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9936B1 - 트렌치 타입의 악취정화장치 - Google Patents

트렌치 타입의 악취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9936B1
KR101289936B1 KR1020110086856A KR20110086856A KR101289936B1 KR 101289936 B1 KR101289936 B1 KR 101289936B1 KR 1020110086856 A KR1020110086856 A KR 1020110086856A KR 20110086856 A KR20110086856 A KR 20110086856A KR 101289936 B1 KR101289936 B1 KR 101289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ground
passage portion
baff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3822A (ko
Inventor
최홍림
Original Assignee
최홍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홍림 filed Critical 최홍림
Priority to KR1020110086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9936B1/ko
Publication of KR20130023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3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90Odorous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708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교적 대형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사료화 및 퇴비시설), 가축분뇨의 퇴비화 시설, 돈사나 육계사, 산란계사 등의 축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물질을 간단한 방법으로 정화함과 아울러, 정화시설을 지중에 설치함으로써 정화시설의 상부공간을 공원화하여 휴식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트렌치 타입의 악취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악취를 함유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덕트(100); 상기 흡입덕트(100)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하여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기(200); 및 지중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덕트(100)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악취성분을 제거하는 필터체(300);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체(300)는, 상기 흡입덕트(10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통과할 수 있게 지중에서 연장 형성되는 통로부(310)와, 지그재그 형태의 공기 흐름을 유도하도록 상기 통로부(310)의 내측으로 연장되게 상기 통로부(310)에 설치되는 배플(330)과, 상기 통로부(310)의 말단에서 지상으로 설치되어 공기가 배출되면서 상기 공기에 포함된 악취성분을 제거하는 제1필터(3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트렌치 타입의 악취정화장치{TRENCH-TYPE DEVICE FOR REDUCING OFFENSIVE ODOR}
본 발명은 트렌치 타입의 악취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교적 대형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사료화 및 퇴비시설), 가축분뇨의 퇴비화 시설, 돈사나 우사 등의 축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물질을 간단한 방법으로 정화함과 아울러, 정화시설을 지중에 설치함으로써 정화시설의 상부공간을 공원화하여 휴식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트렌치 타입의 악취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 시설 중 발효시설 및 탈수시설, 건조시설이나 가축분뇨의 퇴비화 시설 및 돈사나 육계사, 산란계사 등의 축사 등에서는 발생되는 악취는 주변으로 확산되어 공해요인으로 작용하여 주변 지역 주민들로부터 빈번한 민원의 대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렇게 발생되는 악취의 저감시설이 꼭 필요하지만 완벽한 설비를 갖추기 위해서는 상당한 설비비 및 많은 운전비용이 요구되고 있다. 또, 축분을 이용한 퇴비화 시설에서도 악취발생으로 인해서 농가주변에서도 민원이 발생하는 등 악취로 인한 피해가 점점 늘고 있는 실정이다.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및 가축분뇨 퇴비화시설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은 여러 가지가 발명되어지고, 또한, 현장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주로 사용되는 방법은 활성탄을 이용한 흡착방법, 악취물질을 별도로 포집·압축하여 처리하는 방법, 악취가스를 소각시켜 냄새물질을 태워 없애는 방법, 악취를 없애는 특수 미생물을 배양시키고 그 미생물을 이용하여 악취물질을 정화시키는 방법, 오존을 이용한 탈취방법, 소취제나 방향제 등을 이용하여 악취입자를 감추는 방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이 개발되어 실용화되고 있으나 대부분은 설치비용이 비싸고 운영비용이 많이 소요됨으로써 영세 사업자 또는 축산농가 등이 설치비용에 대한 부담으로 설치를 미루거나, 설치한다 하여도 소모품 및 소모성 부분품의 교체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로 제대로 운용되지 않아 악취 제거의 실효성을 거두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악취 정화장치 또는 설비는 대부분 지상에 설치되어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고,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그 공간은 다른 용도로는 활용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설치 및 유지비용의 증가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근 주민들이 기피하고 있는 상황이다.
<선행기술문헌>
한국등록특허 제10-1023649호(2011.03.14. 등록, 분뇨악취제거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0951307호(2010.03.29. 등록, 축산시설 악취처리 시스템)
한국등록특허 제10-0886465호(2009.02.24. 등록, 오존 및 오존 수를 이용한 악취 제거 방법 및 그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및 유지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악취 제거 성능이 우수한 트렌치 타입의 악취정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상의 공간을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트렌치 타입의 악취정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트렌치 타입의 악취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악취를 함유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덕트; 상기 흡입덕트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하여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기; 및 지중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악취성분을 제거하는 필터체;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체는, 상기 흡입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통과할 수 있게 지중에서 연장 형성되는 통로부와, 지그재그 형태의 공기 흐름을 유도하도록 상기 통로부의 내측으로 연장되게 상기 통로부에 설치되는 배플과, 상기 통로부의 말단에서 지상으로 설치되어 공기가 배출되면서 상기 공기에 포함된 악취성분을 제거하는 제1필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통로부는, 상기 흡입덕트가 연결되는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필터가 설치되는 타단을 향하여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면서 넓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플은 공기의 진행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플은 상기 통로부의 양측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배플의 후면에서 상기 통로부에 인접한 부분에는 정체 또는 와류된 공기에서 악취성분을 제거하여 지상으로 배출하는 제2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배플은 상기 통로부의 천정면 및 바닥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통로부의 천정면에 설치되는 배플의 후면에서 상기 통로부에 인접한 부분에는 정체 또는 와류된 공기에서 악취성분을 제거하여 지상으로 배출하는 제2필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필터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틀체와, 상기 틀체에 채워지고 악취의 흡착을 위한 다공체로 이루어지는 흡착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다공체는 왕겨, 톱밥, 목편, 코코넛 섬유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통로부는 지중의 토사가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중에서 형성 및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체에는, 상기 통로부의 천정에 설치되어 유입된 공기 중 일부에 대해 악취성분을 제거하여 지상으로 배출하는 필터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층은, 상기 통로부의 천정면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에 적층되고 악취의 흡착을 위한 다공체로 이루어지는 흡착층과, 상기 흡착층 상에 적층되는 토사층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플은, 상기 배플의 골격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외곽프레임과, 악취를 흡착하도록 상기 외곽프레임에 채워지는 다공체로 이루어지는 흡착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다공체는 역시 왕겨, 톱밥, 목편, 코코넛 섬유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타입의 악취정화장치에 의하면, 설치 및 유지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악취 제거 성능이 우수하여 악취 제거를 위한 경제성 및 효율성이 높아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상의 공간을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어 지상 공간의 낭비를 방지하고 지상 공간을 통한 새로운 부가가치의 창출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트렌치 타입의 악취정화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배플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배플을 포함한 필터체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체의 구성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타입의 악취정화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트렌치 타입의 악취정화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배플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배플을 포함한 필터체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렌치 타입의 악취정화장치는 흡입덕트(100), 송풍기(200) 및 필터체(300)로 구성된다.
상기 흡입덕트(100)는 비교적 대형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가축분뇨의 퇴비화 시설이나 돈사나 육계사, 산란계사 등의 축사 등과 같은 악취발생시설(A)에 연결되어 상기 시설들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함유하는 공기를 필터체(300)로 유입시키는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흡입덕트(100)는 상기 시설(A)의 일단과 상기 필터체(300)의 일단을 연결한다.
송풍기(200)는 상기 흡입덕트(100)를 통해 공기를 필터체(300)로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기(200)는 악취발생시설(A)에 연결되는 흡입덕트(100)의 입구에 설치된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그 위치에는 특별한 한정이 없다.
필터체(300)는 지중에 트렌치(trench) 타입으로 설치되고 상기 흡입덕트(100)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악취성분을 다공체와 토사를 이용하여 제거한다. 이러한 필터체(300)는 통로부(310), 배플(330), 제1필터(350)로 구성되고, 추가적으로 제2필터(370) 및 필터층(39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통로부(310)는 상기 흡입덕트(10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통과할 수 있게 지중에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통로부(310)는 상기 흡입덕트(100)가 연결되는 일단으로부터 제1필터(350)가 설치되는 타단을 향하여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면서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는 송풍기(20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량과 동일한 공기가 제1필터(350)를 통해 배출될 수 없으므로, 일정시간 공기를 저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공기의 저류 공간에 악취를 함유하는 공기가 머물도록 함으로서 통로부(310), 배플(330) 및 제1필터(350)에 의해 공기에 함유된 악취성분이 흡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통로부(310)는 다수개의 통공(311a)이 형성된 지지프레임(311)에 형성 및 지지된다. 상기 지지프레임(311)에 형성된 통공(311a)을 통하여 지중의 토사(313)가 부분적으로 노출되므로, 악취성분을 함유한 공기가 통과하면서 토사(313)에 접촉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악취성분의 일부가 토사에 흡수된다.
아울러, 상기 통로부(310)의 지지프레임(311)은 다수개의 통공(311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우천시 지중으로 유입된 빗물의 배수를 돕는 역할도 수행한다.
배플(330)은 상기 통로부(310)로 유입된 공기가 지그재그 형태로 흐를 수 있도록 상기 통로부(310)의 내측에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배플(330)에 의해 상기 통로부(310)로 유입된 공기는 보다 긴 구간에서 통로부(310)와 배플(330)에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플(330)이 통로부(310)의 천정면 및 바닥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배플(330)은 상기 배플(330)의 골격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통공(331a)이 형성된 외곽프레임(331)과, 악취를 흡착하도록 상기 외곽프레임(331)에 채워지는 다공체로 이루어지는 흡착부(333)를 포함한다.
상기 외곽프레임(331)은 상기 통로부(310)의 지지프레임(311)에 연결되고, 상기 외곽프레임(331)의 안정적인 배치를 위하여 상기 외곽프레임(331)에는 지지바(335)가 연결된다. 즉, 상기 통로부(310)의 천정면에 설치되는 외곽프레임(331)에서는, 그 하단에 지지바(335)가 설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311)의 바닥면과 상기 통로부(31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외곽프레임(331)에 연결된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통로부(31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외곽프레임(331)에서는, 그 상단에 지지바(335)가 설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311)의 천정면과 상기 통로부(310)의 천정면에 설치되는 또 다른 배플의 외곽프레임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외곽프레임(331)의 지지방식은 본 실시예와 같이 지지바(335)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로프를 이용하여 지지프레임(311)에 매다는 형태로도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곽프레임(331)에 채워지는 다공체는 악취를 흡착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왕겨, 톱밥, 목편, 코코넛 섬유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악취의 흡착이 가능한 활성탄 등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제1필터(350)는 상기 통로부(310)의 말단에서 지상으로 설치되어 공기가 배출되면서 상기 공기에 포함된 악취성분을 제거한다. 상기 제1필터(350)는 다수개의 통공(351a)이 형성된 틀체(351)와, 상기 틀체(351)에 적층되고 악취의 흡착을 위한 다공체로 이루어지는 흡착부(353)로 구성된다.
상기 틀체(351)는 대략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흡착부(353)가 채워져 있다. 그리고 상기 틀체(351)는 상기 지지프레임(311) 및 외곽프레임(33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 및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착부(353)에 채워지는 다공체는 상기 배플(330)의 외곽프레임(331)에 채워지는 다공체와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로부(310)의 천정면에 설치되는 배플(330)의 후면에서 상기 통로부(310)에 인접한 부분에는, 정체 또는 와류된 공기에서 악취성분을 제거하여 지상으로 배출하는 제2필터(37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필터(370)는 통로부(310)로 유입된 공기의 주흐름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고, 공기의 진행방향으로 경사진 배플(330)의 후단에 설치되어 공기의 주흐름에서 벗어나 배플(330)의 후단에서 고이는 공기를 필터링하여 지상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2필터(370)는 틀체(371)와 흡착부(373)로 이루어지고, 그 각각의 구성은 제1필터(350)의 대응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로부(310)의 천정에 설치되어 유입된 공기 중 일부에 대해 악취성분을 제거하여 지상으로 배출하는 필터층(39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층(390)은 상기 통로부(310)의 천정면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311) 상에 적층된다. 즉, 상기 필터층(390)은 다공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프레임(311) 상에 적층되는 흡착층(391)과, 상기 흡착층(391) 상에 적층되는 토사층(39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다공체는 전술한 배플(330), 제1필터(350) 및 제2필터(370)의 다공체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토사층(393)은 일정 두께를 갖는 토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토사에는 잔디 등의 식물이 식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층(390)은 통로부(310)의 지지프레임(311) 상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상기 필터층(390) 상에 벤치, 오두막, 분수대와 같은 시설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311)의 지지력을 증대시켜 통로부(310)를 형성한다면, 상기 시설보다 중량이 더 나가는 시설을 설치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송풍기(200)가 가동되면 악취발생시설(A)로부터 흡입덕트(100)를 통해 악취성분을 함유한 공기가 필터체(300)로 유입된다. 필터체(300)로 유입된 공기는 통로부(310)를 지나 제1필터(350)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통로부(310)에는 다수개의 배플(330)이 공기의 진행방향으로 경사지면서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어 공기의 지그재그 형태의 흐름을 유도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통로부(310)의 외곽으로 설치되는 지지프레임(311)에서 다수개의 통공(311a)을 통해 노출되는 토사(313)와, 상기 배플(330)의 흡착부(333)을 이루는 다공체와 상기 공기가 접촉하면서 상기 공기 중에 포함된 악취성분 중 일부가 제거된다.
그리고 상기 제1필터(350)에서도 다공체가 채워져 있어 공기가 배출되면서 상기 다공체에 의해 악취성분이 흡착된다.
따라서 악취성분을 함유한 공기가 통로부(310)에서 상기와 같은 경로를 통해 진행하면서 악취성분이 흡착됨에 따라 상기 제1필터(35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는 악취성분이 거의 잔류하지 않게 된다.
또한 배플(330)의 후단에는 제2필터(370)가 설치되어 공기의 주흐름에서 이탈되어 정체 또는 와류되는 공기가 상기 제2필터(37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이때 상기 제2필터(370)에도 다공체가 채워져 있으므로, 공기가 상기 제2필터(370)를 통과하면서 악취성분이 흡착된다.
아울러, 상기 통로부(310)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는 통로부(310)를 형성하는 지지프레임(311)의 천정면을 통해 필터층(39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필터층(390)에도 다공체가 채워져 있어 통과하는 공기 중 악취성분을 흡착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층(390)에는 다공체로 이루어지는 흡착층(391) 상에 토사층(393)이 적층된다. 상기 토사층(393)은 상기 필터층(390)에 비해 공극이 작으므로, 필터층(390)을 통한 공기의 유입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통로부(310)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필터층(390)을 통해 배출되기는 하지만, 그 양은 제1 및 제2필터(350, 37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양에 비해 적다. 다만, 필터층(390)은 상기 통로부(310)의 천정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위 면적당 배출량은 제1 및 제2필터(350, 370)에 비해 적지만, 전체적으로는 제1 및 제2필터(350, 37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량과 유사하게 된다. 더구나, 송풍기(20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량이 제1 및 제2필터(350, 370)로부터 배출되는 양보다 현저히 많아져 통로부(310) 내에 압력이 발생하면 상기 필터층(39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량은 더욱 증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악취발생시설(A)로부터 송풍기(20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함유된 악취성분이 필터체(300)에서 흡착된 상태로 외부로 배출되게 하므로, 악취에 의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유지보수가 거의 필요치 않기 때문에 유지보수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체(300)가 지중에 설치되어 미관을 훼손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필터체(300) 상부의 지상공간을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어 지상공간의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타입의 악취정화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체의 구성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에서 높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배플(330)과 달리, 횡방향으로 배플(330)이 설치된다. 즉, 배플(330)의 하단은 통로부(310)의 바닥면에 접촉하고, 배플(330)의 상단은 통로부(310)의 천정면에 접촉한다. 따라서 배플(330)이 통로부(310)의 내부 공간을 지지해주는 역할도 수행하게 되므로, 지상 시설물에 대한 통로부(310)의 지지력이 보다 증대될 수 있다.
그리고 배플(330)이 통로부(310)의 측면에 설치되고 통로부(310)의 천정면 및 바닥면에 지지되는 구조이므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은 별도의 지지바(335)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모든 배플(330)의 후단에 제2필터(370)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필터(370)를 통해 정체 또는 와류된 공기가 천천히 외부로 유출되면서 필터링될 수 있어 보다 많은 공기의 처리가 가능해진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 흡입덕트 200 : 송풍기
300 : 필터체 310 : 통로부
330 : 배플 350 : 제1필터
370 : 제2필터 390 : 필터층

Claims (12)

  1. 악취를 함유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덕트(100);
    상기 흡입덕트(100)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하여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기(200); 및
    지중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덕트(100)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악취성분을 제거하는 필터체(300);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체(300)는,
    상기 흡입덕트(10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통과할 수 있게 지중에서 연장 형성되는 통로부(310)와, 지그재그 형태의 공기 흐름을 유도하도록 상기 통로부(310)의 내측으로 연장되게 상기 통로부(310)에 설치되는 배플(330)과, 상기 통로부(310)의 말단에서 지상으로 설치되어 공기가 배출되면서 상기 공기에 포함된 악취성분을 제거하는 제1필터(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타입의 악취정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310)는, 상기 흡입덕트(100)가 연결되는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필터(350)가 설치되는 타단을 향하여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면서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타입의 악취정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330)은 공기의 진행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타입의 악취정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330)은 상기 통로부(310)의 양측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배플(330)의 후면에서 상기 통로부(310)에 인접한 부분에는 정체 또는 와류된 공기에서 악취성분을 제거하여 지상으로 배출하는 제2필터(37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타입의 악취정화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330)은 상기 통로부(310)의 천정면 및 바닥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통로부(310)의 천정면에 설치되는 배플(330)의 후면에서 상기 통로부(310)에 인접한 부분에는 정체 또는 와류된 공기에서 악취성분을 제거하여 지상으로 배출하는 제2필터(37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타입의 악취정화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필터(350, 370)는, 다수개의 통공(351a, 371a)이 형성된 틀체(351, 371)와, 상기 틀체(351, 371)에 채워지고 악취의 흡착을 위한 다공체로 이루어지는 흡착부(353, 37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타입의 악취정화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체는 왕겨, 톱밥, 목편, 코코넛 섬유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타입의 악취정화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310)는 지중의 토사가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다수개의 통공(311a)이 형성된 지지프레임(311)에 의해 지중에서 형성 및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타입의 악취정화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체(300)에는, 상기 통로부(310)의 천정에 설치되어 유입된 공기 중 일부에 대해 악취성분을 제거하여 지상으로 배출하는 필터층(39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타입의 악취정화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층(390)은, 상기 통로부(310)의 천정면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311) 상에 적층되고 악취의 흡착을 위한 다공체로 이루어지는 흡착층(391)과, 상기 흡착층(391) 상에 적층되는 토사층(39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타입의 악취정화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330)은, 상기 배플(330)의 골격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통공(331a)이 형성된 외곽프레임(331)과, 악취를 흡착하도록 상기 외곽프레임(331)에 채워지는 다공체로 이루어지는 흡착부(3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타입의 악취정화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체는 왕겨, 톱밥, 목편, 코코넛 섬유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타입의 악취정화장치.
KR1020110086856A 2011-08-30 2011-08-30 트렌치 타입의 악취정화장치 KR101289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856A KR101289936B1 (ko) 2011-08-30 2011-08-30 트렌치 타입의 악취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856A KR101289936B1 (ko) 2011-08-30 2011-08-30 트렌치 타입의 악취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822A KR20130023822A (ko) 2013-03-08
KR101289936B1 true KR101289936B1 (ko) 2013-07-25

Family

ID=48175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856A KR101289936B1 (ko) 2011-08-30 2011-08-30 트렌치 타입의 악취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99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376B1 (ko) * 2020-08-27 2021-04-28 최홍림 생계형 지하돈사와 지상온실의 융복합 생산 시스템
KR102252558B1 (ko) * 2020-11-23 2021-05-17 주식회사 국제기술인증원 격자 경사 스프레이 및 다중 격막 장치를 적용한 약액 탈취장치
NL2027797B1 (nl) * 2021-03-23 2022-10-07 Bosman Stan Een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afvoeren van gass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1853B1 (ko) 1999-03-09 2001-06-01 최홍림 무창돈사의 배기장치
KR200229825Y1 (ko) 2001-02-13 2001-07-03 아성 엔.엠.티 주식회사 바이오세라믹 담체 및 토착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장치
KR200445643Y1 (ko) 2009-04-30 2009-08-19 김태현 축분뇨 악취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1853B1 (ko) 1999-03-09 2001-06-01 최홍림 무창돈사의 배기장치
KR200229825Y1 (ko) 2001-02-13 2001-07-03 아성 엔.엠.티 주식회사 바이오세라믹 담체 및 토착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장치
KR200445643Y1 (ko) 2009-04-30 2009-08-19 김태현 축분뇨 악취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822A (ko) 201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962B1 (ko)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장치
KR101465297B1 (ko) 트렌치 필터를 이용한 악취 정화장치
KR101261195B1 (ko) 텐타기 배출 가스 및 증기 정화 장치
KR101289936B1 (ko) 트렌치 타입의 악취정화장치
WO2010116748A1 (ja) 汚水処理装置
KR101813843B1 (ko) 하수슬러지 건조시 발생하는 분진제거장치
KR101545182B1 (ko) 유기성폐기물 처리시설의 대기 오염물질 처리장치
KR20150001741U (ko) 편백나무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KR100954087B1 (ko) 분뇨처리시설용 악취제거장치
KR101968679B1 (ko)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TWI566823B (zh) 廢氣處理裝置及其方法
KR20090075418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필터조립체
CN206045698U (zh) 一种烟气净化装置
KR20060017572A (ko) 악취제거용 광촉매 필터
CN211800017U (zh) 一种生物光解一体化除臭装置
KR101035974B1 (ko) 하수, 폐수 및 침출수 관거용 탈취장치
KR102306756B1 (ko) 미세먼지 제거장치
CN209952545U (zh) 一种废气处理用除味罐
KR101068226B1 (ko) 고효율 탈취필터
KR100937577B1 (ko) 공기정화장치
CN219952151U (zh) 一种厕所除臭杀菌消毒器
KR101791583B1 (ko) 악취 제거 장치용 내부카트리지
JP2004020137A (ja) 空気浄化装置
JPH11262340A (ja) 家畜ふん尿用脱臭装置
CN204485571U (zh) 一种香烟烟雾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