위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한 제1 회전 수차 및 제2 회전 수차는, 수류를 가능한 한 치우치게 하지 않도록 그 축방향 길이가 가능한 한 길수록 바람직하다. 제1 회전 수차의 축방향 길이는, 상기 수조 본체부의 양측벽 사이의 길이에 가까운 정도이면 된다. 다만, 물을 축방향 측면으로부터 받아들일 수 있을 만큼의 간극을 벽면과의 사이에 갖고 있으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류 개시구의 가로 방향 길이는 이 제1 회전 수차의 회전익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회전 수차는, 상기 수조 본체부를 따라 존재하는 상기 수조 측부를 따라, 가능한 한 긴 범위에 걸쳐 존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1개만으로 구성될 필요는 없고,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회전 수차가 연속하여 늘어서 있어도 좋다.
제1 회전 수차 및 제2 회전 수차 모두, 어느 한끝에는, 이 회전 수차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설치하거나, 또는 수상 등에 설치한 모터로부터 연장되는 축과 맞물리게 하기 위한 기어나 이음쇠 등을 설치하거나, 자석에 의해 수조 밖으로부터 회전력을 받는 부위를 설치해 둘 필요가 있기 때문에, 수조 내외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모터 등의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해 두면 된다.
상기한 제1 회전 수차 및 제2 회전 수차는, 양끝 부근의 회전익을 설치하지 않은 축 부분을 바닥면에 고정한 미끄럼 베어링(받침 기구)에 올려놓고, 회전축에 설치한 플랜지부에 의해 미끄럼 베어링을 사이에 끼움으로써 축방향으로 어긋나지 않도록 하며, 또한, 미끄럼 베어링과의 사이에서 물을 윤활제로 하여 축이 미끄러짐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하면 된다. 또, 제1 회전 수차 및 제2 회전 수차에 충분한 무게가 있고, 미끄럼 베어링에 충분한 상하 방향 길이가 있으면, 특별히 위로부터 누르지 않아도 회전 수차가 빠지지 않고 운전을 계속할 수 있다. 다만, 미끄럼 베어링의 위로부터 별도로 누름 기구를 끼워 축방향의 어긋남을 막아도 좋다.
상기 제2 회전 수차의 회전 방향은, 상기 가로 수류 도입구가 수면 근방에 있는지, 그렇지 않으면 저면 근방에 있는지에 따라 상이하다.
상기 가로 수류 도입구가 저면 근방에 있는 경우, 상기한 제2 회전 수차의 회전 방향은, 하측의 회전하는 끝이 상기 수조 본체부를 향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수조 본체부측의 상측에, 상기 제2 회전 수차가 회전하는 외주의 궤도를 따른 씌움부를 설치해 두면 된다. 씌움부가 있음으로써, 물의 도입측과 토출측이 확실하여, 발생하는 흐름이 명확한 것이 되기 쉽다. 이 씌움부는 상기 제2 회전 수차의 상측 전체를 덮는 원호형의 지붕부로 해도 좋다. 다만 그 경우, 상기 제2 회전 수차에 축방향으로부터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해 둘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제2 회전 수차의 외주 근방으로부터, 상기 수조 본체부로의 유로를 따라 연장된 천판부를 가지면, 상기 제2 회전 수차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수조 본체부로의 수류가 확산되지 않고, 상기 수조 본체부 내에 기세를 유지한 채로 수류를 도입할 수 있다. 상기 씌움부와 상기 천판부가 모두 구비되어 있으면, 회전 수차 주변의 수류를 충분히 정상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씌움부와 천판부는 하나로 연결된 정류부를 형성하고, 분리 가능한 기구를 갖고 있으면, 그 자체의 청소가 용이하며, 또한, 씌움부 밑에 들어가 있는 회전 수차를 분리하여 메인터넌스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구획판의 하단을 상기 수조 측부측에 가까이 댐으로써, 상기 천판부를 짧게 하거나 또는 상기 천판부를 없앰으로써, 상기 제2 회전 수차에 의해 발생한 수류가 곧바로 상기 수조 본체부에 도달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수조 본체부와 상기 수조 측부를 구획하는 구획판을, 상기 씌움부와 일체인 정류부로서 분리할 수 있으면, 식품 처리 장치 전체가 메인터넌스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천판부가 있는 경우에는, 그것도 일체이면 된다.
한편, 상기 가로 수류 도입구가, 가동시의 수면보다 아래이며, 또한 상기 수조 본체부의 수심의 절반보다 위에 있는 경우, 상기한 제2 회전 수차의 회전 방향은, 상기 수조 본체부측이 하향이 되도록 배치한다. 또, 이러한 형태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로 수류 도입구는 수면 근방에 배치한다. 더욱이, 상향의 수류를 상기 가로 수류 도입구에 수평 방향으로 정류하는 단면 호형상부를 갖는 정류 커버를 씌우면 된다. 이 정류 커버는, 상기 가로 수류 도입구 이외의 방향으로 수류가 향하여 손실이 증가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수평 방향으로의 수류를 각각 상기 수류 개시구와 상기 가로 수류 도입구에 도입하는 가로 슬릿형의 흡출구를 갖는 조리개부와, 각각의 회전 수차의 상기 수류 본체부측을 덮는 정면판과, 상기 수류 본체부와 반대측을 덮는 배면판과, 상기 회전 수차의 축방향을 덮는 측면판을 갖고 있으면 된다. 또한, 상기 측면판에는, 각각의 회전 수차에서의 축방향 양끝으로부터 물을 받아들이기 위한 측면 취수구가 뚫어져 있으면 된다. 또한, 이 배치에서는, 회전 수차의 하측이 하측 커버에 의해 폐색되어 있으면, 하방향으로 쓸데없는 수류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정류 커버와 하측 커버는 걸어맞춤부에 의해 감합되어 있으면 된다. 이 하측 커버나 정류 커버의 내주는, 회전 수차의 회전익이 통과하는 위치에 가까워져 있을수록, 내부에서 쓸데없는 수류가 잘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다만, 송출해야 하는 물을 축방향의 중간으로부터도 취득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복수개의 회전 수차의 연결부나 도중에 끊겨 있는 개소에, 회전 수차에 물을 도입할 수 있는 취수구가 되는 절결부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길이를 필요로 하는 제2 회전 수차의 정류 커버에는 상기 정면판에 형성한 정면 절결부와, 상기 배면판에 형성한 배면 절결부를 갖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또한, 그것과 감합시키는 하측 커버에도, 이들과 연결되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회전 수차도, 상기 수류 본체부와 상기 수조 개시단부 사이를 구획하는 차단판에 뚫어진, 수류를 통과시키기 위한 가로 슬릿형의 수류 개시구의 위치에 따라, 바람직한 회전 방향이 상이하다. 상기 수류 개시구가 수면 근방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수류 본체부측의 회전이 하향이 되도록, 상기 수류 개시구가 저면 근방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수류 본체부측의 회전이 상향이 되도록 배치한다. 또한, 상기한 제2 회전 수차에 씌우는 것과 동일한 씌움부, 정류부를 씌움으로써, 수류의 손실을 억제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회전 수차 및 상기 제2 회전 수차를 회전시키는 기구로는, 상기한 각각의 회전 수차의 한쪽 단부가 제1 베벨 기어로 이루어지고, 그 제1 베벨 기어의 상측으로서 수면보다 위에 배치한 모터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의 선단에 설치한 제2 베벨 기어가 상기 제1 베벨 기어와 맞물림으로써, 상기 회전 수차가 회전되는 기구로 하면, 수조에 구멍을 뚫지 않고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전 수차 및 상기 제2 회전 수차를 회전시키는 별도의 기구로서, 모터를 수조 밖에 부착하고, 벽면에 뚫은 구멍을 통하여 가동축을 수조 안으로 돌출시키고, 회전 수차의 회전축과 접합시켜, 회전 수차를 회전시키는 기구도 가능하다. 다만, 구멍의 주위는 수밀성과 미끄럼성을 양립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그 반대측의 벽면에도, 모터와는 직결되지 않지만 베어링을 통한 가동축을 부착해 두고, 이 가동축과 회전축 사이에 회전 수차를 부착하는 구조여도 좋다. 이 경우, 상기한 회전축과 가동축 사이를 접합하는 기구가 분해 가능하면, 회전 수차 부분만을 분리하여 세정 가능해지기 때문에, 메인터넌스상 바람직하다. 이 접합 부분의 분해 가능한 구조로는 예컨대, 회전축과 회동축의 선단끼리를 맞물림 가능한 요철 형상으로 하고, 그 맞물림 부분의 주위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는 통을 씌우는 구조를 들 수 있다. 통에는, 회동축 또는 회전축의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된 고정 기구를 삽입할 수 있는 고정 구멍이 뚫어져 있고, 고정 기구 자체는 내부에 도입한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 통을 슬라이드시킬 때에 압입하더라도, 고정시킬 때에는 다시 돌출되어 나온다.
또한, 상기 제1 회전 수차 및 상기 제2 회전 수차를 회전시키는 별도의 기구로서, 모터를 수조 밖에 부착하고, 벽면에 구멍을 뚫지 않고, 상기한 회전 수차 중 어느 단부에 자석을 배치한 수동 원반을 부착함과 동시에, 그 수동 원반과의 사이에 수조 벽면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위치에, 모터에 직결한 자석을 배치한 구동 원반을 설치하는 기구를 들 수 있다. 수조 밖에 배치한 모터의 회전력이, 수조 밖의 구동 원반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자력선에 의해, 수조 내의 수동 원반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벽면에 구멍을 뚫지 않아도 되어, 수밀성 및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다만 적어도, 수동 원반과 구동 원반 사이의 수조 벽면에는, 철 등의 강자성체를 이용할 수 없고, 유리나 수지 등의 비자성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특히 상기 제2 회전 수차를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는 경우에는, 수조 측부의 진행 방향 중앙 부근의 바닥부 근방에, 모터 및 그것에 부속되는 구동 원반을 설치할 절결부를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처리 장치에 의해 식품을 세정하면, 종래보다 수류에 치우침이 적고 세정을 철저하게 하기 쉬우며, 또한, 회전 수차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를 거의 손실시키지 않고 물의 진행과 회전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 효과도 우수한 운용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처리 장치에서는, 식품의 세정 이외에도, 예컨대 약액에 의한 조미나, 고온의 물 등에 의한 살균 처리가 가능하다. 이들 처리에서도 마찬가지로, 치우침이 해소된 수류에 의해, 처리되는 식품의 결과물에 불균일이 잘 생기지 않게 된다. 다만 이 경우, 약액이나 고온에 대하여 내성이 있는 재료로 제조한 식품 처리 장치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처리 장치의 기본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 처리 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식품 처리 장치의 망부를 제거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식품 처리 장치의 A-A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식품 처리 장치의 B-B 정면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회전 수차와 그 부착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2의 식품 처리 장치에서 이용하는 구획판을 포함하는 정류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구획판 상단의 유공판 주변의 정면 단면 확대도이다.
도 9는 유공판 및 망부 주변의 평면 확대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 처리 장치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식품 처리 장치의 망부를 제거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C-C 측면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식품 처리 장치에서 이용하는 구획판을 포함하는 정류부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0에서 이용하는 제2 회전 수차와 그 부착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 처리 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식품 처리 장치의 메시를 제거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식품 처리 장치의 D-D 정면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식품 처리 장치의 E-E 측면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6의 식품 처리 장치의 F-F 정면 단면도이다.
도 20의 (a), (b)는, 도 15의 식품 처리 장치에 부착되는 유공판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5의 식품 처리 장치에서 이용하는 수차와 커버의 전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수차와 커버를 부착했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23은 도 15의 식품 처리 장치에서 이용하는 제2 회전 수차의 접합부를 분리시킨 확대도이다.
도 24는 도 15의 식품 처리 장치의 메시를 부착한 평면도이다.
우선,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처리 장치의 기본 구조를, 도 1에 나타내는 개념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처리 장치(1)는 상면이 개방된 수조(3)를 갖는다. 수조(3)는 적어도, 처리 대상물(16)을 이송하면서 회전시켜 처리하는 수조 본체부(3a)를 갖는다. 이 수조(3)의 길이 방향의 한쪽 단부에, 수조 본체부(3a)와의 사이가 구획된, 수조 개시단부(3c)를 갖는다. 이 수조 개시단부(3c)에는, 제1 회전 수차(4)가 설치되어, 수조 본체부(3a)에 수류를 보낸다. 또한, 수조(3)의 길이 방향의 벽면을 따라, 수조 본체부(3a)와의 사이가 구획된, 수조 측부(3b)를 갖는다. 이 수조 측부(3b)에는, 제2 회전 수차(5)가 설치되어, 수조 본체부에 수류를 보낸다. 수조 본체부(3a)에 투입된 처리 대상물은, 제1 회전 수차(4)가 발생시킨 수류에 의해 다른쪽 단부로 밀려나가고, 제2 회전 수차(5)가 발생시킨 수류에 의해 수조 본체부(3a)에서 회전되어, 세정 등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길이 방향의 다른쪽 단부에는 배수구(10)가 뚫어져 물이 낙하하여 나감으로써, 수조 본체부(3a) 전체가 흐르는 수류를 형성한다.
수조 본체부(3a)와 수조 개시단부(3c) 사이에는 차단판(6)이 설치된다. 또한, 수조 본체부(3a)와 수조 측부(3b) 사이에는 구획판(7)이 설치된다. 차단판(6)과 구획판(7)은 각각, 제1 회전 수차(4), 제2 회전 수차(5)로부터 발생한 수류를 수조 본체부(3a)에 도입하기 위한 슬릿형의 구멍(정면구(8), 측면구(9))가 확보되어 있다. 이들 구멍은 판에 구멍을 뚫어 형성해도 좋고, 저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차단판(6)이나 구획판(7)을 배치함으로써 형성해도 좋다.
이 수류를 도입하는 구멍의 위치는, 상기 처리 대상물에 따라 상이하다. 취급하는 처리 대상물의 비중이 물보다 가벼운 경우, 적어도 제2 회전 수차(5)로부터 수조 본체부(3a)에 수류를 도입하는 구멍은 수조 본체부(3a)의 최심부의 깊이의 절반보다 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장치가 구동하고 있을 때의 수면의 높이에 가까우면 보다 바람직하다. 반대로 취급하는 처리 대상물의 비중이 물보다 무거운 경우, 적어도 제2 회전 수차(5)로부터 수조 본체부(3a)에 수류를 도입하는 구멍은 수조 본체부(3a)의 최심부의 깊이의 절반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저면에 가까우면 보다 바람직하며, 저면과 판 사이에 간극을 두고 배치함으로써 형성하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어느 경우도, 도입되는 수류가, 상기 처리 대상물에 효율적으로 닿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 처리 장치(11)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는, 물보다 비중이 무거운 처리 대상물을 처리하기 위한 식품 처리 장치이다. 도 2는 사시도이고, 도 3은 후술하는 망부(74)를 제거하고 위에서 본 평면도이며, 도 4는 후술하는 제2 회전 수차(15)측에서 본 A-A의 측면 단면도이고, 도 5는 B-B의 정면 단면도이다.
상면이 개방된 수조(13)는, 처리 대상물(16)을 세정하는 수조 본체부(13a)와, 그곳에 회전 수류를 보내기 위한 수조 측부(13b)와, 수조 본체부(13a) 내의 물과 처리 대상물(16)을 진행시키기 위한 진행 수류를 보내기 위한 수조 개시단부(13c)로 이루어진다. 수조 본체부(13a)의 상측 가장자리는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도 2의 좌측, 즉 단변 중 수조 개시단부(13c)가 설치된 측으로부터, 우측, 즉 단변 중 그 반대측에서 세정 후의 처리 대상물(16)을 수중으로부터 끌어올리는 추출 컨베이어(20)가 설치된 측으로, 처리 대상물(16)을 순차적으로 운반하여 가는 진행 수류를 발생시킨다. 처리 대상물(16)은, 우선 수조 본체부(13a)의 수조 개시단부(13c) 근방에 투하된다. 수조 본체부(13a) 내에서는 상기 회전 수류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세정되면서, 진행 수류를 타고 추출 컨베이어(20)까지 도착하여 끌어올려진다. 또 실제로는 수조 본체부(13a)에서는 이 진행 수류와 회전 수류가 합성된 벡터의 수류가 발생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회전 수류 및 진행 수류 모두 회전 수차의 회전에 의해 발생시킨다. 진행 수류를 발생시키는 제1 회전 수차(14)는, 수조 개시단부(13c) 내에 설치된다. 수조 개시단부(13c)와 수조 본체부(13a) 사이는, 차단판(19)으로 구획되어 있다. 장치의 제조에 있어서는, 수조 개시단부(13c)를 수조 본체부(13a)와 일체로 제조한 후에 차단판(19)을 위로부터 삽입하여 용접해도 좋고, 수조 본체부(13a)를 먼저 둘러싸 구축한 후, 그 외벽의 하나인 차단판(19)의 외측에, 수조 개시단부(13c)의 나머지 둘레를 구성하는 3방향의 주벽과 바닥판으로 이루어지는 파트를 부착해도 좋다.
도 3의 측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조 개시단부(13c) 내의 상하 방향 중간 정도보다 위로서, 사용시의 수면보다 낮아지는 개소에, 제1 회전 수차(14)를 부착한다. 제1 회전 수차(14)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 형상의 축체(22)의 주위에, 물을 송출하는 제1 회전익(21)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익(21)은 회전 방향으로 복수매 구비되어 있고, 이들 회전익(21)은, 수조 개시단부(13c)의 양끝 사이 폭에 근사한 길이의 축체(22)와 거의 동등한 길이만큼 연속되어 있다. 각각의 회전익(21)은, 축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분단되며, 축방향에 인접하는 회전익(21)과는, 각도를 변이시켜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발생하는 수류가 회전익(21)의 회전 주기에 따라 발생하는 수류의 불균일을 분산시켜, 수류를 안정시킬 수 있다.
상기한 제1 회전 수차(14)를 올려놓기 위해, 수조 개시단부(13c)의 정면측 주벽의 내면측에는, 받침 기구(24)의 토대가 되는 지지부(34, 34)가, 수조 개시단부(13c)의 높이 방향 중간 정도보다 위의 2개소에, 높이를 일치시켜 고정되어 있다. 이 지지부(34, 34)의 각각의 위에, 반원기둥형의 내주면(31)을 상향으로 갖고, 그 양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볼트(32)를 갖는 받침 기구(24, 24)가 설치되어 있다. 받침 기구(24)는 그것에 응대하는 누름 기구(25)와 접합 가능하다. 축체(22)를 관통하는 회전축(23)은 그 양끝 근방에, 받침 기구(24) 및 누름 기구(25)에 접촉하여 축방향으로 사이에 낄 수 있는 폭을 확보하여 설치된 플랜지부(26, 26) 사이에 끼인 미끄럼면(27)을 갖는다. 또한, 한쪽 단부(도 2 중 상측에 해당함)에는, 자석을 구비한 수동 원반(28)이 벽면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벽면을 사이에 둔 수조 개시단부(13c)의 밖에는, 모터(30)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원반(29)이, 수동 원반(28)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구동 원반(29)에도 자석이 설치되어 있어, 구동 원반(29)이 회전하면 자력에 의해 수동 원반(28)도 연동하여 회전하고, 수동 원반(28)의 회전에 의해 축체(22) 및 그 주위에 설치된 제1 회전익(21)이 회전하여, 상기 진행 수류를 발생시킨다.
제1 회전 수차(14)를 수조 개시단부(13c)에 부착할 때에는, 각각의 받침 기구(24, 24)의 내주면(31, 31)에, 회전축(23)의 미끄럼면(27, 27)을 올려놓고, 그 위로부터 누름 기구(25, 25)의 볼트 구멍을 볼트(32, 32)에 삽입하고, 위로부터 너트(33, 33)로 나사 고정한다. 받침 기구(24) 및 누름 기구(25)의 내주면과, 회전축(23)의 외주면인 미끄럼면(27, 27)은, 사이에 물이 윤활제로서 들어감으로써 미끄럼 이동하여, 제1 회전 수차(14)는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다.
한편, 수조 개시단부(13c)에서 제1 회전 수차(14)에 의해 발생한 상기 진행 수류를 수조 본체부(13a)에 도입하기 위해, 차단판(19)에는 수평 방향으로 충분한 폭과, 높이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확보한 수류 개시구(35)를 뚫는다. 이 수류 개시구(35)는 도면과 같이 직사각 형상의 구멍이어도 좋고, 처리 대상물(16)의 침입을 막기 위해 슬릿이나 망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필연적으로, 수류 개시구(35)를 형성하는 높이 방향의 위치는, 제1 회전 수차(14)가 차단판(19)을 향하여 회전하는 접선 방향의 위치 부근이면 된다. 즉, 수조의 깊이 방향의 절반보다 위가 된다. 이것은 처리 대상물(16)이 물보다 비중이 가벼워 부유하기 쉬운 것에 대응하여, 세정을 효율적으로 진행시키기 위해 적합한 구성이 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 처리 장치(11)에서 물보다 비중이 무거운 것의 세정을 행할 때에는, 후술하는 회전 방향의 수류를, 처리 대상물(16)을 떠오르게 할 정도로 강하게 하면 된다.
또한, 이 수류 개시구(35)의 윗변으로부터 제1 회전 수차(14)에 접촉하지 않고 외주 근방까지 연장되는 판인 수류 지붕부(36)를 설치해 두면, 제1 회전 수차(14)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를 가능한 한 손상시키지 않고 수조 본체부(13a)에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수조 개시단부(13c)로부터 제1 회전 수차(14)에 의해 송출하는 분량의 물은, 수조 개시단부(13c)의 수면 위로부터 순차적으로 공급하면 된다. 이 물은, 추출 컨베이어(20)측에서 일단 회수한 것의 일부를 순환시키면 물의 소비량을 절약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진행 수류와 수직으로 발생시키는 회전 수류를 발생시키는 제2 회전 수차(15)와, 그것을 설치하는 수조 측부(13b)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조 측부(13b)는, 수조 본체부(13a)의 한쪽 측면측에 상기 진행 수류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수조 본체부(13a)와 수조 측부(13b)가 일체의 수조로서 성형되어 있고, 정류부(60)의 구획판(63)에 의해 수조 본체부(13a)와 수조 측부(13b)로 나누어져 있다.
수조 측부(13b)에는, 그 측면측 내벽의 바닥부 근방에, 내벽을 따라, 제2 회전 수차(15)가 적어도 1개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동축 상에 2개의 제2 회전 수차(15a, 15b)가 설치되어 있다. 제2 회전 수차(15)도, 상기한 제1 회전 수차(14)와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 형상의 축체(42)의 주위에, 물을 송출하는 제2 회전익(41)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익(41)은 회전 방향으로 복수매 구비되어 있고, 이들 회전익(41)은, 축체(42)와 거의 동등한 길이만큼 연속되어 있다. 각각의 회전익(41)은, 축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분단되며, 축방향에 인접하는 회전익(41)과는, 각도를 변이시켜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발생하는 수류가 회전익(41)의 회전 주기에 따라 발생하는 수류의 불균일을 분산시켜, 수류를 안정시킬 수 있다.
이 제2 회전 수차(15)(15a, 15b)를 바닥부 근방에 부착하기 위해, 수조 측부(13b)의 저면에는, 간격을 두고 한쌍의 받침 기구(44, 44)가 설치되어 있다. 즉 이 받침 기구(44, 44)가, 1개의 제2 회전 수차(15)의 양끝 근방을 받친다. 제2 회전 수차(15)의 1개마다, 2개의 받침 기구(44, 44)가 필요해진다. 도면에서는 2개의 제2 회전 수차(15a, 15b)에 대응하여, 받침 기구(44)가 2쌍 설치되어 있다. 그 쌍끼리의 사이에, 바닥부 외벽을 수조 측부(13b)측으로 오목하게 한 수조 절결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회전 수차(15)의 부착 형태는, 상기한 제1 회전 수차(14)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다. 즉, 다음과 같은 구성이다. 받침 기구(44)는 그것에 응대하는 누름 기구(45)와 접합 가능하다. 축체(42)를 관통하는 회전축(43)은 그 양끝 근방에, 받침 기구(44) 및 누름 기구(45)에 접촉하고 축방향으로 사이에 낄 수 있는 폭을 확보하여 설치된 플랜지부(46, 46) 사이에 끼인 미끄럼면(47)을 갖는다. 또한, 한쪽 단부(도 1 및 도 3 중 좌측에 해당함)에는, 자석을 구비한 수동 원반(48)이 벽면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이 수동 원반(48)은, 수조 밖에 설치한 모터(50)에 의해 회전되는 자석을 구비한 구동 원반(49)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된다.
이 모터(50) 중, 수조 개시단부(13c)에 가까운 쪽의 제2 회전 수차(15a)를 회전시키는 모터(50a)는, 수조 측부(13b)에 있어서의 수조 개시단부(13c)측의 단부 외벽의 밖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조 개시단부(13c)로부터 먼 쪽의 제2 회전 수차(15b)를 회전시키는 모터(50b)는, 상기한 절결부(54)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로 함으로써, 복수개의 제2 회전 수차(15a, 15b)를 동축 연장선 상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또, 절결부(54)를 형성하지 않고, 수조 측부(13b)의 수조 개시단부(13c)와는 반대측의 단부 외벽의 밖에 모터(50)를 설치해도 좋지만, 그 경우에는 그 모터(50)의 회전 방향을 역방향으로 할 필요가 있다.
어느 배치라도, 모터(50)(50a, 50b)의 회전에 의해 구동 원반(49)이 회전하면, 벽면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수동 원반(48)이 자력에 의해 연동하여 회전하고, 수동 원반(48)의 회전에 의해 축체(42) 및 그 주위에 설치된 제2 회전익(41)이 회전하여, 상기 회전 수류를 발생시킨다.
이 제2 회전 수차(15)를 받침 기구(44)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는 방법도, 기본적으로는 제1 회전 수차(14)와 동일하다. 즉, 한쌍의 받침 기구(44, 44)의 내주면(51)에, 회전축(43)의 미끄럼면(47)을 올려놓고, 그 위로부터 누름 기구(45, 45)의 볼트 구멍을 볼트(52, 52)에 삽입하고, 위로부터 너트(53)로 나사 고정한다. 받침 기구(44) 및 누름 기구(45)의 내주면과, 회전축(43)의 외주면인 미끄럼면(47, 47)은, 사이에 물이 윤활제로서 들어감으로써 미끄럼 이동하여, 제2 회전 수차(15)도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다.
이 제2 회전 수차(15)에 의해 발생한 수류는, 수조 본체부(13a)와 수조 측부(13b)를 구획하는 구획판(63)의 하부와 수조의 저면 사이의 간극인 가로 수류 도입구(69)를 통과하여 수조 본체부(13a)에 보내짐으로써, 수조 본체부(13a)에서의 회전 수류가 된다. 이 수류를 효율적으로 수조 본체부(13a)에 보내기 위해, 구획판(63)을 다른 부품과 일체화시킨 정류부(60)를 형성시키고 있다. 이 정류부(60)만을 추출한 사시도를 도 7에 나타낸다. 이 정류부(60)는, 다음에 나타내는 씌움부(61) 및 천판부(62)와 구획판(63)이 일체화된 것이다.
우선, 제2 회전 수차(15)의 수조 본체부(13a)측의 외주 상측, 즉 회전익(41)의 외측 가장자리가 통과하는 궤도를 따라, 회전익(41)과 부딪치지 않는 위치에 씌움부(61)가 부착되어 있다. 제2 회전 수차(15)의 수조 본체부(13a)측의 상측이 개방되어 있으면, 상기한 바닥부 근방의 간극인 가로 수류 도입구(69)로부터 멀어진 방향으로도 수류가 보내져, 효율이 나빠진다. 그래서, 제2 회전 수차(15)의 외주를 따라 씌움부(61)를 설치함으로써, 회전하는 물에 동반하여 발생하는 수류가, 제2 회전 수차(15)의 벽면측 상측으로부터 받아들여져 수조 본체부(13a)를 향하여 빠져나간다는 주된 흐름에 거의 집약되게 된다.
다만, 씌움부(61)에는, 회전익(41)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수조 절결부(54)에 대응하는 부분이 절결되어, 커버 절결부(68)를 형성하고 있다. 수조 절결부(54)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제2 회전 수차(15)의 외주 근방으로부터, 바닥부 부근의 유로를 따라 연장된 천판부(62)를 갖는다. 이 천판부(62)로 상측을 막음으로써, 발생한 수류가 쓸데없이 확산되지 않게 되어, 효율적으로 수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 천판부(62)와 상기한 씌움부(61)를 일체로 함으로써, 이들 사이에 간극이 생겨 수류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천판부(62)가 수조 절결부(54)의 수조측의 지붕에 일부 올라타고 있으면, 정류부(60) 전체가 안정되기 쉽다.
또한, 이 천판부(62)의 수조 본체부(13a)측의 단부와 구획판(63)을 연결시켜 일체의 정류부(60)로 하면, 구획판(63)보다 벽면측의 수조 측부(13b)를 제2 회전 수차(15)에 받아들여지는 하강 수류가 발생하는 영역으로서 독립시킬 수 있어, 수조(13)의 전체 흐름이 명확한 것이 된다.
이들 구획판(63), 천판부(62), 씌움부(61)가 일체의 정류부(60)로서 수조(13) 내에 부착, 분리할 수 있도록 하면, 메인터넌스상 바람직하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천판부(62)의 양측 단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고정 다리(64, 64)를 갖고 있다. 한편, 수조(13)의 저면에는, 이 고정 다리(64)를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65, 65)을 설치하여, 이 고정 프레임(65)에 고정 다리(64)를 위로부터 끼움으로써, 정류부(60)를 고정할 수 있다. 또, 정류부(60)를 통합하여 분리할 수 있도록, 구획판(63)의 제2 회전 수차(15)측의 면에 손잡이(67)를 부착해 두어도 좋다.
또한, 정류부(60)의 수조 본체부(13a)측의 단부, 즉, 회전 수류가 천판부(62)의 아래를 빠져나가는 개소에, 수조(13)의 바닥까지 닿도록 세로 망부(66)를 설치해 두면, 수조 본체부(13a)로부터 수조 측부(13b)로의 처리 대상물(16)이나 후술하는 제외물(17)의 역류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다만, 세로 망부(66)가 지나치게 조밀하면 상기 회전 수류의 기세가 감쇠되기 때문에, 제외물(17)을 막을 수 있는 정도의 성김으로 고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2 회전 수차(15)를 설치하는 수조 측부(13b)의 바닥부 벽면측의 모퉁이는, 바닥면과 벽면이 단순히 직교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제2 회전 수차(15)의 제2 회전익(41)의 궤도를 따라 라운드진 둘레면부(55)를 가지면, 수류가 모퉁이에서 난류를 발생시키지 않고, 원활하게 제2 회전 수차(15)의 움직임을 따른 수류가 되어, 상측으로부터의 물을 수조 본체부(13a)에 보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구획판(63)의 수면측 단부는, 바닥부측 단부보다 수조 측부(13b)측으로 기울어지며 또한 만곡된 곡면부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수조 본체부(13a)의 용적이 확대됨과 동시에, 수조 본체부(13a)의 회전 수류가 순환하기 쉬워진다.
그 구획판(63)의 수면측 단부는 사용시에 있어서의 수면의 높이보다 약간 높아지는 위치까지 돌출되어 있다. 이 수면측 단부 근방의 정면 확대도를 도 8에, 평면 확대도를 도 9에 나타낸다. 다만 그 돌출된 높이는, 상기한 회전 수류에 의해 발생하는 물결에 의해 도달 가능한 높이로 한다. 그리고, 그 수면측 단부로부터 수조 본체부(13a)측으로 유공판(71)이 부착되어 있다. 유공판(71)에는, 기본적으로 처리 대상물(16)은 통과할 수 없지만, 처리 대상물(16)에 부수되어, 세정에 의해 분리시켜야 하는 쓰레기나 식품 찌꺼기, 유지분(이하, 「제외물」이라고 함)(17)이 통과 가능한 크기의 통과 구멍(72)이 복수개 뚫어져 있다. 상기한 회전 수류에 의해 발생하는 물결에 의해, 이 통과 구멍(72)을 아래로부터 위로 빠져나가는 일부의 수류와 함께 제외물(17)이 통과 구멍(72)을 빠져나가, 그 기세 그대로 구획판(63)의 상단을 타고넘어 수조 측부(13b)로 낙하한다.
이 때, 통과 구멍(72)을 통과하지 않고 처리 대상물(16)이 수조 측부(13b)로 낙하해 버리는 것을 막기 위해, 유공판(71)의 수조 본체부(13a)측의 단부는, 상측으로 젖혀진 반발부(73)를 설치해 둔다. 이 반발부(73)의 상단은, 상기한 회전 수류에 의해 발생하는 물결이 도달할 수 없는 높이로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유공판(71) 중, 통과 구멍(72)을 형성하는 부분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이면, 제외물(17)의 선별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반발부(73)에까지는 도달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구획판(63)의 수면측 단부와 수조 측부(13b)의 벽면 사이에는, 구획판(63)을 넘어온 물과 제외물(17) 중, 제외물(17)만을 받아낼 수 있는 망부(74)를, 상기 수면측 단부와 벽면의 가장자리에 설치한 걸림부(75, 75) 사이에 걸쳐지도록 걸려 있다. 이 망부(74)를 통과한 물은, 제외물(17)을 제외시킨 상태로 제2 회전 수차(15)에 보낼 수 있다. 또, 청소시에는 분리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처리 장치(11)를 세정 이외의 살균이나 가열 처리를 주목적으로 하여 사용하는 경우, 망부(74)를 제거한 실시형태여도 좋다.
상기한 수조 본체부(13a)에 있어서의 구획판(63)과 마주보는 다른쪽 측면은, 저면으로부터 수면까지 외측으로 볼록한 원호형의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곡면부(18)를 설치해 둔다. 이에 따라, 수류가 세정과 관계가 없는 곳에서 소용돌이쳐 에너지 낭비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곡면부(18)의 곡면을 따라 상기한 회전 수류는 저면으로부터 수면 가까이까지 상승하여, 처리 대상물(16)을 세정함과 동시에, 유공판(71)측으로 제외물(17)을 흘러가게 한다. 유공판(71)을 부착한 구획판(63)까지 도달한 수류는, 일부가 구획판(63)을 타고넘어 수조 측부(13b)로 떨어져, 새로운 회전 수류가 된다. 또한 타고넘지 않은 분량의 수류는, 이번에는 구획판(63)의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을 따라 하측으로 내려가, 새로운 회전 수류와 합류한다. 이에 따라, 수조 본체부(13a) 내에, 도 5의 방향에서 본 시계 방향의 회전하는 수류, 즉 회전 수류가 끊임없이 순환하게 된다. 이 회전 수류에, 제1 회전 수차(14)로부터 보내진 진행 수류가 가해짐으로써, 회전하면서 진행하여, 처리 대상물(16)의 세정을 진행시키고, 최종적으로는 추출 컨베이어(20)로부터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수조(13) 전체로서는, 제1 회전 수차(14)에 의해 발생하는 흐름에 더하여, 수조 개시단부(13c)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구(39)를 형성함과 동시에, 수조 개시단부(13c)에 상대되는 종단부(도면에서는 추출 컨베이어(20)의 아래)에, 수조 본체부(13a)의 물을 폭포와 같이 낙하시키는 배수구(38)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수조(13) 전체에 수조 개시단부(13c)측으로부터 추출 컨베이어(20)측으로 이송되는 물의 흐름이 확실하게 된다. 또, 배수구(38)로부터 배출한 물의 일부를 물 공급구(39)로부터 수조 개시단부(13c)나, 수조 측부(13b)로 리사이클함으로써 물의 소비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리사이클 도중에 물에 포함되는 제외물(17)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배수구(38)와는 별도로, 처리 완료 후에 수조(13)의 물을 전부 빼내기 위한 하배수구(40)가 바닥부에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처리 장치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조(13)의 기본적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지만, 저면에 거치하는 정류부(60) 대신에, 수조 측부(13b)의 측벽면(56)에 거는 정류부(80)를 이용하고, 회전 수차의 형태를 변경한 것이다. 정류부(80)를 수조에 부착했을 때의 정면 단면도를 도 10에, 평면도를 도 11에, 수조 측부(13b)로부터 수조 본체부(13a)측을 본 측면 단면도를 도 12에, 추출 가능한 정류부(80) 자체의 사시도를 도 13에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비교하여, 구획판(83)의 기울기가 크게, 즉, 연직 방향에 가까운 기울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천판부(82)가 단축되어 있다. 천판부(82)가 없을 정도로 원호형 지붕부(81)의 단부와 직접 구획판(83)이 접속되는 형태여도 좋지만, 천판부(82)가 있음으로써 제2 회전 수차(91)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의 흐름을 제어하기 쉬워진다. 또한, 구획판(83)의 아래에는, 수조(13)의 저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둠으로써 가로 수류 도입구(9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로 수류 도입구(93)에는, 저면까지 연장되는 세로 망부(86)가 설치되어, 처리 대상물(16)의 역류를 막는다. 또한 제2 회전 수차(91)의 회전하는 외주를 따라 설치하는 상기 씌움부는 수조 본체부(13a)측뿐만 아니라, 제2 회전 수차(91)의 상측에서 측벽면(56)측까지 이르도록 연장된 원호형 지붕부(81)로 되어 있다. 원호형 지붕부(81)의 측벽면(56)측은 거의 측벽면(56)에 접촉하는 곳까지 도달해 있고, 측벽면(56)에 기대어 세우는 입판부(84)에 연결되어 있다.
다만, 원호형 지붕부(81)와 그것에 연결되는 입판부(84)는, 제2 회전 수차(91)의 축방향의 중간 정도, 즉, 모터(50b)를 설치하기 위한 수조 절결부(54)가 수조(13) 속으로 들어가 있는 개소에서, 이것과 간섭하지 않도록 절결된 지붕 절결부(87)가 형성되어 있다. 다만, 지붕 절결부(87)가 절결된 부분은 수조 절결부(54)의 축방향 길이보다 길고, 수조 절결부(54)의 축방향 양측에, 제2 회전 수차(91)의 단부로 물이 낙하할 수 있는 간극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제2 회전 수차(91)의 축방향 양끝에도, 원호형 지붕부(81)가 절결된 양끝 지붕 절결부(9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지붕 절결부(87) 및 양끝 지붕 절결부(90)를 통과함으로써, 정류부(80)의 중앙 부분으로부터도 제2 회전 수차(91, 91)에 물이 공급되기 때문에, 제2 회전 수차(91)가 고속 회전하는 경우에도, 물의 공급이 추종하여, 송출해야 하는 방향으로부터 물을 받아들여 버리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다.
입판부(84)는 측벽면(56)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고, 측벽면(56)으로부터 연장되는 벽면 후크(88)에 거는 것이 가능한, 가로 방향으로 가지형으로 연장된 판걸림부(8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획판(83)의 측벽면(56)측의 면에는, 이 정류부(80)를 한꺼번에 벽면 후크(88)로부터 분리할 때의 핸들이 되는 손잡이(89)가 부착되어 있다.
또, 구획판(83)의 위에 부착하는 유공판(71)이나 망부(74)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제2 회전 수차(91)의 형상도 제1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이 제2 회전 수차(91)의 사시도를 도 14에 나타낸다. 이 제2 회전 수차(91)는 봉 형상의 회전축(43)의 적어도 양단부에, 직경 방향으로 확대된 환형부(100)를 갖고 있다. 이 환형부(100)는, 회전축(102)과의 사이가 복수개의 아암부(103)로 연결되어 있고, 즉, 아암부(103)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회전축(102)과 환형부(100) 사이에 간극(104)이 생기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104)으로부터 물이 회전익(101)에 유입된다.
환형부(100)의 축방향 면에는, 또 하나의 환형부(100)까지 걸쳐지는, 축방향 단면이 호형상인 제2 회전익이 되는 회전익(101)이, 주위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익(101)도, 회전축(102)과는 직접 접하지 않고, 회전축(102)과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익(101)의 단면 호형상이 되는 오목한 면은, 제2 회전 수차(91)의 회전 방향을 향하고 있고, 물을 효율적으로 받아 송출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회전익(101)이 하측으로 회전했을 때, 오목한 쪽의 면이 수조 본체부(13a)를 향하도록 배치한다. 회전축(102)의 회전에 따라, 제2 회전익이 되는 회전익(101)이 회전하여, 수조 본체부(13a)에 회전 방향의 수류를 보낸다.
환형부(100)는 양끝에 설치하는 것 외에, 도 14와 같이 축방향의 도중에 설치해도 좋다. 축방향의 도중에 환형부(100)를 설치함으로써, 회전익(101)의 안정도가 증가한다. 다만, 환형부(100)가 지나치게 많아도 수류의 기세가 저하되기 때문에, 1개나 2개이면 된다.
또, 제2 회전 수차(91)의, 수조의 벽면 바닥부 근방에 고정하고,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는, 환형부(100)(아암부(103), 간극(104)) 및 회전익(101) 이외에 대하여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이 가능하다. 즉, 한쌍의 받침 기구(44, 44)의 내주면(51)에, 회전축(43)의 미끄럼면(47)을 올려놓고, 그 위로부터 누름 기구(45, 45)의 볼트 구멍을 볼트(52, 52)에 삽입하고, 위로부터 너트(53)로 나사 고정한다. 받침 기구(44) 및 누름 기구(45)의 내주면과, 회전축(43)의 외주면인 미끄럼면(47, 47)은, 사이에 물이 윤활제로서 들어감으로써 미끄럼 이동하여, 제2 회전 수차(91)도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다. 모터(50)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원반(49)의 자력에 연동하여, 수동 원반(48)이 회전하고, 제2 회전 수차(91)를 회전시켜, 수류를 발생시킨다.
회전한 제2 회전 수차(91)에 의한 흐름이 수조 본체부(13a)측을 향하기 쉽도록, 수조 측부(13b)의 제2 회전 수차(91)로부터 수조 본체부(13a)측의 바닥면에는, 물의 흐름을 수조 본체부(13a)에 집중하여 향하게 하기 위해, 벽면을 완만하게 경사시킨 정류대(9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회전 수차(95)의 구조도, 제2 회전 수차(91)와 마찬가지로, 환형부(100, 100)의 사이에, 회전축(102)으로부터는 이격된 제1 회전익이 되는 단면 호형상의 회전익(101)을 걸친 구조로 되어 있다. 당연히, 회전축(102)의 회전에 따라 회전익(101)이 회전한다. 이에 따라, 물 공급구(39)로부터 공급된 물은, 수류 지붕부(36)의 양끝으로부터 제1 회전 수차(95)의 양끝 방향으로 들어가, 환형부(100)의 간극을 통과하여, 회전익(101)의 중앙 부분까지 도달한 후에, 추출 컨베이어(20)를 향하여 송출되는 진행 방향의 수류를 발생시킨다.
이 제2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측으로부터 망부(74)를 통과하여 온 물이 양끝 지붕 절결부(90)나 지붕 절결부(87)를 통과하고, 축방향의 양끝으로부터 환형부(100)의 간극을 통과하여 제2 회전 수차(91)에 유입되어, 고속 회전시에도 물이 제때에 공급되게 된다. 이에 따라 발생하는 수류가 거의 감쇠되지 않고 신속히 수조 본체부(13a)에 도달하기 때문에, 수류의 발생 효율이 좋다.
또한, 수조 개시단부(13c)에 부착하는 제1 회전 수차도, 상기한 제2 회전 수차(91)와 마찬가지로, 환형부(100)와 회전익(101)을 연결한 제1 회전 수차(95)로 해도 좋다.
다음으로, 처리 대상물의 비중이 물보다 가벼운 경우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식품 처리 장치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5 이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5에 사시도를, 도 16에 평면도(후술하는 망부(151∼153)를 제거한 것)를, 도 17에 D-D 정면 단면도를, 도 18에 E-E 측면 단면도를, 도 19에 F-F 정면 단면도를 나타낸다.
수조(113)는, 처리 대상물(16)을 처리하는 수조 본체부(113a)와, 제1 회전 수차(114)를 설치하는 수조 개시단부(113c)와, 제2 회전 수차(115)를 설치하는 수조 측부(113b)와, 수조 본체부(113a)로부터 넘친 물을 수조 측부(113b)에 보내는 수로부(113d)를 갖는다. 수조 본체부(113a)의 수조 개시단부(113c) 근방 상측에는, 처리 대상물(16)을 투입할 때에 주변을 둘러싸 수조(113) 밖으로의 낙하를 막고 순차적으로 수조 본체부(113a)에 도입하는 투입 가이드(121)가 설치되어 있다. 수조 개시단부(113c)에 상대되는 단부에는 종단부 경사면(12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종단부 경사면(123)을 따라 추출 컨베이어(120)가 설치되어 있다. 추출 컨베이어(120) 아래의 종단부 경사면(123)에는, 수로부(113d)로 물이 낙하하는 배수구(122)가 설치되어 있다. 제1 회전 수차(114)에 의한 수류와, 배수구(122)를 향한 낙하에 의해, 수조 개시단부(113c)로부터 추출 컨베이어(120)를 향하는 길이 방향의 흐름이 발생하여, 수조 본체부(113a) 내의 전체에서 처리 대상물(16)이 종단측이 되는 추출 컨베이어(20)를 향하는 이송이 진행된다. 수조 본체부(113a) 내에서는 이 길이 방향의 흐름에 대하여 가로 방향이 되는 구획판(127)에 뚫어진 가로 수류 도입구(128)로부터, 제2 회전 수차(115)에 의한 수류가 도입된다. 가로 수류 도입구(128)는, 후술하는 경사부(133a)의 일부를 절취하여 형성되어 있다. 절취된 경사부(133a)는, 차양부(129)를 형성하도록 상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후술하는 제2 회전 수차(115)에 씌워지는 정류 커버(117)의 흡출구(195)가 이 차양부(129)의 아래에 밀어넣어져 고정된다. 또한, 측부 망부(152)가 이 차양부(129) 상에 올려진다.
이 제2 회전 수차(115)에 의한 수류가, 수조 본체부(113a) 내에서 수면 부근으로 떠오르는 처리 대상물(16)을 수조 측부(113b)와는 반대측으로 흘러가게 한다. 수조 본체부(113a)의 수조 측부(113b)에 상대되는 쪽의 벽면은, 바닥부(132)로부터 벽면의 수면 부근을 향하여 단면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곡면부(131b)로 되어 있다. 벽면에 부딪친 수류는 이 곡면부(131b)를 따라 바닥부(132)의 중앙으로 향하고, 이 수류의 회전을 타고 처리 대상물(16)도 일단 가라앉는다. 일단 가라앉은 처리 대상물(16)은 물보다 가볍기 때문에 떠올라온다. 처리 대상물(16)은 이 순환을 하면서 길이 방향으로 진행되어 나가 세정 등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또, 수조 본체부(113a)의 수조 측부(113b)측의 벽면도 마찬가지로, 단면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곡면부(131a)로 되어 있다. 곡면부(131a)와 곡면부(131b)에 둘러싸인 범위에서, 수류가 순환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바닥부(132)의 중앙에는, 길이 방향을 향하여 바닥 홈(139)이 형성되어 있고, 하배수구(140)에 연결되어 있다. 다만, 평소 처리시에는 바닥 홈(139)에 처리 대상물(16)이 걸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바닥 홈(139)에는 유공판으로 이루어지는 바닥 덮개(138)가 씌워져 있다. 모래 등의 미세한 쓰레기는 이 바닥 덮개(138)의 구멍을 통하여 아래로 떨어진다.
한편, 수조 본체부(113a)의 양측면의 상단은 중앙을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부(133a, 133b)가 설치되어 있어, 처리 대상물(16)이 튀어나가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더욱이, 상단의 상측 가장자리(134)의 적어도 일부는, 처리 대상물(16)을 통과시키지 않고, 물은 통과 가능한 유공부를 갖고 있다. 도면의 실시형태에서는 상단의 상측 가장자리(134)에 광폭의 절결(135)을 형성하여, 그곳에 유공판(136a, 136b)을 감입하고 있다. 이 유공판(136a)의 사시도를 도 20의 (a)에, 유공판(136b)의 사시도를 도 20의 (b)에 나타낸다. 이 유공판(136a, 136b)의 유공부를 통하여, 수조 본체부(113a)로부터 물이 넘친다. 그 중, 수조 측부(113b)측의 유공판(136a)을 통과한 물은 그대로 수조 측부(113b)로 떨어져, 제2 회전 수차(115)가 보내는 물로서 공급된다. 한편, 수조 측부(113b)와 반대측의 유공판(136b)으로부터 넘친 물은 수로부(113d)로 떨어지고, 추출 컨베이어(120)의 아래를 돌아 들어가 수조 측부(113b)에 공급되어, 다시 제2 회전 수차(115)가 보내는 물이 된다. 또, 수로부(113d)로부터 수조 측부(113b)로 떨어지기 전에, 쓰레기 등의 제외물을 거는 망부를 설치해 두어도 좋다. 이 망부의 눈은 상기 유공부보다 조밀한 것이 된다.
또한, 수조 측부(113b)측의 유공판(136a)에는, 수조 본체부(113a)의 중앙측을 향하여 복수개의 가는 판으로 이루어지는 반발부(137)가 나란히 부착되어 있다. 이 반발부(137)는, 일단 가라앉은 후 떠올라오는 처리 대상물(16)이 수조 본체부(113a)의 밖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더욱 방지한다.
추출 컨베이어(120)의 하측 경사면에 형성되는 배수구(122)에는, 나사 고정에 의해 설치 위치를 조정 가능한 덮개판(124)이 부착된다. 덮개판(124)의 상단의 위치가 배수구(122)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상측 가장자리까지 조정 가능하고, 덮개판(124)의 상단이 수조 본체부(113a)에서의 수위의 기준이 되어, 그것보다 높은 위치가 되는 정도로 수위가 올라가고자 하면, 배수구(122)로부터 넘쳐 수로부(113d)로 떨어짐으로써 수위를 조정할 수 있다.
수조 개시단부(113c)에는 제1 회전 수차(114)가 설치된다. 이 제1 회전 수차(114)가 발생시키는 수류를, 수조 본체부(113a)와의 사이를 구획하는 차단판(125)에 뚫은 수류 개시구(126)에 도입하기 위한 정류 커버(116)가 제1 회전 수차(114)에 씌워져 있다.
수조 측부(113b)에는 제2 회전 수차(115)가 설치된다. 이 제2 회전 수차(115)가 발생시키는 수류를, 수조 본체부(113a)와의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판(127)에 뚫은 가로 수류 도입구(128)에 도입하기 위한 정류 커버(117)가 제2 회전 수차(115)에 씌워져 있다. 다만, 제2 회전 수차(115)는 적어도 2개의 수차가 접합부(165)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정류 커버(117)는 각각의 회전 수차(115, 115)마다 씌워진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회전 수차(115)는 정류 커버(117)의 양끝에 뚫어진 측면 도입구(196)로부터 물을 받아들이지만, 이 접합부(165)를 사이에 두는 정류 커버(117, 117)의 사이로부터도 물을 받아들인다.
이들 제1 회전 수차(114)와 제2 회전 수차(115)와, 각각에 씌우는 정류 커버(116, 117)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그래서, 제1 회전 수차(114)를 예로 하여, 도 21에 나타내는 전개도를 이용하여 이들의 구조를 설명한다.
우선, 회전 수차(114, 115)를 부착하는 장소의 양끝에는, 상측을 향하여 미끄럼 베어링(177, 177)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상측을 향하여 반원통형의 받침부와 고정용의 기둥으로 이루어지고, 회전 수차(114, 115)의 회전축(183)을 사이에 끼워 받친다.
또한, 미끄럼 베어링(177, 177)보다 중앙쪽의 2개소에, 돌출 말뚝(175, 17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저면에 부착한 고정대(171, 171) 상에 돌출 말뚝(175, 175)을 설치하고 있지만, 수조 측부(113b), 수조 개시단부(113c)의 저면으로부터 직접 돌출 말뚝(175)이 돌출되도록 설치해도 좋다. 이 돌출 말뚝(175, 175)의 사이에 걸쳐지도록 하측 커버(172)가 설치되어 있다. 하측 커버(172)의 양끝 근방에는 각각 고정 구멍(176)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고정 구멍(176)에 상기한 고정대(171)의 돌출 말뚝(175)을 삽입함으로써, 하측 커버(172)를 고정한다.
하측 커버(172)는, 적어도 회전 수차(114, 115)의 하측 외주를 따라, 곡면, 굴곡부, 또는 이들의 양쪽을 구비하여, 회전 수차의 경사 하측을 덮는 경사 하면부(173)를 가지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일부를 굴곡시키고 있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회전 수차(114, 115)의 회전하는 외주 중, 필요로 하지 않는 하측을 커버함으로써, 수류가 쓸데없는 방향을 향함으로써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을 억제하고, 최종적으로 흡출구(195)로부터 방출되는 수류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회전 수차(114, 115)는, 적어도 수류 개시구(126)(가로 수류 도입구(128))의 수평 방향 길이보다 긴 회전축(183)을 갖고, 이 회전축(183)의 접선 방향을 향하여 연장된 회전익(182)을 갖는다. 이 위치 관계를 도 22에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에 나타낸다. 이 회전익(182)이 회전함으로써 수류가 발생한다. 다만, 회전익(182)의 직경 방향 선단 부분은, 회전하는 방향과는 역방향(후방)으로 구부러져 있다. 이것은, 회전시에 받는 물의 저항을 삭감하여, 회전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이 회전익(182)을 부착하기 위해, 회전축(183)의 양끝 근방과, 중앙 부분에 사이를 두고, 직경 방향으로 확대된 환형부(181)를 갖고 있다. 이 환형부(181)는, 회전축(183)과의 사이가 복수개의 아암부(184)로 연결되어 있고, 아암부(184)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회전축(183)과 환형부(181) 사이에 간극(189)이 생기도록 형성되어 있다. 아암부(184)를 따라 고정된 회전익(182)이 주위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되어, 환형부(181)와 환형부(181) 사이에 걸쳐진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아암부(184)의 개수와 회전익(182)의 매수가 일치하고, 아암부(184, 184) 사이에 있는 간극(189)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물이 유입되고 회전익(182)에 의해 회전되어 수류가 된다. 또한, 축방향 중앙에 있는 2개의 환형부(181, 181) 사이에는 회전익(182)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중간 도입부(188)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축방향 양끝뿐만 아니라, 중간으로부터도 물을 받아들일 수 있다.
회전 수차(114, 115)를 관통하는 회전축(183)의 양끝 근방에는, 미끄럼 베어링(177)을 축방향으로 사이에 낄 수 있는 폭을 확보하여 설치된 플랜지부(185, 185) 사이에 끼인 미끄럼면(186)을 갖는다. 이 미끄럼면(186)이 상기한 미끄럼 베어링(177)과 접촉한다. 또한, 회전축(183)의 한쪽 선단에는, 영구 자석을 내장하여 외부로부터의 자력에 의해 회전하는 수동 원반(187)이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수동 원반(187)(187a, 187b)에 대하여, 수조(13)의 벽면을 사이에 두고 상대되는 수조(13)의 외측에, 모터(161)(161a, 161b)에 의해 회전되는 영구 자석을 내장하는 구동 원반(162)(162a, 162b)이 부착되어 있다. 모터(161)(161a, 161b)의 회전이 구동 원반(162)(162a, 162b)에 전해지고, 수동 원반(187)을 통해 회전축(183)을 회전시킨다. 또한, 2개의 제2 회전 수차(115, 115) 사이는, 볼록형부를 갖는 1개 맞물림반(163)과, 오목형부를 갖는 2개 맞물림반(164)이 접합된 접합부(165)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하고 있다. 이 접합부(165)의 구조를 도 23에 나타낸다.
각각의 회전 수차(114, 115)의 상측으로부터, 회전 수차(114, 115)에 의해 발생시키는 수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정류 커버(116, 117)가 씌워진다. 정류 커버(116, 117)는, 회전 수차(114, 115)의 축방향측을 덮는 측면판(190)과, 회전 수차(114, 115)의 수조 본체부(113a)측을 덮는 정면판(191)과, 외벽측을 덮는 배면판(192)을 갖고, 배면판(192)의 상측은 축방향 단면이 원호형인 단면 호형상부(193)가 되어 정면판(191)측으로 구부러져 있다. 한편, 정면판(191)의 상측은, 일단, 배면판(192)측으로 구부러진 후, 수조 본체부(113a)측으로 되접히는 조리개부(19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조리개부(194)가 회전 수차(114, 115)의 상측 중 수조 본체부(113a)측의 절반을 덮는다. 조리개부(194)의 곡면은 회전 수차(114, 115)에 부딪치지 않는 형상이며, 또한, 회전 수차(114, 115)의 외주에 가능한 한 가까운 것이 수류의 효율상 바람직하다. 조리개부(194)의 끝은 단면 호형상부(193)의 끝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치되어, 슬릿형이 흡출구(195)가 형성되어 있다. 이 흡출구(195)는 상기한 수조(13)의 수류 개시구(126)(가로 수류 도입구(128))에 삽입되어, 수조 본체부(113a)에 수류가 방출된다.
다만, 정류 커버(116, 117)는 송출하는 물을 회전 수차(114, 115)에 받아들일 있어야 한다. 이 때문에, 정류 커버(116, 117)의 축방향 양끝의 측면판(190)과, 하측 커버(172)의 축방향 양끝의 하측 측면판(174)에는, 회전축(183)의 주위에 확대되는 측면 도입구(196)가 뚫어져 있다. 또한, 정면판(191)의 중간 도입부(188)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절결되어 회전 수차에 옆으로부터 도달 가능한 정면 절결부(19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면판(192)의 중간 도입부(188)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마찬가지로 절결된 배면 절결부(19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정류 커버(116)의 정면 절결부(197)에 연속하도록, 하측 커버(172)의 수조 본체부(113a)측에도 정면 절결부(17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정류 커버(116)의 배면 절결부(199)에 연속하도록, 하측 커버(172)의 수조 본체부(113a)와 반대측에도 배면 절결부(180)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측면 도입구(196) 및 절결부(정면 절결부(197, 179), 배면 절결부(199, 180))로부터, 환형부(181)의 아암부(184)와 아암부(184) 사이의 간극(189)을 통하여 회전익(182)에 물을 보냄으로써, 회전 수차(114, 115)가 송출해야 하는 물이 공급된다.
또한, 정류 커버(116, 117)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하측 커버(172)의 상측 가장자리(178)와 감합하여 정류 커버(116, 117)를 고정하기 위한 걸어맞춤부(198)가 설치되어 있다.
정류 커버(116, 117)는, 회전 수차(114, 115)가 발생시키는 수류의 힘에 의해 떠오르기 쉽기 때문에, 흡출구(195)를 수류 개시구(126)나 가로 수류 도입구(128)에 삽입할 뿐만 아니라, 상측으로부터 누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조 본체부(113a)로부터 넘친 물은 유공판(136a, 136b)을 통과할 때에 큰 처리 대상물(16)은 거를 수 있지만, 그 구멍보다 작은 머리카락과 같은 작은 쓰레기까지는 제외시킬 수 없기 때문에, 그 상태로는 수차를 향하여 떨어져 쓰레기가 순회해 버린다. 그래서, 정류 커버(116, 117)를 위로부터 누르면서 제외물을 걸러낼 수 있는, 유공판(136a, 136b)보다 눈이 조밀한 망부를 부착한다. 이 망부를 부착한 상태의 평면도를 도 24에 나타낸다. 제1 회전 수차(114)에 씌우는 정류 커버(116) 상에는, 일단을 외벽에 걸고, 타단을 차단판(125)에 접촉시키도록 개시단부 망부(151)를 부착한다. 제2 회전 수차(115)에 씌우는 정류 커버(117) 상에는, 일단을 외벽에 걸고, 타단을 유공판(136a)에 접촉시키도록 측부 망부(152)를 부착한다. 또, 측부 망부(152)는, 길이 방향으로 2개로 나누어져 있다.
또한, 정류 커버(116, 117)와는 무관하지만, 유공판(136b)으로부터 넘친 물에 포함되는 제외물을 걸러내기 위해, 경사부(133b) 상에도 마찬가지로 수로부 망부(15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수구(122)로부터 수로부(113d)로 떨어진 물이 수조 측부(113b)로 떨어지기 전에 제외물을 걸러 멈추게 하는 수로 종단 망부(154)가, 수로부(113d)와 수조 측부(113b)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 개시단부 망부(151), 측부 망부(152), 수로부 망부(153), 수로 종단 망부(154)의 구조는, 편직의 망일 필요는 없고, 물에 동반하는 제외물을 걸러낼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예컨대, 적절한 크기의 구멍이 뚫어진 펀칭 메탈을 이용해도 좋다. 도 24에 나타내는 망부 장착 후의 평면도에서는 펀칭 메탈에 의한 실시형태를 예시한다.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처리 장치의 용도는 세정에 한정되지 않고, 가온, 보일, 살균 등 다른 용도에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세정시, 가온 처리시, 또는 살균 처리시에, 처리 대상물에 첨가물 등을 첨가하면, 조미나 처리 대상물 가공도 세정, 가온 처리, 또는 살균 처리와 동시에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세정시에, 가온하거나 살균제를 첨가하거나 함으로써, 세정 처리와, 가온 처리나 살균 처리를 동시에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처리 장치에서 처리할 수 있는 처리 대상물(16)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육류, 생선, 조개, 갑각류 등의 수산물, 야채류, 곡물류, 과일류, 콩류 등의 농산물, 육류나 농산물, 수산물 등의 커트, 조리 등이 된 중간 가공품이나 식품 가공품 등의 임의의 처리 대상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제외물(17)로는, 유지분, 머리카락, 가온 처리에서 생긴 잿물, 규격보다 작은 처리 대상물이나 그 조각 등의 식품 찌꺼기, 자갈, 종이 조각, 벌레, 짚 등을 들 수 있다.
수조(3, 13, 113) 내에 온수 또는 스팀을 공급하여 수조(3, 13, 113) 내의 물의 온도를 상승시키면, 수조 본체부(3a, 13a, 113a)에 공급되는 처리 대상물의 가온 처리를 할 수 있다. 이 가온 처리란, 처리 대상물에 물을 통해 열을 가하는 처리를 말하며, 예컨대, 처리 대상물을 익히거나, 삶거나, 데치거나 하는 처리를 들 수 있다. 이 용도로 이용하면, 수조 본체부(13a)의 물을 적절히 휘저음으로써 물의 대류를 조장하여, 온도 불균일을 없애, 처리 대상물(16)을 균일하게 가온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수조(3, 13, 113) 내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온수를 공급하는 수단으로는, 수조(13)에 형성된 급수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직접 온수 또는 스팀을 공급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수조(3, 13, 113) 내에 살균제를 첨가하여 용해 또는 분산시킴으로써, 수조 본체부(3a, 13a, 113a)에 공급되는 처리 대상물의 살균 처리를 할 수 있다. 이 살균제로는, 차아염소산나트륨, 패각 소성 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이 살균 처리의 경우에도, 물의 대류를 조장하여, 처리 대상물(16)과 살균제의 접촉 기회를 보다 증가시킬 수 있어, 처리 대상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살균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처리 장치는, 복수 대를 연결시켜 사용해도 좋다. 즉, 추출 컨베이어(20, 120)의 종단을, 다음 식품 처리 장치의 투입 가이드(121)에 투입 가능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하나의 식품 처리 장치로 처리를 행한 후, 동일한 또는 별종의 처리를 계속해서 행할 수 있다.
1, 11: 식품 처리 장치
3, 13, 113: 수조
3a, 13a, 113a: 수조 본체부
3b, 13b, 113b: 수조 측부
3c, 13c, 113c: 수조 개시단부
4, 14, 95, 114: 제1 회전 수차
5, 15, 15a, 15b, 91, 115: 제2 회전 수차
6, 19, 125: 차단판
7, 63, 83, 127: 구획판
8: 정면구
9: 측면구
10, 38, 122: 배수구
18, 131a, 131b: 곡면부
20, 120: 추출 컨베이어
21, 41, 101, 182: 회전익
22, 42: 축체
23, 43, 102, 183: 회전축
24, 44: 받침 기구
25, 45: 누름 기구
26, 46, 185: 플랜지부
27, 47, 186: 미끄럼면
28, 48, 187, 187a, 187b: 수동 원반
29, 49, 162, 162a, 162b: 구동 원반
30, 50, 50a, 50b, 161, 161a, 161b: 모터
31, 51: 내주면
32, 52: 볼트
33, 53: 너트
35, 126: 수류 개시구
36: 수류 지붕부
39: 물 공급구
40, 140: 하배수구
54: 수조 절결부
55: 둘레면부
56: 측벽면
60, 80: 정류부
61: 씌움부
62, 82: 천판부
64: 고정 다리
65: 고정 프레임
66, 86: 세로 망부
67, 89: 손잡이
68: 커버 절결부
69, 93, 128: 가로 수류 도입구
71, 136a, 136b: 유공판
72: 통과 구멍
73, 137: 반발부
74: 망부
75: 걸림부
81: 원호형 지붕부
84: 입판부
85: 판걸림부
87: 지붕 절결부
88: 벽면 후크
90: 양끝 지붕 절결부
92: 정류대
100, 181: 환형부
103, 184: 아암부
104, 189: 간극
113d: 수로부
116, 117: 정류 커버
121: 투입 가이드
123: 종단부 경사면
124: 덮개판
129: 차양부
132: 바닥부
133a, 133b: 경사부
134, 178: 상측 가장자리
135: 절결
138: 바닥 덮개
139: 바닥 홈
151: 개시단부 망부
152: 측부 망부
153: 수로부 망부
154: 수로 종단 망부
163: 1개 맞물림반
164: 2개 맞물림반
165: 접합부
171: 고정대
172: 하측 커버
173: 경사 하면부
174: 하측 측면판
175: 돌출 말뚝
176: 고정 구멍
177: 미끄럼 베어링
179, 197: 정면 절결부
180, 199: 배면 절결부
188: 중간 도입부
190: 측면판
191: 정면판
192: 배면판
193: 단면 호형상부
194: 조리개부
195: 흡출구
196: 측면 도입구
198: 걸어맞춤부

Claims (10)

  1. 처리 대상물을 개시단측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종단측을 향하여 이송시키면서 처리하는 상면이 개방된 수조 본체부와, 상기 개시단측에서 상기 수조 본체부와 접하는 수조 개시단부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수조 본체부와 접하는 수조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 개시단부에,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회전축으로 회전익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의 접선 방향으로 발생하는 수류를 상기 수조 본체부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송출하는 제1 회전 수차와,
    상기 수조 측부에, 상기 길이 방향을 따른 회전축으로 회전익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의 접선 방향으로 발생하는 수류를 상기 수조 본체부의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송출하는 제2 회전 수차
    를 설치한 식품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본체부와 상기 수조 측부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판을 갖고,
    상기 구획판에는, 상기 수조 본체부의 저면과의 사이 또는 저면 근방에, 상기 제2 회전 수차에 의한 수류가 통과할 수 있는 가로 수류 도입구가 형성되는 것인 식품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개시단부와 상기 수조 본체부 사이에 차단판을 설치하고,
    상기 차단판에는 상기 제1 회전 수차에 의한 수류가 통과할 수 있는 수류 개시구를 형성하는 것인 식품 처리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과, 상기 제2 회전 수차의 상기 수조 본체부측의 상측 외주의 궤도를 따른 씌움부를, 일체의 정류부로서 구비하는 것인 식품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본체부와 상기 수조 측부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판을 갖고,
    상기 구획판에는, 상기 제2 회전 수차에 의한 수류가 통과할 수 있는 가로 슬릿형의 가로 수류 도입구를, 장치 구동시에 있어서의 수면보다 아래로서 상기 수조 본체부의 수심의 절반보다 위에 형성하고,
    상기 수조 개시단부와 상기 수조 본체부 사이에 차단판을 설치하고,
    상기 차단판에는 상기 제1 회전 수차에 의한 수류가 통과할 수 있는 가로 슬릿형의 수류 개시구를 형성하는 것인 식품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수차 및 상기 제2 회전 수차에는,
    각각의 회전 수차의 상기 수조 본체부측을 덮는 정면판과, 상기 수조 본체부와는 반대측을 덮는 배면판과, 각각의 회전 수차의 축방향측을 덮는 측면판과,
    각각의 회전 수차가 발생시킨 수류를 수평 방향으로 정류하는 단면 호형상부와,
    상기 수평 방향으로의 수류를 각각 상기 수류 개시구와 상기 가로 수류 도입구에 도입하는 가로 슬릿형의 흡출구
    를 갖는 정류 커버가 씌워지고,
    상기 측면판에는 각각의 회전 수차에서의 축방향 양끝으로부터 물을 받아들이기 위한 측면 도입구가 양단부에 뚫어지는 것인 식품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 수차는 복수의 회전 수차가 축방향으로 연속되는 것으로, 연속되는 개개의 회전 수차에 대하여 별개로 상기 정류 커버가 씌워지는 것인 식품 처리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수차, 제2 회전 수차 또는 이들 양자에 씌우는 상기 정류 커버의 정면판, 배면판, 또는 그 양자에, 물을 받아들이기 위한 절결부가 뚫어지는 것인 식품 처리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의 상기 수조 개시단부에 상대되는 종단부에, 상기 수조 측부에 도입하는 물을 낙하시키는 배수구를 형성하는 것인 식품 처리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 수차는 축방향으로 나누어진 복수개의 수차로 이루어지는 것인 식품 처리 장치.
KR1020157035457A 2013-06-05 2014-06-05 식품 처리 장치 KR1022647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18671 2013-06-05
JPJP-P-2013-118671 2013-06-05
PCT/JP2014/064991 WO2014196604A1 (ja) 2013-06-05 2014-06-05 食品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256A true KR20160015256A (ko) 2016-02-12
KR102264763B1 KR102264763B1 (ko) 2021-06-11

Family

ID=52008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457A KR102264763B1 (ko) 2013-06-05 2014-06-05 식품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407862B2 (ko)
KR (1) KR102264763B1 (ko)
WO (1) WO20141966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987A (ko) * 2018-11-23 2020-06-02 이유진 수조용 파도 발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7750B (zh) * 2017-03-31 2019-12-10 广东东阳光药业有限公司 一种鲜冬虫夏草的清洗方法
JP7406221B2 (ja) * 2019-06-21 2023-12-27 株式会社アルス 回転伝達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食品処理装置
CN110664286A (zh) * 2019-11-20 2020-01-10 北斗星智能电器有限公司 清洗结构及果蔬清洗机
CN113944743A (zh) * 2020-07-17 2022-01-18 湖南桃花鸭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酱卤肉制品加工用清洗装置
CN113287768A (zh) * 2020-10-21 2021-08-24 普斌 一种用于菌类的清洗装置
CN113974185B (zh) * 2021-10-28 2023-09-29 上海臻敬实业有限公司 一种果茶加工设备及加工方法
CN113940438B (zh) * 2021-11-24 2023-12-26 任秀艳 一种食用菌烘干设备
CN114081061B (zh) * 2022-01-24 2022-04-19 山西省平遥县宝聚源肉制品股份有限公司 肉类清洗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6835A (ja) * 1998-01-19 1999-07-27 Ke Corporation:Kk 食品の洗浄装置
JPH11266800A (ja) 1998-01-19 1999-10-05 Arusu:Kk 食品処理装置
JP2008072911A (ja) 2006-09-19 2008-04-03 Als Co Ltd 食品処理装置
JP2011019415A (ja) * 2009-07-14 2011-02-03 Yoshiizumi Sangyo Kk 食品洗浄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6912B2 (ja) * 1987-10-05 1997-03-05 株式会社大生機械 野菜類の水洗水槽
JP5031466B2 (ja) * 2007-07-06 2012-09-19 株式会社アルス 食品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6835A (ja) * 1998-01-19 1999-07-27 Ke Corporation:Kk 食品の洗浄装置
JPH11266800A (ja) 1998-01-19 1999-10-05 Arusu:Kk 食品処理装置
JP2008072911A (ja) 2006-09-19 2008-04-03 Als Co Ltd 食品処理装置
JP2011019415A (ja) * 2009-07-14 2011-02-03 Yoshiizumi Sangyo Kk 食品洗浄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987A (ko) * 2018-11-23 2020-06-02 이유진 수조용 파도 발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96604A1 (ja) 2014-12-11
JP6407862B2 (ja) 2018-10-17
KR102264763B1 (ko) 2021-06-11
JPWO2014196604A1 (ja) 201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5256A (ko) 식품 처리 장치
KR101413883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JP2014132893A (ja) 食品処理装置
EP2327317A1 (en) Rotary screw blancher with fluid passage and fluid agitation
KR100859446B1 (ko) 세정액 순환장치를 구비한 배기후드
RU2660256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осеивани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KR101864077B1 (ko) 순환커버가 구비된 에어순환식 로스터
JP6552483B2 (ja) 食品処理装置
CN214166387U (zh) 一种用于运输泡菜的设备
KR102346143B1 (ko) 내부크린 구조의 에어순환식 로스터
JP5031466B2 (ja) 食品処理装置
CN209563458U (zh) 一种鲍鱼漂烫装置
CN109453990B (zh) 环保型食品加工用的茶叶清洗设备
KR101581119B1 (ko) 수유 튀김기
JP4158082B2 (ja) 固液分離装置
KR20110007095U (ko) 튀김기
CN212362662U (zh) 一种茶叶加工用烘干装置
KR102270812B1 (ko) 구이 연기 제거장치
JP2008073102A (ja) 食品処理装置
KR200396371Y1 (ko) 튀김용 기름의 투입 및 배출이 용이한 튀김장치
KR101389118B1 (ko) 천일염 세척 장치
KR20220022185A (ko) 생선 골육분리장치
CN220024745U (zh) 一种前投料全自动炒菜机及其控制系统
CN216776959U (zh) 一种用于清洗机的排水结构及清洗机
CN218355663U (zh) 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